KR100434364B1 - 직렬 가산기 - Google Patents

직렬 가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4364B1
KR100434364B1 KR10-2000-0083037A KR20000083037A KR100434364B1 KR 100434364 B1 KR100434364 B1 KR 100434364B1 KR 20000083037 A KR20000083037 A KR 20000083037A KR 100434364 B1 KR100434364 B1 KR 100434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d
bit
carry
data
ad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3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3405A (ko
Inventor
임영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3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4364B1/ko
Publication of KR20020053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3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3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ocessing data by operating upon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G06F7/38Methods or arrangements for performing computations using exclusively denominational number representation, e.g. using binary, ternary, decimal representation
    • G06F7/48Methods or arrangements for performing computations using exclusively denominational number representation, e.g. using binary, ternary, decimal representation using non-contact-making devices, e.g. tube, solid state device; using unspecified devices
    • G06F7/50Adding; Subtracting
    • G06F7/504Adding; Subtracting in bit-serial fashion, i.e. having a single digit-handling circuit treating all denominations after each oth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lex Calcu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렬 가산기에 관한 것으로, 이전 상태의 짝수 캐리 비트와 이전 상태의 홀수 캐리 비트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짝수 캐리 비트 또는 상기 홀수 캐리 비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1다중화부와; 제1데이터의 짝수 비트값과 제2데이터의 비트값과 상기 제1다중화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이전 홀수 캐리 비트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제1데이터의 짝수 비트값과 상기 제2데이터의 짝수 비트값을 가산하는 제1가산부와; 상기 제1가산부로부터 출력되는 짝수 캐리를 입력받아 인가되는 클럭에 동기시켜 짝수 캐리 비트를 출력하는 제1플립플롭과; 상기 제1가산부로부터 출력되는 짝수 비트의 합을 입력받아 인가되는 클럭에 동기시켜 짝수 비트 합을 출력하는 제2플립플롭과; 상기 제1가산부로부터 출력되는 짝수 캐리와 이전 상태의 홀수 캐리 비트를 입력받아 상기 짝수 캐리 또는 상기 홀수 캐리 비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2다중화부와; 제1데이터의 홀수 비트값과 제2데이터의 홀수 비트값과 상기 제2다중화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제1데이터의 홀수 비트값과 상기 제2데이터의 홀수 비트값을 가산하는 제2가산부와; 상기 제2가산부로부터 출력되는 홀수 캐리를 입력받아 인가되는 클럭에 동기시켜 홀수 캐리 비트를 출력하는 제3플립플롭과; 상기 제2가산부로부터 출력되는 홀수 비트 합을 입력받아 인가되는 클럭에 동기시켜 홀수 합 비트를 출력하는 제4플립플롭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병렬 가산 방법과 직렬 가산 방법의 장점을 수용함으로써 하드웨어 자원을 줄이고 적당한 속도의 클럭을 이용하여 직렬 가산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직렬 가산기{SERIAL ADDER}
본 발명은 n비트의 직렬 데이터(serial data)를 가산하는 가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드웨어 자원을 절약해야 하는 시스템과 고속의 직렬 클럭(serial clock)의 공급에 제약이 있는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데이터를 짝수(even) 비트와 홀수(odd) 비트로 분리하여 직렬 합산(serial summation)하는 가산기(adder)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병렬 데이터를 직접 가산하는 회로의 구성도로서, n비트 데이터 가산기(110)와 n비트 플립플롭(120)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n비트 데이터 가산기(110)는 1비트 가산기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두개의 n비트 데이터를 각각 입력받아 가산하여 출력한다. n비트 플립플롭(120)는 n비트 데이터 가산기(110)로부터 출력되는 n비트 병렬 합 데이터(nbit parallel sum data)를 입력받고, 인가되는 클럭에 동기되어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종래 병렬 가산기는 회로의 구성이 단순한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n비트 가산기와 n비트 플립플롭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하드웨어 자원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도 2는 종래 n비트의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가산하는 회로의 구성도로서, 1비트 데이터 가산기(210)와 제1플립플롭(220)과 제2플립플롭(230)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1비트 데이터 가산기(210)는 두개의 1비트 직렬 데이터(1bit A data, 1bit B data)와 이전 상태에서 발생된 캐리 비트(carry_bit)를 각각 입력받아 가산하여 합(sum)과 캐리(carry)를 출력한다. 