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0016B1 - 푸시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시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0016B1
KR100420016B1 KR10-2001-0020506A KR20010020506A KR100420016B1 KR 100420016 B1 KR100420016 B1 KR 100420016B1 KR 20010020506 A KR20010020506 A KR 20010020506A KR 100420016 B1 KR100420016 B1 KR 100420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ontact
pushbutton switch
hole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0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8671A (ko
Inventor
타카하시카즈나리
사토요시카츠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8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8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0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3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flexing of blade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Abstract

(과제) 회로기판 등으로의 실장성을 해치지 않고 제조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푸시버튼 스위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절연성 기판 (110) 과, 기판 (110) 상의 중앙부에 적층형성된 고정접점 (111) 과, 기판 (110) 상에 적층형성되는 인설레이터 (120) 와, 인설레이터 (120) 의 관통구멍 (120a) 내에 수용되어 기판 (110) 상에 탑재되는 돔형상의 메탈 콘택트 (130) 와, 고정접점 (111) 및 메탈 콘택트 (130) 가 접촉하는 접촉패턴 (112) 이 각각 접속되는 쓰루홀 전극면 (110b(110b') 및 110a(110a')) 과, 기판 (110) 의 표면 및 메탈 콘택트 (130) 에 피복부착된 커버시트 (140) 를 구비하고, 쓰루홀 전극면 (110b(110b'),110a(110a')) 은 기판 (110) 의 측단면에 이 측단면과 평행한 평면형상으로 되도록 적층형성된다.

Description

푸시버튼 스위치{Push-Button Switch}
본 발명은 박형화가 요구되는 전자기기 등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푸시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의 푸시버튼 스위치에 대하여 도 10 ∼ 도 15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0 은 종래의 푸시버튼 스위치 (60) 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 은 종래의 푸시버튼 스위치 (60) 의 사시도, 도 12 는 쓰루홀(through hole)(40a(40b)) 을 나타낸 일부확대도, 도 13 은 대형 기판 (54) 의 일부사시도, 도 14 는 대형 기판 (54) 에 가동접점 (78) 과 커버시트 (80) 를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사시도, 도 15 는 개개의 푸시버튼 스위치로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사시도이다.
도 10, 도 11 에 있어서, 40 은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진 기판으로서, 그 표면 중앙에는 원형의 고정접점 (46) 이 형성되어 있고, 그 주위에 대략 C 형상의 접촉패턴 (42)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접점 (46) 과 접촉패턴 (42) 은, 각각 기판 (40) 의 4 모서리에 설치된 외부접속단자, 즉 사분원기둥면형상의 쓰루홀 (40a,40b) 까지 인출배선 (46a,46b,42a,42b) 에 의해 각각 인출되어 있다.
48 은 금속의 원판을 돔형상으로 굴곡시킨 가동접점으로서, 그 외주부 (48a) 가 접촉패턴 (42) 에 접하여 도통하도록 접촉패턴 (42) 상에 탑재되어 있다. 50 은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 커버시트로서, 가동접점 (48) 을 피복하도록 기판 (40) 의 표면에 점착되어 있어서, 가동접점 (48) 을 고정함과 동시에 플럭스 등의 침입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푸시버튼 스위치 (60) 에 있어서, 가동접점 (48) 부분이 상측에서 누름조작되어 가동접점 (48) 이 반전하여 그 중앙부가 고정접점 (46) 에 맞닿음으로써, 고정접점 (46) 과 접촉패턴 (42) 이 도통하여 스위치동작이 이루어지고, 고정접점 (46) 과 접촉패턴 (42) 에 각각 접속된 쓰루홀 (40a,40b) 로부터 스위치신호가 외부로 전달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술한 푸시버튼 스위치 (60) 는 다음 공정에 의해 조립된다.
