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9969B1 - 차량용 도어 지지 버튼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지지 버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9969B1
KR100449969B1 KR10-2000-7008894A KR20007008894A KR100449969B1 KR 100449969 B1 KR100449969 B1 KR 100449969B1 KR 20007008894 A KR20007008894 A KR 20007008894A KR 100449969 B1 KR100449969 B1 KR 100449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vehicle
support button
doo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8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6238A (ko
Inventor
김펠릭스성훈
Original Assignee
멀티메틱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멀티메틱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멀티메틱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claimed from US09/466,880 external-priority patent/US6332243B1/en
Publication of KR20010086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6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9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76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Hing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린 위치에서 차량 도어의 위치를 일시 고정하여 그대로 위치시킬 수 있어 도색하기 쉽게 한 차량용 도어 지지 버튼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 도색작업중 사용하기에 적합한 임시 차량 도어 저지 기구는 공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 도어측과 차체측을 포함하는 도어 힌지와 중간 브리지 부분을 포함한다. 유연한 지지 버튼은 도어 힌지의 도어측 또는 차체측 부분에 장착되며, 도어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부분 또는 완전 열림위치에서 도어를 일시 고정하도록 도어 힌지의 중간 브리지 부분을 풀어 주며 접촉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지지 버튼{Vehicle door prop button}
차량용 도어는 일반적으로 차량 도어와 차체가 분리되어 도색되면 색상차이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차량 생산과정에서 차체와 동시에 도색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도어 조립체는 차량의 적합한 부분에 위치한 도어 힌지에 끼워져 있다. 차후의 도색과정에서는 도어 조립체가 반복개폐됨으로서 도색설비에 의하여 모든 표면을 칠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개폐동작중, 차량 도어가 열린 위치나 닫힌 위치에서 일정시간 고정되어야 할 경우가 있다. 따라서 도어 조립체는 각각의 개폐상태에서 도어를 고정시킬 수 있는 탈착가능한 도구를 구비해야 한다.
종래에는 적당한 멈춤쇠기구, 특히 분리 가능한 저지 도구를 구비한 도어 조립체를 구비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페인트를 덧칠해야 하고, 다른 주변 조건이 부합하지 않기 때문에 제작 저지 스트랩 조립체는 사용될 수 없어서 임시 저지스트랩 도구를 사용해 왔다. 즉, 여러 조각의 저지스트랩 조립체가 도어 조립체에 단단히 매어져 있고, 차체에 적합하게 연결되어 있다. 임시 저지스트랩 도구는 도어의 개폐위치 사이에서 도어 조립체에 멈춤기능을 제공한다.도색작업이 완료되면 임시 저지스트랩 도구는 차체로부터 분리되고, 도어 조립체가 차체로부터 분리된 후 임시 저지스트랩 도구는 도어 조립체로부터 제거된다. 각각의 임시 저지스트랩 도구는 고가이기 때문에 찌꺼기 페인트를 제거하여 수선하고 다른 차체에 다시 쓰여지기 위하여 재활용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임시 저지스트랩 도구는 디자인, 설치, 유지에 상당한 비용이 든다.
덧붙여, 멈춤쇠 기구는 힌지에 나사형 기구이거나 "3경 힌지핀"이라고 명명된 미 특허번호 5,577.29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거가능한 힌지핀을 구비한 특수 힌지의 사용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나사형 기구는 파스너의 비용과 차체 브래킷에서 나사의 천공과 태핑때문에 도어 도색과정에 상당한 비용의 증가가 따른다. 따라서 힌지핀 제거를 필요로하는 기구는 멈춤쇠 기구가 이러한 형태의 힌지를 사용하는 응용범위로 제한된다.
