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1962B1 - 컬러필터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컬러필터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1962B1
KR100411962B1 KR1019960007048A KR19960007048A KR100411962B1 KR 100411962 B1 KR100411962 B1 KR 100411962B1 KR 1019960007048 A KR1019960007048 A KR 1019960007048A KR 19960007048 A KR19960007048 A KR 19960007048A KR 100411962 B1 KR100411962 B1 KR 100411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lkyl group
film
resin
colo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7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5134A (ko
Inventor
유지 고바야시
시게오 다찌끼
도시히꼬 아까호리
쇼이찌 사사끼
고우지 야마자끼
요이찌 기무라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가세이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가세이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찌 가세이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35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5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1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19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7/00Multicolour photographic processes or agents therefor; Regeneration of such processing agents; Photosensitive materials for multicolour proce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수지, (b) 하나 이상의 안료, (c) 하나 이상의 단량체, 및 (d) 광개시제를 함유하는 감광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기질 상에 막을 형성한 다음, 빛에 노출시키고 하기를 함유하는 특정 현상제를 사용하여 현상시켜서 수득한 고수율의 탁월한 광학성의 컬러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식 중, R1은 C1-19의 알킬이고, R2는 C1-19의 알킬렌이다).

Description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PRODUCTION OF COLOR FILTER}
본 발명은 컬러 필터 (color filter) 의 제조 방법, 컬러 필터 제조용 키트,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컬러 필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컬러 필터는 액정 표시 장치, 감지기 및 색분해 장치에 널리 사용된다. 상기 컬러 필터는 천연 젤라틴 또는 카제인과 같은 염색될 수 있는 수지를 패턴화시켜, 픽쳐(picture) 셀을 주로 생성하기 위한 염료를 사용하는 패턴화 수지를 염색함으로써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생성된 픽쳐 셀은 사용된 수지 및 염료의 성질로 인해 내열성 및 내광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내열성 및 내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최근에, 하나 이상의 안료가 분산된 감광성 물질을 사용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다양한 면에 대해서 연구된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제조 단계는 단순화되고, 제조된 컬러 필터는 안정하며 수명이 길다. 그러나, 상기 방법에 사용된 현상 기술은 매우 어렵다. 또한, 현상 시간, 해상도 및 현상 잔류물에 필요한 것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의 문제를 극복한 컬러 필터를 제조하는 방법, 특히, 안료가 감광성 물질내에 분산되는 경우, 현상 시간, 해상도 및 현상 잔류물을 개량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컬러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착색 화상(畵像) 형성 물질, 및 피복 외관, 해상도 및 현상 잔류물의 향상시키기 위한 착색 화상 형성 물질에 특히 적합한 현상제를 사용하는 컬러 필터 제조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단계로 이루어진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20∼300 의 산가 및 1,500∼200,000 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수지, (b) 하나 이상의 안료, (c) 분자내 광중합 가능한 불포화 결합을 하나 이상 갖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 및 (d) 광개시제를 함유하는 착색 화상 형성 물질의 막을 기질상에 형성시키고;
막의 노출 부분을 광경화시키기 위해서 막을 이미지 방법으로 화학선의 광(光)에 노출시키고;
하기 식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현상제을 사용하여 픽쳐 셀 또는 매트릭스를 형성하기 위해 막으로부터 비노출된 부분을 제거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의 다른 컬러인 픽쳐 셀을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상이한 착색 화상 형성 물질에 대해 각기 상기 언급된 공정을 반복한다:
(식 중, R1은 C1-19의 알킬기이고; R2는 C1-19의 알킬렌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조한 컬러 필터에 관한 것이다.
더구나, 본 발명은 하기를 함유하는 컬러 필터 제조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A) 하나 용기내에 또는 지지체상의 막으로서, (a) 20∼300 의 산가 및 1,500∼200,000 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수지, (b) 하나 이상의 안료, (c) 분자내 광중합 가능한 불포화 결합을 하나 이상 갖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 (d) 광개시제, 및 (e) 용기내 용매를 함유하는 착색 화상 형성 물질; 및
(B) 분리된 용기내에 하기 식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현상제:
(식 중, R1은 C1-19의 알킬기이고; R2는 C1-19의 알킬렌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컬러 필터는 하기에 의해 제조된다.
(a) 20∼300 의 산가 및 1,500∼200,000 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수지, (b) 하나 이상의 안료, (c) 분자내 광중합 가능한 불포화 결합을 하나 이상 갖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 및 (d) 광개시제를 함유하는 착색 화상 형성 물질의 막을 기질상에 형성시키고,
막의 노출 부분을 광 보존하기 위해서 막을 이미지 방법으로 화학선의 광에 노출시키고;
하기 식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현상제을 사용하여 픽쳐 셀 또는 매트릭스를 형성하기 위해 막으로부터 비노출된 부분을 제거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의 다른 컬러인 픽쳐 셀을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상이한 착색 화상 형성 물질에 대해 각기 상기 언급된 공정을 반복한다:
(식 중, R1은 C1-19의 알킬기이고; R2는 C1-19의 알킬렌기이다).
(식 중, R1은 C1-19의 알킬기이고; R2는 C1-19의 알킬렌기이다).
착색 화상 형성 물질중 수지(a) 로서, 20∼300 의 산가 및 1,500∼200,000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수지를 사용한다. 수지(a) 의 전형적인 예는 하나 이상의 카르복실기 함유 중합 가능한 단량체 및 하나 이상의 기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공중합체이다. 카르복실기 함유 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예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말레산 모노알킬 에스테르 등이다. 기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예로는 아크릴 에스테르, 메타크릴 에스테르, 스티렌 등이다.
