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8360B1 - 창문용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창문용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8360B1
KR100408360B1 KR10-2001-0010798A KR20010010798A KR100408360B1 KR 100408360 B1 KR100408360 B1 KR 100408360B1 KR 20010010798 A KR20010010798 A KR 20010010798A KR 100408360 B1 KR100408360 B1 KR 100408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support
guide
window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0610A (ko
Inventor
이장우
이기원
경명수
추교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01-0010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8360B1/ko
Priority to JP2002051740A priority patent/JP2002303075A/ja
Priority to GB0204916A priority patent/GB2374384B/en
Priority to CN02106491A priority patent/CN1374432A/zh
Publication of KR20020070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0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8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83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05D15/4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with pivoted arms and vertically-slid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3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two or more pivoted rods
    • E05C17/3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two or more pivoted rods with means for holding in more than one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양측 가장자리에 내측으로 개구된 제 1,2안내홈(12,14)이 각각 형성되도록 절곡된 제 1,2지지단(16,18)이 형성된 가이드 레일(10); 상기 제 1안내홈(12)에 삽입되는 끼움단(22)이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2지지단(18)이 삽입되도록 지지홈(24)이 형성되며, 상기 제 2안내홈(14)에 삽입되도록 이동단(26)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24)의 입구측에는 지지돌기(28)가 돌출 형성된 슬라이더(20); 상기 슬라이더(20)의 일단에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제 1링크(30); 상기 제 1링크(30)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 레일(10)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 2링크(4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더(20)가 가이드 레일(10)의 제 1,2안내홈(12,14)에 지지되면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됨으로, 하중의 분산지지가 가능하게 되고, 화재시 보강편(29)에 의해 창문이 창틀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되며, 슬라이더(20)의 지지돌기(28)가 제 2지지단(18)의 외측면에 지지되고, 조임볼트(50)에 의해 슬라이더(20)의 유격이 조절됨으로 슬라이더(20)의 유동이 방지되고, 창문의 여닫는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작동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창문용 개폐장치{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WINDOW}
본 발명은 창문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창틀에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과 그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이동하는 슬라이더가 보다 안정되게 결합되어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더의 결합부위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지지할 수 있고, 슬라이더의 마모에 의한 헐거워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창문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더를 구비한 개폐장치는 창문을 외측으로 밀거나 당겨 여닫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창틀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와 가이드 레일에 각각 힌지 결합되고 일측은 창문에 고정되는 각각의 링크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창문용 개폐장치는 본원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1999-18791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창문용 개폐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도시되지 않음)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1)의 일측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안내홈(1-1)에 슬라이더(2)의 이동단(2-1)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2)의 타단에는 창문(도시되지 않음)에 힌지 결합된 링크(3)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며, 상기 링크(3)는 도시되지 않은 다른링크와 힌지 결합되고, 도시되지 않은 상기 링크는 상기 가이드 레일(1)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창문을 여닫을 경우에 상기 링크(3)를 통하여 전달되는 하중은 상기 슬라이더(2)로 집중되고 있었고, 상기 슬라이더(2)의 이동단(2-1)만이 가이드 레일(1)의 안내홈(1-1)에 삽입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더(2)로 전달된 하중이 상기 이동단(2-1)과 안내홈(1-1)에 집중되고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창문의 하중이 이동단(2-1)과 가이드 레일(1)에 집중됨으로써, 장기간 사용시 상기 이동단(2-1)이나 절곡 형성된 안내홈(1-1)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창문용 개폐장치는 슬라이더(2)가 가이드 레일(1)과의 마찰로 인하여 마모될 경우에 유격이 발생되어 소음을 유발시키거나 정확한 작동이 곤란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상기 슬라이더(2)에 금속재로 이루어진 조임볼트(도시되지 않음)를 슬라이더(2)의 상면으로부터 체결함으로써 다소 해소될 수 있었으나, 이 경우에는 상기 조임볼트가 금속재로 이루어진 관계로 금속재로 된 가이드 레일(1)과 마찰시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조임볼트를 슬라이더(2)의 상면으로부터 체결하게 됨으로 창문의 잦은 개폐시 진동으로 인하여 조임볼트가 슬라이더(2)로부터 풀리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창틀에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과 이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창문을 여닫을 때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된 슬라이더의 결합구조를 창문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변경함으로써, 가이드 레일은 물론 슬라이더 및 각종 관련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창문용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슬라이더의 내부에 금속재인 보강편을 끼워 슬라이더 자체의 강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화재시 외부의 합성수지재가 녹는다 하더라도 금속재인 보강편이 그대로 남아 창문이 창틀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창문용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어 이동하도록 된 슬라이더가 마모되어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더 사이에 유격이 발생할 경우에, 슬라이더와 사이드 레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유격에 의한 소음과 슬라이더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링크와 슬라이더가 창문의 여닫는 동작에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창문용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창문용 개폐장치를 도시한 일부확대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창문용 개폐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더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더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4b는 도 4a의 X-X선 단면도이며, 4c는 도 4a의 Z-Z선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창문용 개폐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 B-B, C-C선 단면도.
