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1275B1 - 언로더 코일 적치위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언로더 코일 적치위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1275B1
KR100411275B1 KR10-1999-0039619A KR19990039619A KR100411275B1 KR 100411275 B1 KR100411275 B1 KR 100411275B1 KR 19990039619 A KR19990039619 A KR 19990039619A KR 100411275 B1 KR100411275 B1 KR 100411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balance
position control
unload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9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7734A (ko
Inventor
정영술
권오철
김춘길
곽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9-0039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1275B1/ko
Publication of KR20010027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7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1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12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35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transporting ree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언로더 코일 적치위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센서(26,27,28,29), 포토센서(30,31) 및 리미트스위치(25)를 포함하는 센서부; 센서부를 통한 신호에 기초해서, 코일권취길이, 대차이동거리, 대차 현재위치값을 연산하고, 이에 기초해서 모터제어반(33)으로 대차 이동용 모터(11)를 정/역방향 구동을 제어하여 언로더의 코일적치 및 대차의 정확한 위치제어를 수행하며, 그리고 코일의 권취길이합이 언로더길이를 벗어나지 않으면 적치위치제어를 계속수행하고, 벗어나면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대차위치 제어부(32); 대차위치제어부(32)의 제어에 따라 해당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제어반(33); 훅크번호 인식장치(3)에서 인식한 훅크번호에 대한 정보를 대차위치제어부(32)로 제공하며, 상기 대차위치제어부(32)와 데이타통신을 수행하는 호스트 컴퓨터(34);를 구비하여, 선재코일 제품창고의 입측 코일 언로더의 대차 정지위치에서 코일의 권취길이(결속완료제품)를 측정하고, 대차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함으로서, 제품간 그리고 제품과 대차간의 충돌방지, 품질불량 및 제품코일 결속후프 터짐을 사전에 방지시킴과 동시에, 설비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언로더 코일 적치위치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COIL ACCUMULATIVE POSITION OF UNLOADER}
본 발명은 언로더 코일 적치위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재코일 제품창고의 입측 코일 언로더의 대차 정지위치에 코일의 권취길이(결속완료제품)를 측정하고, 대차위치를 제어함으로서, 제품간 그리고 제품과 대차간의 충돌방지, 품질불량 및 제품코일 결속후프 터짐을 사전에 방지시킴과 동시에, 설비수명을 연장시키도록 하는 언로더의 적치위치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재공정의 제품정정 라인에 있어서, 압연되어 훅크 컨베어로 이송된 코일을 검사,시험,결속,계량후 제품창고의 각 동으로 입고될 분기위치인 언로더에 도착되는 경우에, 운전자는 운전 데스크에서 대차 운전을 통해서 코일을 언로더에 순서대로 적치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와같은 선재공정의 제품정정라인에 압연된 코일을 언로더 적치위치 제어장치의 구성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도1을 참조하여 종래 언로더 코일 적치위치 제어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언로더 코일 적치위치 제어장치의 구성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언로더 코일 적치위치 제어장치는 언로더(13)와, 코일 이송용 대차(6)와,구동모터(12)와, 훅크 컨베어(2)와, 운전 데스크(14)와, 호스트 컴퓨터(15)와, 크레인 제어시스템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종래 언로더 코일 적치위치 제어장치의 동작은 코일이 C-훅크 이송용 컨베어(2)에 이송되어 C-훅크번호 인식장치(3)를 지나면 코일의 정보는 호스트 컴퓨터(15)를 통해 창고공정으로 송신된다. 이후 코일이 대차상부에 도착하면 운전자는 스위치 작동으로 C-훅크 정지용 클램프(5)를 온시켜 C-훅크 이송용 컨베어(2)와 C-훅크(4)를 분리시키고, 코일 이송용 대차(6)를 대차업/다운용 실린더(7)를 통해 업시킨 상태로 대차 이동용 모터(11)를 가동시켜 언로더(13)의 적정위치로 코일을 이송시킨다.
