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4956B1 - 메이크업층을 이용한 노출콘크리트 보수공법 - Google Patents

메이크업층을 이용한 노출콘크리트 보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956B1
KR100424956B1 KR10-2001-0026079A KR20010026079A KR100424956B1 KR 100424956 B1 KR100424956 B1 KR 100424956B1 KR 20010026079 A KR20010026079 A KR 20010026079A KR 100424956 B1 KR100424956 B1 KR 100424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ement
weight
concrete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6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9825A (ko
Inventor
최규림
Original Assignee
최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규림 filed Critical 최규림
Priority to KR10-2001-0026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4956B1/ko
Publication of KR20010069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9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9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05Methods or materials for repairing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35Toppings or surface dressings; Methods of mixing, impregnating, or spreading them
    • E01C7/358Toppings or surface dressings; Methods of mixing, impregnating, or spreading them with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binders according to groups E01C7/351 - E01C7/356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cement or like binders
    • E01C7/14Concrete paving
    • E01C7/147Repairing concrete pavings, e.g. joining cracked road sections by dowels, applying a new concrete cov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이크업층을 이용한 노출콘크리트 보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보수하여야 할 콘크리트 표면을 면처리한 후, 그 위에 피복층을 형성하고 메이크업층을 형성시키는 방법, 피복층을 2층으로 형성하고 메이크업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콘크리트의 손상부위를 보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콘크리트 표면에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도록 별도의 메이크업층을 형성시킨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며, 노출콘크리트로 시공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노출콘크리트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노출콘크리트 보수공법은 보수하여야 할 콘크리트 표면을 면처리한 후, 면처리된 콘크리트 표면에 시멘트 피복재를 피복 함으로서 1차피복층을 형성하는 1단계; 상기 1차피복층표면을 면처리한 후, 면처리된 1차피복층 표면에 시멘트 피복재를 스프레이 건으로 도포 함으로서 2차피복층을 형성하는 2단계; 상기 2차피복층 표면을 면처리한 후, 면처리된 2차피복층 표면에, 시멘트 안료를 성분으로 하는 메이트업(MAKE UP)층을 형성하는 3단계; 상기 메이크업(MAKE UP)층 표면에, 발수제를 도포하는 4단계를 포함하며, 별도의 시멘트 피복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시멘트층을 콘크리트표면에 형성시킨 후, 상기 메이크업층을 곧 바로 시멘트층 위에 형성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Description

메이크업층을 이용한 노출콘크리트 보수공법{reparing method of exposed concrete using make-up layer contained color pigment }
본 발명은 메이크업층을 이용한 노출콘크리트 보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보수해야할 콘크리트 표면에 백색시멘트 또는 포틀랜트시멘트 층을 피복하거나 상기 2시멘트를 혼합하여 피복한 후, 메이크업층을 별도로 피복하고 발수제를 도포함으로서 노출콘크리트의 표면의 질감과 미감을 살리는 방법, 보수해야할 콘크리트 표면에 시멘트 피복재를 이용하여 1차 및 1, 2차피복층을 피복한 후, 메이크업층을 별도로 피복하고 발수제를 도포함으로서 노출콘크리트를 보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노출콘크리트 공법은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표면이 직접 외부에 노출되도록 마감함으로서, 콘크리트의 자체의 질감을 미학적으로 표현하여 일반 콘크리트구조물의 조소적인 미감을 살리고, 별도의 대리석 판넬 등과 같은 외장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외장재설치비용의 절감과 같은 경제적인 장점을 살리고, 대형철근콘크리트 구조물(공항의 대형관제탑 등)과 같이 콘크리트 열화문제만 해결되면 굳이 외장재를 사용할 필요없이 기본적인 콘크리트 표면의 미감을 살릴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되는 철근콘크리트 마감방법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종래의 노출콘크리트의 공법은 콘크리트 중성화 등과 같이 콘크리트 열화문제를 해결하면서, 노출콘크리트의 미감을 살릴 수 있는 방법이 노출콘크리트 개발의 초점이 집중되었으며, 이는 콘크리트 표면의 피복층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결합재의 개발측면과 노출콘크리트의 표면 질감을 살릴 수 있는 방법의 개발로 크게 요약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결합재의 개발은 기존 콘크리트 표면이 산성비, 탄산가스 등과 같은 외부조건에 의한 콘크리트 표면의 열화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적 안전에 끼치는 악영향을 해결하기 위해 보수재로 사용되는 시멘트를 선택하고, 상기 시멘트의 표면에의 결합, 시멘트 입자의 분산 등과 효과를 위해 물, 경화제, 소포제 등을 이용하고 선택적으로 방부제, 향료 및 안료를 콘크리트 결합재에 혼합하는 방법이 이용되며,