도 7a,7b,7c는 본 발명에 의한 창문용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이드 레일 12,14 : 제 1,2안내홈
15 : 슬라이더 스톱퍼 16,18 : 제 1,2지지단
17 : 안내돌기 20 : 슬라이더
22 : 끼움단 24 : 지지홈
25 : 안내홈 26 : 이동단
27 : 링크 스톱퍼 28 : 지지돌기
29 : 보강편 30 : 제 1링크
40 : 제 2링크 50 : 조임볼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문용 개폐장치에 있어서, 양측 가장자리에 내측으로 개구된 제 1안내홈과 제 2안내홈이 각각 형성되도록 서로 대향되게 절곡된 제 1지지단과 제 2지지단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레일; 상기 제 1안내홈에 삽입되어 지지되면서 이동되는 끼움단이 일단부에 형성되고, 타측 저면에는 상기 제 2지지단이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지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홈의 외측으로는 상기 제 2안내홈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이동단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의 입구측에는 상기 제 2지지단의 외측면에 접촉되면서 지지되는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된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에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제 1링크; 상기 제 1링크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 2링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제 1,2지지단 사이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제 1,2안내홈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라이더 스톱퍼가 돌설되고, 상기 제 1,2지지단 사이의 타측에는 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저면에는 상기 안내돌기가 삽입되어 제 2안내홈으로부터 벗어나는 슬라이더를 일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위치 안내홈이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더에는 내경 하부가 확개되어 단이진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공에는 하부가 단이지게 형성되고 상단부에 조임홈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가이드 레일의 상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밀착돌기가 돌설된 조임볼트가 상기 나사공의 저부로부터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더의 상면에는 상기 제 1링크의 회동을 제어하는 링크 스톱퍼가 돌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내부에는 금속재인 보강편이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창문용 개폐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더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며,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더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4b는 도 4a의 X-X선 단면도이며, 도 4c는 도 4a의 Z-Z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창문용 개폐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A-A, B-B, C-C선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개폐장치는 양측 가장자리에 제 1,2안내홈(12,14)이 각각 형성된 가이드 레일(10)과, 상기 가이드 레일(10)의 제 1,2안내홈(12,14)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슬라이더(20)와, 상기 슬라이더(20)와 가이드 레일(10) 및 창문(도시되지 않음)을 연결하도록 된 제 1,2링크(30,40)로 구성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가이드 레일(10)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구간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 1,2지지단(16,18)이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제 1,2지지단(16,18)은 각각 내측으로 개구된 제 1,2안내홈(12,14)이 형성되도록 절곡되며, 이러한 제 1,2안내홈(12,14)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구될 뿐만 아니라 길이방향으로도 개구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기 제 1,2지지단(16,18) 사이의 일측에는 슬라이더 스톱퍼(15)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더 스톱퍼(15)는 상기 슬라이더(20)가 창문의 개방동작에 의해 제 1,2안내홈(12,14)로부터 일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2지지단(16,18) 사이의 타측에는 원형의 안내돌기(17)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돌기(17)는 창문을 닫을 경우에 상기 슬라이더(20)가 제 2안내홈(14) 또는 제 2지지단(18)으로부터 이탈된 후에 제 1안내홈(14) 또는 제 1지지단(16)으로부터는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슬라이더(20)는 도 2 내지 도 4a,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에 상기 제 1안내홈(12)에 삽입되어 지지되면서 이동되는 끼움단(22)이 형성되고, 타측 저면에는 상기 제 2지지단(18)이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지지홈(24)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홈(24)의 