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3724B1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을 이용한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을 이용한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3724B1
KR100423724B1 KR10-2001-0032356A KR20010032356A KR100423724B1 KR 100423724 B1 KR100423724 B1 KR 100423724B1 KR 20010032356 A KR20010032356 A KR 20010032356A KR 100423724 B1 KR100423724 B1 KR 100423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ult
channel
noise
dedicated control
multiplicat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2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3551A (ko
Inventor
서보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1-0032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3724B1/ko
Priority to US10/165,709 priority patent/US7085331B2/en
Priority to CNB021263957A priority patent/CN1263270C/zh
Priority to JP2002169135A priority patent/JP3886853B2/ja
Priority to EP02254026A priority patent/EP1265410A3/en
Publication of KR20020093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3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7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차세대 휴대 통신 단말기에서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CQPSK)을 이용하여 많은 양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있어서, 긴주기 코드를 입력받아 동상 유사 잡음(Ipn) 및 직교상 유사 잡음(Qpn) 코드와 각각 승산하기 위한 제1 승산수단; 상기 제1 승산수단을 통해 승산된 동상 유사 잡음 결과값과 모뎀을 통해 전달되는 파일럿 채널(PI), 전용 제어 채널(DC), 음성 채널(FD) 및 고속 데이터 채널(SM)을 각각 승산하기 위한 제2 승산수단; 상기 제1 승산수단을 통해 승산된 직교상 유사 잡음 결과값과 상기 모뎀을 통해 전달되는 파일럿 채널, 전용 제어 채널, 음성 채널 및 고속 데이터 채널을 각각 승산하기 위한 제3 승산수단; 상기 제2 승산수단을 통한 결과물들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필터링을 수행하고, 상기 제3 승산수단을 통한 결과물들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및 제2 필터링수단; 상기 제1 및 제2 필터링수단을 통해 전달된 각각의 결과값에 이득을 승산하기 위한 제4 및 제5 승산수단; 상기 제4 승산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동상 유사 잡음 결과값에 따라 파일럿 채널의 결과와 전용 제어 채널의 결과를 가산한 결과값과, 상기 제5 승산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직교상 유사 잡음 결과값에 따라 음성 채널의 결과와 고속 데이터 채널의 결과를 가산한 결과값을 구하여 그 차이를 구하기 위한 감산수단; 상기 제5 승산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직교상 유사 잡음 결과값에 따라 파일럿 채널의 결과와 전용 제어 채널의 결과를 가산한 결과값과, 상기 제4 승산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동상 유사 잡음 결과값에 따라 음성 채널의 결과와 고속 데이터 채널의 결과를 가산한 결과값을 구하여 이를 가산하기 위한 가산수단; 상기 감산수단을 통해 출력된 결과값에 따라, 동상 채널(I-channel)을 출력하기 위한 동상 채널 출력수단; 및 상기 가산수단을 통해 출력된 결과값에 따라, 직교상 채널(Q-channel) 을 출력하기 위한 직교상 채널 출력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using CQPSK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CQPSK : Complex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을 이용하여 많은 양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모뎀 부분의 변복조 방식을 개선, 즉 여러 가지 채널(음성채널, 영상채널, 제어채널, 전용채널 등)을 처리할 수 있는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CQPSK : Complex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을 이용하여 많은 양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주문형 반도체(ASIC :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로 구현하여 보다 빠르고 강한 변복조를 수행할 수 있게끔 하여 보다 많은 양의 무선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변복조 방식은 직교 위상 편이 방식(QPSK :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을 이용하므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가 어려웠다. 그러나, 보다 진보된 형태의 차세대 휴대 통신에서는 단순히 음성 뿐만 아니라, 통화 당사자들간에 영상이나 기타 인터넷 서비스 등과 같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해야 한다. 특히, 모뎀 부분의 변복조 방식은 데이터 처리 속도 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변복조 방식, 즉 직교 위상 편이 방식(QPSK)을 통한 변복조 방식으로는 현재 요구되고 있는 대용량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무선 단말기의 성능을 만족시키기가 어렵다. 즉, 현재의 직교 위상 편이 방식(QPSK)을 통한 변복조 방식으로는 많은 양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없다.