상기 노출콘크리트의 표면 질감을 살릴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은 기본적으로 안료를 보수재에 섞거나, 특수거푸집 즉 거푸집 내면에 콘크리트 표면의 광택을 발생하기 위한 각종 필름을 이용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노출콘크리트의 콘크리트 결합재의 개발은 근본적으로 기존의 시멘트 및 각종 시멘트입자의 결합 및 분산을 위한 재료의 선택에 따라 나름의 특성을 발휘하기 때문에 범용적인 결합재의 개발보다는 현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사용용도 및 기능에 따라 결정되어야 경우가 많다. 따라서 콘크리트 결합재는 노출된 콘크리트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결합재를 선택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에 따라선택적으로 보조재료를 선택하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노출콘크리트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외부에 표시되는 표면색상 및 상기 색상에 의하여 표현되는 질감을 얼마나 확보할 수 있는 가가 가장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종래의 콘크리트 결합재의 개발은 콘크리트 자체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성분 및 그 혼합비율에 대한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표면 콘크리트의 가장 중요한 기능인 다양한 색상변화에 따른 표면 질감의 경제적인 확보에 그다지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콘크리트 표면에 광택을 위한 거푸집 내면에 고가의 필름을 일일이 부착하는 번거로운 방법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표면에 결합되는 시멘트 피복층으로서의 기능을 최소한의 비용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재료(제1피복재 및 제2피복재)를 선택하여 확보하고, 노출콘크리트의 가장 중요한 기능인 콘크리트 표면의 다양한 색상 및 그 색상에 의한 질감을 확보할 수 있도록 별도의 메이크업층을 형성함으로서 노출콘크리트로서 시공되지 않은 콘크리트 표면 및 노출콘크리트로 시공된 곳을 보수할 수 있는 공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노출콘크리트의 보수재로서 시멘트 피복층의 구성성분이 되는 제1피복재 및 제2피복재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이용하고, 별도의 메이크업층을 콘크리트 표면, 제1피복재 와 제2피복재의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형성시킨 제1피복층 또는 제2피복층 상부면에 형성시키는 방법을 이용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총중량에 대하여 통상의 고미분말 포틀랜트시멘트, 베오바 아세트산 비닐(vinil acetate veova)를 성분으로 하는 분말합성수지, 탄산칼슘을 성분으로 하는 무기질계 분말 및 벤토나이트, 물, 방수제, 접작강화제를 혼합한 혼화제를 일정한 중량%로 혼합한 제1피복재와 총중량에 대하여 고미분말 백색시멘트, 베오바 아세트산 비닐(vinil acetate veova)를 성분으로 하는 분말합성수지, 탄산칼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무기질계 분말 및 벤토나이트, 물, 방수제, 접작강화제를 혼합한 혼화제를 일정한 중량%로 혼합한 제2피복재를 일정비율로 혼합시켜 제조되는 노출콘크리트의 보수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표면에 통상의 시멘트 층을 형성시킨 후 그 표면, 콘크리트 표면에 형성된 제1피복층 표면 , 콘크리트 표면에 제1피복층 및 제2피복층을 차례로 형성시키고 그 위에 별도의 메이크업층을 형성시킴으로서 콘크리트의 원래의 색깔과 주위 환경과 가장 어울리는 노출콘크리트의 보수방법 및 노출콘크리트로 마감되지 않은 비노출 콘크리트도 상기 메이크업층으로 인하여 노출콘크리트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콘크리트 표면에 시멘트층을 형성시킨 후, 메이크업층을 그 위에 형성시켜 노출콘크리트를 보수하는 방법을 도시한 노출콘크리트의 부분단면 확대도이다.
도2는 콘크리트 표면에 제1피복층을 형성시킨 후, 메이크업층을 그 위에 형성시켜 노출콘크리트를 보수하는 방법을 도시한 노출콘크리트의 부분단면 확대도이다.
도3은 콘크리트 표면에 제1피복층 및 제2피복층을 형성시킨 후, 메이크업층을 그 위에 형성시켜 노출콘크리트를 보수하는 방법을 도시한 노출콘크리트의 부분단면 확대도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보수하여야 콘크리트표면 20:시멘트 피복층
30:1차피복층 40:2차피복층
50:메이크업층
본 발명의 구체예를 도1 내지 도3을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층(50)을 이용한 노출콘크리트 보수공법의 구체예는 3가지로 구별된다. 제1구체예는 보수해야할 콘크리트 표면에 시멘트 피복층(20) 및 메이크업층(50)을 형성시키는 방법이며, 제2구체예는 보수해야할 콘크리트 표면에 1차피복층(30) 및 메이크업층(50)을 형성시키는 방법이며, 제 3구체예는 보수해야할 콘크리트 표면에 1차피복층(30), 2차피복층(40) 및 메이크업층(50)을 형성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제1구체예의 노출콘크리트 표면에 시멘트 피복층(20)및 메이크업층(50)을 형성시키는 방법의 단계는, 보수하여야 할 콘크리트 표면(10)을 면처리한 후, 면처리된 콘크리트 표면(10)에 시멘트 피복재를 피복함으로서 시멘트 피복층(20)을 형성하는 1단계; 상기 시멘트 피복층(20) 표면을 면처리한 후, 면처리된 시멘트 피복층(20) 표면에, 시멘트 안료를 성분으로 하는 메이크업(MAKE UP)층(50)을 형성하는 2단계; 상기 메이크업(MAKE UP)층(50) 표면에, 발수제를 도포하는 3단계를 포함하며, 도1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보수해야할 콘크리트 표면은 외부환경에 직접 노출되어 어느 정도 콘크리트 표면이 손상되어 콘크리트 내부로부터 이물질이 방출된 후, 얼룩져 적층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메이크업층을 형성시키기 전에 메이크업층의 바탕이 되는 시멘트 피복층이 보수할 콘크리트 표면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콘크리트 표면 전체 또는 일부분을 샌딩작업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한다. 나아가 샌딩작업으로 이물질이 제거되는 않는 경우에는 그라인딩 작업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필요한 경우 에어건(air gun)으로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한다.
