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1006B1 - 케이블 단선점검장치의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단선점검장치의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1006B1
KR100411006B1 KR10-2001-0042592A KR20010042592A KR100411006B1 KR 100411006 B1 KR100411006 B1 KR 100411006B1 KR 20010042592 A KR20010042592 A KR 20010042592A KR 100411006 B1 KR100411006 B1 KR 100411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heck
terminal
line
dis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6712A (ko
Inventor
최영제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2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1006B1/ko
Publication of KR20030006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1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10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8Testing of lines, cables or condu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G01R31/68Testing of releasable connections, e.g. of terminal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 G01R31/69Testing of releasable connections, e.g. of terminal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of terminals at the end of a cable or a wire harness; of plugs; of sockets, e.g. wall sockets or power sockets in applian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단선점검장치의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테스터기를 통한 케이블의 단선점검은 케이블의 양단에 점검봉을 각각 접촉시켜야 하므로, 그 점검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보조장치몸체(10)에 접속구를 마련하여 케이블(2)의 양단과 점검봉(3)이 보조장치몸체(10)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고, 이 보조장치몸체(10)에 점검봉(3)과 케이블(2) 양단의 각 단자에 연결되는 라인을 형성하여 로터리 스위치 조작을 통해 라인을 단속함으로써 케이블(2)의 단선상태를 점검하도록 한 것이다.
즉, 케이블양단의 +단자를 연결하는 라인과 -단자를 연결하는 라인과 +단자와 -단자를 연결하는 라인을 마련하고 이 각 라인이 로터리스위치를 통해 단속되도록 하여 각 단계별로의 단선점검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간단한 스위치조작으로 케이블의 단선점검이 수행되고, 작업자의 손이 자유로우므로 케이블을 흔들어 가며 더욱 확실한 단선점검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단선점검장치의 보조장치{The supplementary device for cable- short-che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케이블 단선점검장치의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선점검장치의 점검봉과 케이블 양단의 각 단자에 매개되어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케이블의 단선유무를 점검하게 하는 케이블 단선점검장치의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각종 기기 특히 차량을 예로 들면 엔진과 트랜스미션의 전자제어를 위해 차량의 각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센서류가 장착된다.
이를 위해 컨트롤유니트와 센서류는 케이블로 연결되어 센서류의 송출신호가 컨트롤유니트로 입력되며, 센서류와 케이블의 손상은 제어수행에 큰 오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특히, 차량에 있어 상기 센서류와 케이블의 손상은 컨트롤유니트의 엔진제어나 트랜스미션제어에 오류를 발생시키며 이러한 이유로 차량의 컨트롤유니트 등에는 별도의 다이아그노시스 시스템이 구비되어 센서류의 오작동을 사용자나 정비자에게 고지시키고, 안전모드로의 변환을 수행하여 정비소로 운행할 정도의 차량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센서류의 오작동은 센서자체의 손상과 케이블의 불량으로 인한 센서신호송출의 불량으로 크게 구분되며, 센서신호송출 불량을 점검하기 위해 케이블의 단락유무를 검사하게 된다.
이를 위해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도 1 에 도시된 테스터기이며, 케이블 양단의 각 단자간에 저항을 측정하여 케이블의 단락유무를 점검하게 된다.
상기 테스터기는 점검대상체의 전류와 전압 및 저항을 측정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저항측정을 통하여 케이블의 단선유무를 점검하므로, 상기 테스터기는 이하 단선점검장치라 칭한다.
이러한 단선점검장치(1)를 통한 케이블(2)의 단락유무의 점검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저항측정모드상태에서 단선점검장치(1)의 점검봉(3)을 통해 케이블(2)의 단선유무를 점검하며, 최소한 3단계를 거치게 된다.
첫째, 케이블(2) 양단의 +단자를 접속하여 저항이 0에 가까우면 +통전라인은 정상이며, 저항이 무한대에 가까우면 단선상태이다.
