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3137B1 - 사무기기용 용지이송기구 - Google Patents

사무기기용 용지이송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3137B1
KR100533137B1 KR10-2003-0041243A KR20030041243A KR100533137B1 KR 100533137 B1 KR100533137 B1 KR 100533137B1 KR 20030041243 A KR20030041243 A KR 20030041243A KR 100533137 B1 KR100533137 B1 KR 100533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paper
discharge
sw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0741A (ko
Inventor
강신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1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3137B1/ko
Publication of KR20050000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0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1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29Transpor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사무기기용 용지이송기구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에 축결합된 구동기어; 용지를 급지하는 급지롤러에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급지기어열; 용지를 이송시키는 피드롤러에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피드기어열; 용지를 배출시키는 배지롤러에 결합된 배지기어; 및 모터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배지롤러의 회전을 일방향으로 유지시키는 일방향 회전수단;을 포함하며, 일방향 회전수단은, 배지기어와 치합된 아이들기어; 구동기어에 연결된 암지지기어; 암지지기어와 동축 상에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윙암; 스윙암의 일측에 암지지기어와 치합되도록 설치되며, 배지기어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스윙기어; 및 스윙암의 타측에 암지지기어와 치합되도록 설치되며, 아이들기어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스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무기기용 용지이송기구{PAPER TRANSFERRING MECHANISM FOR OFFICE MACHINE}
본 발명은 팩시밀리, 복사기, 복합기 등의 사무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무기기에 채용되는 용지이송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팩시밀리, 복사기, 복합기 등의 사무기기는 용지 상에 표시된 정보를 읽어 들인 후, 그 정보를 송신하거나 복사하는 기능을 가지며, 급지부로부터 공급된 용지를 배지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용지이송기구를 구비한다.
도 1은 종래 사무기기용 용지이송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종래 사무기기용 용지이송기구(100)는 모터(미도시)에 결합되어 있는 구동기어(101)에 픽업기어(102), 급지기어(103), 피딩기어(104) 및 배지기어(105)가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모터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면, 모터의 구동력은 구동기어(101), 피딩단기어(106), 급지중간기어(107), 급지기어(103) 및 제 1 아이들기어(108)를 통해 픽업기어(102)로 전달된다. 이때, 픽업기어(102)가 회전하면서 픽업롤러(102a)가 용지를 픽업하고 픽업된 용지는 급지롤러(103a)에 의해 용지이송경로(P)를 따라 이송된다. 그리고, 구동기어(101)와 피딩단기어(106) 및 피딩중간기어(109)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피딩기어(104)는 피딩중간기어(109)에 설치되어 있는 클러치장치(109a)에 의해 동력이 차단되어 회전되지 않는다. 또한, 피딩단기어(106), 배지단기어(107), 제 2 아이들기어(110) 및 배지중간기어(111)를 통해 구동기어(101)와 연결되어 있는 배지기어(105)는 배지기어(105)에 설치되어 있는 클러치장치(105b)에 의해 동력이 차단되어 회전되지 않는다. 용지의 선단이 제 2 센서(s2)를 지나면 모터가 감속 및 역회전하여 피딩기어(104) 및 배지기어(105)가 회전하고, 급지롤러(103a) 및 픽업롤러(102a)는 급지기어(103)에 설치되어 있는 클러치장치(103b)에 의해 동력이 차단되어 회전되지 않는다. 이때, 용지는 피딩롤러(104a)에 의해 제 3 센서(s3)를 통과하여 스캔유닛(150)으로 피딩되고 스캔유닛(150)을 거친 용지는 배지롤러(105a)에 의해 배출된다. 그리고, 용지의 후단이 배지롤러(105a)를 완전히 벗어나 배지가 완료되면 모터의 회전방향이 바뀌면서 다시 픽업 및 급지동작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미설명 부호 s1은 용지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 1 센서를 나타낸다.
