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100B1 -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 - Google Patents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100B1
KR102499100B1 KR1020210067068A KR20210067068A KR102499100B1 KR 102499100 B1 KR102499100 B1 KR 102499100B1 KR 1020210067068 A KR1020210067068 A KR 1020210067068A KR 20210067068 A KR20210067068 A KR 20210067068A KR 102499100 B1 KR102499100 B1 KR 102499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guide
fixing plate
fixing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9115A (ko
Inventor
안광현
Original Assignee
안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광현 filed Critical 안광현
Priority to KR1020210067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100B1/ko
Publication of KR20220159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76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the hinge having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힌지축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가구도어에 고정되는 회동판;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측에 결합되고 상기 가구벽체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에는 상기 고정판의 고정 위치를 안내하는 고정가이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 {Furniture hinges with guides}
본 발명은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판의 고정위치를 안내할 수 있으므로 시공 품질 및 시공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용 경첩은 장롱이나 싱크대를 포함한 각종 가구의 도어개폐수단으로 이용되는 철구조물로서, 이 가구용 경첩은 가구도어의 개폐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이나 유동을 최소화함은 물론 가구도어의 위치 세팅 시 발생하는 편리성 및 작업성을 향상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여기서, 상기 가구용 경첩은, 상기 가구벽체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가구도어에 고정되는 회동판을 포함하며, 특히 상기 가구용 경첩의 몸체부에 볼트 또는 걸림후크를 통해 상기 고정판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몸체부의 위치를 가변하여 상기 가구도어의 개폐위치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가구용 경첩(100)은,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일단부에 힌지축(135)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가구도어(D)에 고정되는 회동판(120) 및;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측에 결합되어 상기 가구벽체(B)에 고정되는 고정판(13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0)는 고정볼트(132)가 체결되는 이동공(112) 및 장력볼트(134)가 체결되는 장력공(114)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130)은 상기 고정볼트(132)가 체결되는 볼트공(136) 및 상기 장력볼트(134)가 체결되는 체결공(138)이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의 양측 날개부에는 체결스크류를 통해 고정판을 가구벽체에 고정할 수 있는 장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구도어(D)를 세팅하려는 경우, 상기 고정볼트를 이용해 상기 고정판에 대한 몸체부의 제1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가구도어의 전후 위치를 셋팅하고, 상기 장력볼트를 이용해 상기 고정판에 대한 몸체부의 제2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가구도어의 좌우 위치를 셋팅하며, 상기 체결스크류를 이용해 상기 가구벽체에 대한 고정판의 제3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가구도어의 상하 위치를 셋팅함으로써, 상기 가구도어(D)의 위치조절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즉, 가구용 경첩은 고정판의 고정위치가 가구도어의 회동개폐를 위한 기준 지지점이 되므로 고정판의 위치 선정이 매우 중요하지만, 종래에는 가구벽체상에서 작업자가 선정한 임의의 위치에 고정판을 고정하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시공 품질이 좌우되는 문제가 있고, 고정판 고정 이후 고정판과 회동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위치조절작업을 통해 복수의 가구용 경첩들의 밸런스를 맞추어야만 하므로 시공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으며, 가구도어의 개폐를 위해 복수 설치되는 가구용 경첩들이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지 않는 경우 어느 하나의 경첩의 힌지축에 부하가 걸려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가구도어의 전후 위치 조절은 몸체부에 형성된 이동공의 길이 내에서 이루어지는데, 작업자가 고정판을 가구벽체의 단부에 너무 근접한 위치 또는 너무 먼 위치에 고정한 경우, 가구벽체에서 고정판을 분리한 후 재시공을 해야 하고, 이러한 반복시공과정에서 가구벽체에 불필요하게 스크류홀이 다수 형성되므로 시공품질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1268912호 (2013년05월29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구도어의 회동개폐를 안내하기 위해 복수 설치되는 경첩들의 고정판을 각각 가구벽체의 단부로부터 일정하게 이격된 위치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복수 설치된 경첩들 간의 밸런스를 조절하기 위한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가구도어의 회동개폐를 안내하기 위해 복수 설치되는 경첩들의 고정판을 각각 가구벽체의 단부와 직교하도록 설치할 수 있으므로 일부 경첩의 힌지축에 부하가 발생하여 경첩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힌지축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가구도어에 고정되는 