따라서, 차세대 휴대 통신 단말기에서는 보다 빠르고 강한 변복조를 수행하여 보다 많은 양의 무선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세대 휴대 통신 단말기에서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CQPSK)을 이용하여 많은 양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확산 및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을 나타낸 구성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의 기능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 동위상/직교위상을 나타낸 일실시예 타이밍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제1 승산부 32 : 제2 승산부
33 : 제3 승산부 34, 35 : 제1 및 제2 필터링부
36, 37 : 제4 및 제5 승산부 38 : 감산부
39 : 가산부 40 : 동상 채널 출력부
41 : 직교상 채널 출력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있어서, 긴주기 코드를 입력받아 동상 유사 잡음(Ipn) 및 직교상 유사 잡음(Qpn) 코드와 각각 승산하기 위한 제1 승산수단; 상기 제1 승산수단을 통해 승산된 동상 유사 잡음 결과값과 모뎀을 통해 전달되는 파일럿 채널(PI), 전용 제어 채널(DC), 음성 채널(FD) 및 고속 데이터 채널(SM)을 각각 승산하기 위한 제2 승산수단; 상기 제1 승산수단을 통해 승산된 직교상 유사 잡음 결과값과 상기 모뎀을 통해 전달되는 파일럿 채널, 전용 제어 채널, 음성 채널 및 고속 데이터 채널을 각각 승산하기 위한 제3 승산수단; 상기 제2 승산수단을 통한 결과물들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필터링을 수행하고, 상기 제3 승산수단을 통한 결과물들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및 제2 필터링수단; 상기 제1 및 제2 필터링수단을 통해 전달된 각각의 결과값에 이득을 승산하기 위한 제4 및 제5 승산수단; 상기 제4 승산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동상 유사 잡음 결과값에 따라 파일럿 채널의 결과와 전용 제어 채널의 결과를 가산한 결과값과, 상기 제5 승산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직교상 유사 잡음 결과값에 따라 음성 채널의 결과와 고속 데이터 채널의 결과를 가산한 결과값을 구하여 그 차이를 구하기 위한 감산수단; 상기 제5 승산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직교상 유사 잡음 결과값에 따라 파일럿 채널의 결과와 전용 제어 채널의 결과를 가산한 결과값과, 상기 제4 승산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동상 유사 잡음 결과값에 따라 음성 채널의 결과와 고속 데이터 채널의 결과를 가산한 결과값을 구하여 이를 가산하기 위한 가산수단; 상기 감산수단을 통해 출력된 결과값에 따라, 동상 채널(I-channel)을 출력하기 위한 동상 채널 출력수단; 및 상기 가산수단을 통해 출력된 결과값에 따라, 직교상 채널(Q-channel) 을 출력하기 위한 직교상 채널 출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모뎀의 디지털 변조 방식의 일종인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긴주기 코드를 입력받아 동상 유사 잡음(Ipn) 및 직교상 유사 잡음(Qpn) 코드와 각각 곱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1 단계를 통해 곱해진 동상 유사 잡음 결과값과 모뎀을 통해 전달되는 파일럿 채널(PI), 전용 제어 채널(DC), 음성 채널(FD) 및 고속 데이터 채널(SM)을 각각 곱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1 단계를 통해 곱해진 직교상 유사 잡음 결과값과 모뎀을 통해 전달되는 파일럿 채널, 전용 제어 채널, 음성 채널 및 고속 데이터 채널을 각각 곱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2 단계를 통한 결과물들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기저대역 필터를 각각 통과시키고, 상기 제 3 단계를 통한 결과물들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기저대역필터를 각각 통과시키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를 통해 구해진 결과값에 각각의 이득을 곱하는 제 5 단계; 상기 동상 유사 잡음 결과값에 따라 파일럿 채널의 결과와 전용 제어 채널의 결과를 가산한 결과값과, 상기 직교상 유사 잡음 결과값에 따라 음성 채널의 결과와 고속 데이터 채널의 결과를 가산한 결과값을 구하여 그 차이를 구하는 제 6 단계; 상기 직교상 유사 잡음 결과값에 따라 파일럿 채널의 결과와 전용 제어 채널의 결과를 가산한 결과값과, 상기 동상 유사 잡음 결과값에 따라 음성 채널의 결과와 고속 데이터 채널의 결과를 가산한 결과값을 구하여 이를 가산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제 7 단계의 결과값에 따라, 동상 채널(I-channel) 신호를 구하고, 직교상 채널(Q-channel) 신호를 각각 구하는 제 8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모뎀(MODEM : Modulator/DEModulator, 변복조기)이란, 컴퓨터에서 나가는 디지털 신호를 전화회선을 통해 보낼 수 있도록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고(변조), 들어오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주는(복조) 장치를 말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전화회선이나 전용회선은 음성급으로 구성되어서 디지털 신호가 통과하면 많은 감쇠가 일어나므로, 50피트 이상 떨어져 있는 장비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모뎀이 필요하게 된다.모뎀은 크게 송신부와 수신부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송신부는 디지털 신호가 인코더에 입력되어 "1" 이나 "0" 이 더 이상 나오지 않도록 스크램블된 후 변조기로 들어간다. 여기서, 약 1700~1800 Hz 정도의 반송 주파수로 변조된 후 아날로그 형태로 변형된 다음, 대역제한 여파기를 거쳐 송신선로로 나가게 된다.