제1플립플롭(220)은 가산기(210)로부터 출력되는 캐리를 입력받아 클럭에 동기시켜 캐리 비트(carry_bit)를 출력한다. 제2플립플롭(230)은 가산기(210)로부터 출력되는 합을 입력받아 클럭에 동기시켜 합 비트(sum_bit)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종래 직렬 가산(serial summation)에서는 n비트 병렬 데이터를직렬로 변환시켜 1비트 가산기만을 이용하여 계산해서 합산을 수행한 후 다시 병렬로 변환시키는 구조이다. 이 경우 직렬 데이터는 병렬 데이터가 들어오는 클럭 속도의 n배에 해당하는 직렬 클럭을 이용하여 처리되어야 한다. 그리고, 1비트 가산기에 의해 발생되는 캐리는 1비트 플립플롭에 의해 래치되어 다음번 연산에서 입력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 직렬 가산을 수행하는 경우는 하드웨어 자원을 줄일 수는 있지만 입력 클럭 속도의 n배에 해당하는 고속의 직렬 클럭이 필요하기 때문에 시스템 설계에 큰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스템의 하드웨어 자원을 줄일 수 있는 직렬 가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속의 직렬 클럭을 사용하지 않고 직렬 가산을 수행하는 가산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병렬 가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합산하는 가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렬 데이터를 짝수 비트와 홀수 비트로 나누어 가산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렬 데이터를 가산하는 회로의 구성도.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전 상태의 짝수 캐리 비트와 이전 상태의 홀수 캐리 비트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짝수 캐리 비트 또는 상기 홀수 캐리 비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1다중화부와; 제1데이터의 짝수 비트값과 제2데이터의 짝수 비트값과 상기 제1다중화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제1데이터의 짝수 비트값과 상기 제2데이터의 짝수 비트값을 가산하는 제1가산부와; 상기 제1가산부로부터 출력되는 짝수 캐리를 입력받아 인가되는 클럭에 동기시켜 짝수 캐리 비트를 출력하는 제1플립플롭과; 상기 제1가산부로부터 출력되는 짝수 합을 입력받아 인가되는 클럭에 동기시켜 짝수 합 비트를 출력하는 제2플립플롭과; 현재 상태의 짝수 캐리와 이전 상태의 홀수 캐리 비트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짝수 캐리 또는 상기 홀수 캐리 비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2다중화부와; 제1데이터의 홀수 비트값과 제2데이터의 홀수 비트값과 상기 제2다중화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제1데이터의 홀수 비트값과 상기 제2데이터의 홀수 비트값을 가산하는 제2가산부와; 상기 제2가산부로부터 출력되는 홀수 캐리를 입력받아 인가되는 클럭에 동기시켜 홀수 캐리 비트를 출력하는 제3플립플롭과; 상기 제2가산부로부터 출력되는 홀수 합을 입력받아 인가되는 클럭에 동기시켜 홀수 합 비트를 출력하는 제4플립플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한 클럭내에 짝수 비트 데이터와 홀수 비트 데이터의 합산을 완결하기 위해 합산시 발생하는 캐리를 다음과 같이 처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짝수 비트 데이터 합산에서 발생한 캐리인 짝수 캐리(carry_even)는 N/2 직렬 클럭에 의해 그 값이 래치되기 전에 홀수 비트 데이터 합산의 캐리 입력으로 사용되어 홀수 비트 합산 결과에 영향을 미쳐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직렬 가산기는 플립플롭에 의해 래치되기 전의 데이터인 짝수 캐리를 홀수 비트 데이터 합산에서의 캐리 입력값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홀수 비트 데이터 합산에서 발생한 홀수 캐리를 다음번 짝수 비트 데이터 합산에서 입력 캐리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직렬 가산기는 N/2 클럭에 의해 래치된 홀수 캐리 비트를 짝수 비트 데이터 합산의 캐리 입력으로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직렬 가산기는 짝홀수 합산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선택 신호를 이용하여 각각의 합산 결과에서 얻은 캐리 출력인 짝수 캐리 비트와 홀수 캐리 비트를 다음번 데이터 합산의 캐리 입력으로 사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렬 데이터를 짝수 비트와 홀수 비트로 나누어서 합산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직렬 데이터를 짝수 비트와 홀수 비트로 나누어서 짝수 비트는 짝수 비트끼리 합산하고, 홀수 비트는 홀수 비트끼리 합산한 후 병렬 데이터로 복원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되는 클럭의 속도는 N/2 클럭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렬 가산기의 구성도로서, 제1다중화부(411)와 제2다중화부(412)와 제1가산부(421)와 제2가산부(422)와 제1플립플롭(431)과 제2플립플롭(432)과 제3플립플롭(433)과 제4플립플롭(434)으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다중화부(411)는 이전 상태의 짝수 캐리 비트(carry_even_bit)와 이전 상태의 홀수 캐리 비트(carry_odd_bit)를 입력받고, 입력된 짝수 캐리 비트 또는 홀수 캐리 비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짝수 비트 합산을 수행하는 경우 제1다중화부(411)는 입력된 이전 상태의 홀수 캐리 비트를 선택하여 제1가산부(421)로 출력한다.
