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0087B1 - 백라이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0087B1
KR100630087B1 KR1019990036158A KR19990036158A KR100630087B1 KR 100630087 B1 KR100630087 B1 KR 100630087B1 KR 1019990036158 A KR1019990036158 A KR 1019990036158A KR 19990036158 A KR19990036158 A KR 19990036158A KR 100630087 B1 KR100630087 B1 KR 100630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light
mode
determined
key
checking wh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6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9636A (ko
Inventor
류지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36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087B1/ko
Publication of KR20010019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9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백라이트용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를 구비하는 장치에서 백라이트를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키 입력 여부를 체크하는 제1과정과, 상기 키 입력이 감지되면 그 입력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계속 유지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2과정과, 상기 키 입력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계속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백라이트 온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백라이트 온 모드로 판단되면 오프 모드로 전환하고, 오프 모드로 판단되면 온 모드로 전환하는 제4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백라이트(back light)

Description

백라이트 구동 방법{BACK LIGHT DRIVING METHOD}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백라이트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구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백라이트(back light)를 구비한 장치에서 백라이트를 구동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터치 방식으로 백라이트를 켜거나 끌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통상적으로 전자통신장비는 대개 현재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거나 어두운 곳에서 사용자가 동작 확인 정보의 입력 등 장비 운영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라 함.)를 갖고 있다. 휴대용 전화기에서 사용자의 키 입력 편의를 위한 백라이트로 사용되고 있는 것도 광범위한 LED의 용도 중 하나이다.
휴대용 전화기에서는 사용자의 키 입력 편의나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함.)를 보는데 용이하도록 백라이트를 갖추고 있다. 예를 들어 플립(flip)형 전화기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플립을 열게 되면 키패드 및 LCD의 백라이트가 구동(on)된다.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는 대개 백라이트를 위하여 몇 개의 LED를 어레이(array) 형태로 구비하고 있다. LED 어레이가 구동되는 시점은 전원을 켰거나, 전화(call)가 걸려 왔거나, 플립을 열었거나 키를 입력하여 인터럽트가 걸렸을 때 등이다. 구동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도록 소정의 입력이 없을 경우에는 상기 LED 어레이가 자동으로 꺼지게(off) 할 수도 있는데, 사용자 입장에서 볼 때 경우에 따라서는 그 시간이 너무 짧을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어두운 곳에서 액정표시기에 표시되는 메시지를 좀 오랫동안 하는 경우 미처 다 확인하기도 전에 LED 어레이가 꺼지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백라이트의 구동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제어부는 1a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플립의 열림을 감지하면, 1b단계로 진행하여 단말기가 잠겨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잠겨 있으면 1c단계에서 잠김 해제 명령이 입력되는지 체크한다. 상기 잠김 해제 명령의 입력은 대개 사용자가 잠김 상태를 설정할 때 입력한 비밀번호와 동일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이다.
상기 1b단계에서 잠겨 있지 않다고 판단되었거나 상기 1c단계에서 잠김 상태가 해제되면 1d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메뉴키 입력을 감지한다. 그리고 1e단계에서 표시부에 메뉴의 종류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이를 보고 원하는 메뉴를 선택한다. 1f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백라이트 메뉴키 입력을 감지하면, 1g단계에서 표시부에 백라이트 메뉴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이를 보고 백라이트를 어떻게 구동할 것인지 선택한다. 상기 메뉴의 내용으로는 백라이트의 구동 형태들을 설정해 놓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립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백라이트가 항상 켜져 있도록 한다거나 일단 켜진 다음에는 10초 동안 그 상태를 유지하다가 자동으로 꺼지도록 한다거나 30초 동안 그 상태를 유지하다가 자동으로 꺼지도록 하는 것 등이다. 도 1은 이들 중 2가지를 채택한 경우에 해당한다.
1h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백라이트 메뉴 중 하나가 선택된 것을 감지하면 1i단계로 진행하여 '항상 구동'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항상 구동'이 선택되지 않았으면 1j단계에서 '10초 구동'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10초 구동'도 선택되지 않았으면 1k단계에서 '끄기'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이때 만일 '끄기'가 선택되었으면 1l단계에서 백라이트를 끈다.
상기 1i단계에서 '항상 구동'이 선택되었으면 1m단계로 진행하여 백라이트를 계속 켜두기 위한 동작 루틴을 수행하다가 플립이 닫힐 때 1l단계에서 백라이트를 끈다. 반면에, 상기 1i단계에서 '10초 구동'이 선택되었으면 1l단계로 진행하여 백라이트를 10초 동안 켜두기 위한 동작 루틴을 수행한 다음, 1l단계에서 백라이트를 끈다.
휴대용 전화기와 같은 이동 무선 단말기는 주로 한정된 용량의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며, 백라이트도 그 전원을 소모하는 한 요소임을 고려해볼 때 백라이트의 온 혹은 오프에도 소정의 제한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배터리 잔량이 얼마 되지 않는데도 백라이트가 계속 켜진다면 그만큼 전류 소모가 더 되므로, 만약 배터리 충전이 곤란한 상황에 있는 경우라면 이러한 전류 소모라도 줄여야 할 것이다. 불필요하게 전원을 낭비해버리면 단말기 사용시간[전화기의 경우 통화시간 및 수신대기시간]의 단축을 가져오게 되고,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매우 불편해질 뿐만 아니라 그만큼 경제적인 손실도 따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터치 방식으로 백라이트를 켜거나 끌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백라이트용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를 구비하는 장치에서 백라이트를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키 입력 여부를 체크하는 제1과정과, 상기 키 입력이 감지되면 그 입력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계속 유지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2과정과, 상기 키 입력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계속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백라이트 온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백라이트 온 모드로 판단되면 오프 모드로 전환하고, 오프 모드로 판단되면 온 모드로 전환하는 제4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다양한 백라이트 구동 시간 등과 같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구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장치의 제어부는 2a단계에서 키 입력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키 입력이 감지되면, 2b단계에서 그 입력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계속 유지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상기 키 입력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계속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2c단계에서 현재 백라이트 온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한다. 이때 만일 백라이트 온 모드로 판단되면 3d단계에서 오프 모드로 전환하고, 오프 모드로 판단되면 2e단계에서 온 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2b단계에서 키 입력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계속 유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해당 키가 고유의 용도로 사용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만일 상기 키가 어떤 기능키이면 해당 키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고, 숫자키이면 화면에 해당 숫자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원터치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에는 백라이트 오프 모드에서 온 모드로 전환될 때 백라이트의 구동 형태는 미리 정해진 것(예: 백라이트가 켜진 다음 10초 동안 그 상태를 유지하다가 자동으로 꺼지도록 한다.)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원터치 방식으로 백라이트를 켜거나 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또한, 그만큼 절전에도 유리하다.

