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2502B1 - 프린터의 용지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프린터의 용지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2502B1
KR100412502B1 KR10-2001-0077648A KR20010077648A KR100412502B1 KR 100412502 B1 KR100412502 B1 KR 100412502B1 KR 20010077648 A KR20010077648 A KR 20010077648A KR 100412502 B1 KR100412502 B1 KR 100412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feed roller
feed
pap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7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7220A (ko
Inventor
안병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7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2502B1/ko
Publication of KR20030047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2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25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41J13/03Rollers driven, e.g. feed rollers separate from plat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assisting separation or preventing double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8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70Clutches; Couplings
    • B65H2403/73Couplings
    • B65H2403/732Torque limi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69Driv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65H3/5246Driven retainers, i.e. the motion thereof being provided by a dedicated drive
    • B65H3/5253Driven retainers, i.e. the motion thereof being provided by a dedicated drive the retainers positioned under articles separated from the top of the pile
    • B65H3/5261Retainers of the roller type, e.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프린터의 용지 이송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프린터의 용지 이송장치는, 픽업롤러조립체와, 용지이송경로상에 서로 가압밀착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 1 및 제 2 이송롤러와, 중송방지수단과, 구동원의 동력을 제 1 및 제 2 이송롤러로 전달 또는 단속하는 하나의 기어트레인을 구비한다. 구동원기어와 치합하는 공전기어와, 이 공전기어 축상에 설치된 픽업롤러구동기어 및 이송롤러구동기어와, 픽업롤러구동기어 및 이송롤러구동기어의 동력을 절환하거나 단속하는 동력절환장치와, 이송롤러구동기어와 치합하는 제 1 및 제 2 아이들기어와, 제 1 이송롤러축상에 공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2 아이들기어와 제 2 이송롤러기어와 치합하는 외접기어부 및 내접기어부를 갖춘 제 1 동력전달기어와, 제 1 동력전달기어의 내접기어부와 제 1 이송롤러기어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홀더에 의해 제 1 이송롤러축상에 지지되어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동력전달기어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기어트레인의 구조적인 단순화로 인한 공간적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제 2 이송롤러축은 용지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용지의 중복이송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린터의 용지이송장치{Paper transfer apparatus for printer}
본 발명은 프린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용지급지대에 적재된 용지를 프린터의 엔진부로 이송하는 프린터의 용지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프린터의 용지 이송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급지대(1)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롤러(2)와, 이 픽업롤러(2)에 의해 픽업된 용지를 용지이송경로(P)에서 이송시키기 위하여 서로 일정압력으로 가압 밀착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 1 및 제 2 이송롤러(10)(20)와, 상기 제 2 이송롤러(20)에 구성되어 이 제 2 이송롤러(20)를 선택적으로 용지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용지의 중송을 방지하는 중송방지수단(30)과, 도시되지 않은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제 1 이송롤러(10)로 전달 및/또는 차단하기 위한 제 1 기어 트레인(40)과, 상기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제 2 이송롤러(20)로 전달 및/또는 차단하기 위한 제 2 기어 트레인(50)을 구비한다. 도 1에서 미설명부호 60 및 70은 제 3 및 제 4 이송롤러이다.