다음, 수신부는 통신선로로부터 들어오는 아날로그 신호가 대역제한 여파기를 거쳐 원하는 부분의 주파수 대역을 할당받은 후, 자동이득조절기(AGC : Automatic Gain Control)로 들어가서 적절한 크기로 분할된다. 아날로그 신호는 복조기를 통해 복조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다시 데이터 디코더를 거쳐 본래의 데이터로 환원된다.
모뎀의 변복조 방식 중 아날로그 방식에는 진폭 변조(AM : Amplitude Modulation), 주파수 변조(FM : Frequency Modulation), 위상 변조(PM : Phase Modulation) 등이 있고, 디지털 방식에는 주파수 편이 방식(FSK : Frequency Shift Keying), 진폭 편이 방식(ASK : Amplitude Shift Keying), 위상 편이 방식(PSK : Phase Shift Keying), 직교 위상 편이 방식(QPSK :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CQPSK : Complex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등이 있다. 이중 본 발명에서는 CQPSK 방식을 이용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확산 및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을 나타낸 구성 예시도로서, 4개 채널 이외에도 다른 채널이 있지만 여기에서는 4개 채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 채널의 출력에 왈시 코드(Walsh Code) 코드를 곱한 후, 관련 이득(Relative GAIN)을 곱하고, 동위상 유사잡음(I-PN), 직교위상 유사잡음(Q_PN), 긴주기 유사잡음(Long PN)으로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 변조를 수행하고, 펄스성형 필터(FIR) 및 이득(GAIN)을 통해 최종적인 변조 신호가 생성된다.
여기서, 왈시 코드란 일련의 상호 직교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신호를 만들기 위해 왈시 함수(직교 2진 함수 중의 하나)를 사용하는 코딩 방법이며, 역방향 기본 채널(R-FCH)용으로 ++--, 역방향 전용 제어 채널(R-DCCH)용으로 ++++----, 역방향 부가 채널(R-SCH)용으로 +- 또는 +-+- 가 사용된다. +는 0을 의미하고, -는 1을 의미하므로, 왈시 코드로 사용되는 4 가지의 패턴은 간단히 3비트 카운터의 출력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최종 결과인 s(t)는 4개의 채널이 각각 합쳐져서 변조된 신호이고, 결국 이 신호를 다시 복조해서 원래의 4개의 채널로 만들어 낼 수 있다.
후술되는 도 2의 복합 직교위상편이 방식 블록에서 입력은 하기의 [수학식1]과 같다.
Di = PI + DC
Dq = FD + SM
여기서, "PI(Pilot)"는 파일럿 채널, "DC(Dedicated Control)"는 전용 제어 채널, "FD(Fundamental)"는 음성 채널, "SM(Supplemental)"는 고속 데이터 채널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확산을 위한 유사 잡음 코드(PN code)는 하기의 [수학식2]와 같다.
Ic = Ipn XOR Lc
Qc = Qpn XOR Lc
여기서, "Ipn(I-channel PN code)"는 동위상 채널 유사잡음 코드, "Qpn(Q-channel PN code)"는 직교 위상 채널 유사잡음 코드, "Lc(Long PN code)"는 긴 주기 유사잡음 코드를 각각 나타낸다.
따라서,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의 결과는 하기의 [수학식3]과 같다.