보수하여야 할 콘크리트 표면에 경제적인 문제 또는 신속한 작업이 요구될 때와 같이 아래에서 설명되는 제1피복재 및 제2피복재를 혼합한 제1피복층 과 제2피복층을 굳이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 또는 대형구조물에서 단순히 노출콘크리트 표면에 다양한 색상에 의한 질감만을 표현하고자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시멘트를 물과 혼합하여 노출콘크리트 표면(10)을 상기와 같이 면처리한 후 시멘트 피복층(20)을 형성시키고, 상기 시멘트 피복층(20) 표면에 메이크업층(50)을 형성시킨다.
시멘트 피복층(20)은 포틀랜트 시멘트와 물을 혼합한 시멘트페이스트로 제조된 시멘트 피복재로 형성된 층이다.
메이크업층(50)은 시멘트안료를 스프레이건으로 상기 시멘트 피복층(20) 표면 전체 또는 일부분을 사포 등으로 이물질을 제거한 후 도포함으로서 형성된다. 통상의 노출콘크리트의 보수방법은 철근콘크리트의 구조적 보강을 위해 피복층의 구성재료에 안료를 섞기도 하지만 이로서 노출콘크리트 자체의 조소적인 질감을 표현하기에는 부족함이 많았다. 노출콘크리트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주위환경과 어울리는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것이나 단순히 안료가 포함된 피복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서 본래의 목적과는 달리 콘크리트의 조소적인 질감을 전혀 표현하지 못해 재시공 등의 단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색상표현에 유리한 재료를 혼합하여 색상발현에 유리한 상태를 만들고 별도로 메이크업층(50)을 시멘트 피복층(20)의 표면에 형성시켜 본래의 노출콘크리트의 형성목적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메이크업층(50)에 이용되는 시멘트 안료는 내광, 내후성, 내알칼리성이 좋고 색강도가 높고 변색 및 탈색이 되지 않아야 하며, 무엇보다도 구조물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등 콘크리트의 열화를 유의해야 하므로 아래에서 설명되는 시멘트 피복재(제1피복재 및 제2피복재)의 시멘트 중량의 3-6 중량%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료는 종류에 따라 다양한 색상(적색, 흑색, 갈색, 황색 등)에 따라 산화철계, 산화크롬, 코발트 블루 등의 안료가 사용될 수 있다. 메이크업층(50)을 형성시킨 후에는 그 표면을 발수제를 도포하여 최종마무리한다. 발수제는 모세관 침투작용으로 장기간 습기 침투를 막고, 변색, 자외선에 대한 뛰어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고온 또는 저온에서 박리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며 수분 흡수율(방수성)과 불연성으로 동해 방지(풍화억제)능력이 뛰어나 외관의 미려함을 보존할 수 있게 한다. 침투성 발수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붓, 롤러, 저압 스프레이로서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제2구체예의 노출콘크리트 표면에 제1차피복층(30)및 메이크업층(50)을 형성시키는 방법의 단계는, 보수하여야 할 콘크리트 표면(10)을 면처리한 후, 면처리된 콘크리트 표면(10)에 시멘트 피복재를 피복 함으로서 1차피복층(30)을 형성하는 1단계; 상기 1차피복층(30) 표면을 면처리한 후, 면처리된 1차피복층(30) 표면에, 시멘트 안료를 성분으로 하는 메이크업(MAKE UP)층(50)을 형성하는 2단계; 상기 메이크업(MAKE UP)층(50) 표면에, 발수제를 도포하는 3단계를 포함하며, 도2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보수해야할 콘크리트 표면은 외부환경에 직접 노출되어 어느 정도 콘크리트 표면이 손상되어 콘크리트 내부로부터 이물질이 방출된 후, 얼룩져 적층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메이크업층을 형성시키기 전에 메이크업층의 바탕이 되는 제1피복층이 보수할 콘크리트 표면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콘크리트 표면 전체 또는 일부분을 샌딩작업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고, 샌딩작업으로 이물질이 제거되는 않는 경우에는 그라인딩 작업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필요한 경우 에어건(air gun)으로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은 상기 제1구체예와 동일하다. 단지 제2구체예는 제1구체예와는 달리 콘크리트 표면과 메이크업층 사이에 제1피복층을 추가로 형성시키는 점이 상이하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피복층을 형성시킴으로서 열화된 콘크리트 표면을 보강한 상태에서 노출콘크리트의 본래의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에서, 시멘트 피복재를 이용하여 면처리된 콘크리트 표면(10)에 1차피복층(30)을 흙손을 이용한 빠데(putty)작업과 같이 수작업으로 형성시킨다.