이러한, 종래 사무기기용 용지이송기구(100)는 모터의 회전방향이 변하면 픽업롤러(102a)와 배지롤러(105a)도 회전방향이 변하도록 되어 있는 기구적 구조상, 용지가 배지롤러(105a)에 의해 완전히 배지된 후에 새로운 용지를 픽업하게 된다. 따라서, 용지와 용지 사이의 픽업간격이 커지면서 분당 용지의 팩스송신, 복사매수 및 스캔닝 시간이 길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모터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배지롤러가 항상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함과 동시에, 스캔유닛을 통과하는 용지의 피딩속도에 따른 스캐닝 해상도를 고려하여 배지롤러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배지 간격을 줄일 수 있는 사무기기용 용지이송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사무기기용 용지이송기구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에 축결합된 구동기어; 용지를 급지하는 급지롤러에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급지기어열; 상기 용지를 이송시키는 피딩롤러에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피드기어열; 상기 용지를 배출시키는 배지롤러에 결합된 배지기어; 및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배지롤러의 회전을 일방향으로 유지시키는 일방향 회전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일방향 회전수단은, 상기 배지기어와 치합된 아이들기어; 상기 구동기어에 연결된 암지지기어; 상기 암지지기어와 동축 상에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윙암; 상기 스윙암의 일측에 상기 암지지기어와 치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지기어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스윙기어; 및 상기 스윙암의 타측에 상기 암지지기어와 치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아이들기어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스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피드기어열은, 상기 구동기어에 연결되며, 입력기어 및 상기 입력기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는 출력기어를 구비하는 클러치기어; 및 상기 출력기어에 연결되며, 상기 피딩롤러에 결합된 피드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제 1 스윙기어는 상기 피딩롤러가 구동될 경우 상기 배지기어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스윙기어는 상기 피딩롤러가 정지될 경우 상기 아이들기어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스윙기어가 상기 아이들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용지가 배출되는 속도는 상기 피딩롤러가 용지를 이송시키는 속도와 같은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 1 스윙기어가 상기 배지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용지가 배출되는 속도는 상기 제 2 스윙기어가 상기 아이들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용지가 배출되는 속도보다 빠른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사무기기용 용지이송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사무기기용 용지이송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사무기기용 용지이송기구의 모터 회전상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무기기용 용지이송기구(200)는, 모터(210)와, 급지기어열(220)과, 피딩기어열(230)과, 배지기어(242)와, 스윙기어열(250)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210)는 급지롤러(221), 피딩롤러(231) 및 배지롤러(241)를 구동시키는 동력원이며, 그 중심에 구비된 구동축(211)에 구동기어(212)가 결합된다.
상기 급지기어열(220)은 용지를 공급하는 급지롤러(221)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암지지기어(251)를 통해 구동기어(212)와 치합된 급지단기어(224)와, 급지단기어(224)에 치합되는 급지중간기어(223)와, 급지중간기어(223)와 치합되며 급지롤러(221)와 동축 상에 설치되는 급지기어(222)를 포함한다. 도시된 것처럼 구동기어(21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급지기어(222)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급지롤러(221)는 용지를 용지이송경로(P)를 따라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피딩기어열(230)은 급지롤러(221)에 의해 이송되어 온 용지를 스캔유닛(260) 측으로 피딩시키는 피딩롤러(231)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동기어(212)와 치합되는 피딩단기어(235)와, 피딩단기어(235)와 치합되는 피딩중간기어(234)와, 피딩중간기어(234)와 연결되며 모터(210)의 동력을 단속하는 클러치기어(233)와, 클러치기어(233)와 연결되며 피딩롤러(231)와 동축 상에 설치되는 피딩기어(23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클러치기어(233)는 피딩중간기어(234)와 치합되는 입력기어(233a)와 피딩기어(232)와 치합되며 입력기어(233a)의 내측에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출력기어(233b)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어(21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클러치기어(233)가 피딩기어(232)로 전달되는 모터의 구동력을 차단하여 피딩롤러(231)는 정지된 상태에 있게 된다. 반대로, 구동기어(212)의 회전방향이 바뀌면 모터(210)의 구동력은 클러치기어(233)에 의해 피딩기어(232)에 전달되고, 이에 의해, 피딩롤러(231)는 용지를 스캔유닛(260) 측으로 피딩시킨다.
상기 배지기어(242)는 스캔유닛(260)을 통과한 용지를 사무기기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지롤러(241)와 결합되며, 이중기어로 되어있다.
상기 스윙기어열(250)은 모터(210)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배지기어(242)가 일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일방향 회전수단으로서, 제 1 및 제 2 스윙기어(253)(254)와, 두 스윙기어(253)(25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윙암(252)과, 구동기어(212)와 치합되며 스윙암(252)을 소정 각도 선회시키는 암지지기어(251)와, 배지기어(242)와 치합되며 제 2 스윙기어(254)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아이들기어(255)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스윙암(252)은 제 1 및 제 2 암(252a)(252b)으로 구성되며, 제 1 암(252a)의 단부에는 배지기어(242)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스윙기어(253)가 암지지기어(251)와 치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2 암(252b)의 단부에는 제 2 스윙기어(254)가 암지지기어(251)와 치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암지지기어(251), 제 1 및 제 2 스윙기어(253)(254)는 이중기어로 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어(21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암지지기어(25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 1 스윙기어(253)가 배지기어(242)와 치합된다. 이때, 배지롤러(24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용지를 배출시킨다. 구동기어(212)가 반대로 회전될 경우, 제 2 스윙기어(254)는 아이들기어(255)와 치합되며 배지롤러(241)는 회전방향의 변화없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용지를 배출시킨다.
