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4181B1 - 페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페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4181B1
KR100434181B1 KR10-2001-7007220A KR20017007220A KR100434181B1 KR 100434181 B1 KR100434181 B1 KR 100434181B1 KR 20017007220 A KR20017007220 A KR 20017007220A KR 100434181 B1 KR100434181 B1 KR 100434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forming
ferrule
tank
solution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7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1161A (ko
Inventor
오카모토신이치
Original Assignee
히카리 텍쿠 가부시키가이샤
오카모토 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4199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19288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04113A external-priority patent/JP4596500B2/ja
Application filed by 히카리 텍쿠 가부시키가이샤, 오카모토 신이치 filed Critical 히카리 텍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01/000130 external-priority patent/WO2001051687A1/ja
Publication of KR20010101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1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1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금속, 플라스틱 등의 선(9)의 1개, 또는 복수개를 모형으로 사용하여, 전기주조하고 나서 선(9)을 제거하는 페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선(9)을 직선형상의 길이 방향을 유지한 상태로써 회전시키면서 전기주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의 제조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에 기초하여, 전기주조품의 두께의 편중, 굴곡이 없어지고, 그에 따라 전기주조품의 구멍의 편심이 거의 없어져, 전기주조후의 막대 형상의 반제품의 단면이 완전한 원형을 얻을 수 있어, 굵기의 불균일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전기주조액의 교반에 액을 회전시켜 흐르게 하는 방법 등을 채용함으로써 교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전기주조작업환경의 악화를 방지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페룰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FERRULE}
종래의 페룰은, 예를 들면 도 1(a),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이며, 재질은, 지르코니아 세라믹스를 사용한 것이 주류를 차지하고 있다.
도 1(a)는, 싱글 코어 타입의 페룰(1)로, 실제의 제품의 치수로서는, 예를 들면, 굵기 2 ㎜φ정도, 길이 8 ㎜ 정도의 원기둥형상으로, 중심에 0.125 ㎜φ정도의 완전한 원형의 구멍(2)이 뚫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b)는, 투 코어 타입으로서, 실제의 제품으로서는, 같은 치수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본 발명자가, 일본국 특허청에서 출원한 1998년 제375372호에 있어서, 금속 또는 플라스틱의 선을 1개 또는 복수개를 모형(mother die :母型)으로 사용하여 전기주조하고, 해당 선을 제거한 후 기계가공하는 방법으로 니켈 등의 금속으로 제조한 금속제 페룰을 제안하고 있다.
해당 특허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개략적인 장치로 전기주조를 실시하고 있는데,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에 있어서는, 전기주조액(3), 플러스전극(4), 유지치구(5 : holding jig), 공기 교반노즐(6), 스프링(7), 마이너스전극(8), 선(9)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온한 술퍼민산 니켈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전기주조액(3) 속에 원통형의 티타늄 바스켓에 니켈구(球)를 넣은 플러스전극(4)을 유지치구(5)를 중심으로 하여 네 모서리에 배치한 구성으로 하여, 스텐레스선 등의 선(9)을 스프링(7)으로 잡아당긴 상태로 고정한 마이너스전극(8)이 있는 유지치구(5)를 중심으로 세트하여, 공기 교반노즐(6)로부터 공기를 소량 내뿜어 교반하면서 직류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기주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네 모서리에 배치한 플러스전극(4)의 접점 등에서의 통전성의 불균일, 플러스전극(4)의 니켈구의 부분적인 막힘에 의한 공동 등이 주원인이 되어 전기주조 부분에 두께의 편중이 종종 발생하고, 이것이 원인이 되어 구멍의 편심(또는 중심흔들림 : decentering)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상기 전기주조부분의 두께의 편중의 발생에 따라, 생긴 막대 형상의 전기주조품의 단면이 완전한 원형이 되지 않기 때문에, 후속가공의 기계가공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었다.