상기 시멘트 피복재는 제1피복재와 제2피복재를 1:0.1-1 비율로 혼합한 것이며, 제1피복재는 고미분말 포틀랜트 시멘트, 분말합성수지, 무기질계분말 및 혼화제를 일정 중량%로 혼합한 것이고, 제2피복재는 고미분말 백색 시멘트, 분말합성수지, 무기질계분말 및 혼화제를 일정 중량%로 혼합한 것이다.
제1피복재의 고미분말 포틀랜트 시멘트는 총 중량에 대하여 48.7-50 중량%를 혼합한다. 고미분말의 포틀랜트 시멘트는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재료를 사용하며, 분말도가 높은 포틀랜트 시멘트를 사용함으로서 시멘트의 입자의 분산이 빨라 빠른 시간 내에 시멘트가 경화되는 효과가 있다. 분말도는 보수하여야 할 콘크리트가 사용된 구조물 및 시공작업의 공기에 따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조물에 따라 내구성 확보가 중요한 구조물인 경우에는 시멘트의 분말도 정도의 골재를 첨가할 수 있다. 고미분말의 포틀랜트 시멘트에 물이 첨가된 경화체는 손상된 노출콘크리트의 내구성 등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1피복재를 피복한 후에도 크랙이 가거나 벗겨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효과를 실험하기 위해 상기 중량%로 조성한 제1피복재의 시험성능(시공 후 크랙유무, 내충격성, 내구성)을 도시한 표1(건자재 시험연구소의 시험결과표)에서 알 수 있듯이 제1피복재를 형성시킨 후에도 금이 가지 않고, 벗겨지지 않으며 팽창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제1피복재의 분말합성수지는 총 중량에 대하여 1.9-2.1 중량%를 혼합한다. 분말합성수지는 상기 시멘트 피복재가 콘크리트 표면에의 부착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수지의 일종으로서 베오바 아세트산 비닐수지(vinil acetate veova resin)를 이용한다. 아세트산 비닐수지는 아세트산 비닐을 에멀션화 중합시켜 얻은 합성수지로서 접착제로 쓰이며, 베오바 아세트산 비닐수지는 접착력을 강화시킨 것으로서 제1피복재의 시험성능(시공 시 양생에 따른 부착강도)을 도시한 표1(건자재 시험연구소의 시험결과표)에서 알 수 있듯이 제1피복재를 형성시킨 후 설사 양생에 문제(노출콘크리트 피막층 자체가 양호하더라도 적절한 양생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피복효과가 절감되는 문제점)가 있더라도 충분한 부착강도를 확보시키는 역할을 하게된다. 시멘트 피복재의 부착강도의 확보를 위하여 첨가되는 분말합성수지의 총중량에 대하여 95 중량% 이상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피복재의 무기질계 분말은 총 중량에 대하여 43.8-45 중량%를 혼합한다. 상기 무기질계 분말은 탄산칼슘을 구성성분으로 한다. 탄산칼슘은 무기안료로 쓰이는 것으로서 백색도 및 불투명도가 우수하여 색도조절이 용이하며, 피막재의 균질성이 보장되며(입도 및 색도), 친수성이 높은 안료이다. 탄산칼슘에 물을 가하고 탄산가스를 통과한 침강탄산칼슘을 이용하게 되면 입자는 미세하여 흡유량은 천연 탄산칼슘보다 크고 안료 중에서 침전이 적은 장점이 있다. 시멘트 피복재의 경제적인 안료의 첨가를 위하여 첨가되는 무기질계의 분말의 총중량에 대하여 탄산칼슘을 95 중량% 이상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계면활성제 등과 같은 보조제를 첨가할 수 있다.