상기 제 1 이송롤러(10)는 용지이송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된 제 1 이송롤러축(11)상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이송롤러축(11)의 단부에는 제 1 이송롤러기어(1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 2 이송롤러(20)는 용지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된 제 2 이송롤러축(21)상에 중송방지수단(30)의 개재하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이송롤러축(21)의 단부에는 제 2 이송롤러기어(2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중송방지수단(30)은 상기 제 2 이송롤러축(21)에 고정 결합되어 이 축(21)과 함께 회전하는 고정부(31)와, 상기 고정부(31)의 외주에서 슬라이딩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그 일단이 상기 제 2 이송롤러(20)에 결합되어 이 이송롤러(20)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32)를 구비하는 토크리미터로 구성된다. 상기 토크리미터는 일정 임계토크값을 가지는 바, 이에 의해 상기 제 2 이송롤러(20)는 제 1 이송롤러(10)와의 사이에 발생되는 용지 이송마찰력이 상기 토크리미터의 임계토크값보다 크면 상기 제 2 이송롤러(10)의 회전과 연동하는 방향, 즉 용지이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한편, 제 1 이송롤러(10)와의 사이에 발생되는 용지 이송마찰력이 상기 토크리미터의 임계토크값보다 작으면 제 2 이송롤러축(21)과 같은 방향, 즉 용지이송방향과 반대방향(이하, '역회전'이라 한다)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1매의 용지가 정상적으로 제 1 및 제 2 이송롤러(10)(20) 사이로 투입되면, 이들 사이의 용지 이송마찰력이 토크리미터의 임계토크값보다 크게 되어 정상적인 용지 이송이 이루어지나, 2매의 용지가 중복되어 제 1 및 제 2 이송롤러(10)(20) 사이로 투입되면, 용지대 용지의 마찰로 롤러(10)(20) 사이의 용지 이송마찰력이 토크리미터의 임계토크값보다 작아지게 되어 제 2 이송롤러(20)가 역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 1 이송롤러(10)에 접하고 있는 1매의 용지는 정상적으로 이송되는 반면에 제 2 이송롤러(20)와 접하고 있는 다른 1매의 용지는 반송되게 된다.
상기 제 1 기어트레인(40)은 구동원기어(41)와 맞물리는 제 1 공전기어(42)와, 이 공전기어(42)의 축(42a)상에 설치된 픽업롤러구동기어(43) 및 제 1 이송롤러구동기어(44)와, 상기 축(42a)에 설치되어 상기 픽업롤러구동기어(43) 및 제 1 이송롤러기어(44)를 구동시키거나 단속하는 제 1 동력절환장치(45)와, 상기 제 1 이송롤러구동기어(44)와 상기 제 1 이송롤러기어(12) 사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아이들기어(46)(47)와, 상기 픽업롤러구동기어(43)와 이물림하는 픽업롤러기어(48)를 구비한다.
상기 제 2 기어트레인(50)은 구동원기어(41)와 맞물리는 제 2 공전기어(51)와, 이 공전기어(52)의 축(52a)상에 설치된 제 2 이송롤러구동기어(53)과, 상기 축(52a)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이송롤러구동기어(53)를 구동시키거나 단속하는 제 2 동력절환장치(55)와, 상기 제 2 이송롤러구동기어(53)와 상기 제 2 이송롤러기어(22) 사이에 배치된 제 3 아이들기어(56)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프린터의 용지 이송장치는, 프린팅 신호가 입력되면, 급지롤러(2)가 회전 구동되면서 용지급지대(1)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를 픽업하여 용지이송경로상의 제 1 및 제 2 이송롤러(10)(20) 사이로 투입시킨다. 이 때, 제 1 및 제 2 이송롤러(10)(20)는 각각의 기어트레인(40)(50)을 통하여 전달되는 구동원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고 있으므로, 용지는 이들 롤러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정상적으로 이송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이송롤러축(21)은 용지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 1 이송롤러(10)의 회전속도보다 작은 속도로 회전하게 되나, 이 제 2 이송롤러축(21)에 설치된 제 2 이송롤러(20)는 상기 제 1 이송롤러(10)에 의해 용지이송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만일, 2매의 용지가 투입되면, 롤러(10)(20)의 사이에 용지대 용지의 마찰이 발생됨으로써, 토오크리미터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제 2 이송롤러(20)가 용지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용지의 중송이 방지되게 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롤러(10)(20) 사이를 통과한 용지의 선단이 제 3 및 제 4 이송롤러(60)(70) 사이로 진입되면, 상기 제 1 및 제 2 동력절환장치(45)(55)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롤러(10)(20)로의 동력이 단속되면서 제 1 및 제 2 이송롤러(10)(20)는 정지하거나 아이들 상태로 된다.
