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3927B1 - 디스크 몸체의 직경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몸체의 직경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927B1
KR100433927B1 KR1019970013498A KR19970013498A KR100433927B1 KR 100433927 B1 KR100433927 B1 KR 100433927B1 KR 1019970013498 A KR1019970013498 A KR 1019970013498A KR 19970013498 A KR19970013498 A KR 19970013498A KR 100433927 B1 KR100433927 B1 KR 100433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diameter
disc body
disc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3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0952A (ko
Inventor
유시로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26241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282511A/ja
Priority claimed from JP142114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446791B2/ja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70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0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07D5/02Testing the dimensions, e.g. thickness, diameter; Testing the deform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벤딩기계 또는 동전교환기계 등에 배치된 경화선택부에 있어서, 디스크몸체의 직경측정장치는 설치공간을 충분하게 가지는 것이 불가능할 때 또는 경화가 자연상태로 낙하하는 갭거리를 가지는 것이 불가능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디스크몸체의 직경측정장치는 밀어내어진 디스크몸체를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 이 고정부재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대향되어 있고 상기 밀어내어진 디스크 몸체에 접촉자재로 되어 있는 가동부재, 이 가동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의 방향으로 끌어당기기 위한 탄성부재, 및 상기 가동부재의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디스크 몸체의 직경측정장치
(산업상의 사용분야)
본 발명은 돈으로 사용되는 디스크 형상의 경화(硬貨) 또는 게임용으로 사용되는 디스크 형상의 메달과 같은 디스크 몸체의 직경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다 상세하게는 벤딩기계, 동전교환기계 등에 배치된 경화선택 부분의 사용에 적합한 디스크 몸체의 직경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에는 경화 등과 같은 디스크 몸체의 직경을 측정하는 방식 등은;
1) 진동자계에 대한 경화의 감응도를 이용하는 포트형 코어를 사용하여 이러한 장치를 고안하고 거기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로부터 경화의 직경을 판별하는 방식,
2) 광을 사용하여 디스크 몸체에 의해서 차단된 광량을 검출하고 그 직경을 측정하는 방식,
3) 아암을 디스크 몸체의 직경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 이동량에 따른 직경을 측정하는 방식 등이 있다.
예컨대, 아암을 디스크 몸체의 직경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직경을 그 이동으로서 측정하는 장치는 일본국 특개평 5-45104호에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개시된 장치는 측정부분을 기준표면에 따라 이동하는 경화의 원주에지에 접촉하도록 한다.
그 다음에, 이러한 장치는 측정부위의 회전각도를 기어장치를 통하여 저항값의 변화로 전환시키고 변화패턴에 좌우되는 이동된 경화의 직경을 저항값으로 측정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하지만, 디스크 몸체의 직경을 측정하는 상술된 방식에는 측정장치의 설치공간 또는 경화 등과 같은 디스크 몸체의 자연낙하의 거리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작고 간단한 직경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벤딩기계 또는 동전교환기계 등에 배치된 경화선택부에 있어서, 본 발명은 설치공간을 충분하게 가지는 것이 불가능할 때 또는 경화가 자연상태로 낙하하는 갭거리를 가지는 것이 불가능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경화배출장치, 소위, 밀어내어진 경화의 개수를 특히 계산하고 해당 경화를 외측에서 모으는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디스크 몸체직경의 측정을 이루기 위한 목적으로부터 전개된 장치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3은 도 2를 설명하는 개략 원리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5는 동일한 주요부분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6은 도 5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이론적으로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타임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120 : 고정롤러 23, 123 : 가동롤러
26 : 슬릿 125 : 광차단판
27, 127, 144 : 광센서 30, 34, 130, 134 : 디스크몸체
141, 142, 143 : 기준부분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수단)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밀어내어진 디스크몸체를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 이 고정부재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대향되어 있고 상기 밀어내어진 디스크 몸체에 접촉이 자유롭게 되어 있는 가동부재, 이 가동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의 방향으로 끌어당기기 위한 탄성부재, 및 상기 가동부재의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신호를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처리하고 상기 디스크 몸체의 직경을 측정하기 위한 신호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고정부재가 작은 롤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가동부재가 작은 롤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검출수단이 광센서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몸체의 직경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는, 디스크 몸체를 밀어내기 위한 회전몸체, 회전몸체의 회전된 각도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 밀어내어진 디스크 몸체를 안내하기 위한 고정부재, 고정부재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대향되어 있고 밀어내어진 상기 디스크 몸체와 접촉자재로 되어 있는 가동부재, 이 가동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의 방향으로 끌어당기기 위한 탄성부재, 및 상기 가동부재의 운동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디스크 몸체의 직경을 측정하도록 신호를 처리하는 수단은 구비되어 있고, 이 수단은 상기 회전된 각도검출수단과 상기 이동검출수단으로부터 신호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동)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직경측정장치는 단지 슬릿 및/또는 광센서 등의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검출수단을 경화 액츄에이터 등의 구조에 추가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검출수단에 의해서 얻어진 펄스의 개수를 계산함으로써 밀어내어진 디스크 몸체의 직경을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다.
