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948B1 - 전전자교환기의 불량 상위레벨버스케이블 판정장치 - Google Patents

전전자교환기의 불량 상위레벨버스케이블 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948B1
KR970006948B1 KR1019940025674A KR19940025674A KR970006948B1 KR 970006948 B1 KR970006948 B1 KR 970006948B1 KR 1019940025674 A KR1019940025674 A KR 1019940025674A KR 19940025674 A KR19940025674 A KR 19940025674A KR 970006948 B1 KR970006948 B1 KR 970006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cable
connector
processor
detector
conne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5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6358A (ko
Inventor
박영병
Original Assignee
대우통신 주식회사
박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통신 주식회사, 박성규 filed Critical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25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948B1/ko
Publication of KR960016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9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6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means for applying test signals or for measuring
    • H04M3/28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8Indicating faults in circuits or apparatus
    • H04M3/10Providing fault- or trouble-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20Testing circuits or apparatus; Circuits or apparatus for detecting,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or trou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전전자교환기의 불량 상위레벨버스케이블 판정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판정장치로 상위레벨버스케이블의 불량여부를 판정하는 모양을 도시하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교환기의 불량 상위레벨버스케이블 판정장치의 상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l8 : 상위레벨프로세서 20, 22 : 컨넥터
24, 26 : 데이타신호검출기 28 : 데이타신호비교기
30 : 비교결과표시기 32 : 전원공급용건전지
본 발명은 전전자교환기의 상위레벨프로세서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상위레벨버스케이블의 불량여부를 판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전자교환기의 하드웨어구조는 제어계와 통화로계로 분류된다. 제어계는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분산 제어구조를 가지는데, 기능수행의 효율성면으로 볼때, 시스템 차원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위레벨프로세서(Top-level processo
r )와, 실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호처리기능등과 같은 시스템 차원이 아닌 하위레벨프료세서(peripheral processor)로 구성된다. 이때, 프로세서간의 통신은 상위레벨프로세서간에는 상위레벨버스로, 하위레벨프로세서는 하위레벨버스를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전자교환기의 전반적인 기능이 수행된다.
통상적으로, 전전자교환기의 상위레벨버스케이블은 케이블내부의 전송로가 이중화로 분리되어 내부의 단선 및 단락으로 데이타 신호 전송이 안되는 경우, 이중화 되어 있는 다른 전송로로 데이타를 전송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상위레벨버스케이블은 상위레벨프로세서들의 시스템적 기능의 중요성으로 인해 그것의 불량여부의 판정이 항상 요구된다.