제1피복재의 혼화제는 총 중량에 대하여 4-5.6 중량%를 혼합한다. 상기 혼화제는 물, 벤토나이트, 접착증강제 및 방수제를 혼합하여 형성된다. 물은 시멘트의 수화작용을 위한 것이며, 벤토나이트는 얼룩진 노출콘크리트의 표백뿐 아니라, 냄새를 제거하는 효과를 위한 것이며, 물에서의 팽윤성, 물흡수성, 낮은 물 투과성에 의해 방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접착증강제는 제1피복제의 접작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주성분은 변성고분자 에멀젼 수지로서 콘크리트에 대한 강력한 접착 성능과 균열방지, 내수성 향상, 작업성 개선 등을 위한 것이다. 방수제는 제1피복재의 방수성능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시멘트 방수용이 이용되며 접착증강제 및 방수제의 성능이 조합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벤트나이트는 혼화제 총중량의 50 중량% 이상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피복재의 경우, 상기 제1피복재와는 달리 포틀랜트 시멘트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백색시멘트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가장 큰 차이가 있으며, 분말합성수지, 무기질계분말 및 혼화제를 구성성분으로 하는 것은 제1피복재와 동일하다.
제2피복재의 고미분말 백색 시멘트는 총 중량에 대하여 70.6-72 중량%를 혼합한다. 백색 시멘트는 철분이 적은 백색점토와 석회석을 사용하고 연료에는 중유 등을 사용해서 제조한 시멘트 백색 포틀랜드시멘트를 말한다. 시멘트를 제조하는 데 있어 원료의 철분을 제거하고, 소성할때는 매연이 적은 석유 연료를 사용하며, 분쇄는 철구 대신 경질석재 또는 자기를 사용하는 등, 시멘트색의 원인이 되는 것을 제거해서 만들어진다. 주로 외장 모르타르에 쓰이는 것으로, 강도는 보통 포틀랜드시멘트보다 약한 반면 콘크리트의 표면의 백색 표현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백색시멘트를 상기 중량%로 조성한 제2피복재의 성능(시공 후 크랙유무, 내충격성, 내구성)을 도시한 것이 표2이다. 즉 백색시멘트를 사용하더라도 포틀랜트 시멘트를 사용한 때와 비교하여 강도 측면에서 문제없음을 보이고 있다.
제2피복재의 분말합성수지는 총 중량에 대하여 1.8-2.0 중량%를 혼합하며, 상기 제1피복재의 것과 동일한 것으로서 제2피복재의 시험성능(시공 시 양생에 따른 부착강도)을 도시한 표2(건자재 시험연구소의 시험결과표)에서 알 수 있듯이 제2피복재를 형성시킨 후 설사 양생에 문제(노출콘크리트 피막층 자체가 양호하더라도 적절한 양생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피복효과가 절감되는 문제점)가 있더라도 충분한 부착강도를 확보시키는 역할을 하게되며, 시멘트 피복재의 부착강도의 확보를 위하여 첨가되는 분말합성수지의 총중량에 대하여 95 중량% 이상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피복재의 무기질계 분말은 총 중량에 대하여 18.7-19.5 중량%를 혼합한다. 무기질계분말도 제1피복재와 동일한 성분으로서 같은 역할을 하며, 총중량의 95 중량% 이상을 탄산칼슘으로 하는 것도 동일하다.
제2피복재의 혼화제는 총 중량에 대하여 6.7-8.7 중량%를 혼합한다. 혼화제도 제1피복재와 동일한 성분으로서 같은 역할을 하며, 시멘트 피복재의 시멘트 총중량에 대하여 3-6 중량%를 함량으로 하는 것도 동일하다.
1차피복층(30)을 형성시킨 후, 상기 1차피복층 표면에 메이크업층(50)을 형성하는 방법은 제1구체예와 동일하다. 즉 1차피복층 표면을 면처리한 후에 스프레이건으로 메이크업층(50)을 형성시키고, 메이크업층(50) 위에 발수제를 도포함으로서 마감하여 완성한다.
상기 제3구체예의 보수해야할 콘크리트 표면에 1차피복층(20), 2차피복층(30) 및 메이크업층(40)을 형성시키는 방법의 단계는, 보수하여야 할 콘크리트 표면(10)을 면처리한 후, 면처리된 콘크리트 표면(10)에 시멘트 피복재를 피복 함으로서 1차피복층(30)을 형성하는 1단계; 상기 1차피복층(30) 표면을 면처리한 후, 면처리된 1차피복층(30) 표면에 시멘트 피복재를 스프레이 건으로 도포 함으로서 2차피복층(40)을 형성하는 2단계; 상기 2차피복층(40) 표면을 면처리한 후, 면처리된 2차피복층(40) 표면에, 시멘트 안료를 성분으로 하는 메이크업(MAKE UP)층(50)을 형성하는 3단계; 상기 메이크업(MAKE UP)층(50) 표면에, 발수제를 도포하는 4단계를 포함하며, 도3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보수해야할 콘크리트 표면은 외부환경에 직접 노출되어 어느 정도 콘크리트 표면이 손상되어 콘크리트 내부로부터 이물질이 방출된 후, 얼룩져 적층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메이크업층을 형성시키기 전에 메이크업층의 바탕이 되는 제1피복층이 보수할 콘크리트 표면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콘크리트 표면 전체 또는 일부분을 샌딩작업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고, 샌딩작업으로 이물질이 제거되는 않는 경우에는 그라인딩 작업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필요한 경우 에어건(air gun)으로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은 상기 제1구체예 및 제2구체예와 동일하다. 단지 제3구체예는 제2구체예와는 달리 콘크리트 표면과 메이크업층 사이에 제1피복층뿐만 아니라 제1피복층 표면에 제2피복층(40)을 추가로 헝성시키는 점이 상이하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2피복층을 형성시킴으로서 제1피복층의 형성이 수작업에서 발생하는 비평활성 등을 보완할 수 있으며, 메이크업층의 색상발현에 유리하다.
