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3801B1 - 통신제어 장치를 갖는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제어 장치를 갖는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3801B1
KR100283801B1 KR1019980032807A KR19980032807A KR100283801B1 KR 100283801 B1 KR100283801 B1 KR 100283801B1 KR 1019980032807 A KR1019980032807 A KR 1019980032807A KR 19980032807 A KR19980032807 A KR 19980032807A KR 100283801 B1 KR100283801 B1 KR 100283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ong
external
comput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2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2007A (ko
Inventor
박종인
Original Assignee
김승영
주식회사금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영, 주식회사금영 filed Critical 김승영
Priority to KR1019980032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3801B1/ko
Publication of KR19980082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2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801B1/ko

Links

Landscapes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가요반주기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 메모리, 외부 컴퓨터 및 외부 통신 시스템과의 새로운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케 하여 각종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기록하거나 읽어낼 수 있는 통신 제어장치를 갖는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은 미디 데이터, 음성 데이터, 자막 및 영상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곡에 대한 곡번호, 제작날짜, 일련번호 등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형태로 분리 기록된 다수개의 곡정보 칩들이 내장된 곡정보 키장치와, 노래 선곡에 따라 상기 곡정보 키장치의 칩에 기록된 해당곡 및 상기 곡정보 칩에 기록된 일련번호 이전의 곡만 연주 가능토록 제어하는 키 제어부와, 신곡에 관련된 노래반주 정보, 영상정보, 자막정보 등의 데이터가 기록된 각 외부장치들로부터 데이터를 읽어 상기 저장매체에 추가 혹은 수정하고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읽어 상기 외부장치들에 기록하는 통신 제어장치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통신제어 장치를 갖는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
본 발명은 대용량의 저장매체를 갖는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 통신 시스템, 외부 컴퓨터, 외부 메모리로부터의 새로운 데이터의 송/수신을 구현할 수 있는 통신 제어장치를 갖는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에는 미디 데이터, 음성 데이터, 자막 및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대용량 저장매체가 설치되며, 상기 저장매체로는 DVD, CD-ROM, HARD DISK 등이 있다. 여기서 상기 대용량의 저장매체에 신곡을 입력코저 할 때는 통상 가요반주기를 분해한 다음 메모리 보드에 신곡 칩을 내장한 후 다시 조립하여 신곡을 입력시키는 방법과, 또는 상기 가요반주기 자체에 접속할 수 있는 플래시 카드를 사용하여 신곡을 입력시키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하지만, 이는 가요반주기의 분해 및 메모리 보드의 탈착으로 인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쉽게 불법복제가 가능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는 국내 공개 특허공보 제98-4323호(명칭:가요 반주기의 신곡입력 공급장치 및 제어방법)(이하 “제1 선행기술”이라 함)와 특허 공개번호 제95-27814호(명칭: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용 플래시 카드)(이하 “제2 선행기술”이라 함)가 있다.
상기 제1 선행기술은 가요반주기에 최신곡을 입력하는 휴대형 신곡 메모리 모듈과, 상기 휴대형 신곡 메모리 모듈을 가요 반주기와 연결시키는 신곡 접속용 커넥터와, 사용자 입력용 컨트롤 패널과 컨트롤 패널의 신호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와, 곡 데이터를 저장하는 연주용 데이터 메모리와, 휴대형 신곡 메모리 모듈의 신곡을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와, 연주용 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전송받아 오디오 신호로 바꾸어 주는 음원 모듈로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1 선행기술은 휴대형 신곡메모리 모듈에 저장된 신곡을 가요반주기에 내장된 플래시 메모리에 간단히 저장할 수는 있지만 무제한으로 불법복제가 가능해지는 단점이 예상된다.
