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0191B1 - 액정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액정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0191B1
KR100420191B1 KR10-2000-0078943A KR20000078943A KR100420191B1 KR 100420191 B1 KR100420191 B1 KR 100420191B1 KR 20000078943 A KR20000078943 A KR 20000078943A KR 100420191 B1 KR100420191 B1 KR 100420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quid crystal
crystal panel
line
gate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8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7469A (ko
Inventor
오이시도시야
Original Assignee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filed Critical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10067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1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액정 디스플레이는 액정 패널, 제 1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제 2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및 소스 드라이버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 패널은 매트릭스에 배치되는 셀들을 포함한다. 제 1 기판은 액정 패널의 제 1 외주부에 설치되며, 액정 패널의 X 축 방향의 한 세트의 신호선들을 구동하도록 설치되는 제 1 구동 회로를 구비한다. 제 2 기판은 액정 패널의 제 1 외주부에 대향하는 제 2 외주부에 설치되며, 액정 패널의 X 축 방향의 또 다른 세트의 신호선들을 구동하도록 설치되는 제 2 구동 회로를 구비한다. 제 3 기판은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사이에 설치되며, 액정 패널의 Y 축 방향의 한 세트의 신호선들을 구동하도록 설치되는 제 3 구동 회로를 구비한다. 또한, 제 3 기판은 제 1 기판 또는 제 2 기판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되는 신호가 통과되는 배선 패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그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액정 패널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를 조밀하게 설계하며 그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컴퓨터 등의 디스플레이로서 사용되는 액정 디스플레이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액정 디스플레이는 액정 패널과 이 액정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로 구성된다. 액정 패널은 X 축 방향의 다수의 신호 선들과 Y 축 방향의 다수의 신호선과의 각 교점들에 셀들이 매트릭스 형상에 배치된다. 구동 회로는 X 축 방향의 신호선들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와 Y 축 방향의 신호선들을 구동하는 또 다른 구동 회로를 구비한다.
X 축 방향의 신호선들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는 “게이트 드라이버 (driver) 기판”으로 불리는 기판상에 설치된다. 이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은 액정 패널의 좌측 또는 우측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다. 또한, Y 축 방향의 신호선들을 구동하는 다른 구동 회로는 “소스 드라이버 기판”으로 불리는 기판상에 설치된다. 이 소스 드라이버 기판은 액정 패널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 중의 어느 하나에 배치된다.
최근, 액정 패널의 스크린이 더 커지게 됨에 따라, X 축 방향 및 Y 축 방향의 신호선들을 길게 연장시켜야 한다. 이런 이유로, 구동 소스로부터 셀로의 거리가 더 길어짐에 따라 구동 소스로부터 셀로의 신호선의 저항이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이는 구동 소스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존재하는 셀에 의해 수신된 신호 파형의 지연이 더 커지게 되는 현상을 초래한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셀의 전극에 표준 전압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정상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신호선들의 재료들을 변경하여 저항값을 감소시키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액정 패널의 제조 공정이 증가됨에 따라 액정 디스플레이가 비싸지는 새로운 문제점을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또한 액정 스크린의 더욱 커진 크기에 대처하기 위하여, 액정 패널의 좌우 측상에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들을 설치하는 방법이 고려되고 있다. 이 경우, 각각의 X 축 방향들의 신호선들은 좌측 및 우측 양방향으로부터 구동된다.
그러나,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들을 액정 패널의 양측상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2 개의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들에 접속할 케이블들을 연장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액정 패널의 주변에 설치할 부품이 제한되어, 액정 디스플레이를 조밀하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액정 패널을 대략 좌우측 방향으로 횡단하는 임의의 길이를 갖는 케이블이 필요하기 때문에, 케이블의 처리가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또한, 액정 패널에 2 개의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들을 접속시켜야 한다. 따라서, 접속 공정도 증가시키므로 액정 디스플레이가 비싸지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관련 기술로서, 일본 특허 제 2655061 호는 수평 접속 기판의 단자를 적절히 사용함에 의해, 제 1 접속 기판 및 제 2 접속 기판용으로 한 종류의 수평 접속 기판을 사용하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액정 디스플레이는 2개의 기판들을 서로 케이블을 통해 접속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없다.