보수하여야 할 콘크리트 표면의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에서, 시멘트 피복재를 이용하여 면처리된 콘크리트 표면(10)에 1차피복층(30)을 형성시키는 것은 상기 제2구체예와 동일하다.
1차피복층(30)을 형성시킨 후, 1차피복층 표면을 면처리한다. 1차피복층의 면처리는 제1구체예의 샌딩작업 등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2차피복층(40)이 1차피복층(30) 표면에 잘 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피복층(30)의 면처리 후에는 그 표면에 제2피복층(40)을 형성시킨다. 제1피복층(30)을 흙받이손으로 빠데(putty)작업을 통한 수작업으로 형성시키는 반면 제2피복층(40)은 스프레이건으로 제1피복층(30) 표면을 신속하게 처리한다. 이는 제2피복층의 경우 수작업으로 형성된 제1피복층은 달리 표면의 평활성이 다소 떨어지게 때문에 일정한 두께로 신속하게 피복층을 형성시킬 수 있고 피복층의 평활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스프레이 건을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제1피복층을 형성시키면서 손상이 심한 콘크리트 표면은 미리 수작업을 통해 확인하면서 다른 부분보다 유의하여 피복층을 형성시킨 상태이므로 제2피복층은 기계작업을 이용하여 일정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동일한 두께, 평활성이 유지되어 메이크업층의 색상발현이 면 상태에 따른 차이가 없다.
제2피복층은 시멘트 피복재를 이용하여 형성시킨 것으로서, 상기 시멘트 피복재는 제1피복재와 제2피복재를 1:1 비율로 혼합한 것이며, 제1, 2피복재의 성분 및 함량은 상기 제2구체예와 동일하다. 즉 시멘트 피복재의 제1피복재 와 제2피복재의 혼합비율이 다른데(1:01-1==>1:1) 이는 제2피복재가 주로 색상발현에 유리한 성분 및 함량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그 비율을 높인 것이다.
제1피복층(30) 및 제2피복층(40)을 노출콘크리트 표면에 형성시킨 후에는, 제2피복층(40) 표면에 메이크업층(50)을 형성시키기 위해 제2피복층(30)에 사포 작업하여 표면의 평활성을 다시 조정하면서 이물질이 있는 경우 제거한다. 제2피복층(40)표면에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메이크업층(50)이 형성되기 때문에 색상발현을 위한 이물질 제거작업이 매우 중요하다. 필요에 따라 제2형성층의 전부 또는 일부를 면처리한다.
메이크업층(50)의 성분 및 형성방법은 제2구체예와 동일하다.
메이크업층(50)을 형성시킨 후에는 그 표면을 발수제를 도포하여 최종마무리하는 것도 제2구체예와 동일하다.
표1 (제1피복제의 시험성적표)
시험항목 시험규격 시험결과
연도변화 ± 20% 이하 이상없음
부 착강 도 표준양생 0.7N/㎟ 이상 1.3
저온양생 0.5N/㎟ 이상 0.9
시공후 크랙의 유무 금이가지 않을것 이상없음
내충격성 금이가지 않거나 벗겨지지 않을 것 이상없음
흡수량 2.0 g 이하 0.65
내구성 금이 가거나 팽창 또는 벗겨짐이 없고 부착강도가 0.7N/㎟ 이상이 될 것 1.4
표2 (제2피복제의 시험성적표)
시험항목 시험규격 시험결과
연도변화 ± 20% 이하 이상없음
부 착강 도 표준양생 0.7N/㎟ 이상 1.4
저온양생 0.5N/㎟ 이상 1.0
시공후 크랙의 유무 금이가지 않을것 이상없음
내충격성 금이가지 않거나 벗겨지지 않을 것 이상없음
흡수량 2.0 g 이하 0.7
내구성 금이 가거나 팽창 또는 벗겨짐이 없고 부착강도가 0.7N/㎟ 이상이 될 것 1.5
본 발명은 제1피복제 및 제2피복제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피복재를 콘크리트 표면에 제1피복층과 제2피복층으로 형성시켜 노출콘크리트의 구조적 보강재역할을 하게함으로서 노출콘크리트 표면을 보수하고, 상기 제1피복층 및 제2피복층 표면에 별도의 메이크업층을 형성시켜 마감함으로서 노출콘크리트의 가장 중요한 구조물과 주위의 환경과의 색상에 조소적 질감을 확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며, 신속한 작업이 요구되는 경우 노출콘크리트 표면에 제1피복층만을 형성한 후 메이크업층으로 마감할 수 있으며, 비노출콘크리트 표면에도 별도의 메이크업층을 형성시킬 수 있어 노출콘크리트 본래의 목적을 달성한다.

