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9321B1 - 칩형 가변저항기 - Google Patents

칩형 가변저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9321B1
KR100419321B1 KR10-2001-0073984A KR20010073984A KR100419321B1 KR 100419321 B1 KR100419321 B1 KR 100419321B1 KR 20010073984 A KR20010073984 A KR 20010073984A KR 100419321 B1 KR100419321 B1 KR 100419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enter
driver
variable resistor
type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3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3164A (ko
Inventor
오오우찌도시유끼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43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3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3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30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 H01C10/32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the contact moving in an arcuate path
    • H01C10/34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the contact moving in an arcuate path the contact or the associated conducting structure riding on collector formed as a ring or portion thereof
    • H01C10/345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the contact moving in an arcuate path the contact or the associated conducting structure riding on collector formed as a ring or portion thereof the collector and resistive track being situated in 2 parallel pl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24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moving along turns of a helical resistive element, or vica vers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7/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 H01C17/00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 c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Abstract

연결부의 강도를 크게 하여 회전체의 정상적인 회전이 가능한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칩형 가변저항기에 있어서, 연결부 (8) 가 U 자형으로 절곡되어 베이스부 (9) 와 상면판 (6) 이 겹쳐짐과 동시에 드라이버 홈 (7) 의 홈부 (7a) 가 상면판 (6) 의 중심 (C) 과 연결부 (8) 의 횡폭 (A) 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선 (S) 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었기 때문에, 연결부 (8) 의 중앙부가 폭이 넓은 두께부 (6b) 에서 상면판 (6) 과 연결되어 그 강도가 높아지고, 따라서 드라이버에 의해 회전체 (5) 를 회전시켰을 때 연결부 (8) 가 비틀리거나 구부러지는 일이 없어 베이스부 (9) 가 정상적으로 회전하여 슬라이딩부 (9a) 의 정상적인 회전에 지장이 없는 것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칩형 가변저항기{CHIP TYPE VARIABLE RESISTOR}
본 발명은 각종 전자기기 등에 사용되는 칩형 가변저항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칩형 가변저항기로서, 일본 특허출원공고 평7-38327호에 개시되어 있는 구성을 도 8 내지 도 12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세라믹 등으로 이루어지는 절연기판 (51) 의 표면은,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 (도시생략) 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형 저항체 (52) 가 형성됨과 동시에 저항체 (52) 의 단부에는 단자가 되는 전극부 (53) 가 형성되어 있다.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회전체 (54) 는 상면판 (55) 과, 이 상면판 (55) 의 중앙부를 하방으로 팽출한 접시형 팽출부 (56) 와, 연결부 (57) 에 의해 상면판 (55) 에 연결됨과 동시에 연결부 (57) 가 U 자형으로 절곡되어 하방에 위치한 슬라이딩편 (58) 과, 상면판 (55) 과 팽출부 (56) 에 걸쳐 형성된 십자형 드라이버 홈 (59) 을 갖는다.
또, 팽출부 (56) 는 구멍 (56a) 이 있는 저벽 (56b) 을 가짐과 동시에 드라이버 홈 (59) 의 홈부 (59a) 는 상면판 (55) 의 중심 (C) 과 연결부 (57) 의 횡폭 (A) 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선 (S) 상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된 회전체 (54) 는 팽출부 (56) 의 저벽 (56b) 을 절연기판 (51) 상에 탑재한 상태에서 절연기판 (51) 의 하부에 배치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단자 (60) 의 돌기부 (도시생략) 를 구멍 (56a) 에 삽입통과시킨다.
그리고, 단자 (60) 의 돌기부 선단을 코킹함으로써 회전체 (54) 가 절연기판 (51) 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됨과 동시에 슬라이딩편 (58) 이 저항체 (52) 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칩형 가변저항기가 형성되며, 십자형 드라이버 (도시생략) 를 드라이버 홈 (59) 에 삽입하여 회전체 (54) 를 회전시키면, 회전체 (54) 가단자 (60) 의 돌기부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슬라이딩편 (58) 이 저항체 (52) 위를 슬라이딩 접촉하여 저항치가 가변되게 되어 있다.