일본 특개평(JP-A-평성, 9-211484)은 “액정 디스플레이”를 개시한다. 이 액정 디스플레이에서는, 액정 패널상에 배치된 제 1 단자 전극 및 제 2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플렉서블 회로 기판을 단일 유닛으로 일체로 형성한다. 플렉서블 회로 기판은 플렉서블 회로 기판의 제 1 단자전극과 제 2 단자 전극의 접속과 무관한 부분을 부분적으로 감아 올린 롤업부(rollup section)를 갖는다. 그러나, 2개의 기판을 플렉서블 회로 기판이라 불리는 일종의 케이블을 통해 서로 접속하기 때문에,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조밀하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그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액정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의 구조에 있어, 표면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
도 1b 는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구조의 후면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
도 2a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제 1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b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제 2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 는 종래의 액정 디스플레이의 조립시의 위치 관계를 기술하는 도면.
도 4a 내지 도4c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의 조립시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c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변경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의 조립시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정 패널 2 : 소스 드라이버 기판
3 : 제 1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4 : 제 2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는, 액정 패널, 제 1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제 2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및 소스 드라이버 기판을 구비한다. 액정 패널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셀들을 구비한다. 액정 패널의 제 1 외주부에는, 액정 패널의 X 방향의 한 세트의 신호선들을 구동하는 제 1 구동 회로가 제공된 제 1 기판이 설치된다. 액정 패널의 제 1 외주부에 대향하는 제 2 외주부에는, 액정 패널의 X 축 방향의 또 다른 세트의 신호선들을 구동하는 제 2 구동 회로가 제공된 제 2 기판이 설치된다.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사이에는 액정 패널의 Y 축 방향의 한 세트의 신호선들을 구동하는 제 3 구동 회로가 설치한 제 3 기판이 제공된다. 또한, 제 3 기판은 제 1 기판 또는 제 2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으로 전송되는 신호가 통과되는 배선 패턴을 구비한다.
이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는, 제 1 기판이 제 2 기판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제 1 기판이 제 2 기판과 동일한 배선 패턴을 갖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으로, 한 종류의 기판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제조 비용을, 2 종류의 기판으로 제조하는 경우에 비해, 더 저렴하게 할 수 있다.
이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는, 제 1 기판이 제 1 구동 회로에 접속되는 한단부를 가진 제 1 부분을 더 구비하고 제 2 기판이 제 2 구동 회로에 접속되는 한 단부를 가진 제 2 부분을 더 구비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이 액정 디스플레이에서는, 제 1 기판상에 설치된 제 1 부분의 또 다른 단부에 소정의 전위를 인가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기판상에 설치된 제 2 부분의 또 다른 단부에 또다른 전위를 인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은 각각 저항들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부분으로서 기능하는 저항들이 전원 또는 접지에 접속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2종류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태양에 따른 액정 패널은, 액정 패널에서, 액정 패널의 제 1 내부 부분에 제 1 구동 회로와 접속하는 제 1 접속 단자가 형성되고, 액정 패널의 제 1 내부 부분에 대향하는 제 2 내부 부분에 제 2 구동 회로와 접속하는 제 2 접속 단자가 형성되고, 제 1 접속 단자 및 제 2 접속 단자가 액정 패널의 Y 축 방향의 중심점을 통과하는 선에 대하여 선 대칭으로 배치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태양에 따른 액정 패널은, 액정 패널에서, 액정 패널의 제 1 내부 부분에 제 1 구동 회로와 접속하는 제 1 접속 단자가 형성되고, 제 1 내부 부분에 대향하는 제 2 내부 부분에 제 2 구동 회로와 접속하는 제 2 접속 단자가 형성되고, 제 1 접속 단자 및 제 2 접속 단자가 액정 패널의 Y 축 방향의 중심점을 통과하는 선과, 액정 패널의 X 축의 방향의 중심점을 통과하는 또 다른 선과의 교점에 대하여 점대칭으로 배치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상술한 것과 유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따른 액정 패널은, 셀들, 제 1 접속 단자, 및 제 2 접속 단자를 구비한다. 