본 발명은 열린 위치에서 차량 도어의 위치를 일시 고정하여, 유지시키는 차량용 도어 지지 버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어 지지 버튼과 도어를 구비한 차량의 도어 분리도
도 2는 도어 힌지와 도어 지지 버튼의 사시도
도 3은 도어 힌지와 도어 지지 버튼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어 힌지가 닫힌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중간 열린 위치에서 도어 힌지의 평면도
도 6은 도어 지지 버튼이 열린 위치에서 마찰적으로 도어 힌지와 맞은 상태의 도어 힌지의 사시도
도 7은 도색 위치인 완전 열린 위치에서의 도어 힌지의 평면도
도 8은 일측으로 쏠린 도어 지지 버튼을 예시한 도어 힌지의 절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도어 지지 버튼 12: 도어 힌지 14: 차체 브래킷
16: U형 브리지 18: 도어 브래킷 20: 도어
22,23: 힌지핀 24,36: 수직면 26,28,38,40,46,48: 수평면
30,31: 폐문 스토퍼 32: 멈춤핀 33: 구멍
34: 보울트 42: 탭 44,56: 나사공
50: 만곡면 52: 캡 54: 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불편을 덜어 파스너없이 용이하게 설치 및 제거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지지 버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주요한 점은 도어측과 차체측 부분과 중간의 브리지 부분을 포함하는 힌지와; 힌지의 도어와 차체의 공통 회전축에서 회전되도록 연결된 힌지의 중간 브리지 부분과; 도어 힌지의 도어측 또는 차체측 중 어느 한 부분에 장착되어 버튼에 압력을 가하고 부분적 또는 완전 열림위치에서 도어를 빠져 나갈 수 있을 정도로만 고정하는 충분한 마찰력을 생성하며 도어가 닫힘위치에서 열림위치로 이동할 때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도어 힌지의 중간 브리지 부분을 빠져나갈 정도로 접촉하게 하는 유연성 도어 지지 버튼을 포함하는 임시 차량용 도어 저지 기구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힌지의 중간 브리지 부분은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도어 지지 버튼이 제1 볼록 로브에 접촉한 다음 제1 볼록 로브와 제2 볼록 로브 사이에 위치한 만곡면에 느슨하게 접촉하게 하고 나서 제2 볼록 로브와 압접되도록 한 제1 볼록 로브와 제2 볼록 로브 사이에 위치한 만곡면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 지지 버튼은 차량의 도색시 불필요한 외부 방해물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힌지의 안쪽으로 뻗어 있다.
또한 도어 지지 버튼은 차량 도색 후에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힌지의 차체부분은 중간 브리지상에 회전시 멈춤을 제한하는 돌기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도어 지지 버튼은 스템 부분과 속이 빈 캡 부분을 포함하며, 유연한 열가소성 광물 강화나일론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에는 도어 힌지(12)에 장착되어 있는 도어 지지 버튼(10)이 예시되어 있는 데, 도어 힌지(12)는 차량에 부착되어 있는 차체 브래킷(14)과 U형 브리지(16)와; 보울트 또는 용접으로 차량 도어(20)에 부착하는 도어 브래킷(18)를 포함하며, 이들 중에서 도어 브래킷(18)은 차체 브래킷(14)의 힌지핀(22,23)에 회전 가능하게장착된다. 도어 힌지(12)는 디자인과 생산에서 규격화되어 있고, 도 2와 같은 힌지는 시보레 실버라도(CHEVROLET SILVERADOTM)와 같은 차량에서 볼 수 있다.
도 2와 도 3에서, 차체 브래킷(14)은 일반적으로 수직면(24)과 이 수직면(24)의 상하단에서 뻗어 나간 두 개의 수평면(26,28)을 구비한 U형이다. 차체 브래킷(14)의 두 수평면(26,28)은 각자에 부착되는 힌지핀(22,23)을 끼우는 구멍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힌지핀(22,23)은 윗쪽으로 솟아 있다. 상기 수평면(26,28)은 각자 도어 브래킷(18)이 닫힐 때 그 폭을 제한하는 폐문 스토퍼(30,31)를 구비하며, 또한 일측 수평면(26)은 도어 힌지(12)가 열릴 때 U형 브리지(16)에 멈춤제한을 가하는 멈춤핀(32)을 구비한다. 차체 브래킷(14)은 기술적으로 잘 알려진 방식으로 차체에 부착된다.
