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1984B1 - 차량의 플러그 압입용 엔진블록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플러그 압입용 엔진블록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1984B1
KR100431984B1 KR10-2001-0076953A KR20010076953A KR100431984B1 KR 100431984 B1 KR100431984 B1 KR 100431984B1 KR 20010076953 A KR20010076953 A KR 20010076953A KR 100431984 B1 KR100431984 B1 KR 100431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block
conveyor
plug
cylinder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6723A (ko
Inventor
배재한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6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984B1/ko
Publication of KR20030046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9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0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engines, clutches or transmis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플러그 압입용 엔진블록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엔진 제작시 엔진블록에 형성된 워터재킷에 플러그를 압입하기 위한 위치로 엔진블록을 용이하게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엔진블록(100)을 전후로 유동시키며 하측에 컨베이어실린더(210)가 체결되어 승강 가능한 컨베이어(200)와; 전후로 유동 가능하도록 저면에 체결된 볼스크류(310)와, 중단에 상기 컨베이어(200)가 하강했을 때, 상기 엔진블록(100)의 하측을 지지하는 엔진블록안착지그(320)와, 상측에 체결된 스토퍼실린더(331)에 의하여 승강 가능한 스토퍼(330)와, 상기 스토퍼(330)와 나란하게 상측에 별도로 체결된 클램프실린더(341)에 의하여 승강 가능한 클램프(340)로 이루어진 셔틀(300)로 구성되어, 엔진블록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가 승강 가능하도록 컨베이어실린더를 추가로 구비하도록 하여, 엔진 제작시 단일 공정 내에서 엔진블록에 형성된 워터재킷에 플러그를 용이하게 압입 할 수 있음으로써 조립라인의 설비 및 공정수를 감축시킬 수 있어 생산성 및 경제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동시에, 간단한 시설 변경만으로 다양한 규격의 엔진을 조립할 수 있으며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플러그 압입용 엔진블록 이송장치 {Device of transporting a engine block to push-fit a plug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플러그 압입용 엔진블록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엔진 제작시 엔진블록에 형성된 워터재킷에 플러그를 압입하기 위한 위치로 엔진블록을 용이하게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엔진블록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가 승강 가능하도록 컨베이어실린더를 추가로 구비하도록 하여, 엔진 제작시 단일 공정 내에서 엔진블록에 형성된 워터재킷에 플러그를 용이하게 압입 할 수 있음으로써 조립라인의 설비 및 공정수를 감축시킬 수 있어 생산성 및 경제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동시에, 간단한 시설 변경만으로 다양한 규격의 엔진을 조립할 수 있으며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블록에는 엔진의 과열을 막기 위하여, 냉각수가 엔진블록 내부에서 순환 가능하도록 엔진의 길이방향으로 워터재킷이 형성되어 있으며, 엔진 각부에 윤활유 오일을 공급하기 위하여 오일홀이 엔진의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있다.
또한, 엔진블록은 주조로 성형되기 때문에 상기 워터재킷과 오일홀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엔진블록의 성형공정이 완료되면 냉각수나 엔진오일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워터재킷과 오일홀을 각각 워터플러그와 오일플러그로 압입시켜 밀폐시킨다.
