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9251B1 - 교량구조물 - Google Patents

교량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9251B1
KR100419251B1 KR10-2001-0052056A KR20010052056A KR100419251B1 KR 100419251 B1 KR100419251 B1 KR 100419251B1 KR 20010052056 A KR20010052056 A KR 20010052056A KR 100419251 B1 KR100419251 B1 KR 100419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joint
joint member
bridge
sidewalk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2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8356A (ko
Inventor
김용성
김용철
Original Assignee
(주)엠피기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피기술산업 filed Critical (주)엠피기술산업
Priority to KR10-2001-0052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9251B1/ko
Publication of KR20030018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8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2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상호 연접되어 차도, 경계석, 인도 및 방호벽을 형성하는 한 쌍의 교량유니트를 갖는 교량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교량유니트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 걸쳐 배치되어 상기 이격간격을 외부로부터 기밀유지시키며, 상기 한 쌍의 교량유니트가 상호 접근 및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이격간격에 배치되는 주름부를 갖는 신축이음부재와; 상기 주름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신축이음부재의 상면에 각각 적층배치되는 한 쌍의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과 상기 신축이음부재를 상기 교량유니트에 일체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신축이음부재는 상기 경계석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방호벽의 배면에 이르도록 상기 인도 및 상기 방호벽을 일체로 감싸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이격간격을 통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교량구조물이 제공된다. 또한, 간단한 구조를 통해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시공 후, 미관이 미려한 교량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량구조물{bridge structure}
본 발명은, 교량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상호 연접되어 차도, 인도 및 방호벽을 형성하는 한 쌍의 교량유니트를 갖는 교량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교량구조물은 온도변화 및 하중에 따라서 팽창하고 수축된다. 그러므로, 일정한 길이 이상으로 건설되는 교량구조물은 일정 길이마다 적정한 이격간격(이하, "이격간격"이라 함)을 두고 마련되는 복수의 교량유니트로 이루어져 있다.
교량유니트는 차량의 이동을 위한 차도와 차도에 대해 단턱을 두고 배치되는 경계서과, 경계석의 상면과 나란한 인도와, 인도의 끝단에 형성되는 방호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상호 연접된 한 쌍의 교량유니트 사이에 형성된 이격간격은 한 쌍의 교량유니트의 팽창 및 수축공간으로 이용되기는 하나, 이격간격으로 물이 삽입되면 교량구조물을 형성하는 철근 및 하부구조물을 부식시키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차폐부재를 이용하여 이격간격을 외부로부터 차단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격간격을 차폐하기 위해 경계석의 측면으로부터 방호벽의 배면에 이르기까지 부분적으로 차폐부재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시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차폐부재를 부분적으로 이어 인도 및 방호벽 사이의 이격간격을 덮고 있으므로,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각 이음새를 통해 누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격간격을 통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교량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통해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교량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관이 미려한 교량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구조물의 부분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1의 부분 절취 평면도 및 정면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1의 측단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구조물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교량유니트 12 : 차도
16 : 인도 17 : 방호벽
20 : 신축이음부재 30a,30b : 보강판
40a,40b : 지지부재 41 : 앵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상호 연접되어 차도, 경계석, 인도 및 방호벽을 형성하는 한 쌍의 교량유니트를 갖는 교량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교량유니트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 걸쳐 배치되어 상기 이격간격을 외부로부터 기밀유지시키며, 상기 한 쌍의 교량유니트가 상호 접근 및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이격간격에 배치되는 주름부를 갖는 신축이음부재와; 상기 주름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신축이음부재의 상면에 각각 적층배치되는 한 쌍의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과 상기 신축이음부재를 상기 교량유니트에 일체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신축이음부재는 상기 경계석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방호벽의 배면에 이르도록 상기 인도 및 상기 방호벽을 일체로 감싸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구조물에 의해 달성된다.
이 때, 상기 신축이음부재는 부분적으로 절곡 가능하도록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보강판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축이음부재와 상기 인도의 상면 사이에 상기 이격간격을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배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인도에 매입되는 복수의 앵커를 더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잦은 보행으로 인한 보강판과 신축이음부재가 침몰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이격간격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스커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교량구조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상호 연접하는 복수의 교량유니트(10)로 이루어져 있다. 교량유니트(10)는 차량이 주행하는 차도(12)와, 차도(12)보다 높게 배치되어 인도(16)와의 경계를 이루는 경계석(15)과, 경계석(15)의 상면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사람이 통행하는 인도(16) 및 인도(16)의 말단에 형성되는 방호벽(17)을 형성한다. 차도(12)에는 차도용 신축이음장치(14)가 설치되어 차도(12)를 형성하는 한 쌍의 교량유니트(10)간의 신축작용을 도모한다.