연속 급지의 경우 상기와 같은 작용이 반복적으로 진행되면서 용지급지대(1)에 적재된 용지가 낱장씩 프린터의 엔진부로 이송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프린터의 용지 이송장치에 있어서는, 2개의 기어트레인(40)(50)을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이송롤러(10)(20)로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롤러(10)(20)로의 동력 전달을 선택적으로 단속하기 위한 2개의 동력절환장치(45)(55)가 사용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 짐은 물론,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프린터의 용지 이송장치는, 제 1 및 제 2 이송롤러(10)(20)를 어느 일정시간 동안만 구동시킨 후 동력을 차단하거나 정지시키기 때문에, 초기부터 중송된 용지가 롤러사이에서 중송과 낱장 분리라는 반복된 과정을 거친 후, 동력이 차단되면, 이미 진행된 용지 선단을 이송시키는 제 3 및 제 4 이송롤러(60)(70)에 의한 이송력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롤러(10)(20)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 때,롤러 입구에서 머물고 있는 중송된 용지도 제 1 및 제 2 이송롤러의 회전에 의한 마찰력으로 함께 이송되는 경우가 발생됨으로 인하여 완전한 중송방지를 구현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종래 프린터의 용지 이송장치는 동력제어를 위한 고가의 동력절환장치인 전자클러치가 2개 장착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공간적손실에 더하여 경제적손실까지 발생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하나의 기어트레인 구조로 구동원의 동력을 제 1 및 제 2 이송롤러로 전달함으로써 구조적인 단순화 및 공간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프린터의 용지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떠한 경우에도 제 2 이송롤러는 제 1 이송롤러와의 사이에 발생되는 부하가 요구하는 부하 이상일 때에는 제 1 이송롤러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하일 때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용지의 중송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프린터의 용지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가의 동력절환장치인 전자클러치의 사용을 최소화하거나 경우에 따라 제거함으로써 공간적 및 경제적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프린터의 용지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프린터의 용지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용지 이송장치에서 제 1 및 제 2 이송롤러를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 용지 이송장치의 동력전달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지 이송장치의 제 1 및 제 2 이송롤러를 발췌하여 나타낸 도 2에 해당하는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의 동력전달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0;제 1, 제 2 이송롤러 11,21;제 1, 제 2 이송롤러축
12,22;제 1, 제 2 이송롤러기어 30;중송방지수단
41;구동원기어 42;공전기어
43;픽업롤러구동기어 44;이송롤러구동기어
45;동력절환장치 46,47;제 1, 제 2 아이들기어
48;픽업롤러기어 100;기어트레인
110;제 1 동력전달기어 111;외접기어부
112;내접기어부 120;제 2 동력전달기어
130;홀더 140;홀더고정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프린터의 용지이송장치는, 구동원;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용지급지대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여 용지이송경로로 진입시키는 픽업롤러조립체; 상기 용지이송경로상의 어느 한 쪽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 1 이송롤러기어가 구비되어 용지이송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된 제 1 이송롤러축상에 설치된 제 1 이송롤러; 상기 용지이송경로상의 다른 쪽에 상기 제 1 이송롤러와 일정압력으로 가압 밀착되어 회전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 2 이송롤러기어가 구비되어 용지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된 제 2 롤러축상에 설치된 제 2 이송롤러; 상기 제 2 이송롤러축상에 구성되어 상기 제 2 이송롤러를 선택적으로 제 2 이송롤러축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용지의 중송을 방지하는 중송방지수단; 및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롤러축으로 전달하거나 단속하는 하나의 기어트레인;을 포함한다.
상기 기어트레인은, 구동원기어와 치합하는 공전기어와, 이 공전기어 축상에 설치된 픽업롤러구동기어 및 이송롤러구동기어와, 상기 축상에 설치되어 상기 픽업롤러구동기어 및 이송롤러구동기어의 동력을 절환하거나 단속하는 동력절환장치와, 상기 이송롤러구동기어와 치합하는 제 1 및 제 2 아이들기어와, 상기 제 1 이송롤러축상에 공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아이들기어와 상기 제 2 이송롤러기어와 치합하는 외접기어부 및 내접기어부를 갖춘 제 1 동력전달기어와, 상기 제 1 동력전달기어의 내접기어부와 상기 제 1 이송롤러기어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홀더에 의해 제 1 이송롤러축상에 지지되어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동력전달기어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동력전달기어의 외접기어부는 상기 제 1 이송롤러기어의 치형수보다 많게 구성된다.