셀들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다. 제 1 접속 단자는 액정 패널의 제 1 내부 부분에 형성되고, X 축 방향의 한 세트의 신호선들을 구동하는 제 1 구동 회로에 접속된다. 제 2 접속 단자는 액정 패널의 제 1 내부 부분에 대향하는 제 2 내부 부분에 형성되고, X 축 방향의 또 다른 세트의 신호선들을 구동하는 제 2 구동 회로에 접속된다. 이때, 제 1 접속 단자 및 제 2 접속 단자는 액정 패널의 Y축 방향의 중심점을 통과하는 선에 대하여 선 대칭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따른 액정 패널은, 제 1 접속 단자와 제 2 접속 단자가, 상기 액정 패널의 Y 축 방향의 중심점을 통과하는 선과 상기 액정 패널의 X 축 방향의 중심점을 통과하는 선과의 교점에 대하여, 점대칭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에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은, 설치 단계와 전송 단계를 포함한다. 설치 단계는, 셀들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는 액정 패널, 액정 패널의 제 1 외주부에 설치되며 액정 패널의 X 축 방향의 한 세트의 신호선들을 구동하는 제 1 구동 회로를 갖는 제 1 기판, 액정 패널의 제 1 외주부에 대향하는 제 2 외주부에 설치되며 액정 패널의 X 축 방향의 또 다른 신호 세트들을 구동하는 제 2 구동 회로를 갖는 제 2 기판,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상에 설치되며 액정 패널의 Y 축 방향의 한 세트의 신호선들을 구동하는 제 3 구동 회로를 갖는 제 3 기판을 설치한다. 전송 단계는 제 3 기판상에 형성된 배선 패턴을 통해 제 1 기판 또는 제 2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으로 신호를 전송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케이블링(cabling)을 간단히 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개략적으로, 도 1a 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 외관을 나타낸 것이며, 도 1b 는 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이 액정 디스플레이는 액정 패널 (1), 소스 드라이버 기판 (2), 제 1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3), 제 2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4), 플렉서블 케이블 (5 내지 7), 소스 드라이버 (8 내지 17), 게이트 드라이버 (18 내지 25), 백라이트 유닛 (26), 및 신호 처리 기판 (27) 으로 구성된다. 도 1a 및 도 1b 에서, 점선으로된 화살표는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다.
액정 패널 (1) 은 대략 직사각형의 외형을 가지며, 백라이트 유닛 (26) 상에 배치된다. 액정 패널 (1) 의 표면의 중심영역상에는, X 축 방향의 다수의 신호선들 (도시되지 않음) 및 Y 축 방향의 또 다른 다수의 신호선들 (도시되지 않음) 이 형성된다. 이들 신호선들의 교점에, 픽셀들을 구성하는 셀들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다. X 축 방향의 다수의 신호선들의 각각은, 제 1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3) 상에 설치된 게이트 드라이버 (18 내지 21) 에 의해, 도 1a의 좌측으로부터 구동된다. 또한, X 축 방향의 나머지 다수의 신호선들의 각각은, 제 2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4) 상에 설치된 게이트 드라이버 (22 내지 25) 에 의해, 도 1a 의 우측으로부터 구동된다.
액정 패널 (1) 의 표면상의 상단영역(upper end area)에 소스 드라이버들 (8 내지 17) 에 각각 접속된 접속 단자들이 형성되며, 액정 패널의 좌측단부에 게이트 드라이버 (18 내지 21) 에 접속된 제 1 접속 단자들이 형성되며, 액정 패널의 우측단부에 게이트 드라이버 (22 내지 25) 에 연결된 제 2 접속 단자들이 형성된다. 그러나, 모든 접속 단자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소스 드라이버 기판 (2) 에는 10개의 소스 드라이버 (8 내지 17) 들이 적재된다. 소스 드라이버 (8 내지 17) 들은 막 기판상에 IC 를 탑재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tape carrier package) (이하, “TCP”라함) 으로 구성된다. 신호 처리 기판 (27) 으로부터 플렉서블 케이블 (5) 을 통해 소스 드라이버 기판 (2) 으로, 드라이버 제어 신호들 (후술함) 가 입력된다. 따라서, 소스 드라이버 (8 내지 17) 들 각각은 Y 축 방향의 신호선을 구동한다. 드라이버 제어 신호들의 부분은 소스 드라이버 (8 내지 17) 들로 전송된다. 소스 드라이버 기판 (2) 상에 설치되는 소스 드라이버의 갯수는 10개에 한하지 않는다. 이는 어떠한 갯수라도 무방하다.