제2다중화부(412)는 현재 상태의 짝수 캐리(carry_even)와 이전 상태의 홀수 캐리 비트(carry_odd_bit)를 입력받고, 입력된 짝수 캐리 또는 홀수 캐리 비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홀수 비트 합산을 수행하는 경우 제2다중화부(412)는 입력된 현재 상태의 짝수 캐리를 제2가산부(422)로 출력한다.
제1가산부(421)는 1비트 데이터 가산기로서, 제1다중화부(411)로부터 출력되는 캐리 비트와 제1데이터의 짝수 비트값(A_even)과 제2데이터의 짝수 비트값(B_even)을 입력받아 합산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짝수 비트 합산시 제1가산부(421)는 제1다중화부(411)로부터 이전 상태의 홀수 캐리 비트를 입력받고, 제1데이터의 짝수 비트값과 제2데이터의 짝수 비트값을 합산하여 그 결과값으로서 짝수 합산값(sum_even)과 짝수 캐리(carry_even)를 출력한다. 여기서, 짝수 캐리는 현재 상태에서 홀수 합산시 사용되기 위해 제2다중화부(412)로 입력된다.
제2가산부(422)는 1비트 데이터 가산기로서, 제2다중화부(412)로부터 출력되는 캐리 비트와 제1데이터의 홀수 비트값(A_odd)과 제2데이터의 홀수 비트값(B_odd)을 입력받아 합산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홀수 비트 합산시 제2가산부(422)는 제2다중화부(412)로부터 현재 상태의 짝수 캐리를 입력받고, 입력된 제1데이터의 홀수 비트값과 제2데이터의 홀수 비트값을 합산하여 홀수 합산값(sum_odd)과 홀수 캐리(carry_odd)를 출력한다.
제1플립플롭(431)은 1비트 플립플롭으로서, 제1가산부(421)로부터 출력되는 짝수 캐리(carry_even)를 입력받아 인가되는 클럭(clk)에 동기시켜 짝수 캐리 비트(carry_even_bit)를 출력한다. 여기서, 짝수 캐리 비트는 다음 상태의 합산에사용되기 위해 제1다중화부(411)로 입력된다.
제2플립플롭(432)은 1비트 플립플롭으로서, 제1가산부(421)로부터 출력되는 짝수 합산값(sum_even)을 입력받아 인가되는 클럭(clk)에 동기시켜 짝수 합산 비트(sum_even_bit)를 출력한다.
제3플립플롭(433)은 1비트 플립플롭으로서, 제2가산부(422)로부터 출력되는 홀수 캐리(carry_odd)를 입력받아 인가되는 클럭(clk)에 동기시켜 홀수 캐리 비트(carry_odd_bit)를 출력한다. 여기서, 홀수 캐리 비트는 다음 상태의 합산시 사용되기 위해 제1다중화부(411)와 제2다중화부(412)로 입력된다.
제4플립플롭(434)은 1비트 플립플롭으로서, 제2가산부(422)로부터 출력되는 홀수 합값(sum_odd)을 입력받아 인가되는 클럭(clk)에 동기시켜 홀수 합산 비트(sum_odd_bit)를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데이터를 짝수 비트와 홀수 비트로 분리하여 합산함으로써 직렬 합산과 병렬 합산의 장점을 수용하여 필요한 하드웨어 자원을 줄이면서 적당한 속도의 클럭을 이용할 수 있다.

Claims (3)

  1. 직렬 가산기에 있어서,
    이전 상태의 짝수 캐리 비트와 이전 상태의 홀수 캐리 비트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짝수 캐리 비트 또는 상기 홀수 캐리 비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1다중화부와;
    제1데이터의 짝수 비트값과 제2데이터의 짝수 비트값과 상기 제1다중화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제1데이터의 짝수 비트값과 상기 제2데이터의 짝수 비트값을 가산하는 제1가산부와;
    상기 제1가산부로부터 출력되는 짝수 캐리를 입력받아 인가되는 클럭에 동기시켜 짝수 캐리 비트를 출력하는 제1플립플롭과;
    상기 제1가산부로부터 출력되는 짝수 합을 입력받아 인가되는 클럭에 동기시켜 짝수 합 비트를 출력하는 제2플립플롭과;
    현재 상태의 짝수 캐리와 이전 상태의 홀수 캐리 비트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짝수 캐리 또는 상기 홀수 캐리 비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2다중화부와;
    제1데이터의 홀수 비트값과 제2데이터의 홀수 비트값과 상기 제2다중화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제1데이터의 홀수 비트값과 상기 제2데이터의 홀수 비트값을 가산하는 제2가산부와;
    상기 제2가산부로부터 출력되는 홀수 캐리를 입력받아 인가되는 클럭에 동기시켜 홀수 캐리 비트를 출력하는 제3플립플롭과;
    상기 제2가산부로부터 출력되는 홀수 합을 입력받아 인가되는 클럭에 동기시켜 홀수 합 비트를 출력하는 제4플립플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가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중화부는,
    상기 제1플립플롭으로부터 출력되는 이전 상태의 짝수 캐리 비트와, 상기 제3플립플롭으로부터 출력되는 이전 상태의 홀수 캐리 비트를 입력받고, 짝수 비트 합산시 상기 이전 상태의 홀수 캐리 비트를 선택하여 상기 제1가산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가산기.