또한, 상기 전기주조(electrocast) 부분의 두께의 편중의 발생에 따라, 내부응력에 의해서 생긴 전기주조품에 굴곡이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이것이 원인이 되어 후의 기계가공시에 구멍의 편심이 발생하거나, 가공이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페룰의 구멍의 편심은 ±0.5 ㎛ 정도의 매우 엄밀한 정밀도가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전기주조 공정에서의 구멍의 편심의 발생은, 후속가공에 있어서 심출(centering), 가공이 현저하게 번거로워지거나, 혹은 구멍의 편심이 지나치게 커서 심출, 가공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단면이 완전한 원형인 것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선반에 의한 전가공이 추가적으로 필요해지는 등의 품질, 비용면에서의 큰 문제가 있었다.
또한 주로 공기 교반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장의 습기가 현저히 높아지기 쉽고, 그리고 산성이기 때문에, 사용하고 있는 기기류가 고장나기 쉬우며, 또한 작업자에 대한 작업 환경의 악화의 문제가 있었다.
더구나, 통상적으로는 1대의 정류기로 10∼30대 정도의 유지치구(5)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생산하지만, 유지치구마다 접점의 부식 등을 원인으로 하여 통전성에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을 피할 수 없고, 이 때문에 만들어진 전기주조품에 굵기의 불균일이 크게 생기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가장 가는 유지치구의 전기주조품을 소정의 굵기까지 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전기주조 시간과 전기주조 금속의 낭비가 있고, 그리고 후속가공의 기계가공에 시간이 걸리거나,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을 감안하여, 금속선 등의 1개 또는 복수개를 모형으로 사용하여, 전기주조한 후, 해당 선을 제거하고 나서 기계가공하는 페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두께의 편중, 굴곡이 없는 전기주조를 실시하여 ±0.5 ㎛이라는 매우 엄밀한 편심의 정밀도를 용이하게 클리어하는 것, 및 전기주조후의 막대 형상의 반제품의 단면이 완전한 원형을 얻는 것, 및 문제가 많은 공기 교반 등을 특별히 실시하지 않고 끝나도록 하는 것, 및 굵기의 불균일을 적게 하여, 후속 공정인 기계가공 시간을 현저히 작게 하는 것 등에 의해, 품질과 생산성을 현저히 높여, 전기주조에 의한 페룰의 제조비용을 현저히 내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개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선을 직선형상의 길이 방향을 유지한 상태로써 회전시키면서 전기주조하는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전기주조품의 두께의 편중과 굴곡과 단면의 둥근 정도의 불균일을 방지하고, 더욱이 필요에 따라 선과 전기주조액을 움직임으로써, 공기 교반 등을 생략하거나, 또한 필요에 따라 적산전류계를 사용함으로써, 각 제품사이에 있어서의 굵기의 불균일을 수정하는 등의 수단을 채용하였다.
본 발명은, 광섬유용의 커넥터, 디바이스의 부품중에, 그 중심부에서 광섬유를 유지하고, 또한 페룰(ferrule)이라 불리고 있는 부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방법에 따른 페룰의 단면도와 측면도,
도 2는 종래 방법에 따른 전기주조 장치의 개략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주조 장치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전기주조 장치의 유지치구 부근의 개략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주조 장치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하나의 실시예의 회전 전기주조 장치의 유지치구 부근의 개략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주조 탱크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주조 탱크에 있어서 전기주조 탱크를 회전하면서 전기주조하는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측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금속선 등의 선(9)을 1개 또는 복수개를 모형으로 사용하여, 전기주조한 후, 해당 선을 제거하고 나서 기계가공하는 페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선(9)을 회전하면서 전기주조하고, 또한 전기주조에 기여한 적산전류치가 소정의 수치에 도달한 단계에서 자동적으로 전기주조를 중지하는 방법을 채용하였기 때문에, 전기주조품의 두께의 편중, 굴곡이 없어지고, 그에 따라 전기주조품의 구멍의 편심이 거의 없어져, 전기주조후의 막대 형상의 반제품의 단면이 완전히 원형인 것을 얻을 수 있어, 굵기의 불균일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전기주조액의 교반에 액을 회전시켜 흐르게 하는 방법 등을 채용함으로써 교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전기주조 작업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주조 장치의 하나의 실시예이며 개략의 구성을 나타낸다.