소스 드라이버 기판 (2) 상에, 플렉서블 케이블 (5) 과 플렉서블 케이블 (7) 을 접속하는 배선 패턴 (200) 이 형성된다. 플렉서블 케이블 (5) 로부터 입력된 드라이버 제어 신호들의 또 다른 부분은 원상태로 배선 패턴 (200) 을 통해 플렉서블 케이블 (7) 로 출력된다.
제 1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3) 에는 4 개의 게이트 드라이버 (18 내지 21) 가 적재된다. 게이트 드라이버 (18 내지 21) 는 TCP 로 구성된다. 신호 처리 기판 (27) 으로부터 플렉서블 케이블 (6) 을 통해 제 1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3) 으로 드라이버 제어 신호들이 입력된다. 이들 드라이버 제어 신호들은 게이트 드라이버 (18 내지 21) 들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게이트 드라이버 (18 내지 21) 들 각각은 X 축 방향의 좌측 절반의 신호선을 구동한다. 제 1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3) 상에 설치되는 게이트 드라이버의 갯수는 4 개에 한하지 않는다. 이는 어떠한 갯수도 무방하다.
제 2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4) 에는 4개의 게이트 드라이버 (22 내지 25) 들이 적재된다. 게이트 드라이버 (22 내지 25) 들은 TCP로 구성된다. 신호 처리 기판 (27) 으로부터 플렉서블 케이블 (5), 소스 드라이버 기판 (2) 상의 배선 패턴 (200) 및 플렉서블 케이블 (7) 을 통해 제 2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3) 에, 드라이버 제어 신호들이 입력된다. 이들 드라이버 제어 신호들은 게이트 드라이버 (22 내지 25) 들에 공급된다. 따라서, 게이트 드라이버 (22 내지 25) 들 각각은 X 축 방향의 우측 절반의 신호선을 구동한다. 또한, 제 2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4) 상에 설치되는 게이트 드라이버의 갯수는 4개에만 한하지 않는다. 이는 어떠한 갯수라도 무방하다.
백라이트 유닛 (26) 은 광을 발생시키고, 액정 패널 (1) 의 후면에 광을 조사한다. 따라서, 액정 패널 (1) 의 휘도가 더 밝게 된다. 백라이트 유닛 (26) 의 후면 측상의 코너에 신호 처리 기판 (27) 이 고정된다. 이 신호 처리 기판 (27) 에서, CPU (미도시) 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드라이버 제어 신호들이 생성된다. 생성된 드라이버 제어 신호들은 상술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케이블 (5) 을 통해 소스 드라이버 기판 (2) 과 제 2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4) 에 공급되며, 또한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 (6) 을 통해 제 1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3) 에 공급된다.
따라서, 소스 드라이버 (8 내지 17) 들은 Y 축 방향의 신호선들을 X 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또한, 게이트 드라이버 (18 내지 21) 및 게이트 드라이버 (22 내지 25) 들은 X 축 방향의 신호선들을 Y 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그 결과, 액정 패널 (1) 내의 각 셀들이 순차적으로 선택되어, 액정 패널(1)의 스크린 상에 도형들 및 문자들이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액정 디스플레이를, 신호 처리 기판 (27) 으로부터의 드라이버 제어 신호를 소스 드라이버 기판 (2) 상에 형성된 배선 패턴 (200) 을 통해 제 2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4) 으로 전송하도록, 설계한다. 따라서, 신호 처리 기판 (27) 과 제 2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4) 을 서로 접속하기 위해, 액정 패널(1)을 실질적으로 횡단하는 긴 케이블을 백 라이트 유닛 (26) 의 후면에 배선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을 연장시킬 공간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액정 디스플레이를 조밀하게 설계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는 제 1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3) 및 제 2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4) 을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제 1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3) 은 제 2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4) 과 동일한 배선 패턴을 가진다. 이들은 외형을 포함하는 구조가 서로 동일하다. 이하, 단지 부품이 조립되지 않은 제 1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3) 과 제 2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4) 을 기판이라 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상에 4 개의 게이트 드라이버들을 접속하는 4 개의 접속 단자들이 형성된다. 또한, 기판의 양단 부분들에 플렉서블 케이블 (7) 용 패드와 플렉서블 케이블 (6) 용 패드가 형성된다. 그 양쪽 패드사이에, 배선 패턴을 사용하여, 접지선(GND), 전원선(VCC), 클럭 신호선 및 COM 신호선이 형성된다. 또한, 기판상에, 이 선들이 4개의 접속 단자들에 접속되도록, 배선 패턴들이 형성된다.