다음, 대차(6)를 대차업/다운용 실린더(7)를 통해 다운시킨 후 대차(6)를 후진시킴으로서 언로더(13)상에 제품 코일 1본의 적치를 완료하게 되며, 이와같이 운전자는 연속 반복적인 수동작업을 통해서 코일 적치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와같은 언로더 코일 적치위치 제어장치의 문제점으로는, 먼저 제품 창고 입고작업인 언로딩 작업시, 대차의 정확한 위치제어가 불가능하고 운전자의 조작특성이 각각 다르므로 언로더에 코일을 적치할 때 제품과 제품간의 충돌에 의한 손상으로 제품표면에 흠이 발생하며, 또한 대차와 제품, 대차와 스토퍼간의 추돌로 인하여 설비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뿐만아니라 제품 코일의 권취길이를 알 수 없으므로 창고내의 이적과 입출고 작업시의 권상,권하 적치작업의 표준화가 불가능하여 창고 무인화를 위한 자동제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재 제품 코일의 창고 입고작업인 언로더의 코일 적치 및 대차의 정확한 위치제어로 제품 충돌에 의한 표면 흠 발생방지와 설비사고를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권취된 길이 측정값으로 장래의 창고 무인화시 크레인 C-훅크 위치 자동제어에 적용하기 위한 언로더 코일 적치위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언로더 코일 적치위치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언로더 코일 적치위치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언로더 코일 적치위치 제어장치의 동작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2 : 길이측정 레이져센서 23 : 엔코더
24 : 대차업 검지리미트 스위치 25 : 대차다운 검지리미트 스위치
26 : 코일선단검출 빔센서 투광부 27 : 코일선단검출 빔센서 수광부
28 : 적치코일검출 빔센서 투광부 29 : 적치코일검출 빔센서 수광부
30 : 대차감속 제어용 포토센서 31 : 대차정지용 포토센서
32 : 대차위치제어부 33 : 모터 제어반
34 : 호스트 컴퓨터 A : 언로더길이
B : 코일선단검출 빔센서(26,27)에서 포토센서(31)까지의 거리
C : 레이져센서(22)에서 선단검출 빔센서(26,27)까지의 거리
D : 레이져센서(22)에서 제품코일(1)까지의 거리
E : 스토퍼(10)에서 코일선단검출 빔센서(26,27)까지의 거리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언로더 코일 적치위치 제어장치는 C-훅크의 번호를 인식하는 훅크번호 인식장치와, 코일이 대차상부 도착시 C-훅크와 컨베어를 분리시키는 클램프와, 대차 업/다운 실린더, 스토퍼와, 컨베어의 대차를 이동시키는 대차 이동용 모터 및 컨베어 구동모터, 언로더를 포함하는 언로더 코일 적치위치 제어장치에 있어서, 코일 선단부 및 코일권취길이를 포함하는 코일상태와, 대차현재위치를 포함하는 대차상태를 감지하는 포함하는 센서부; 센서부를 통한 신호에 기초해서, 코일권취길이, 대차이동거리, 대차 현재위치값을 연산하고, 이에 기초해서 모터제어반으로 대차 이동용 모터를 정/역방향 구동을 제어하여 언로더의 코일적치 및 대차의 정확한 위치제어를 수행하며, 그리고 코일의 권취길이합이 언로더길이를 벗어나지 않으면 적치위치제어를 계속수행하고, 벗어나면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대차위치 제어부; 대차위치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해당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제어반; 훅크번호 인식장치에서 인식한 훅크번호에 대한 정보를 대차위치제어부로 제공하며, 상기 대차위치제어부와 데이타통신을 수행하는 호스트 컴퓨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언로더 코일 적치위치 제어장치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언로더 코일 적치위치 제어장치의 구성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언로더 코일 적치위치 제어장치는 C-훅크(4)의 번호를 인식하는 훅크번호 인식장치(3)와, 코일(1)이 대차(6)상부 도착시 C-훅크(4)와 컨베어(2)를 분리시키는 클램프(5)와, 대차 업/다운 실린더(7), 스토퍼(10)와, 컨베어(2)의 대차(6)를 이동시키는 대차 이동용 모터(11) 및 컨베어 구동모터(12), 언로더(13)를 포함하고, 또한, 코일 선단부 및 코일권취길이를 포함하는 코일상태와, 대차현재위치를 포함하는 대차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센서부를 통한 신호에 기초해서, 코일권취길이, 대차이동거리, 대차 현재위치값을 연산하고, 이에 기초해서 모터제어반(33)으로 대차 이동용 모터(11)를 정/역방향 구동을 제어하여 언로더의 코일적치 및 대차의 정확한 위치제어를 수행하며, 그리고 코일의 권취길이합이 언로더길이를 벗어나지 않으면 적치위치제어를 계속수행하고, 벗어나면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대차위치 제어부(32)와, 대차위치제어부(32)의 제어에 따라 해당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제어반(33)과, 훅크번호 인식장치(3)에서 인식한 훅크번호에 대한 정보를 대차위치제어부(32)로 제공하며, 상기 대차위치제어부(32)와 데이타통신을 수행하는 호스트 컴퓨터(34)를 포함한다.
