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8103B1 -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8103B1
KR100428103B1 KR10-2000-0081293A KR20000081293A KR100428103B1 KR 100428103 B1 KR100428103 B1 KR 100428103B1 KR 20000081293 A KR20000081293 A KR 20000081293A KR 100428103 B1 KR100428103 B1 KR 100428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switch
engine
starting
detec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1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1747A (ko
Inventor
조기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1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8103B1/ko
Publication of KR20020051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1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1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7Details of the switching means in starting circuits, e.g. relays or electronic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028/003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inhibiting the starter motor, e.g. by controlling ignition or park lock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3Failsaf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운행을 위한 엔진의 시동시 제동과 주차상태가 선행되는 경우에 한하여 시동계통으로 동작전원의 인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중안전장치를 마련함으로써, 엔진의 시동시 급발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엔진의 시동을 위한 시동절환수단과, 변속조작을 위한 변속절환상태 검출수단, 브레이크페달이 답입된 경우를 검출하는 제동조작상태 검출수단 및, 파킹기구가 작동된 경우를 검출하는 파킹상태 검출수단을 포함하고서, 상기 변속절환상태 검출수단이 파킹레인지임과 더불어 브레이크페달이 답입된 상태이면서 파킹기구의 작동시에 한하여 상기 시동절환수단으로부터 시동계통에 동작전원의 인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preventive device for sudden departure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의 시동시 브레이크와 파킹기구의 작동중인 경우에 한하여 시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급발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는 주행중 기어비를 주행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적절하게 전환시켜 주는 장치로서, 주행중 변속에 대한 부담감을 줄여 운전의 편의성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발진과 가속 및 감속을 원활하게 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자동변속기에서 주차와 중립 및 전진 주행 그리고 후진 주행을 위한 변속단의 절환은 셀렉트레버의 회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바, 이 셀렉트레버는 통상 하단부를 피벗 지점으로 하여 상단부가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셀렉트레버의 하부에는 각 변속단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패널이 설치됨과 더불어 운전자의 조작정도에 따라 각각 원하는 변속단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디텐트기구도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자동변속기를 구비한 차량에서 시동후 종종 원치않는 급발진 사고가 발생되고 있는 데, 이와 같은 급발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주행을 위한 엔진의 시동시 브레이크페달의 가압이 선행된 상태에 한해서 엔진의 시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른 바 시프트록장치가 제안되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시프트록장치를 갖춘 차량에서도 지금껏 원인규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급발진 사고의 발생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운행을위한 엔진의 시동시 제동과 주차상태가 선행되는 경우에 한하여 시동계통으로 동작전원의 인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중안전장치를 마련함으로써, 엔진의 시동시 급발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의 시동을 위한 시동절환수단과, 변속조작을 위한 변속절환상태 검출수단, 브레이크페달이 답입된 경우를 검출하는 제동조작상태 검출수단 및, 파킹기구가 작동된 경우를 검출하는 파킹상태 검출수단을 포함하고서, 상기 변속절환상태 검출수단이 파킹레인지임과 더불어 브레이크페달이 답입된 상태이면서 파킹기구의 작동시에 한하여 상기 시동절환수단으로부터 시동계통에 동작전원의 인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킹상태 검출수단를 도시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시동스위치 12-인히비터스위치
14-제1릴레이 16-제1스위치
18-제2릴레이 20-제2스위치
20a-스프래그 20b-제1접속단자
20c-파킹기어 20d-제2접속단자
22-시동모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킹상태 검출수단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에 의한 엔진의 시동을 위한 시동절환수단과, 운전자에 의한 변속조작을 검출하기 위한 변속절환상태 검출수단, 제동을 위한 브레이크페달의 답입시 이의 절환을 검출하는 제동조작상태 검출수단 및, 주차를 위한 파킹기구의 작동시 이의 동작을 검출하는 파킹상태 검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시동절환수단은 통상적으로 조향휠(도시안됨)의 측부에 배설되어 시동키이의 삽입에 따라 회동으로 배터리로부터 엔진의 시동계통으로 동작전원을인가하는 시동스위치(1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변속절환상태 검출수단은 운전석의 측부에 배설되어 변속시 자동변속기의 매뉴얼밸브의 절환을 위해 회동조작이 이루어지는 셀렉트레버(도시안됨)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인히비터스위치(12)로 이루어지는 바, 이 인히비터스위치(12)의 파킹단자와 연결된 접속단자(12a)는 상기 시동스위치(10)의 스타트단자와 연결된 접속단자(1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동조작상태 검출수단은 브레이크페달(도시안됨)에 답입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접속이 이루어지는 제1릴레이(14)와, 상기 브레이크페달이 가압되는 경우에 온되어 상기 제1릴레이(14)에 작동전원을 인가하는 제1스위치(16)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제1릴레이(14)는 상기 인히비터스위치(12)의 파킹단자와 연결된 접속단자(12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파킹상태 검출수단은 파킹기어와 스프래그(이상 도 2에 도시됨) 사이의 치합이 발생하는 경우에 접속이 이루어지는 제2릴레이(18)와, 상기 파킹기어와 스프래그 사이의 치합에 의해 상기 제2릴레이(18)에 작동전원을 인가하는 제2스위치(20)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제2릴레이(18)는 상기 제1릴레이(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파킹상태 검출수단의 제2스위치(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셀렉트레버가 파킹레인지로 절환되는 경우에 회동되는 스프래그(20a)의 선단에 구비된 제1접속단자(20b)와, 상기 스프래그(20a)와 치합되어 회전을 제지받는 파킹기어(20c)의 기어치 사이에 구비된 제2접속단자(20d)로 구성되는 바, 상기스프래그(20a)의 선단에 구비된 제1접속단자(20b)에는 배터리의 전원이 인가되며, 상기 파킹기어(20c)의 기어치 사이에 구비된 제2접속단자(20d)는 상기 제2릴레이(18)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셀렉트레버가 파킹레인지로 절환되어 스프래그(20a)가 파킹기어(20c)에 치합되면, 상기 제1접속단자(20b)와 제2접속단자(20d) 사이에는 배터리로부터의 작동전원이 통전됨과 더불어 이는 상기 제2릴레이(18)를 자화시켜 이를 접속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제2릴레이(18)에는 엔진의 시동계통에서 시동시 링기어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시동모터(2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엔진의 시동시 상기 셀렉트레버가 파킹레인지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시동스위치(10)의 접속단자(10a)와 상기 인히비터스위치(12)의 접속단자(12a)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스위치(16)는 브레이크페달이 답입된 상태에서 접속되어 상기 제1릴레이(14)를 접속시키게 되며, 상기 제2스위치(20)는 스프래그(20a)와 파킹기어(20c)가 치합된 상태에서 접속되어 상기 제2릴레이(18)를 접속시키게 되므로, 상기 시동스위치(10)로부터 시동모터(22)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엔진의 시동시 상기 셀렉트레버가 파킹레인지에 위치함과 더불어 상기 브레이크페달이 답입상태이면서 상기 스프래그(20a)가 파킹기어(20c)에 치합된 경우에 한하여 배터리의 전원이 시동스위치(10)를 통해 상기 시동모터(22)로 인가될 수 있어 엔진의 시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엔진의 시동시 변속절환상태 검출수단과 제동조작상태 검출수단 및 파킹상태 검출수단을 매개로 각각 파킹레인지로의 절환과 브레이크페달의 답입 및 파킹기어의 고정이 동시에 이루어진 상태에 한해서 배터리의 동작전원이 시동절환수단을 통해 시동계통으로 인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급발진 사고의 유발에 대한 염려를 배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에 의하면, 엔진의 시동시 브레이크페달의 답입상태와 스프래그(20a)에 의한 파킹기어(20c)의 구속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에 한해 상기 시동스위치(10)로부터 시동모터(22)에 동작전원이 인가되어 엔진의 시동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되므로, 엔진의 시동과 함께 차량이 발진하게 되는 급발진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4)