상기 제2 선행기술은 가요반주기에 설치된 대용량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노래반주 정보, 영상 정보, 자막 정보의 수정 및 신곡에 관련한 노래반주 정보, 영상 정보, 자막 정보의 추가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와,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커맨드를 수신 및 수행하여 상기 플래시 메모리의 일정한 위치에 데이터를 쓰거나,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제1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플래시 메모리의 소정 위치에 데이터를 쓰거나,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하는 플래시 메모리 제어논리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시스템 버스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논리를 포함하여 상기 자성저장매체에 저장된 노래반주 정보와 영상 정보, 자막 정보를 수정하고 신곡과 관련된 노래반주 정보, 영상 정보, 자막 정보를 상기 자성저장매체에 추가하는 플래시 카드로 구성된 것이다. 즉, 상기 플래시 카드는 제작기 고유의 ID(identification)번호를 갖고 대용량의 데이터 저장매체의 고유 ID번호와 일치할 때만 플래시 메모리를 제어하여 데이터가 플래시 카드로부터 저장매체에 저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2 선행기술은 필수적으로 플래시 카드에 플래시 메모리와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추가되어야 함으로 플래시 카드가 복잡하게 되고 또한 상기 플래시 카드의 원가를 상승시키는 단점이 예상된다. 그리고 상기 플래시 카드의 ID번호와 시스템의 ID번호가 다른 경우 타 시스템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가 없으며, 또한 기종이 다른 가요반주기와의 호환성이 결여될 뿐만 아니라 외부 컴퓨터나 외부 통신 시스템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예상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메모리, 외부 컴퓨터 및 외부 통신 시스템과의 새로운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케 하여 각종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기록하거나 읽어낼 수 있는 통신 제어장치를 갖는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내장되어 있지 않는 플래시 카드를 사용하여 신곡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읽어낼 수 있는 통신 제어장치를 갖는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용량의 데이터 저장매체를 갖는 가요반주기의 음악곡 데이터의 불법복제를 방지할 수 있는 통신 제어장치를 갖는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은 미디 데이터, 음성 데이터, 자막 및 영상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를 취합 및 분석하는 중앙처리장치와, 해당 악기음과 음성신호를 합성하여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음성 합성부와, 선곡된 노래의 영상정보 및 자막정보를 선곡된 노래의 반주에 맞도록 동기화하여 모니터를 통해 재생하는 영상 제어부 및 자막 제어부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곡에 대한 곡번호, 제작날짜, 일련번호 등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형태로 분리 기록된 다수개의 곡정보 칩들이 내장된 곡정보 키장치와, 노래 선곡에 따라 상기 곡정보 키장치의 칩에 기록된 해당곡 및 상기 곡정보 칩에 기록된 일련번호 이전의 곡만 연주 가능토록 제어하는 키 제어부와, 신곡에 관련된 노래반주 정보, 영상정보, 자막정보 등의 데이터가 기록된 외부 통신 시스템, 외부 컴퓨터 및 외부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읽어 상기 저장매체에 추가 혹은 수정하고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읽어 상기 각 외부장치들에 기록하는 통신 제어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외부 통신 시스템, 외부 컴퓨터 및 외부 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제어 장치가 설치된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통신제어 장치를 갖는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에서 외부 메모리의 구성을 도시한 상세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통신제어 장치를 갖는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외부 통신 시스템, 외부 컴퓨터 및 외부 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제어 장치가 설치된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10은 프론그램 롬에 저장된 제어코드 및 데이터에 의해 순서적으로 실행이 되고 시스템의 각 장치에 각종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장치들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를 취합 및 분석하여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이하 “CPU”라 함)이다. 참조번호 12는 컴퓨터 가요반주기의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각종 제어 코드 및 데이터들이 저장되어 있는 롬(ROM)이며, 14는 램(RAM)으로서 상기 CPU 10이 가요반주기의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하여 임시적으로 사용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참조번호 16은 후술하는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곡에 대한 곡번호, 제적 연월일, 일련번호 등의 핵심정보가 기록된 다수개의 곡정보 칩들이 내장되어 있는 곡정보 키장치이며, 18은 키 제어부로서 상기 곡정보 키장치 16으로부터 출력되는 곡정보에 대해서만, 바람직하게는 곡정보 칩들에 매핑된 해당곡만 연주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며 또한 상기 곡정보 키장치 16에 미리 설정된 개수만큼 곡정보 칩이 내장되어 있으면 상기 곡정보 칩의 일련번호나 제작날짜 이전의 곡에 대해서는 곡정보 키장치 16에서 해당곡 정보를 출력하지 않더라도 곡 연주가 가능토록 제어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곡정보 키장치 16 및 키 제어부 18은 동일 발명자가 동일자로 출원하는 “발명의 명칭: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용 저장매체의 복제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참조번호 20은 가요반주기 사용자에 의해 주기적으로 입력되는 스위치의 상태, 즉 선곡 명령 및 기타 명령을 CPU 10으로 전송하는 조작판넬이며, 22는 음성합성부로서 음원 모듈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입력된 해당 악기음과 MIC에서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합성하여 믹서 24를 거쳐 스피커 26으로 출력시키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믹서 24는 음성 합성부 22로부터의 해당 악기음과 마이크 28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믹싱한다. 참조번호 30은 하드 디스크, CD-ROM, DVD 등의 비휘발성 장치로서 노래반주 정보, 자막 및 영상처리 정보, 음성 정보 그리고 기타 데이터 정보들을 저장하는 대용량의 저장매체이며, 32는 자막 제어부로서 상기 CPU 10으로부터 자막처리 데이터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데이터가 모니터 40에 정확하게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장치이다. 참조번호 38은 상기 CPU 10으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이며, 34는 영상 제어부로서 상기 영상 입력부 38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모니터 40에 정확하게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장치이다. 참조번호 36은 상기 영상 제어부 34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자막 제어부 32로부터 자막처리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들을 합성하여 모니터 40으로 출력시키는 영상 합성부이다.