Io = Di XOR Ic - Dq XOR Qc
Qo = Di XOR Qc + Dq XOR Ic
여기서, Io 및 Qo는 다중 비트(multi-bit)로 표현되므로, 펄스성형 필터로서 다중 비트 입력 필터를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복합 곱셈(complex multiplying)과 필터의 연산 순서를 바꿈으로써, 단일 비트(single-bit) 입력 필터의 사용이 가능한데, 하기의 [수학식4]와 같은 변경이 요구된다.
먼저, Io 및 Qo를 아래와 같이 푼다.
Io = (PI + DC) XOR Ic - (FD + SM) XOR Qc
Qo = (PI + DC) XOR Qc + (FD + SM) XOR Ic
상기의 [수학식4]로부터, 비트 해상도를 갖는 8개의 출력으로 분해하면 하기의 [수학식5]와 같다.
Io = PI XOR Ic + DC XOR Ic - FD XOR Qc - SM XOR Qc
Qo = PI XOR Qc + DC XOR Qc + FD XOR Ic + SM XOR Ic
상기의 결과에 따라, 복합 직교위상편이 방식의 결과를 1비트 해상도를 갖는 8개의 출력으로 분해한 후, 각각의 출력을 1비트 입력을 취하는 기저대역 필터(Baseband Filter)를 통과시킨다. 필터의 결과에 이득(GAIN)을 곱한 후에, 윗 식에 따라 합산하면 도 3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 장치는, 모뎀의 디지털 변조 방식의 일종인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긴주기 코드를 입력받아 동상 유사 잡음(Ipn) 및 직교상 유사 잡음(Qpn) 코드와 각각 승산하기 위한 제1 승산부(31)와, 제1 승산부(31)를 통해 승산된 동상 유사 잡음 결과값과 모뎀을 통해 전달되는 파일럿 채널(PI), 전용 제어 채널(DC), 음성 채널(FD) 및 고속 데이터 채널(SM)을 각각 승산하기 위한 제2 승산부(32)와, 제1 승산부(31)를 통해 승산된 직교상 유사 잡음 결과값과 모뎀을 통해 전달되는 파일럿 채널, 전용 제어 채널, 음성 채널 및 고속 데이터 채널을 각각 승산하기 위한 제3 승산부(33)와, 제2 승산부(32)를 통한 결과물들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필터링을 수행하고, 상기 제3 승산부(33)를 통한 결과물들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및 제2 필터링부(34,35)와, 제1 및 제2 필터링부(34,35)를 통해 전달된 각각의 결과값에 이득을 승산하기 위한 제4 및 제5 승산부(36,37)와, 제4 승산부(36)를 통해 전달되는 동상 유사 잡음 결과값에 따라 파일럿 채널의 결과와 전용 제어 채널의 결과를 가산한 결과값과, 상기 제5 승산부(37) 통해 전달되는 직교상 유사 잡음 결과값에 따라 음성 채널의 결과와 고속 데이터 채널의 결과를 가산한 결과값을 구하여 그 차이를 구하기 위한 감산부(38)와, 제5 승산부(37)를 통해 전달되는 직교상 유사 잡음 결과값에 따라 파일럿 채널의 결과와 전용 제어 채널의 결과를 가산한 결과값과, 제4 승산부(36)를 통해 전달되는 동상 유사 잡음 결과값에 따라 음성 채널의 결과와 고속 데이터 채널의 결과를 가산한 결과값을 구하여 이를 가산하기 위한 가산부(39)와, 감산부(38)를 통해 출력된 결과값에 따라, 동상 채널(I-channel)을 출력하기 위한 동상 채널 출력부(40)와, 가산부(39)를 통해 출력된 결과값에 따라, 직교상 채널(Q-channel)을 출력하기 위한 직교상 채널 출력부(41)를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펄스성형 필터의 출력은 송신 동상 신호군(TX_I[11:0]), 송신 직교상 신호군(TX_Q[11:0]) 및 송신 주기(TX_SCLK)에 의해 출력된다. 데이터 출력이 송신 주기의 낙차점(falling edge)에서 이루어지므로, 외부에서는 송신 주기의 상승점(rising edge)에서 송신 동상 신호(TX_I)및 송신 직교상 신호(TX_Q) 데이터를 받아들여야 한다. 이 파형은 도시된 도 4의 타이밍도와 같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뎀의 디지털 변조 방식의 일종인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먼저 긴주기 코드를 입력받아(501) 동상 유사 잡음 및 직교상 유사 잡음과 각각 곱한다(502,503).