경계석(15)을 포함하여 인도(16) 및 방호벽(17)에는 이격간격을 외부로부터 기밀유지시키는 신축이음부재(20)가 마련되어 있다. 신축이음부재(2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적으로 팽창 및 수축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차도(12)와 인도(16)가 상호 접하는 경계석(15)의 측면(15a)으로부터 인도(16)의 상면(16b), 방호벽(17)의 측면(17a), 상면(17b)을 거쳐 방호벽(17)의 배면(17c)에 이르기까지, 경계석(15), 인도(16) 및 방호벽(17)을 일체로 덮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이 때, 신축이음부재(20)는 부분적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고무재질 외에도, 압축 스티로폼이나 스펀지 및 합성수지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신축이음부재(20)의 중앙에는 연접된 한 쌍의 교량유니트(10)가 상호 접근 및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 주름부(20a)가 형성되어 있다. 주름부(20a)는 연속된 지그재그 형상의 단면 "W"형상을 가지고 이격간격에 배치된다. 이 때, 주름부(20a)의 형상은 "U"형상을 비롯하여 역 "U"형상 등, 기타 자유곡선의 형태를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신축이음부재(20) 내에는 신축이음부재(20)에 강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석면이나 합성섬유 등으로 제조될 수 있는 유지부재(20b)가 개재되어 있다.
신축이음부재(20)의 상부에는 보강판(30a,30b)이 적층되어 있다. 보강판(30a,30b)은 주름부(20a)를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마련되어 신축이음부재(20)의 상부에 각각 적층되며, 내측 연부는 연속된 파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보강판(30a,30b)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알루미늄 및 구리 재질을 포함하여, 스테인레스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판(30a,30b)의 판면에는 복수의 관통공(3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신축이음부재(20)의 상부에 보강판(30a,30b)이 적층되었을 경우, 앵커볼트 등으로 적용될 수 있는 고정부재(32)를 이용하여 보강판(30a,30b)과 신축이음부재(20)를 경계석(15), 인도(16) 및 방호벽(17)에 일체로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체결 완료된 앵커볼트가 보강판(30a,30b)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관통공(31)은 보강판(30a,30b)의 판면에서 소정 깊이 함몰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경계석(15)의 측면(15a)과 방호벽(17)에 배치되는 보강판(30a,30b)과 신축이음부재(20)를 체결하는 앵커볼트는 그 길이를 신축이음부재(20)와 보강판(30a,30b)을 합친 두께보다 길게 형성하여 보강판(30a,30b)과 신축이음부재(20)가 경계석(15)의 측면(15a)과 방호벽(17)의 측면(17a), 상면(17b) 및 배면(17c)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도(16)의 상면(16b)에 마련되어 보강판(30a,30b), 신축이음부재(20) 및 지지부재(40a,40b)를 상호 체결하는 앵커볼트는 보강판(30a,30b), 신축이음부재(20) 및 지지부재(40a,40b)를 합친 두께만큼의 길이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지지부재(40a,40b)에 형성된 앵커(41)로 인해 지지부재(40a,40b)는 인도(16)의 콘크리트 타설 구간(C)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보강판(30a,30b) 및 신축이음부재(20)는 지지부재(40a,40b)에 체결하기만 하면 된다.
이처럼 고정부재(32)를 이용하여 신축이음부재(20)와 보강판(30a,30b)을 인도(16) 및 방호벽(17)에 일체로 고정함으로써,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격간격으로 누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 후, 미관이 미려해지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경계석(15)과 방호벽(17)에 대해 인도(16)는 사람이 자주 지나다니는 영역이므로, 고무로 된 신축이음부재(20)와 보강판(30a,30b)만을 설치할 경우에는 그 강성을 유지하지 못해 하향 침몰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인도(16)의 상면(16b)에 해당하는 영역에 지지부재(40a,40b)를 더 마련하고 있다.