전기주조액(3), 플러스전극(4), 유지치구(5), 마이너스전극(8), 전기주조 탱크(10), 체인기어용 구동모터(11), 벨트(12), 유지치구회전용 구동모터(13), 체인기어(14), 체인(15) 및 적산전류계(24)로 구성되어 있고, 전기주조 탱크(10)중에 전기주조액(3)을 넣고, 가온하고, 여과하여, 교반하여, 플러스전극(4)과 마이너스전극(8)에 직류전류를 흐르게 하여, 체인기어용 구동모터(11)의 회전을 벨트(12)로 체인기어(14)에 전달하여 체인(15)에 의해 유지치구를 둘레회전시켜, 유지치구자전용 구동모터(13)와 벨트(12)로 유지치구(5)를 자전시킬 수 있다.
전기주조액(3)은, 목적으로 하는 전기주조 금속의 재질마다 각각 다르지만, 예를 들면 니켈 또는 그 합금, 철 또는 그 합금, 동 또는 그 합금, 코발트 또는 그 합금, 텅스텐 합금, 미립자 분산금속 등의 전기주조 금속이 채용가능하고, 술퍼민산니켈(nickel sulfamate), 염화니켈(nickel chloride), 황산니켈(nickel sulfamate), 술퍼민산제1철(ferrous sulfamate), 붕불화제1철(ferrous fluoroborate), 피롤린산동(copper pyrophosphate), 황산동(copper sulfate), 붕불화동(copper fluoroborate), 규불화동(copper fluorosilicate), 티타늄불화동 (copper fluorotitanum), 알카놀술폰산동(copper alkanosulfonate), 황산코발트 (cobalt sulfate), 텅스텐산나트륨(tungsten carbide)등의 수용액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용액, 또는, 이들 액에 탄화규소, 탄화텅스텐, 탄화붕소, 산화지르코늄, 질화규소, 알루미나, 다이아몬드 등의 미분말을 분산시킨 액이 사용된다.
이들 중 특히 술퍼민산니켈을 주성분으로 하는 욕(浴 : bath)이, 전기주조의 용이함, 경도 등의 물성의 다양성, 화학적 안정성, 용접의 용이성 등의 면에서 적합하다.
그리고, 전기주조액은, 여과정밀도 0.1∼5 ㎛ 정도의 필터로 고속여과하고, 또한 가온하여 ±3 ℃ 정도의 적성온도 범위로 온도를 콘트롤하고, 또한 때때로, 활성탄처리를 하여 유기불순물을 제거하고, 또한 니켈도금한 철제의 골함석을 양극, 카본을 음극 0.2 A/dm2정도의 저전류 밀도로 통전하여 동 등의 금속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러스전극(4)은, 목적으로 하는 전기주조 금속에 따라 다르고, 니켈, 철, 동, 코발트 등에서 선정되어, 판형상, 구형상의 것을 적절히 사용한다.
구형상인 것을 사용하는 경우는, 티타늄제의 바스켓에 넣어, 폴리에스테르제의 면으로 덮어 사용하면 좋다.
그리고, 전기주조 탱크(10)의 외벽을 따라 플러스 전극(4)을 배치한 구성이 되어 있지만, 전극의 위치에 있어서는, 이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전기주조 탱크의 중심부근 등에 1 개소 또는 복수 개소에 설치하여도 좋다.
그리고 교반은 공기, 프로펠러, 초음파, 초진동의 어떤 교반이나 채용할 수 있지만, 유지치구의 공전 및 자전의 속도를 빨리 하는 것과, 피트방지제의 첨가에 의해 교반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지치구(5) 부근의 상세한 부분을 나타낸다.