Claims (11)

  1. 보수하여야 할 콘크리트 표면(10)을 면처리한 후, 면처리된 콘크리트 표면(10)에 시멘트 피복재를 피복함으로써 시멘트 피복층(20)을 형성하는 1단계;
    상기 시멘트 피복층(20) 표면을 면처리한 후, 면처리된 시멘트 피복층(20) 표면에 시멘트 안료를 성분으로 하는 메이크업(MAKE UP)층(50)을 형성하는 2단계;
    상기 메이크업(MAKE UP)층(50) 표면에, 발수제를 도포하는 3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시멘트 피복층(20)을 형성하는 시멘트 피복재는,
    총 중량에 대하여, 48.7-50 중량%의 고미분말 포틀랜트시멘트, 1.9-2.1 중량%의 분말합성수지, 43.8-45 중량%의 무기질계분말 및 4-5.6중량%의 혼화제를 혼합한 제1피복재와,
    총 중량에 대하여, 70.6-72 중량%의 고미분말 백색시멘트, 1.8-2.0 중량%의 분말합성수지, 18.7-19.5 중량%의 무기질계분말 및 6.7-8.7 중량%의 혼화제를 혼합한 제2피복재를 1 : 0.1 내지 1의 비율로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층을 이용한 노출콘크리트 보수공법.
  2. 보수하여야 할 콘크리트 표면(10)을 면처리한 후, 면처리된 콘크리트 표면(10)에 시멘트 피복재를 피복함으로써 1차피복층(30)을 형성하는 1단계;
    상기 1차피복층(30) 표면을 면처리한 후, 면처리된 1차피복층(30) 표면에 시멘트 피복재를 스프레이 건으로 도포함으로써 2차피복층(40)을 형성하는 2단계;
    상기 2차피복층(40) 표면을 면처리한 후, 면처리된 2차피복층(40) 표면에, 시멘트 안료를 성분으로 하는 메이크업(MAKE UP)층(50)을 형성하는 3단계;
    상기 메이크업(MAKE UP)층(50) 표면에, 발수제를 도포하는 4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1차피복층(30)과 2차피복층(40)을 형성하는 시멘트 피복재는,
    총 중량에 대하여, 48.7-50 중량%의 고미분말 포틀랜트시멘트, 1.9-2.1 중량%의 분말합성수지, 43.8-45 중량%의 무기질계분말 및 4-5.6중량%의 혼화제를 혼합한 제1피복재와,
    총 중량에 대하여, 70.6-72 중량%의 고미분말 백색시멘트, 1.8-2.0 중량%의 분말합성수지, 18.7-19.5 중량%의 무기질계분말 및 6.7-8.7 중량%의 혼화제를 혼합한 제2피복재를 1 : 0.1 내지 1의 비율로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층을 이용한 노출콘크리트 보수공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혼화제는 총중량에 대하여 50 중량% 이상 벤토나이트를 포함하고, 물, 방수제 및 접착강화제가 더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층을 이용한 노출콘크리트 보수공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메이크업층(50)은 피복층(20,30,40)을 형성하는 피복재의 시멘트 총 중량에 대하여 3 - 6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층을 이용한 노출콘크리트 보수공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분말합성수지는 총중량에 대하여, 베오바 탄산비닐수지(vinil acetate veova)를 95 중량%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층을 이용한 노출콘크리트 보수공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무기질계분말은 총중량에 대하여, 탄산칼슘을 95 중량%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층을 이용한 노출콘크리트 보수공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1-0026079A 2001-05-14 2001-05-14 메이크업층을 이용한 노출콘크리트 보수공법 KR100424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079A KR100424956B1 (ko) 2001-05-14 2001-05-14 메이크업층을 이용한 노출콘크리트 보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079A KR100424956B1 (ko) 2001-05-14 2001-05-14 메이크업층을 이용한 노출콘크리트 보수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9825A KR20010069825A (ko) 2001-07-25
KR100424956B1 true KR100424956B1 (ko) 2004-03-30

Family

ID=19709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6079A KR100424956B1 (ko) 2001-05-14 2001-05-14 메이크업층을 이용한 노출콘크리트 보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49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312B1 (ko) 2012-05-31 2013-09-03 남효남 노출콘크리트 면처리마감 방법
KR101341982B1 (ko) 2012-09-13 2013-12-16 이정우 인공폭포에 사용되는 인공암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079B1 (ko) * 2001-06-05 2003-11-10 김순연 산업용 노출 콘크리트 바닥의 마감 방법
KR20040023194A (ko) * 2002-09-11 2004-03-18 이래형 콘크리트 중성화 방지용 콤비공법
KR100882515B1 (ko) * 2008-09-10 2009-02-09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기계식 분사를 이용한 건축용 콘크리트면의 시공방법