도어 힌지(12)는 U형 브리지(16)의 상하단에서 뻗어 나온 두 개의 수평면(46,48)을 구비한다. U형 브리지(16)에서 수평면(48)의 호상면 끝은 만곡면(50)을 구비한다. U형 브리지(16)는 차체 브래킷(14)의 하부 수평면(26)과 상부 수평면(28)사이에 들어가도록 배열되고, 힌지핀(22,23)에 꽂혀서 동일선상에서 작동한다. U형 브리지(16)는 또 보울트(34)가 끼워지는 구멍(33)을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도어 브래킷(18)은 수직면(36)과 이 수직면(36)의 상하단에서 뻗어나온 두 개의 수평면(38,40)을 구비한 U형이며, 수평면(38,40)은 힌지핀(22,23)의 윗쪽으로부터 회전운동을 하기에 적합하게 끼워져 있고, 힌지핀(22,23)이 끼워지게 하기 위한 구멍도 구비하고 있다. 각 수평면(38,40)의 둥근 끝은 폐문스토퍼(31)와 멈춤핀(32)과 접촉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도어 브래킷(18)의 수직면(36)은 보울트(34)가 관통할 나사공(44)이 천공된 탭(42)을 구비하며, 도어(20)를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힌지핀(22,23)에 도어 브래킷(18)을 장착한 후, 탭(42)의 나사공(44)에 보울트(34)를 체결하여 U형 브리지(16)를 고정시킨다. 도어 브래킷(18)은 이미 널리 잘 알려진 방식으로 차량 도어(20)에 접합된다.
여기서, 만곡면(50)의 양쪽에 돌출된 호상면 중에서 U형 브리지(10)의 회전 방향 앞쪽에 있는 것을 제1 볼록 로브라 하고, 만곡면(50)의 뒤쪽에 있는 것을 제2 볼록 로브라고 한다. 도 8에 예시된 것과 같이 도어 지지 버튼(10)은 일반적으로 도어 지지 버튼(10)은 속이 빈 캡(52)과 스템(54)을 구비하는 버섯 모양의 형태이다. 차체 브래킷(14)의 수평면(28)은 도어 지지 버튼(10)의 스템(54)을 끼우는 관통 나사공(56)을 구비한다. 캡(52)은 수평면(28)의 아래쪽에 위치해 있다. 캡(52)에서 U형 브리지(16)의 회전축까지의 방사상 거리는 간섭관계로서 그들 사이가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더우기, 도어 지지 버튼(10)은 유연계수(flex modulus) 5100MPa정도의 광물 강화나일론수지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탄성이 제공되는 금속재라면 그 재질을 제한하지 않고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와 도 8은 도어 지지 버튼(10)이 도어가 닫힌 위치에서 도어 힌지(12)에 장착된 것을 예시하는 데, 도어 지지 버튼(10)은 나사공(56)에 마찰적으로 삽입되어, 링 클립(55)으로 고정되며, 캡(52)은 도색과정에서 페인트가 덮히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수평면(28)의 아래에 위치해 있다. 도어 지지 버튼(10)은 닫힌 위치에서 도어(20)를 고정하게 된다.
도 5에서, 도어(20)와 도어 브래킷(18)이 열림에 따라 캡(52)은 U형 브리지(16)의 수평면(48)의 호상면의 끝을 지나 중간 열림위치에서 도어(20)를 유지하기 위해 만곡면(50)에 들어가 있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어(20)가 좀 더 열리면 캡(52)은 또 다른 수평면(48)의 호상면의 끝에 접촉하여 여기서 생성되는 압력과 마찰력에 의한 구속 상태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상당한 힘이 필요하다.
도어(20)가 완전히 열렸을 때 캡(52)은 더 이상 압력은 받지 않으나 완전 열림상태로 도어(20)를 고정시키도록 수평면(48)과 닿아 있고, 또한 도어 지지 버튼(10)을 제거하기 쉬운 상태로 된다.
도 8은 캡(52)에 압력을 가하도록 약간 닫혀진 상태의 도어(20)를 예시한다. 캡(52)에 의해 생성된 압력과 마찰력은 도어(20)가 바라는 위치로 움직이는 것에 대하여 제한을 가한다.
대부분의 응용예에서는 도색작업 후에 도어 지지 버튼(10)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와 도 8에서, 도어 지지 버튼(10)은 통상의 플라이어로 도어 지지 버튼(10)을 집어서 당기면 차체 브래킷(14)의 수평면(28)에 있는 천공된 나사공(56)에서 뺄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묘사될 때, 이 발명의 기술에 통달한 자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들면, 도어 지지 버튼은 도어 힌지의 차체측에 부착되어같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덧붙이자면, 도어 지지 버튼의 모양은 동일 효과를 내기 위하여 변경될 수도 있다.