외측으로는 상기 제 2안내홈(14)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이동단(26)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24)의 입구측에는 상기 제 2지지단(18)의 외측면에 접촉되면서 지지되는 지지돌기(28)가 돌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끼움단(22)은 제 1지지단(16)의 절곡에 의해 형성된 제 1안내홈(12)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움 설치되도록 형성된 것이고, 상기 지지홈(24)은 장방형의 사각홈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지지홈(24)은 상기 제 2지지단(18)이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이 개구됨은 물론,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제 2안내홈(14)에 삽입되는 이동단(26)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 2지지단(18) 및 제 2안내홈(14)과 지지홈(24) 및 이동단(26)은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홈(24)의 일측(도 7b 참조)은 만곡지게 형성되어 그 입구가 확개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 2지지단(18) 또는 이동단(26)이 지지홈(24) 또는 제 2안내홈(14)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20)의 상면에는 상기 제 1링크(30)가 가이드 레일(10)과 일직선이 되었을 때 더 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링크 스톱퍼(27)가 돌설된다. 이러한 링크 스톱퍼(27)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상을 갖는데 이는 상기 제 1링크(30)의 회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저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20)의 저면에는 상기 안내돌기(17)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안내홈(25)이 형성되는데, 상기 안내홈(25)은 그 저면에 단이지게 형성된 구조를 갖으며, 저부와 일측으로 개구되며 입구가 내측보다 확개되고 전체적으로 만곡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홈(25)은 창문이 닫혀 상기 슬라이더(20)가 제 2지지단(18)과 제 2안내홈(14)으로부터 벗어났을 때, 상기 끼움단(22)이 제 1안내홈(12)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슬라이더(20)를 일측으로 회동시켜 안내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20)에는 내경 하부가 확개되어 단이진 나사공(21)이 형성된다. 이러한 나사공(21)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경 상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하부는 단이지게 확개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나사공(21)에는 외주면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나사공(21)의 단이진 확개부에 안착되도록 환형의 단턱부가 형성되며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조임나사(50)가 저부로부터 체결된다. 즉, 4c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체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나사공(21)에 그 저부로부터 체결된 조임나사(50)는 환형의 단턱부가 나사공(21)의 확개부에 안착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20)가 가이드 레일(10)에 결합되면 상기 조임나사(50)의 저면에 돌설된 밀착돌기(54)는 가이드 레일(10)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조임나사(50)는 슬라이더(20)의 상면에서 조이거나 푸는 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나사공(21)을 통하여 노출된 조임나사(50)의 조임홈(52)에 "-"형 드라이버를 끼워 조임나사(50)를 조여 밀착돌기(54)가 가이드 레일(10)의 상면에 밀착되거나, 조임나사(50)를 풀어 밀착돌기(54)를 가이드 레일(1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조임나사(50)의 단턱부가 가이드 레일(10)의 상면과 나사공(21)의 확개부 사이에 위치하게 됨으로 상기 조임나사(50)는 풀림이 발생하더라도 슬라이더(2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고, 상기 조임나사(50)가 합성수지재로 형성됨으로 가이드 레일(10)과 마찰되더라도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20)는 조임나사(50)가 저부로부터 체결된 후에 가이드 레일(10)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 1링크(30)는 일단이 슬라이더(2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제 2링크(40)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 2링크(40)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 레일(10)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 1,2링크(30,40)의 힌지 결합은 도 6a,6b,6c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6a는 제 2링크(40)와 가이드 레일(10)이 힌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잇고, 도 6b는 제 1링크(30)와 제 2링크(40)가 힌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6c는 제 1링크(30)와 슬라이더(20)가 힌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결합부위에는 원활한 작동은 물론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와셔 