공중합체는 광중합 가능한 불포화 결합을 함유할 수 있다. 광중합 가능한 불포화 결합을 함유하는 공중합체는 하기와 같다: 히드록실기를 갖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를 유리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불포화된 화합물과 반응시켜 수득한 수지; 에폭시 수지 및 불포화된 카르복실산의 부가 반응 생성물과 다염기산 무수물과 반응시켜 수득한 수지; 접합된 디엔 중합체 또는 접합된 디엔 공중합체 및 불포화된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의 부가 반응 생성물을 히드록실기 함유 중합 가능한 단량체와 반응시켜 수득한 수지; 고산가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를 글리시딜기 함유 불포화된 화합물 (예: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알릴 글리시틸 에테르, 등) 또는 불포화된 알콜 (예: 알릴 알콜,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등) 등과 반응시켜 수득한 수지.
상기 공중합체 중, 하기 식으로 나타낸 반복 단위체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수지가 바람직할 수 있다:
(식 중,
R3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4는 수소원자, 히드록실기,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이고;
R5는 알킬기이고;
R6는 수소원자, 알킬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가질 수 있는 유기기이며 광(光) 반응성 불포화 결합을 갖고;
m 및 n 은 각기 1 이상의 정수이다).
식 (III) 에서, R4, R5, 또는 R6로 정의된 알킬기 중 탄소원자의 수는 1∼12개가 바람직하다. 탄소원자의 수가 12 초과인 경우, 현상성을 저하시키는 경향이 있다. 또한, R4로 정의된 알콕시기 중 탄소원자의 수는 1∼12 개가 바람직하다. 탄소원자의 수가 12 초과인 경우, 현상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언급된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그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식 (III) 으로 나타난 수지는 스티렌 또는 스티렌 유도체의 공중합체 및 말레산 모노알킬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이 말레산 모노알킬 에스테르의 위치에 사용되는 경우, 공중합체의 수율이 바람직하지 않게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스티렌 또는 스티렌 유도체로서, 스티렌, α-메틸스티렌, m-또는 p-메톡시스티렌, p-히드록시스티렌, 2-메톡시-4-히드록시스티렌, 2-히드록시-4-메틸스티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말레산 모노알킬 에스테르로서, 모노메틸 말레산염, 모노에틸 말레산염, 모노-n-프로필 말레산염, 모노-이소프로필 말레산염, 모노-n-부틸 말레산염, 모노-n-헥실 말레산염, 모노-n-옥틸 말레산염, 모노-2-에틸헥실 말레산염, 모노-n-노닐 말레산염, 모노-n-도데실 말레산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말레산 모노알킬 에스테르에 대한 스티렌 또는 그의 유도체의 몰비 [예 : 식(III) 에서 m/n] 는 1/1∼5/1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몰비가 1 미만인 경우, 내열성 및 현상제에 대한 내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반면, 몰비가 5 초과인 경우, 현상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식 (III) 으로 나타낸 수지에 대해서, 감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광반응성 불포화 결합이 그 내에 존재하도록 하고, 알칼리 현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카르복실기가 그 내에 존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광반응성 불포화 결합의 수지로의 도입은 알릴 알콜, 2-부텐-4-올, 퍼푸릴알콜, 올레일 알콜, 신아밀 알콜,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메틸롤아크릴아미드 등과 같은 불포화 알콜을 사용하여 스티렌 또는 그의 유도체의 공중합체 및 말레산 모노알킬 에스테르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옥시란 고리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 α-에틸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크로토닐글리시딜 에테르, 이타콘산 모노알킬 모노글리시딜 에스테르 등과 같은 에틸렌화적으로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과 스티렌 또는 그의 유도체의 공중합체 및 말레산 모노알킬 에스테르를 부가 반응시킴으로써 가능하다.
상기 경우에 있어서,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을 불포화 알콜과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수득한 화합물, 또는 옥시란 고리와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부가 반응에 의해서 수득한 화합물이 스티렌 또는 그의 유도체와의 공중합에 사용되는 경우, 공중합 동안 불포화기의 반응으로 인해 바람직하지 않게 겔화를 유발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수득된 분산 수지중 불포화 등가 중량은 바람직하게는 600∼3000, 보다바람직하게는 800∼2000 의 범위이다. 불포화 등가 중량이 600 미만인 경우, 안료와의 분산중 수지를 부분적으로 경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반면, 불포화 등가 중량이 3000 초과인 경우, 감광성의 향상된 효과를 저하시키는 경향이 있다. 용어 "불포화 등가 중량" 은 불포화 결합당 수지의 분자량을 의미한다.
수지(a) 의 산가는 20∼300, 바람직하게는 40∼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60∼150 의 범위이다. 산가가 20 미만인 경우, 알칼리 현상성은 저하되는 반면, 산가가 300 초과인 경우, 상 패턴의 모양은 불명확해진다.
수지(a) 의 중량평균 분자량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PC) 로 측정 및 폴리스티렌으로서 계산) 은 1,500∼200,000, 바람직하게는 5,000∼1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50,000 의 범위이다. 중량평균 분자량이 1,500 미만인 경우, 안료의 분산 안정성은 불량해지는 반면, 중량평균 분자량이 200,000 초과인 경우, 착색 화상 형성 물질의 감광성 용액의 점도는 바람직하지 않게 높아져서 피복성을 저하시킨다.
성분 (a), (b), (c) 및 (d) 를 함유하는 착색 화상 형성 물질의 100 중량부 중 수지(a) 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10∼85 중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60 중량부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5∼50 중량부이다. 양이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 안료의 분산 안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양이 85 중량부 초과인 경우, 착색 화상 형성 물질의 감광성 용액의 점도가 바람직하지 않게 증가하여 스핀 피복시 피복성을 저하시키는 경향이 있다.
수지(a) 와 더불어,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멜라민 수지등과 같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기타 결합제 수지를 수지(a) 의 100 중량부 당 5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타 결합제 수지의 양이 50 중량부 초과인 경우, 안료의 분산 안정성 및 감광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착색 화상 형성 물질중 안료 (b) 로서, 무기 안료 및 유기 안료가 사용될 수 있다. 다량의 색조로부터, 유기 안료는 카본블랙 및 흑연과 같은 무기 흑색 안료와 더불어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각 안료의 입자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1 ㎛ 이하이고 평균적으로는 약 0.05 ㎛ 이다.
