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2620B1 -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스펜션 로어암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스펜션 로어암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2620B1
KR100422620B1 KR10-2000-0065844A KR20000065844A KR100422620B1 KR 100422620 B1 KR100422620 B1 KR 100422620B1 KR 20000065844 A KR20000065844 A KR 20000065844A KR 100422620 B1 KR100422620 B1 KR 100422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arm
suspension
suspension lower
vehicle
b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5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5999A (ko
Inventor
안병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5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2620B1/ko
Publication of KR20020035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2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26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8Attaching arms to un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1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th resilient means for suspension, e.g. of wheels or engine; sub-frames for mounting engine or susp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스펜션 로어암과 서브 프레임의 결합부 구조를 변경시켜 차량 충돌시 결합부의 변형이 용이해진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스펜션 로어암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스펜션 로어암 연결 구조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에 전측 연결부와 후측 연결부에 의하여 결합되는 현가장치의 서스펜션 로어암 연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측의 후측 연결부에 부싱이 삽입되어 장착된 클램프와; 상기 서스펜션 로어암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부싱내에 삽입되어 전측 연결부가 자유단일 때 부싱내에서 일정거리 이동할 수 있는 로드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스펜션 로어암 연결 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SUSPENSION LOWER AR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스펜션 로어암과 서브 프레임의 결합부 구조를 변경시켜 차량 충돌시 결합부의 변형이 용이해진 차량의 현가장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현가장치는 바퀴측과 차체 사이에 위치하여 노면으로부터의 진동이나 충격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승차감을 좋게 한다.
종래의 서스펜션 로어암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프레임과 전측 연결부와 후측 연결부로 결합된다.
후측 연결부의 결합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프레임에 브라켓을 장착하고, 상기 브라켓에 서스펜션 로어암이 조인트 체결된다.
브라켓과 서스펜션 로어암의 체결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부싱을 삽입하여 서스펜션 로어암이 회동 가능하게 한다.
상기에서 고무부싱의 연결 상태는 서스펜션 로어암의 회전축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고무부싱의 특성상 일반적인 부싱의 연결 상태에 비해 서스펜션 로어암의 회전시 저항이 많아진다. 즉 고무부싱은 부싱의 회전축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운동이 회전축 방향으로의 운동에 비해 운동 저항이 크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서브 프레임과 서스펜션 연결 구조에서는 충돌시 제1점과 제2점 사이에서 상대 변위가 거의 없으므로 충돌 에너지가 승객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승객이 받는 충돌 에너지는 증가하여 승객 상해 정도가 증가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브 프레임과 서스펜션 로어암의 연결부 구조를 변경시켜 차량 충돌시 서스펜션 로어암의 변위로 차체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량의 서브 프레임에 전측 연결부와 후측 연결부에 의하여 결합되는 현가장치의 서스펜션 로어암 연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측의 후측 연결부에 부싱이 삽입되어 장착된 클램프; 및 상기 서스펜션 로어암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부싱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서스펜션 로어암의 전측 연결부가 외력으로 소정거리 이동될 경우 상기 부싱내에서 일정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로드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브 프레임과 현가장치 로워암의 연결 구조.
도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브 프레임과 현가장치 로워암의 연결 구조.
도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서브 프레임 14 : 서스펜션 로어암
16 : 전측 연결부 18 : 후측 연결부
20 : 로드암 22 : 부싱
24 : 클램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프레임과 현가장치 로워암의 연결 구조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프레임(12)에 전측 연결부(16)와 후측 연결부(18)에 의하여 지지되는 서스펜션 로어암(14)이 결합된다.
서스펜션 로어암(14)은 전측 연결부(16)와 후측 연결부(18)를 회전축으로 하여 운동한다.
서스펜션 로어암(14)과 서브 프레임(12)의 후측 연결부(18)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프레임(12)에 부싱(22)이 장착되어 있는 클램프(24)가 볼트(26)로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상기한 서스펜션 로어암의 후측 연결부(18)는 기존과 같이 서스펜션 로어암(14)을 서브 프레임(12)에 직접 연결하지 않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서스펜션 로어암(14)의 단부에 로드암(20)을 연결하고, 이 로드암(20)이 서브 프레임(12)에 연결된다.
상기 로드암(20)은 부싱(22)내로 삽입되어 자유로이 유동할 수 있다. 즉, 전측 연결부(16)가 서브 프레임(12)에 고정되어 있으면 로드암(20)이 부싱(22)내에서 이동되지 않으나, 차량 충돌에 의하여 전측 연결부(16)가 후방으로 밀릴 때에는 로드암(20)이 부싱(22)내에서 이동한다.
상기에서 로드암(20)이 이동할 수 있는 거리는 서스펜션 로어암(14)과 후측 연결부(18) 사이의 간격 (D)로 결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 충돌에 의하여 서브 프레임(12)이 후방으로 밀릴 때 서스펜션 로어암(14)의 전측 연결부(16)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로드암(20)이 부싱(22)내에서 미끄러져 간격 (D) 만큼 이동된다. 따라서 로드암(20)의 이동량 만큼 서브 프레임(12)이 더 변형되므로 결국에는 충돌 에너지가 부재의 변형 에너지로 전환되므로써 승객으로의 충돌 에너지 전달이 감소하여 승객의 안전성이 확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서스펜션 로어암의 회전 운동을 원활하게 하므로써 운동 마찰을 저감시켜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차량 충돌시 서브 프레임의 변형을 증가시켜 승객이 받는 충돌 에너지를 저감시켜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Claims (1)