또, 드라이버 홈 (59) 의 홈부 (59a) 가 상면판 (55) 의 중심 (C) 과 연결부 (57) 의 횡폭 (A) 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선 (S) 상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면판 (55) 과 슬라이딩편 (59) 을 연결하는 연결부 (57) 의 중앙부가 가늘어져 그 강도가 약해지고, 따라서 드라이버에 의해 회전체 (54) 를 회전시켰을 때 연결부 (57) 가 비틀리거나 구부러져 슬라이딩편 (58) 의 정상적인 회전에 지장을 초래하였다.
종래의 칩형 가변저항기는, 드라이버 홈 (59) 의 홈부 (59a) 가 상면판 (55) 의 중심 (C) 과 연결부 (57) 의 횡폭 (A) 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선 (S) 상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면판 (55) 과 슬라이딩편 (59) 를 연결하는 연결부 (57) 의 중앙부가 가늘어져 그 강도가 약해지고, 따라서 드라이버에 의해 회전체 (54) 를 회전시켰을 때 연결부 (57) 가 비틀리거나 구부러져 슬라이딩편 (58) 의 정상적인 회전에 지장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연결부의 강도를 크게 하여 회전체의 정상적인 회전이 가능한 칩형 가변저항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칩형 가변저항기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칩형 가변저항기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칩형 가변저항기의 요부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칩형 가변저항기에 관련된 회전체의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칩형 가변저항기에 관련된 회전체의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칩형 가변저항기에 관련된 회전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회전체의 전개 평면도,
도 7 은 도 6 의 7-7 선에서의 단면도,
도 8 은 종래의 칩형 가변저항기의 평면도,
도 9 는 종래의 칩형 가변저항기의 정면도,
도 10 은 종래의 칩형 가변저항기에 관련된 회전체의 평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칩형 가변저항기에 관련된 회전체의 정면도,
도 12 는 도 10 의 12-12 선에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절연기판 1a : 구멍
1b : 절결부 1c : 절결부
2 : 저항체 3 : 전극부
4 : 제 1 단자부 4a : 평판부
4b : 직립부 5 : 회전체
6 : 상면판 6a : 구멍
6b : 두께부 7 : 드라이버 홈
7a : 홈부 7b : 선단부
8 : 연결부 9 : 베이스부
9a : 슬라이딩부 9b : 암부
10 : 팽출부 10a : 오목부
10b : 구멍 10c : 저벽
11 : 제 2 단자부 11a : 베이스부
11b : 절곡부 11c : 돌기부
A : 횡폭 B : 폭
C : 중심 S : 연결하는 선
Z : 절곡선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해결수단으로, 표면에 저항체를 형성한 절연기판과, 이 절연기판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저항체에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를 갖는 회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슬라이딩부를 형성한 베이스부와, 연결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된 상면판과, 이 상면판에 형성된 십자형 드라이버 홈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가 U 자형으로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상면판이 겹쳐짐과 동시에 상기 드라이버 홈의 홈부가 상기 상면판의 중심과 상기 연결부의 횡폭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선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2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드라이버 홈의 홈부가 상기 상면판의 중심과 상기 연결부의 횡폭 중심부를 연결하는 선에 대하여 대칭인 위치에 상기 드라이버 홈의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홈부가 배치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3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드라이버 홈의 홈부가 상기 상면판의 중심과 상기 연결부의 횡폭 중심부를 연결하는 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두 개의 상기 홈부의 선단부가 상기 연결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며, 동시에 상기 연결부에 근접한 상기 두 개의 홈부의 상기 선단부 사이의 폭과 동등한 상기 횡폭, 또는 이 폭을 초과한 상기 횡폭으로 상기 연결부가 형성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4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부에는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중앙부에 오목부를 갖는 팽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일부가 상기 드라이버 홈과 대향한 상태에서 상기 상면판이 상기 팽출부 상에 위치한 구성으로 하였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칩형 가변저항기의 도면을 설명하면, 도 1 은 본 발명의 칩형 가변저항기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칩형 가변저항기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칩형 