Claims (8)

  1. 도어측과 차체측 부분과 중간 브리지 부분을 포함하는 힌지와; 공통 회전축에서 힌지의 도어측과 차체측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힌지의 중간 브리지 부분과; 도어 힌지의 도어측 또는 차체측 중 어느 한 부분에 장착되어 도어 지지 버튼에 압력을 가하고 부분적 또는 완전히 열린위치에서 도어를 빠져 나갈 수 있을 정도로 고정하는 충분한 마찰력을 생성하며, 도어가 닫힘위치에서 열림위치로 이동할 때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도어 힌지의 중간 브리지 부분을 빠져나갈 수 있을 정도로 접촉하는 유연성 도어 지지 버튼을 포함하는 임시 도어 저지 기구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지지 버튼.
  2. 제1항에 있어서,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도어 지지 버튼이 제1 볼록 로브에 접촉한 다음에 제1 볼록 로브와 제2 볼록 로브 사이에 위치한 만곡면에 느슨하게 접하게 하고 나서 제2 볼록 로브와 압접되도록 적용된 제1 볼록 로브와 제2 볼록 로브 사이에 위치한 만곡면을 포함하는 도어 힌지의 중간 브리지 부분을 포함한 차량용 도어 지지 버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차량의 도색시 불필요한 외부 방해물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힌지의 안쪽으로 뻗게 한 차량용 도어 지지 버튼.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힌지의 차체부분은 중간 브리지에 회전시 그 멈춤을 제한하는 멈춤핀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지지 버튼.
  6. 제1항에 있어서, 스템 부분과 속이 빈 캡 부분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지지 버튼.
  7. 제1항에 있어서, 유연한 열가소성 물질을 함유하는 차량용 도어 지지 버튼.
  8. 제1항에 있어서, 광물 강화나일론수지를 함유하는 차량용 도어 지지 버튼.
KR10-2000-7008894A 1998-12-21 1999-12-20 차량용 도어 지지 버튼 KR100449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317898P 1998-12-21 1998-12-21
US60/113,178 1998-12-21
US09/466,880 US6332243B1 (en) 1998-12-21 1999-12-20 Vehicle door prop button
US09/466,880 1999-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238A KR20010086238A (ko) 2001-09-10
KR100449969B1 true KR100449969B1 (ko) 2004-09-24

Family

ID=49516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8894A KR100449969B1 (ko) 1998-12-21 1999-12-20 차량용 도어 지지 버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99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51642A1 (en) * 2006-07-10 2008-01-10 Multimatic Inc. Multiple piece construction automotive door hin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238A (ko) 2001-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9967B1 (ko) 스플릿 핀을 구비한 차량용 힌지를 위한 차량 도어 지지클립
JP4456278B2 (ja) 車両ドア支柱ボタン
JP4557561B2 (ja) ドアヒンジ、および取外し可能ドアチェック装置
US20100066105A1 (en) Locking Device
WO2000034608A1 (en) Vehicle door prop clip
KR100449969B1 (ko) 차량용 도어 지지 버튼
JP2004239058A (ja) ドアヒンジ、取外し可能ドアチェック装置、およびこれを車両ドアヒンジに配置する方法
KR0124300Y1 (ko) 기기의 스크류커버 체결장치
CA2312108C (en) Vehicle door prop clip for vehicle hinge with split pins
KR100325002B1 (ko) 자동차의스트립마운팅구조
KR100391636B1 (ko) 자동차의 윈도우글래스 장착구조
KR200303978Y1 (ko) 스프링과 핀을 이용한 도어 잠금 장치
KR19980044539U (ko) 도어 힌지핀 이탈방지용 스프링 와셔 장착공구
US20020100143A1 (en) Furniture hinge with an improved fastening object
JP3029382B2 (ja) 分電盤の蝶番装置
KR0132162Y1 (ko) 차량용 허브 캡의 고정 구조
KR200253950Y1 (ko) 가구용 힌지조립체 장착구조
KR19990005104A (ko) 자동차의 도어 힌지장치
KR0135141Y1 (ko) 자동차의 도어 고정핀 제거 홀더
KR970002718Y1 (ko) 잠금용 스토퍼를 갖춘 공구박스
KR200216832Y1 (ko) 칼라 악세사리
JP2000309936A (ja) マンホール上蓋孔閉塞装置
JPH08144618A (ja) 分電盤の蝶番装置
KR19980036236U (ko) 차량도어 내구시험용 도어오픈치구장치
KR19980036503U (ko) 결합부재 고정구 마감용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