KR101139942B1 (ko) * 2009-03-23 2012-04-30 임채열 노출콘크리트 표면의 보수 및/또는 보강공법
KR102601829B1 (ko) * 2023-06-26 2023-11-14 장인성 바르는 노출 콘크리트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콘크리트를 보수 및 마감 시공하는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8213A (ja) * 1994-08-29 1996-03-12 Nichiee Yoshida Kk 経年劣化し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仕上げ方法
JPH08151757A (ja) * 1994-11-30 1996-06-11 Shigeyuki Yamada コンクリート打放し状表面の防水仕上方法及び防水仕上材
KR19980075891A (ko) * 1997-04-03 1998-11-16 이상근 노출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제
KR20000017876A (ko) * 1999-12-24 2000-04-06 김재욱 시멘트혼입 에폭시수지계 바탕조정재 및 시공법
KR20010016764A (ko) * 1999-08-03 2001-03-05 류중근 복합 방수구조를 갖는 콘크리트의 시공방법
KR20010106813A (ko) * 2000-05-23 2001-12-07 송병창 콘크리트바탕의 내구성 향상 및 재생보수를 위한통기발수형 바닥 마감공법
KR20020003689A (ko) * 2000-06-27 2002-01-15 김무홍 콘크리트 구조물의 원형복원공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8213A (ja) * 1994-08-29 1996-03-12 Nichiee Yoshida Kk 経年劣化し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仕上げ方法
JPH08151757A (ja) * 1994-11-30 1996-06-11 Shigeyuki Yamada コンクリート打放し状表面の防水仕上方法及び防水仕上材
KR19980075891A (ko) * 1997-04-03 1998-11-16 이상근 노출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제
KR20010016764A (ko) * 1999-08-03 2001-03-05 류중근 복합 방수구조를 갖는 콘크리트의 시공방법
KR20000017876A (ko) * 1999-12-24 2000-04-06 김재욱 시멘트혼입 에폭시수지계 바탕조정재 및 시공법
KR20010106813A (ko) * 2000-05-23 2001-12-07 송병창 콘크리트바탕의 내구성 향상 및 재생보수를 위한통기발수형 바닥 마감공법
KR20020003689A (ko) * 2000-06-27 2002-01-15 김무홍 콘크리트 구조물의 원형복원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312B1 (ko) 2012-05-31 2013-09-03 남효남 노출콘크리트 면처리마감 방법
KR101341982B1 (ko) 2012-09-13 2013-12-16 이정우 인공폭포에 사용되는 인공암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9825A (ko) 2001-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74425A1 (en) Fiber cement flooring products and methods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0942723B1 (ko) 무기계 폴리머 스톤몰탈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US6365662B1 (en) Non-slip artificial stone
US4721634A (en) Simulated marble
KR101881130B1 (ko) 장식용 바닥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 공법
KR100478446B1 (ko) 건축용 수지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0424956B1 (ko) 메이크업층을 이용한 노출콘크리트 보수공법
US20160369113A1 (en) Decorative colored particle dispersion for use in surface coating compositions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1139942B1 (ko) 노출콘크리트 표면의 보수 및/또는 보강공법
KR102351177B1 (ko) 단면보수용 시멘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4434994B2 (ja) 壁面化粧構造体
KR100320917B1 (ko) 무기질계 분말 도장 마감재
JP2750815B2 (ja) 打放し調仕上げ方法
KR0136641B1 (ko) 논슬립 및 방수성을 갖는 수지포장재 및 그 포장시공방법
JPH09316371A (ja) 塗装材
KR0127242B1 (ko) 바닥마감재 부착용 접착제(Floor covering adhesive)
KR102621133B1 (ko) 칼라안료와 무기질안료가 포함되어 강화된 컬러도막강화제 및 그 제조방법
JP2728131B2 (ja) 防水工法
KR102312545B1 (ko) 친환경 모르타르 방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20083340A (ko) 주거용 건축물 지붕 방수시공법
JPH10236889A (ja) コンクリート打放し状表面の防水仕上方法
JP2002070297A (ja) 床塗膜積層工法
CN107268927A (zh) 一种软体石材
JP3171429B2 (ja) コンクリート面の色合わせ修復工法及び模様付けローラーによるコンクリート斑点模様再現方法
KR102348568B1 (ko) 무기질안료가 포함된 도막강화제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