이어서, 상기 (502,503)과정의 결과와 차세대 모뎀의 주요 4개의 채널인 파일럿 채널, 전용 제어 채널, 음성 채널, 고속 데이터 채널을 각각 곱한다(504 내지 507).
마찬가지로, 상기 (502,503)과정의 결과와 차세대 모뎀의 주요 4개의 채널인 파일럿 채널, 전용 제어 채널, 음성 채널, 고속 데이터 채널을 각각 곱한다(508 내지 511).
그리고, 상기 (504 내지 507)과정의 결과물들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기저대역 필터를 각각 통과시키고(512 내지 515), 마찬가지로 상기 (508 내지 511)과정의 결과물들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기저대역필터를 각각 통과시킨다(516 내지 519).
이어서, 상기 (512 내지 515)과정의 결과물들에 이득을 곱해주고(520 내지 523), 마찬가지로 상기 (516 내지 519)과정의 결과물들에 이득을 곱해준다(524 내지 527).
그리고 나서, 상기 (520, 521)과정을 통해 출력된 파일럿 채널의 결과와 전용 제어 채널의 결과를 더해주어 그 결과값을 구하고(528), 상기 (522, 523)과정을 통해 출력된 음성 채널의 결과와 고속 데이터 채널의 결과를 더해주어 그 결과값을 구하며(529), 상기 (524, 525)과정을 통해 출력된 파일럿 채널의 결과와 전용 제어 채널의 결과를 더해주어 그 결과값을 구하고(530), 상기 (526, 527)과정을 통해 출력된 음성 채널의 결과와 고속 데이터 채널의 결과를 더해주어 그 결과값을 구한다(531).
이후, 상기 (528)과정의 결과에서 (531)과정의 결과를 빼서 얻어지는 본 발명의 최종 결과 중의 하나인 동상 출력군을 구하고(534), 상기 (529)과정의 결과에 상기 (530)과정의 결과중의 또 다른 하나인 직교상 출력군을 구한다(535).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진보된 형태인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CQPSK)을 이용하여 보다 빠르고 강한 변복조를 수행할 수 있어, 차세대 휴대 통신 단말에서 보다 많은 양의 무선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있어서,
    긴주기 코드를 입력받아, 동상 유사 잡음(Ipn) 및 직교상 유사 잡음(Qpn) 코드와 각각 승산하기 위한 제1 승산수단;
    상기 제1 승산수단을 통해 승산된 동상 유사 잡음 결과값과 모뎀을 통해 전달되는 파일럿 채널(PI), 전용 제어 채널(DC), 음성 채널(FD) 및 고속 데이터 채널(SM)을 각각 승산하기 위한 제2 승산수단;
    상기 제1 승산수단을 통해 승산된 직교상 유사 잡음 결과값과 상기 모뎀을 통해 전달되는 파일럿 채널, 전용 제어 채널, 음성 채널 및 고속 데이터 채널을 각각 승산하기 위한 제3 승산수단;
    상기 제2 승산수단을 통한 결과물들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필터링을 수행하고, 상기 제3 승산수단을 통한 결과물들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및 제2 필터링수단;
    상기 제1 및 제2 필터링수단을 통해 전달된 각각의 결과값에 이득을 승산하기 위한 제4 및 제5 승산수단;
    상기 제4 승산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동상 유사 잡음 결과값에 따라 파일럿 채널의 결과와 전용 제어 채널의 결과를 가산한 결과값과, 상기 제5 승산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직교상 유사 잡음 결과값에 따라 음성 채널의 결과와 고속 데이터 채널의 결과를 가산한 결과값을 구하여 그 차이를 구하기 위한 감산수단;
    상기 제5 승산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직교상 유사 잡음 결과값에 따라 파일럿 채널의 결과와 전용 제어 채널의 결과를 가산한 결과값과, 상기 제4 승산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동상 유사 잡음 결과값에 따라 음성 채널의 결과와 고속 데이터 채널의 결과를 가산한 결과값을 구하여 이를 가산하기 위한 가산수단;
    상기 감산수단을 통해 출력된 결과값에 따라, 동상 채널(I-channel)을 출력하기 위한 동상 채널 출력수단; 및
    상기 가산수단을 통해 출력된 결과값에 따라, 직교상 채널(Q-channel) 을 출력하기 위한 직교상 채널 출력수단
    을 포함하는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산수단은,
    상기 동상 유사 잡음 결과값에 따라 파일럿 채널의 결과와 전용 제어 채널의 결과를 가산한 결과값과, 상기 직교상 유사 잡음 결과값에 따라 음성 채널의 결과와 고속 데이터 채널의 결과를 가산한 결과값을 구하여 그 차이를 구하는 것으로 하기의 수식과 같이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 장치.