우선,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형 기판 (54) 상에는, 푸시버튼 스위치 (60) (도 10, 도 11 참조) 에 있어서의 고정접점 (46), 접점패턴 (42), 쓰루홀 (40a,40b) 및 인출배선 (46a,46b,42a,42b) 으로 이루어지는 회로패턴에 대응하는 회로패턴 (90) 이 종횡으로 배열되도록 패턴형성되어 있다. 도 13 에 있어서의 76 은 푸시버튼 스위치 (60) 의 고정접점 (46) 에, 74 는 접촉패턴 (42) 에, 54a 는 쓰루홀 (40a,40b) 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또한, 부호 54a 는 대형 기판 (54) 에 NC 드릴링 머신 등에 의해 천공가공된 관통구멍의 내면에 도금처리가 실시됨으로써 쓰루홀 (54a) 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형 기판 (54) 의 각 회로패턴 (90) 에 있어서의 접촉패턴 (74) 상에 금속제 가동접점 (78) 이 탑재되며, 그리고 이들 가동접점 (78) 의 위에서 대형 기판 (54) 의 표면 전체를 덮도록 내열성 커버시트 (80) 가 점착된다. 그 후, 도 1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쓰루홀 (54a) 을 4 분할하도록 도면중 이점쇄선부분을 슬라이싱 머신 등으로 절단해서 개개의 푸시버튼 스위치로 분할하여 상기 푸시버튼 스위치 (60) 를 완성시킨다.
그리고 도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시트 (80) 에는 쓰루홀 (54a) 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구멍 (80a) 을 형성할 필요가 있었다. 이것은, 관통구멍 (80a) 이 없는 경우에, 분할된 후의 푸시버튼 스위치 (60) 의 쓰루홀 (40a(40b)) 에 커버시트 (50) 의 각부 (50') (도 12 참조) 가 오버행되어 그 푸시버튼 스위치 (60) 를 예컨대 전자기기의 회로기판 등에 표면실장으로 납땜할 때에, 납땜부가 오버행의 아래로 되어 납땜부를 육안으로 볼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커버시트 (80) 에 관통구멍 (80a) 을 형성하는 것은, 커버시트 (80) 로의 가공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공정수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커버시트 (80) 의 두께는 수십 ㎛ 정도이기 때문에, 천공가공이 어려워 가공시간이 더욱 증가하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도 14 에 나타낸 커버시트 (80) 를 대형 기판 (54) 에 점착할 때에, 관통구멍 (80a) 을 미소한 쓰루홀 (54a) 에 정밀하게 위치맞춤하는 공정이 필요하여 제조공정이 더욱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회로기판 등으로의 실장성을 해치지 않고 제조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푸시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버튼 스위치 (100) 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있어서의 2-2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버튼 스위치 (100) 에 관한 기판 (110) 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이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버튼 스위치 (100) 에 관한 것으로서, 대형 기판 (210) 에 인설레이터 (220) 와 가동접점 (130) 과 커버시트 (240) 를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5 에 나타낸 대형 기판 (210) 의 일부평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기판 (310) 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대형 기판 (410) 의 일부평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기판 (510) 의 사시도이다.
도 10 은 종래의 푸시버튼 스위치 (60) 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 은 종래의 푸시버튼 스위치 (60) 의 사시도이다.
도 12 는 종래의 푸시버튼 스위치 (60) 에 관한 쓰루홀 (40a(40b)) 을 나타낸 일부확대도이다.
도 13 은 종래의 푸시버튼 스위치 (60) 에 관한 대형 기판 (54) 의 일부사시도이다.
도 14 는 종래의 푸시버튼 스위치 (60) 에 관한 것으로서, 대형 기판 (54) 에 가동접점 (48) 과 커버시트 (50) 를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사시도이다.
도 15 는 종래의 푸시버튼 스위치 (60) 에 관한 것으로서, 개개의 푸시버튼 스위치로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푸시버튼 스위치 110 : 기판
110a,110a',110b,110b' : 쓰루홀 전극면 111 : 고정접점
120 : 인설레이터 130 : 메탈 콘택트
140 : 커버시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해결수단으로서, 절연성의 기판과, 이 기판상에 형성된 고정접점과, 상기 기판상에 탑재되어 상기 고정접점과 접촉함으로써 스위치 동작이 행해지는 돔형상의 가동접점과, 상기 고정접점 및 상기 가동접점이 각각 접속되는 외부접속단자와,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기판의 표면 전체 및 상기 가동접점을 덮도록 부착된 커버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접속단자는 금속층으로 이루어지고, 이 금속층은, 상기 기판의 측단면보다도 기판의 폭방향 내측으로 단차를 두고서 형성됨과 아울러, 그 측단면과 평행하고, 또한 기판의 폭방향에 직선부를 갖는 평면형상이 되도록 적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 2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금속층은 쓰루홀 전극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 3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기판과 상기 커버시트의 사이에는 상기 가동접점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갖는 인설레이터가 적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 4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기판은 사각형상이고, 상기 금속층은 이 기판의 4 모서리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푸시버튼 스위치의 제 1 실시형태인 푸시버튼 스위치 (100) 를 도 1 ∼ 도 6 의 도면을 사용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버튼 스위치 (100) 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 는 도 1 에 있어서의 2-2 단면도, 도 3 은 기판 (110) 의 평면도, 도 4 는 도 3 의 이면도, 도 5 는 대형 기판 (210) 에 인설레이터 (220) 와 가동접점 (130) 과 커버시트 (240) 를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사시도, 도 6 은 도 5 에 나타낸 대형 기판 (210) 의 일부평면도이다.
