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4340B1 - 노래반주장치의 저장매체 운영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노래반주장치의 저장매체 운영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340B1
KR100424340B1 KR10-2001-0049646A KR20010049646A KR100424340B1 KR 100424340 B1 KR100424340 B1 KR 100424340B1 KR 20010049646 A KR20010049646 A KR 20010049646A KR 100424340 B1 KR100424340 B1 KR 100424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medium
song
data
accommodating device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5749A (ko
Inventor
윤재환
Original Assignee
태진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진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진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9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4340B1/ko
Publication of KR20030015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3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87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a selection is made among at least two alternative ways of processing
    • G11B2020/10879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a selection is made among at least two alternative ways of processing the kind of record carrier being the selection criter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6Hard dis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시대에 적용되는 노래반주장치에서 미디데이터 이외에 코러스를 위한 엠펙 데이터를 비롯한 동영상 데이터를 제공해야 하므로 보다 용량이 큰 저장매체의 필요성이 대두되게 되었으며, 열악한 노래반주장치 설치점의 환경하에서 에러로 인한 오동작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노래반주장치의 정상 동작을 위해 대용량의 저장매체를 이원화시키는 노래반주장치의 저장매체 운영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은 곡 데이터를 가지는 복수의 저장매체를 구비하고, 복수의 저장매체 중 어느 하나의 저장매체로부터 곡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스위칭수단을 상술한 복수의 저장매체와 제어수단 사이에 구비시켜, 초기에 설정된 저장매체가 오동작을 하는 경우 제어수단이 이를 감지하여 다른 저장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들일 수 있도록 스위칭수단을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시대에 맞추어 곡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대용량의 저장매체를 이원화시키므로서 노래반주장치의 설치점의 열악한 환경하에서 초기 저장매체가 오동작을 하는 경우에도 바로 또 다른 저장매체가 상술한 곡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래반주장치의 동작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노래반주장치의 저장매체 운영장치 및 그 방법{Managing apparatus for storage media in karaoke system and manag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노래반주장치의 저장매체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미디어시대에 적용되는 노래반주장치에서 미디데이터, 코러스를 위한 엠펙 데이터를 비롯한 동영상 데이터(이하 '곡데이터'라 통칭함)를제공해야 하므로 보다 용량이 큰 저장매체의 필요성이 대두되게 되었으며, 열악한 노래반주장치 설치점의 환경하에서 에러로 인한 오동작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노래반주장치의 정상 동작을 위해 대용량의 저장매체를 이원화시키는 노래반주장치의 저장매체 운영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노래반주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주 프로그램 및 시작 프로그램 등과 같이 노래반주장치를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을 가지는 시스템 메모리(10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곡신호 및 노래반주장치를 기능을 조정하기 위한 키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110)와, 상술한 키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선곡신호에 대응하여 곡데이터를 가지는 저장매체(120)와, 상술한 저장매체(120)로부터 선곡신호에 대응하여 읽혀진 곡데이터를 상술한 반주 프로그램에 적용시켜 발생된 오디오신호와 사용자의 마이크신호를 합성시켜 앰프를 통해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처리부(130)와, 상술한 저장매체(120)로부터 읽혀진 곡데이터 중 가사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합성시켜 화면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영상신호 처리부(140)와, 상술한 키입력부(110)의 키신호에 응하여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노래반주장치는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 동작을 간단히 설명하면,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키입력부(110)를 통해 입력한 선곡신호에 대응하여 저장매체(120)에 저장된 곡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이를 시스템 메모리(100)에 저장된 반주프로그램에 적용시켜 반주모드가 수행되도록 한다.
즉, 상술한 곡데이터중 미디데이터 및 코러스를 위한 엠펙 데이터는 오디오신호 처리부(130)를 통해 신호처리되고, 이후 마이크 신호와 합성되어 앰프를 통해 출력된다. 한편, 가사데이터 및 동영상데이터는 영상신호 처리부(140)로 입력되어 신호처리된 후 모니터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제어부(150)는 반주모드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상술한 저장매체(120)는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데, 노래반주장치의 초창기 시절에는 주로 롬(ROM)이 이용되었다. 상술한 롬(ROM)은 안정적이기는 하나 곡데이터를 업그레이드시킬 때마다 매번 롬 자체를 교체시켜야 하기 때문에 업그레이드시킬 때마다 노래반주장치를 분해해야하는 등 매우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후 롬대신에 채용된 것이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이다. 상술한 플래시 메모리의 특성은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 곡데이터를 읽고 쓰기가 가능하다는 점으로써, 쉽게 곡데이터를 업그레이드시킬 수 있다. 그러나 플래시 메모리는 용량이 커질수록 그 가격이 크게 상승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 이외에도 CD(Compact Disk)가 적용될 수 있는데, 노래반주장치에서 요구하는 곡데이터가 늘어감에 따라 단일 CD 시스템에서 3-CD 시스템까지 구현되었다.