회동판;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측에 결합되고 상기 가구벽체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에는 상기 고정판의 고정 위치를 안내하는 고정가이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가이드는 상기 고정판의 상기 가구벽체의 단부를 향하는 전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암 및 상기 가이드암의 일측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가구벽체의 단부면에 밀착하는 걸림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암과 걸림턱부는 복수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가이드는 상기 고정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가이드는 상기 고정판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고정판이 가구벽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고정판의 후단부에 형성된 홈부로 삽입될 수 있는 결합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가이드암의 타측 단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구도어의 회동개폐를 안내하기 위해 복수 설치되는 경첩들의 고정판을 각각 가구벽체의 단부로부터 일정하게 이격된 위치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복수 설치된 경첩들 간의 밸런스를 조절하기 위한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이 제공된다.
또한, 가구도어의 회동개폐를 안내하기 위해 복수 설치되는 경첩들의 고정판을 각각 가구벽체의 단부와 직교하도록 설치할 수 있으므로 일부 경첩의 힌지축에 부하가 발생하여 경첩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구용 경첩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구용 경첩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의 분해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은 몸체부(10), 회동판(20), 고정판(30) 및 고정가이드(4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0)는 제1볼트(B1)가 관통하는 장공 형태의 제1이동공(11) 및 제2볼트(B2)가 체결되는 제1체결공(1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이동공의 연장방향은 몸체부(10)의 길이방향, 즉 제1방향(전후 방향)으로 설정된다.
상기 회동판(20)은 상기 몸체부(10)의 일단부에 힌지축(H)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가구도어(FD)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판(30)은 상기 몸체부(10)의 하부측에 결합되고 상기 가구벽체(FW)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볼트(B1)가 제2방향(좌우 방향)으로 체결되는 제2체결공(31) 및 상기 제2볼트(B2)가 상기 제1이동공(11)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는 제2이동공(32)이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30)의 양측 날개부(33)에는 고정판(30)을 가구벽체(FW)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스크류(S)가 관통하는 제3이동공(34)이 형성되며, 상기 제3이동공(34)은 제3방향(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볼트(B1)를 이용해 상기 고정판(30)에 대한 몸체부(10)의 제1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가구도어(FD)의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제2볼트(B2)를 이용해 상기 고정판(30)에 대한 몸체부(10)의 제2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가구도어(FD)의 좌우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체결스크류(S)를 이용해 상기 가구벽체(FW)에 대한 고정판(30)의 제3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가구도어(FD)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고정가이드(40)는 상기 고정판(30)의 고정 위치를 안내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고정판(30)의 상기 가구벽체(FW)의 단부를 향하는 전단부(front end)으로부터 가구벽체(FW)의 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가이드암(41), 상기 가이드암(41)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가구벽체(FW)의 단부면에 밀착하는 걸림턱부(42)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가이드(40)는 상기 고정판(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암(41)의 길이는 상기 걸림턱부(42)에 의해 안내되는 고정판(30)의 제1방향 위치가 안내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암(41)은 고정판(30) 복수 마련되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복수의 가이드암(41)의 단부에 마련된 걸림턱부(42)가 가구벽체(FW)의 단부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판(30)의 설치 위치를 안내하므로, 고정판(30)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가이드(40)를 상기 몸체부(10)와 회동판(20)이 샤프트 형태의 힌지축(H)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싱크대 경첩'에 적용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가이드(40)를 복수의 링크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장롱 경첩'에 적용하거나, 이 외에도 벽체에 도어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다양한 형태의 경첩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구용 경첩을 구성하는 회동판(20)은 힌지축(H)을 통해 몸체부(1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고정판(30)은 제1볼트(B1) 및 제2볼트(B2)를 통해 몸체부(10)에 대하여 제1,2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가구용 경첩은 상기 고정판(30)이 가구벽체(FW)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회동판(20)이 가구도어(FD)에 고정되어 가구도어(FD)의 회동 개폐를 안내한다.