    Io = (PI + DC) XOR Ic - (FD + SM) XOR Qc
    (여기서, "PI"는 파일럿 채널, "DC"는 전용 제어 채널, "Ic"는 Ipn XOR Lc, "FD"는 음성 채널, "SM"은 고속 데이터 채널, "Qc"는 Qpn XOR Lc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산수단은,
    상기 직교상 유사 잡음 결과값에 따라 파일럿 채널의 결과와 전용 제어 채널의 결과를 가산한 결과값과, 상기 동상 유사 잡음 결과값에 따라 음성 채널의 결과와 고속 데이터 채널의 결과를 가산한 결과값을 구하여 이를 가산하는 것으로 하기의 수학식과 같이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 장치.
    Qo = (PI + DC) XOR Qc + (FD + SM) XOR Ic
    (여기서, "PI"는 파일럿 채널, "DC"는 전용 제어 채널, "Qc"는 Qpn XOR Lc, "FD"는 음성 채널, "SM"은 고속 데이터 채널, "Ic"는 Ipn XOR Lc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의 결과를 1비트 해상도를 갖는 8개의 출력선으로 분해한 후, 각각의 출력을 1비트 입력을 취하는 기저대역필터를 통과시키고, 상기 기저대역필터의 결과에 따라 이득을 곱한 후에, 상기의 수식에 따라 승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 장치.
  5.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긴주기 코드를 입력받아, 동상 유사 잡음(Ipn) 및 직교상 유사 잡음(Qpn) 코드와 각각 곱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1 단계를 통해 곱해진 동상 유사 잡음 결과값과 모뎀을 통해 전달되는 파일럿 채널(PI), 전용 제어 채널(DC), 음성 채널(FD) 및 고속 데이터 채널(SM)을 각각 곱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1 단계를 통해 곱해진 직교상 유사 잡음 결과값과 상기 모뎀을 통해 전달되는 파일럿 채널, 전용 제어 채널, 음성 채널 및 고속 데이터 채널을 각각 곱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2 단계를 통한 결과물들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기저대역 필터를 각각 통과시키고, 상기 제 3 단계를 통한 결과물들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기저대역필터를 각각 통과시키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를 통해 구해진 결과값에 각각의 이득을 곱하는 제 5 단계;
    상기 동상 유사 잡음 결과값에 따라 파일럿 채널의 결과와 전용 제어 채널의 결과를 가산한 결과값과, 상기 직교상 유사 잡음 결과값에 따라 음성 채널의 결과와 고속 데이터 채널의 결과를 가산한 결과값을 구하여 그 차이를 구하는 제 6 단계;
    상기 직교상 유사 잡음 결과값에 따라 파일럿 채널의 결과와 전용 제어 채널의 결과를 가산한 결과값과, 상기 동상 유사 잡음 결과값에 따라 음성 채널의 결과와 고속 데이터 채널의 결과를 가산한 결과값을 구하여 이를 가산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제 7 단계의 결과값에 따라, 동상 채널(I-channel) 신호를 구하고, 직교상 채널(Q-channel) 신호를 각각 구하는 제 8 단계
    를 포함하는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001-0032356A 2001-06-09 2001-06-09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을 이용한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423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356A KR100423724B1 (ko) 2001-06-09 2001-06-09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을 이용한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US10/165,709 US7085331B2 (en) 2001-06-09 2002-06-07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using COPSK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B021263957A CN1263270C (zh) 2001-06-09 2002-06-09 使用通信系统的复数四相相移键控处理数据的设备和方法
JP2002169135A JP3886853B2 (ja) 2001-06-09 2002-06-10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複合直交位相シフト方式を利用したデータ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EP02254026A EP1265410A3 (en) 2001-06-09 2002-06-10 Complex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356A KR100423724B1 (ko) 2001-06-09 2001-06-09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을 이용한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551A KR20020093551A (ko) 2002-12-16
KR100423724B1 true KR100423724B1 (ko) 2004-03-22

Family

ID=19710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356A KR100423724B1 (ko) 2001-06-09 2001-06-09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을 이용한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85331B2 (ko)
EP (1) EP1265410A3 (ko)
JP (1) JP3886853B2 (ko)
KR (1) KR100423724B1 (ko)