도 1,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푸시버튼 스위치 (100) 는 유리에폭시수지 등의 절연성 기판으로 이루어진 사각형판형상의 기판 (110) 과, 이 기판 (110) 상에 적층되어 점착되는 인설레이터 (120) 와, 이 인설레이터 (120) 에 수용되어 기판 (110) 상에 탑재되는 가동접점, 즉 메탈 콘택트 (130) 와, 인설레이터 (120) 와 메탈 콘택트 (130) 를 덮어 점착되는 커버시트 (140) 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각 부품의 구성과 조립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판 (110) 의 표면에는 도 1,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중앙에 대략 원형인 고정접점 (111) 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도 3 중 상하방향으로 대향하는 양가장자리부의 우단부에는, 각 가장자리부를 따르도록 배선패턴 (113a,113b)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접점 (111) 의 주위이고 또한 배선패턴 (113a,113b) 과는 소정 틈을 둔 범위에는 접촉패턴 (112) 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 (110) 의 이면에는 강도확보를 위하여 얇은 구리막이 넓은 면적으로 표면을 덮도록 배치된 십자형 배선패턴 (114)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면의 4 모서리에는 사각형상의 납땜용 패턴 (115a,115b,116a,116b) 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 납땜용 패턴 (116a,116b) 은 배선패턴 (114) 과 패턴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 도 3,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접점 (111) 의 양 가장자리부측에는 기판 (110) 을 관통하여 이면의 배선패턴 (114) 에 접속하도록 형성된 쓰루홀 전극 (111a,111b) 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 중 전후방향 (도 3 중 상하방향) 의 각 측단면에 있어서의 양단부에는 각 측단면에 평행한 평면형상으로 되는 부분을 갖는 금속층, 즉 쓰루홀 전극면 (110a,110b 및 110a',110b')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쓰루홀 전극면 (110a,110b 및 110a',110b') 은 기판 (110) 의 각 측단면보다 미소거리 (L) (도 2, 도 3 참조) 만큼 낮게 단차를 두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쓰루홀 전극면 (110a,110a') 은 모두 표면의 접촉패턴 (112) 에 접속되고, 그리고 이면의 납땜용 패턴 (115a,115b) 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도 1, 도3, 도 4 참조). 그리고, 쓰루홀 전극면 (110a(110a')) 과 납땜용 패턴 (115a(115b)) 으로 외부접속단자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쓰루홀 전극면 (110b,110b') 은 표면의 배선패턴 (113a,113b) 및 이면의 납땜용 패턴 (116a,116b) 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쓰루홀 전극면 (110b(110b')) 과 납땜용 패턴 (116a(116b)) 으로 외부접속단자를 구성하고 있다.
이어서, 사각형시트형상의 인설레이터 (120) 는 폴리이미드수지 등의 내열성 수지로 형성되고, 그 외형은 기판 (110) 의 외형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그 중앙부에는 메탈 콘택트 (130) 의 형상에 맞춘 관통구멍 (120a) (수용부)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설레이터 (120) 는 기판 (110) 의 표면에 적층되어 점착되어 있다. 이 때, 관통구멍 (120a) 으로부터는 고정접점 (111) 과 접촉패턴 (112) 의 중앙부분이 노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기판 (110) 의 인설레이터 (120) 와의 접촉부분에는, 미리 레지스트 (110c) (도 2 참조) 가 관통구멍 (120a) 보다 외측에, 또한 인설레이터 (120) 의 외연부보다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레지스트 (110c) 의 내측과 외측에 있어서의 기판 (110) 과 인설레이터 (120) 사이에는 접착제의 도피부 (160a,160b) 가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인설레이터 (120) 의 점착시에 접착제 (170) 가 접합면에서 압접되어도 도피부 (160a,160b) 에는 압력이 거의 가해지지 않으므로, 접착제 (170) 가 메탈 콘택트 (130) 측 및 인설레이터 (120) 의 외연부보다 외측으로 밀려나오는 일이 없다. 이 레지스트 (110c) 대신에 실크인쇄에 의해 절연층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어서, 메탈 콘택트 (130) 는 금속의 원판을 돔형상으로 굴곡시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메탈 콘택트 (130) 는 인설레이터 (120) 의 관통구멍 (120a) 내에 수용되고, 외주연이 기판 (110) 의 접촉패턴 (112) 에 접하여 도통하도록 접촉패턴 (112) 상에 탑재된다.