둘째, 케이블(2) 양단의 -단자를 접속하여 저항이 0에 가까우면 -통전라인은 정상이며, 저항이 무한대에 가까우면 단선상태이다.
셋째, 케이블(2) 양단의 +단자와 -단자를 접속하여 저항이 무한대에 가까우면 정상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 케이블의 +통전라인과 -통전라인은 합선된 상태이며, 독립된 점검이므로 상기 단계별의 순서는 뒤바뀌어도 상관없다.
그런데, 이러한 케이블(2)의 단선점검은 케이블의 양단에 점검봉(3)을 각각 접촉시켜야 하므로, 그 점검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케이블(2)의 단자 노출부위가 적음을 감안할 때 각 단계별로 케이블 양단의 단자에 점검봉(3)을 접촉시켜야 하는 점검봉 사용이 매우 번거로울 뿐더러, 정확한 단선점검을 위해 케이블을 흔드는 경우, 예를 들어 케이블 양단의 +단자와 점검봉을 접속시킨 상태로 케이블을 흔들면서 +통전라인의 단선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단선점검장치의 점검봉과 케이블 양단의 각 단자에 매개되어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케이블의 단선유무를 점검하게 하는 케이블 단선점검장치의 보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보조장치몸체에 접속구를 마련하여 케이블의 양단과 점검봉이 보조장치몸체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고, 이 보조장치몸체에 점검봉과 케이블 양단의 각 단자에 연결되는 라인을 형성하여 로터리 스위치 조작을 통해 라인을 단속함으로써 케이블의 단선상태를 점검하도록 한 것이다.
즉, 케이블양단의 +단자를 연결하는 라인과 -단자를 연결하는 라인과 +단자와 -단자를 연결하는 라인을 마련하고 이 각 라인이 로터리스위치를 통해 단속되도록 하여 각 단계별로의 단선점검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간단한 스위치조작으로 케이블의 단선점검이 수행되고, 작업자의 손이 자유로우므로 케이블을 흔들어 가며 더욱 확실한 단선점검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단선점검장치를 이용한 케이블의 단선점검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장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장치를 통한 케이블의 단선점검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단선점검장치, 2 - 케이블,
3 - 점검봉, 10 - 보조장치몸체,
12 - 점검봉접속구, 14 - 케이블접속구,
16 - +점검라인, 18 - -점검라인,
20 - 합선점검라인, 22 - 점검라인,
24 - 스위치부,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단선점검보조장치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본 발명은 보조장치몸체(10)가 마련되어 이 보조장치몸체(10)에 단선점검장치의 점검봉(3)이 결합되어 접속되는 점검봉접속구(12)와 케이블(2) 양단이 결합되어 각 +단자와 -단자가 접속되는 케이블접속구(1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접속구(14)의 각 단자 사이에는 +단자와 +단자를 연결하는 +점검라인(16)과 -단자와 -단자를 연결하는 -점검라인(18)과 +단자와 -단자를 연결하는 합선점검라인(20)이 마련되고 상기 점검봉접속구(12)의 상기 점검봉(3)과 상기 +점검라인(16)과 -점검라인(18) 및 합선점검라인(20)을 연결하는 점검라인(2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점검라인(22)과 연결되는 +점검라인(16), -점검라인(18) 및 합선점검라인(20)은 이 점검라인(22)과 어느 한 라인의 각 단자와 접속되면 나머지 라인이 단락되는 스위치부(24)가 매개되어진 케이블 단선점검장치의 보조장치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선점검장치를 보조하여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케이블의 단선유무를 확인하는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보조장치몸체(10)에 접속구를 마련하여 케이블(2)의 양단과 점검봉(3)이 보조장치몸체(10)에 결합되도록 하고, 이 보조장치몸체(10)에 점검봉(3)과 케이블(2) 양단의 각 단자에 연결되는 라인을 형성하여 스위치 조작을 통해 라인을 단속함으로써 케이블(2)의 단선상태를 점검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접속구는 점검봉접속구(12)와 케이블접속구(14)로 구분되어 각각 보조장치몸체(10)에 설치되며, 케이블접속구(14)는 케이블(2) 양단이 각각 연결되게 1조로 마련되어 진다.