또한, 플렉서블 케이블 (7) 용 패드로부터 각각의 게이트 드라이버를 통해 플렉서블 케이블 (6) 용 패드로 배치되는 개시 신호선의 배선 패턴이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접속 단자들에서의 소정의 핀들은 배선 패턴을 이루는 시프트 방향 선택 신호선 (SHL) 으로 공통 접속된다. 시프트 방향의 선택 신호선(SHL)의 소정의 부분들에, 전원선 (VCC) 과 접속하는 VCC 패드와 접지선 (GND) 과 접속하는 GND 패드가 탑재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기판을 제 1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3) 으로 사용하는 경우, 게이트 드라이버 (18 내지 21) 들을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재한다. 게이트 드라이버 (18 내지 21) 각각은 시프트 레지스터로 구성할 수 있으며, 첫 번째 핀으로부터 256 번째 핀까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각각의 게이트 드라이버 (18 내지 21) 로의 데이터의 시프트-인 (shift-in) 및 각각의 게이트 드라이버 (18 내지 21) 로부터의 시프트-아웃 (shift-out) 은 개시 신호선을 이용하여 실행한다. 게이트 드라이버 (18 내지 21) 의 시프트 방향은 시프트 방향의 선택 신호선 (SHL) 의 전위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플렉서블 케이블 (6) 용 패드상에 플렉서블 케이블 (6) 이 설치되며, 플렉서블 케이블 (7) 용 패드상에 어떤 부분도 탑재되지 않는다. 또한, GND 패드상에 저항 (R1) 이 탑재되며, VCC 패드상에는 어떤 부분도 탑재되지 않는다. 따라서, 시프트 방향의 신호선 (SHL) 에는 저 레벨을 가지는 신호가 공급된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케이블 (6) 로부터 입력된 개시 신호가 게이트 드라이버 (18 내지 21) 으로부터 도 2의 좌측 방향으로 시프트된다.
한편, 기판을 제 2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4) 으로 사용하는 경우,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드라이버 (22 내지 25) 를 탑재한다. 게이트 드라이버 (22 내지 25) 각각은 시프트 레지스터로 구성할 수 있으며, 첫 번째 핀으로부터 256 번째 핀으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각각의 게이트 드라이버 (22 내지 25) 로의 데이터의 시프트-인 및 각 게이트 드라이버 (22 내지 25) 로부터의 시프트-아웃은 개시 신호선을 이용하여 행한다. 게이트 드라이버 (22 내지 25) 의 시프트 방향은 시프트 방향의 선택 신호선 (SHL) 의 전위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플렉서블 케이블 (7) 용 패드상에 플렉서블 케이블 (7) 이 탑재되며, 플렉서블 케이블 (6) 용 패드상에는 어떠한 부분도 탑재되지 않는다. 또한, VCC 패드상에 저항 (R2) 이 탑재되며, GND 패드상에는 어떤 부분도 탑재되지 않는다. 따라서, 시프트 방향의 선택 신호선 (SHL) 에 하이 레벨을 가지는 신호가 공급된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케이블 (7) 로부터 입력된 개시 신호가 게이트 드라이버 (22 내지 25) 로부터 도 2b의 우측 방향으로 시프트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제 1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3) 과 제 2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4) 을,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패널(1)의 좌측 및 우측상에, 각각 설치하는 경우, 신호 처리 기판 (27) 으로부터 출력된 드라이버 제어 신호가 제 1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3) 및 제 2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4)에 동시에 공급되어, 도 1a 및 1b의 상부 방향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시프트된다. 따라서, 스캐닝 동작이 수행된다.
