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1167B1 - 개인 휴대 단말기의 잠금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 휴대 단말기의 잠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1167B1
KR100421167B1 KR10-2001-0034327A KR20010034327A KR100421167B1 KR 100421167 B1 KR100421167 B1 KR 100421167B1 KR 20010034327 A KR20010034327 A KR 20010034327A KR 100421167 B1 KR100421167 B1 KR 100421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sleep
password
pda
pr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4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5948A (ko
Inventor
허윤도
현승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4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1167B1/ko
Publication of KR20020095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1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휴대 단말기의 PDA모드에서 슬립모드가 해제 될 때의 잠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PDA모드 상태에서는 잠금이 이루어지는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PDA모드에서 잠금을 사용할 때는 폰모드로 전환하여 잠금을 하고 다시 해제하면 폰모드가 나타나고 다시 PDA모드로 전환해야 한다. 본 발명은 PDA모드 대기상태에서 슬립 타이머가 경과한 경우에 슬립모드로 전환한다. 이때 외부 인터럽트 혹은 사용자의 키 이벤트 발생으로 슬립모드가 해제되고 암호입력창이 나타난다. 그리고 사용자가 암호를 입력하면 잠금이 해제되고 PDA모드 대기상태가 화면에 나타난다. 따라서 개인 휴대 단말기의 PDA모드에서도 잠금이 사용될 수 있어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또한 사용자가 분실시 잠금으로 인해 개인적인 피해가 없는 장점도 있다.

Description

개인 휴대 단말기의 잠금 방법{METHOD FOR LOCK OF PERSONAL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개인 휴대 단말기의 잠금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PDA가 결합된 휴대폰에서는 일정시간 사용하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절전모드가 동작하여 슬립모드로 빠진다. 이때 휴대폰이 외부 인터럽트(전화, SMS, 알람 등) 혹은 사용자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인식하면 슬립모드를 해제한다. 슬립모드 동안에는 불필요한 부분에 대한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므로 배터리 전원을 아껴 수명을 연장할 수 있었다. 종래의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도 1a는 종래의 PDA모드의 슬립상태에서 일반전화 착신시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11단계에서 휴대폰의 PDA모드가 대기상태일 때 12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슬립 타이머가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슬립 타이머가 경과된 경우에는 13단계를 수행하고 슬립 타이머가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슬립 타이머가 경과할 때까지 12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13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슬립모드로 전환한다. 14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전화가 왔는지를 판단한다.상기 판단결과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 온 경우에는 15단계를 수행하고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 오지 않은 경우에는 전화가 걸려 올 때까지 14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15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슬립모드를 해제하고 16단계에서 인커밍 콜 창을 표시하고 17단계에서 벨소리를 울리게 한다. 18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핫 버튼 혹은 예스 버튼이 눌러 졌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핫 버튼 혹은 예스 버튼이 눌러진 경우에는 19단계를 수행하고 핫 버튼 혹은 예스 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22단계를 수행한다. 19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PDA모드 통화상태를 나타낸다. 22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상대방 전화종료를 확인한 다음 78단계에서 미스드 콜 메시지창 표시를 나타낸다.
도 1b는 종래의 PDA모드의 슬립상태에서 일반전화 착신시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종래의 PDA모드의 슬립상태에서 SMS 수신 혹은 알람이 울릴 때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a는 11단계에서 휴대폰의 PDA모드가 대기상태일 때 12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슬립 타이머가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슬립 타이머가 경과된 경우에는 13단계를 수행하고 슬립 타이머가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슬립 타이머가 경과할 때까지 12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13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슬립모드로 전환한다. 31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가 SMS 수신 혹은 알람 시간이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SMS 수신 혹은 알람 시간이 되었을 경우에는 15단계를 수행하고 SMS 수신 혹은 알람 시간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31단계를 반복수행한다. 15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슬립모드를 해제한다. 32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31단계에서 SMS가 수신된 경우에는 인커밍 메시지 창을 표시하고 31단계에서 알람시간이 되었으면 알람 창을 표시한다. 33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31단계에서 SMS가 수신된 경우에는 SMS 수신 알람 사운드가 울리고 31단계에서 알람시간이 되었으면 알람 시간 알람 사운드가 울린다. 34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오케이 버튼이 눌러 졌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오케이 버튼이 눌러진 경우에는 11단계를 수행하고 오케이 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34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11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PDA모드 대기상태를 나타낸다.