체인기어(14), 체인(15), 유지막대(16), 자유회전부(17), 기어(18), 벨트 (12), 전기절연부(19), 마이너스전극막대(20), 연결부(21), 유지치구(5), 스프링 (7), 선(9), 클립(22)으로 구성되어 있고, 체인기어(14)의 회전을 체인(15)에 전달하여, 체인(15)에 용접되어 있는 유지막대(16)를 통해 유지치구(5)를 둘레회전시켜, 자유회전부(17)로 공회전시켜, 벨트(12)의 둘레이동을 기어(18)가 받아 회전하여 전기절연부(19), 연결부(21)를 개재하여 유지치구(5)를 자전시키고, 유지치구 (5)는, 클립(22)과 스프링(7)으로 선(9)을 잡아당긴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선(9)을 유지치구(5)에 세트함으로써, 선(9)은, 유지치구(5)와 일체를 이루며 자전하고, 또한 둘레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전기주조액면(23)을 도 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위치로 하여, 마이너스전극막대(20)와 압접하여 전기절연부(19)의 아래쪽에만 마이너스전류를 통하게 하여 전기주조를 실시하면 좋다.
또,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유지치구(5)의 둘레회전의 속도는, 1cm/sec ∼ 1m/sec 정도가 적당하며, 자전의 속도는, 10 ∼ 500 rpm 정도가 적당하다.
단면이 완전한 원형의 0.125 ㎜φ굵기의 SUS304 선을 준비하여, 도 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주조용의 유지치구(5)에 스프링의 탄력으로 강하게 잡아당긴 상태로 세트하고 세정하여, 탈지한 후, 일본화학산업사제의 닛카논탁크 (Nikkanontack) A, B 혼합액의 수용액에 상온에서 10분간 침지하여 이형처리한 후, 잘 세정하였다.
한편, 술퍼민산니켈을 주성분으로 하는 전기주조 욕에, 니켈구를 양극으로 하여, 전기주조 욕을 1㎛의 여과정밀도로 고속여과를 하여, 50±2℃로 가온한 탱크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유지치구(5)를 연결부(21)로 전기주조 장치에 결합하여, 둘레 회전속도를 5 rpm, 자전속도를 100 rpm으로 하여, 선을 음극, 니켈을 양극으로 하여 6 A/dm2정도의 전류밀도로 전기주조를 11 Hr 실시하고, 또한, 소정의 적산전류치에 도달한 단계에서, 평균적으로 약 1.5 ㎜φ의 굵기로, 400 ㎜의 길이의 막대 형상의 니켈 전기주조품을 22개 제조하였지만, 이 22개의 전기주조품의 굵기의 불균일은, ±0.2 ㎜φ의 범위내에 있고, 또한 굴곡도 없고 단면도 완전한 원형이었다.
다음에 전기주조품에 홈을 40 ㎜ 간격으로 넣어, 이 홈부분부터 접어 중심의 선을 뽑고, 다음에 숫돌 커터, 센터리스가공기, 연마기 등으로 굵기1.25 ㎜, 길이 6.50 ㎜까지 가공하여 MU형 페룰의 완성품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것은, 구멍의 편심이 없고, 싱글 모드 페룰로서 합격품이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주조 장치의 다른 실시예이며, 유지치구(5)가 자전만으로 둘레회전하지 않는 경우의 개략의 구성을 나타낸다.
선(9)은,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이 유지치구(5)에 세트되어 있고, 유지치구 (5)와 일체를 이루어, 둘레회전하지 않고 자전만을 하게 된다.