여기서 , 참조번호 62는 천리안, 하이텔 혹은 유니텔 등의 외부 통신 시스템이며, 64는 노트북(Note Book) 등의 외부 컴퓨터이다. 참조번호 66은 신곡에 관련된 노래반주 정보, 영상 정보, 자막 정보 등의 데이터가 저장된 외부 메모리이며, 이때 상기 외부 메모리 66으로는 하드디스크, ROM 혹은 플로피디스크, 플래시 카드 등이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메모리 66은 제 2선행기술의 플래시 카드와 동일한 종류의 플래시 카드가 아니며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플래시 카드 제조업체 즉, 산요(SANYO), 인텔(INTEL), 토시바(TOSHIBA), 삼성 등에서 제조하여 공급하는 것과 그 동작방식이 동일한 종류의 플래시 카드이다. 예를 들면, 상기 외부 메모리 66은 산요(SANYO)의 4M BYTE FLASH CARD(PART NUMBER : SPCO4M-002)가 사용되며, 이는 후술하는 통신 제어장치의 데이터 제어부 54에서 플래시 카드에 어드레스(ADDRESS)를 출력하고 데이터를 읽거(READ)나 기록(WRITE)하거나 하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적용한 외부 메모리 66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성의 플래시 메모리(제품명:KM29V64000T)를 사용하여 삼성의 스마트 미디어 카드(SmartMediaTM, 제품명:SMFV016)와 동일한 구조 및 스펙(SPEC.)을 가지는 플래시 카드이며, 이는 산요(SANYO)의 플래시 카드와도 그 구성 및 동작이 같으며 단지 산요(SANYO)의 플래시 카드는 어드레스 라인(ADDRESS LINE)이 많으나 본 발명에서 적용한 외부 메모리 66에서는 어드레스 라인의 수가 적다 그 이유는 상기 플래시 카드에서 어드레스는 데이터 라인을 통해 전송하면 됨으로 플래시 카드에 사용되는 플래시 메모리를 저 비용(Low Cost)으로 적용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적용한 플래시 메모리(삼성-KM209V64000), 바람직하게는 삼성의 “SmartMediaTMCard”와 그 구성이 동일한 외부 메모리 66에서는 어드레스 라인은 적으나 상대적으로 컨트롤 라인 수는 조금 증가하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간단하면서도 보다 많은 용량의 플래시 메모리를 내장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결국, 산요(SANYO)의 플래시 카드나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삼성-SmartMediaTM의 플래시 카드는 플래시 메모리의 종류가 다를 뿐 그 동작이나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외부 메모리 66의 구성이 공지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내부구성의 도면은 생략하겠다.