상기 언로더 코일 적치위치 제어장치의 센서부는 코일(1)의 선단부를 검출하는 코일선단 검출용 빔센서(26,27)와, 코일(1)의 길이를 측정하는 길이측정 레이져센서(22)와, 대차이동용 모터(11)의 구동에 따른 대차이동거리에 해당하는 펄스값을 출력하는 엔코더(23)와, 대차 업/다운 실린더(7)에 의한 대차(6)의 업/다운을 감지하는 대차 업/다운 검지스위치(24,25)와, 적치코일의 유무를 검출하는 적치코일 검출용 빔센서(28,29)와, 코일 이송용 대차(6)에 의한 진입코일을 검출하는 포토센서(30,3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대차위치 제어부(32)는 센서(26,27,28,29), 포토센서(30,31) 및 리미트스위치(25)로부터의 센서신호 및 온/오프신호를 입력받는 센서입력부(32-1)와, 모터(11)의 엔코더(23)로부터 펄스를 입력받는 펄스입력부(32-2)와, 실린더(7)로 업/다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출력부(32-4)와, 호스트컴퓨터(34)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처리부(32-5)와, 상기 센서입력부(32-1)를 통한 길이측정, 상기 모터제어반(33) 및 모터(11)를 통한 대차제어 및 설정, 상기 통신처리부(32-5)를 통한 상위 호스트 컴퓨터와 통신, 그리고 상기 센서입력부(32-1) 및 제어출력부(32-4)를 통한 센서 입출력의 제어를 관장하는 제어부(32-3)로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32-3)는 모터제어반(33)으로 대차 이동용 모터(11)를 정/역방향 구동을 제어하며, 빔센서(26,27)의 검출시, 레이져센서(22)의 측정값(D)으로 코일권취길이를 연산하고, 포토센서(30) 검출시 엔코더(23)의 펄스값으로 대차이동거리를 연산하며, 포토센서(31)와 리미트스위치(25)가 온된후 대차 현재위치값을 연산하며, 빔센서(28,29) 검출시 코일권취 길이합(C1+C2+...+Cn)이 언로더의 길이(A) 이내일때는 적치위치제어를 연속실시하고, 아니면 대차이동용 모터(11)를 정지시키고 데이타기억부의 버퍼값을 클리어시키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2-3)는 정방향 구동에서는 코일 선단부 검출용 빔센서(26,27) 검출까지는 정속(9.1V:1100RPM)으로 상기 모터제어반(33)을 통해 대차이동용 모터(11)를 기동시키고 언로더(13)에 제품적치 완료까지는 감속구동하며, 그리고, 역방향 구동에서는 정속 역방향구동에서 코일 이송용 대차(6)가 코일선단부 검출용 빔센서(26,27)를 온에서 오프시키는 시점부터 스토퍼(10)검출까지 역방향으로 감속구동되며, 대차이동용 모터(11)가 정,역방향으로 기동하고 있을 때 엔코더(23)에서 발생되는 펄스를 펄스입력부(32-2)를 통해 입력되어 연산된 이동거리와 언로더(13)길이등의 고정값(A,B,C,D,E)을 갖고 목표거리를 계산하여 대차(6)의 이동을 제어를 하며, 언로더 코일유무 검출용 빔센서(28,29)에서 제품코일이 검지되고 있을 때 적치된 제품코일의 권취길이를 더한 값이 언로더(13)의 길이(A)를 벗어나면 대차이송제어 및 적치제어를 정지시키고 언로더 코일 유무 검출용 빔센서(28,29)가 