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3026B1 - 하향 방지 기능을 갖는 루프 장착형 카 멀티미디어 유니트 - Google Patents

하향 방지 기능을 갖는 루프 장착형 카 멀티미디어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026B1
KR100433026B1 KR10-2001-0064783A KR20010064783A KR100433026B1 KR 100433026 B1 KR100433026 B1 KR 100433026B1 KR 20010064783 A KR20010064783 A KR 20010064783A KR 100433026 B1 KR100433026 B1 KR 100433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dy
display unit
open space
gear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4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2728A (ko
Inventor
최상호
Original Assignee
미래에이브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에이브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에이브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4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026B1/ko
Publication of KR20030032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2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0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향 방지 기능을 갖는 루프 장착형 카 멀티미디어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차실내의 루프 패널에 장착되고, 중간에 하향 개방공간을 가지며, 개방공간 일측에 전후 삽입홀을 갖는 캐리어 바디를 고정시킨 커버 프레임; 상기 캐리어 바디와 수평상태로 좌우 각도 조절가능하도록 틸팅수단에 의해 결합된 서포트 바디; 상기 개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서포트 바디의 단부에 회동수단에 의해 힌지 고정되고, 전원인가시 미디어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디스플레이 유니트로 이루어지는 루프 장착형 카 멀티미디어를 포함하며; 상기 개방공간의 일측 내벽에 전원 인가시 자성력을 발생시켜 고정된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커버 프레임으로부터 해제시키도록 하는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 루프상에 장착되어 스위칭 조작시 디스플레이 부분이 자동적으로 회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좌우로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고 또한 루프패널상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차량의 유동시에도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조작 간편화는 물론 차실내의 어느 위치에서도 멀티미디어의 시청 또는 청취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향 방지 기능을 갖는 루프 장착형 카 멀티미디어 유니트{CAR MULTIMEDIA UNIT OF ROOF MOUNTED TYPE WITH DROPPING PREVENTER}
본 발명은 카 멀티미디어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실내 루프상에 장착되어 스위칭 조작시 디스플레이 부분이 자동적으로 회동되도록 함과 동시에좌우로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고 더불어 디스플레이 부분이 루프패널상에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조작 간편화는 물론 차실내의 어느 위치에서도 멀티미디어의 시청이 가능하도록 한 하향 방지 기능을 갖는 루프 장착형 카 멀티미디어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통신 수단 및 교통 수단의 발달에 따라 차량 안에서 텔레비젼이나 오디오와 같은 멀티미디어 매체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급속히 늘고 있다.
카 텔레비젼은 차량 내에 설치된 텔레비젼 시스템으로서, 주행 중이거나 정차 중에 모니터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을 감상할 수 있는 장치이며, 상기 카 텔레비젼은 장착 위치에 따라 운전석 및 조수석 시트 후면에 설치되는 시트형, 인대쉬 보드 내에 장착되는 인대쉬형 및 차량의 실내 루프상에 설치되는 루프형으로 나뉘어진다.
상기 루프형 카 텔레비젼의 대표적인 종래 방식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 상태에 따라 접철이 가능한 플립-다운형(Flip-down type) 카 텔레비젼(100)이며, 이는 크게 오버헤드 콘솔(Overhead console, 110)과 디스플레이 프레임(Display frame, 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오버헤드 콘솔(110)은 차량의 실내 루프상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배면에 콘솔 홈(112)이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20)은 화면이 출력되는 부분으로서, 일단이 상기 오버헤드 콘솔(110)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20)은 사용전에는 상기 콘솔 홈(112) 내에 내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사용시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플립-다운된다.