참조번호 50은 본 발명의 통신 제어장치로서 모뎀부 52와 데이터 제어부 54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 통신 시스템 62, 외부 컴퓨터 64 및 외부 메모리 66으로부터 데이터, 바람직하게는 신곡에 관련된 노래반주 정보, 영상정보, 자막정보 등을 읽어(READ) 저장매체 30에 추가하든지 혹은 기존의 데이터를 수정하며, 또한 상기 저장매체 30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읽어 상기 외부 통신 시스템 62, 외부 컴퓨터 64 및 외부 메모리 66에 기록(WRITE)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통신 제어장치 50은 외부 메모리 66, 외부 컴퓨터 64 및 외부 통신 시스템 62 중에서 어느 한 장치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읽어들인 후 상기 데이터를 저장매체 30에 저장한 다음, 상기 저장매체 30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시 상기 외부 메모리 66, 외부 컴퓨터 64 및 외부 통신 시스템 62 중에서 어느 한 장치로 출력하여 기록한다. 이때 상기 모뎀부 52와 외부 통신 시스템 62 간의 송/수신은 정해진 프로토클(Protocol)에 의해 제어되며, 마찬가지로 상기 데이터 제어부 54와 외부 컴퓨터 64 및 외부 메모리 66 간의 송/수신도 규정된 프로토콜에 의해 제어된다. 참조번호 52는 상기 외부 통신 시스템 62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뎀부이며, 54는 데이터 제어부로서 외부 컴퓨터 64와 외부 메모리 66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데이터 제어부 54는 컴퓨터 가요반주기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하고자 하는 외부 메모리 66과 쉽게 데이터를 쓰고 읽을 수 있도록 하며, 뿐만 아니라 상기 외부 메모리 66과의 데이터 송/수신 처리 이외에 노트북 등의 외부 컴퓨터 64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통신 시스템 62와 모뎀부 52는 전화선 56으로 연결되고, 상기 외부 컴퓨터 64와 데이터 제어부 54는 통신케이블 58에 의해 연결되며, 끝으로 상기 외부 메모리 66과 데이터 제어부 54는 콘넥터 6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통신 제어장치 50의 제어 동작은 후술하는 제3도의 설명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3(a)도 내지 제3(c)도는 본 발명의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에서 외부 통신 시스템, 외부 컴퓨터 및 외부 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하 제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컴퓨터 가요반주기의 전원이 스위칭 “온”되면 롬 12에 있는 명령어 스트림(STREAM)에 의해 저장매체 30에 있는 명령어 스트림이 램 14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램 14로 이동된 명령어 스트림에 따라 프로그램 수행이 진행된다. 이때 상기 명령어 스트림을 따라 진행되는 프로그램은 먼저 각종 초기화 작업을 한 다음 전체 프로그램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통신 제어가 시작되면 바람직하게는, 각 외부장치들 62,64,66으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하라는 통신제어가 시작되면 CPU 10은 제3(a)도의 100과정에서 조작판넬 20으로부터 입력된 명령이 외부 컴퓨터 64로부터의 데이터 송/수신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100과정에서 데이터의 송/수신 명령이라고 판단되면, 데이터 제어부 54는 상기 CPU 10의 제어하에 102과정에서 상기 외부 컴퓨터 64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인가를 검색한다. 상기 검색결과 데이터 수신 명령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데이터 제어부 54는 104과정에서 CPU 10의 제어를 받아 외부 컴퓨터 64로부터 신곡에 관련된 노래반주 정보, 영상정보, 자막정보 등의 데이터를 읽어(READ)들인 다음 상기 데이터를 대용량의 저장매체 30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102과정에서 데이터 수신 명령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데이터 제어부 54는 106과정에서 외부 컴퓨터 64로의 데이터 송신인가를 검색한다. 상기 106과정에서 데이터 송신 명령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데이터 제어부 54는 108과정에서 CPU 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저장매체 30에 저장된 노래반주 정보, 영상/자막 정보 등의 데이터를 읽어 상기 외부 컴퓨터 64에 기록(WRITE)한다. 이때 상기 106과정에서 데이터 송신 명령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데이터 제어부 54는 상기 통신제어 동작을 종결시킨다.