  1. 차량의 서브 프레임에 전측 연결부와 후측 연결부에 의하여 결합되는 현가장치의 서스펜션 로어암 연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측의 후측 연결부에 부싱이 삽입되어 장착된 클램프; 및
    상기 서스펜션 로어암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부싱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서스펜션 로어암의 전측 연결부가 외력으로 소정거리 이동될 경우 상기 부싱내에서 일정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로드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스펜션 로어암 연결 구조.
KR10-2000-0065844A 2000-11-07 2000-11-07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스펜션 로어암 연결 구조 KR100422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844A KR100422620B1 (ko) 2000-11-07 2000-11-07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스펜션 로어암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844A KR100422620B1 (ko) 2000-11-07 2000-11-07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스펜션 로어암 연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999A KR20020035999A (ko) 2002-05-16
KR100422620B1 true KR100422620B1 (ko) 2004-03-12

Family

ID=19697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5844A KR100422620B1 (ko) 2000-11-07 2000-11-07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스펜션 로어암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26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999A (ko) 200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74499A (ko) 샤클 조립체
JP2002067644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ブッシング
KR0131314B1 (ko) 자동차의 전륜 현가장치
KR100422620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스펜션 로어암 연결 구조
JP3182973B2 (ja) フロントボデーの構造
KR100456887B1 (ko) 자동차의 트레일링암부시 어셈블리
KR100616010B1 (ko) 차량의 스트럿어셈블리
CN219237157U (zh) 一种上柱管加强结构的转向管柱组件
CN212131165U (zh) 一种减震器及汽车
CN219295499U (zh) 一种带调节衬套的转向管柱组件
CN217753699U (zh) 一种安全气囊安装组件及车辆
KR100192332B1 (ko) 어퍼암 부쉬
CN219237158U (zh) 一种采用滑块结构的转向管柱组件
KR200150978Y1 (ko) 차량의 차대받이에 장착되는 트레일링 암 장치
CN111716974A (zh) 一种降低异响的汽车缓冲块结构
JP3602307B2 (ja) トレーリングア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KR100235320B1 (ko) 감쇠력 가변식 쇽 업소버의 제어용 모터 브라켓 연결구조
KR20240058326A (ko) 자동차의 파워트레인 마운팅용 인슐레이터 구조
KR100230192B1 (ko) 자동차용 엔진마운팅 충격흡수장치
KR100522513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페달 밀림 방지 장치
KR920003870Y1 (ko) 자동차 현가장치(Suspension system)의 로워 콘트롤 아암 고정구조
KR950011794B1 (ko) 자동차의 현가아암 연결구조
KR200140872Y1 (ko) 자동차용 도어 프레임 구조
CN115107856A (zh) 一种调节衬套、转向管柱及车辆
KR960003116B1 (ko) 자동차의 트레일링 아암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