유기 안료로서, 아조 시리즈, 프탈로시아닌 시리즈, 인디고 시리즈, 안트라퀴논 시리즈, 페릴렌 시리즈, 퀸아크리돈 시리즈, 메틴· 아노메틴 시리즈, 및 이소인돌리논 시리즈 안료가 사용될 수 있다.
착색 화상 형성 물질이 컬러 필터에 이용되는 경우, 적색, 녹색, 청색 및 흑색 상과 같은 착색 화상에 적합한 각각의 안료가 사용된다.
적색 착색 화상의 경우에 있어서, 단일 적색 안료 또는 적색 안료 및 황색 안료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적색 안료 및 황색 안료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경우, 황색 안료는 총 적색 안료 및 황색 안료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5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색 안료로서, C.I. 적색 안료 9, 123, 155, 168, 177, 180, 217, 220, 224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황색 안료로서, C.I. 황색 안료 20, 24, 83, 93, 109, 110, 117, 125, 139,147, 154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적색 안료 및 황색 안료는 단독으로 또는 그의 혼합물로서 사용된다.
녹색 착색 화상의 경우에 있어서, 단일 녹색 안료 또는 녹색 안료 및 상기 언급된 황색 안료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녹색 안료 및 황색 안료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경우, 황색 안료는 총 녹색 안료 및 황색 안료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5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녹색 안료로서, C.I. 녹색 안료 7, 36, 37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녹색 안료 및 황색 안료는 단독으로 또는 그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청색 착색 화상의 경우에 있어서, 단일 청색 안료 또는 청색 안료 및 보라색 안료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청색 안료 및 보라색 안료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경우, 보라색 안료는 총 청색 안료 및 보라색 안료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5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색 안료로서, C.I. 청색 안료 15, 15 : 3, 15 : 4, 15 : 6, 22, 60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보라색 안료로서, C.I. 보라색 안료 19, 23, 29, 37, 50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청색 안료 및 보라색 안료는 단독으로 또는 그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흑색 착색 화상의 경우에 있어서, 카본 블랙, 흑연, 티탄카본, 블랙 산화철,이산화마그네슘 등과 같은 흑색 안료가 사용될 수 있다.
성분 (a), (b), (c) 및 (d) 를 함유하는 착색 화상 형성 물질의 100 중량부 중 안료 (b) 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5∼7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6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16∼25 중량부이다. 양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상의 색밀도를 너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양이 70 중량부 초과인 경우, 감광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성분 (c) 로서, 분자내 하나 이상의 광중합 가능한 불포화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량체 (c) 의 예는 하기와 같다: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톡시트리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에피클로로히드린 (ECH) 변형된 부틸 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옥시드(EO) 변형된 디시클로펜테닐 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디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메타크릴레이트, 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형된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프로필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메톡시화 시클로데카트리엔 아크릴레이트, 페녹시헥사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EO 변형된 포스포릭 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형된 테트라히드로퍼푸릴 아크릴레이트, EO 변형된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ECH 변형된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에디올디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글리세롤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EO 변형된 포스포릭 디아크릴레이트, ECH 변형된 프탈릭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디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400) 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ECH 변형된 1, 6-헥산에디올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로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EO 변형된 포스포릭 트리아크릴레이트, EO 변형된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 옥시드 (PO) 변형된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스(메타크릴옥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등.
성분 (a), (b), (c) 및 (d) 을 함유하는 착색 화상 형성 물질의 100 중량부 중 단량체 (c) 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2∼5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40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10∼30 중량부이다. 양이 2 중량부 미만인 경우, 감광성이 너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양이 50 중량부 초과인 경우, 안료의 분산 안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성분 (b) 로서, 광개시제가 사용된다. 광개시제의 예는 벤조페논, N,N'- 테트라에틸-4,4'- 디아미노벤조페논, 4-메톡시-4'-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벤질,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벤조인, 벤조인 메틸 에테르, 벤조인 이소부틸 에테르, 벤질디메틸 케탈, α-히드록시 이소부틸페논, 티옥산톤, 2-클로로티옥산톤, 1-히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2-메틸-1-[4-(메틸티오) 페닐]-2-모르폴리노-1-프로판, t-부틸안트라퀴논, 1-클로로안트라퀴논, 2,3-디클로로안트라퀴논, 3-클로로-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1,4-나프토퀴논, 9,10-페난트라퀴논, 1,2-벤즈안트라퀴논, 1,4-디메틸안트라퀴논, 2-페닐안트라퀴논, 2-(o-클로로페닐)-4,5-디페닐 이미다졸 이량체 등이다. 상기 광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그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성분 (a), (b), (c) 및 (d) 를 함유하는 착색 화상 형성 물질 100 중량부중 광개시제 (d) 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0.01∼2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15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5∼10 중량부이다. 양인 0.01 중량 미만인 경우, 감광성이 너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양이 20 중량부 초과인 경우, 기질에 대한 착색 화상 형성 물질의 막의 접착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착색 화상 형성 물질은 상기 언급된 성분 (a), (b), (c) 및 (d) 와 더불어, 필요에 따라 각종 부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부가제의 예는 히드로퀴논, 히드로퀴논 모노메틸 에테르, 피로갈롤, t-부틸 카테콜 등과 같은 열 중합화 억제제; 비닐기, 에폭시기, 아미노기, 메르캅토기 등을 갖는 실란 커플링제, 기질에 대한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티탄염 커플링제 (이소프로필 트리메타크릴로일 티탄염, 디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로일-4-아미노벤조일 티탄염 등); 막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계면활성제 (불소계, 실리콘계, 탄화수소계 ); 화학선의 광 흡수제; 항산화제 등이다.
착색 화상 형성 물질이 (e) 유기용매와 함께 첨가되어 감광성 용액이 생성될 수 있다. 감광성 용액은 직접적으로 기질상에 피복될 수 있고, 또는 지지체 상에 감광성 용액을 피복시킨 다음, 건조시킴으로써 수득된 감광성 인자가 기질상에 박층되어 기질 표면상에 착색 화상 형성 물질의 막이 형성될 수 있다.