이와 같이 엔진블록에 형성된 워터재킷이나 오일홀에 플러그를 압입시키는 공정은, 엔진블록에 형성된 워터재킷과 오일홀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우선, 워터재킷에 플러그를 압입하고, 상기 엔진블록을 90도 회전시켜 오일홀에 플러그를 압입하게 되며, 이후, 상기 워터재킷 및 오일홀에 플러그가 올바르게 압입 되었는지 확인하는 리크테스트(leak test) 공정을 거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플러그 압입용 엔진블록 이송장치를 도시하는 간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의 플러그 압입용 엔진블록 이송장치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측면에 다수개의 엔진블록(30)이 안착된 지지대(40)와, 상기 지지대(40)의 하측면을 지지하며 다수개의 2절링크(11) 형태로 서로가 일정거리를 유지하도록 각 중앙의 힌지가 일측에 일체로 체결되어 상기 2절링크(11)의 중앙 힌지를 좌우로 유동시키는 승강실린더(10)와; 상기 2절링크(11)의 하측을 동시에 지지하는 운송대(21)가 일측에 체결된 운송실린더(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의 플러그 압입용 엔진블록 이송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엔진블록(30)이 안착되어 있는 지지대(40)의 하측면에 승강실린더(10) 및 상기 승강실린더(10)에 체결된 2절링크(11)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승강실린더(10)가 A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면 상기 2절링크(11)가 하강하게 되고, 상기 승강실린더(10)가 B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면 상기 2절링크(11)가 상기 지지대(40)를 상승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승강실린더(10)가 상기 2절링크(11)의 중앙힌지를 좌우로 유동시킴에 따라, 상기 2절링크(11)가 상기 지지대(40)를 상하로 승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40)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기 2절링크(11)의 하측에는 운송실린더(20)가 체결된 운송대(21)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승강실린더(10)가 상기지지대(40)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 운송실린더(20)가 A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면 상기 운송대(21)가 상기 지지대(40) 및 상기 지지대(40)에 안착된 다수개의 상기 엔진블록(30)을 P로 표시된 1 pitch 거리만큼 우측으로 이송시키게 되고, 이후, 상기 승강실린더(10)가 상기 지지대(40)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상기 운송실린더(20)가 B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면 상기 지지대(40) 및 엔진블록(30)은 현 위치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운송대(21), 승강실린더(10) 및 2절링크(11)만을 복귀시키게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승강실린더(10)와 운송실린더(20)를 이용하여 플러그를 압입하기 위한 위치로 엔진블록(30)을 일정거리인 1 pitch 씩 이송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의 플러그 압입용 엔진블록 이송장치는 설비 초기 구성시 엔진블록을 이송시키기 위한 생산설비의 규모가 커지게 되어 좁은 공간에 다양한 조립설비를 구성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생산설비의 확장에 따른 초기 투자비가 상승하게 되며, 여러 공정이 동시에 실시되기 때문에 엔진블록의 정확한 안착이 어렵고, 플러그압입기에 문제발생시 수작업으로 대치할 수 없어 생산라인이 중단되어야 한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엔진블록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가 승강 가능하도록 컨베이어실린더를 추가로 구비하도록 하여, 엔진 제작시 단일 공정 내에서 엔진블록에 형성된 워터재킷에 플러그를 용이하게 압입 할 수있음으로써 조립라인의 설비 및 공정수를 감축시킬 수 있어 생산성 및 경제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동시에, 간단한 시설 변경만으로 다양한 규격의 엔진을 조립할 수 있으며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플러그 압입용 엔진블록 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엔진블록을 전후로 유동시키며 하측에 컨베이어실린더가 체결되어 승강 가능한 컨베이어와; 전후로 유동 가능하도록 저면에 체결된 볼스크류와, 중단에 상기 컨베이어실린더가 하강했을 때, 상기 엔진블록의 하측을 지지하는 엔진블록안착지그와, 상측에 체결된 스토퍼실린더에 의하여 승강 가능한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와 나란하게 상측에 별도로 체결된 클램프실린더에 의하여 승강 가능한 클램프로 이루어진 셔틀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플러그 압입용 엔진블록 이송장치를 도시하는 간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의 플러그 압입용 엔진블록 이송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엔진블록 200 : 컨베이어
210 : 컨베이어실린더 300 : 셔틀
310 : 볼스크류 320 : 엔진블록안착지그
330 : 스토퍼 331 : 스토퍼실린더
340 : 클램프 341 : 클램프실린더
400 : 가이드레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의 플러그 압입용 엔진블록 이송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의 플러그 압입용 엔진블록 이송장치는, 엔진블록(100)을 전후로 유동시키며 하측에 컨베이어실린더(210)가 체결되어 승강 가능한 컨베이어(200)와; 전후로 유동 가능하도록 저면에 체결된 볼스크류(310)와, 중단에 상기 컨베이어(200)가 하강했을 때, 상기 엔진블록(100)의 하측을 지지하는 엔진블록안착지그(320)와, 상측에 체결된 스토퍼실린더(331)에 의하여 승강 가능한 스토퍼(330)와, 상기 스토퍼(330)와 나란하게 상측에 별도로 체결된 클램프실린더(341)에 의하여 승강 가능한 클램프(340)로 이루어진 셔틀(300)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엔진블록(100)이 상기 컨베이어(200) 상에서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컨베이어(200)의 상방향 외측에는 가이드레일(400)을 추가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의 플러그 압입용 엔진블록 이송장치는, 컨베이어(200)에 의해 이송되는 엔진블록(100)을 정지시켜주기 위하여 스토퍼실린더(331)가 스토퍼(330)를 하강시켜주게 되며, 이후, 셔틀(300)의 하측에 위치한 볼스크류(310)와 컨베이어(200)가 구동하여 상기 엔진블록(100)을 상기 셔틀(300)의 내측에 위치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엔진블록(100)은 상기 컨베이어(200)의 구동력에 의하여 하강된 상태의 상기 스토퍼(330)에 완전히 밀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200)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기 엔진블록(100)의 좌우 유동은 추가로 구비된 상기 가이드레일(400)에 의하여 방지된다.