이어서, 사각형시트형상의 커버시트 (140) 는, 폴리이미드수지 등의 내열성 수지로 형성되며, 그 외형은 인설레이터 (120) 와 거의 동일하다. 그리고, 이 커버시트 (140) 는 메탈 콘택트 (130) 와 인설레이터 (120) 의 표면을 피복하도록 점착됨으로써, 메탈 콘택트 (130) 가 기판 (110) 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기판 (110) 면으로의 플럭스 등의 침입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커버시트 (140) 는 메탈 콘택트 (130) 를 수용한 인설레이터 (120) 를 덮도록 점착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돔형상의 가동접점의 정부에서 외주연까지의 표면에 직접 점착하는 경우에 비하여, 커버시트 (140) 의 말림 등이 없어 쉽게 점착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시트 (140) 로 덮인 인설레이터 (120) 의 관통구멍 (120a) 내의 공간에 메탈 콘택트 (130) 가 수용됨으로써, 메탈 콘택트 (130) 가 스위치동작 (후술함) 을 위하여 눌렸을 때에 눌린 부분의 공기의 도피장소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메탈 콘택트 (130) 의 누름력이 설계치 이상으로 높아지는 일 없이 양호한 조작감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기판 (110) 의 이면에는, 배선패턴 (114) (도 4 참조) 전체를 덮도록 인설레이터 (120) 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스페이서 (150) (도 2 참조) 가, 인설레이터 (120) 의 점착에 사용하는 접착제와 동일한 접착제에 의해 점착되어 있어서, 쓰루홀 전극 (111a,111b) 으로부터의 플럭스나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인설레이터 (120) 및 커버시트 (140) 를 기판 (110) 에 고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접착층을 경화시키기 위하여 가열한 상태에서 압력을 가하게 되는데, 이 경우, 통상의 상태에서는, 상기 기판 (110) 과 상기 인설레이터 (120) 의 각 소재의 선팽창계수가 다른 (유리에폭시수지 ; 250 ∼ 300 ppm/℃, 폴리이미드수지 ; 25 ∼ 28 ppm/℃) 점에서, 경화, 냉각한 후에 상기 기판 (110) 에 휨이 발생하여 스위치 접점부의 접촉이 불안정해지거나 전자기기 등의 회로기판으로의 납땜용 패턴 (115a,115b,116a,116b) 의 납땜시의 플로팅의 발생으로 인한 접속불량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기판 (110) 의 이면측에도 상기 인설레이터 (120) 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스페이서 (150) 를 형성하는 점에서, 상기 기판 (110) 의 휨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 (150) 는 상기 인설레이터 (120) 에 대응하여 상기 기판 (110) 상에 대한 점유율이 서로 거의 동일해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스페이서 (150) 는 기판 (110) 의 단부에 형성된 납땜용 패턴 (115a,115b,116a,116b) 을 제외한 부분에서 이들 납땜용 패턴의 두께보다 두꺼워지도록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 (110) 의 표면측과 이면측에서 상기 인설레이터 (120) 와상기 스페이서 (150) 가 거의 대칭인 형상으로 되는 점에서, 상기 기판 (110) 의 휨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푸시버튼 스위치 (100) 는, 기판 (110) 의 이면에 형성한 납땜용 패턴 (115a,115b,116a,116b) (도 2, 도 4 참조) 이 도시하지 않은 회로기판의 랜드부에 각각 대면하여 배치하도록 실장되어 납땜된다. 이 때, 땜납은 기판 (110) 의 쓰루홀 전극면 (110a,110a',110b,110b') 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접속되기 때문에, 회로기판에 대하여 강고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기판 (110) 의 하면에 설치한 스페이서 (150) (도 2 참조) 에 의해 각 납땜용 패턴 (115a,115b,116a,116b) 과 상기 랜드부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으로 땜납이 흘러들어가서 푸시버튼 스위치 (100) 의 지지면의 플로팅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쓰루홀 전극면 (110a,110a',110b,110b') 의 상측에는 인설레이터 (120) 및 커버시트 (140) 가 거리 (L) 만큼 나와 있는데, 이 거리 (L) 는 미소하기 때문에, 이 부분이 각 쓰루홀 전극면에 납땜되는 땜납의 육안 확인을 저해하는 일은 없다.