상기 점검봉접속구(12)와 케이블접속구(14)에는 각각의 단자와 연결되어지는 라인이 형성되며, 점검봉접속구(12)로부터의 점검라인(22)과 케이블접속구(14)로부터의 라인이 연결된다.
여기서, 케이블접속구(14)로부터의 라인은 상술된 3단계의 점검을 위해 케이블(2) 양단의 +단자를 연결하는 +점검라인(16)과 -단자를 연결하는 -점검라인(18) 및 +단자와 -단자를 연결하는 합선점검라인(20)으로 구분되어진다.
이러한 케이블접속구(14)로부터의 라인과 점검봉접속구(12)의 점검라인(의 연결에 스위치부(24)가 매개되어져 어느 하나의 라인과 점검봉(3)이 접속됨으로써, 각 라인별로의 점검이 가능해지며, 도시된 스위치부(14)는 로터리스위치이다.
즉, 로터리스위치에 의해 어느 하나의 라인과 점검봉(3)이 접속되면 다른 두개의 라인은 단락되어져 본 발명의 보조장치에 의해 케이블(2) 단선점검이 간단히 수행되는 것이다.
이를 도 3 에 의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3a 는 스위치부(24)가 +점검라인(16)과 점검라인(22)을 접속시키고 있는 것을 나타내며, 이에 의해 케이블 +단자간의 단선상태가 점검된다.
즉, 저항이 0에 가까우면 정상이고 무한대에 가깝게 되면 케이블(2)이 단선상태임을 점검할 수 있고, 또한 점검봉(3)과 케이블(2)이 접속구에 끼워져 있는 상태이므로, 케이블(2)의 통전상태가 정상상태이더라도 케이블을 흔들어 보면서 그 단선유무의 점검이 용이하게 된다.
도 3b 는 스위치부(24)가 -점검라인(18)과 점검라인(22)을 접속시키고 있는 것을 나타내며, 이에 의해 케이블 -단자간의 단선상태가 점검된다.
즉, 저항이 0에 가까우면 정상이고 무한대에 가깝게 되면 케이블(2)이 단선상태임을 점검할 수 있게 된다.
도 3c 는 스위치부(14)가 합선점검라인(20)과 점검라인(22)을 접속시키고 있는 것을 나타내며, 이에 의해 케이블 +단자와 -단자간의 합선상태가 점검된다.
즉, 저항이 무한대에 가깝게 되면 정상이고 0에 가깝게 되면 케이블(2)이 단선된 상태임이 점검되며, 이 역시 케이블(2)과 점검봉(3)이 각 접속구에 끼워져 있는 상태이므로, 케이블이 정상이더라도 흔들어 보면서 케이블 합선여부의 점검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로터리스위치를 돌려가며 케이블 단선상태의 점검이 용이하며, 단선점검장치의 점검봉(3)과 케이블(2)의 양단이 각각 점검봉접속구(12)와 케이블접속구(14)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작업자의 손이 자유롭게 되므로, 케이블(2)을 흔들어 가면서 확실한 단선상태의 점검이 수행되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장치의 각 접속구에 점검장치의 점검봉과 케이블의 양단을 끼워 결합하고 로터리 스위치를 조작하여 케이블의 단선상태의 점검이 수행됨으로써, 케이블 단선상태의 점검이 용이하고 정확한 케이블의 단선점검이 수행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보조장치몸체(10)가 마련되어 이 보조장치몸체(10)에 단선점검장치의 점검봉(3)이 결합되어 접속되는 점검봉접속구(12)와 케이블(2) 양단이 결합되어 각 +단자와 -단자가 접속되는 케이블접속구(14)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접속구(14)의 각 단자 사이에는 +단자와 +단자를 연결하는 +점검라인(16)과 -단자와 -단자를 연결하는 -점검라인(18)과 +단자와 -단자를 연결하는 합선점검라인(20)이 마련되며 상기 점검봉접속구(12)의 상기 점검봉(3)과 상기 +점검라인(16)과 -점검라인(18) 및 합선점검라인(20)을 연결하는 점검라인(22)이 형성되는 한편, 점검라인(22)과 연결되는 +점검라인(16), -점검라인(18) 및 합선점검라인(20)은 이 점검라인(22)과 어느 한 라인의 각 단자와 접속되면 나머지 라인이 단락되는 스위치부(24)가 매개되어진 케이블 단선점검장치의 보조장치.