오프되면 제품 코일 권취길이측정과 대차이송제어를 재개시켜 연속 적치제어를 실시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서 관리되고 있는 제품코일의 권취길이값은 제품창고 무인화시 크레인의 출고,입고,이적작업시 크레인 C-훅크의 권상,권하 위치제어 값으로 활용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치에 따른 동작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컨베어 구동 모터(12)에 의해(감속 아날로그 출력 3.4V 정방향 신호) 컨베어는 계속 구동되면서 제품코일(1)이 C-훅크(4)에 걸려 이송되어 훅크번호 인식장치(3)를 통과하면 훅크에 걸린 코일(1)에 대한 정보가 호스트 컴퓨터(34)로 전송되어 제품창고로 송신되며 코일이 대차(6) 상부에 도착이 감지되면 클램프(5)를 동작시켜 컨베어(2)와 C-훅크(4)를 분리시켜 C-훅크(4)를 정지시킨다.
이때, 대차(6)의 업실린더(7)를 업 리미트 스위치(24)가 온되면 대차 스토퍼(10)위치에서 코일 선단부 검출용 빔센서(26,27)가 온되는 시점까지 대차 이동용 모터(11)를 감속구동시킨다. 여기서 모터구동지령은 모터 제어반(33)의 출력부로 아날로그 출력(전압 0∼10V)으로 구동 시작신호와 정역방향 신호, 모터 속도제어신호(정속 9.1V:1100RPM,감속3.3V:400RMP)에 따라 모터제어반(33)의 출력부에서 모터를 구동하며, 코일(1)의 선단부검출용 빔센서(26,27)가 온되면 길이측정용 레이져센서(22)에서 측정한 길이값(D)을 RS422 통신으로 대차위치제어부(32)의 통신처리부로 제품코일의 권취길이값(코일(1)권취길이=C-D)을 대차위치제어부(32)의 연산프로그램으로 제어부(32-3)에서 연산을 수행하여 데이타 기억부(미도시)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레이져센서(22)에서 측정한 코일의 권취길이 값을 송신함을 동시에 대차이동용모터(11)의 구동지령을 정방향,정속(9.1V)으로 구동시켜 언로더의 코일검지용 포토센서(30)가 온되면, 이때부터 엔코더(23)에서 출력되는 펄스값은 대차위치제어부(32)의 펄스입력부(32-2)를 통해 입력되는 펄스(100펄스/1mm)를 대차위치제어부(32)의 제어부(32-3)에서 연산하여 코일 이동용 대차(6)가 이동한 거리를 대차위치제어부(32)의 데이타 기억부에서 기억을 하며, 대차이동용 모터(11)를 정방향,감속(3.1V)으로 구동시키고 대차 업/다운용 실린더(7)를 다운시킨다.
첫 번째 코일은 포토센서(31)가 온되는 위치에서 대차 이동용 모터(11)를 정지시키고 코일 이송용 대차 업/다운용 실린더(7)를 오프시켜 대차 다운 검지 스위치(25)가 온되면 엔코더(23)에서 입력된 현재의 값(A-대차이동거리)을 대차위치제어부(32)의 제어부(32-3)와 데이타기억부에서 기억시키고, 첫 번째 제품 코일 1본의 언로더 적치 위치제어인 언로더 길이 A-C1(첫번재 코일권취길이)를 기억시킨후, 제어부(32-3)는 모터제어반(33)으로 대차이동용모터(11)를 역방향 신호와 정속(9.1V)으로 구동시켜 코일 이송용 대차(6)에 의해 진입 코일 검출 포토센서(30)가 온후 오프되면 모터제어를 가속(3.3V)시키고 대차 스토퍼(10)가 온되면 대차이동용 모터(11)를 정지시킨다.