더욱이, 슬릿이 좁아짐에 따라 이 검출수단에 의해서 얻어진 펄스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디스크 몸체의 직경이 더욱 정밀하게 측정될 수 있는 큰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밀어내어진 디스크 몸체의 직경은 이 검출수단에 의해서 얻어진 펄스 폭의 크기로 간단하게 측정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이 상기 디스크 몸체를 밀어내기 위한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고주파펄스신호와 결합되면, 디스크 몸체의 직경이 정밀하게 측정될 수 있는 큰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추가된 구성이 대단히 간단하므로, 전체장치가 작고 간단하게 되는 큰 이점이 얻어진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다음에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개략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개략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를 설명하는 개략원리도이다. 도2에 도시된 10은 큰 박스형상의 베이스몸체의 일부분이다. 이 베이스 몸체(10)는 전체도시를 생략하였지만 경화 등과 같은 다양한 직경을 가진 디스크몸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의 중심에 도시된 크게 두꺼운 디스크형태의 디스크(11)는 중심 부분에 있는 회전축(12)의 상부끝부분상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12)은 베이스몸체(10)내에 있는 모터(도시안됨) 등과 같은 회전축이다. 디스크(11)의 주위부분 근처에서 등간격으로 개구된 3개의 관통구멍(13)은 도 1 및 도 2의 상부로부터 관형상의 호퍼(도시안됨)를 통하여 낙하하는 디스크몸체(30)를 저장한다.
디스크몸체(30)는 다양한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관통구멍(13)은 복수의 디스크몸체(30)를 축적하고 저장한다.
디스크(11)의 주위부분의 하측에는 대략 삼각형판형상을 가진 3개의 오목부(14)(도 2 참조)는 등간격으로 원주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삼각형판형상의 긴측부분인 이 오목부(14)에 있는 좁은 절취부(15; 도 1 참조)는 두꺼운 디스크(11)의 원주에지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절취부(15)에 대향한 오목부(14)에 있는 상부부분은 관통구멍(13)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오목부(14)는 2개의 가느다란 벽(16, 17)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얕은 오목부(14)는 디스크몸체(30)중의 하나를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저장할 수 있는 크기이다.
상술된 장치의 작동은 여기에서 설명되고 요약된다.
다양한 직경을 가진 디스크몸체(30)가 도 1 및 도 2의 상부로부터 호퍼(도시안됨)를 통하여 떨어지면, 디스크몸체(30)는 모터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디스크(11)내의 관통구멍(13)의 어느 하나로 낙하한다.
관통구멍(13)내로 낙하한 디스크몸체(30)는 디스크(11)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으로 베이스몸체(10)의 표면에서 미끄러진다. 미끄러지는 디스크몸체(30)중의 단지 하나는 베이스몸체(10)상에 제공된 안내핀(18)에 의해서 관통구멍(13)으로부터 오목부(14)로 가압된다. 더욱이, 디스크(11)가 회전되면, 디스크몸체(30)중의 단지 하나는 베이스몸체(10)와 오목부(14; 도 2의 실선 참조)의 벽에 제공된 조정판(12)에 의해서 디스크(11)의 외측으로 가압된다. 디스크(11)가 더 회전되면, 디스크몸체(30)는 오목부(14; 도 2의 점선 참조)에 있는 벽(17)에 의해서만 디스크(11)의 외측을 가압한다.