이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에서는, 2 종류의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들을, 단지 기판상에 저항 및 플렉서블 케이블들의 탑재 위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기판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대량 생산 효과에 의한 비용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판상에 형성되는 배선 패턴은 한 종류라도 충분하다. 그러므로, 기판의 설계 시간이 단축되므로, 기판의 면적도 감소시킬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조립을 간단히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를 조립하는 경우, 제 1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3) 과 액정 패널 (1) 사이의 접속, 제 2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4) 과 액정 패널 (1) 사이의 접속을 행할 때, 통상, 위치 결정을, 액정 패널 (1) 의 외형과 스토퍼와의 접촉에 의해 행한다. 따라서,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패널 (1) 의 Y 축 방향의 중심 (A) 은 게이트 드라이버들을 연결하는 위치의 Y 축 방향의 중심 (B) 와 다르면, 액정 패널 (1) 에 제 1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3) 을 접속할 때의 게이트 드라이버 위치가 액정 패널 (1) 에 제 2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4) 을 접속할 때의 게이트 드라이버 위치와 달라지게 된다.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A) 이 중심 (B) 로부터 도 3a의 상부 측상에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패널 (1) 에 제 1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3) 을 접속하기 위해, 액정 패널 (1) 의 외형을 스토퍼에 접촉시키면, 게이트 드라이버를 접속하는 위치가 도 3b의 좌측으로 치우쳐 친다. 한편,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패널 (1) 에 제 2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4) 을 접속하기 위해 액정 패널 (1) 의 외형을 스토퍼에 접촉시키면, 게이트 드라이버를 접속하는 위치가 도 3c의 우측으로 치우쳐 진다.
따라서, 중심 (A) 가 중심 (B) 와 다른 액정 패널 (1) 을 조립하는 경우, 액정 패널 (1) 에 제 1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3) 을 접속할 때와, 액정 패널 (1) 에 제 2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4) 을 접속할 때, 조립 설비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결과, 조립설비의 설정을 변경하는데 긴 시간이 걸린다. 또한, 설정 에러에 의해 수율의 저하가 초래된다.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하는 액정 패널 (1) 에서, 게이트 드라이버들을 접속하는 접속 단자들을, 액정 패널 (1) 의 Y축 방향의 중심 (A) 이 게이트 드라이버를 접속하는 위치의 Y 축 방향의 중심 (B) 과 일치하도록, 형성한다. 즉, 제 1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3) 을 접속하는 접속 단자들과 제 2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4) 을 접속하는 접속 단자들을, 액정 패널(1)의 Y 축 방향의 중심점을 통과하는 선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배치한다.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A) 가 중심 (B) 와 일치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액정 패널 (1) 에 제 1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3) 을 접속하기 위하여 액정 패널(1)의 외형을 스토퍼와 접촉할 때 (도 4b를 참조)의 중심 (A) 가 액정 패널 (1) 에 제 2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4) 을 접속하기 위하여 액정 패널 (1) 의 외형을 스토퍼에 접촉시킬 때 (도 4c를 참조) 의 중심 (A) 과 일치한다.