또한, 3개의 상기 제 2 동력전달기어가 상기 제 1 동력전달기어의 내접기어부에 내접하면서 상기 제 1 이송롤러기어상의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중송방지수단은, 상기 제 2 이송롤러축상에 고정되어 이 축과 함께 회전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외주에서 슬라이딩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그 일단이 상기 제 2 이송롤러에 결합되어 이 이송롤러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를 구비하는 토크리미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프린터의 용지 이송장치는, 하나의 기어트레인을 통해 구동원의 동력을 제 1 및 제 2 이송롤러축으로 전달하거나 단속하므로,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고, 또한, 고가인 동력절환장치를 최소화 하거나 경우에 따라 제거할 수 있어, 공간적인 효과 및 경제적인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이송롤러로의 동력 전달이 차단되어 제 1 및 제 2 이송롤러가 정지하거나 아이들 상태에 있을 때, 제 3 및 제 4 이송롤러에 의한 이송력으로 제 1 및 제 2 이송롤러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제 2 이송롤러기어와 제 1 동력전달기어가 치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이송롤러축은 언제나 용지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이 롤러의 전단에 머물러 있던 용지가 상기의 이송력에 의해 제 1 및 제 2 이송롤러 사이로 진입되는 일이 없다. 즉, 어떠한 경우, 예컨대, 제 1 및 제 2 이송롤러가 아이들 상태에 있을 때에도 중송방지수단의 작용에 의해 용지가 중송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지 이송장치의 제 1 및 제 2 이송롤러를 발췌하여 나타낸 도 2에 해당하는 도면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의 동력전달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와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용지 이송장치를 구성하는 요소에 대해서는 도 1를 참조한다.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용지 이송장치는, 용지급지대(1)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롤러(2)와, 이 픽업롤러(2)에 의해 픽업된 용지를 용지이송경로(P)에서 이송시키기 위하여 서로 일정압력으로 가압 밀착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 1 및 제 2 이송롤러(10)(20)와, 상기 제 2 이송롤러(20)에 구성되어 이 제 2 이송롤러(20)를 선택적으로 용지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용지의 중송을 방지하는 중송방지수단(30)과, 도시되지 않은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롤러(10)(20)로 전달 및/또는 차단하기 위한 하나의 기어트레인(100)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이송롤러(10)는 용지이송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된 제 1 이송롤러축(11)상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이송롤러축(11)의 단부에는 제 1 이송롤러기어(1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 2 이송롤러(20)는 용지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된제 2 이송롤러축(21)상에 중송방지수단(30)의 개재하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이송롤러축(21)의 단부에는 제 2 이송롤러기어(2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중송방지수단(30)은 상기 제 2 이송롤러축(21)에 고정 결합되어 이 축(21)과 함께 회전하는 고정부(31)와, 상기 고정부(31)의 외주에서 슬라이딩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그 일단이 상기 제 2 이송롤러(20)에 결합되어 이 이송롤러(20)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32)를 구비하는 토크리미터로 구성된다. 상기 토크리미터는 일정 임계토크값을 가지는 바, 이에 의해 상기 제 2 이송롤러(20)는 제 1 이송롤러(10)와의 사이에 발생되는 용지 이송마찰력이 상기 토크리미터의 임계토크값보다 크면 상기 제 2 이송롤러(10)의 회전과 연동하는 방향, 즉 용지이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한편, 제 1 이송롤러(10)와의 사이에 발생되는 용지 이송마찰력이 상기 토크리미터의 임계토크값보다 작으면 제 2 이송롤러축(21)과 같은 방향, 즉 용지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1매의 용지가 정상적으로 제 1 및 제 2 이송롤러(10)(20) 사이로 투입되면, 이들 사이의 용지 이송마찰력이 토크리미터의 임계토크값보다 크게 되어 정상적인 용지 이송이 이루어지나, 2매의 용지가 중복되어 제 1 및 제 2 이송롤러(10)(20) 사이로 투입되면, 용지대 용지의 마찰로 롤러(10)(20) 사이의 용지 이송마찰력이 토크리미터의 임계토크값보다 작아지게 되어 제 2 이송롤러(20)가 역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 1 이송롤러(10)에 접하고 있는 1매의 용지는 정상적으로 이송되는 반면에 제 2 이송롤러(20)와 접하고 있는 다른 1매의 용지는 반송되게 된다.