생성된 기질은 빛에 노출되고, 현상되어 목적한 상 패턴이 수득된다.
유기 용매 (e) 의 예는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모노에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프로필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를 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4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를 디부틸 에테르 등과 같은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또는 디-알킬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프로필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알킬 에테르 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프로필 에테르 등과 같은 에틸렌 글리콜 모노알킬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 에테르 등과 같은 에틸렌 글리콜 디알킬 에테르; β-락톤, γ-락톤, δ-락톤 등과 같은 락톤; 메틸메톡시 프로피오네이트, 에틸메톡시 프로피오네이트, 에틸에톡시 프로피오네이트, 메틸에톡시 프로피오네이트: 메틸 에틸 케톤,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톨루엔, N-메틸 피롤 리돈 등이다. 상기 유기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그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유기 용매 (e) 는 5∼40 중량 % 의 감광성 용액중 수지 (a), 안료 (b), 단량체 (c) 및 광개시제 (d) 를 포함하는 성분의 총 고형 성분을 제조하기 위한 양으로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접적으로 기질상에 감광성 용액의 피복 방법으로서, 롤 코터 피복, 스핀 코터 피복, 분무 피복, 소용돌이 피복, 딥 코터 피복, 커텐 흐름 코터 피복, 철사 막대 코터 피복, 그라비야 코터 피복, 에어 나티프 코터 피복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기질로서는, 투명 유기 기질 (예: 백색 판유리, 청색 판유리, 실리카 피복된 청색 판유리), 합성 수지 제조 시트 (예: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염화 폴리비닐 수지 등의 시트), 금속 기질 (예: 알루미늄판, 구리판, 니켈판, 스테인레스 강철판 등), 세라믹 기질, 옵토-전기 전환 인자를 갖는 반도체 기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기질상에 감광성 용액을 피복 후, 통상적으로 50∼130 ℃ 에서 1∼30 분간의 건조를 수행하여 막을 수득한다.
지지체 상에 감광성 용액을 피복하고, 기질을 건조시킴으로써 수득한 감광성 인자의 박층 방법에 관해서, 감광성 용액은 나이프 코터 피복, 그라비야 코터 피복, 롤 코터 피복 또는 분무 코터 피복에 의해서 지지체 상에 피복될 수 있다.
지지체로서, 폴리에스테르 막, 폴리이미드 막, 폴리아미드이미드 막, 폴리프로필렌 막, 폴리스티렌 막 등과 같은 플라스틱 막이 사용될 수 있다.
감광성 인자는 기질상에 감광성 용액의 직접 피복의 경우처럼 통상적으로 50∼130 ℃ 에서, 1∼30 분간 지지체 상의 감광성 용액을 건조시킴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더구나, 막 표면에 먼지의 접착을 예방하기 위해서, 막 표면상에 박피 가능한 커버막을 박층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박피 가능한 커버막으로서, 폴리에틸렌막,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막, 폴리프로필렌막, 표면 처리된 페이퍼 시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착색 화상 형성 물질 막에 대한 결합 강도가 막과 지지체 사이의 결합 강도 보다 더 작은 커버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수득한 감광성 인자는 기질상에 착색 화상 형성 물질의 막을 쌓고, 가열하여 가압을 수행함으로써 기질상에 박층될 수 있다. 상기 경우에 있어서, 대기는 정상 압력 또는 감소된 압력하 중 하나일 수 있다.
기질상에 형성된 착색 화상 형성 물질 막의 두께는 목적에 따라서 0.1∼300 ㎛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막이 컬러 필터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두께는 0.2∼5 ㎛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 패턴은 하기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기질상에 형성된 막을 이미지 방법으로 화학선의 광에 노출시켜 노출 부분을 경화시킨다.
상기 경우에서, 막이 감광성 인자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경우, 빛에 노출은 지지체에 부착되어 있는 중에 또는 지지체로부터 박피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더구나, 직접 피복하여 기질상에 막을 형성시킨 경우에 있어서 조차도, 예를 들면, 0.5∼30 ㎛ 두께의 폴리비닐 알콜로 제조된 산소-배제 막으로 막 표면을 덮고 빛에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화학선의 광의 광원으로서, 탄소 아크 램프, 초고압 수은 램프, 고압 수은램프, 크세논 램프, 할라이드화 금속 램프, 형광성 램프, 팅스텐 램프, 가시 광선 레이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원을 사용하여, 포토마스크를 통한 패턴 노출 또는 스캐닝을 사용하는 직접 도안에 의해서 이미지 방법으로 화학선의 광이 조사된다.
다음으로, 현상 단계, 및 이에 사용된 현상제가 설명된다.
착색 화상 형성 물질 막용의 현상제로서, 하기 식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현상제가 사용된다:
(식 중, R1C1-19의 알킬기이고; R2는 C1-19의 알킬렌기이다).
식 (I) 또는 (II) 의 화합물은 지방산/디알킬롤아민 또는 모노알킬롤아민의
민 또는 모노알킬롤아민을 가열 반응시켜 생성될 수 있다.
식 (I) 또는 (II) 의 화합물은 R1인 C1-19의 알킬기이고, R2가 C1-19의 알킬렌기인 직쇄 상태 또는 측쇄 상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식 (I) 또는 (II) 의 화합물 중, R1으로서 C3-14의 알킬기 및 R2로서 C1-8의 알킬렌기를 갖는 화합물은 현상제의 안정성 및 수명에 있어서 탁월하고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바람직할 수있고; R1으로서 C4-9의 알킬기 및 R2로서 C2-4의 알킬렌기를 갖는 화합물은 현상제의 안정성 및 수명에 있어서 탁월하고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다 바람직할 수 있고; 및 R1으로서 C6-7의 알킬기 및 R2로서 C2-3의 알킬렌기를 갖는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19 초과인 경우, 수용성 및 현상성은 감소된다. 더구나, 알킬렌기의 탄수소가 19 초과인 경우, 수용성 및 현상성은 감소된다.