이와 같은 플립-다운형 카 텔레비젼은 도 1에 개시된 형태 이외에도 미국 특허번호 D413,856호 "Overhead console with flip-down television screen for a motor vehicle" 및 미국 특허번호 제5,775,762호 "Overhead console having flip-down monitor" 등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플립-다운형 카 텔레비젼은 디스플레이 프레임의 플립-다운 동작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작동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운전중 디스플레이 프레임을 플립-다운시키기 위해 전방 경계를 소홀히 하여 교통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플립-다운형 카 텔레비젼은 디스플레이 프레임이 플립-다운된 상태에서 급정거를 할 경우, 관성에 의해 디스플레이 프레임이 상향 회전하거나 플립-업됨으로써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감상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자동으로 회동되는 디스플레이의 경우 디스플레이 부분이 접힘된 상태 즉, 루프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차량의 흔들림이 발생되면 한쪽단에 순간적인 큰 하중이 걸려 기어부의 마모 또는 심한경우 디스플레이 유니트가 낙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발명의 목적은 멀티미디어의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동시에 루프상에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동 과정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의 낙하방지를 이룰 수 있는 루프 장착형 카 멀티미디어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멀티미디어가 동작중에 급정거 현상 등이 발생하더라도 디스플레이 부분이 초기 각도를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차량 운행 상태에 상관없이 항상 정상적인 화면 감상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멀티미디어가 루프 장착상태에서 하향 회동 및 회동후 좌우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므로써 차실내의 어느 위치에서도 시청이 가능하도록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다운형 카 텔레비젼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루프 장착형 카 멀티미디어 유니트가 루프 패널에 장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루프 장착형 카 멀티미디어 유니트의 커버 프레임을 나타낸 저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요부 확대도로서 디스플레이 유니트가 하향 회동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5는 도 2 또는 도 4에서 디스플레이 유니트가 하향 회동된 상태를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루프 장착형 카 멀티미디어 유니트가 회전후 시청방향에 따라 좌우 회전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루프 장착형 카 멀티미디어 유니트가 좌우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카 멀티미디어 400: 커버 프레임
410: 개방공간 500: 캐리어 바디
510: 삽입홀 520,530: 가이드홀
522,532: 연장홀 600: 틸팅수단
700: 서포트 바디 720,730: 이동핀
740,750: 힌지편 800: 회동수단
810: 힌지 820: 웜축
822: 모터구동기 824: 감속기어
826: 제1아이들기어 828: 제2아이들기어
830: 회동기어 850: 판스프링
900: 디스플레이 유니트 1000: 잠금수단
1010: 전자석 1020: 잠금로드
1030: 압축스프링 1040: 잠금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실내의 루프 패널에 장착되고, 중간에 하향 개방공간을 가지며, 개방공간 일측에 전후 삽입홀을 갖는 캐리어 바디를 고정시킨 커버 프레임; 상기 캐리어 바디와 수평상태로 좌우 각도 조절가능하도록 틸팅수단에 의해 결합된 서포트 바디; 상기 개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서포트 바디의 단부에 회동수단에 의해 힌지 고정되고, 전원인가시 미디어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디스플레이 유니트로 이루어지는 루프 장착형 카 멀티미디어를 포함하며;
상기 개방공간의 일측 내벽에 전원 인가시 자성력을 발생시켜 고정된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커버 프레임으로부터 해제시키도록 하는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서포트 바디 내측에 제공되며 웜축을 갖는 모터구동기와, 상기 서포트 바디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웜기어와 맞물림 회전되는 감속기어와, 상기 서포트 바디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감속기어와 맞물림 회전되는 제1아이들기어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1아이들기어의 회전에 따라 맞물림 회전되는 제2아이들기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일측 힌지부에 제공되며 상기 제2아이들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회동기어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감속기어와 제1아이들기어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속기어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틸팅수단은, 상기 서포트 바디의 후단부가 소정폭 삽입된 상기 캐리어 바디의 상측면 양쪽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홀과, 한 쌍의 상기 가이드홀에 각각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 바디의 중간부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선회될 수 있도록 상기 서포트 바디의 후단 상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이동핀인 것에 있다.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개방공간의 내측벽에 제공되는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과 대응되어 전후진 하게 되며 타측 선단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선단에 제공된 잠금홀에 선택적 삽입되는 잠금로드와, 상기 전자석과 잠금로드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전자석의 자성력 발생시 당겨지는 잠금로드에 의해 압축되며 자성력 해제시 잠금로드를 초기상태로 복귀시키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장착형 카 멀티미디어 유니트가 루프 패널에 장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2에서 커버 프레임을 저면에서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2에서 카 멀티미디어 유니트가 회동되는 상태의 요부를 확대시켜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카 멀티미디어 유니트가 회동수단에 의해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 및 도 7은 회동된 카 멀티미디어 유니트가 틸팅수단에 의해 좌우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7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장착형 카 멀티미디어(300)는, 크게 커버 프레임(400)과, 상기 커버 프레임(400)에 결합되는 캐리어 바디(500)와, 상기 캐리어 바디(500)에 틸팅수단(600)에 의해 좌우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서포트 바디(700)와, 상기 서포트 바디(700)에 회동수단(80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유니트(900)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900)를 커버 프레임(400)에 고정시키는 잠금수단(10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버 프레임(400)은, 차실내의 루프패널에 장착되고, 중간에 하향으로 개방형상을 취하는 개방공간(410)을 가지며, 이 개방공간(410) 일측에 캐리어바디(500)가 일체형으로 고정되게 된다. 상기 개방공간(410)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900)이 삽입되어 밀착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상기 개방공간(410)의 전방측에는 서포트 바디(700)이 좌우 회전시에 간섭이 없도록 소정폭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400)의 일측에는 실내등 유니트(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되며, 본 발명의 루프 장착형 카 멀티미디어 유니트(300)는 기존 차량 루프의 실내등이 장착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기존의 실내등 역할을 할 수 있는 별도의 실내등 유니트를 내장하기 위한 구성 요소가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 프레임(400)은 내측에 수직 리브(412)가 형성되고, 배면 일측에 실내등 윈도우(41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400)은 실내등 유니트가 설치되는 공간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보조 커버(416)를 구비한다.