신축이음부재(20)와 인도(16)의 상면(16b) 사이에 이격간격을 사이에 두고한 쌍의 지지부재(40a,40b)가 마련되어 있다. 지지부재(40a,40b)의 하부에는 하향 연장되어 인도(16)의 콘크리트 타설 구간(C)에 매입되는 복수의 앵커(41)가 마련되어 있으며, 판면에는 고정부재(32)가 체결되는 앵커체결공(43)이 형성되어 있다. 앵커(41)는 지지부재(40a,40b)에 용접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여 지지부재(40a,40b)에 나사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앵커(41)의 단부에는 확경부(41a)를 형성하여 앵커(41)의 매입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처럼 앵커(41)가 인도(16)의 상면(16b) 콘크리트 타설 구간(C)에 매입되어 고정되면, 지지부재(40a,40b) 역시, 인도(16)의 상판에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지지부재(40a,40b)의 재질은 그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철판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지부재(40a,40b)에 마련된 복수의 앵커(41)를 인도(16)의 상면(16b)에 매입하여 콘크리트 타설(C)한다. 그런 다음, 신축이음부재(20)를 부분적으로 절곡하여 경계석(15)의 측면(15a)으로부터 인도(16)의 상면(16b), 방호벽(17)의 측면(17a), 상면(17b)을 거쳐 방호벽(17)의 배면(17c)에 이르기까지 일체로 덮는다. 이 때, 신축이음부재(20)의 주름부(20a)는 인도(16) 및 방호벽(17)에 형성된 이격간격에 배치되어야 한다. 그리고, 신축이음부재(20) 및 보강판(30a,30b)은 방호벽(17)의 배면(17c)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도 7의 확대 "A" 참조).
다음, 신축이음부재(20)의 판면에 보강판(30a,30b)을 적층한 후, 고정부재(32)를 이용하여 보강판(30a,30b), 신축이음부재(20) 및 지지부재(40a,40b)를 일체로 교량유니트(10)에 고정시킨다. 즉, 경계석(15) 및 방호벽(17)에는 고정부재(32)를 이용하여 보강판(30a,30b)과 신축이음부재(20)를 교량유니트(10)에 고정하고, 인도(16)의 상면(16b)에는 보강판(30a,30b), 신축이음부재(20) 및 지지부재(40a,40b)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고정부재(32)를 이용하여 보강판(30a,30b) 및 신축이음부재(20)를 지지부재(40a,40b)에 고정한다.
이 때, 신축이음부재(20)와 보강판(30a,30b)이 일체로 제조되어 있을 경우에는 보강판(30a,30b)의 적층 작업을 별도로 수행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신축이음부재(20)를 이용하여 경계석(15), 인도(16) 및 방호벽(17)을 일체로 감싸지지하고 신축이음부재(20)의 상부에 보강판(30a,30b)을 마련함으로써, 이격간격으로 이물을 포함한 물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계석(15), 인도(16) 및 방호벽(17)을 일체로 감싸지지하고 있으므로, 시공이 용이하며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41')를 "L"형으로 하거나, 혹은 파이프 형상(미도시)이나 환 봉(미도시)의 형태로도 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40a,40b)의 측면에 스커트부(40c,40d)를 형성하여 스티로폼(S)과 같은 흡음재가 개재되는 유간(H)으로 콘크리트 등과 같은 이물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지지부재를 인도에만 배치하고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지지부재를 방호벽에도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신축이음부재가 절곡되는 부분은, 인도의 모서리 영역과 방호벽의 각 모서리 영역, 그리고 인도와 방호벽 사이의 변 영역이므로, 이에 적절한 크기의 보강판을 신축이음부재에 미리 접합시킨 후, 신축이음부재와 보강판의 설치 작업을 한번에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신축이음부재를 부분적으로 절곡하여 경계석, 인도 및 방호벽을 일체로 덮는 것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신축이음부재의 절곡을 용이하게 하고 절곡 배치된 신축이음부재의 각 판면이 경계석, 인도 및 방호벽의 판면에 충분히 면접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 절곡면에 소정의 절취부를 형성한 후, 신축이음부재의 절곡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격간격을 통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교량구조물이 제공된다.
또한, 간단한 구조를 통해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시공 후, 미관이 미려한 교량구조물이 제공된다.

Claims (6)

  1.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상호 연접되어 차도, 경계석, 인도 및 방호벽을 형성하는 한 쌍의 교량유니트를 갖는 교량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교량유니트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 걸쳐 배치되어 상기 이격간격을 외부로부터 기밀유지시키며, 상기 한 쌍의 교량유니트가 상호 접근 및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이격간격에 배치되는 주름부를 갖는 신축이음부재와;
    상기 주름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신축이음부재의 상면에 각각 적층배치되는 한 쌍의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과 상기 신축이음부재를 상기 교량유니트에 일체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신축이음부재는 상기 경계석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방호벽의 배면에 이르도록 상기 인도 및 상기 방호벽을 일체로 감싸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구조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부재는 부분적으로 절곡 가능하도록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부재와 상기 인도 사이에 상기 이격간격을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배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인도에 매입되는 복수의 앵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이격간격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스커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구조물.