식 (I) 또는 (II) 의 화합물의 예는 부티르산 디에탄올아미드 (또는 디에탄
올아미드, 발레르산 디헥사놀아미드, 이소발레르산 디에탄올아미드, 메틸에틸 아세테이트 디프로판올아미드, 카프르산 디에탄올아미드, 카프르산 디옥탄올아미드, 에난트산 디에탄올아미드, 에난트산 디프로판올아미드, 에난트산 디이소프로판올아미드, 에난트산 디부탄올아미드, 에난트산 디헥사놀아미드, 에난트산 디옥산올아미드, 에난트산 디-2-에틸헥실알콜아미드, 카르릴산 디옥탄올아미드, 카르릴산 디-2-에틸헥실알콜아미드, 카프릴산 디에탄올아미드, 카프릴산 디프로판올라미드, 카프릴산 디부탄올아미드, 카프릴산 디옥탄올아미드, 펠라곤산 디에탄올아미드, 펠라곤산 디프로판올아미드, 카프르산 디에탄올아미드, 카프르산 디프로판올아미드, 운데실산 디에탄올아미드, 라우르산 디에탄올아미드, 트리데실산 디에탄올아미드, 트리데실산 디프로판올아미드, 트리데실산 디부탄올아미드, 미리스트산 디메탄올아미드, 펜타데실산 디메탄올아미드, 펜타데실산 디에탄올아미드, 부티르산 모노에탄올아미드, 부티르산 모노부탄올아미드, 발레르산 모노에탄올아미드, 발레르산 모노헥사놀아미드, 카프로산 모노에탄올아미드, 카프로산 모노옥탄올아미드, 에난트산 모노에탄올아미드, 에난트산 모노프로판올아미드, 카프릴산 모노에탄올아미드, 카프릴산 모노프로판올아미드, 카프릴산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미드, 카프릴산 모노부탄올아미드, 카프릴산 모노헥사놀아미드, 카프릴산 모노옥탄올아미드, 카프릴산 모노-2-에틸헥실알콜아미드, 펠라곤산 모노에탄올아미드, 펠라곤산 모노프로판올아미드, 카프르산 모노에탄올아미드, 카프르산 모노프로판올아미드, 운데실산 모노에탄올아미드, 라우르산 모노에탄올아미드, 트리데실산 모노에탄올아미드, 트리데실산모노프로판올아미드, 트리데실산 모노부탄올아미드, 미리스트산 모노에탄올아미드, 펜타데실산 모노메탄올아미드, 펜타데실산 모노에탄올아미드 등이다. 상기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그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현상제 (물 포함) 100 중량부 당 식 (I) 또는 (II) 의 화합물을 바람직하게는 0.1∼2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5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1∼1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양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현상성이 불충분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양이 20 중량부 초과인 경우, 픽쳐 셀이 기질로부터 용이하게 박피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현상제는 식 (I) 또는 (II) 의 화합물을 수중에 용해 또는 분산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현상제는 현상제 (물 포함) 의 100 중량부 당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하나 이상의 무기 알칼리 (예: 탄산나트륨, 탄산칼륨,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 및 유기 염기 (예: 트리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부틸아민, 페닐히드라진,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 등) 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양이 10 중량부 초과인 경우, 기질로부터 용이하게 박피되는 픽쳐 셀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현상제는 목적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지포제 및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현상은 비노출된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현상제를 분무하거나 또는 현상제를 침염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결과로서, 상에 상응하는 경화된 막의 착색 화상 패턴을 수득할 수 있다. 현상 후, 물로 세척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현상 후, 상 패턴을 더 강하게 만들기 위해서, 예를 들어, 고압 수은 램프를 사용하여 0.5∼5 J/cm 에서 착색 화상 패턴을 빛에 노출시킴으로써 사후 노출을 수행하거나, 또는 60∼200 ℃ 에서 1∼60 분간 가열하여 착색 화상 패턴을 노출시킴으로써 사후 가열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액정 전시 장치에서 사용되는 컬러 필터를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면, 성분 (a), (b), (c) 및 (d) 를 함유하는 착색 화상 형성 물질을 함유하는 감광성 용액을 유리 기질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피복시킨 다음, 빛에 노출 및 현상을 수행하고, 적색, 녹색, 청색 등의 컬러화된 픽쳐 셀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언급된 단계를 반복한 다음, 컬러화된 픽쳐 셀 중 여백에 흑색 매트릭스로서 흑색 착색 화상을 형성시킨다. 이와는 달리, 예를 들어, 크롬 침적 또는 흑색 착색 화상의 형성에 의해 우선 유리 기질상에 흑색 매트릭스를 형성시킨 다음, 적색, 녹색, 청색 등의 착색 화상을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공정을 개별적인 단계로 수행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또한 컬러 필터 제조용 키트를 제공하는데, 상기 키트는 하기의 물질을 함유한다 ;
(A) (a) 20∼300 의 산가 및 1,500∼200,000 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수지, (b) 하나 이상의 안료, (c) 분자내 광중합 가능한 불포화 결합을 하나 이상 갖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 (d) 광개시제 및 (e) 용매를 함유하는 컬럼 화상 형성 물질 (성분 (a) 내지 (e) 는 용기내에 저장되거나 감광성 인자로서 지지체상에 피복되고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건조된다), 및
(B) 하기 식의 화합물 및 물을 함유하는 현상제 (이는 분리 용기내에 저장된다):
(식 중, R1C1-19의 알킬기이고; R2는 C1-19의 알킬렌기이다).
키트의 상기 성분들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싸거나 또는 박스로 함께 포장될 수 있다. 현상제를 사용하기에 앞서, 상기 구현은 필름부를 광경화시키기 위해 필름의 노출이 필요하다.
착색 화상 형성 물질(A) 에 이용되는 경우 현상제 (B) 가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의 방법으로 설명되고, 이중 달리 특정되지 않는다면, 모두 중량부 및 중량 % 이다.
하기의 실시예에서, 표 1 에 나타난 수지를 사용한다.
수지 A 는 스티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를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와 반응시킴으로써 수득된다.