그러나, 저장용량을 확대한 3-CD 시스템 또한 늘어가는 곡데이터(특히 코러스를 위한 엠펙 데이터)를 감당하기에 급급하여 동영상 적용시 저장용량의 한계가 도래함과 아울러 열악한 환경속에 오동작이 쉽게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하드디스크(HD)를 저장매체로 채용하게 되었다. 상술한 하드디스크는 노래반주장치의 동작시 필요한 곡데이터를 충분히 저장할 수 있을 만큼의 대 용량을 가지며, 모뎀 등과 같은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신곡 및 그밖에 데이터를 신속히 업그레이드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의 업그레이드시키는 방법은 본 출원인이 1998년 9월 19일자 출원된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17811호 "컴퓨터 노래반주장치"에 반주 프로그램과 시작프로그램을 모뎀이나, 또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업그레이드시키는 방법을 본 발명에 적용시켜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디스크는 대용량이기는 하나, 충격에 약하다는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해 쉽게 에러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노래반주장치가 오동작을 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시대에 적용되는 노래반주장치에서 곡데이터를 제공해야 하므로 보다 용량이 큰 저장매체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열악한 노래반주장치 설치점의 환경하에서 에러로 인해 오동작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노래반주장치의 정상 동작을 위해 대용량의 저장매체를 이원화시키는 노래반주장치의 저장매체 운영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노래반주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장치의 저장매체 운영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인 노래반주장치의 저장매체 운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00 : 제 1 저장매체 210 : 제 2 저장매체
220 : 스위칭부 230 : 영상신호 처리부
240 : 제어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장치는 통신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곡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업그레이드되는 곡데이터를 가지는 제 1 저장매체와, 제 1 저장매체와 동일한 곡데이터를 가지되, 일정기간마다 교체되는 곡데이터를 가지는 제 2 저장매체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응하여 제 1 저장매체 또는 제 2 저장매체의 곡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시키는 스위칭수단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응하여 제 1 저장매체 또는 제 2 저장매체의 오동작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영상신호 처리수단과, 초기구동일 경우 스위칭수단을 통해 제 1 저장매체로부터 곡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스위칭수단을 제어하고, 제 1 저장매체가 오동작을 하게 되는 경우 제 2 저장매체로부터 곡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스위칭수단을 제어하며, 제 1 저장매체 또는 제 2 저장매체가 오동작하는 경우 이에 대한 안내메시지를 화면상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의 방법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곡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술한 사용자에 의해 선곡신호가 입력되는 제 1 저장매체를 체크하고, 제 1 저장매체가 정상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 1 저장매체로부터 곡데이터를 읽어들여 반주모드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술한 제 1 저장매체를 체크한 결과, 제 1 저장매체가 오동작을 하는 경우 제 2 저장매체로부터 곡데이터를 읽어들이기 위해 스위칭수단을 제어하고, 스위칭수단이 제 2 저장매체에 연결된 경우 제 2 저장매체를 체크하며, 체크 결과 제 2 저장매체가 정상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 2 저장매체로부터 곡데이터를 읽어들여 반주모드를 수행하는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장치의 저장매체 운영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곡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업그레이드되는 곡데이터를 가지는 제 1 저장매체(200)와, 상술한 제 1 저장매체(200)와 동일한 곡데이터를 가지되, 일정기간마다 교체되는 곡데이터를 가지는 제 2 저장매체(210)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제 1 저장매체(200) 또는 제 2 저장매체(210)의 곡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칭부(220)와, 제어부(24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응하여 상술한 제 1 저장매체(200) 또는 제 2 저장매체(210)의 오동작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영상신호 처리부(230)와, 초기구동일 경우 상술한 스위칭부(220)를 통해 제 1 저장매체(200)로부터 곡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스위칭부(220)를 제어하고, 상술한 제 1 저장매체(200)가 오동작을 하게 되는 경우 제 2 저장매체(210)로부터 곡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스위칭부(220)를 제어하며, 상술한 제 1 저장매체(200) 또는 제 2 저장매체(210)가 오동작하는 경우 이에 대한 안내메시지를 화면상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40)로 구성된다.
이때, 상술한 제 1 저장매체(200)는 하드디스크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곡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한편, 제 2 저장매체(210)는 DVD로서, 소정 기간마다(예를 들면 매 3개월 마다) 업그레이드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업그레이드된 DVD는 기존에 노래반주장치에 구비된 DVD와 교체된다.