가구도어(FD)는 복수의 가구용 경첩을 통해 가구벽체(FW)에 고정되어 회동 개폐가 안내되므로, 복수의 가구용 경첩들의 밸런스를 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작업자의 숙련도가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판(30)의 고정위치를 안내할 수 있는 고정가이드(40)가 마련되어 되므로, 복수의 가구용 경첩이 가구벽체(FW)의 단부로부터 일정하게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30)을 가구벽체(FW)에 고정하기에 앞서, 고정판(30)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암(41)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부(42)를 가구벽체(FW)의 단부면에 밀착시키면, 고정판(30)의 고정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구도어(FD)의 회동 개폐를 안내하는 복수의 가구용 경첩이 각각 가구벽체(FW)의 단부로부터 일정한 이격 간격을 두고 설치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가구용 경첩 간의 밸런스를 설정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고정판(30)의 고정위치가 고정가이드(40)에 의해 최적의 위치로 안내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고정판(30)의 고정위치가 가구벽체(FW)의 단부로부터 너무 멀거나 근접하여 고정판(30)을 재시공해야 하는 문제와, 반복시공과정에서 불필요하게 가구벽체(FW)에 형성되는 스크류홀에 의해 시공품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정판(30)의 고정 위치는 복수 마련되는 가이드암(41)에 의해 안내되므로, 고정판(30)의 설치 방향이 가구벽체(FW)의 단부면과 직교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구도어(FD)를 가구벽체(FW)에 연결하는 복수의 가구용 경첩 중 일부 경첩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의 분해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은 고정가이드(40')가 고정판(30)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점에서 상술한 제1실시예와 구성의 차이가 있다.
한편, 상기 고정가이드(40')를 제외한 몸체부(10), 회동판(20) 및 고정판(30)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구성 및 작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고정가이드(40')는 상기 고정판(30)의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암(41), 상기 가이드암(41)의 일측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가구벽체(FW)의 단부면에 밀착하는 걸림턱부(42), 상기 고정판(30)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는 결합부(43)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43)는 상기 고정판(30)이 가구벽체(FW)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3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결합부(43)는 한 쌍의 가이드암(41)의 타측 단부를 연결하면서 상기 고정판(30)의 후단부(back end)의 홈부(35)에 삽입될 수 있는 결합돌기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가이드암(41)의 사이간격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암이 고정판(30)의 양측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부(43)가 고정판(30)의 타단부측 홈부(35)에 결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결합부(43)는 상기 가이드암(41)을 고정판(30)에 결합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몸체부(10)와 회동판(20)을 생략한 상태에서 고정판(30)과 고정가이드(40')의 결합 및 분리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가이드(40')의 결합부(43)를 고정판(30) 후단부의 홈부(35)에 삽입하여 고정가이드(40')를 고정판(30)에 조립한 후, 한 쌍의 가이드암(41) 선단부에 마련된 걸림턱부(42)를 가구벽체(FW)의 단부에 밀착시키면, 고정판(30)의 고정위치가 안내된다.