CN (1) CN126327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6028B1 (ko) * 1998-12-31 2001-09-06 윤종용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득 조절 장치를 가지는 복호기
US7916811B2 (en) * 2004-02-11 2011-03-29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burst acquisition in a digital receiver
CN1738251A (zh) * 2005-08-05 2006-02-22 曾昭崙 车载通讯装置和远程通讯系统以及远程数据传输方法
EP2369861B1 (en) * 2010-03-25 2016-07-27 Nxp B.V. Multi-channel audio signal processing
CN103795665A (zh) * 2013-11-15 2014-05-14 上海交通大学 基于基片集成波导互连的qpsk高速数据传输系统
CN104506219B (zh) * 2014-12-08 2017-11-10 无锡天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长期演进的无线收发系统
CN104506220B (zh) * 2014-12-08 2017-12-19 嵊州北航投星空众创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长期演进的无线收发系统的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00545B (en) 1995-05-03 1999-10-27 Motorola Ltd A method for processing signals
KR19990074228A (ko) 1998-03-03 1999-10-05 윤종용 영교차 검출을 이용한 변조장치 및 방법
KR100338662B1 (ko) * 1998-03-31 2002-07-18 윤종용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채널통신장치및방법
JP3116923B2 (ja) 1998-11-25 2000-12-11 日本電気株式会社 周波数拡散変調回路
JP3688166B2 (ja) 1999-11-26 2005-08-24 シャープ株式会社 Cdma変調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354337B1 (ko) 1999-12-04 2002-09-28 한국과학기술원 대역 확산 통신 방식에서의 확산 변조 방식을 이용한송수신방식 및 송수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65410A3 (en) 2006-05-24
KR20020093551A (ko) 2002-12-16
JP2003018227A (ja) 2003-01-17
US7085331B2 (en) 2006-08-01
US20020186786A1 (en) 2002-12-12
CN1395432A (zh) 2003-02-05
CN1263270C (zh) 2006-07-05
JP3886853B2 (ja) 2007-02-28
EP1265410A2 (en) 200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81333B2 (ja) Cdma受信装置
US6320897B1 (en) Multicode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system
US7711032B2 (en) Method,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spread-spectrum digital communication by Golay complementary sequence modulation
US6324171B1 (en) Multicarrier CDMA base station system and multi-code wave forming method therof
US20090310650A1 (en) Featureless coherent chaotic amplitude modulation
EP0952678A1 (en) Digital modulation system using modified orthogonal codes to reduce autocorrelation sidelobes
WO1999059265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the peak-to-average power ratio of a mobile station's transmit power
KR20000053310A (ko) 직접적인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통신신호의 역확산
JP4053884B2 (ja) 高効率マルチキャリアフィルタ
WO1995012937A1 (en) Quadrature multiplexing of two data signals spread by different pn-sequences
AU755235B2 (en) Spread-spectrum communication device
KR100423724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복합 직교 위상 편이 방식을 이용한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344600B1 (ko)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복소 의사잡음시퀀스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312581B1 (ko) 주파수 변조 회로
JP2600518B2 (ja) 並列スペクトル拡散変調復調装置
KR0174617B1 (ko) 직접확산/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데이터 송신기 및 수신기
KR0155510B1 (ko)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oqpsk 칩 변조장치
JP2001513950A (ja) データシーケンスのダイレクトシーケンス拡散方法
JP2782395B2 (ja) スペクトラム拡散方式受信装置
JP2008283514A (ja) 雑音成分推定装置及び受信機
KR20070070486A (ko) 골레이 보완형 시퀀스 변조에 의한 확장 스펙트럼 디지털통신 방법
KR0163749B1 (ko) 힐버트 필터에 의한 단일 사이드 밴드 bpsk 변/복조 방식
US6778593B2 (en) Demodulator device and demodulation method
KR100324042B1 (ko) 양자화 에러를 최소화하는 피.엔.역확산기를 구비한 코드분할다원접속 시스템 수신기의 기저대역 복조장치
JPH1188228A (ja) コード拡散方式における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