가변저항기의 요부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칩형 가변저항기에 관련된 회전체의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칩형 가변저항기에 관련된 회전체의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칩형 가변저항기에 관련된 회전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회전체의 전개 평면도, 도 7 은 도 6 의 7-7 선에서의 단면도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칩형 가변저항기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7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세라믹 등으로 이루어지는 절연기판 (1) 은 중앙부에 형성된 원형 구멍 (1a) 과,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절결부 (1b, 1c) 를 가짐과 동시에, 절연기판 (1) 의 표면은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 (1a) 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형 저항체 (2) 가 형성됨과 동시에 저항체 (2) 의 단부에는 은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극부 (3) 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 1 단자부 (4) 는 각각 평판부 (4a) 와 이 평판부 (4a) 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한 쌍의 직립부 (4b) 를 가지며, 그리고 이 제 1 단자부 (4) 는 평판부 (4a) 를 절연기판 (1) 의 코너부 하부에 맞닿게 함과 동시에 직립부 (4b) 를 절연기판 (1) 의 측부를 따라 위치시킨 상태에서 직립부 (4b) 의 상단부를 절곡하여 이 절곡된 상단부와 평판부 (4a) 로 절연기판 (1) 을 상하에서 감싸 지지하여 제 1 단자부 (4) 가 부착됨과 동시에 직립부 (4b) 가 전극부 (3) 에 접촉된 상태로 되어 있다.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회전체 (5) 는 중앙부에 구멍 (6a) 이 있는 상면판 (6) 과, 이 상면판 (6) 에서 구멍 (6a) 과 연결되어 형성된 십자형 드라이버 홈(7) 과, 연결부 (8) 에 의해 상면판 (6) 에 연결됨과 동시에 연결부 (8) 가 U 자형으로 절곡되어 하방에 위치하는 베이스부 (9) 와, 베이스부 (9) 에 형성된 슬라이딩부 (9a) 를 가진 암부 (9b) 와, 베이스부 (9) 의 중앙부에서 베이스부 (9) 에 연결되어 형성된 중앙부에 오목부 (10a) 를 갖는 팽출부 (10) 와, 팽출부 (10) 에 형성된 구멍 (10b) 이 있는 저벽 (10c) 을 갖는다.
또, 연결부 (8) 의 절곡에 의해 상면판 (6) 과 베이스부 (9) 가 겹치게 됨과 동시에 드라이버 홈 (7) 과 팽출부 (10) 의 오목부 (10a) 가 대향한 상태가 되어 드라이버 (도시생략) 가 드라이버 홈 (7) 을 통과하여 오목부 (10a) 까지 깊게 들어가게 되어 있다.
또, 드라이버 홈 (7) 의 홈부 (7a) 는 상면판 (6) 의 중심 (C) 과 연결부 (8) 의 횡폭 (A) 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선 (S) 상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며, 이로 인하여 연결부 (8) 의 중앙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면판 (6) 에는 폭이 넓은 두께부 (6b) 가 존재하여, 연결부 (8) 의 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 선 (S) 에 대하여 대칭인 위치에 인접하는 두 개의 홈부 (7a) 가 위치하고 있다.
또, 선 (S) 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두 개의 홈부 (7a) 의 선단부 (7b) 가 연결부 (8) 에 근접하여 배치되며, 동시에 이 두 개의 홈부 (7a) 의 선단부 (7b) 사이의 폭 (B) 과 동등한 횡폭 (A) 또는 이 폭 (B) 을 초과한 횡폭 (A) 으로 연결부 (8)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연결부 (8) 는 U 자형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상면판 (6) 의 외형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의 회전체 (5) 의 제조방법을 도 6, 도 7 을 이용해 설명하면, 금속판을 펀칭하여 연결부 (8) 로 연결된 상면판 (6) 과 베이스부 (9) 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면판 (6) 에는 구멍 (6a) 과 드라이버 홈 (7) 을 형성하고, 또한 베이스부 (9) 에는 슬라이딩부 (9a) 를 설치한 암부 (9b) 와, 저벽 (10c) 과 오목부 (10a) 가 있는 팽출부 (10) 를 형성한다.
그 후, 절곡선 (Z) 의 위치에서 U 자형으로 절곡가공하면 도 4,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은 회전체 (5) 가 완성된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된 회전체 (5) 는 팽출부 (10) 의 저벽 (10c) 을 절연기판 (1) 상에 탑재하고 구멍 (10b) 을 구멍 (1a) 에 맞춘 상태로 한다.
또,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단자부 (11) 는 평판형 베이스부 (11a) 와, 베이스부 (11a) 의 일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절곡부 (11b) 와, 베이스부 (11a) 로부터 드로잉 가공에 의해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원통형 돌기부 (11c) 를 가진다.
그리고, 제 2 단자부 (11) 를 절연기판 (1) 의 하부에 배치하여 돌기부 (11c) 를 구멍 (1a, 10b) 에 삽입통과시킴과 동시에 절곡부 (11b) 를 절결부 (1c) 내에 위치한 상태로 한다.
