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7403B1 - 재봉기의 재봉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재봉기의 재봉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7403B1
KR100427403B1 KR10-2001-0077083A KR20010077083A KR100427403B1 KR 100427403 B1 KR100427403 B1 KR 100427403B1 KR 20010077083 A KR20010077083 A KR 20010077083A KR 100427403 B1 KR100427403 B1 KR 100427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plate
upper feed
air
sewing machin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7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6822A (ko
Inventor
이동규
Original Assignee
썬스타 산업봉제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스타 산업봉제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썬스타 산업봉제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7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7403B1/ko
Priority to JP2002342022A priority patent/JP3569519B2/ja
Priority to CNB021569665A priority patent/CN100387768C/zh
Publication of KR20030046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4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2Presser-contro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9/00Workpiece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턴 재봉기에서 재봉물을 고정하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이드 브라켓과, 상기 피이드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피이드판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작수단과, 상기 동작수단에 상피이드판을 결합시키기 위한 상피이드판 브라켓과, 상기 상피이드판과 접하여 재봉물을 고정시키는 하피이드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동작수단은 에어슬라이드테이블(air slide table)로 된다. 상기 에어슬라이드테이블은 상기 피이드 브라켓에 결합되고 에어를 유입하거나 분출하는 복수개의 에어유출구가 설치되는 지지체와, 이 지지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유출구에 공급되는 에어의 방향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유동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피이드판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의 부품수를 줄이고 동작부의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조립시간도 단축됨으로써 생산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인해 소음 및 진동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재봉기의 재봉물 고정장치{SEWED THING FIXING APPARATUS FOR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재봉기에 관한 것으로, 그중에서도 패턴 재봉기에서 재봉물을 고정하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턴(pattern) 재봉기"라 하면 입력된 패턴에 따라 자동으로 재봉하는 재봉기를 말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패턴 재봉기는 기성복의 다양화와 패턴의 복잡화에 따라 널리 사용되는 추세이며,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품질의 균일화를 이루며, 인건비를 줄여 제작원가 절감의 효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패턴 재봉기의 일예를 첨부한 도 1에 도시한 바, 상기 하피이드판(103)에 재봉물을 위치시킨 후 오퍼레이션 박스(105)를 조작하여 원하는 패턴을 정하고 나서 상피이드판(102)을 하강시켜 상피이드판(102)과 하피이드판(103)이 견고하게 접하도록 함으로써 재봉 대상물을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상피이드판(102)을 상하로 이송시키는 동작부가 재봉기본체(101) 내부에 설치되는데, 첨부한 도 2는 이와 같은 상피이드판 동작부를 포함한 종래의 재봉물 고정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종래의 재봉물 고정장치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이드 브라켓(1)과,상기 피이드 브라켓(1)에 설치되어 상피이드판(2)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작수단과, 상기 동작수단에 상피이드판(2)을 결합시키는 상피이드판 클램프(4)(5)와, 상피이드판(2) 및 하피이드판(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피이드 브라켓(1)의 선단부에는 상기 상피이드판 클램프(4)(5)에 결합되며 상기 동작수단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슬라이드판(6) 설치되고, 이 슬라이드판(6)의 양측면에 끼워져 슬라이딩 결합되면서 상기 피이드 브라켓(1)의 선단부에 고정되는 클램프판(7)(8)이 설치된다.