한편, 상기 용지이송경로(P) 상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S1)(S2)가 설치된다. 이들 제 1 및 제 2 센서(S1)(S2)는 용지이송경로(P) 상의 용지의 위치를 감지하여 모터(21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센서(S1)는 용지이송경로(P) 상의 급지롤러(221)와 피딩롤러(231) 사이에 설치되고, 제 2 센서(S2)는 피딩롤러(231)와 스캔유닛(260) 사이에 설치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사무기기용 용지이송기구의 작용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모터(210)가 구동되어 구동기어(21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암지지기어(25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암지지기어(251)와 연결되어 있는 급지기어열(220) 중에서 급지단기어(22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급지단기어(224)와 급지중간기어(223)를 통해 연결되는 급지기어(22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급지롤러(221)는 용지를 용지이송경로(P)를 따라 이송시킨다.
그리고, 구동기어(212)에 치합되어 있는 피딩단기어(235)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피딩중간기어(23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피딩중간기어(234)와 치합되어 있는 클러치기어(233)의 입력기어(233a)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만, 출력기어(233b)는 공회전되어 피딩기어(232)에는 모터(210)의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피딩롤러(231)는 정지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용지의 선단이 제 1 센서(S1)를 지나쳐 용지이송경로(P) 상의 제 2 구간(B)에 도달되면 모터(21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서서히 감속된다. 이와 함께, 급지롤러(221)의 회전속도 역시 감소되고, 모터(210)의 회전방향이 바뀔 때까지 용지는 피딩롤러(231) 측으로 밀착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용지의 정렬이 이루어진다.
또한, 암지지기어(251)가 반시계방향으로 하면, 스윙암(252) 또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되면서 제 1 스윙기어(253)가 배지기어(242)와 치합된다. 여기에서, 제 1 스윙기어(25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배지기어(242) 및 배지롤러(241)는 용지를 배출시키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모터(210)의 회전방향이 용지이송경로(P) 상의 제 2 구간(B)에서 바뀌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구동기어(21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암지지기어(25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급지기어열(220) 중에서 급지단기어(22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급지중간기어(22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에서, 급지중간기어(223)와 치합되어 있는 급지기어(222)에는 클러치장치(222a)가 구비되어 있어서, 급지롤러(221)는 공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용지의 급지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구동기어(21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기어(212)에 치합되어 있는 피딩단기어(23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피딩중간기어(23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피딩중간기어(234)와 치합되어 있는 클러치기어(233)의 입력기어(233a)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클러치기어(233)의 출력기어(233b) 또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피딩기어(23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피딩롤러(23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용지를 스캔유닛(260) 측으로 피딩시킨다. 이때, 스캔유닛(260)은 그 상부로 통과하는 용지의 화상정보를 읽어들인다.
또한, 암지지기어(25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스윙암(252) 또한 시계방향으로 선회된다. 따라서, 제 1 스윙기어(253)는 배지기어(242)로부터 분리되고 제 2 스윙기어(254)가 배지기어(242)와 치합되어 있는 아이들기어(255)와 연결된다. 제 2 스윙기어(25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아이들기어(25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배지기어(24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구동기어(212)의 회전방향이 바뀌어도 배지롤러(241)는 반시계방향의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용지를 배출시킨다. 이렇게 모터(210)의 동력이 제 2 스윙기어(254)를 통해 배지기어(242)에 전달될 때, 배지롤러(241)가 용지를 배출시키는 속도는 피딩롤러(231)가 용지를 스캔유닛(260) 측으로 피딩시키는 속도와 같다. 따라서, 화상 독취 구간인 용지이송경로(P) 상의 제 4 구간(D)에서의 용지 이동속도가 배지롤러(241)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어 스캐닝되는 화상의 해상도에는 변화가 발생되지 않는다.