따라서, 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하면, 액정 패널 (1) 에 제 1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3) 을 접속하는 경우와, 액정 패널 (1) 에 제 2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4) 을 접속하는 경우에, 조립 설비의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설정을 변경하는데 긴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점 및 설정 에러에 의해 발생되는 수율 저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이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액정 패널 (1) 에서는, 제 1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3) 을 접속하는 접속 단자들과 제 2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4) 을 접속하는 접속 단자들을, 액정 패널 (1) 의 중심, 즉 도 5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패널 (1) 의 Y 축 방향의 중심점을 통과하는 선과 액정 패널 (1) 의 X 축 방향의 중심점을 통과하는 선과의 교점에 대하여, 점 대칭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액정 패널 (1) 에 제 1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3) 을 접속하기 위해 액정 패널 (1) 의 외형을 스토퍼와 접촉시키는 경우(도 5b를 참조)의 게이트 드라이버들의 위치가, 액정 패널 (1) 에 제 2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4) 을 접속하기 위해 액정 패널 (1) 의 외형을 정지 장치와 접촉시키는 경우 (도 5c 를 참조)의 게이트 드라이버들의 위치와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또한 이 경우에도, 상술한 경우와 유사하게, 설정을 변경하는데 긴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점 및 설정 에러에 의해 발생되는 수율 저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들에서는,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을 좌측용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및 우측용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으로 분리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소스 드라이버 기판을 상부측용 소스 드라이버 기판 및 하부측용 소스 드라이버 기판으로 분리한 경우도 상술한 경우와 유사하게 설계할 수도 있으며, 상술한 경우와 유사한 동작 및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이 좌측용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 및 우측용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으로 분리되고 소스 드라이버 기판이1 상부측용 소스 드라이버 기판 및 하부측용 소스 드라이버 기판으로 분리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조밀하면서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그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액정 패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셀들을 가지는 액정 패널; 및
    상기 액정 패널의 제 1 에지에 인접한 제1기판과, 상기 제 1 에지에 마주보는 제 2 에지에 인접한 제 2 기판을 구비하되,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은 그 상부에 상기 액정패널의 셀들 각각에 대응하는 각 신호선 세트를 구동하는 복수의 게이트 드라이버를 가지며,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은 그 상부에 접지선, 전원선, 클록선, 제어신호선, 및 시프트 방향 선택신호를 전송하는 SHL 선을 포함하는 배선패턴을 가지며,
    상기 각 배선패턴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를 상기 SHL선을 통해 서로 접속하며,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를 상기 접지선, 전원선, 클록선, 및 제어신호선에 접속하며,
    상기 각 배선 패턴은 상기 접지선, 전원선, 클록선 및 제어신호선과 각각 접속된 각 접속패드와의 말단부를 가지며,
    상기 각 배선 패턴은 상기 접지선에 상기 SHL선을 접속할 수 있는 제 1 단자, 및 상기 전원선에 상기 SHL선을 접속할 수 있는 제 2 단자를 가지며,
    상기 배선 패턴은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에서 동일하며,
    상기 제 1 기판은 상기 제 1 단자와 서로 접속하지만 상기 제 1 기판에서 제 2 단자들과는 서로 접속하지 않는 제 1 저항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 2 기판은 상기 제 2 단자와 서로 접속하지만 상기 제 2 기판에서 상기 제 1 단자와는 서로 접속하지 않는 제 2 저항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은 상기 접속 패드들중 한 접속패드에 접속되고 나머지 접속 패드들은 접속되지 않는 플렉서블 케이블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상의 상기 복수의 게이트 드라이버 및 상기 제 2 기판상의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는 상기 신호선에 평행하며 상기 액정패널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에 대해 선대칭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에지와 상기 제 2 에지 사이의 상기 액정패널의 제 3 에지에 인접한 제 3 기판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 3 기판은 상부에 상기 셀들 각각에 대응하는 각 신호선 세트를 구동하는 복수의 소오스 드라이버를 가지며,
    상기 제 3 기판은 그 상부에 상기 소오스 드라이버에 접속되지 않고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의 상기 배선 패턴에 접속되는 배선 패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0-0078943A 1999-12-22 2000-12-20 액정 디스플레이 KR100420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6562599A JP3362843B2 (ja) 1999-12-22 1999-12-22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信号送受方法並びに液晶パネル
JP99-365625 1999-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469A KR20010067469A (ko) 2001-07-12
KR100420191B1 true KR100420191B1 (ko) 2004-03-04

Family