도 1 및 도 2의 상부부분에 도시된 참조번호(20)는 작은 롤러이다. 이 롤러(20)는 조정핀(19) 근처의 디스크(11)의 외측에 있는 베이스몸체(10)내에 설치된다. 더욱이, 고정롤러(20)는 상술된 밀어내어진 디스크몸체(30)를 안내하기 위한 수단이며 디스크몸체(30)의 직경을 측정하는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참조번호(21)는 짧은 아암이다. 이 아암(21)은 베이스몸체(10) 내측에 제공되며 한쪽끝은 22에서 피벗되어 있다. 23은 작은 롤러이다. 이 롤러(23)는 아암(21)의 다른쪽끝에 설치되며 베이스몸체(10)에서 개구되고 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는 긴 구멍(도시안됨)을 통하여 더욱 자유롭게 관통된다. 더욱이, 이 가동롤러(23)는 고정롤러(20) 근처의 대향위치에 제공되어 있다. 24는 약간 긴 아암이며이 아암(24)의 베이스끝은 짧은 아암(21)상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긴 아암(24)은 베이스몸체(10) 내측에 제공된다. 25는 아크형상을 가진 슬릿판이다. 이 슬릿판(5)은 긴 아암(24)의 선단에 대해 대략 수직이고 그 선단에서 고정되며 복수의 슬릿(26)은 선단부분상에서 개구된다. 27은 광센서이다. 이 광센서(27)는 이동하는 슬릿(26)을 통해서 광의 존재유무를 감지한다. 부가적으로, 광센서(27) 및 슬릿판(25)은 물론 점선에 의해서 도시된 베이스몸체(10)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28은 스프링이다. 이 스프링(28)은 가동롤러(23)를 고정롤러(20)의 방향으로 끌어당기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스프링(28)에 좌우되는 가동롤러(23)의 운동은 긴 구멍(도시안됨)에 의해서 조정된다.
상술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이 실시예에 대해서, 모터(도시안됨)가 작동되면, 회전축(12)은 회전되고 또한 디스크(11)는 회전된다. 그 결과 디스크몸체(30)는 디스크(11)로부터 가압된다. 디스크(11)로부터 가압된 디스크몸체(30)는 고정롤러(20)로 안내되고 동시에 가동롤러와 접촉한다. 이 상황은 도 2의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작동설명 때문에 이것은 도 2의 상황에서의 필요한 부분을 취출하여 이론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것은 도 3이다. 즉, 도 2의 경우에 있어서, 슬릿판(25)는 아암(21,24) 및 축(22)을 통해서 회전한다. 하지만,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슬릿판(25)이 연속이동하는 것은 도 3에 도시되었다.
디스크몸체(30)가 디스크(11)에 의해서 더 외측으로 가압되면, 디스크몸체(30)는 고정롤러(20)에 의해서 안내되고 스프링(28)의 탄성력에 대향하여 가동롤러(23)를 가압한다. 이 상황은 일점쇄선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3의 일점쇄선에서의 상황이 지나가면, 즉 한쌍의 롤러(20, 23)가 디스크몸체(30)의 직경라인상에 있는 상황이 지나가면, 스프링(23)의 탄성력은 작용하며 디스크몸체(30)는 더 외측으로 튀어나온다. 스프링(28)은 작용하며 디스크몸체(30)가 외측으로 튀어나오기 바로 전의 상황은 도 3의 2점쇄선으로 도시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몸체(30)가 한쌍의 롤러(20, 23) 사이를 통과하면, 신호(31)(도 3의 하부우측 참조)는 슬릿(26)의 이동과 고정된 광센서(27)에 의해서 얻어진다. 예컨대, 슬릿판(25)이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위치로부터 디스크몸체(30)의 밀어냄에 의해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 넓은 폭형태를 가진
Figure pat00008
의 펄스(32)는 얻어진다. 그 다음에, 스프링(28)은 작용하며 슬릿판(25)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실선위치에 도달하면, 좁은폭형태를 가진
Figure pat00009
의 펄스는 얻어진다.
