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2840B1 -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마운팅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마운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2840B1
KR100412840B1 KR10-2001-0044123A KR20010044123A KR100412840B1 KR 100412840 B1 KR100412840 B1 KR 100412840B1 KR 20010044123 A KR20010044123 A KR 20010044123A KR 100412840 B1 KR100412840 B1 KR 100412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re tire
support
support plate
wire
mount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4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9603A (ko
Inventor
김근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4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2840B1/ko
Publication of KR20030009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9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2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28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2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 B62D43/04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attached beneath the vehicle body
    • B62D43/045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attached beneath the vehicle body the wheel or its cradle being attached to one or more chains or cables for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6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ools or spar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9Reducing the workload of dr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마운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20)에 장착된 권선장치(30)와, 이 권선장치(30)에 의해 감아올려지는 와이어(40)와, 이 와이어(40)의 단부에 장착되어 스페어타이어(10)를 받쳐주는 지지장치(100)로 구성된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마운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100)가 원판형의 지지플레이트(110)와, 이 지지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등간격으로 복수개 고정된 고무재질의 서포터(1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지지장치(100)의 구성이 간단하여 비용이 절감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10)는 스페어타이어(10)를 거꾸로 메달았을 때 휠(10a)의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뒤집혀진 상태의 스페어타이어(10)도 정상적으로 들어올려 마운팅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마운팅장치{a mounting device of spare tir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마운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가 간단하고, 리프팅시 와이어에 꼬임이 발생하지 않으며, 뒤집힌 상태의 스페어타이어도 완전히 리프팅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마운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주행중 타이어가 파손될 경우에 대비하여, 즉시 교환이 가능하도록 스페어타이어가 구비되어 있다.
보통 세단형 승용차에서는 트렁크의 바닥부 매트 아래에 형성된 스페어타이어 보관함에 스페어타이어를 안착·고정하여 보관하지만, 일부 SUV(sports utility vehicles) 차량이나 트럭 등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에 장착된 권선장치(30)의 와이어(40) 단부에 스페어타이어 지지장치(50)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 마운팅장치를 사용하여 스페어타이어(10)를 프레임(20)쪽으로 끌어올려 고정함으로써 보관하고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장치(50)를 스페어타이어(10)의 휠(10a) 하부에 걸고, 외측에서 상기 권선장치(30)에 로드(60)를 삽입하여 돌리면, 권선장치(30)가 와이어(40)를 감아들임으로써 스페어타이어(10)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지지장치(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40)의 단부에 고정된 지지구(51)에 지지원판(52)이 지지되고, 이 지지원판(52)에 스프링(53)이 놓여지며, 이 스프링(53)에 캡(55)이 덮여지되, 이 캡(55)의 중앙부분은 상기 와이어(40)에 끼워진 가이더(54)에 끼워지고, 상기 캡(55)의 하단 플랜지부에는 지지플레이트(56)가 얹혀지며, 이 지지플레이트(56)의 일단에 수직플레이트(56a)가 형성되고, 이 수직플레이트(56a)에 리벳(57)을 매개로 사각플레이트(58)가 장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지지플레이트(56)가 스페어타이어(10)의 휠(10a) 하부를 받쳐 주는 상태로 스페어타이어(10)가 들어올려지게 되고, 스페어타이어(10)가 완전히 상승되어 프레임(20)에 접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이상 가해지는 리프팅력은 상기 스프링(53)에서 흡수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플레이트(56a)와 이에 장착된 사각플레이트(58)는 스페어타이어(10)가 안정적인 자세로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휠(10a)의 위치를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페어타이어 마운팅장치는 상기 지지장치(50)의 구조가 복잡하여 구성부품이 많은 관계로 원가의 상승요인이 되고, 또한 수직플레이트(56a)와 사각플레이트(58)로써 스페어타이어(10) 상승시 그 자세가 고정되도록 하고는 있으나 그 효과가 미비하여 스페어타이어(10)가 기울어져 상승함으로써 와이어(40)가 꼬이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실수로 스페어타이어(10)가 뒤집어진 상태에서 지지장치(50)로 지지하였을 경우에는 상승시 지지장치(50)의 상단이 상기 권선장치(30)의 하단에 먼저 닿게 되어 스페어타이어(10)가 프레임(20)에 닿는 정상적인 위치까지 상승되지 못하므로 결과적으로 스페어타이어(10)를 마운팅하지 못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조가 단순해져 구성 부품수가 줄어듦으로써 원가가 저감되고, 휠을 더욱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게 되어 리프팅시 스페어타이어가 기울어지거나 와이어가 꼬이지 않으며, 스페어타이어를 뒤집은 상태에서도 스페어타이어가 프레임에 닿는 상태로 안정적으로 마운팅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마운팅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마운팅장치를 이용하여 스페어타이어를 들어올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상기 스페어타이어 마운팅장치의 일부인 권선장치의 사시 단면도,