이때, 상기 고정가이드(40')는 일측의 걸림턱부(42)가 가구벽체(FW)의 단부에 지지되고, 고정판(30)이 동일한 방향으로 결합부(43)에 지지되므로, 고정가이드(40')를 통해 고정판(30)의 고정위치를 안내하는 과정에서 고정가이드(40')가 고정판(30)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가이드(40')에 의해 고정판(30)의 고정위치가 안내된 상태에서, 체결스크류(S)를 고정판(30)의 제3이동공(34)에 관통시켜 가구벽체(FW)에 체결함으로써 고정판(30)을 가구벽체(FW)에 고정할 수 있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부(42)를 가구벽체(FW)의 단부로부터 분리하면, 결합부(43)를 고정판(30)의 타단부측 홈부(35)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가이드(40')를 이용해 기존의 일반적인 가구용 경첩에 결합하여 고정위치를 안내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몸체부, 11:제1이동공, 12:제1체결공,
20:회동판, 30:고정판, 31:제2체결공,
32:제2이동공, 33:날개부, 34:제3이동공,
35:홈부, 40,40':고정가이드, 41:가이드암,
42:걸림턱부, 43:결합부, H:힌지축,
B1:제1볼트, B2:제2볼트, S:체결스크류,
FW:가구벽체, FD:가구도어

Claims (8)

  1. 삭제
  2.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힌지축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가구도어에 고정되는 회동판;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측에 결합되고 가구벽체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에는 상기 고정판의 고정 위치를 안내하는 고정가이드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가이드는 상기 고정판의 상기 가구벽체의 단부를 향하는 전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암 및 상기 가이드암의 일측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가구벽체의 단부면에 밀착하는 걸림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암과 걸림턱부는 복수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가이드는 상기 고정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가이드는 상기 고정판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고정판이 가구벽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고정판의 후단부에 형성된 홈부로 삽입될 수 있는 결합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가이드암의 타측 단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
KR1020210067068A 2021-05-25 2021-05-25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 KR102499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068A KR102499100B1 (ko) 2021-05-25 2021-05-25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068A KR102499100B1 (ko) 2021-05-25 2021-05-25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115A KR20220159115A (ko) 2022-12-02
KR102499100B1 true KR102499100B1 (ko) 2023-02-10

Family

ID=84417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068A KR102499100B1 (ko) 2021-05-25 2021-05-25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10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855B1 (ko) * 2009-10-21 2011-07-08 표진호 고정판을 고정한 가구힌지
KR101268912B1 (ko) 2012-11-06 2013-05-29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힌지의 가구도어 위치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115A (ko) 2022-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4496B (zh) 可供被可樞轉支托之分隔元件用的位移裝置及傢俱件
KR102328957B1 (ko) 슬라이딩 요소용 조절가능한 마운팅 장치 및 슬라이딩 장치
KR101268912B1 (ko) 가구힌지의 가구도어 위치 조절장치
US5395165A (en) Suspension system for pocket-type doors
US7594300B2 (en) Adjustable hinge
CA2012041C (en) Door assembly for an article of furniture
EP1553253A1 (en) Egress hinge
NZ506268A (en) Buffer device constructed from punched and bent metal piece
US7650670B2 (en) Hinge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US4167802A (en) Mounting plate structure for attachment of a furniture hinge
KR102499100B1 (ko)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
US5121976A (en) Furniture article with a door slidable into door compartment
US4850080A (en) Hinge
US20230151660A1 (en) Door hinge
US20090173457A1 (en) Device for hanging a curtain in front of a window
KR20180089098A (ko) 조절기능을 갖는 나비힌지
CN112368457B (zh) 合页的结构组件以及包括该结构组件的合页
AU2021202773A1 (en) A piece of furniture
KR200254755Y1 (ko) 가구용 힌지
DE2823090C2 (de) In den Endlagen arretierendes Viergelenkscharnier insbesondere für um eine horizontale Achse verschwenkbare Klappen an Möbeln
AU2008349753B2 (en) Mounting plate
KR101202574B1 (ko) 도어용 경첩
KR102363063B1 (ko) 높이 조절부를 구비한 창호의 바퀴 모듈
KR20160148727A (ko) 출입문용 경첩
KR200327462Y1 (ko) 빗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