  3. 제2항에 있어서, 제2다중화부는,
    상기 제1가산부로부터 출력되는 현재 상태의 짝수 캐리와, 상기 제3플립플롭으로부터 출력되는 이전 상태의 홀수 캐리 비트를 입력받고, 홀수 비트 합산시 상기 현재 상태의 짝수 캐리를 선택하여 상기 제2가산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가산기.
KR10-2000-0083037A 2000-12-27 2000-12-27 직렬 가산기 KR100434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3037A KR100434364B1 (ko) 2000-12-27 2000-12-27 직렬 가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3037A KR100434364B1 (ko) 2000-12-27 2000-12-27 직렬 가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405A KR20020053405A (ko) 2002-07-05
KR100434364B1 true KR100434364B1 (ko) 2004-06-04

Family

ID=27686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3037A KR100434364B1 (ko) 2000-12-27 2000-12-27 직렬 가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436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3737A (ja) * 1987-07-17 1989-04-20 Sumitomo Electric Ind Ltd 加算器
JPH07104974A (ja) * 1993-10-01 1995-04-21 Kokusai Electric Co Ltd 高速積算回路
KR970703559A (ko) * 1995-04-07 1997-07-03 존 엠. 클락 3세 교번 극성 올림수 예측 가산기 회로(alternating polarity carry look ahead adder circuit)
US5745399A (en) * 1995-05-27 1998-04-28 International Computers Limited Decimal arithmetic apparatus and method
US5978826A (en) * 1995-12-01 1999-11-02 Lucent Techologies Inc. Adder with even/odd 1-bit adder cells
US6134576A (en) * 1998-04-30 2000-10-17 Mentor Graphics Corporation Parallel adder with independent odd and even sum bit generation cell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3737A (ja) * 1987-07-17 1989-04-20 Sumitomo Electric Ind Ltd 加算器
JPH07104974A (ja) * 1993-10-01 1995-04-21 Kokusai Electric Co Ltd 高速積算回路
KR970703559A (ko) * 1995-04-07 1997-07-03 존 엠. 클락 3세 교번 극성 올림수 예측 가산기 회로(alternating polarity carry look ahead adder circuit)
US5745399A (en) * 1995-05-27 1998-04-28 International Computers Limited Decimal arithmetic apparatus and method
US5978826A (en) * 1995-12-01 1999-11-02 Lucent Techologies Inc. Adder with even/odd 1-bit adder cells
US6134576A (en) * 1998-04-30 2000-10-17 Mentor Graphics Corporation Parallel adder with independent odd and even sum bit generation ce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405A (ko) 200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2385B1 (en) Pseudorandom number generating method and pseudorandom number generator
JP2006101269A (ja) ラッチクロック生成回路及びシリアル−パラレル変換回路
US7307453B1 (en) Method and system for parallel state machine implementation
US5506796A (en) Digital signal processing circuit selectively operable in either a normal or a pseudorandom noise generative mode
US20210158774A1 (en) Data transmission circuit, display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US20040004564A1 (en) Parallel /serial conversion circuit, serial data generation circuit,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on circuit, clock signal generation circuit, serial data transmission device, serial data reception device, and serial data transmission system
WO1999060702A1 (en) Low power counters
KR100434364B1 (ko) 직렬 가산기
KR19980070138A (ko) 직병렬 컨버터
KR970077987A (ko) 디지털 필터
US9116764B2 (en) Balanced pseudo-random binary sequence generator
US6275558B1 (en) Circuit and method for arbitrarily shifting M-sequence
KR0147942B1 (ko) 승산기에서의 부스 레코딩회로
JPH11224183A (ja) 擬似乱数発生装置
JP3914626B2 (ja) Pn符号発生回路
US11757453B2 (en) Multi-bit gray code generation circuit
US7812636B2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pseudo-random binary data
KR100419791B1 (ko) 유한 임펄스응답 필터
KR10030740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내 채널카드의 직렬데이터
KR100314679B1 (ko) 파이프라인구조를가지는저전력유한임펄스응답필터
JPH11150479A (ja) パルス幅信号変換回路
JP2001044801A (ja) マッチドフィルタ
CN117155354A (zh) 一种连续脉冲同步装置、连续脉冲同步方法及芯片
JP2006304088A (ja) 画像信号伝送回路
KR0143245B1 (ko) 래치 회로를 이용한 2의 보수 형태의 직렬 데이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