여기서, 만약 전술한 100과정에서 조작판넬 20으로부터 입력된 명령이 상기 외부 컴퓨터 64로부터의 데이터 송/수신 명령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CPU 10은 제3(b)도의 110과정에서 상기 조작판넬 20으로부터의 명령이 외부 메모리 66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수신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110과정에서 데이터의 송/수신 명령이라고 판단되면, 데이터 제어부 54는 상기 CPU 10의 제어하에 112과정에서 상기 외부 메모리 66으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인가를 검색한다. 상기 112과정에서 데이터 수신 명령이라고 판단되면, 데이터 제어부 54는 114과정에서 CPU 10의 제어를 받아 외부 메모리 66으로부터 신곡에 관련된 노래반주 정보, 영상정보 및 자막정보 등의 데이터를 읽어들인 다음 상기 데이터를 저장매체 30에 저장한다. 즉, 상기 114과정에서 데이터 제어부 54는 CPU 10의 제어하에 외부 메모리 66의 BANK ADDR로 뱅크 어드레스(BANK ADDRESS)를 출력하고 컨트롤 라인 리드(CONTROL LINE READ)에 해당하는 컨트롤 신호를 출력하고 데이터 라인(DATA LINE)에는 어드레스를 출력하여 데이터를 읽어(READ)들인다. 만약, 전술한 112과정에서 데이터 수신 명령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데이터 제어부 54는 116과정에서 외부 메모리 66으로의 데이터 송신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데이터 송신 명령이라고 판단되면, 데이터 제어부 54는 118과정에서 CPU 10의 제어를 받아 저장매체 30에 저장된 노래반주 정보, 영상정보 및 자막정보 등의 각종 데이터를 읽어 상기 외부 메모리 66에 기록한다. 즉, 상기 데이터 제어부 54는 118과정에서 CPU 10의 제어하에 외부 메모리 66의 BANK ADDR로 뱅크 어드레스(BAND ADDRESS)를 출력하고 컨트롤 라인 라이트(CONTROL LINE WRITE)에 해당하는 컨트롤 신호를 출력하고 데이터 라인(DATA LINE)에는 어드레스를 출력하여 데이터를 기폭(WRITE)한다. 이때 상기 116과정에서 데이터 송신 명령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통신 제어장치 50은 상기 통신제어 동작을 종결시킨다.
만약, 전술한 110과정에서 조작판넬 20으로부터 입력된 명령이 상기 외부 메모리 66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수신 명령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CPU 10은 제3(c)도의 120과정에서 상기 조작판넬 20으로부터의 명령이 외부 통신 시스템 62로부터의 데이터 송/수신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120과정에서 데이터의 송/수신 명령이라고 판단되면, 통신 제어장치의 모뎀부 52는 CPU 10의 제어하에 122과정에서 상기 외부 통신 시스템 62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인가를 검색한다. 상기 122과정에서 데이터 수신 명령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모뎀부 52는 124과정에서 CPU 10의 제어를 받아 외부 통신 시스템 62로부터 신곡에 관련된 노래반주 정보, 영상정보 및 자막정보 등의 데이터를 읽어들인 다음 상기 데이터를 저장매체 30에 저장한다. 만약 전술한 122과정에서 데이터 수신명령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모뎀부 52는 126과정에서 외부 통신 시스템 62로의 데이터 송신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126 과정에서 데이터 송신 명령이라고 판단되면, 모뎀부 52는 128과정에서 CPU 10의 제어를 받아 모뎀부 52를 통해 저장매체 30에 저장된 노래반주 정보, 영상정보 및 자막정보 등의 각종 데이터를 읽어 상기 외부 통신시스템 62에 기록한다. 이때 상기 126과정에서 데이터 송신 명령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모뎀부 52는 상기 통신제어 동작을 종결시킨다. 또한 전술한 120과정에서 조작판넬 20으로부터 입력된 명령이 외부 통신 시스템 62로 부터의 데이터 송/수신 명령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CPU 10은 상기 통신제어 동작을 종결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통신 제어장치 50을 컴퓨터 가요반주기 내부에 설치하여 외부 메모리 66이나 외부 컴퓨터 64와 외부 통신 시스템 62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케 함으로써 상기 외부 메모리 66을 일일이 가지고 다니면서 데이터를 쓰거나 읽을 수 없는 경우에도 통신 제어장치의 모뎀부 52를 이용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며, 또한 상기 모뎀부 52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다시 데이터 제어부 54를 통해 외부 메모리 66에 기록하는 것을 가능케 하고, 상기 외부 메모리 66을 다시 다른 컴퓨터 가요반주기에 연결하여 가요반주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케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통신 제어장치 50의 제어 흐름도(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외부장치 62,64,66으로부터 데이터를 읽어 들인 다음 저장매체 30에 저장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외부장치들로부터 저장된 저장매체 30의 데이터를 다시 각 외부장치 62,64,66에 기록할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 통신 시스템, 외부 컴퓨터 및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신곡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입력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통신 시스템, 외부 컴퓨터 및 외부 메모리에 다시 기록(WRITE)할 수 있으며, 또한 원거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저장매체에 입력시키거나 읽어낼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내장된 외부 플래시 카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 외부 메모리 장치의 호환성 문제에 있어서도 종래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의 불법복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 메모리에 별도의 ID를 부여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소비자로 하여금 사용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미디 데이터, 음성 데이터, 자막 및 영상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를 취합 및 분석하는 중앙처리장치와, 해당악기음과 음성신호를 합성하여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음성 합성부와, 선곡된 