다른 한편,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전기주조액(3), 플러스전극(4), 유지치구 (5), 마이너스전극(8), 전기주조 탱크(10), 유지치구 자전용 구동모터(13), 벨트 (12), 적산전류계(24), 풀리(25), 치구고정용 구조체(26)로 구성되어 있고, 전기주조 탱크(10)중에 전기주조액(3)을 넣어, 가온하여, 여과하여, 교반한 상태에서, 플러스전극(4)과 개개의 유지치구(5)의 모두에, 마이너스전극(8)과 필요에 따라 적산전류계(24)를 연결하여, 잘 관리한 상태에서 직류전류를 흐르게 하고, 유지치구 자전용 구동모터(13)의 회전을 벨트(12)로 풀리(25)를 통해 치구고정용 구조체(26)에 결합되어 있는 유지치구(5)에 전달하여 유지치구(5)를 자전시켜 전기주조하여, 필요에 따라 일정한 적산전류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전기주조를 중지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실시예 2의 전기주조액(3)은,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며, 플러스전극 (4)은, 상기와 같은 니켈, 철, 동, 코발트 등에서 선정되어, 판형상, 구형상인 것을 적절히 사용한다.
그리고 원형의 치구고정용 구조체(26)의 중심에 플러스전극(4)을 배치하여, 유지치구(5)의 전부와 같은 간격의 위치로 하는 것이, 전기주조속도가 일정하게 되어 굵기가 일정하게 되고, 거의 같은 시간에 전기주조가 종료함으로써 바람직하지만, 플러스전극(4)의 위치는, 이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전기주조 탱크 (10)의 외벽을 따라 플러스전극(4)을 복수개소에 배치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유지치구(5) 1대에 적산전류계(24) 1대를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고, 정류기는 유지치구(5)의 각 1대에 소형의 것을 1대 사용하는 것이 전류관리를 실시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대형의 정류기 1대로 많은 유지치구(5)에 통전하더라도 좋다.
한편,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유지치구(5)의 자전의 속도도 10∼1000 rpm 정도가 적당하다.
이하, 실시예 2에 기초한 구체적인 제조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면이 완전한 원형인 0.125 ㎜φ의 굵기의 SUS304 선을 준비하여,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주조용의 유지치구(5)에 스프링의 탄력으로 강하게 잡아당긴 상태로 세트하여 세정, 탈지한 후, 일본화학산업사제의 닛카논탁크 A, B 혼합액의 수용액에 상온에서 10분간 침지하여 이형처리한 후, 잘 세정하였다.
한편, 술퍼민산니켈을 주성분으로 하는 전기주조욕(electrocasting bath)에, 니켈구를 양극으로 하여, 전기주조욕을 1㎛의 여과정밀도로 고속여과를 하여, 50 ±2 ℃로 가온한 도 5에 나타내는 탱크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유지치구(5)를 연결부(21)로 전기주조 장치에 결합하여, 자전속도를 70 rpm으로 하고, 선을 음극, 니켈을 양극, 22대의 유지치구(5) 각 1대에 소형의 적산전류계 1대를 부착하였다.
그리고 최대 40 A용의 정류기 1대를 사용하고 2∼6 A/dm2정도의 전류밀도로 적산전류치 4.5 A·Hr(16200 쿨롱)의 단계에서 전기주조를 종료하는 방법에 의해서 실시한 바, 9 ±0.5 Hr 정도의 시간에서 종료하고, 약 1.5 ㎜φ의 굵기로, 400 ㎜의 길이의 막대형상 니켈 전기주조품을 22개 제조하였지만, 이 22개의 전기주조품사이의 굵기의 불균일은, 거의 제로이고, 또한 두께의 편중, 굴곡도 없고 단면도 완전한 원형이었다.
다음에 전기주조품의 원둘레부에 선부분을 남겨 V 홈을 40 ㎜ 간격정도로 넣어, 이 V 홈 부분에서 접고, 선은 접지 않고서 전기주조부분이 접히는 현상을 이용하여 중심의 선을 뽑고, 다음에 숫돌 커터, 센터리스가공기, 연마기 등으로 굵기 1.25 ㎜, 길이 6.50 ㎜까지 가공하여 MU형 페룰의 완성품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것은, 구멍의 편심이 없고, 싱글모드 페룰로서 합격품이었다.