도 2b는 종래의 PDA모드의 슬립상태에서 SMS 수신시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종래의 PDA모드의 슬립상태에서 알람이 울릴 때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종래의 PDA모드의 슬립 상태에서 핫 버튼을 눌렀을 때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a는 11단계에서 휴대폰의 PDA모드가 대기상태일 때 12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슬립 타이머가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슬립 타이머가 경과된 경우에는 13단계를 수행하고 슬립 타이머가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슬립 타이머가 경과할 때까지 12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13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슬립모드로 전환한다. 51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키 이벤트가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키 이벤트가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15단계를 수행하고 키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51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15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슬립모드를 해제한다. 11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PDA모드 대기상태를 나타낸다.
도 3b는 종래의 PDA모드의 슬립 상태에서 핫 버튼을 눌렀을 때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종래의 폰모드의 슬립상태에서 일반전화 착신시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a와 전술한 도1a의 차이점은 91단계에서 폰모드 대기상태가 표시된다. 그리고 79단계에서 인커밍 콜 메시지를 표시한다는 점이다. 또한 93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통화 버튼이 눌러졌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통화 버튼이 눌러진 경우에는 94단계를 수행하고 통화 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22단계를 수행한다. 94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폰모드 통화상태를 나타낸다. 22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상대방 전화종료를 확인하고 24단계에서 미스드 콜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러한 차이점을 빼면 도 1a의 흐름도와 같다.
도 4b는 종래의 폰모드의 슬립상태에서 일반전화 착신시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종래의 폰모드의 슬립상태에서 SMS 수신 혹은 알람이 울릴 때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a와 전술한 도 2a의 차이점은 91단계에서 폰모드 대기상태가 표시된다.이런 차이점을 빼면 도 2a의 흐름도와 같다.
도 5b는 종래의 폰모드의 슬립상태에서 SMS 수신시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는 종래의 폰모드의 슬립상태에서 알람이 울릴 때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은 종래의 폰모드의 슬립 상태에서 핫 버튼을 눌렀을 때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a과 전술한 도 3a의 차이점은 91단계에서 폰모드 대기상태가 표시된다. 이런 차이점을 빼면 도 3a의 흐름도와 같다.
도 6b는 종래의 폰모드의 슬립 상태에서 핫 버튼을 눌렀을 때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처럼 종래의 잠금 방법이 있기는 하나, 일상생활에서 휴대폰을 사용할 때 전화를 거는 횟수가 많은 만큼, 대부분 잠금 상태로 하지 않고, 해제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그래서 사용 중이던 휴대폰을 장시간 방치한 체 자리를 비우거나, 혹은 분실 등으로 인해 이동통신 서비스업체에 분실신고를 하기까지 타인이 휴대폰을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어 개인적으로 적지 않은 피해를 입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휴대폰에 있는 잠금기능은 폰모드에서만 잠금이 되고 PDA모드에서는 잠금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말기를 PDA모드에서 사용중 잠금 기능을 사용할 때는 폰모드로 전환하여 잠금을 한다. 그리고 다시 사용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암호를 입력하여 잠금을 해제하면 폰모드가 나타나므로 사용자는 다시PDA모드로 전환해서 사용해야 한다. 이와 같은 불편한 점이 있어 잠금 자체가 유용하게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 휴대 단말기의 PDA모드에서도 잠금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분실시 개인적인 피해가 없고 사용하기에도 편리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인 휴대 단말기의 화면보호기가 구동되어 시각적으로 아름답게 꾸밀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 잠금 방법의 실시 예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잠금 방법에 있어서, PDA모드 대기상태에서 슬립 타이머가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슬립 타이머가 경과하면 슬립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슬립모드에서 외부 인터럽트 혹은 키 이벤트가 발생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외부 인터럽트 혹은 키 이벤트가 발생하면 슬립모드를 해제하고 암호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암호입력창이 표시된 상태에서 암호 입력이 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입력이 되면 잠금을 해제하고 PDA모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는 종래의 PDA모드의 슬립상태에서 일반전화 착신시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흐름도