상기 기어트레인(100)은 구동원기어(41)와 치합되는 공전기어(42)와, 이 공전기어(42)의 축(42a)상에 설치된 픽업롤러구동기어(43) 및 이송롤러구동기어(44)와, 상기 축(42a)에 설치되어 상기 픽업롤러구동기어(43) 및 이송롤러기어(44)를 구동시키거나 단속하는 동력절환장치(45)와, 이송롤러구동기어(44)와 상기 제 1 이송롤러기어(12) 사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아이들기어(46)(47)와, 상기 픽업롤러구동기어(43)와 치합되는 픽업롤러기어(48)와, 상기 제 1 이송롤러축(11)상에 공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동력전달기어(110)와, 상기 제 1 동력전달기어(110)의 동력을 상기 제 2 이송롤러기어(22)에 전달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동력전달기어(120)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동력전달기어(110)는 상기 제 2 아이들기어(47)와 상기 제 2 이송롤러기어(22)와 치합되는 외접기어부(111)와 내접기어부(11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동력전달기어(120)는 상기 제 1 동력전달기어(110)의 내접기어부(112)와 상기 제 1 이송롤러기어(12)와 치합되도록 설치된다. 도시예에서는 상기한 제 1 동력전달기어(130)가 제 1 이송롤러기어(12)의 외주에 120도 등간격으로 3개 설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를 꼭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 2 동력전달기어(120)는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면 본 발명의 동력전달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 동력전달기어(120)들은 홀더(1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홀더(130)는 제 1 이송롤러축(11)에 설치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140은 홀더고정부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용지 이송장치의 기어트레인에서 상기 제 1 동력전달기어(110)의 외접기어부(111)의 치형은 상기 제 1 이송롤러기어(12)의 치형수보다 많다. 이에 의해 동일축상에서 증속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제 1 이송롤러축(11)의 회전속도를 제 2 이송롤러축(21)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프린터의 용지 이송장치의 기어트레인(100)에서의 동력전달을 용지 이송과 관련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원기어(41)의 동력은 동력절환장치(45)의 작용에 의해 픽업롤러구동기어(43)를 통하여 픽업롤러기어(48)로 전달되며, 이에 의해 픽업롤러(2)가 회전 구동하는 것에 의해 용지급지대(1)에 적재된 용지가 픽업되어 용지이송경로로 진입되게 된다.
용지의 픽업이 완료되면, 동력절환장치(45)에 의해 픽업롤러구동기어(43)로의 동력전달은 끊어지고 이송롤러구동기어(43)로의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절환된다. 이에 의해 구동원기어(41)의 동력은 이송롤러구동기어(44), 제 1 및 제 2 아이들기어(46)(47)를 통하여 제 1 동력전달기어(110)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제 1 동력전달기어(110)가 제 1 이송롤러축(11) 상에서 공전하게 되는데, 이 제 1 동력전달기어(110)의 외접기어부(111)와 제 2 이송롤러기어(22)가 치합되어 있고, 제 1 동력전달기어(110)의 내접기어부(112)와 제 1 이송롤러기어(12)가 제 2 동력전달기어(120)에 의해 치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 이송롤러축(11)은 용지이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 2 이송롤러축(21)은 용지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각각의 이송롤러축(11)(21)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이송롤러(10)(20)는 일정압력으로 가압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서로 연동하는 방향, 즉 용지이송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회전하고 있는 제 1 및 제 2 이송롤러(10)(20) 사이로 픽업롤러(2)에 의해 픽업된 1매의 용지가 진입되게 되면, 상기 이송롤러(10)(20)의 마찰력에 의해 용지는 정상적으로 이송되게 된다. 만일, 2매의 용지가 이송롤러(10)(20) 사이로 진입되게 되면, 종래 기술에 언급한 바와 같은 중송방지수단(30)인 토오크리미터의 작용에 의해 1매의 용지는 정상적으로 이송되나, 다른 1매의 용지는 이송되지 못하고 반송되어 롤러의 선단에 머물게 된다.