종래의 판정장치는 시험대상 상위레벨버스케이블을 운용중인 교환기에서 탈장하여 상위레벨버스케이블의 일단에서 신호를 송신하고 타단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으로 상위레벨버스케이블의 불량여부를 판정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장치로 상위그룹버스케이블의 불량여부를 판정할 때에는 운용중인 교환기의 처리중인 모든 서어비스가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장치는 단순히 케이블의 단선만을 검출함으로써 실제 검출되어야 하는 데이타전송의 이상유무는 판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전자교환기의 상위레벨프로세서들을 다운시키지 않으면서 상위레벨버스케이블의 불량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용자가 상위레벨버스케이블의 불량여부를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상위레벨 프로세서들을 가지며, 상기 프로세서들 중에서 프로세서A와 프로세서B간의 신호교환용 버스케이블이 존재하되, 상기 프로세서A와 상기 버스케이블간은 컨넥터A로, 상기 프로세서B와 상기 버스케이블은 컨넥터B로 연결되는 전전자교환기에서 상기 버스케이블의 불량여부를 시험하기 위한것으로서, 상기 컨넥터A에 접속되는제1컨넥터와, 상기 컨넥터B에 접속되는 제2컨넥터와, 상기 제1컨넥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제1검출기와, 상기 제2컨넥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제2검출기와, 상기 제1검출기와 상기 제2검출기에 접속되며, 상기 두개의 검출기로부터 입력되는 두개의 검출신호의 동일여부를 비교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에 연결되며, 상기 비교기로부터 입력되는 비교결과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전전자교환기의 불량 상위레벨버스케이블 판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판정장치에 의한 상위레벨버스케이블의 불량여부 판정방법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에는 전전자교환기내의 상위레벨프로세서(10), (12), (14), (16) 및 (18)와, 이들간의 통신을 위한 상위레벨버스케이블 및 상위레벨버스케이블을 본 발명에 따른 판정장치로 시험할 수 있는 구간(시험구간A, B 및 C)이 표시되어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위레벨버스케이블의 양단은 콘넥터가 연결되어 있으며, 그 양단의 컨넥터를 각각의 상위레벨프로세서에 연결함으로써 상위레벨프로세서간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위레벨버스케이블 컨넥터의 구조는 상위레벨프로세서의 백보드에 실장된 상태에서 같은 종류의 또다른 콘넥터가 실장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위레벨프로세서(10∼18)중에서, 예를 들어, 시험구간A에 해당하는 운영 및 유지보수(OMP) 프로세서 (10)와 스위치네트워크제어 및 번호번역(SNP) 프로세서(12)간의 상위레벨버스케이블을 본 발명의 판정장치로 불량여부를 판정할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시험장치에 연결된 두개의 컨넥터(제2도에서 상술됨)중 하나를 OMP프로세서(10) 백보드의 상위레벨버스케이블의 컨넥터에 연결하고, 또다른 하나를 SNP프로세서(12) 백보드의 상위레벨버스케이블의 컨넥터에 연결하여 두 프로세서간의 상위레벨버스케이블의 불량여부를 판정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교환기의 불량 상위레벨버스케이블 판정장치를 도시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에는 두개의 컨넥터, 즉 제1컨넥터(20) 및 제2컨넥터(22)가 표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상위레벨버스케이블의 양단의 컨넥터와 연결을 하기 위한 것이다. 제1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위레벨버스케이블 컨넥터 구조는 상위레벨프로세서 백보드에 실장된 상태에서 같은 종류의 또 다른 컨넥터가 실장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상위레벨버스케이블 컨넥터에 본 발명의 판정장치의 컨넥터(20), (22)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판정장치가 제1도에 도시된 시험구간A에서 사용될 경우, 제1컨넥터(20)는 OMP프로세서(10)에 연결된 상위레벨버스케이블의 컨넥더와, 제2컨넥터(22)는 SNP프로세서(12)에 연결된 상위레벨버스케이블의 컨넥터와 접속될 것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제1컨넥터(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는 제1데이타신호검출기(24)로 입력된다. 그리고 제2컨넥터(2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는 제2데이타신호검출기(26)로 입력된다. 각각의 데이타신호검출기는 각각의 컨넥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 신호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판정장치가 제1도에 도시된 시험구간A에서 사용되고, OMP프로세서(10)가 SNP프로세서(12)로 데이타신호를 송신할 경우, 제1데이타신호 검출기(24)는 OMP프로세서가(10)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검출하고 제2데이타신호검출기(26)는 SNP프로세서(12)가 수신하는 신호를 검출하게 된다.
제1데이타신호검출기(24) 및 제2데이타신호검출기(26)에서 검출된 각각의 데이타신호는 데이타신호비교기(28)로 입력된다. 데이타신호비교기(28)는 제1데이타신호검출기(24) 및 제2데이타신호검출기(26)에서 검출된 두개의 데이타신호의 동일여부를 비교함으로써 상위레벨버스케이블이 불량인지를 판정한다. 즉, 두개의 검출된 데이타신호가 동일하면 상위레벨버스케이블은 정상으로,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불량으로 판정된다.