상기 캐리어 바디(500)는, 상기 커버 프레임(400)의 내벽에 고정되며 전후 방향으로 삽입홀(510)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510)의 상측 프레임에는 좌우 양쪽에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호형의 가이드홀(520)(53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홀(520)(530)은 각각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직선형태를 가지며 대향된 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 후방단으로부터 대향되게 소정구간의 록킹을 위한 연장홀(522)(532)이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 바디(700)는, 후단부가 상기 캐리어 바디(500)의 삽입홀(510)에 삽입되며,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홀(520)(53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이동핀(720)(730)이 구비되고, 전단부 양쪽에는 힌지편(740)(750)이 일체형을 가지며 소정폭 돌출 구비된다.
상기 틸팅수단(600)은, 상기 서포트 바디(700)의 후단부가 소정폭 삽입된 상기 캐리어 바디(500)의 상측면 양쪽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홀(520)(530)과, 한 쌍의 상기 가이드홀(520)(530)에 각각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 바디(700)의 중간부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선회될 수 있도록 상기 서포트 바디(700)의 후단 상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이동핀(720)(730)이다.
상기 캐리어 바디(500)에 형성된 연장홀(522)(532)은 상기 이동핀(740)(750)의 회전반경을 조절함과 동시에 회동된 서포트 바디(700)의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900)는, 화면이 출력되는 부분으로 상기 서포트 바디(700)의 힌지편(740)(750) 단부에 회동수단(800)에 의해 힌지(810) 고정되고, 내벽에 전원인가시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900)는 일측면에 파워 버튼, 볼륨 버튼, 틸트 버튼 등 다수개의 작동 버튼을 구비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900)의 출력 화면으로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구비한 액정 화면(Liquid Crystal Display, LCD)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수단(800)은, 상기 서포트 바디(700) 내측에 제공되며 웜축(820)을 갖는 모터구동기(822)와, 상기 서포트 바디(700)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웜축(820)와 맞물림 회전되는 감속기어(824)와, 상기 서포트 바디(700)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감속기어(824)와 맞물림 회전되는 제1아이들기어(826)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900)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1아이들기어(826)의 회전에 따라 맞물림 회전되는 제2아이들기어(828),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828)의 일측 힌지(810)에 제공되며 상기 제2아이들기어(828)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회동기어(8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동기어(830)는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900)의 회동반경 즉 제2아이들기어(828)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감속기어(824)와 제1아이들기어(826)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속기어(834)(844)를 추가로 구비하여 기어비의 감속 또는 회동시 안정감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 감속기어는 대경기어와 소경기어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다른쪽 감속기어의 대경기어가 다른쪽 감속기어의 소경기어에 물림되는 구조를 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900)와 서포트 바디(700)의 힌지(810)에는 회동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900)가 복원력을 발생하도록 판스프링(850)이 제공된다.
상기 잠금수단(1000)은, 전원인가시 자성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1010)과 상기 전자석(1010)의 자성력에 의해 전후진 하게 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900)을 고정 및 해제시키게 되는 잠금로드(1020) 및 이들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잠금로드(1020)를 초기상태로 이동시키는 압축스프링(10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자석(1010)은 상기 커버 프레임(400)의 개방공간(410) 내측벽에 제공되어 전원인가시 자성력을 발생시켜 잠금로드(1020)의 디스플레이 유니트(900) 고정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상기 잠금로드(1020)는 상기 개방공간(410)의 내측벽에 제공된 슬라이드홈에 의해 소정폭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선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900)의 선단에 제공된 잠금홀(1040)에 일치되어 전진 이동시 잠금홀(1040)에 삽입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900)의 회동을 제어하게 되고, 후진시에는 상기 잠금홀(1040)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900)가 회동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압축스프링(1030)은, 상기 전자석(1010)의 전원 인가에 따라 이동되는 잠금로드(1020)에 의해 압축되며 전원 오프시 압축력에 의해 잠금로드(1030)를 초기상태로 밀어내게 된다.