[표 1]
실시예 1
표 2 에 나타낸 성분들을 사용한다.
[표 2]
성분(a) 를 성분 (d) 에 첨가하고, 비드 밀을 사용하여 2 시간 동안 분산시킨다. 생성된 분산액에, 성분 (c), 성분 (d) 및 200 g 의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 (e) 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흑색 착색 화상 형성하기 위한 감광성 용액을 수득한다.
생성된 감광성 용액을 유리 기질상에 스핀 피복시키고 [7059, 상표명, Corning Japan Co. 사 제; 조건 : 피복량 20 g, 1100 r.p.m., 10 초], 이어서 110 ℃ 에서 5 분간 건조시켜 1.0 ㎛ 두께의 막을 형성시킨다.
생성된 막을 초고압 수은 램프를 사용하여 음성 마스크를 통해 이미지 방법으로 700 mJ/cm2에서 빛에 노출시킨 다음, 5 % 에난트산 디에탄올아미드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사용하여 25 ℃ 에서 분무하여 현상시킨다.
현상 시간, 상의 해상도 및 현상 잔류물을 측정하여 표 6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표 3 에 나타낸 성분들을 사용한다.
[표 3]
성분(A) 및 (b) 를 200 g 의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e) 에 첨가하고 비드 밀을 사용하여 2 시간 동안 분산시킨다. 생성된 분산액에, 성분 (c) 및 (d) 및 200 g 의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적색 착색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감광성 용액을 수득한다.
생성된 감광성 용액을 유리 기질상에 피복시키고 실시예 1 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건조시켜 2.0 ㎛ 두께의 막을 수득한다.
생성된 막을 초고압 수은 램프를 사용하여 음성 마스크를 통해 이미지 방법으로 100 mJ/cm2에서 빛에 노출시킨 다음, 1 % 라우르산 디에탄올아미드 및 2 %의 디에탄올아민의 수용액을 사용하여 현상시킨다.
현상 시간, 상의 해상도 및 현상 잔류물을 측정하여 표 6에 나타낸다.
실시예 3
표 4에 나타낸 성분들을 사용한다.
[표 4]
성분(a) 및 (b) 를 200 g 의 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 에테르(A) 에 첨가하고 비드 밀을 사용하여 2 시간 동안 분산시킨다. 생성된 분산액에, 성분 (c) 및 (d) 및 200 g 의 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 에테르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녹색 착색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감광성 용액을 수득한다.
생성된 감광성 용액을 유리 기질상에 피복시키고 실시예 1 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건조시킨다.
생성된 막을 실시예 2 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빛에 노출시키고, 1 % 에난트산 모노에탄올 아미드 및 3 % 의 트리에탄올아민의 수용액을 사용하여 현상시킨다.
현상 시간, 상의 해상도 및 현상 잔류물을 측정하여 표 6 에 나타낸다.
실시예 4
표 5에 나타낸 성분들을 사용한다.
[표 5]
성분 (a) 및 (b) 를 200 g 의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e) 에 첨가하고 비드 밀을 사용하여 2 시간 동안 분산시킨다. 생성된 분산액에, 성분 (c) 및 (d) 및 200 g 의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청색 착색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감광성 용액을 수득한다.
생성된 감광성 용액을 유리 기질상에 피복시키고 실시예 1 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건조시킨다.
생성된 막을 실시예 2 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빛에 노출시키고, 2 % 카프릴산 디프로판올아미드의 수용액을 사용하여 현상시킨다.
현상 시간, 상의 해상도 및 현상 잔류물을 측정하여 표 6 에 나타낸다.
실시예 5
크롬 침적에 의해서 그 위에 흑색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유리 기질상에, 실시예 2 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색 착색 화상 패턴을 형성한 다음, 180 ℃에서 10 분간 가열시킨다. 이어서, 동일한 기질을 사용하여, 실시예 3 에 기재된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색 착색 화상 패턴 주변에 녹색 착색 화상 패턴을 형성한 다음, 180 ℃ 에서 10 분간 가열한다. 그 후, 생성된 기질을 사용하여, 실시예 4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녹색 착색 화상 패턴 주변에 청색 착색 화상 패턴을 형성한 다음, 200 ℃ 에서 10 분간 가열한다.
결과로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모자이크 픽쳐 셀을 갖는 컬러 필터를 수득하고, 각 픽쳐 셀은 30 ㎛ ×100 ㎛ 의 크기를 갖는다.
실시예 6
유리 기질상에서, 실시예 1 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20 ㎛ 의 흑색상 패턴 (흑색 매트릭스) 를 형성시킨 다음, 205 ℃ 에서 20 분간 가열시킨다.
이어서, 실시예 5 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모자이크 픽쳐 셀을 갖는 컬러 필터를 수득하고, 각 픽쳐 셀을 30 ㎛ ×100 ㎛ 의 크기를 갖는다.
비교예 1
5 % 의 디에탄올아민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현상제로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흑색 착색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실시예 1 의 공정을 반복한다.
현상 시간, 상의 해상도 및 현상 잔류물을 측정하여 표 6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1 % 의 탄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현상제로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청색 착색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실시예 4 의 공정을 반복한다.
현상 시간, 상의 해상도 및 현상 잔류물을 측정하여 표 6 에 나타낸다.
[표 6]
표 6 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현상제가 사용되는 경우 (실시예 1∼4), 현상 시간은 본 발명 외 (비교예 1∼2) 의 현상제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4 의 해상도는 비교예 1 및 2 보다 더 높다. 실시예 1∼4 에서는 현상 잔류물이 없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실시예 1 에서 사용된 현상제는 현상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탁월할뿐만 아니라 분무중 발포되지 않는데 탁월하다.
상기 우수한 현상제가 사용되는 경우, 생성된 컬러 필터 (예: 실시예 5 및 6에서 수득) 는 광학성 (편광해소 정도가 700 이상) 에 있어서 우수하고, 상 전시 인자로서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성이 뛰어나고 높은 품질인 컬러 필터는 높은 가동성을 가지고 높은 수율로 생성될 수 있다.