두 번째 제품코일이 코일이송용 대차(6)상부에 도착되면, 상기 빔센서(26,27)검출까지는 첫 번째 코일 이송제어와 동일하며, 빔센서(26,27)검출후 레이져센서(22)에서 읽어 송신된 길이 C-D가 두 번째 코일의 권취길이 값(C2)으로 대차위치제어부(32)의 데이타 기억부에 기억되며, 대차이송 구동제어는 첫 번째 제품코일 이송과 동일하고 언로더상의 적치위치 제어계산은 B-(C1+C2)의 위치에서 대차제어를 정지시키고, 대차 스토퍼(10) 검출까지의 복귀 제어과정도 첫 번째 제품 코일 제어과정과 동일하며, 연속 적치된 코일의 권취길이(C1+C2+,,,+Cn)값이 A보다 크지 않아야 하며, 최종 적치될 코일(1)의 권취길이값을 더한 길이가 A와 같거나 크면 대차는 스토퍼(10) 검출위치에서 대차이동용 모터(11)를 정지시키고 대차상부에 진입된 C-훅크(4)는 컨베어(2)와 분리되게 클램프(5)를 온시킨다.
이와같이 언로더에 적치된 제품 코일을 창고 크레인에서 권상작업을 실시하며, 적치된 코일의 유무를 검출하는 빔센서(28,29)가 오프되면 권상작업이 완료된상태이므로 대차이동용 모터(11)를 기동시켜 대차 위치제어를 재개시켜 언로더의 제품 코일 적치위치 제어를 연속 실시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언로더 코일 적치위치 제어장치의 동작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먼저, 제1단계(31)에서는 코일(1)이 대차(6)상부에 도착하면 C-훅크(4)를 정지시킨후 코일(1)을 대차(6)에 상차한후, 대차업이 검출되면 대차(6) 이동용 모터(11)의 정방향 정속구동을 제어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품 코일(1)이 코일 이송용 대차(6)상부에 도착되면 클램프(5)를 동작시켜 컨베어(2)와 c-훅크(4)를 분리시켜 c-훅크(4)를 정지시키고 대차 업/다운용 실린더(7)를 업으로 기동시켜 제품코일을 코일 이송용 대차(6)에 싣는다. 이때 제품코일(1)은 C-훅크(4)와 분리되며 대차 업검지 리미트 스위치(24)가 온되면 대차 스토퍼(10)위치에서 빔센서(26,27)가 온될때까지 대차이동용 모터(11)를 감속(3.3V 400RPM) 구동시킨다.
제2단계(36,37)에서는 코일선단부 검출밤센서(26,27)가 온되면 레이져센서(22)의 측정값으로 코일권취길이(D)를 연산한후 기억시킴과 동시에 호스트컴퓨터(34)로 전송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코일 선단부 검출빔센서(26,27)가 온될 때 길이측정 레이져센서(22)까지의 고정값(C)-코일선단부 검출용 빔센서(26,27)에서 길이측정용 레이져센서(22)에서 읽어들인 값(D)이 제품코일의 권취된 길이값(대략 80cm∼2m)으로 대차위치제어부(32)에서 연산되어 결정되며 호스트 컴퓨터(34)로 전송되어 관리되어진다.
제3단계(38∼40)에서는 대차(6) 이동용 모터(11)의 정방향 정속구동중, 코일검출용 포토센서(30)가 온되면 엔코더(23)로부터의 펄스값에 기초해서 대차이동거리를 연산한후, 대차(6) 이동용 모터(11)의 감속구동을 제어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언로더의 코일 적치를 위한 대차 위치제어는 코일(1)의 권취길이측정과 동시에 언로더 코일 검출용 포토센서(30)가 온 될 때까지 대차이동용 모터(11)를 정방향 정속(9.1V 1100RPM)으로 구동시키고, 대차선단부에 의해 포토센서(30)가 온되면, 이때 엔코더(23)를 통해 대차위치제어부의 펄스입력부로 입력되는 펄스값(100펄스/1mm)으로 대차제어를 실시하며, 대차 업/다운용 실린더(7)를 다운시킨채 코일이송대차(6)는 대차이동용 모터(11)의 감속제어(3.1V 400RPM)로 기동시킨다.