그리고, 돌기부 (11c) 의 선단을 코킹함으로써 회전체 (5) 가 절연기판 (1) 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됨과 동시에 슬라이딩부 (9a) 가 저항체 (2) 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칩형 가변저항기가 형성되어 십자형 드라이버 (도시생략) 를 드라이버 홈 (7) 과 오목부 (10a) 내에 삽입하여 회전체 (5) 를 회전시키면, 회전체 (5) 가 돌기부 (11c) 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슬라이딩부 (9a) 가 저항체 (2) 상을 슬라이딩 접촉하여 저항치가 가변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드라이버 홈 (7) 의 홈부 (7a) 가 상면판 (6) 의 중심 (C) 과 연결부 (8) 의 횡폭 (A) 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선 (S) 상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면판 (6) 과 베이스부 (9) 를 연결하는 연결부 (8) 의 중앙부가 폭이 넓은 두께부 (6b) 에서 상면판 (6) 과 연결되어 그 강도가 높아지고, 따라서 드라이버에 의해 회전체 (5) 를 회전시켰을 때 연결부 (8) 가 비틀리거나 구부러지는 일이 없어 베이스부 (9) 가 정상적으로 회전하여 슬라이딩부 (9a) 의 정상적인 회전에 지장이 없는 것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부 (8) 는 U 자형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상면판 (6) 의 외형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면판 (6) 의 외형을 크게 하지 않고, 동시에 드라이버 홈 (7) 의 홈부 (7a) 가 상면판 (6) 의 중앙과 연결부 (8) 의 횡폭 (A) 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선 (S) 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드라이버 홈 (7) 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칩형 가변저항기에 있어서, 회전체 (5) 는 슬라이딩부 (9a) 를 형성한 베이스부 (9) 와, 연결부 (8) 에 의해 베이스부 (9) 에 연결된 상면판 (6) 과, 이 상면판 (6) 에 형성된 십자형 드라이버 홈 (7) 을 가지며, 연결부 (8) 가 U 자형으로 절곡되어 베이스부 (9) 와 상면판 (6) 이 겹쳐짐과 동시에 드라이버 홈 (7) 의 홈부 (7a) 가 상면판 (6) 의 중심 (C) 과 연결부 (8) 의 횡폭 (A) 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선 (S) 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었기 때문에, 연결부 (8) 의 중앙부가 폭이 넓은 두께부 (6b) 에서 상면판 (6) 과 연결되어 그 강도가 높아지고, 따라서 드라이버에 의해 회전체 (5) 를 회전시켰을 때 연결부 (8) 가 비틀리거나 구부러지는 일이 없어 베이스부 (9) 가 정상적으로 회전하여 슬라이딩부 (9a) 의 정상적인 회전에 지장이 없는 것을 얻을 수 있다.
또, 드라이버 홈 (7) 의 홈부 (7a) 가 상면판 (6) 의 중심 (C) 과 연결부 (8) 의 횡폭 (A) 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선 (S) 에 대하여 대칭인 위치에 드라이버 홈 (7) 의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홈부가 배치되었기 때문에, 연결부 (8) 의 중앙부는 한 층 더 폭넓은 두께부 (6b) 에서 상면판 (6) 과 연결되어 그 강도를 한 층 더 높일 수 있다.