또한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쓰루홀 전극면 (110a,110a',110b,110b') 을 기판 (110) 의 4 모서리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접촉패턴 (112) 을 중앙부의 고정접점 (111) 의 주위에 균등한 패턴폭으로 되도록 형성할 수 있고, 패턴설계에 있어서 기판상의 스페이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푸시버튼 스위치 (100) 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도 1, 도 2 에 나타낸 커버시트 (140) 에 덮인 메탈 콘택트 (130) 의 중앙부분이 상측에서 누름조작되고, 메탈 콘택트 (130) 가 반전하여 그 중앙부가 고정접점 (111) 에 맞닿음으로써, 고정접점 (111) 과 접촉패턴 (112) 이 도통하여 스위치동작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스위치신호는 고정접점 (111) 과 접촉패턴 (112) 에 각각 접속된 쓰루홀 전극면 (110b(110b') 및 110a(110a')) 을 갖는 외부접속단자에서 외부로 전달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푸시버튼 스위치 (100) 는 다음 공정에 의해 조립된다.
우선,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형 기판 (210) 의 표면에는, 푸시버튼 스위치 (100) (도 1 참조) 에 있어서의 고정접점 (111), 접촉패턴 (112) 등으로 이루어진 회로패턴에 대응하는 회로패턴 (300) 이 종횡으로 배열하도록 패턴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형 기판 (210) 의 이면에는, 도 4 에 있어서의 배선패턴 (114), 납땜용 패턴 (115a,115b,116a,116b) 으로 이루어진 회로패턴에 대응하는 회로패턴 (도시생략) 이 각 회로패턴 (300) 과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 에 있어서의 211 은 푸시버튼 스위치 (100) 의 고정접점 (111) 에, 212 는 접촉패턴 (112) 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또한, 대형 기판 (210) 상에는, 도 1 에 나타낸 푸시버튼 스위치 (100) 의 쓰루홀 전극면 (110a,110a',110b,110b') 의 각각의 위치에 대응시키도록, 서로 인접하는 회로패턴 (300) 의 외주부를 따라 직선부를 갖는 긴 구멍 형상의 쓰루홀 전극 (210a) 이 형성되어 있다 (도 5, 도 6 참조).
쓰루홀 전극 (210a) 은, 대형 기판 (210) 에 NC 드릴링 머신 등에 의해 직선부 (210b) 를 갖는 긴 구멍 형상으로 천공가공한 관통구멍의 내면에 도금처리 등을 실시함으로써 형성하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간단히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형 기판 (210) 상에는 각 회로패턴 (300) 에 대응시켜 형성한 관통구멍 (220a) 을 갖는 인설레이터 (220) 가 점착된다. 그리고, 인설레이터 (220) 는, 미리 각 회로패턴 (300) 에 있어서의 접촉패턴 (212) 의 중앙부에 인설레이터 (220) 의 각 관통구멍 (220a) 이 배치되도록 위치결정되는 것이다.
그 후, 메탈 콘택트 (130) 가 인설레이터 (220) 의 각 관통구멍 (220a) 내에 수용되어 기판 (210) 상에 탑재되며, 그리고 이들 메탈 콘택트 (130) 가 수용된 인설레이터 (220) 의 표면 전체를 덮도록 내열성 커버시트 (240) 가 점착된다. 그 후,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쓰루홀 전극 (210a) 을 4 분할하도록 도면중 이점쇄선 사이에 있는 폭 (H) 부분을 슬라이싱 머신 등으로 절단하여 개개의 푸시버튼 스위치로 분할하여 상기 푸시버튼 스위치 (100) 를 완성시킨다.
그리고 도 6 에 나타낸 폭 (H) 은, 쓰루홀 전극 (210a) 의 폭을 변경함으로써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폭 (H) 을 비교적 넓게 설정하여 프레스기 또는 커터에 의한 절단을 실시할 수도 있다.