및 부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는 창문이 닫힘으로 인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10)과 슬라이더(20) 및 제 1,2링크(30,40)가 서로 일직선상에 겹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끼움단(22)의 일부가 제 1안내홈(1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상기 이동단(26)이 제 2안내홈(14)에서 이탈되고 제 2지지단(18)이 지지홈(24)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이며, 도 7a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돌기(17)가 안내홈(25)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창문을 개방하게 되면, 창문에 힌지 결합된 제 1링크(30)가 펼쳐지게 되고, 이때 상기 제 1링크(30)가 위치고정된 제 2링크(40)에 힌지 결합된 관계로 상기 슬라이더(20)는 상기 안내돌기(17)를 축으로 하여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10)과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20)가 안내돌기(17)를 축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끼움단(22)은 상기 제 1안내홈(12) 깊숙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 2지지단(18)과 지지홈(24)이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제 2지지단(18)이 지지홈(24)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이동단(26)이 상기 제 2안내홈(14)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 2지지단(18) 및 제 2안내홈(14)으로부터 이탈되었던 슬라이더(20)가 창문의 열림으로 안내돌기(17)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다시 상기 제 2지지단(18) 및 제 2안내홈(14)과 결합될 수 있는 것은, 상기 지지홈(24)의 일측입구가 확개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타측 입구에 비하여 넓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20)가 안내돌기(17)를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2안내홈(14)에 이동단(26)이 삽입되고, 상기 제 2지지단(18)이 지지홈(24)에 삽입된 상태에서 창문의 열림이 더욱 진행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더(20)는 상기 가이드 레일(10)과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지지홈(24)의 입구측에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28)가 상기 제 2지지단(18)의 외측면에 접촉되고, 상기 안내돌기(17)는 상기 안내홈(25)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그 입구과 일직선이 된다.
이어서, 창문의 열림이 계속 진행되면, 상기 슬라이더(20)는 상기 제 1,2안내홈(12,14)에 안내되어 상기 슬라이더 스톱퍼(27)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끼움단(22)이 제 1안내홈(12)에 삽입되고, 상기 제 2지지단(18)은 지지홈(24)에 삽입되며 상기 이동단(26)은 제 2안내홈(14)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돌기(28)가 제 2지지단(24)의 외측면에 접촉된 상태가 됨으로 상기 슬라이더(20)는 유동없이 안정되게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더(20)의 양측이 상기 가이드 레일(10)에 지지되기 때문에 창문의 무게에 의해 전달되는 하중이 분산되어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
이어서, 창문이 계속하여 열리게 되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20)의 일측면이 상기 가이드 레일(10)에 형성된 슬라이더 스톱퍼(15)에 접촉되면서 더 이상 이동하지 않게 됨으로 창문의 열림이 정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창문을 닫게 되면, 상기 슬라이더(20)는 전술한 열림 작동과는 반대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홈(25)에 안내돌기(17)가 삽입된다. 상기 안내돌기(17)가 안내홈(2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20)가 계속하여 이동하게 되면, 상기 안내돌기(17)는 안내홈(25)에 안내되어 상기 슬라이더(20)를 최초 회동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어서, 상기 슬라이더(20)가 회동하게 되면, 상기 제 2지지단(18)이 지지홈(24)에서 이탈하게 되고 이동단(26)이 제 2안내홈(14)에서 이탈하게 되며, 창문의 닫힘이 계속하여 진행하게 되면, 상기 안내돌기(17)가 상기 안내홈(25)의 내측에 위치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제 1링크(30)의 일측면이 상기 슬라이더(20)의 상면에 형성된 링크 스톱퍼(27)에 접촉되어 창문의 닫힘은 정지되고 도 7a에 도시딘 바와 같이 슬라이더(20)와 제 1,2링크(30,40)가 가이드 레일(10)과 일직선이 된다. 즉, 접힌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동으로 슬라이더(20)가 가이드 레일(10)에서 창문의 개폐 작동으로 인하여 왕복운동을 하게 되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슬라이더(20)의 마모가 진행되게 되어, 상기 제 1안내홈(12)과 끼움단(22) 및 제 2안내홈(14)과 이동단(26), 제 2지지단(18)과 지지홈(24)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20)의 마모가 진행되어 유격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더(20)의 나사공(21) 상부로 노출된 조임나사(50)의 조임홈(52)에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결합시켜 조임나사(50)를 조인다.