즉, 스위칭 조작에 따른 전원 인가시에는 전자석(1010)의 자성력에 의해 잠금로드(1020)가 당겨져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900)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고 전원 오프시에는 잠금로드(1020)가 압축스프링(1030)에 의해 전진되어 디스플레이 유니트(900)를 고정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개방공간(410)의 내측 일벽에는 스위치센서(리미트스위치)를 구비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900)가 초기상태에서 회동이 이루어지면 스위칭 되어 전자석(1010)으로 통하는 전원을 오프시키도록 하고 또한 디스플레이 유니트(900)의 역방향 회전시에는 스위치센서의 감지에 따라 전자석(1010)에 전원을 인가시켜 잠금로드(1020)가 후진동작을 하도록 하여 전력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함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하향 방지 기능을 갖는 루프 장착형 카 멀티미디어 유니트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실내에서 카 멀티미디어(300)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회동 스위치를 온 동작시킨다. 그러면 전원에 의해 전자석(1010)이 잠금로드(1020)를 당기게 되고동시에 잠금로드(1020)는 압축스프링(1030)을 압축시키며 후진되어 그 선단이 디스플레이 유니트(900)의 잠금홀(1040)로부터 해제된다. 이때 서포트 바디(700)에 구비된 회동수단(800)의 모터구동기(822)가 작동하여 웜축(820)을 회전시키고 동시에 웜축(820)은 맞물림된 감속기어(824)와 제1 및 제2아이들기어(826)(828)를 회전시켜 회동기어(830)를 회전시키게 된다. 연속해서 회동기어(830)는 일체형으로 결합된 디스플레이 유니트(90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회동되는 디스플레이 유니트(900)를 스위치센서가 감지하면 전자석(1010)으로 통하는 전원이 오프되어 잠금로드(1020)는 압축스프링(1030)에 의해 초기상태로 전진하게 된다. 또한 좌석에 앉은 사람이 자신의 위치로 방향을 전환시키고자 하면 디스플레이 유니트(9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자신의 위치로 화면이 설정되도록 회전시킨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유니트(900)와 힌지(810) 연결된 서포트 바디(700)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서포트 바디(700)의 이동핀(720)(730)이 캐리어 바디(500)의 가이드홀(520)(530)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900)는 원하는 각도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후, 디스플레이 유니트(900)를 초기상태로 회동시키고자 역회동 스위치를 온동작시키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900)는 초기 회동방향과 역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동시에 스위치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전자석(1010)에 전원을 인가시키고 이에따라 잠금로드(1020)는 후진되며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900)는 개방공간(410)내로 삽입된다. 이후 스위치를 오프 동작시키면 전자석(1010)의 전원이 오프되어 잠금로드(1020)가 압축스프링(1030)의 탄성력으로 이동되어져 디스플레이유니트(900)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향 방지 기능을 갖는 루프 장착형 카 멀티미디어 유니트는 디스플레이 부분이 스위칭 조작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회전된 디스플레이 부분이 사용자가 시청하기 편리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또한 디스플레이 부분이 루프상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잠금로드에 의해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 공간의 최적화 그리고 차량의 급출발 또는 급정지시의 흔들림에도 디스플레이 부분이 흔들리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차실내의 루프 패널에 장착되고, 중간에 하향 개방공간을 가지며, 개방공간 일측에 전후 삽입홀을 갖는 캐리어 바디를 고정시킨 커버 프레임; 상기 캐리어 바디와 수평상태로 좌우 각도 조절가능하도록 틸팅수단에 의해 결합된 서포트 바디; 상기 개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서포트 바디의 단부에 회동수단에 의해 힌지 고정되고, 전원인가시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디스플레이 유니트로 이루어지는 루프 장착형 카 멀티미디어를 포함하며;
    상기 개방공간의 일측 내벽에 전원 인가시 자성력을 발생시켜 고정된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커버 프레임으로부터 해제시키도록 하는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방지 기능을 갖는 루프 장착형 카 멀티미디어 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서포트 바디 내측에 제공되며 웜축을 갖는 모터구동기와,
    상기 서포트 바디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웜기어와 맞물림 회전되는 감속기어와,
    상기 서포트 바디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감속기어와 맞물림 회전되는 제1아이들기어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1아이들기어의 회전에 따라 맞물림 회전되는 제2아이들기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일측 힌지부에 제공되며 상기 제2아이들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회동기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방지 기능을 갖는 루프 장착형 카 멀티미디어 유니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어와 제1아이들기어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속기어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방지 기능을 갖는 루프 장착형 카 멀티미디어 유니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수단은
    상기 서포트 바디의 후단부가 소정폭 삽입된 상기 캐리어 바디의 상측면 양쪽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홀과, 한 쌍의 상기 가이드홀에 각각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 바디의 중간부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선회될 수 있도록 상기 서포트 바디의 후단 상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이동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방지 기능을 갖는 루프 장착형 카 멀티미디어 유니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개방공간의 내측벽에 제공되는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과 대응되어 전후진 하게 되며 타측 선단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선단에 제공된 잠금홀에 선택적 삽입되는 잠금로드와, 상기 전자석과 잠금로드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전자석의 자성력 발생시 당겨지는 잠금로드에 의해 압축되며 자성력 해제시 잠금로드를 초기상태로 복귀시키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방지 기능을 갖는 루프 장착형 카 멀티미디어 유니트.