제4단계(41∼43)에서는 대차정지검출용 포토센서(31)가 온되면 실린더(7)의 다운제어를 수행하여 대차다운 검출 리미트스위치(25)가 온되면 대차(6) 이동용 모터(11)의 정지를 제어한후 대차(6) 이동용 모터(11)의 역방향 정속구동을 제어하며, 이때 대차 현재위치값(A-코일길이값)을 연산하여 기억시키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품코일의 선단부에 포토센서(31)가 온되면 대차 이동용 모터(11)의 정방향 감속제어를 정지시키고, 대차 업/다운용 실린더(7)를 다운시켜 대차 다운검지 스위치가 온되면 대차위치제어부(32)의 제어부는 연산결과 즉 대차가 언로더(13)상에 정지한 대차의 현재 위치값(즉, A-코일 권취길이값)을 대차위치제어부의 데이타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제어부는 아날로그 출력부와 모터제어반(33)으로 대차 이동용 모터(11)를 역방향 신호와 정속(9.1V:1100RPM)으로 구동시킨다.
제5단계(44∼47)에서는 코일진입검출용 포토센서(30)가 오프되면 모터(11)의감속구동 제어하고, 대차 스토퍼(10) 검출센서가 온되면 모터(11)의 정지를 제어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송용대차(6)가 언로더 코일 진입검출용 포토센서(30)를 온/오프하면 모터제어를 감속(3.1)시키고 대차 스토퍼(10)가 온되면 대차이동용 모터(11)를 정지시킨다.
제6단계(48∼50)에서는 적치코일검출 빔센서(28,29)검출시, 코일의 권취길이의 합이 언로더의 길이(A)를 벗어나지 않으면(보다 크지 않으면) 제1단계로 진행하고, 벗어나면(크면) 적치된 코일유무를 계속적으로 판단하여 없으면 버퍼를 클리어시키고 처리과정을 처음으로 복귀(리턴)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연속으로 이송되어 오는 두 번째 제품코일(1)이 코일 이송용 대차(6)상부에 도착되어 길이측정 레이져센서(22)에서 제품코일의 권취길이 측정후 코일 이송용 대차(6)의 대차 이송 및 복귀의 구동제어는 앞의 제어와 같고 언로더(13)상의 적치위치 제어는 "A-(C1:첫번째 코일 권취길이+C2:두번재 코일 권취길이 측정값)"로 제어되며, 대차위치 제어부(32)의 제어로 연속 적치된 코일의 권치길이(C1+C2+...+Cn)값이 A보다 크지 않는지 비교하여 최종 적치될 코일의 권치길이 값을 더한값이 A의 길이 이내일때는 적치위치제어를 연속으로 실시한다.
이때, 언로더에 적치된 제품 코일의 길이가 A와 같거나 크면 코일 이송용 대차(6)는 스토퍼(10) 검출위치에서 대차이동용 모터(11)를 정지시키고 코일이송용 대차(6) 상부에 진입된 C-훅크(4)는 컨베어(2)와 분리되게 클램프(5)를 온시키고 언로더 코일 유무검출용 빔센서(28,29)가 오프될때까지 대차제어는 대기상태로 되고 대차위치제어부내 데이타기억부의 엔코더 펄스압력 버퍼값을 클리어시킨다.