  1. 시동시 시동모터(22)로 동작전원을 인가하도록 스타트단자와 연결된 접속단자(10a)를 갖춘 시동스위치(10)와,
    상기 접속단자(10a)와 연결되는 접속단자(12a)를 갖추면서 셀렉트레버의 절환에 따른 변속단의 변화를 검출하는 인히비터스위치(12),
    브레이크페달의 답입시 접속이 이루어지는 제1스위치(16),
    상기 제1스위치(16)의 접속을 매개로 작동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인히비터스위치(12)의 접속단자(12a)와 연결되는 제1릴레이(14),
    주차시 파킹기구의 작동에 따라 스프래그(20a)와 파킹기어(20c) 사이의 치합으로 접속이 이루어지는 제2스위치(20) 및,
    상기 제2스위치(20)의 접속을 매개로 작동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제1릴레이(14)와 시동모터(22) 사이를 연결하는 제2릴레이(1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0-0081293A 2000-12-23 2000-12-23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KR100428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293A KR100428103B1 (ko) 2000-12-23 2000-12-23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293A KR100428103B1 (ko) 2000-12-23 2000-12-23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747A KR20020051747A (ko) 2002-06-29
KR100428103B1 true KR100428103B1 (ko) 2004-04-30

Family

ID=27685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1293A KR100428103B1 (ko) 2000-12-23 2000-12-23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81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9981A (ko) 2015-04-07 2016-10-17 한국파워트레인 주식회사 차량의 급발진 제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268A (ko) * 2002-10-24 2004-04-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급출발 방지장치
KR100974414B1 (ko) * 2003-08-21 2010-08-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전동 리치식 지게차의 베터리플러그 보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9981A (ko) 2015-04-07 2016-10-17 한국파워트레인 주식회사 차량의 급발진 제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747A (ko) 200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4304B2 (ja) 自動車の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H0840209A (ja) 自動車の変速機の自動シフト装置の選択装置
US5853348A (en) Park position locking system for steering column transmission shifter
KR100428103B1 (ko)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CA2418953A1 (en) Apparatus for enabling truck power take off functionality during auto neutral
JP4814712B2 (ja) 車両用スイッチシステム
KR0126025Y1 (ko) 기어위치 검출을 위한 시동 통제장치
KR100452192B1 (ko)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JPH09123787A (ja) 自動変速機搭載車用pto制御装置
KR100224431B1 (ko) 자동차용 자동주차브레이크장치
KR100224164B1 (ko) 자동차의 언덕길 주행시 밀림방지장치
JPH0126534Y2 (ko)
JP3224685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9990021345U (ko) 수동변속차량의 시동 제어장치
JPH0958296A (ja) 自動変速機搭載車用pto制御装置
KR970045320A (ko) 차량의 초기 시동시 급가동 방지회로 및 그 방법
JPS63192623A (ja) 車両用電装品制御装置
KR100229932B1 (ko) 수동 변속용 차량의 오르막 주행시 미끄럼 방지 구조
KR960005364Y1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보호장치
KR100350267B1 (ko) 대형 반자동 변속기 탑재 차량의 시동시 안전장치
KR970075333A (ko) 차량의 파킹 브레이크 해제시 엔진시동 불가장치
JPH01178030A (ja) 自動変速車の始動制御装置
KR20010000686U (ko) 자동변속차량의 급제동스위치
JPH09280275A (ja) 自動クラッチ制御装置
JPH01262240A (ja) 車両の誤操作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