Claims (2)

  1. 백라이트용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를 구비하는 장치에서 백라이트를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키 입력 여부를 체크하는 제1과정과,
    상기 키 입력이 감지되면 그 입력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계속 유지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2과정과,
    상기 키 입력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계속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백라이트 온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백라이트 온 모드로 판단되면 오프 모드로 전환하고, 오프 모드로 판단되면 온 모드로 전환하는 제4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액정표시기와 상기 액정표시기 하부에 백라이트용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백라이트 구동 방법에 있어서,
    키 입력 여부를 체크하는 제1과정과,
    상기 키 입력이 감지되면 그 입력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계속 유지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2과정과,
    상기 키 입력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계속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백라이트 온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백라이트 온 모드로 판단되면 오프 모드로 전환하고, 오프 모드로 판단되면 온 모드로 전환하는 제4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90036158A 1999-08-28 1999-08-28 백라이트 구동 방법 KR100630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158A KR100630087B1 (ko) 1999-08-28 1999-08-28 백라이트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158A KR100630087B1 (ko) 1999-08-28 1999-08-28 백라이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636A KR20010019636A (ko) 2001-03-15
KR100630087B1 true KR100630087B1 (ko) 2006-09-28

Family

ID=19609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6158A KR100630087B1 (ko) 1999-08-28 1999-08-28 백라이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00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099B1 (ko) * 2001-12-20 2008-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9717A (ko) * 1995-04-08 1996-11-25 구자홍 휴대폰의 백라이트 제어방법
KR960043608A (ko) * 1995-05-12 1996-12-23 구자홍 이동무선전화기의 백라이트(Backlight)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970068257A (ko) * 1996-03-11 1997-10-13 구자홍 셀룰라폰의 백라이팅 장치 및 밝기 조절 방법
JPH1084408A (ja) * 1996-09-06 1998-03-31 Nippon Denki Ido Tsushin Kk 携帯型電子機器
KR19980057443A (ko) * 1996-12-30 1998-09-25 김광호 휴대용 전화기의 키패트 백라이트 제어회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9717A (ko) * 1995-04-08 1996-11-25 구자홍 휴대폰의 백라이트 제어방법
KR960043608A (ko) * 1995-05-12 1996-12-23 구자홍 이동무선전화기의 백라이트(Backlight)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970068257A (ko) * 1996-03-11 1997-10-13 구자홍 셀룰라폰의 백라이팅 장치 및 밝기 조절 방법
JPH1084408A (ja) * 1996-09-06 1998-03-31 Nippon Denki Ido Tsushin Kk 携帯型電子機器
KR19980057443A (ko) * 1996-12-30 1998-09-25 김광호 휴대용 전화기의 키패트 백라이트 제어회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8005744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636A (ko)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8856B1 (ko) 통신기기및이를위한디스플레이차단제어방법
KR100362560B1 (ko) 이동 전화기의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방법
EP0510809B1 (en) Radio telephone
JPH0774691A (ja) 折畳機構付携帯電話機
JP2001223773A (ja) 移動体通信端末機のディスプレイ装置の動作状態に依存した制御に基づくエネルギー節減回路
US7095400B2 (en) Method of automatically enabling or disabling backlight of electronic device based on a predetermined time
EP1458171A1 (en) Integrated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isplay unit
KR100331316B1 (ko) 터치방식을사용하는이동단말기의액정화면및백라이트제어방법그에따른이동단말기
JP2972710B2 (ja) バックライトon/off機能付き携帯電話機
JP2002141986A (ja) 携帯電話機
KR100630087B1 (ko) 백라이트 구동 방법
KR10059519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 백라이트 전원제어장치
KR100442942B1 (ko) 화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에서 전원 제어를 통한배터리 소모량 절약방법
JP2001202184A (ja) キーボード装置及びその電源制御方法
KR20000041312A (ko) 휴대 통신 단말기의 전력 소모 절약 장치 및그 방법
JP2002101193A (ja) 携帯電話機
JP2008263332A (ja) 携帯電子機器
GB2323230A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oth radio and infrared transceivers
KR10081023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
JP2629630B2 (ja) 携帯用通信機
KR20030015472A (ko) 통신 기능을 구비한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비를절감하기 위한 시스템
KR100584364B1 (ko) 백라이트구동장치
KR200287417Y1 (ko) 외부에 기능키가 마련된 폴더형 휴대전화기
KR20000074571A (ko) 휴대전화 자동 온/오프 장치와 그 제어방법
JP2002353882A (ja) 携帯情報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