도 1b는 종래의 PDA모드의 슬립상태에서 일반전화 착신시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2a는 종래의 PDA모드의 슬립상태에서 SMS 수신 혹은 알람이 울릴 때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흐름도
도 2b는 종래의 PDA모드의 슬립상태에서 SMS 수신시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2c는 종래의 PDA모드의 슬립상태에서 알람이 울릴 때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3a는 종래의 PDA모드의 슬립 상태에서 핫 버튼을 눌렀을 때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흐름도
도 3b는 종래의 PDA모드의 슬립 상태에서 핫 버튼을 눌렀을 때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4a는 종래의 폰모드의 슬립상태에서 일반전화 착신시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흐름도
도 4b는 종래의 폰모드의 슬립상태에서 일반전화 착신시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5a는 종래의 폰모드의 슬립상태에서 SMS 수신 혹은 알람이 울릴 때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흐름도
도 5b는 종래의 폰모드의 슬립상태에서 SMS 수신시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5c는 종래의 폰모드의 슬립상태에서 알람이 울릴 때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6a는 종래의 폰모드의 슬립 상태에서 핫 버튼을 눌렀을 때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흐름도
도 6b는 종래의 폰모드의 슬립 상태에서 핫 버튼을 눌렀을 때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DA모드의 슬립 상태에서 일반 전화 착신시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흐름도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DA모드의 슬립 상태에서 일반 전화 착신시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흐름도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DA모드의 슬립상태에서 SMS 수신 혹은 알람이 울릴 때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흐름도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DA모드의 슬립상태에서 SMS 수신시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DA모드의 슬립상태에서 알람이 울릴 때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DA모드의 슬립상태에서 핫 버튼을 눌렀을 때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흐름도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DA모드의 슬립상태에서 핫 버튼을 눌렀을 때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폰모드의 슬립 상태에서 일반 전화 착신시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흐름도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폰모드의 슬립 상태에서 일반 전화 착신시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폰모드의 슬립상태에서 SMS 수신 혹은 알람이 울릴 때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흐름도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폰모드의 슬립상태에서 SMS 수신시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폰모드의 슬립상태에서 알람이 울릴 때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폰모드의 슬립상태에서 핫 버튼을 눌렀을 때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흐름도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폰모드의 슬립상태에서 핫 버튼을 눌렀을 때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DA모드의 슬립 상태에서 일반 전화 착신시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a는 11단계에서 휴대폰의 PDA모드가 대기상태일 때 12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슬립 타이머가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슬립 타이머가 경과된 경우에는 71단계를 수행하고 슬립 타이머가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슬립 타이머가 경과할 때까지 12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71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슬립모드로 전환하고 화면보호기를 구동한다. 14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전화가 왔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 온 경우에는 15단계를 수행하고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 오지 않은 경우에는 전화가 걸려 올 때까지 14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15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슬립모드를 해제하고 73단계에서 화면 중간에 암호 입력 창을 나타내고 17단계에서 벨소리를 울리게 한다. 74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암호 입력이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암호 입력이 되었을 경우에는 75단계를 수행하고 암호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77단계를 수행한다. 75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인커밍 콜 메시지 창을 나타낸다. 76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예스 버튼이 눌러졌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예스 버튼이 눌러진 경우에는 19단계를 수행하고 예스 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76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상기 19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PDA모드 통화상태를 나타낸다.