KR10-2001-0064783A 2001-10-19 2001-10-19 하향 방지 기능을 갖는 루프 장착형 카 멀티미디어 유니트 KR100433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783A KR100433026B1 (ko) 2001-10-19 2001-10-19 하향 방지 기능을 갖는 루프 장착형 카 멀티미디어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783A KR100433026B1 (ko) 2001-10-19 2001-10-19 하향 방지 기능을 갖는 루프 장착형 카 멀티미디어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728A KR20030032728A (ko) 2003-04-26
KR100433026B1 true KR100433026B1 (ko) 2004-05-24

Family

ID=29565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4783A KR100433026B1 (ko) 2001-10-19 2001-10-19 하향 방지 기능을 갖는 루프 장착형 카 멀티미디어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302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6411Y1 (en) * 1987-05-23 1989-09-22 Park Sok Joo T.v. case for vehicles
JPH0596999A (ja) * 1991-10-03 1993-04-20 Alpine Electron Inc 車載用デイスプレイ装置
KR19980042190U (ko) * 1996-12-24 1998-09-25 김영귀 자동차의 텔레비젼 장착구조
KR20000000695U (ko) * 1998-06-15 2000-01-15 김영환 카 모니터 회전 로딩장치
KR20010070743A (ko) * 2001-06-04 2001-07-27 최상호 루프 장착형 카 텔레비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6411Y1 (en) * 1987-05-23 1989-09-22 Park Sok Joo T.v. case for vehicles
JPH0596999A (ja) * 1991-10-03 1993-04-20 Alpine Electron Inc 車載用デイスプレイ装置
KR19980042190U (ko) * 1996-12-24 1998-09-25 김영귀 자동차의 텔레비젼 장착구조
KR20000000695U (ko) * 1998-06-15 2000-01-15 김영환 카 모니터 회전 로딩장치
KR20010070743A (ko) * 2001-06-04 2001-07-27 최상호 루프 장착형 카 텔레비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728A (ko) 200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87054B2 (ja) 車載用ディスプレイ装置
JP4647663B2 (ja) ディスプレイ開閉角度検出機構
US20060262033A1 (en) Display for vehicle
KR100433026B1 (ko) 하향 방지 기능을 갖는 루프 장착형 카 멀티미디어 유니트
JP2003069920A (ja) パネル装置
KR100451119B1 (ko) 루프 장착형 카 텔레비젼
US20110090411A1 (en) Deployable automotive video display
KR100531473B1 (ko) 카멀티미디어기기의 디스플레이 유닛 고정장치
JP2003180482A (ja) アームレスト
JP2000112394A (ja) 表示装置
JP3818604B2 (ja) 表示装置
JP3676854B2 (ja) 車載用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402218B1 (ko) 루프 장착형 카 텔레비젼
KR100477246B1 (ko) 차량용 모니터의 인출구조
KR200246618Y1 (ko) 루프 장착형 카 텔레비젼
KR100557769B1 (ko)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
KR100466777B1 (ko) 차량용 av기기의 디스플레이 유닛 자동정렬방법
JPH10309996A (ja) 表示装置
JPH0692187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取付装置
JPH0939675A (ja) 車載用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283966B1 (ko) 자동차용 오디오/비디오 시스템 구동장치
JP3257901B2 (ja) 車載用表示装置
JP3647298B2 (ja) 盗難防止機能付きの車載用電子機器
JPH08116503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6327407A (ja) 車両用表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