동일한 방식으로, 큰 디스크몸체(34)가 한쌍의 롤러(20, 23) 사이를 통과하면(도 3 참조), 신호(35)는 복수의 슬릿(26)과 고정된 광센서(27)의 운동에 의해서 얻어진다. 큰 디스크몸체(34)의 경우에 있어서, 슬릿판(25)이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위치에서 디스크몸체(34)의 밀어내어짐에 의해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예컨대, 넓은폭형태를 가진 5개의 펄스(32)는 얻어진다. 그 다음에, 스프링(28)은 작용하며, 슬릿판(25)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실선위치에 도달하면, 예컨대, 좁은 폭형태를 한 5개의 펄스는 얻어진다. 그 결과, 얻어진 신호(31)의 넓은폭을 가진 펄스(32)의 개수를 계산함으로써 디스크몸체의 직경은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신호(35)의 넓은 폭을 가진 펄스의 개수를 계산함으로써 큰 디스크몸체(34)의 직경은 측정될 수 있다. 더욱이, 이들 넓은폭펄스(32)와 좁은폭펄스(33)의 구별과 넓은폭펄스(32)의 계산 등은 물론 중앙처리유니트(CPU)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스유니트(MPU)인 신호처리수단(도시생략)에 좌우된다. 또한, 디스크몸체(30)의 통과에 의해서 얻어진 신호(31)에서의 복수의 펄스(32, 33)로 인한 폭(36)과 디스크몸체(34)의 통과에 의해서 얻어진 신호(35)에서의 복수의 펄스(32, 33)로 인한 폭(37)은 비교되며 그 결과, 디스크몸체(30, 34)의 직경은 물론 측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롤러(20)는 핀 등을 가진 고정부재일 수 있다. 가동롤러(23)는 물론 핀 등을 가진 판과 같은 가동부재일 수 있다. 동시에, 스프링(28)은 고무링 또는 판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일 수 있다.
더욱이, 롤러(20, 23)의 각각의 직경이 사전에 크게 되어 있으면, 이들 롤러는 서로 접촉하며 가동롤러(23)의 고정위치가 스토퍼 등에 의해서 조정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가동롤러(23)의 운동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복수의 슬릿(26) 대신에 투명한 판상에 다수의 검은 라인을 형성하는 것은 물론 허용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신호(31, 35)의 펄스개수는 증가하며 그 결과, 디스크몸체(30)상의 직경측정의 정밀도는 물론 향상된다. 또한, 슬릿(26)과 광센서(27)의 조합 대신에 복수의 자기몸체와 자기센서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금속몸체와 근접스위치 등의 조합은 물론 사용가능하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개략사시도이고 도 5는 동일한 주요 부분을 도시한 개략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a는 상기 실시예를 이론적으로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며 도 6b는 동일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타임챠트이다.
먼저 도 5의 110은 큰박스형태를 한 베이스몸체의 일부분이며 이 베이스몸체(110)는 다양한 직경의 경화 등을 가진 디스크몸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를 구성한다. 부수적으로, 전체장치의 도시는 생략한다. 두꺼운 형상을 한 도 4 및 도 5의 큰 디스크(111)는 그 중심에서 베이스몸체(110)내의 모터(도시안됨)와 같은 회전축(112)의 상부끝부분 외측에 고정된다. 디스크(111)의 주위근처에서 등간격으로 개구된 3개의 관통구멍(113)은 다양한 직경을 가진 디스크몸체(130)를 축적하고 저장하는 구멍이다. 설명을 부수적으로 추가하면, 이들 디스크몸체(130)는 도 4 및 도 5에서 상향으로 위치된 파이프형상의 호퍼(도시안됨)를 통하여 낙하한다. 디스크(111)의 주위하측에는 3개의 삼각형 판형상의 오목부(114)가 규칙적인 간격으로 원주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14)에 있는 삼각형판의 긴측부분인 슬렌더 절취부(115)는 두꺼운 디스크(111)의 원주에지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 절취부(115)에 대향한 오목부(114)에 있는 상부부분은 관통구멍(13)에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오목부(114)는 2개의 슬렌더벽(116, 117)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얕은 오목부(114)는 자유롭게 삽입되고 디스크몸체(130)의 쉬트를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저장할 수 있는 크기의 형상이다. 여기에서, 상술된 장치의 작동은 개괄적으로 설명된다. 도시되지 않은 호퍼에 의해서 다양한 직경을 가진 디스크몸체(130)는 도 5의 상부부분으로부터 떨어진다.
그 다음에, 모터(도시안됨)에 의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디스크(111)의 관통구멍(113)중의 어느 하나에는 디스크몸체(130)가 낙하한다. 관통구멍(113) 내로 낙하한 디스크몸체(130)는 디스크(11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베이스몸체(10) 표면에서 미끄럼이동된다. 그 다음에, 베이스몸체(110)에 배치된 안내 핀(118)에 의해서 디스크몸체(130)중의 단지 하나는 관통구멍(113)으로부터 오목부(114)로 밀어내어진다. 디스크(111)가 더 회전되면, 오목부(114)에 있는 벽(117)과 베이스몸체(110)상에 배치된 조정핀(119)에 의해서 디스크몸체(111)의 외측방향으로 가압한다(도 5의 실선 참조).