계속해서, 용지의 후단부가 제 2 센서(S2)를 통과하고 스캐닝에 필요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모터(210)는 그 회전방향을 바꾸어 다시 용지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배지기어(242)는 회전방향의 변함이 없이 제 1 스윙기어(253)를 통해 모터(210)의 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이때, 구동기어(212)에서 배지기어(242)까지의 감속비는 제 2 스윙기어(254)를 통해 모터(210)의 동력을 전달받을 때보다 작다. 따라서, 이 경우 배지롤러(241)는 그 회전속도가 제 2 스윙기어(254)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는 경우보다 빠르다. 따라서, 용지에 대한 스캐닝 작업이 완료된 용지이송경로(P) 상의 제 6 구간(F)에서 용지의 배출은 빠르게 진행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배지롤러를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용지가 배지롤러에 의해 완전히 배출되기 전에 급지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용지의 급지 간격이 작아 분당 용지의 팩스송신, 복사매수 및 스캔시간이 짧아진다. 더욱이, 용지에 대한 스캐닝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구간에서는 배지롤러의 회전속도를 더욱 크게 하여 배지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사무기기용 용지이송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사무기기용 용지이송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사무기기용 용지이송기구의 모터 회전상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용지이송기구 210;모터
212;구동기어 220;급지기어열
221;급지롤러 222;급지기어
223;급지중간기어 224;급지단기어
230;피딩기어열 231;피딩롤러
232;피딩기어 233;클러치기어
234;피딩중간기어 235;피딩단기어
241;배지롤러 242;배지기어
250;스윙기어열 251;암지지기어
252;스윙암 253,254;제 1,2 스윙기어
255;아이들기어

Claims (4)

  1.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에 축결합된 구동기어;
    용지를 급지하는 급지롤러에 상기 모터의 정회전 구동시의 동력을 전달하는 급지기어열;
    상기 용지를 이송시키는 피딩롤러에 상기 모터의 역회전 구동시의 동력을 전달하는 피드기어열;
    상기 용지를 배출시키는 배지롤러에 결합된 배지기어; 및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배지롤러의 회전을 일방향으로 유지시키는 일방향 회전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일방향 회전수단은,
    상기 배지기어와 치합된 아이들기어;
    상기 구동기어에 연결된 암지지기어;
    상기 암지지기어와 동축 상에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윙암;
    상기 스윙암의 일측에 상기 암지지기어와 치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정회전 구동시 상기 배지기어와 연결되는 제 1 스윙기어; 및
    상기 스윙암의 타측에 상기 암지지기어와 치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역회전 구동시 상기 아이들기어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스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용 용지이송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기어열은,
    상기 구동기어에 연결되며, 입력기어 및 상기 입력기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는 출력기어를 구비하는 클러치기어; 및
    상기 출력기어에 연결되며, 상기 피딩롤러에 결합된 피드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용 용지이송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윙기어는 상기 피딩롤러가 정지될 경우 상기 배지기어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스윙기어는 상기 피딩롤러가 구동될 경우 상기 아이들기어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스윙기어가 상기 아이들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용지가 배출되는 속도는 상기 피딩롤러가 용지를 이송시키는 속도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용 용지이송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윙기어가 상기 배지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용지가 배출되는 속도는 상기 제 2 스윙기어가 상기 아이들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용지가 배출되는 속도보다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용 용지이송기구.
KR10-2003-0041243A 2003-06-24 2003-06-24 사무기기용 용지이송기구 KR100533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243A KR100533137B1 (ko) 2003-06-24 2003-06-24 사무기기용 용지이송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243A KR100533137B1 (ko) 2003-06-24 2003-06-24 사무기기용 용지이송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741A KR20050000741A (ko) 2005-01-06
KR100533137B1 true KR100533137B1 (ko) 2005-12-02

Family

ID=37216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243A KR100533137B1 (ko) 2003-06-24 2003-06-24 사무기기용 용지이송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313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741A (ko) 200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8548B1 (ko) 스윙기어를 이용한 용지이송기구 및 제어방법
US8177219B2 (en) Transmission mechanism and automatic sheet feeder using the same
JP2891968B2 (ja) 原稿搬送機構
JP2007137673A (ja) 原稿搬送装置
JP2008120591A (ja) シート搬送装置
JP2007022763A (ja) 記録媒体スイッチバック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325011B2 (ja) 記録媒体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0533137B1 (ko) 사무기기용 용지이송기구
JP2004026500A (ja) 事務用機器の駆動装置及び駆動方法
JP6519845B2 (ja) 駆動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356952B2 (ja) 給紙装置及びその給紙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3695778B2 (ja) 画像形成装置の給紙装置
WO2017199673A1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742182B2 (ja) 駆動伝達装置、原稿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251945B1 (ko) 양면인쇄기기의 구동단속장치
JPH0771542A (ja) 駆動伝達機構
JP2524052B2 (ja) 画像通信装置
JP2007112521A (ja) 原稿搬送装置
KR100282512B1 (ko) 원고사행방지장치
KR100412502B1 (ko) 프린터의 용지 이송장치
JP2005272130A (ja) 原稿搬送装置
JP2006089155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676081B2 (ja) 原稿搬送装置
JP2019173969A (ja) 駆動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0211775A (ja) シ―ト反転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