노래의 영상정보 및 자막정보를 선곡된 노래의 반주에 맞도록 동기화하여 모니터를 통해 재생하는 영상 제어부 및 자막 제어부와, 외부 통신 시스템, 외부 컴퓨터 및 외부 메모리 등의 각종 외부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전화선, 통신케이블 및 콘넥터가 설치된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화선, 통신케이블 및 콘넥터와 연결되며, 상기 외부 통신 시스템, 외부 컴퓨터 및 외부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읽어 상기 저장매체에 추가 혹은 수정하고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읽어 상기 각 외부장치들에 기록하는 통신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장치를 갖는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곡에 대한 곡번호, 제작날짜, 일련번호 등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형태로 분리 기록된 다수개의 곡정보 칩들이 내장된 곡정보 키장치와, 노래 선곡에 따라 상기 곡정보 키장치의 칩에 기록된 해당곡 및 상기 곡정보 칩에 기록된 일련번호 이전의 곡만 연주 가능토록 제어하는 키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장치를 갖는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장치는 상기 외부 메모리 및 외부 컴퓨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부와, 상기 외부 통신 시스템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모뎀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장치를 갖는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장치는 상기 외부 메모리, 외부 컴퓨터 및 외부 통신 시스템 중에서 어느 한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들인 후 상기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해 두고 상기 데이터를 다시 상기 외부 메모리, 외부 컴퓨터 및 외부 통신 시스템 중에서 어느 한 장치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장치를 갖는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
KR1019980032807A 1998-08-11 1998-08-11 통신제어 장치를 갖는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 KR100283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2807A KR100283801B1 (ko) 1998-08-11 1998-08-11 통신제어 장치를 갖는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2807A KR100283801B1 (ko) 1998-08-11 1998-08-11 통신제어 장치를 갖는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2007A KR19980082007A (ko) 1998-11-25
KR100283801B1 true KR100283801B1 (ko) 2001-03-02

Family

ID=65899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2807A KR100283801B1 (ko) 1998-08-11 1998-08-11 통신제어 장치를 갖는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38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692B1 (ko) * 1999-11-18 2004-07-05 (주)코리아비주얼스 라이트 제어장치
KR100939359B1 (ko) * 2009-02-27 2010-01-29 (주)엠네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한 영상 가요 반주기 및 그의 목록 테이블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2007A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99627U (ja) マルチプルシリコンディスクドライバ
US6501163B1 (en) Semiconductor memory card
KR20060092289A (ko) 기록재생장치
JP2001110171A (ja)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端末装置、送受信方法、ならびに、記憶媒体
JP2001093226A (ja) 情報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情報通信装置および方法
US2007012451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between A/V system and portable device
KR100753974B1 (ko) 오디오 시스템
US6534701B2 (en) Memory card with music performance function
JP2001118328A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並びに、記録及び/又は再生方法
KR100283801B1 (ko) 통신제어 장치를 갖는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
US201701639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between a/v system and portable device
JP2001202094A (ja) 再生装置、再生方法及び再生システム
JP2001084339A (ja) 携帯端末
JP4300644B2 (ja) 携帯端末
JP3882460B2 (ja) メモリ装置、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KR100403376B1 (en) Device for processing media using external storage
JP3882459B2 (ja) メモリ装置、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JP4538723B2 (ja)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及び記録再生プログラム
JP2007263994A (ja) カラオケ再生装置
KR100308246B1 (ko) 분리가능한 카세트 테입형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팩 및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 시스템
RU2255382C2 (ru) Плата полупроводниковой памяти, устройств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записи, способ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способ записи и считываемый посредством компьютера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JP2001117592A (ja) 音楽再生装置
JP2007081758A (ja) 記録装置、記録制御方法及び記録制御プログラム
KR20050046072A (ko) 카오디오 보안인증용 유에스비 이동식 저장장치
JP2007079728A (ja) 記録方法、記録装置及びファイル切替記録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