디스크(111)가 더욱더 회전하면, 이때 디스크몸체(130)는 오목부(114)에 있는 벽(117)에 의해서 단지 디스크(111)로부터 외측으로 밀어내어진다(도 5의 점선 참조). 도 5의 상부부분에 도시된 120은 작은 롤러이며 이 작은 롤러(120)는 디스크(111) 외측에서 조정핀(119)의 근처에 있는 베이스몸체(110)내에 설치된다. 더욱이, 이 고정롤러(120)는 상술한 밀어내어진 디스크몸체(130)를 안내하는 롤러이며 디스크몸체(130)의 직경을 측정하는 장치를 구성한다. 121은 짧은 아암이며, 이 아암(121)은 베이스몸체(110) 내측에 배치되고 그 한쪽끝은 축(122)에 의해서 피벗된다. 123은 작은 롤러이며 이 롤러(123)는 아암(121)의 다른쪽끝에 설치된다. 이 롤러(123)는 베이스몸체(110)의 상부판에 의해서 개구된 긴구멍(도시안됨) 내에 자유롭게 들어가고 이동가능하다. 더욱이, 이 가동롤러(123)는 고정롤러(120) 근처의 위치에서 대향하게 배치된다. 124는 약간 긴 아암이며 이 아암(124)의 베이스끝은 짧은 아암(121)상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긴 아암(124)은 베이스몸체(110) 내측에배치되어 있다. 125는 아크형상을 가지고 있고 광차단판이며 거기에 대해 대략 수직인 긴 아암(124)의 선단에서 돌출되게 고정된다. 부수적으로, 하나의 슬릿은 광차단판(25)의 선단부분에서 물론 개구될 수 있다. 127은 이동된 광차단판(125) 사이에 끼워지는 광센서이며 광의 존재유무를 감지한다. 더욱이, 광센서(127)와 광차단판(125)은 물론 점선으로 도시된 베이스몸체(110) 내측에 배치된다. 도 5의 상부부분상에 있는 128은 스프링이며 이것은 가동롤러(123)를 고정롤러(120)의 방향으로 끌어당긴다. 부수적으로, 스프링(128)에 좌우되는 가동롤러(123)의 운동은 물론 축(122) 둘레에서의 회전에 상관없이 긴 구멍(도시안됨) 등에 의해서 안내될 수 있다(도 6a 참조). 3개의 기준부분(141, 142, 143)은 디스크(111)의 원주표면상에서 등간격으로 돌출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들 기준부분(141-143)은 롤러(120) 근처에 있는 베이스몸체(110)상에 배치되고 광센서(144)에 의해서 검출되어 뒤에 적혀진 것과 같이 기준이 되는 펄스(1, 2, 3)를 발생시킨다. 더욱이, 기준펄스(1 내지 3)의 발생방식에 따라, 독립회전판이 디스크(111)의 회전축(112)상에 배열되는 것은 물론 허용된다. 또는 회전판이 디스크(111)등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모터(도시안됨)상에 설치되는 것은 물론 허용된다.
상술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이 제2 실시에에 대해, 디스크(111)는 모터가 작동될 패에 회전되는 회전축(112)과 함께 회전되고 디스크몸체(130)는 디스크(111)로부터 밀어내어진다. 디스크(111)로부터 가압되는 디스크몸체(130)는 먼저 고정 롤러(120)로 안내되고 그 다음에 가동롤러(123)에 도달한다. 이 상황은 도 5에서 실선으로 도시하였다. 이 도5의 상태를 이론적으로 도시한 것이 도 6a이다. 즉 작동설명의 경우에 있어서 필요한 부분만을 이론적으로 취출하여 이 도 5의 상태를 도시한 것은 도 6a이다. 도 5의 경우에 있어서, 슬릿판(125)은 아암(121, 124)과 축(122)을 통하여 회전된다. 하지만, 도 6에서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슬릿판(125)은 직선운동을 하는 판으로서 도시되었다.