도 3은 상기 종래의 마운팅장치를 이용하여 스페어타이어를 뒤집힌 상태에서 들어올리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타이어 마운팅장치의 요부인 스페어타이어 지지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타이어 마운팅장치를 사용하여 스페어타이어를 들어올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마운팅장치를 사용하여 뒤집힌 상태의 스페어타이어를 들어올리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시임들의 사시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페어타이어, 10a : 휠,
20 : 프레임, 30 : 권선장치,
40 : 와이어, 60 : 로드,
100 : 지지장치, 110 : 지지플레이트,
120 : 서포터, 130 : 보울트,
140 : 웰드너트, 150 : 지지구,
200,210 : 시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에 장착된 권선장치와, 이 권선장치에 의해 감아올려지는 와이어와, 이 와이어의 단부에 장착되어 스페어타이어를 받쳐주는 지지장치로 구성된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마운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가 원판형의 지지플레이트와, 이 지지플레이트의 상면에 등간격으로 복수개 고정된 고무재질의 서포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고, 상기 복수의 서포터가 스페어타이어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스페어타이어가 뒤집힌 상태에서도 타이어부분이 프레임에 닿는 완전한 위치까지 리프팅할 수 있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20)에 장착되고 외부에서 로드(60)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작동되는 권선장치(30)와, 이 권선장치(30)에 감겨지는 와이어(40)와, 이 와이어(40)의 단부에 장착되는 지지장치(10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장치(100)는 스페어타이어(10)의 휠(10a)의 지름보다 약간 작아서 이 휠(10a)의 안쪽으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지름을 가진 원형판형상의 지지플레이트(110)와, 이 지지플레이트(110)의 상면 외측부에 등간격으로 고정되는 고무재질의 서포터(120)들로 이루어지며, 이 지지장치(100)는 와이어(40)의 하단에 지지구(150)를 이용하여 고정된다(도 4,5,7참조).
한편, 상기 서포터(120)들은 수나사가 형성된 바디(132)와 원판형의 플랜지(133)가 형성된 보울트(130)의 헤드(131)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 보울트(130)가 상기 지지플레이트(110)의 외측부 하면에 등간격으로 용접된 웰드너트(140)에 상방으로부터 체결됨으로써 지지플레이트(110)에 고정되며, 이때 상기 플랜지(133)는 지지플레이트(110)의 상부에 위치된다(도 4,5참조).
따라서, 스페어타이어(10)를 리프팅할때는 도 6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리프팅하게 되는데, 즉, 상기 지지플레이트(110)를 스페어타이어(10)의 휠(10a) 하부에위치시키고 상기 서포터(120)들로 하여금 휠(10a)을 지지토록 한 상태에서 로드(60)로 권선장치(30)를 작동시켜 와이어(40)를 감아올림으로써 스페어타이어(10)가 들어올려지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110)의 지름이 종래 지지장치(50)의 지지플레이트(56)에 비하여 매우 커서 상기 서포터(120)들이 휠(10a) 하면의 테두리 부분을 받쳐 줌과 더불어 서포터(120)의 재질이 고무로 되어 있어 그 지지상태가 매우 안정적이어서 리프팅시 스페어타이어(10)가 기울어지거나 와이어(40)가 꼬이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서포터(120)는 종래 지지장치(50)의 스프링(53)과 같이 스페어타이어(10)가 완전히 상승하여 프레임(20)에 접촉될 때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작업자가 스페어타이어(10)가 뒤집혀진 상태로 상기 지지플레이트(110)를 설치하여도, 이 지지플레이트(110)는 자체의 상하길이가 짧고 또한 상기 서포터(120)들이 휠(10a)의 내측면 테두리부분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휠(10a)의중앙 구멍을 통하여 상부로 돌출되지 않음으로써 스페어타이어(10)를 거꾸로 리프팅하여도 지지장치(100) 부분이 상부의 권선장치(30)에 먼저 접촉되어 스페어타이어(10)가 정위치까지 완전상승하지 못하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며, 따라서 뒤집힌 상태의 스페어타이어(10)도 정상적으로 마운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에는 상기 보울트(130)에 끼워지는 시임(shim)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들 시임(200,210)들은 미리 다양한 두께로 제작구비되며, 스페어타이어의 규격에 따라 상기 서포터(120)의 높이를 알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페어타이어(10)를 뒤집어 마운팅할 때 프레임(20)에 스페어타이어(10)가 밀착되지 않게 되는 경우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시임은 보통 단순히 원판의 중심에 구멍이 형성된 모양으로 이루어져 웰드너트(140)에서 보울트(130)를 해체한뒤 중심의 구멍으로 보울트(130)를 삽입한후 다시 웰드너트(140)에 체결하도록 되어 있으나(도번 200번의 경우), 중심의 구멍이 반경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보울트(130)를 웰드너트(140)로부터 완전히 풀어내지 않아도 플랜지(133)와 지지플레이트(110)의 사이에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도번 210번의 경우).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장치의 구조와 구성이 단순해짐으로써 비용이 절감되며, 지지장치가 스페어타이어의 휠을 넓은 범위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므로 리프팅시 스페어타이어가 기울어지거나 이로 인해 와이어가 꼬이는 현상이 방지되며, 스페어타이어가 뒤집어진 상태에서 리프팅하여도 스페어타이어가 프레임에 밀착되는 위치까지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뒤집힌 상태의 스페어타이어도 정상적으로 마운팅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시 스페어타이어가 정상적으로 지지되었는지 뒤집혀서 지지되었는지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프레임(20)에 장착되고 외부에서 로드(60)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작동되는 권선장치(30)와, 이 권선장치(30)에 감겨지는 와이어(40)와, 이 와이어(40)의 단부에 장착되는 지지장치(100)로 구성된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마운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100)는 원형판형상의 지지플레이트(110)와, 이 지지플레이트(110)의 상면 외측부에 등간격으로 고정되는 고무재질의 서포터(120)들로 이루어지며, 이 지지장치(100)는 와이어(40)의 하단에 지지구(150)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마운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120)들은 바디(132)에 플랜지(133)가 형성된 보울트(130)의 헤드(131)에 고정되어, 이 보울트(130)가 상기 지지플레이트(110)의 하면 외측부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웰드너트(14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지지플레이트(110)의 상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마운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120)들은 상기 플랜지(133)와 지지플레이트(110)의 상면 사이에 스페어타이어(10)의 규격에 따라 다른 두께로 제작된 시임(200,210)들을 삽입함으로써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마운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110)는 스페어타이어(10) 휠(10a)의 안쪽으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지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마운팅장치.