ID=18484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8943A KR100420191B1 (ko) 1999-12-22 2000-12-20 액정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32055B2 (ko)
JP (1) JP3362843B2 (ko)
KR (1) KR100420191B1 (ko)
TW (1) TW5847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650B1 (ko) * 2000-11-23 2002-08-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0803163B1 (ko) * 2001-09-03 2008-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2003108021A (ja) * 2001-09-28 2003-04-11 Hitachi Ltd 表示装置
JP3909572B2 (ja) * 2001-09-28 2007-04-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
JP4027691B2 (ja) * 2002-03-18 2007-12-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JP2004109969A (ja) * 2002-07-22 2004-04-08 Fujitsu Display Technologies Corp 液晶表示装置
KR100840330B1 (ko) * 2002-08-07 2008-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에 사용하는 구동 집적 회로
JP2004184682A (ja) * 2002-12-03 2004-07-02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50087478A (ko) * 2004-02-27 2005-08-31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JP2006245299A (ja) * 2005-03-03 2006-09-14 Canon Inc ステージ装置及び露光装置
TWI304563B (en) * 2005-03-11 2008-12-21 Himax Tech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gate control signals of lcd
JP4055787B2 (ja) * 2005-04-26 2008-03-05 船井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0736395B1 (ko) * 2005-07-07 2007-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드라이버 ic 및 이를 위한 패드 배치방법
JP5087961B2 (ja) * 2005-08-05 2012-12-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基板の両面に実装可能な集積回路装置及び電子機器
JP5087869B2 (ja) * 2005-08-05 2012-12-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基板の両面に実装可能な集積回路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178474A (ja) * 2005-12-27 2007-07-12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KR101380855B1 (ko) * 2006-10-31 2014-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4424373B2 (ja) 2007-05-23 2010-03-03 船井電機株式会社 液晶モジュール用の中継基板及び液晶モジュール
KR101082284B1 (ko) * 2009-09-15 2011-11-0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9334A (ja) * 1991-10-24 1993-05-18 Nec Corp 液晶表示装置
KR960025302A (ko) * 1994-12-14 1996-07-20 미따라이 후지오 디스플레이 장치
JPH10186303A (ja) * 1996-10-31 1998-07-14 Optrex Corp 液晶表示モジュール及びインターフェイス回路ブロック
KR19980071061A (ko) * 1997-02-05 1998-10-26 쯔지하루오 플렉시블 회로판 및 이를 통합한 액정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1484A (ja) 1996-02-01 1997-08-15 Citizen Watch Co Ltd 液晶表示装置
KR100240818B1 (ko) * 1996-08-01 2000-01-15 나시모토 류조 테이프캐리어패키지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9334A (ja) * 1991-10-24 1993-05-18 Nec Corp 液晶表示装置
KR960025302A (ko) * 1994-12-14 1996-07-20 미따라이 후지오 디스플레이 장치
JPH10186303A (ja) * 1996-10-31 1998-07-14 Optrex Corp 液晶表示モジュール及びインターフェイス回路ブロック
KR19980071061A (ko) * 1997-02-05 1998-10-26 쯔지하루오 플렉시블 회로판 및 이를 통합한 액정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83689A (ja) 2001-07-06
TW584777B (en) 2004-04-21
KR20010067469A (ko) 2001-07-12
JP3362843B2 (ja) 2003-01-07
US6532055B2 (en) 2003-03-11
US20010005254A1 (en) 200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0191B1 (ko) 액정 디스플레이
CN110867139B (zh)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950009069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395049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390747B1 (ko) 반도체칩, 반도체장치용 패키지, 프로브 카드 및 패키지 테스트 방법
KR0153222B1 (ko)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
CN112201155A (zh) 显示面板
US2002009361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mplementing improved electrical lines and the fabricating method
US6380918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295078B1 (ko) 디스플레이장치
JP3671237B2 (ja) 表示装置
US20030058398A1 (en) Display apparatus characterized by wiring structure
CN114488632B (zh) 一种显示面板、显示装置及其检测方法
KR101226513B1 (ko) 액정표시패널
JP3875806B2 (ja) 液晶表示装置
KR101021747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294823B1 (ko) 액정표시장치하판글래스의배선구조
JPH1173127A (ja) 液晶表示装置
KR100238006B1 (ko) 액정표시장치
KR19980026755A (ko) 액정 표시 모듈
KR100268304B1 (ko) 액정표시장치의 입력배선의 구조
KR100767362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848091B1 (ko) 간소화된 데이터 배선을 갖는 인쇄 회로 기판을 이용하는액정 표시 장치
KR20050093917A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075054A (ko)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