디스크몸체(130)가 디스크(111)에 의해서 더 외측으로 가압될 때, 디스크몸체(130)는 고정롤러(120)에 의해서 안내되어 이동되며 스프링(128)에 대항하는 가동롤러(123)는 도면의 우측으로 밀어진다. 이 상태는 도 5 및 도 6a에서 일점쇄선으로 각각 도시하였다. 이 도면상의 일점쇄선의 상태가 지나가면, 즉 한쌍의 롤러(120, 123)가 디스크몸체(130)의 직경라인상을 통과하면, 스프링(128)은 작동되며 디스크몸체(130)는 더 외측으로 밀어내어진다. 스프링(128)이 작용한 후 또한 디스크몸체(130)가 밖으로 밀어내어지기 전의 순간은 도 6a에서 2점쇄선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므로, 디스크몸체(130)가 한쌍의 롤러(120, 123) 사이에서 통과되면, 펄스(132)(도 6a의 하부우측 참조)는 이동된 광차단판(125)과 고정된 광센서(127)에 의해서 얻어진다. 즉, 도 6a에서 광차단판(125)은 디스크몸체(130)의 가압에 의해서 우측방향으로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된다. 그 다음에, 스프링(128)은 디스크몸체(130)의 통과와 함께 작용하며 광차단판(125)은 좌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실선위치로 복귀되며, 펄스(132)는 그 결과로서 얻어진다. 동일한 방식으로, 큰 디스크몸체(134)가 한쌍의 롤러(120, 123) 사이를 통과하면 펄스(133)(도 6a의 하부우측 참조)는 이동된 광차단판(125)과 고정된 광센서(127)에 의해서 얻어진다. 큰 디스크몸체(134)의 경우에 있어서, 광차단판(125)은 디스크몸체(134)의 돌출에의해서 도면의 우측에 있는 2점쇄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된다. 그 다음에, 스프링(128)은 디스크몸체(134)의 통과와 함께 작용되며 광차단판(125)은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실선위치로 복귀되며 그 결과 펄스(133)는 얻어진다. 그러므로, 작은 디스크몸체(130)의 통과에 의해서 얻어진 펄스(132)의 폭(136)과 큰 디스크몸체(134)의 통과에 의해서 얻어진 펄스(133)의 폭(137) 사이의 차이를 사용하여 큰 및 작은 디스크몸체(130, 134)의 직경은 측정될 수 있다. 한편, 3개의 기준부분(141 내지 143)과 도 5에 도시된 광센서(144)에 의해서 상술된 설명과 같은 기준이 되는 펄스(1, 2, 3)는 얻어진다. 이들 기준펄스(1 내지 3)와 상술된 펄스(132, 133)의 조합에 의해서 작은 디스크몸체(130)에 대응하는 긴 펄스(5)는 얻어지며 큰 디스크몸체(134)에 대응하는 더 긴 펄스(6)는 얻어진다(도 6b 참조).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작은 디스크몸체(130)의 통과에 의해서 얻어진 펄스(5)의 폭(7)과 큰 디스크몸체(134)의 통과에 의해서 얻어진 펄스(6)의 폭(8)의 차이를 사용하여 큰 및 작은 디스크몸체(130, 134)의 직경은 측정될 수 있다. 한편, 고주파펄스트레인(4)의 신호는 회전축상의 엔코더판을 설치하는 잘 알려진 수단에 의해서 도시안된 모터 등으로부터 얻어진다.
또한, 모터가 브러시레스모터이면, 펄스트레인(4)의 신호가 자기센서에 의해서 쉽게 얻어진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다. 또한, 회전축(112)등상의 엔코더판의 설치에 따라, 고주파펄스트레인(4)의 신호가 물론 얻어진다. 따라서, 이들 펄스(5, 6)와 펄스트레인(4)의 논리적을 일이킬 때, 펄스폭(7, 8)에 대응된 펄스트레인(131, 135)을 가진 신호는 얻어진다(도 6a 참조). 펄스트레인(131)의 펄수개수를 계산함으로써, 그 결과 작은 디스크몸체(130)의 직경은 측정될 수 있다. 또한, 펄스트레인의 펄스개수를 계산함으로써, 큰 디스크몸체(134)의 직경은 측정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술된 큰 폭펄스와 작은 폭펄스의 구별, 이들 펄스신호의 논리적, 펄스개수의 계산과 같은 신호처리는 물론 신호처리수단(도시 생략)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신호처리유니트인 중앙처리수단이 CPU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싱유니트인 MPU 등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디스크(111)의 회전속도는 도시안된 모터의 회전속도에 좌우된다. 이 사실로부터, 디스크(11)가 적재됨으로써 펄스폭(7, 8)이 변화되더라도 펄스트레인(4)의 펄스거리는 변화한다. 이것은 디스크(111)의 하중이 모터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펄스폭(7, 8)내의 펄스트레인(131, 135)의 개수는 항상 일정하다. 바꾸어 말하면, 디스크(111)의 회전속도가 변화하더라도, 디스크몸체(130, 134)의 직경은 정확하게 측정된다. 또한, 고정롤러(120)가 핀 등을 가진 고정부재일 수 있고 또한 가동롤러(123)가 핀을 가진 판과 같은 가동부재일 수 있다. 또한, 스프링(128)은 고무링과 같은 탄성부재 또는 판스프링일 수 있다. 더욱이, 롤러(120, 123)의 직경이 사전에 크게 만들어지면, 이들은 서로 접촉한다. 그러므로, 가동롤러(123)의 고정위치가 스토퍼에서 조정되는 것은 물론 필요하지 않다. 또한, 광센서(127, 144) 대신에 자기센서, 근접스위치 등과 같은 검출수단은 물론 사용가능하다.