이후, 상기 컨베이어(200)의 하측에 체결되어 직립하도록 구비된 컨베이어실린더(210)에 의하여 상기 컨베이어(200)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컨베이어(200)의 상측에 위치한 상기 엔진블록(100)도 함께 하강하게 되며, 이때, 하강하는 상기 컨베이어(200)의 로울러 사이에는 엔진블록안착지그(320)가 구비되어 있어, 하강하던 상기 엔진블록(100)이 상기 엔진블록안착지그(320)에 안착하게 되고, 상기 엔진블록안착지그(320)에는 미도시된 다수개의 기준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엔진블록(100)이 상기 엔진블록안착지그(320) 상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하도록 한다.
상기 엔진블록(100)이 상기 엔진블록안착지그(320)에 안착한 후에는, 상기 셔틀(300)의 상측에 구비된 클램프실린더(341)가 클램프(340)를 하강시키게 되며, 상기 클램프(340)가 상기 엔진블록(100)의 상측면에 접촉하게되어 상기 엔진블록(100)이 상기 엔진블록안착지그(320) 상에서 유동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셔틀(300)의 좌우에 구비되어 있는 미도시된 압입툴을 이용하여 플러그를 상기 엔진블록(100)에 압입 시킴으로써 상기 엔진블록(100)에 형성된 워터재킷을 밀폐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현재의 위치에서 압입 할 수 있는 모든 플러그를 상기 엔진블럭(100)에 형성된 워터재킷에 압입시킨 후에는, 상기 컨베이어실린더(210)를 통하여 상기 컨베이어(200)를 상승시키면, 상기 엔진블록(100)은 상승하는 상기 컨베이어(200) 상에 놓이게 된다.
이후, 상기 셔틀(300)이 볼스크류(310)에 의하여 미세하게 전후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엔진블록(100)은 플러그를 압입시키기 위한 다음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컨베이어실린더(210)에 의하여 상기 컨베이어(200)가 하강하면서 상기엔진블록(100)을 다시 상기 엔진블록안착지그(320)에 안착시킨 후, 상측의 상기 클램프(340)를 하강시켜 고정시키고, 미도시된 압입툴을 이용하여 플러그를 압입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엔진블록(100)에 형성된 모든 워터재킷에 다양한 크기의 플러그를 용이하게 압입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상기 엔진블록(100)에 플러그 모두 압입시킨 후에는, 상기 볼스크류(310)에 의하여 상기 엔진블록(10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엔진블록에 형성된 워터재킷에 플러그를 압입하기 위하여 상기 엔진블록을 용이하게 이송 및 안착시킬 수 있어, 좁은 공간에서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종래에는 엔진블록의 이송장치가 단순하기 때문에, 크기가 각기 다른 플러그를 몇 개의 공정으로 나누어서 압입하던 공정을 개선하여, 상기 셔틀의 볼스크류를 통한 상기 엔진블록의 정확한 위치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각기 크기가 다른 플러그라도 하나의 공정에서 압입 시킬 수 있다.