상기 용지의 선단이 제 3 및 제 4 이송롤러(60)(70)(도 1 참조) 사이로 진입되면, 동력절환장치(45)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롤러(10)(20)로의 동력전달은 끊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롤러(10)(20)는 아이들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 3 및 제 4 이송롤러(60)(70)에 의한 용지 이송력으로 그 용지의 후단부가 위치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이송롤러(10)(20)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롤러 전단에 머물고 있던 중송방지작용에 의해 이송되지 않았던 다른 용지가 이송되는 용지와 함께 이송될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경우의 용지 중송을 방지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제 2 이송롤러기어(22)가 제 1 동력전달기어(110)의 외접기어부(111)에 항시 치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제 3 및 제 4 이송롤러(60)(70)의 용지 이송력에 의해 제 1 및 제 2 이송롤러(10)(20)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 2 이송롤러축(21)은 항시 용지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는 이러한 경우에서도 토오크리미터의 작용이 원활이 이루어지면서 용지의 중송을 방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정상적인 1매의 용지가 이송되는 경우에는 두 이송롤러(10)(20) 사이의 용지 마찰력이 토오크리미터의 임계토크값보다 크게 되어 원활히 이송되나, 2매의 용지가 중복되어 이송되는 경우에는 두 이송롤러(10)(20) 사이의 용지 마찰력이 토오크리미터의 임계토크값보다 작아지게 되어 제 2 이송롤러(20)가 제 2 이송롤러축(21)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용지의 중송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기어트레인을 통해 구동원의 동력을 제 1 및 제 2 이송롤러축으로 전달하거나 단속하므로,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고, 또한, 고가인 동력절환장치를 최소화 하거나 경우에 따라 제거할 수 있어, 공간적인 효과 및 경제적인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이송롤러로의 동력 전달이 차단되어 제 1 및 제 2 이송롤러가 정지하거나 아이들 상태에 있을 때, 제 3 및 제 4 이송롤러에 의한 이송력으로 제 1 및 제 2 이송롤러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제 2 이송롤러기어와 제 1 동력전달기어가 치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이송롤러축은 언제나 용지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이 롤러의 전단에 머물러 있던 용지가 상기의 이송력에 의해 제 1 및 제 2 이송롤러 사이로 진입되는 일이 없다. 즉, 어떠한 경우, 예컨대, 제 1 및 제 2 이송롤러가 아이들 상태에 있을 때에도 중송방지수단의 작용에 의해 용지가 중송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구동원;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용지급지대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여 용지이송경로로 진입시키는 픽업롤러조립체; 상기 용지이송경로상의 어느 한 쪽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 1 이송롤러기어가 구비되어 용지이송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된 제 1 이송롤러축상에 설치된 제 1 이송롤러; 상기 용지이송경로상의 다른 쪽에 상기 제 1 이송롤러와 일정압력으로 가압 밀착되어 회전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 2 이송롤러기어가 구비되어 용지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된 제 2 롤러축상에 설치된 제 2 이송롤러; 상기 제 2 이송롤러축상에 구성되어 상기 제 2 이송롤러를 선택적으로 제 2 이송롤러축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용지의 중송을 방지하는 중송방지수단; 및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롤러축으로 전달하거나 단속하는 하나의 기어트레인;을 포함하며,
    상기 기어트레인은,
    구동원기어와 치합하는 공전기어와, 이 공전기어 축상에 설치된 픽업롤러구동기어 및 이송롤러구동기어와, 상기 축상에 설치되어 상기 픽업롤러구동기어 및이송롤러구동기어의 동력을 절환하거나 단속하는 동력절환장치와, 상기 이송롤러구동기어와 치합하는 제 1 및 제 2 아이들기어와, 상기 제 1 이송롤러축상에 공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아이들기어와 상기 제 2 이송롤러기어와 치합하는 외접기어부 및 내접기어부를 갖춘 제 1 동력전달기어와, 상기 제 1 동력전달기어의 내접기어부와 상기 제 1 이송롤러기어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홀더에 의해 제 1 이송롤러축상에 지지되어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동력전달기어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 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력전달기어의 외접기어부는 상기 제 1 이송롤러기어의 치형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기어의 외접기어는 상기 이송롤러기어보다 치형수가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 이송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3개의 상기 제 2 동력전달기어가 상기 제 1 동력전달기어의 내접기어부에 내접하면서 상기 제 1 이송롤러기어상의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 이송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송방지수단은, 상기 제 2 이송롤러축상에 고정되어 이 축과 함께 회전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외주에서 슬라이딩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그 일단이 상기 제 2 이송롤러에 결합되어 이 이송롤러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를 구비하는 토크리미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 이송장치.