상기 동작수단은 원통형의 에어실린더(10)와, 이 에어실린더(10)의 선단에 결합되는 너클(11)과, 상기 너클(11)과 힌지고정되어 소정각도로 회동가능한 제1 회동레버(12)와, 상기 제1 회동레버(12)와 결합되는 제2 회동레버(1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너클(11)과 상기 제1 회동레버(12)는 힌지축(14)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제2 회동레버(13)에는 장공(13a)이 형성되어 상기 제1 회동레버(12)와 볼트(15)로 결합되고, 제2 회동레버(13)의 선단부에는 걸림돌기(13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피이드 브라켓(1)에는 상기 걸림돌기(13b)가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공형의 가이드홀(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판(6)에는 상기 걸림돌기(13b)가 삽입되는 홀(6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재봉물 고정장치의 결합된 사시도를 도 3a와 도 3b에 도시한 바, 이를 참조로 재봉물 고정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피이드판(2)과 하피이드판(3)이 분리된상태에서 상기 에어실린더(10)가 동작하면 상기 너클(11)에 힌지고정된 제1 회동레버(12)가 회동하면서 상기 제2 회동레버(13)의 걸림돌기(13b)가 상기 가이드홀(1a)에 삽입되어 안내되면서 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걸림돌기(13b)의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13b)가 끼워져 있는 슬라이드판(6)이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피이드판(2)을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하피이드판(3)에 접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재봉물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하피이드판(3)에 재봉물을 위치시킨 후 상술한 바와 같이 상피이드판(2)을 하강시켜 상피이드판(2)과 하피이드판(3) 사이에 재봉물이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고, 재봉이 끝나면 상기 에어실린더(10)를 역방향으로 동작시켜 상피이드판(2)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해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재봉물 고정장치에서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피이드판(2)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가 매우 복잡하고 큰 부피를 차지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이룰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품수가 많고 각각의 부품을 조립하기 위해서 볼트와 너트를 일일이 채워야 했으므로 조립이 번거롭고 조립에 따르는 시간이 많이 소요하므로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복잡한 구성으로 인해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상피이드판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작부의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재봉기의 재봉물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부품수의 감소로 조립이 쉽고 용이하며, 조립시간도 단축됨으로써 생산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는 재봉기의 재봉물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으로는 간단한 구성으로 인해 소음 및 진동을 크게 줄인 재봉기의 재봉물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패턴 재봉기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재봉기 재봉물 고정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a는 도 2의 재봉물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피이드판과 하피이드판이 분리된 것을 나타낸 도.
도 3b는 도 2의 재봉물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피이드판이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하피이드판에 접하는 것을 나타낸 도.
도 4는 본 발명의 재봉기 재봉물 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재봉기 재봉물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피이드판과 하피이드판이 분리된 것을 나타낸 도.
도 5b는 본 발명의 재봉기 재봉물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피이드판이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하피이드판에 접하는 것을 나타낸 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피이드 브라켓 21 : 홀더
22 : 상피이드판 브라켓 23 : 상피이드판
24 : 하피이드판 30 : 에어슬라이드테이블
31 : 지지체 31a, 31b : 에어유출공
32 : 유동체 33, 34 : 에어호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재봉물을 잡아주는 상피이드판과 하피이드판이 구비된 재봉기의 재봉물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피이드판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작수단으로 에어슬라이드테이블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재봉물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피이드 브라켓과, 상기 피이드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피이드판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작수단과, 상기 동작수단에 상피이드판을 결합시키기 위한 상피이드판 브라켓과, 상기 상피이드판과 접하여 재봉물을 고정시키는 하피이드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동작수단은 에어슬라이드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재봉물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에어슬라이드테이블은 상기 피이드 브라켓에 결합되고 에어를 유입하거나 분출하는 복수개의 에어유출구가 설치되는 지지체와, 이 지지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유출구에 공급되는 에어의 방향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유동체로 구성된다.