개개의 푸시버튼 스위치로 분할하는 과정에서, 각 쓰루홀 전극 (210a) 은 4 분할되며, 각각의 쓰루홀 전극면은 푸시버튼 스위치 (100) 의 쓰루홀 전극면 (110a,110a',110b,110b') 중 어느 하나에 할당되게 된다. 그리고, 이들 쓰루홀 전극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 (110) 의 소정 측단면에 평행한 평면형상이 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도 1, 도 3 참조), 대형 기판 (210) 을 분할할 때에는 쓰루홀 전극면 (110a,110a',110b,110b') 에 상당하는 쓰루홀 전극 (210a) 의 내벽면에 근접하게 절단할 수 있으므로, 쓰루홀 전극면 (110a,110a',110b,110b') 상으로 나오는 인설레이터 (120) 및 커버시트 (140) 는 미소하게 할 수 있어서 (도 2 참조), 푸시버튼 스위치 (100) 를 회로기판에 납땜하였을 때에 이들 쓰루홀 전극면에 납땜된 땜납을 쉽게 볼 수 있다.
따라서, 도 5 에 나타낸 조립시에 있어서, 인설레이터 (220) 및 커버시트 (240) 에는 쓰루홀 전극 (210a) 에 대응시킨 도피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져서 도피구멍 가공을 위한 공정수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커버시트 (240) 를 대형 기판 (210) 의 쓰루홀 (210a) 에 정밀하게 위치맞춤하는 공정도 필요 없어지기 때문에, 제조공정을 더욱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회로기판 등으로의 실장성을 해치는 일 없이 제조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7, 도 8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기능의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 또는 명칭을 붙인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기판 (310) 의 사시도, 도 8 은 대형 기판 (410) 의 일부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의 기판 (110) 에 있어서의 쓰루홀 전극면 (110a,110a',110b,110b') 의 형상을 변경한 것이다.
도면중, 310 은 기판, 312 는 접촉패턴, 313a, 313b 는 배선패턴, 310a, 310a', 310b, 310b' 는 쓰루홀 전극면이고, 이들 쓰루홀 전극면 (310a,310a',310b,310b') 은 각각 기판 (310) 의 각 코너부분의 양측단면에서 이들 측단면과 각각 평행한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쓰루홀 전극면 (310a,310a',310b,310b') 은 기판 (310) 의 각 측단면보다 미소거리만큼 낮게 단차를 두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쓰루홀 전극면 (310a,310a') 은 접촉패턴 (312) 에 접속되고, 쓰루홀 전극면 (310b,310b') 은 쓰루홀 전극 (111a,111b) 을 통해 고정접점 (111) 과 접속되어 있다.
상기 기판 (310) 을 사용한 푸시버튼 스위치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공정에 의해 조립되는데,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형 기판 (410) 의 단계에서, 도 7 의 쓰루홀 전극면 (310a,310a',310b,310b') 으로 되는 각각의 위치에 대응시키도록, 서로 인접하는 회로패턴 (400) 의 코너부의 외주를 따라 직선부 (410b) 를 갖는 십자형 쓰루홀 전극 (410a) 을 형성하고 있다.
그럼으로써, 도면중 폭 (H) 부분이 절단되었을 때에 쓰루홀 전극 (410a) 은 4 분할되며, 개개의 푸시버튼 스위치에는 도 7 에 나타낸 쓰루홀 전극면 (310a,310b,310a',310b') 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실시형태의 기판 (310) 을 사용한 푸시버튼 스위치를 회로기판에 납땜할 때에, 쓰루홀 전극면 (310a,310b,310a',310b') 은 각 코너의 양측단면에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땜납이 각 코너를 둘러싸도록 돌아 들어간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랜드부에 접속되기 때문에, 보다 강고하게 회로기판에 접속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9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기판 (510) 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 또는 명칭을 붙인다.
도면중, 510 은 기판, 512 는 접촉패턴, 513a, 513b 는 배선패턴, 510a, 510a', 510b, 510b' 는 쓰루홀 전극면이고, 이들 쓰루홀 전극면 (510a,510a',510b,510b') 은 각각 기판 (510) 의 각 단면의 중앙부에서 각각의 측단면과 평행한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쓰루홀 전극면 (510a,510b,510a',510b') 은 기판 (510) 의 각 측단면보다 미소거리만큼 낮게 단차를 두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쓰루홀 전극면 (510a,510a') 은 접촉패턴 (512) 에 접속되고, 쓰루홀 전극면 (510b,510b') 은 쓰루홀 전극 (111a,111b) 을 통해 고정접점 (111) 과 접속되어 있다.