또, 드라이버 홈 (7) 의 홈부 (7a) 가 상면판 (6) 의 중심 (C) 과 연결부 (8) 의 횡폭 (A) 중심부를 연결하는 선 (S) 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두 개의 홈부 (7a) 의 선단부 (7b) 가 연결부 (8) 에 근접하여 배치되며, 동시에 연결부 (8) 에 근접한 두 개의 홈부 (7a) 의 선단부 (7b) 사이의 폭 (B) 과 동등한 횡폭 (A), 또는 이 폭 (B) 을 초과한 상기 횡폭 (A) 으로 상기 연결부 (8) 가 형성되었기 때문에, 연결부 (8) 의 횡폭 (A) 을 넓은 폭으로 형성할 수 있어 그 강도를 한 층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 (9) 의 중앙부에는 베이스부 (9) 와 연결된 상태에서 중앙부에 오목부 (10a) 를 갖는 팽출부 (10) 가 형성되며, 오목부 (10a) 의 일부가 드라이버 홈 (7) 과 대향한 상태에서 상면판 (6) 이 팽출부 (10) 상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드라이버가 드라이버 홈 (7) 을 통과하여 오목부 (10a) 까지 깊게 삽입될 수 있어 조정시의 조작성이 양호한 것을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표면에 저항체를 형성한 절연기판과, 이 절연기판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저항체에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를 갖는 회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슬라이딩부를 형성한 베이스부와, 연결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된 상면판과, 이 상면판에 형성된 십자형 드라이버 홈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가 U 자형으로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상면판이 겹쳐짐과 동시에 상기 드라이버 홈의 홈부가 상기 상면판의 중심과 상기 연결부의 횡폭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선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형 가변저항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홈의 홈부가 상기 상면판의 중심과 상기 연결부의 횡폭 중심부를 연결하는 선에 대하여 대칭인 위치에 상기 드라이버 홈의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홈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형 가변저항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홈의 홈부가 상기 상면판의 중심과 상기 연결부의 횡폭 중심부를 연결하는 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두 개의 상기 홈부의 선단부가 상기 연결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며, 동시에 상기 연결부에 근접한 상기 두 개의 홈부의 상기 선단부 사이의 폭과 동등한 상기 횡폭, 또는 이 폭을 초과한 상기 횡폭으로 상기 연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형 가변저항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부에는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중앙부에 오목부를 갖는 팽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일부가 상기 드라이버 홈과 대향한 상태에서 상기 상면판이 상기 팽출부 상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형 가변저항기.
KR10-2001-0073984A 2000-12-01 2001-11-26 칩형 가변저항기 KR1004193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71478 2000-12-01
JP2000371478 2000-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164A KR20020043164A (ko) 2002-06-08
KR100419321B1 true KR100419321B1 (ko) 2004-02-19

Family

ID=18841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984A KR100419321B1 (ko) 2000-12-01 2001-11-26 칩형 가변저항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19321B1 (ko)
CN (1) CN1326163C (ko)
TW (1) TW5384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40103B (zh) * 2008-07-28 2012-05-23 阎跃军 电参数的调节装置
CN102938288B (zh) * 2011-08-15 2017-02-15 深圳市研通高频技术有限公司 电参数的调节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8210A (ja) * 1998-10-12 2000-07-04 Alps Electric Co Ltd チップ型可変抵抗器
JP2000299208A (ja) * 1999-04-12 2000-10-24 Alps Electric Co Ltd チップ型可変抵抗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6020A (ja) * 1996-03-12 1997-09-19 Hokuriku Electric Ind Co Ltd チップ状可変抵抗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31607A (ja) * 1997-07-11 1999-02-02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回転型電子部品
JP4790098B2 (ja) * 1997-09-09 2011-10-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可変抵抗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8210A (ja) * 1998-10-12 2000-07-04 Alps Electric Co Ltd チップ型可変抵抗器
JP2000299208A (ja) * 1999-04-12 2000-10-24 Alps Electric Co Ltd チップ型可変抵抗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56701A (zh) 2002-07-03
CN1326163C (zh) 2007-07-11
KR20020043164A (ko) 2002-06-08
TW538417B (en) 200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9321B1 (ko) 칩형 가변저항기
JP3817151B2 (ja) チップ型可変抵抗器
JP2994279B2 (ja) 回転型可変抵抗器
JPH0141185Y2 (ko)
JP2579830Y2 (ja) 可変抵抗器
JPH0141186Y2 (ko)
JP3736621B2 (ja) ジャック構造
JPS5934119Y2 (ja) 可変磁器コンデンサ
KR100235449B1 (ko) 회전형 가변저항기
JP2939103B2 (ja) 回転形可変抵抗器
JPH0747841Y2 (ja) 電子素子
KR100252494B1 (ko) 회전형 가변 저항기
JP3614645B2 (ja) 電気部品
JP3634206B2 (ja) チップ型可変抵抗器
JPH09298106A (ja) 電気部品とその組立方法
JPH11238608A (ja) 回転型電気部品
JP3587731B2 (ja) チップ型可変抵抗器
TWI288992B (en) Electrical connector
JPH10126031A (ja) 電子部品の実装構造
JPH0213801B2 (ko)
JPH09270368A (ja) トリマーコンデンサ
JPS5934989Y2 (ja) 可変磁器コンデンサ
JPH11144920A (ja) 電気部品
KR20070039470A (ko) 칩형 가변식 전자부품 및 칩형 가변저항기
JPH01168003A (ja) 可変抵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