[실시예 3]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하나의 실시예의 상세한 부분을 나타낸다.
치구고정용구조체(26), 유지막대(16), 자유회전부(17), 풀리(27), 벨트(12), 전기절연부(19), 마이너스전극스프링(28), 연결부(21), 유지치구(5), 스프링(7), 선(9), 클립(22) 및 적산전류계(24)로 구성되어 있고, 원형의 치구고정용 구조체(26)에 유지막대 (16)가 용접되어 있고, 자유회전부(17)로 공회전시켜, 벨트(12)의 회전을 풀리(27)에 전달하여 회전하여 전기절연부(19), 연결부(21)를 통해 유지치구(5)를 자전시키고, 유지치구(5)는, 클립(22)과 스프링(7)으로 선(9)을 잡아당긴 상태로 유지하여, 전기주조액면(23)을 도 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위치, 마이너스전극 스프링(28)과 압접하여 전기절연부(19)의 아래쪽에만 마이너스전류를 통전하여 전기주조를 실시하면 좋다.
실시예 3에 있어서도, 실시예 1과 같은 구멍의 편심이 없는 싱글 모드 페룰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페룰의 지름을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유지치구(5)의 자전의 속도도, 10∼1000 rpm 정도가 적당하다.
실시예 3에 있어서는, 선(9)은 철 또는 그 합금,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동또는 그 합금, 텅스텐합금 등의 금속선, 및 이 금속선의 위에 얇은 핸더도금을 한 것, 및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의 플라스틱선, 유리 등의 세라믹선 등에서 적절히 선택되어 사용된다.
이 중 플라스틱, 세라믹선의 경우는, 표면에 도전성 부여를 위해서, 니켈, 은 등의 무전해도금 등이 필요하다.
선(9)은, 굵기와 둥근 정도와 직선성에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며, 다이스에 의한 압출이나 금속선, 플라스틱선의 경우는, 선을 늘이는 것에 의한 방법 등으로 조정을 실시하면 좋다.
상기와 같은 장치로 전기주조를 실시하는 것이 되지만, 전기주조는, 직류전류를 4∼8 A/dm2의 직류밀도로 10∼20시간 정도 실시하고, 또한, 소정의 적산전류치에 도달한 단계에서, 막대 형상으로 0.8∼2.8 ㎜φ정도의 굵기로 성장시킨 후, 전기주조 탱크로부터 꺼내어 잘 세정하고 나서 건조시킨다.
선택하는 선(9)의 종류에 의해, 전기주조품의 중심에 있는 선(9)을 뽑아낼 것인지, 압출할 것인지, 약품으로 용해할 것인지가 결정되는데, 일반적으로는 약품에 용해되기 어렵고, 잡아당기는 강도가 높은 것은, 뽑아내거나, 또는 압출을 이용하고, 약품에 용해되기 쉬운 것은, 용해를 이용한다.
예를 들면, 철 또는 그 합금의 경우는, 선(9)을 이형처리하여, 전기주조하여 막대 형상으로 한 후, 선(9)을 뽑아내면 좋다.
상기한 무전해도금한 플라스틱선의 경우에는, 같은 방법으로 뽑아내면 좋다.
이들 중에서 특히 철의 합금인 스테인레스선이 바람직하다.
기계가공으로서는, 뽑기의 경우에 있어서는, 선(9)을 뽑은 후, NC기계가공, 센터리스가공, 커터, 연마가공기 등으로 마무리가공을 실시하면 좋다.