상기 조임나사(50)를 조이게 되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나사(50)의 저면에 돌설된 각각의 밀착돌기(54)가 가이드 레일(10)의 상면에 밀착되고, 따라서 조임나사(50)의 조임정도에 따라서 슬라이더(50)와 가이드 레일(10) 사이의 유격은 해소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임나사(5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밀착돌기(54)가 가이드 레일(10)에 밀착되어 마찰이 일어나더라도 소음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슬라이더(20)의 내부에 금속재로 된 보강편(29)이 설치되면, 화재발생시 합성수지재로 된 슬라이더(20)가 녹더라도 금속재가 남게 됨으로 창문은 창틀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되어 2차적인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창문용 개폐장치는 슬라이더가 가이드 레일의 제 1,2안내홈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됨으로, 하중의 분산지지가 가능하게 되고, 보강편에 의해 슬라이더의 강성이 향상되며, 화재시 외부의 합성수지재가 녹는다 하더라도 금속재인 보강편이 그대로 남아 창문이 창틀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의 끼움단과 이동단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제 1,2안내홈에 각각 삽입되고 제 2지지단이 지지홈에 삽입되며 지지돌기가 제 2지지단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지지됨으로 슬라이더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창문의 여닫는 동작이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더와 가이드 레일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더라도 조임나사에 의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고, 상기 조임나사는 슬라이더의 저부로부터 체결됨으로 잦은 작동에 의해 풀림이 발생하더라도 슬라이더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양측 가장자리에 내측으로 개구된 제 1안내홈(12)과 제 2안내홈(14)이 각각 형성되도록 서로 대향되게 절곡된 제 1지지단(16)과 제 2지지단(18)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면 양측에는 슬라이더 스토퍼(15)와 안내돌기(17)가 각각 돌출 형성된 가이드 레일(10);
    상기 제 1안내홈(12)에 삽입되는 끼움단(22)이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 2안내홈(14)에 삽입되는 이동단(26)이 타단 저면에 형성되는 지지홈(24)에 형성되며, 상면 일측에는 하부가 확개되어 단이진 나사공(21)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공(21)에는 하부가 단이지게 형성되고 상단부에 조임홈(52)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가이드 레일(10)의 상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밀착돌기(54)가 돌설되고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조임볼트(50)가 상기 나사공(21)의 저부로부터 체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10)에 결합되는 슬라이더(20);
    상기 슬라이더(20)의 일단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는 제 1링크(30);
    상기 제 1링크(30)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 레일(10)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 2링크(40);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20)의 지지홈(24)의 입구측에는 상기 제 2지지단(18)의 외측면에 접촉되면서 지지되는 지지돌기(28)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20)의 상면에는 상기 제 1링크(30)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한 링크 스톱퍼(27)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20)의 내부에는 금속재인 보강편(29)이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개폐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01-0010798A 2001-03-02 2001-03-02 창문용 개폐장치 KR100408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798A KR100408360B1 (ko) 2001-03-02 2001-03-02 창문용 개폐장치
JP2002051740A JP2002303075A (ja) 2001-03-02 2002-02-27 窓の開閉装置
GB0204916A GB2374384B (en) 2001-03-02 2002-03-01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a window