상술된 본 발명의 검출장치를 경화이송장치 등의 액츄에이터의 구조에 간단하게 추가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밀어내어진 디스크몸체의 직경에 좌우하는 펄스의 개수를 계산함으로써, 본 발명은 직경이 간단하고 정확하게 측정된다고 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검출수단에 의해서 얻어진 펄스의 개수가 증가하면, 디스크 몸체의 직경이 더욱 정밀하게 측정될 수 있는 큰 효과는 본 발명에 의해서 얻어진다. 또한, 디스크몸체의 직경이 가끔 일시적인 길이에 기초하여 간단하게 측정되고 즉 펄스폭의 크기가 본 발명의 검출수단에 의해서 얻어진다. 더욱이, 본 발명이 디스크몸체를 밀어내는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고주파펄스신호에 조합되면, 디스크몸체의 직경이 정밀하게 측정되는 큰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추가한 구성이 간단하기 때문에 전체 장치가 작게 되고 간단하게 되는 큰 이점이 얻어진다.

Claims (3)

  1. 디스크몸체의 직경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밀어내어진 디스크몸체를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
    이 고정부재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대향되어 있고 상기 밀어내어진 디스크몸체에 접촉자유롭게 되어 있는 가동부재,
    이 가동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의 방향으로 끌어당기기 위한 탄성부재, 및
    상기 가동부재의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몸체의 직경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신호를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처리하고 상기 디스크몸체의 직경을 측정하기 위한 신호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몸체의 직경측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가 작은 롤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몸체의 직경측정장치.
KR1019970013498A 1996-04-12 1997-04-12 디스크 몸체의 직경 측정 장치 KR1004339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624196A JPH09282511A (ja) 1996-04-12 1996-04-12 円板体の直径測定装置
JP96-126241 1996-04-12
JP96-142114 1996-04-26
JP14211496A JP3446791B2 (ja) 1996-04-26 1996-04-26 直径計測付き円板体放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0952A KR970070952A (ko) 1997-11-07
KR100433927B1 true KR100433927B1 (ko) 2004-09-07

Family

ID=26462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3498A KR100433927B1 (ko) 1996-04-12 1997-04-12 디스크 몸체의 직경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50796A (ko)
KR (1) KR100433927B1 (ko)
GB (1) GB2312070B (ko)
TW (1) TW33918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12070B (en) * 1996-04-12 1999-10-13 Asahi Seiko Co Ltd Disc ejection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diameter of a disk-shaped body
US7934980B2 (en) * 2002-06-05 2011-05-03 Shuffle Master Gmbh & Co Kg Chip stack cutter devices for displacing chips in a chip stack and chip-stacking apparatuses including such cutter devices
AT6405U1 (de) * 2002-06-05 2003-10-27 Card Casinos Austria Res & Dev Chipsortiervorrichtung
US6976589B2 (en) 2003-02-03 2005-12-20 Streamline Innovations Gmbh Apparatus for sorting articles
US8336699B2 (en) * 2009-11-02 2012-12-25 Shuffle Master Gmbh & Co Kg Chip sorting devices, components therefor and methods of ejecting chips
JP2018055137A (ja) 2015-02-02 2018-04-05 グローリー株式会社 包装硬貨処理装置および包装硬貨処理方法
US9836909B2 (en) 2016-04-06 2017-12-05 Shuffle Master Gmbh & Co Kg Chip sorting devices and related assemblies, components and methods
US10096192B1 (en) 2017-08-30 2018-10-09 Shuffle Master Gmbh & Co Kg Chip sorting devices and related assemblies and method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2576A (ja) * 1988-09-29 1990-04-03 Kanzaki Paper Mfg Co Ltd 感圧複写紙用原紙