KR10-2001-0077648A 2001-12-08 2001-12-08 프린터의 용지 이송장치 KR100412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648A KR100412502B1 (ko) 2001-12-08 2001-12-08 프린터의 용지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648A KR100412502B1 (ko) 2001-12-08 2001-12-08 프린터의 용지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220A KR20030047220A (ko) 2003-06-18
KR100412502B1 true KR100412502B1 (ko) 2003-12-31

Family

ID=29573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648A KR100412502B1 (ko) 2001-12-08 2001-12-08 프린터의 용지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2502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1243A (ja) * 1989-07-20 1991-03-05 Fujitsu General Ltd ファクシミリの紙送り装置
JPH04148959A (ja) * 1990-10-12 1992-05-21 Nec Corp 給紙装置
JPH04333441A (ja) * 1991-05-08 1992-11-20 Ricoh Co Ltd 給紙装置
JPH05294487A (ja) * 1992-04-17 1993-11-09 Olympus Optical Co Ltd 給紙装置
JPH06263273A (ja) * 1993-03-10 1994-09-20 Nec Corp 給紙装置
JPH08282870A (ja) * 1995-04-19 1996-10-29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給紙装置
JPH10203659A (ja) * 1997-01-17 1998-08-04 Mita Ind Co Ltd 給紙装置
JPH11247880A (ja) * 1998-02-27 1999-09-14 Canon Inc トルクリミッタ及び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2000143022A (ja) * 1998-11-10 2000-05-23 Ricoh Co Ltd 給紙装置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1243A (ja) * 1989-07-20 1991-03-05 Fujitsu General Ltd ファクシミリの紙送り装置
JPH04148959A (ja) * 1990-10-12 1992-05-21 Nec Corp 給紙装置
JPH04333441A (ja) * 1991-05-08 1992-11-20 Ricoh Co Ltd 給紙装置
JPH05294487A (ja) * 1992-04-17 1993-11-09 Olympus Optical Co Ltd 給紙装置
JPH06263273A (ja) * 1993-03-10 1994-09-20 Nec Corp 給紙装置
JPH08282870A (ja) * 1995-04-19 1996-10-29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給紙装置
JPH10203659A (ja) * 1997-01-17 1998-08-04 Mita Ind Co Ltd 給紙装置
JPH11247880A (ja) * 1998-02-27 1999-09-14 Canon Inc トルクリミッタ及び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2000143022A (ja) * 1998-11-10 2000-05-23 Ricoh Co Ltd 給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220A (ko)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20047B1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heet feeding device
US5393044A (en) Paper feeder
JP2013107753A (ja)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6837489B2 (en) Jam removing apparatus of machine having ADF function
JP6541019B2 (ja) 駆動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0657296B1 (en) Paper feeder
KR100412502B1 (ko) 프린터의 용지 이송장치
US9506530B2 (en) Driv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KR100421985B1 (ko) 프린터의 용지 이송장치
JP3207504B2 (ja) シート搬送装置
JP6544618B2 (ja) 駆動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695778B2 (ja) 画像形成装置の給紙装置
JPH0655791A (ja) 用紙反転機構
US20050140082A1 (en) Paper supply device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JPH03227843A (ja) 給紙装置
JP3660122B2 (ja) 記録装置
JP2937443B2 (ja) 用紙反転装置
KR100533137B1 (ko) 사무기기용 용지이송기구
JP3250911B2 (ja) 原稿搬送装置
KR100950530B1 (ko) 자동 원고 반송장치 및 양방향 잼 원고 제거 방법
KR200153202Y1 (ko) 용지이송 및 급지장치
JPS60218244A (ja) 複写機の給紙装置
KR20030058301A (ko) 프린터의 용지 이송시스템
KR20010009898A (ko) 복사기의 용지이송장치
JPH1179467A (ja) 紙詰まり除去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