CN02106491A CN1374432A (zh) 2001-03-02 2002-03-04 窗的开关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798A KR100408360B1 (ko) 2001-03-02 2001-03-02 창문용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610A KR20020070610A (ko) 2002-09-10
KR100408360B1 true KR100408360B1 (ko) 2003-12-06

Family

ID=19706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798A KR100408360B1 (ko) 2001-03-02 2001-03-02 창문용 개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2303075A (ko)
KR (1) KR100408360B1 (ko)
CN (1) CN1374432A (ko)
GB (1) GB23743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98958C (zh) * 2003-04-06 2007-02-07 乐清市力兴塑窗配件有限公司 推拉式门窗传动锁
GB0309817D0 (en) * 2003-04-30 2003-06-04 Cotswold Architect Prod Sliders for stays
KR101043377B1 (ko) 2009-05-04 2011-06-21 노승환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CN102647874A (zh) * 2012-05-09 2012-08-22 江苏辉能达电气有限公司 一种动态定位连锁装置
JP5941392B2 (ja) * 2012-10-12 2016-06-29 Ykk Ap株式会社 窓用ステー及び辷り出し窓
CN109750923A (zh) * 2019-03-15 2019-05-14 陕西晨恒工贸有限公司 一种内倒平移窗用双级变轨组件
CN114075899A (zh) * 2020-08-18 2022-02-22 罗建豪 欧标槽转宽槽铰链配件及通用滑撑铰链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8806A (ja) * 1999-03-03 2000-09-12 Ykk Corp 辷り出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52336A (en) * 1956-12-04 1960-10-26 James Wheeldon & Son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inges
GB2081804B (en) * 1980-08-08 1984-07-11 Securistyle Ltd Improvements in friction supporting stays for windows
DE3122770C2 (de) * 1981-06-09 1985-03-14 Kernforschungsanlage Jülich GmbH, 5170 Jülich Einrichtung zur Erzeugung eines Brennstoff-Luft-Gemisches durch Verdunsten von Brennstoff in vorgewärmte Verbrennungsluft
FR2554860B1 (fr) * 1983-11-10 1988-04-29 Bezault Sa Dispositif perfectionne de ferrage pour chassis ouvrant a l'italienne
SG52254A1 (en) * 1993-08-20 1998-09-28 Securistyle Ltd A slid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8806A (ja) * 1999-03-03 2000-09-12 Ykk Corp 辷り出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74384B (en) 2003-03-12
KR20020070610A (ko) 2002-09-10
JP2002303075A (ja) 2002-10-18
GB0204916D0 (en) 2002-04-17
GB2374384A (en) 2002-10-16
CN1374432A (zh) 2002-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542B1 (ko) 힌지 및 그 부품
US6928697B2 (en) Hinge
KR100408360B1 (ko) 창문용 개폐장치
US20110078957A1 (en) Bearing site for a redirecting element
CA2180217C (en) Flexible draw latch
JPS58191878A (ja) トルク・ロッド調整装置
US4064590A (en) Top guide pivot for bifold doors
CA2190439C (en) Window hinge shoe
US20070101653A1 (en) Hinge assembly for casement windows
KR100191930B1 (ko) 창문용 슬라이더
JPH09279963A (ja) シャッター付サッシ
KR200325021Y1 (ko) 텐션롤러
KR102499100B1 (ko)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
KR20040100075A (ko)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 롤러암 구조
KR100449969B1 (ko) 차량용 도어 지지 버튼
KR200339341Y1 (ko) 도어경첩
KR101197547B1 (ko) 장력조절기능을 가지는 개폐조절장치
KR19980055663U (ko) 강화유리문용 플로어힌지의 지지장치
KR200370407Y1 (ko) 하우스용 개폐기의 지지장치
KR200267339Y1 (ko) 플로어 힌지 조립체
KR200413272Y1 (ko) 싱크대용 경첩
KR200253950Y1 (ko) 가구용 힌지조립체 장착구조
KR100410890B1 (ko) 승용차의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KR920002154Y1 (ko) 경 첩
CA2311605C (en) Window hi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