상기, 언로더(13)에 적치된 제품코일을 창고 크레인에서 권장작업을 실시하며, 언로더(13)에 적치된 제품코일의 적치 유무를 검출하는 빔센서(28,29)가 오프되면 크레인 권상작업이 완료된 상태이므로 대차 이동용 모터(11)를 기동시키고 권취길이측정과 대차위치제어를 재개시켜 언로더의 제품코일 적치위치 제어를 연속적으로 실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품코일의 권취길이는 길이측정 레이져센서(22)에서 측정하여 대차위치제어부에서 연산하여 통신처리부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여 데이타 관리를 수행하여 제품창고 무인화시 크레인의 훅크 위치제어에 적용한다. 즉, 창고내의 이적,입고 출고작업등의 크레인 권상작업시 권상시킬 제품의 코일의 개수*제품 개별의 권취길이 측정값으로 크레인의 훅크 위치 X의 좌표값으로 적용코자 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정확한 선재 제품코일의 권취길이측정과 코일 이송용 대차의 위치 제어로 제품과 제품, 제품과 대차간의 충돌 손상을 없앰으로서 제품코일의 품질불량 발생과 제품코일 결속 후프 터짐 발생을 방지하고, 대차 충돌에서 오는 마모,파손등의 설비사고를 미연에 막음으로 설비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제품코일 권취길이 측정시 레이져센서를 이용함으로써 길이측정 오차가 없고 제어장치에서 직렬통신을 이용한 측정길이값의 직접 송신이 가능하며, 코일 권취길이값은 대차제어와 제품창고 무인화에 있어서 크레인의 권상작업시 위치제어값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그 구성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

Claims (3)

  1. 언로더 코일 적치위치 제어장치에 있어서,
    코일 선단부 및 코일권취길이를 포함하는 코일상태와, 대차현재위치를 포함하는 대차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통한 신호에 기초해서, 코일권취길이, 대차이동거리, 대차 현재위치값을 연산하고, 이에 기초해서 모터제어반(33)으로 대차 이동용 모터(11)를 정/역방향 구동을 제어하여 언로더의 코일적치 및 대차의 정확한 위치제어를 수행하며, 그리고 코일의 권취길이합이 언로더길이를 벗어나지 않으면 적치위치제어를 계속수행하고, 벗어나면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대차위치 제어부(32);
    상기 대차위치제어부(32)의 제어에 따라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제어반(33); 및
    상기 대차위치제어부(32)와 데이타통신을 수행하며, 훅크번호 인식장치(3)에서 인식한 훅크번호에 대한 정보를 대차위치제어부(32)로 제공하는 호스트 컴퓨터(34)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언로더 코일 적치위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코일(1)의 선단부를 검출하는 코일선단 검출용 빔센서(26,27)
    코일(1)의 길이를 측정하는 길이측정 레이져센서(22);
    대차이동용 모터(11)의 구동에 따른 대차이동거리에 해당하는 펄스값을 출력하는 엔코더(23);
    대차 업/다운 실린더(7)에 의한 대차(6)의 업/다운을 감지하는 대차 업/다운 검지스위치(24,25);
    적치코일의 유무를 검출하는 적치코일 검출용 빔센서(28,29);
    코일 이송용 대차(6)에 의한 진입코일을 검출하는 포토센서(30,31);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언로더 코일 적치위치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대차위치 제어부(32)는
    센서(26,27,28,29), 포토센서(30,31) 및 리미트스위치(25)로부터의 센서신호 및 온/오프신호를 입력받는 센서입력부(32-1);
    모터(11)의 엔코더(23)로부터 펄스를 입력받는 펄스입력부(32-2);
    실린더(7)로 업/다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출력부(32-4);
    호스트컴퓨터(34)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처리부(32-5);
    길이측정, 대차제어 및 설정, 상위 호스트 컴퓨터와 통신, 그리고 센서 입출력의 제어를 관장하는 제어부(32-3);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언로더 코일 적치위치 제어장치.