Claims (20)

  1. 하기의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
    (a) 20∼300 의 산가 및 1,500∼200,000 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수지, (b) 하나 이상의 안료, (c) 분자내 광중합 가능한 불포화 결합을 하나 이상 갖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 및 (d) 광개시제를 함유하는 착색 화상 형성 물질의 막을 기질 상에 형성시키고;
    막의 노출 부분을 광경화시키기 위해서 이미지 방법으로 막을 화학선의 광에 노출시키고;
    하기 식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현상제을 사용하여 픽쳐 셀 또는 매트릭스를 형성하기 위해 막으로부터 비노출된 부분을 제거한다:
    (식 중, R1은 C1-19의 알킬기이고; R2는 C1-19의 알킬렌기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픽쳐 셀이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 화상 형성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된 적색, 녹색 및 청색 픽쳐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매트릭스가 흑색 화상 형성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된 흑색매트릭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매트릭스가 흑색 화상 형성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된 흑색 매트릭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수지(a) 가 하기 식의 반복 단위체를 갖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식 중,
    R3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4는 수소원자, 히드록실기,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이고;
    R5는 알킬기이고;
    R6는 수소원자, 알킬기 또는 하나의 히드록시기를 가질 수 있는 유기기이며 광(光)반응성 불포화 결합을 갖고;
    m 및 n 은 각각 1 이상의 정수이다).
  6. 제 1 항의 제조 방법으로 수득한 컬러 필터.
  7. 제 2 항의 제조 방법으로 수득한 컬러 필터.
  8. 제 3 항의 제조 방법으로 수득한 컬러 필터.
  9. 제 4 항의 제조 방법으로 수득한 컬러 필터.
  10. 하기를 함유하는 컬러 필터 제조용 키트:
    (A) 하나 용기내에 또는 지지체상의 막으로서, (a) 20∼300 의 산가 및 1,500∼200,000 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수지, (b) 하나 이상의 안료, (c) 분자내 광중합 가능한 불포화 결합을 하나 이상 갖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 (d) 광개시제, 및 (e) 용기내 용매를 함유하는 착색 화상 형성 물질; 및
    (B) 분리된 용기내에 하기 식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현상제:
    (식 중, R1은 C1-19의 알킬기이고; R2는 C1-19의 알킬렌기이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식 (I) 및 (II) 중 R1이 C3-14의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2. 제 10 항에 있어서, 식 (I) 및 (II) 중 R2가 C1-8의 알킬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3. 제 10 항에 있어서, 식 (I) 및 (II) 중 R1이 C4-9의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4. 제 10 항에 있어서, 수지(a) 가 하기 식의 반복 단위체를 갖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
    (식 중,
    R3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4는 수소원자, 히드록실기,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이고;
    R5는 알킬기이고;
    R6는 수소원자, 알킬기 또는 하나의 히드록시기를 가질 수 있는 유기기이며 광반응성 불포화 결합을 갖고;
    m 및 n 은 각각 1 이상의 정수이다).
  15. 제 14 항에 있어서, R4는 수소원자, 히드록실기, C1-12의 알킬기 또는 C1-12의 알콕시기이고; R5는 C1-12의 알킬기이고; R6은 수소원자, C1-12의 알킬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가질 수 있는 기이며 광반응성 불포화 결합을 갖고; 및 m/n 이 1/1∼5/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6. 제 10 항에 있어서, 수지(a)가 광중합 가능한 불포화 결합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7. 제 10 항에 있어서, 착색 화상 형성 물질(A) 는 하나의 용기내에 보관되거나 감광성 인자로서 지지체상에 피복되고, 현상제 (B)는 다른 용기내에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8. 제 10 항에 있어서, 현상제 (B) 가 에난트산 모노에탄올아미드, 에난트산 디에탄올아미드, 라우르산 디에탄올아미드 또는 카프릴산 디프로판올아미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9. 하기 식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착색 화상 형성 물질용 현상제:
    (식 중, R1은 C1-19의 알킬기이고; R2는 C1-19의 알킬렌기이다);
    상기 착색 화상 형성 물질은 (a) 20∼300 의 산가 및 1,500∼200,000 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수지, (b) 하나 이상의 안료, (c) 분자내 광중합 가능한 불포화 결합을 하나 이상 갖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 및 (d) 광개시제를 함유한다.
  20.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 상이한 착색 화상 형성 물질에 대해 제1항에 따른 공정을 반복하여 다른 컬러인 픽쳐 셀 또는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
KR1019960007048A 1995-03-16 1996-03-15 컬러필터의제조방법 KR1004119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057201 1995-03-16
JP5720195 1995-03-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134A KR960035134A (ko) 1996-10-24
KR100411962B1 true KR100411962B1 (ko) 2004-05-17

Family

ID=13048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7048A KR100411962B1 (ko) 1995-03-16 1996-03-15 컬러필터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27626A (ko)
KR (1) KR100411962B1 (ko)
TW (1) TW4062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9565B2 (ja) * 1995-01-25 2005-10-26 三菱化学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ー用重合組成物
US5961711A (en) * 1996-12-16 1999-10-05 Dainichiseika Color & Chemicals Mfg. Co., Ltd. Pigment dispersant, pigment dispersion, and pigment dispersion for color filter
DE19847968A1 (de) * 1998-10-17 2000-04-20 Boehringer Ingelheim Pharma Verschlußkappe und Behälter als Zweikammer-Kartusche für Vernebler zur Erzeugung von Aerosolen
JP3625143B2 (ja) * 1998-12-28 2005-03-02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顔料の分散剤、顔料分散液及びカラーフイルター
IL134482A (en) 1999-02-16 2002-12-01 Dainichiseika Color Chem Pigment dispersions and stationery and printers with the dispersions stored within them
NL1013854C2 (nl) * 1999-03-03 2001-05-30 Sumitomo Chemical Co Kleurfilter,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kleurfilter en fotogevoelig kleurenmengsel.