KR10-2001-0042592A 2001-07-14 2001-07-14 케이블 단선점검장치의 보조장치 KR100411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592A KR100411006B1 (ko) 2001-07-14 2001-07-14 케이블 단선점검장치의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592A KR100411006B1 (ko) 2001-07-14 2001-07-14 케이블 단선점검장치의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712A KR20030006712A (ko) 2003-01-23
KR100411006B1 true KR100411006B1 (ko) 2003-12-12

Family

ID=27715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592A KR100411006B1 (ko) 2001-07-14 2001-07-14 케이블 단선점검장치의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10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808B1 (ko) * 2010-08-31 2012-05-11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조립체의 통전 검사 장치
WO2020017675A1 (ko) * 2018-07-18 2020-01-23 주식회사 엔쓰컴퍼니 케이블 단선을 판단할 수 있는 대여용 배터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886Y1 (ko) * 1993-04-19 1999-04-01 이대원 케이블 단선/단락 검사장치
KR100251802B1 (ko) * 1994-12-13 2000-04-15 밍루 케이블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886Y1 (ko) * 1993-04-19 1999-04-01 이대원 케이블 단선/단락 검사장치
KR100251802B1 (ko) * 1994-12-13 2000-04-15 밍루 케이블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712A (ko) 200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705032A (ko) AC전원 유출구 접지 특성 및 전기선 검사회로 장치(AC Power Outlet Ground Integrity and Wire Test Circuit Device)
JP2010536641A (ja) 接続部品の接続を監視する監視装置
KR100411006B1 (ko) 케이블 단선점검장치의 보조장치
KR100518995B1 (ko) 전기회로장치
CN210526306U (zh) 高压互锁检测电路及电动汽车
JPH10341524A (ja) 車載用信号伝送装置と信号伝送方法及び車載用電力供給制御装置と電力制御方法及び車載ケーブル異常検出装置
JPS6061892A (ja) 信号伝送方法および装置
JP2974060B2 (ja) ケーブル接続ミス検出システム及びその使用方法並びにこのシステムに使用する接続ケーブル
CN1126197C (zh) 保证盲自动对接电气连接的完整性的装置和方法
KR100251802B1 (ko) 케이블 검사장치
JP4081972B2 (ja) 電源制御用スレーブ装置および制御盤内の電源制御システム
JP2009130774A (ja) 異常検知システム
JP2010111295A (ja) 車載用通信線の異常診断装置
CN219831345U (zh) 线缆自动检测电路和线缆自动检测装置
JPH085695A (ja) ケーブルの電気試験装置
KR100310408B1 (ko) 감지 장치내 자체 이상점검 장치
JP3124196B2 (ja) 故障検出機能付きスイッチ回路
KR100508590B1 (ko) 통신시스템의 메인보드와 노드간 링크의 이상유무검출장치 및그 방법
KR200248257Y1 (ko) 시험단자장치의 커버 결합구조
JP2002133996A (ja) 漏電警報機能付き配線用遮断器
KR970006948B1 (ko) 전전자교환기의 불량 상위레벨버스케이블 판정장치
KR100476676B1 (ko) 광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커넥터의 고장상태 점검장치
KR100293426B1 (ko) 가스개폐기의 자기진단장치
JPH08105924A (ja) センサの動作確認方法
JPH013042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