KR10-2001-0052056A 2001-08-28 2001-08-28 교량구조물 KR100419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056A KR100419251B1 (ko) 2001-08-28 2001-08-28 교량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056A KR100419251B1 (ko) 2001-08-28 2001-08-28 교량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356A KR20030018356A (ko) 2003-03-06
KR100419251B1 true KR100419251B1 (ko) 2004-02-19

Family

ID=27721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056A KR100419251B1 (ko) 2001-08-28 2001-08-28 교량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92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2077B1 (ko) * 2002-04-10 2005-07-25 (주)엠피기술산업 교량구조물
KR101365572B1 (ko) * 2012-07-02 2014-02-21 주식회사 우진 교량용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KR102251088B1 (ko) * 2018-07-18 2021-05-13 주식회사 이쎈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설치 구조 및 그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0446A (ja) * 1974-08-10 1976-02-18 Motonosuke Arai Dorotsugimeshinshukusochino hoshuhoho
JPS58160906U (ja) * 1982-04-19 1983-10-26 鉄道軌材工業株式会社 高架橋等の床板継目装置
EP0115115A2 (en) * 1983-01-31 1984-08-08 Frank Anton Braun Expansion joint
JPH11140821A (ja) * 1997-11-05 1999-05-25 Ps:Kk 埋設形伸縮継手
KR20000066218A (ko) * 1999-04-14 2000-11-15 이승영 교량이음매의 보도부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설치공법
KR200212391Y1 (ko) * 2000-06-26 2001-02-15 박중길 교량 신축이음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0446A (ja) * 1974-08-10 1976-02-18 Motonosuke Arai Dorotsugimeshinshukusochino hoshuhoho
JPS58160906U (ja) * 1982-04-19 1983-10-26 鉄道軌材工業株式会社 高架橋等の床板継目装置
EP0115115A2 (en) * 1983-01-31 1984-08-08 Frank Anton Braun Expansion joint
JPH11140821A (ja) * 1997-11-05 1999-05-25 Ps:Kk 埋設形伸縮継手
KR20000066218A (ko) * 1999-04-14 2000-11-15 이승영 교량이음매의 보도부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설치공법
KR200212391Y1 (ko) * 2000-06-26 2001-02-15 박중길 교량 신축이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356A (ko) 200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6821A (en) Method of forming noise attenuation barrier
KR101415522B1 (ko) 신축 이음부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장 슬래브가 연장된 교량
KR20170082318A (ko) 탄성복원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419251B1 (ko) 교량구조물
JP2003003558A (ja) 排水溝構造
JP3973042B2 (ja) 橋梁歩道の拡幅方法及び橋梁歩道構造
KR101002231B1 (ko) 형강을 이용한 교량용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와 이의 제작 및 설치방법
KR101241400B1 (ko) 아치형구조물
JP3328802B2 (ja) 橋梁における排水装置
KR101560189B1 (ko)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
JP2873780B2 (ja) 水路用ブロック
JP3726042B2 (ja) 保護壁付軽量盛土の構築方法
JP3789412B2 (ja) 道路橋の埋設型ジョイント用の埋設継手及び道路橋の埋設型ジョイント
KR100502077B1 (ko) 교량구조물
KR200245373Y1 (ko) 교체가능한 교량신축이음구조
JP2004332358A (ja) 道路橋用伸縮継手及び道路橋用伸縮継手の製造方法
KR200410403Y1 (ko) 철재구조물의 주차 바닥
KR20030080758A (ko) 교량구조물
JP7168464B2 (ja) 建物の基礎構造
JP5522702B1 (ja) 橋梁床板埋設式排水装置および該装置を使用した橋梁床板新設又は改修工法
KR200361772Y1 (ko) 교량상판용 차수조인트
JP3073346U (ja) コンクリート製排水溝ブロック
JPS6353322B2 (ko)
KR100403389B1 (ko) 수로 또는 구조물의 이음부에 설치되는 일체식신축이음장치와 이를 이용한 수로 또는 구조물의 연속시공방법
JP2003041510A (ja) 道路橋継目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