상기 기판 (510) 을 사용한 푸시버튼 스위치는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공정에 의해 조립되는데, 대형 기판 (도시생략) 의 단계에서, 쓰루홀 전극면 (510a,510a',510b,510b') (도 9 참조) 으로 되는 각각의 위치에 대응시키도록, 서로 인접하는 회로패턴의 서로 대향하는 각 외주변을 따라 직선부를 갖는 긴 구멍형상의 쓰루홀 전극을 상기 각 외주변의 중앙부에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쓰루홀 전극면 (110a(310a),110b(310b),110a'(310a'),110b'(310b')) 을 기판 (110(310)) 의 코너에 배치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형태와 같이 쓰루홀 전극면 (510a,510b,510a',510b') 을 기판 (510) 의 각 측단면의 중앙부에 형성할 수도 있고, 설계시에 있어서의 회로기판의 랜드부의 배치에 맞춰 실장할 수 있도록 변경할 수 있는 자유도가 높은 푸시버튼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판 (110(310,510)) 에서는, 고정접점 (111) 과 쓰루홀 전극면 (110b(310b,510b),110b'(310b',510b')) 을 갖는 외부접속단자를, 기판 (110(310,510)) 에 관통형성한 쓰루홀 전극 (111a,111b) 에 의해 접속하도록 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도 11 에 나타낸 종래의 푸시버튼 스위치 (60) 와 같이, 고정접점과 외부접속단자를 기판의 상면에서 패턴접속하는 타입의 푸시버튼 스위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절연성의 기판과, 이 기판상에 형성된 고정접점과, 상기 기판상에 탑재되어 상기 고정접점과 접촉함으로써 스위치 동작이 행해지는 돔형상의 가동접점과, 상기 고정접점 및 상기 가동접점이 각각 접속되는 외부접속단자와,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기판의 표면 전체 및 상기 가동접점을 덮도록 부착된 커버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접속단자는 금속층으로 이루어지고, 이 금속층은, 상기 기판의 측단면보다도 기판의 폭방향 내측으로 단차를 두고서 형성됨과 아울러, 그 측단면과 평행하고, 또한 기판의 폭방향에 직선부를 갖는 평면형상이 되도록 적층하여 형성됨으로써, 예컨대 복수의 고정접점이 종횡으로 배열된 대형 기판에 복수의 가동접점을 배치하고, 대형 기판의 표면 및 복수의 가동접점에 커버시트를 피복부착한 후에 개개의 푸시버튼 스위치로 분할하여 푸시버튼 스위치를 조립할 때에, 절단면을 금속층을 따라 접근시키도록 설치할 수 있으므로, 커버시트에 미리 금속층에 대응한 도피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는 구조로 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도피구멍 가공을 위한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고, 또한 도피구멍을 형성한 커버시트를 대형 기판에 정밀하게 위치맞춤하는 공정도 필요 없어지기 때문에, 제조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금속층으로 나오는 커버시트의 길이를 미소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푸시버튼 스위치를 회로기판 등에 실장하여 납땜할 때에 납땜부를 쉽게 볼 수 있다.
그리고, 금속층은 쓰루홀 전극면임으로써, 금속층을 대형 기판의 상태로 형성해 둘 수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기판과 커버시트의 사이에는 상기 가동접점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갖는 인설레이터가 적층형성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커버시트를 돔형상의 가동접점의 표면에 직접 점착하는 경우에 비하여, 커버시트의 말림 등이 없어서 쉽게 점착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시트로 덮인 인설레이터의 수용부내의 공간에 가동접점이 수용되어 있음으로써, 가동접점이 스위치 동작을 위하여 눌렸을 때에 눌린 부분의 공기의 도피장소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접점의 누름력이 설계치 이상으로 높아지는 일 없이 양호한 조작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푸시버튼 스위치를 조립할 때에, 인설레이터에도 미리 금속층에 대응한 도피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는 구조로 할 수 있으므로, 푸시버튼 스위치의 제조공정을 더욱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기판은 사각형상이고, 금속층은 이 기판의 4 모서리의 소정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기판의 중앙부에 비교적 넓은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고정접점 등의 패턴설계에 있어서 이 스페이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절연성의 기판과, 이 기판상에 형성된 고정접점과, 상기 기판상에 탑재되어 상기 고정접점과 접촉함으로써 스위치 동작이 행해지는 돔형상의 가동접점과, 상기 고정접점 및 상기 가동접점이 각각 접속되는 외부접속단자와,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기판의 표면 전체 및 상기 가동접점을 덮도록 부착된 커버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접속단자는 금속층으로 이루어지고, 이 금속층은, 상기 기판의 측단면보다도 기판의 폭방향 내측으로 단차를 두고서 형성됨과 아울러, 그 측단면과 평행하고, 또한 기판의 폭방향에 직선부를 갖는 평면형상이 되도록 적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쓰루홀 전극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커버시트의 사이에는, 상기 가동접점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갖는 인설레이터가 적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사각형상이고, 상기 금속층은 이 기판의 4 모서리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KR10-2001-0020506A 2000-04-18 2001-04-17 푸시버튼 스위치 KR1004200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22380 2000-04-18