용해의 경우에 있어서는, 1개의 막대로 전기주조한 후, 개략의 길이러 커트한 후, 선(9)을 용해하여, 구멍이 관통한 것을 확인한 후, NC기계가공 등으로 마무리하거나, 또는 기계가공후에 선(9)의 용해를 하는 방법 등을 채용하면 좋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안쪽에 외형과 서로 닮은 형의 공간부(30)를 갖는 타원형 또는 원형의 전기주조 탱크(10)를 사용하여, 내벽(31)또는 외벽 (32)에 장사각기둥형의 티타늄 바스켓에 니켈구 등을 넣어, 폴리에스테르섬유사용의 전극포대에 수납한 플러스전극(4)을 빈틈없이 배치하여, 1개 또는 복수개의 순환펌프, 필터펌프 등의 펌프(29)를 사용하여, 1개소 또는 복수개소의 노즐(33)로부터 한 방향으로 내뿜어, 전기주조액을 전기주조 탱크내에서 회전하여 흐르게 하는 교반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종래의 공기 교반에서의 작업 환경을 습기, 산성가스 등 오염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매우 용이하게, 그리고 확실하게 교반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의 전기주조 탱크(10)의 안쪽중심에 중심점을 동일하게 하는 상사형의 공간부(30)를 갖는 탱크의 안쪽벽면에 플러스전극 (4)을 배치하고, 스테인레스 등으로 만든 지지판(34)과 대(35)의 사이에 베어링 (36)을 넣어, 모터 등으로 전기주조 탱크(10)를 저속회전하면서 유지치구(5)를 자전하는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굵기의 불균일을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전기주조액의 교반보조가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금속선 등의 성형된 전기주조품에 두께의 편중, 굴곡을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0.5 ㎛라는 매우 엄밀한 구멍의 편심 정밀도를 용이하게 클리어할 수가 있고, 또한, 전기주조후의 막대 형상의 반제품의 단면이 완전한 원형을 얻을 수 있거나 굵기의 불균일을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후속 공정의 기계가공의 시간을 현저하고 적게 할 수 있고, 제품의 품질과 보류율과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할 수가 있는 동시에, 전기주조작업의 작업 환경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7)

  1. 플러스전극(4), 마이너스전극(8) 및 전기주조액(3)을 구비하고 있는 전기주조 탱크(10)내에 설치한 금속, 플라스틱 등의 선(9)의 1개, 또는 복수개를 모형으로 사용하여, 전기주조하고 나서 선(9)을 제거하는 페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선(9)을 직선형상의 길이 방향을 유지한 상태로 회전시키면서 전기주조하고, 또한, 전기주조에 기여한 적산전류치가 소정의 수치에 도달한 단계에서 자동적으로 전기주조를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주조 탱크(10)내에서, 유지치구(5)에 의하여 직선형상의 길이방향을 유지하고 있는 선(9)을, 유지치구(5)와 함께 자전시키면서 전기주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주조 탱크(10)내에서, 유지치구(5)에 의하여 직선형상의 길이방향을 유지하고 있는 선(9)을 유지치구(5)와 함께, 자전 및 둘레회전시키면서 전기주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선(9)을 자전시킴과 동시에, 플러스전극(4)을 갖는 전기주조 탱크(10) 전체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의 제조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기주조 탱크내에서 유지치구(5)와 함께 선(9)을 자전시키고, 또한, 유지치구(5)의 1대에 적산전류계 1대를 부착하여, 적산전류치가 소정의 수치에 도달한 단계에서 전기주조를 중지함으로써 굵기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의 제조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유지치구(5)의 1대에 정류기 1대로 직류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의 제조방법.
  7. 삭제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기주조 탱크(10)의 전기주조액(3)중에 순환펌프, 필터펌프의 노즐(33)로부터 한방향으로 내뿜어, 전기주조액을 전기주조 탱크내에서 회전시켜 흐르게 하는 교반 방법을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제 4 항에 있어서, 개개의 유지치구(5)와 플러스전극(4)과의 간격을 같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의 제조방법.
  11. 제 5 항에 있어서, 개개의 유지치구(5)와 플러스전극(4)과의 간격을 같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의 제조방법.
  12. 제 6 항에 있어서, 개개의 유지치구(5)와 플러스전극(4)과의 간격을 같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의 제조방법.