US6280890B1 (en) * 1999-08-27 2001-08-28 Toyo Ink Mfg. Co., Ltd. Color filter and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02014382A1 (en) 2000-08-16 2002-02-21 Brewer Science, Inc.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s for color filter applications
KR100870020B1 (ko) * 2002-10-04 200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용해 특성을 조절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이층 구조의 패턴 형성 방법
JP3915789B2 (ja) * 2003-03-13 2007-05-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基板の製造方法
KR20110077881A (ko) * 2009-12-30 2011-07-07 제일모직주식회사 투명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인계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및 그 조성물
KR101293787B1 (ko) 2010-07-28 2013-08-06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351614B1 (ko) 2010-11-05 2014-02-17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 내스크래치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400193B1 (ko) * 2010-12-10 2014-05-28 제일모직 주식회사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KR101374360B1 (ko) 2010-12-14 2014-03-18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 내스크래치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20130002789A (ko) 2011-06-29 2013-01-08 제일모직주식회사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KR101674990B1 (ko) 2012-12-07 2016-11-10 제일모직 주식회사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4341A (ja) * 1981-09-28 1983-03-31 Fuji Photo Film Co Ltd 現像方法および現像液
KR880005486A (ko) * 1986-10-29 1988-06-29 빌리 베틀라우퍼, 쿠르트 오일러 네가티브-작용성 복사층용 현상액 혼합물
JPH01257847A (ja) * 1988-04-07 1989-10-13 Fuji Photo Film Co Ltd 水なしps版用現像液
JPH03198046A (ja) * 1989-12-27 1991-08-29 Konica Corp 着色画像形成材料用現像液
JPH05188602A (ja) * 1992-01-13 1993-07-30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形成方法
US5252436A (en) * 1989-12-15 1993-10-12 Basf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developing a positive-working photoresist containing poly(p-hydroxystyrene) and sulfonium salt with an aqueous developer containing basic organic compounds
JPH08101511A (ja) * 1994-09-30 1996-04-16 Hitachi Chem Co Ltd 現像液、これ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8684B2 (ja) * 1990-10-30 1997-11-17 日本化薬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ー用光重合性樹脂組成物
US5679485A (en) * 1993-03-31 1997-10-21 Nippon Zeon Co., Ltd. Photosensitive composition, photosensitive rubber plat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and flexographic plat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H07261017A (ja) * 1994-03-18 1995-10-13 Shinto Paint Co Ltd カラーフィルター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5650233A (en) * 1995-01-05 1997-07-22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Photo-setting colored filter composition, a color filter,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a curable resin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4341A (ja) * 1981-09-28 1983-03-31 Fuji Photo Film Co Ltd 現像方法および現像液
KR880005486A (ko) * 1986-10-29 1988-06-29 빌리 베틀라우퍼, 쿠르트 오일러 네가티브-작용성 복사층용 현상액 혼합물
JPH01257847A (ja) * 1988-04-07 1989-10-13 Fuji Photo Film Co Ltd 水なしps版用現像液
US5252436A (en) * 1989-12-15 1993-10-12 Basf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developing a positive-working photoresist containing poly(p-hydroxystyrene) and sulfonium salt with an aqueous developer containing basic organic compounds
JPH03198046A (ja) * 1989-12-27 1991-08-29 Konica Corp 着色画像形成材料用現像液
JPH05188602A (ja) * 1992-01-13 1993-07-30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形成方法
JPH08101511A (ja) * 1994-09-30 1996-04-16 Hitachi Chem Co Ltd 現像液、これ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134A (ko) 1996-10-24
TW406214B (en) 2000-09-21
US5827626A (en) 1998-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1962B1 (ko) 컬러필터의제조방법
JPH07319161A (ja) 着色画像形成材料を含む感光液、これを用いた感光性エレメント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法
JP3421424B2 (ja) 着色画像形成材料を含む感光液、これを用いた感光性エレメント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法
JP2001064519A (ja) 緑色樹脂組成物、感光性緑色樹脂組成物、緑色画像形成用感光液、着色画像の製造方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JPH11310714A (ja) 赤色樹脂組成物、感光性赤色樹脂組成物、赤色画像形成用感光液、着色画像の製造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法
JPH11310716A (ja) 緑色樹脂組成物、感光性緑色樹脂組成物、緑色画像形成用感光液、着色画像の製造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法
JPH07244377A (ja) 着色画像形成材料、これを用いた感光液、感光性エレメント、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
JPH11310715A (ja) 赤色樹脂組成物、感光性赤色樹脂組成物、赤色画像形成用感光液、着色画像の製造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法
JPH0915844A (ja) 着色画像形成用感光液、これ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
JPH11256053A (ja) 緑色樹脂組成物、感光性緑色樹脂組成物、緑色画像形成用感光液、着色画像の製造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法
JPH0915859A (ja) 着色画像形成用感光液、これ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
JPH08106163A (ja) 着色画像形成材料、これを用いた感光液、感光性エレメント、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
JPH08122517A (ja) 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
JP3421415B2 (ja) 着色画像形成材料、これを用いた感光液、感光性エレメント、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
JPH1048825A (ja) 着色画像形成用感光液、これ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
JPH10237326A (ja) 緑色樹脂組成物、感光性緑色樹脂組成物、緑色画像形成用感光液、着色画像の製造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法
JPH11258819A (ja) 現像液、着色画像の製造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法
JPH1172907A (ja) 着色画像形成用感光液、これ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
JP2003183511A (ja) 赤色樹脂組成物、感光性赤色樹脂組成物、赤色画像形成用感光液、赤色着色画像の製造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法
JPH10133010A (ja) 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
JP3865095B2 (ja) 着色樹脂組成物、着色画像形成材料、着色画像の製造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法
JP2000298334A (ja) 着色画像形成材料、着色画像形成用感光液、感光性エレメント、着色画像の製造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法
JP2004161826A (ja) 青緑色樹脂組成物、感光性青緑色樹脂組成物、青緑色画像形成用感光液、着色画像の製造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JPH0915845A (ja) 着色画像形成用感光液、これ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
JPH10207047A (ja) 着色画像形成用感光液、着色画像の製造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