한편 제어부(240)는 최초의 저장매체로 신곡공급에 대한 지연이 없는 하드디스크가 이용될 수 있도록 스위칭부(220)를 제어한다.
미설명 도면 부호 100은 시스템 메모리, 110은 키입력부 및 130은 오디오신호 처리부로서 종래 기술과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인 노래반주장치의 저장매체 운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키입력부(110)를 조작하여 선곡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240)는 이를 인식하고, 스위칭부(220)를 통해 연결된 제 1 저장매체(200)를 체크한다(S300∼S310).
체크 결과, 제 1 저장매체(2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선곡신호에 대응되어 제 1 저장매체(200)에 저장된 곡 데이터를 읽어들여 반주모드를 수행한다(S320∼S330).
또한, 제어부(240)는 사용자로부터 업그레이드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S340)하고, 판단 결과 업그레이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반주모드가 해제상태인지를 판단(S350)한다.
판단 결과 반주모드가 해제된 경우 모뎀 및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 1 저장매체(2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업그레이드시킨다(S360). 상술한 과정(S360)은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명세서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만약 반주모드가 해제상태가 아닌 경우 반주모드를 강제로 해제시키기 위한 취소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S370)한다.
판단 결과 취소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현재 진행중인 반주모드를 강제로 해제(S380)시킨 후 상술한 과정(S360)을 수행하고, 취소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현재 진행중인 반주모드를 수행(S390)한 후 상술한 과정(S360)을 수행한다.
한편, 상술한 과정(S320)의 체크 결과, 제 1 저장매체(200)가 오동작하는 경우 제어부(240)는 노래반주장치에 연결된 모니터의 화면상에 제 1 저장매체(200)가 오동작됨을 알리는 안내메시지를 출력(S400)하고, 스위칭부(220)가 제 2 저장매체(210)로 절환되도록 제어(S410)한다.
그리고, 제어부(240)는 제 2 저장매체(2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를 체크하고, 체크 결과 정상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상술한 선곡신호에 대응하여 제 2 저장매체(2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들여 반주모드를 수행한다(S420∼S440).
상술한 과정(S420)의 체크결과, 제 2 저장매체(210)가 오동작을 하는 경우 제어부(240)는 노래반주장치에 연결된 모니터의 화면상에 제 2 저장매체(210)가 오동작됨을 알리는 안내메시지를 출력(S450)한다. 그리고 제어부(240)는 스위칭부(220)를 제어하여 제 1 저장매체(200)가 연결되도록 하고 상술한과정(S310)부터 반복 수행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시대에 맞추어 곡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대용량의 저장매체를 이원화시키므로서 노래반주장치의 설치점의 열악한 환경하에서 하드디스크가 오동작을 하는 경우에도 바로 또다른 저장매체인 DVD가 선택되어 상술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저장매체가 오동작을 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노래반주장치는 정상적으로 동작한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사용자의 선곡신호에 응하여 저장매체에 저장된 곡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곡데이터를 반주 프로그램에 적용시켜 반주모드가 수행되도록 하는 노래반주장치에 있어서,
    통신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곡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업그레이드되는 곡데이터를 가지는 제 1 저장매체;
    상기 제 1 저장매체와 동일한 곡데이터를 가지되, 일정기간마다 교체되는 곡데이터를 가지는 제 2 저장매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제 1 저장매체 또는 제 2 저장매체의 곡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시키는 스위칭수단;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제 1 저장매체 또는 제 2 저장매체가 오동작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화면상에 출력시키는 영상신호 처리수단; 및
    초기구동일 경우 상기 스위칭수단을 통해 제 1 저장매체로부터 곡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스위칭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저장매체가 오동작을 하게 되는 경우 제 2 저장매체로부터 곡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스위칭수단을 제어하며, 상기 제 1 저장매체 또는 제 2 저장매체가 오동작하는 경우 이에 대한 안내메시지를 화면상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장치의 저장매체 운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매체는,
    하드디스크임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장치의 저장매체 운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저장매체는,
    DVD임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장치의 저장매체 운영장치.
  4.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곡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곡신호가 입력되는 제 1 저장매체를 체크하고, 제 1 저장매체가 정상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 1 저장매체로부터 곡데이터를 읽어들여 반주모드를 수행하는 과정; 및
    상기 제 1 저장매체를 체크한 결과, 제 1 저장매체가 오동작을 하는 경우 제 2 저장매체로부터 곡데이터를 읽어들이기 위해 스위칭수단을 제어하고, 스위칭수단이 제 2 저장매체에 연결된 경우 제 2 저장매체를 체크하며, 체크 결과 제 2 저장매체가 정상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 2 저장매체로부터 곡데이터를 읽어들여 반주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장치의 저장매체 운영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매체는,
    하드디스크임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장치의 저장매체 운영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저장매체는,
    DVD임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장치의 저장매체 운영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반주장치의 저장매체 운영방법은,
    제 1 저장매체 또는 제 2 저장매체가 오동작하는 경우 이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화면상에 출력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장치의 저장매체 운영방법.