KR10-2001-0044123A 2001-07-23 2001-07-23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마운팅장치 KR100412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4123A KR100412840B1 (ko) 2001-07-23 2001-07-23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마운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4123A KR100412840B1 (ko) 2001-07-23 2001-07-23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마운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603A KR20030009603A (ko) 2003-02-05
KR100412840B1 true KR100412840B1 (ko) 2003-12-31

Family

ID=27716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4123A KR100412840B1 (ko) 2001-07-23 2001-07-23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마운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28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126B1 (ko) * 2003-07-16 200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용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장치
ITTO20070287A1 (it) * 2007-04-27 2008-10-28 Otelli Riccardo Di Otelli Carlo Dispositivo per sollevare ed abbassare una ruota di scorta di un veicolo
CN105365906A (zh) * 2015-11-26 2016-03-02 安徽开乐专用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可升降摆臂式备胎架
CN107487722A (zh) * 2017-06-15 2017-12-19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用于车辆备胎的防翻转装置、吊装机构和车辆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7501A (ko) * 1995-04-27 1996-11-19 한승준 자동차 스페어타이어의 격납구조
KR19980017845U (ko) * 1996-09-24 1998-07-06 양재신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KR19980053660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스페어 타이어 구조
JPH1149040A (ja) * 1997-08-08 1999-02-23 Mannoh Co Ltd タイヤキャリア
JPH11180352A (ja) * 1997-12-25 1999-07-06 Mazda Motor Corp スペアタイヤ格納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7501A (ko) * 1995-04-27 1996-11-19 한승준 자동차 스페어타이어의 격납구조
KR19980017845U (ko) * 1996-09-24 1998-07-06 양재신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KR19980053660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스페어 타이어 구조
JPH1149040A (ja) * 1997-08-08 1999-02-23 Mannoh Co Ltd タイヤキャリア
JPH11180352A (ja) * 1997-12-25 1999-07-06 Mazda Motor Corp スペアタイヤ格納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603A (ko) 200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1995B2 (en) Channel connector
KR100412840B1 (ko)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마운팅장치
US6082803A (en) Spare tire cover retainer
JP4416454B2 (ja) 小型スペア・タイヤおよびフルサイズタイヤを固定するブラケット・アセンブリ
KR101274236B1 (ko) 공용 스페어 타이어 클램프.
JP2001278110A (ja) ケージナット
EP0578547B1 (fr) Système de retenue d'un cric et d'une roue de secours de véhicule automobile dans un logement
JP7370578B2 (ja) 環境ネット取付け部材
JPH0133406Y2 (ko)
KR200200113Y1 (ko) 자동차의 스패어타이어 행거장치
KR100404540B1 (ko) 맨홀뚜껑의 고정구조
JP3178632B2 (ja) スペアタイヤ格納装置。
JPH0322015Y2 (ko)
JP2968220B2 (ja) 車体固定用螺子ジャッキ
JPS5816466Y2 (ja) 車輌のスペアタイヤ保持装置
WO1995015880A1 (en)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a spare wheel in a vehicle and a spare wheel stowage compartment between a vehicle load floor and a vehicle body
KR100376432B1 (ko) 스페어 타이어 마운팅 구조
KR200200114Y1 (ko) 자동차의 스패어타이어 고정구조
CN108928193A (zh) 一种轮胎装配支撑装置
KR200200111Y1 (ko) 자동차의 스패어타이어 고정구조
KR200197187Y1 (ko) 차량용 트렁크의 스페어 타이어 장착구조
JP3317153B2 (ja) クリップ用治具
JPS6312059Y2 (ko)
JP2000211558A (ja) スペアタイヤ格納構造
KR19990024568U (ko) 자동차의 스패어타이어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