77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핫 버튼이 눌러졌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핫 버튼이 눌러진 경우에는 19단계를 수행하고 핫 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22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19단계에서 휴대폰 제어부는 PDA 모드 통화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22단계에서 휴대폰 제어부는 상대방 전화종료를 확인하고 74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암호 입력이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암호 입력이 되었을 경우에는 78단계를 수행하고 암호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74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78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미스드 콜 메시지 창을 나타낸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DA모드의 슬립 상태에서 일반 전화 착신시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DA모드의 슬립상태에서 SMS 수신 혹은 알람이 울릴 때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a는 11단계에서 휴대폰의 PDA모드가 대기상태일 때 12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슬립 타이머가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슬립 타이머가 경과된 경우에는 13단계를 수행하고 슬립 타이머가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슬립 타이머가 경과할 때까지 12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71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슬립모드로 전환하고 화면보호기를 구동한다. 31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가 SMS 수신 혹은 알람 시간이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SMS 수신 혹은 알람 시간이 되었을 경우에는 15단계를 수행하고 SMS 수신 혹은 알람 시간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31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15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슬립모드를 해제하고 73단계에서 암호 입력 창을 나타낸다. 33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31단계에서 SMS가 수신된 경우에는 SMS 수신 알람 사운드를 울리게 하고 31단계에서 알람시간이 되었으면 알람 시간 알람 사운드를 울리게 한다. 74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암호 입력이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암호 입력이 되었을 경우에는 32단계를 수행하고 암호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33단계를 수행한다. 32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31단계에서 SMS가 수신된 경우에는 인커밍 메시지 창을 나타내고 31단계에서 알람시간이 되었으면 알람 창을 나타낸다. 34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오케이 버튼이 눌러 졌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오케이 버튼이 눌러진 경우에는 11단계를 수행하고 오케이 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34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11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PDA모드 대기상태를 나타낸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DA모드의 슬립상태에서 SMS 수신시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DA모드의 슬립상태에서 알람이 울릴 때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DA모드의 슬립상태에서 핫 버튼을 눌렀을 때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a는 11단계에서 휴대폰의 PDA모드가 대기상태일 때 12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슬립 타이머가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슬립 타이머가 경과된 경우에는 71단계를 수행하고 슬립 타이머가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슬립 타이머가 경과할 때까지 12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71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슬립모드를 나타내고 화면보호기를 구동 한다. 51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키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키 이벤트가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15단계를 수행하고 키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51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15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슬립모드를 해제한다. 73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화면 중간에 암호 입력 창을 나타낸다. 74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암호 입력이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암호 입력이 되었을 경우에는 11단계를 수행하고 암호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12단계를 수행한다. 11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PDA모드 대기상태를 나타낸다.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DA모드의 슬립상태에서 핫 버튼을 눌렀을 때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폰모드의 슬립 상태에서 일반 전화 착신시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a와 도7a의 차이점은 91단계에서 폰모드 대기상태라는 점이다. 그리고 휴대폰의 제어부는 79단계에서 인커밍 콜 메시지를 표시하고 93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통화 버튼이 눌러졌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통화 버튼이 눌러진 경우에는 94단계를 수행하고 통화 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79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94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폰모드 통화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74단계에서 암호 입력이 되면 24단계에서 휴대폰의 제어부는 미스드 콜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러한 차이점을 빼면 도 7a의 흐름도와 같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폰모드의 슬립 상태에서 일반 전화 착신시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폰모드의 슬립상태에서 SMS 수신 혹은 알람이 울릴 때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a와 전술한 도 8a의 차이점은 91단계에서 폰모드 대기상태가 표시된다. 이런 차이점을 빼면 도 8a의 흐름도와 같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폰모드의 슬립상태에서 SMS 수신시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폰모드의 슬립상태에서 알람이 울릴 때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폰모드의 슬립상태에서 핫 버튼을 눌렀을 때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a와 전술한 도 9a의 차이점은 91단계에서 폰모드 대기상태가 표시된다. 이런 차이점을 빼면 도 9a의 흐름도와 같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폰모드의 슬립상태에서 핫 버튼을 눌렀을 때 표시부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개인 휴대 단말기의 PDA모드에서 잠금이 설정되고 해제되는 방법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그리고 장시간 방치한 체 자리를 비우거나, 분실했을 때 타인이 암호를 정확히 입력하지 않는 한 개인 휴대 단말기를 마음대로 사용할 수 없도록 하여 개인적인 피해를 입지 않게 한다. 또한 개인휴대 단말기의 화면보호기가 구동되어 시각적으로 아름답게 꾸밀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7)

  1. PDA모드와 폰-모드로 동작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잠금 방법에 있어서,
    PDA모드 대기상태에서 슬립 타이머가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슬립 타이머가 경과하면 슬립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슬립모드에서 무선망을 통해 전달되는 외부 인터럽트가 발생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무선망을 통해 전달되는 외부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슬립모드를 해제하고 암호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암호입력창이 표시된 상태에서 암호 입력이 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암호 입력이 되면 잠금을 해제하고 PDA모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PDA모드에서 잠금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 입력이 되면 잠금이 해제되고 인커밍 콜 메시지 창이 표시되는 단계와,
    상기 인커밍 콜 메시지 창에서 예스 버튼이 눌러졌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예스 버튼이 눌러진 경우에는 PDA모드 통화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PDA모드에서 잠금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핫 버튼이 눌러졌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핫 버튼이 눌러진 경우에는 PDA모드 통화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PDA모드에서 잠금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핫 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상대방 전화종료를 확인하고 암호 입력이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암호 입력이 되면 미스드 콜 메시지 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PDA모드에서 잠금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암호 입력이 있을 때까지 암호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PDA모드에서 잠금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모드로 전환할 때 화면보호기를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화면보호기를 구동하는 방법.