KR10-2001-0049646A 2001-08-17 2001-08-17 노래반주장치의 저장매체 운영장치 및 그 방법 KR100424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646A KR100424340B1 (ko) 2001-08-17 2001-08-17 노래반주장치의 저장매체 운영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646A KR100424340B1 (ko) 2001-08-17 2001-08-17 노래반주장치의 저장매체 운영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749A KR20030015749A (ko) 2003-02-25
KR100424340B1 true KR100424340B1 (ko) 2004-03-24

Family

ID=27719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646A KR100424340B1 (ko) 2001-08-17 2001-08-17 노래반주장치의 저장매체 운영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43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803B1 (ko) * 2006-07-26 2007-10-12 주식회사 엔터기술 실시간 저장 및 재생기능을 구비한 영상 노래반주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5134A (ko) * 1993-11-17 1995-06-16 김광호 영상반주 및 홍보 시스템
JPH09146798A (ja) * 1995-11-17 1997-06-06 Taito Corp 通信カラオケ端末
KR0124967B1 (ko) * 1994-01-18 1997-11-28 김해근 자성 저장 매체를 이용한 디지탈 노래 반주 시스템
KR19990009967A (ko) * 1997-07-14 1999-02-05 구자홍 가라오케 시스템의 재생 영상 매칭 방법
KR20000002079A (ko) * 1998-06-11 2000-01-15 구자홍 노래 반주기기와 반주데이터 획득방법
KR20000006979U (ko) * 1998-09-24 2000-04-25 윤재환 코러스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를 갖는 노래반주장치
KR100263315B1 (ko) * 1997-12-30 2000-08-01 유영재 노래반주시스템
KR20010002804A (ko) * 1999-06-17 2001-01-15 윤재환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를 구비하는 노래반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5134A (ko) * 1993-11-17 1995-06-16 김광호 영상반주 및 홍보 시스템
KR0124967B1 (ko) * 1994-01-18 1997-11-28 김해근 자성 저장 매체를 이용한 디지탈 노래 반주 시스템
JPH09146798A (ja) * 1995-11-17 1997-06-06 Taito Corp 通信カラオケ端末
KR19990009967A (ko) * 1997-07-14 1999-02-05 구자홍 가라오케 시스템의 재생 영상 매칭 방법
KR100263315B1 (ko) * 1997-12-30 2000-08-01 유영재 노래반주시스템
KR20000002079A (ko) * 1998-06-11 2000-01-15 구자홍 노래 반주기기와 반주데이터 획득방법
KR20000006979U (ko) * 1998-09-24 2000-04-25 윤재환 코러스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를 갖는 노래반주장치
KR20010002804A (ko) * 1999-06-17 2001-01-15 윤재환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를 구비하는 노래반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749A (ko) 200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24262B2 (ja) オンライン型カラオケシステム
US6989485B2 (en) Electronic music apparatus and program
US7279628B2 (en) Editing apparatus of setting information for electronic music apparatuses
JP2006228098A (ja) データ処理方法、携帯型再生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
US20080307949A1 (en) Automatic Play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Acoustic/Electric Guitar
KR100424340B1 (ko) 노래반주장치의 저장매체 운영장치 및 그 방법
JP4479633B2 (ja) 音響機器設定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9980015989A (ko) 휴대용 재생 전용 전자 독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02804A (ko)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를 구비하는 노래반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0808248B1 (ko)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전자기기
JP3701290B2 (ja) カラオケ録音装置
KR100283800B1 (ko)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의 신곡연습 제어 방법
KR20080039704A (ko) 휴대용 오디오 플레이어 및 그 제어 방법
JPH06250682A (ja) カラオケ装置
KR100283801B1 (ko) 통신제어 장치를 갖는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
JP2641851B2 (ja) 自動演奏装置
JP3282968B2 (ja) カラオケ装置
JP3227886B2 (ja) オンライン型カラオケシステム
JP3161464B2 (ja) カラオケ装置
JP2542721B2 (ja) 初期動作ユニット決定方法
US20050083809A1 (en) Data reproducing apparatus and program for performing a data reproducing process
JPH0830540A (ja) マイコン装置
JP4159439B2 (ja) 電子楽器、楽音発生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2182668A (ja) カラオケ録音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20010048222A (ko) 반도체 저장매체를 갖는 컴퓨터 가요반주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