상기 상피이드판 브라켓은 상기 상피이드판의 측면에 단부가 결합되도록 양단부가 절곡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피이드판 브라켓을 동작수단에 결합시키기 위한 홀더가 더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재봉기의 재봉물 고정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재봉기의 재봉물 고정장치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이드 브라켓(20)과, 상기 피이드 브라켓(20)에 결합되어 상피이드판(23)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작수단인 에어슬라이드테이블(air slide table)(30)과, 상기 에어슬라이드테이블(30)에 상피이드판(23)을 결합시키기 위한 상피이드판 브라켓(22)과, 상기 상피이드판(23)과 접하여 재봉물을 고정시키는 하피이드판(2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슬라이드테이블(30)는 상기 피이드 브라켓(20)에 결합되고 에어를 유입하거나 분출하는 에어유출구가 설치되는 지지체(31)와, 상기 지지체(31)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유출구에 공급되는 에어의 방향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유동체(3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유출구는 상기 지지체(31)에 상하로 형성된 2개의 에어유출공(31a)(31b)과 각각의 에어유출공(31a)(31b)에 결합되는 에어호스(33)(34)로 구성되며, 상측에 형성된 에어유출공(31a)으로 에어를 공급하면 하측에 형성된 에어유출공(31b)을 통해 실린더 내부의 에어가 배출되면서 상기 유동체(32)가 에어의 압력에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원리로 지지체(31)의 하측에 형성된 에어유출공(31b)으로 에어를 공급하면 상측에 형성된 에어유출공(31b)을 통해 에어가 배출되면서 상기 유동체(32)는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에어슬라이드테이블(30)의 동작은 통상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에어슬라이드테이블(30)의 내부구성을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며, 에어의 유동에 의해 유동체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구조이면 어떠한 형상이든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동체(32)에는 상기 상피이드판 브라켓(22)을 상기 에어슬라이드테이블(30)에 결합시키기 위한 홀더(2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피이드판 브라켓(22)은 상기 상피이드판(23)의 측면에 단부가 결합되도록 양단부가 절곡된 ??자 형상으로 되어 상기 상피이드판(23)과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고, 상피이드판(23)과 하피이드판(24) 사이에 재봉물이 놓인 경우 재봉물의 고정이 확실하게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재봉물 고정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5a는 본 발명의 재봉물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피이드판(23)과 하피이드판(24)이 분리되는 상태에서 상측에 설치된 상기 에어호스(33)를통해 에어를 공급하면 상기 에어슬라이드테이블(30)의 유동체(32)가 하방향으로 내려오므로 도 5b에서처럼 상기 유동체(32)에 결합된 홀더(21), 상피이드판 브라켓(22) 및 상피이드판(23)이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상피이드판(23)이 하피이드판(24)에 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피이드판(23)을 다시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지지체(31)의 하측에 설치된 에어호스(34)를 통해 에어를 공급하여 상기 유동체(32)를 상방향으로 올려주면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재봉물 고정장치는 상피이드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부품의 개수가 종래의 기술에 비해 매우 적어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며 부품수의 감소로 조립이 쉽고 용이하며,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인해 소음 및 진동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피이드판를 동작시키기 위한 단계가 최소화되므로 신속하게 동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재봉물을 잡아주는 상피이드판과 하피이드판이 구비된 재봉기의 재봉물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피이드판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작수단으로 에어슬라이드테이블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재봉물 고정장치.
  2. 재봉물을 눌러주기 위한 상피이드판과,
    상기 상피이드판과 접하여 재봉물을 고정시키는 하피이드판과,
    피이드 브라켓과,
    상기 피이드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피이드판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작수단과,
    상기 동작수단에 상피이드판을 결합시키기 위한 상피이드판 브라켓으로 구성되며, 상기 동작수단은 에어슬라이드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재봉물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슬라이드테이블은 상기 피이드 브라켓에 결합되고 에어를 유입하거나 분출하는 복수개의 에어유출구가 설치되는 지지체와,
    이 지지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유출구에 공급되는 에어의 방향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유동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재봉물고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피이드판 브라켓은 상기 상피이드판의 측면에 단부가 결합되도록 양단부가 절곡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재봉물 고정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피이드판 브라켓을 동작수단에 결합시키기 위한 홀더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재봉물 고정장치.