JP2000122380A JP2001307582A (ja) 2000-04-18 2000-04-18 押し釦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8671A KR20010098671A (ko) 2001-11-08
KR100420016B1 true KR100420016B1 (ko) 2004-02-25

Family

ID=18632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0506A KR100420016B1 (ko) 2000-04-18 2001-04-17 푸시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1307582A (ko)
KR (1) KR100420016B1 (ko)
CN (1) CN1183566C (ko)
TW (1) TW5123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4651A (ko) * 2001-12-26 2003-07-02 명성정보통신 주식회사 Pcb 일체형 smt용 돔형 스위치 및 그 제법
JP2011198474A (ja) * 2010-03-17 2011-10-06 Hosiden Corp 可動接点テープ、及びこの可動接点テープを用いたキースイッチ
KR101296835B1 (ko) * 2012-02-22 2013-08-14 (주)세윤 Pcb 돔스위치 및 pcb 돔스위치 대량 제조방법
KR101361222B1 (ko) * 2012-11-19 2014-02-11 주식회사 포콘스 돔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CN104871278A (zh) * 2012-11-19 2015-08-26 波肯斯有限公司 薄膜开关及其制造方法
KR101400622B1 (ko) * 2013-05-09 2014-05-29 주식회사 포콘스 돔 스위치
WO2014077495A1 (ko) * 2012-11-19 2014-05-22 주식회사 포콘스 돔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CN104282452A (zh) * 2014-09-22 2015-01-14 三日科学技术(天津)有限公司 一种电路板上的轻触开关
CN104282467A (zh) * 2014-09-22 2015-01-14 三日科学技术(天津)有限公司 一种轻触开关电子元件
KR101854318B1 (ko) * 2017-01-06 2018-05-03 조인셋 주식회사 탄성 방열 단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5716A (ja) * 1991-04-12 1992-11-06 Mitsumi Electric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
JPH04315717A (ja) * 1991-04-12 1992-11-06 Mitsumi Electric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
JPH0523367U (ja) * 1991-09-06 1993-03-26 北陸電気工業株式会社 プツシユスイツチ
JPH1145U (ja) * 1998-08-21 1999-03-26 北陸電気工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5716A (ja) * 1991-04-12 1992-11-06 Mitsumi Electric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
JPH04315717A (ja) * 1991-04-12 1992-11-06 Mitsumi Electric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
JPH0523367U (ja) * 1991-09-06 1993-03-26 北陸電気工業株式会社 プツシユスイツチ
JPH1145U (ja) * 1998-08-21 1999-03-26 北陸電気工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18853A (zh) 2001-10-24
TW512375B (en) 2002-12-01
JP2001307582A (ja) 2001-11-02
CN1183566C (zh) 2005-01-05
KR20010098671A (ko) 200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0016B1 (ko) 푸시버튼 스위치
US20130341073A1 (en) Packaging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6548779B2 (en) Sheet having moving contacts and sheet switch
KR101942960B1 (ko) 돔 시트 및 돔 스위치 제조방법
US4402131A (en) Electrical switch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687984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lexible multilayer circuit board
JPH05327211A (ja) 多層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およびその製法
KR100339899B1 (ko) 푸시버튼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JP5426567B2 (ja) プリント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プリント回路基板製造用のパネル
GB2037079A (en) Modular keyboard
EP0055053B1 (en) Electrical switch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JPH02146792A (ja) 半導体装置の実装構造
US4446342A (en) Electrical switch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0713599B1 (ko) 가동 접점 부착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푸시 버튼 스위치
JP2518945Y2 (ja) 多連プッシュオン式スイッチ
JPH10117057A (ja) プリント基板への実装方法及びプリント基板
JPH08306261A (ja) 表面実装型タクトスイ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98685Y1 (ko) Pcb 일체형 smt용 돔형 스위치
RU2038709C1 (ru) Многослойная печатная плата
US5850063A (en) Domed contact element for a keypad assembly
KR100838543B1 (ko) 스위치 장치
JP2001307590A (ja) 押釦スイッチ
JPH0429590Y2 (ko)
KR101307643B1 (ko)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54651A (ko) Pcb 일체형 smt용 돔형 스위치 및 그 제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