또한, 각 공정간 엔진블록의 이송이 자유로워 생산설비의 특정한 부분에서 고장 등의 문제 발생시, 종래에는 생산라인이 중단되었지만,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수작업으로 용이하게 대체 가능할 뿐 아니라, 소수 부품의 교환 및 추가, 또는 플러그 압입툴의 높이조절이나 볼스크류의 제어위치 변경만으로 다양한 차종의 엔진블록에 적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엔진블록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가 승강 가능하도록 컨베이어실린더를 추가로 구비하도록 하여, 엔진 제작시 단일 공정 내에서 엔진블록에 형성된 워터재킷에 플러그를 용이하게 압입 할 수 있음으로써 조립라인의 설비 및 공정수를 감축시킬 수 있어 생산성 및 경제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동시에, 간단한 시설 변경만으로 다양한 규격의 엔진을 조립할 수 있으며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엔진블록을 전후로 유동시키며 하측에 컨베이어실린더가 체결되어 승강 가능한 컨베이어와;
    전후로 유동 가능하도록 저면에 체결된 볼스크류와, 중단에 상기 컨베이어가 하강했을 때, 상기 엔진블록의 하측을 지지하는 엔진블록안착지그와, 상측에 체결된 스토퍼실린더에 의하여 승강 가능한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와 나란하게 상측에 별도로 체결된 클램프실린더에 의하여 승강 가능한 클램프로 이루어진 셔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플러그 압입용 엔진블록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상방향 외측에는 가이드레일이 추가 구성되어 상기 엔진블록이 상기 컨베이어 상에서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플러그 압입용 엔진블록 이송장치.
KR10-2001-0076953A 2001-12-06 2001-12-06 차량의 플러그 압입용 엔진블록 이송장치 KR100431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953A KR100431984B1 (ko) 2001-12-06 2001-12-06 차량의 플러그 압입용 엔진블록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953A KR100431984B1 (ko) 2001-12-06 2001-12-06 차량의 플러그 압입용 엔진블록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723A KR20030046723A (ko) 2003-06-18
KR100431984B1 true KR100431984B1 (ko) 2004-05-17

Family

ID=29573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953A KR100431984B1 (ko) 2001-12-06 2001-12-06 차량의 플러그 압입용 엔진블록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19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2440A (en) * 1980-01-16 1981-08-15 Mitsubishi Motors Corp Automatically pressing-in device for positioning pin member
US4431103A (en) * 1980-11-14 1984-02-1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ngine positioning device in engine test device
JPH05104341A (ja) * 1991-10-15 1993-04-27 Honda Motor Co Ltd 自動車組立用搬送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2440A (en) * 1980-01-16 1981-08-15 Mitsubishi Motors Corp Automatically pressing-in device for positioning pin member
US4431103A (en) * 1980-11-14 1984-02-1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ngine positioning device in engine test device
JPH05104341A (ja) * 1991-10-15 1993-04-27 Honda Motor Co Ltd 自動車組立用搬送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723A (ko)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82967A (zh) 搬运机构、树脂成型装置、成型对象物向成型模的交接方法及树脂成型品的制造方法
KR100431984B1 (ko) 차량의 플러그 압입용 엔진블록 이송장치
KR100889664B1 (ko) 베어링 압입 장치
KR100449955B1 (ko) 자동차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방법 및 장치
EP0497700A2 (en) Rotary molding machine
KR200391435Y1 (ko) 프레스장치의 이송테이블 지지구조
KR20160062467A (ko) 사출금형의 인서트물 고정핀장치
KR20090094700A (ko) 밸브 스템 씰 압입장치
KR910005132B1 (ko) 타이어가황기의 그리인타이어 삽입장치
EP2703145A1 (en) Preform conveying device and preform manufacturing equipment
KR200373885Y1 (ko) 팸너트 인서트 및 검사장치
CN213704409U (zh) 一种手机自动注塑压合设备
KR19990057214A (ko) 쇼크업소버의 캡 자동 조립 장치 및 그 방법
CN215266406U (zh) 一种多工位自动化盖帽包边机
KR200293093Y1 (ko) 자동차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
CN216829469U (zh) 模块化快速换型式止推片装配机构
CN220244794U (zh) 一种基于镜片转运的上料工装
CN220281536U (zh) 一种方形电池模组转运车
CN214297770U (zh) 一种输送链板组装辅助结构
CN217453594U (zh) 一种定位机构
CN220065641U (zh) 一种可识别晶圆错位的倒片装置
CN209580308U (zh) 用于端子的脱镶装置
CN219420514U (zh) 转子入端盖机
CN212653859U (zh) 一种吹模油缸插销治具
JP5268621B2 (ja) ワーク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