KR10-2001-0077083A 2001-12-06 2001-12-06 재봉기의 재봉물 고정장치 KR100427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083A KR100427403B1 (ko) 2001-12-06 2001-12-06 재봉기의 재봉물 고정장치
JP2002342022A JP3569519B2 (ja) 2001-12-06 2002-11-26 ミシン用の縫い物固定装置
CNB021569665A CN100387768C (zh) 2001-12-06 2002-12-06 缝纫机的缝纫物固定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083A KR100427403B1 (ko) 2001-12-06 2001-12-06 재봉기의 재봉물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822A KR20030046822A (ko) 2003-06-18
KR100427403B1 true KR100427403B1 (ko) 2004-04-14

Family

ID=19716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083A KR100427403B1 (ko) 2001-12-06 2001-12-06 재봉기의 재봉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569519B2 (ko)
KR (1) KR100427403B1 (ko)
CN (1) CN10038776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4773A (ja) * 2006-03-17 2007-09-27 Brother Ind Ltd パターン縫いミシンの送り装置
CN102061582A (zh) * 2009-11-17 2011-05-18 上海贵衣缝纫设备有限公司 花样机快换压料板机构
KR101852877B1 (ko) * 2017-09-16 2018-04-30 (주)썬테크 갑피 자동 재봉기용 지그장치
KR102657971B1 (ko) * 2023-11-01 2024-04-18 (주)썬테크 고정수단을 갖는 패턴 재봉기용 팔레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0780A (ko) * 1981-07-13 1984-02-27 기암피에로 배카리아 냉각싸이클용 모우터구동 콤프레샤-응축기
KR920002546U (ko) * 1990-07-19 1992-02-24 김교우 쓰레기통
KR940005672U (ko) * 1992-08-06 1994-03-18 삼성물산 주식회사 양복용 안주머니 커버의 단추구멍 오버로크 미싱기에 있어 커버의 자동이송 및 복귀장치
JPH08117469A (ja) * 1994-10-28 1996-05-14 Oishi Kinzoku Kogyo Kk ミシンの押え部材と送り板の着脱構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6690A (ja) * 1984-08-28 1986-03-22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布押え装置
JPH0693946B2 (ja) * 1988-09-27 1994-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自動縫ミシンのx−yテーブル駆動装置
JP2603726B2 (ja) * 1989-08-31 1997-04-23 ジューキ株式会社 自動ミシンにおける被縫製物の押え装置
JP3828999B2 (ja) * 1997-11-19 2006-10-04 株式会社バルダン ミシンの布張装置
JPH11226279A (ja) * 1998-02-12 1999-08-24 Juki Corp 布押え上下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0780A (ko) * 1981-07-13 1984-02-27 기암피에로 배카리아 냉각싸이클용 모우터구동 콤프레샤-응축기
KR920002546U (ko) * 1990-07-19 1992-02-24 김교우 쓰레기통
KR940005672U (ko) * 1992-08-06 1994-03-18 삼성물산 주식회사 양복용 안주머니 커버의 단추구멍 오버로크 미싱기에 있어 커버의 자동이송 및 복귀장치
JPH08117469A (ja) * 1994-10-28 1996-05-14 Oishi Kinzoku Kogyo Kk ミシンの押え部材と送り板の着脱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822A (ko) 2003-06-18
JP2003181181A (ja) 2003-07-02
JP3569519B2 (ja) 2004-09-22
CN100387768C (zh) 2008-05-14
CN1423006A (zh) 200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7403B1 (ko) 재봉기의 재봉물 고정장치
CN105377509A (zh) 夹紧设备
KR200169733Y1 (ko) 스크린 인쇄기용 스퀴지 장치
US20090211307A1 (en) Washing machine
TWI792208B (zh) 工裝真空裝置、吸嘴、成套部件、電路板裝配機及印刷機
JP2736013B2 (ja) アイロン仕上機
EP0094034B1 (en) Detergent distributor for laundry washing machine
JPS6237573Y2 (ko)
KR200370274Y1 (ko) 재봉틀 및 이에 사용되는 피봇 베어링
CN109332869A (zh) 汽车部件异位焊接系统
KR940005290Y1 (ko) 캠코더의 줌버튼
CN214556446U (zh) 一种用于板材折弯机的旋转折弯机构
KR100345551B1 (ko) 자동차의 본네트 지지장치
JPS6140790Y2 (ko)
JPH10118368A (ja) ミシンの中押え付属装置
KR920008753Y1 (ko) 크래프트 성형기(kraft former)
KR0153513B1 (ko) 차량의 프론트상부패널 어셈블리 조립위치 셋팅장치
US20040228696A1 (en) Copying apparatus
DE2705511A1 (de) Buegelvorrichtung
JP2585641Y2 (ja) ミシンの上送り装置
JPH0321743Y2 (ko)
KR930003707Y1 (ko) 세탁기의 회전식 급수 선택장치
KR200358506Y1 (ko) 재봉틀용 노루발
KR100410701B1 (ko) 클램프 구조
KR20050075883A (ko) 필터프레스를 위한 브라켓 및 그 브라켓을 사용한필터프레스의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