US4998611A (en) * 1989-09-25 1991-03-12 William Shuie Coin distinguishing mechanism for a coin keeper
JPH07105426A (ja) * 1993-10-07 1995-04-21 Omron Corp 筒状硬貨の金種判別装置
JPH09293155A (ja) * 1996-04-26 1997-11-11 Asahi Seiko Kk 円板体の直径測定装置
US5950796A (en) * 1996-04-12 1999-09-14 Asahi Seiko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measuring a diameter of a disk bod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71761A (en) * 1966-05-04 1968-03-05 Ryo Hirano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hard coins
US3680566A (en) * 1969-09-22 1972-08-01 Micro Magnetic Ind Inc Bulk coin dispenser
GB1390143A (en) * 1972-09-01 1975-04-09 Vdo Schindling Time monitoring device
WO1990006070A1 (en) * 1988-12-08 1990-06-14 Playtronics Corporation Toy bank with novel coin discriminating mechanism
GB8828802D0 (en) * 1988-12-09 1989-01-18 Rathdown Ind Ltd Coin discriminator
US5097934A (en) * 1990-03-09 1992-03-24 Automatic Toll Systems, Inc. Coin sensing apparatus
US5429550A (en) * 1990-05-14 1995-07-04 Cummins-Allison Corp. Coin handling system with controlled coin discharge
JPH0545104A (ja) * 1991-08-20 1993-02-23 Kyowa Giken Kk 硬貨直径測定機、硬貨厚み測定機、及び硬貨直径厚み測定機
JP2782570B2 (ja) * 1992-07-06 1998-08-06 旭精工 株式会社 コイン送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2576A (ja) * 1988-09-29 1990-04-03 Kanzaki Paper Mfg Co Ltd 感圧複写紙用原紙
US4998611A (en) * 1989-09-25 1991-03-12 William Shuie Coin distinguishing mechanism for a coin keeper
JPH07105426A (ja) * 1993-10-07 1995-04-21 Omron Corp 筒状硬貨の金種判別装置
US5950796A (en) * 1996-04-12 1999-09-14 Asahi Seiko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measuring a diameter of a disk body
JPH09293155A (ja) * 1996-04-26 1997-11-11 Asahi Seiko Kk 円板体の直径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707305D0 (en) 1997-05-28
GB2312070B (en) 1999-10-13
US5950796A (en) 1999-09-14
TW339185U (en) 1998-08-21
KR970070952A (ko) 1997-11-07
GB2312070A (en) 1997-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4597A (en) Method and device for coin diameter discrimination
EP1160538B1 (en) Speckle-image-based optical position transducer having improved mounting and directional sensitivities
KR100433927B1 (ko) 디스크 몸체의 직경 측정 장치
JP2648664B2 (ja) 硬貨を識別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940001953B1 (ko) 경화 선별 장치
US5460256A (en) Coin sensor device
US4460004A (en) Apparatus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coins for use in a coin handling machine
JP2002213914A (ja) 共焦点原理の単位変位センサを用いた超精密変位測定器及び多様な変位測定方法
US539289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coins based on metal content
US4715223A (en) Device for testing properties of coins
US4379466A (en) Counting device for coin sorting and counting machine
JPH09282511A (ja) 円板体の直径測定装置
JP3709674B2 (ja) 直径測定が可能な円板体放出装置
JPH09293155A (ja) 円板体の直径測定装置
JP3487868B2 (ja) 貨幣を検査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AU655742B2 (en) Coin testing device
JPH09274676A (ja) 円板体の直径測定装置
JP2596975B2 (ja) 眼鏡レンズ枠形状測定装置
WO2009063197A1 (en) Coin discriminator
JPH09330447A (ja) 円板体の直径測定装置
KR100805986B1 (ko) 지폐두께 측정장치
JP2547334B2 (ja) 位置検出装置
KR0130083Y1 (ko) 클러치 풀리의 그루브 측정장치
JPS6037651Y2 (ja) 硬貨選別装置の外径判別機構
GB2341709A (en) Coin sen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