  13. 제 3 항에 있어서, 전기주조 탱크(10)의 전기주조액(3)중에 순환펌프, 필터펌프의 노즐(33)로부터 한방향으로 내뿜어, 전기주조액을 전기주조 탱크내에서 회전시켜 흐르게 하는 교반 방법을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의 제조방법.
  14. 제 4 항에 있어서, 전기주조 탱크(10)의 전기주조액(3)중에 순환펌프, 필터펌프의 노즐(33)로부터 한방향으로 내뿜어, 전기주조액을 전기주조 탱크내에서 회전시켜 흐르게 하는 교반 방법을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의 제조방법.
  15. 제 5 항에 있어서, 전기주조 탱크(10)의 전기주조액(3)중에 순환펌프, 필터펌프의 노즐(33)로부터 한방향으로 내뿜어, 전기주조액을 전기주조 탱크내에서 회전시켜 흐르게 하는 교반 방법을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의 제조방법.
  16. 제 6 항에 있어서, 전기주조 탱크(10)의 전기주조액(3)중에 순환펌프, 필터펌프의 노즐(33)로부터 한방향으로 내뿜어, 전기주조액을 전기주조 탱크내에서 회전시켜 흐르게 하는 교반 방법을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의 제조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전기주조 탱크(10)의 전기주조액(3)중에 순환펌프, 필터펌프의 노즐(33)로부터 한방향으로 내뿜어, 전기주조액을 전기주조 탱크내에서 회전시켜 흐르게 하는 교반 방법을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의 제조방법.
KR10-2001-7007220A 2000-01-14 2001-01-12 페룰의 제조방법 KR1004341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1991 2000-01-14
JP2000041991A JP2001192880A (ja) 2000-01-14 2000-01-14 光ファイバコネクタ用部品の製造方法
JP2000104113A JP4596500B2 (ja) 2000-02-17 2000-02-17 光ファイバコネクタ用部品の製造方法
JP104113 2000-02-17
PCT/JP2001/000130 WO2001051687A1 (fr) 2000-01-14 2001-01-12 Procede de production pour ferru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1161A KR20010101161A (ko) 2001-11-14
KR100434181B1 true KR100434181B1 (ko) 2004-06-04

Family

ID=32599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7220A KR100434181B1 (ko) 2000-01-14 2001-01-12 페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34181B1 (ko)
TW (1) TW568960B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1161A (ko) 2001-11-14
TW568960B (en) 2004-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1241B1 (ko) 성형관전해연마방법
US6830672B2 (en) Production method for ferrules
KR100434181B1 (ko) 페룰의 제조방법
KR100498672B1 (ko) 금속페룰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JPWO2003004731A1 (ja) 光ファイバー用金属結合子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4596500B2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用部品の製造方法
CN112677045B (zh) 金刚石滚轮、制备装置和制备方法
JP2001192880A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用部品の製造方法
JP2006063434A (ja) 電鋳法による高精度な金属微細管の製造方法。
JP2002339093A (ja) スリーブの製造方法
JP2006291345A (ja) 電鋳法による高精度な金属微細管の製造方法
EP0847455B1 (en) Production of diamond dressers
JP4342066B2 (ja) 芯線ホルダー
JP2002332588A (ja) 電鋳による高精度管状部品の製造方法
JP2005258372A (ja) 高精度なコネクタ
JP2002146583A (ja) フェルールの製造方法
JP4545915B2 (ja) 金属フェルールの製造に用いられる芯線ホルダ及びそれを含むフェルール製造装置
JP2002241983A (ja) スリ−ブの製造方法
JP2002212772A (ja) フェルール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り得られるフェルール
TW539776B (en) Method of producing metal ferrules, and device therefor
JP3568484B2 (ja) 微小加工用電鋳工具およびその製造装置ならびに製造方法
US6730207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part for optical fiber connector
JP2001249252A (ja) フェルール
JP2001290048A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用部品の製造方法、及びこの方法で製造した製品
JP2005316345A (ja) 高品質な変換スリーブ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