  7. PDA모드와 폰-모드로 동작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잠금 방법에 있어서,
    폰모드 대기상태에서 슬립 타이머가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슬립 타이머가 경과하면 슬립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슬립모드로 전환할 때 화면보호기를 구동하는 단계와,
    상기 슬립모드에서 무선망을 통해 전달되는 외부 인터럽트 혹은 키 이벤트가 발생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무선망을 통해 전달되는 외부 인터럽트 혹은 키 이벤트가 발생하면 슬립모드를 해제하고 암호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암호입력창이 표시된 상태에서 암호 입력이 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암호 입력이 되면 잠금을 해제하고 인커밍 콜 메시지를 표시하고 통화 버튼이 눌러졌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통화 버튼이 눌러진 경우에는 폰모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폰모드에서 잠금 방법.
KR10-2001-0034327A 2001-06-18 2001-06-18 개인 휴대 단말기의 잠금 방법 KR100421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327A KR100421167B1 (ko) 2001-06-18 2001-06-18 개인 휴대 단말기의 잠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327A KR100421167B1 (ko) 2001-06-18 2001-06-18 개인 휴대 단말기의 잠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948A KR20020095948A (ko) 2002-12-28
KR100421167B1 true KR100421167B1 (ko) 2004-03-04

Family

ID=27709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327A KR100421167B1 (ko) 2001-06-18 2001-06-18 개인 휴대 단말기의 잠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11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483B1 (ko) * 2006-09-08 2013-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홀드상태 자동전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용 기기
CN102455927A (zh) * 2010-11-03 2012-05-16 汉王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阅读器快速控制方法和装置
EP2503768B1 (en) * 2011-03-23 2018-04-11 BlackBerry Limited Conference call prompting by a locked device
US8583097B2 (en) 2011-03-23 2013-11-12 Blackberry Limited Method for conference call prompting from a locke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948A (ko) 2002-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784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자동 잠금 방법
KR100744301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휴대 단말기및 그 방법
US5966671A (en) Radiotelephone having an auxiliary actuator and method for operating said radiotelephone
JP2009518919A (ja) 発呼中のキーロックを有する電子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1352395A (ja) 携帯端末装置
KR100310191B1 (ko) 휴대용단말기의분실/도난상태제어방법
JP4034395B2 (ja) 基地局及び少なくとも1つの移動局からなる専用相互通信モードを有する通信装置及び専用相互通信モードを開始する方法
KR100421167B1 (ko) 개인 휴대 단말기의 잠금 방법
KR20060044206A (ko) 자동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7329570A (ja) 近距離無線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
JP2004128780A (ja) キーロック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1006228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잠금 및 비상통화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4336528B2 (ja) 住宅監視システム
KR100323763B1 (ko) 휴대폰의분실또는도난방지방법
JP2002101193A (ja) 携帯電話機
JP2001320477A (ja) 携帯端末装置
JPH1132369A (ja) 携帯型通信装置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および携帯型通信装置
KR10119637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방법
JPH04104640A (ja) 電話装置
KR100827084B1 (ko) 매너모드에서 알람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JP2000041102A (ja) 無線通信装置
JP2001127866A (ja) 通信端末
KR100594176B1 (ko) 사용자 접촉감지를 통한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JP2005303790A (ja) 移動通信端末装置
KR100630087B1 (ko) 백라이트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