데이타신호비교기(28)로부터 출력되는 상위레벨버스케이블의 불량여부판정신호는 비교결과 표시기(30)으로 입력된다. 비교결과표시기(30)는 불량여부판정신호에 응답하여 운용자가 쉽게 판정결과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비교결과를 두개의 램프 즉, 정상표시램프 및 불량표시램프를 사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전원공급용건전지(32)는 본 발명의 판정장치의 이동의 편리성을 위해서 내부에 충전지를 사용하여 제1데이타신호검출기(24), 제2데이타신호검출기(26), 데이타신호비교기(28) 및 비교결과표시기(30)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스템 운용중인 상태에서도 T버스 케이블의 불량 상태를 점검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적어도 2개 이상의 상위레벨 프로세서들을 가지며, 상기 프로세서들 중에서 프로세서A와 프로세서B간의 신호교환용 버스케이블이 존재하되, 상기 프로세서A와 상기 버스케이블간은 컨넥터A로, 상기 프로세서B와 상기 버스케이블은 컨넥터B로 연결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 상기 버스케이블의 불량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A에 접속되는 제1컨넥터와, 상기 컨넥터B에 접속되는 제2컨넥터와, 상기 제1컨넥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제1검출기와, 상기 제2컨넥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제2검출기와, 상기 제1검출기와 상기 제2검출기에 접속되며, 상기 두개의 검출기로부터 입력되는 두개의 검출신호의 동일여부를 비교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전전자교환기의 불량 상위레벨버스게이블 판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에 연결되며, 상기 비교기로부터 입력되는 비교결과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전자교환기의 불량 상위레벨버스케이블 판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검출기, 상기 제2검출기 및 상기 비교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용 건전지를 더 포함하는 전전자교환기의 불량 상위레벨버스케이블 판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싱기 표시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용 건전지를 더 포함하는 전전자교환기의 불량 상위레벨버스케이블 판정장치.
KR1019940025674A 1994-10-07 1994-10-07 전전자교환기의 불량 상위레벨버스케이블 판정장치 KR970006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674A KR970006948B1 (ko) 1994-10-07 1994-10-07 전전자교환기의 불량 상위레벨버스케이블 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674A KR970006948B1 (ko) 1994-10-07 1994-10-07 전전자교환기의 불량 상위레벨버스케이블 판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358A KR960016358A (ko) 1996-05-22
KR970006948B1 true KR970006948B1 (ko) 1997-04-30

Family

ID=19394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5674A KR970006948B1 (ko) 1994-10-07 1994-10-07 전전자교환기의 불량 상위레벨버스케이블 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94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358A (ko) 199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034388A (zh) 一种线束自动检测系统及检测方法
US2006008797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redundancy protection in a Y-cable-based signal transmitter arrangement
KR970006948B1 (ko) 전전자교환기의 불량 상위레벨버스케이블 판정장치
JPS608964A (ja) インタフエ−ス検査装置
KR100250660B1 (ko) 프로세서간 통신 경로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이중화 장치
JPH09298509A (ja) 光線路監視システム
KR0168230B1 (ko) 개선된 시분할 교환기 가입자 시험장치
JPH0213095A (ja) データ経路検査装置及び方法
KR0140302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패킷 통합시험장치 및 방법
KR100351060B1 (ko) 피씨 기반 입출력 카드의 고장진단 시스템 구조에서의 고장진단 시험신호 발생방법
KR100247423B1 (ko) 입출력 포트 시험 방법
KR0160805B1 (ko) 광 케이블 티브이 시스템의 고장위치 추적을 위한 현장 시험용 광접속장치
JP2907075B2 (ja) ケーブル布線接続監視方式
KR20000066429A (ko) 공간 스위치 보드 상태 점검 방법
KR19990060610A (ko) 교환시스템에서의 통신용 디바이스 온라인 상태 체크방법
KR100259795B1 (ko) 버스형 단말기의 자기진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0245400B1 (ko) 동기식 전송방식의 이중화된 버스 구조에서의 장애감지 및 보고 제어장치
CN111679377A (zh) 光纤对接设备
JPH04280314A (ja) 信号出力装置
CN116359633A (zh) 轨道交通信号机故障监测系统和方法
JPH01146276A (ja) 信号伝送用ケーブルの接続確認方法
CN110609244A (zh) 一种多电源故障检测模块半自动校对装置
KR20000032200A (ko) 직렬통신시스템 점검회로
JPH0419983A (ja) ケーブルコネクタの接続回路
KR20030006712A (ko) 케이블 단선점검장치의 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