KR10-1999-0039619A 1999-09-15 1999-09-15 언로더 코일 적치위치 제어장치 KR100411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619A KR100411275B1 (ko) 1999-09-15 1999-09-15 언로더 코일 적치위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619A KR100411275B1 (ko) 1999-09-15 1999-09-15 언로더 코일 적치위치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734A KR20010027734A (ko) 2001-04-06
KR100411275B1 true KR100411275B1 (ko) 2003-12-18

Family

ID=19611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9619A KR100411275B1 (ko) 1999-09-15 1999-09-15 언로더 코일 적치위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127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74614A (zh) * 2012-10-26 2013-03-20 武汉钢铁(集团)公司 一种热轧平整机上卷控制装置及自动上卷控制方法
KR101384130B1 (ko) 2012-07-24 2014-04-10 주식회사 포스코 무인 크레인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17314B1 (ko) 2012-08-08 2014-07-08 주식회사 포스코 재질 편차 개선을 위한 권취 코일의 적치 구조
KR101418371B1 (ko) * 2012-06-25 2014-07-14 주식회사 포스코 무인 크레인 충돌 방지 장치 및 그 충돌 방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439B1 (ko) * 2008-01-31 2009-10-13 주식회사 포스콘 선재코일 삽입길이 산출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5229A (en) * 1980-07-24 1982-02-10 Aida Eng Ltd Device for positioning leading end of coil material
JPS57132708U (ko) * 1981-02-12 1982-08-18
JPS57136516A (en) * 1981-01-06 1982-08-23 Sigma Tau Ind Farmaceuti Medicine for l-carnitine deficiency
JPH0211461A (ja) * 1988-06-29 1990-01-16 Komatsu Ltd 無人荷役作業車両の荷取装置および荷取方法
JPH0433719A (ja) * 1990-05-30 1992-02-05 Kawasaki Steel Corp コイルカー上におけるコイルの転倒防止方法および装置
KR950016926A (ko) * 1993-12-18 1995-07-20 조말수 대차관리 및 코일이송 자동화 제어방법
KR20000015008A (ko) * 1998-08-26 2000-03-15 이구택 선재코일 언로더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5229A (en) * 1980-07-24 1982-02-10 Aida Eng Ltd Device for positioning leading end of coil material
JPS57136516A (en) * 1981-01-06 1982-08-23 Sigma Tau Ind Farmaceuti Medicine for l-carnitine deficiency
JPS57132708U (ko) * 1981-02-12 1982-08-18
JPH0211461A (ja) * 1988-06-29 1990-01-16 Komatsu Ltd 無人荷役作業車両の荷取装置および荷取方法
JPH0433719A (ja) * 1990-05-30 1992-02-05 Kawasaki Steel Corp コイルカー上におけるコイルの転倒防止方法および装置
KR950016926A (ko) * 1993-12-18 1995-07-20 조말수 대차관리 및 코일이송 자동화 제어방법
KR20000015008A (ko) * 1998-08-26 2000-03-15 이구택 선재코일 언로더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371B1 (ko) * 2012-06-25 2014-07-14 주식회사 포스코 무인 크레인 충돌 방지 장치 및 그 충돌 방지 방법
KR101384130B1 (ko) 2012-07-24 2014-04-10 주식회사 포스코 무인 크레인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17314B1 (ko) 2012-08-08 2014-07-08 주식회사 포스코 재질 편차 개선을 위한 권취 코일의 적치 구조
CN102974614A (zh) * 2012-10-26 2013-03-20 武汉钢铁(集团)公司 一种热轧平整机上卷控制装置及自动上卷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734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3142A (en) Pallet handling adjustable conveyor
US20030015489A1 (en) Cra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rane
US9218636B1 (en) Light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9463962B2 (en) Dynamic sensor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0411275B1 (ko) 언로더 코일 적치위치 제어장치
JP2906836B2 (ja) スタッカクレーン
KR101321167B1 (ko) 샤시 정렬 시스템
JPH0840567A (ja) 車輛への荷物の自動積込み装置
CN108945925B (zh) 一种铝合金圆铸锭智能储运系统
CN113428064B (zh) 停车控制方法及运输车
JPS6156158B2 (ko)
JPH0818649B2 (ja) 建築工事用資機材の搬送装置
KR19990038062U (ko) 무인 반송차
JPS6025341B2 (ja) コイル用自動倉庫
KR100699079B1 (ko) 픽업 크레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픽업크레인 장치
CA2925566A1 (en) Dynamic sensor system and method
JP2541431B2 (ja) スタッカクレ―ン
JPH06199404A (ja) スタッカクレーン
JP4437931B2 (ja) 自動倉庫
CN117658013A (zh) 一种大型粮仓清理设备用升降台车的控制方法
JPS6044202B2 (ja) 搬送用移動体の移動停止制御装置
KR100483326B1 (ko) 이너라이너 권취 및 이송 시스템
JPH02233405A (ja) 自動倉庫
CN116177408A (zh) 一种智能精矿库起重机控制系统及方法
CN114538283A (zh) 一种钢卷吊运定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