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7702B1 - 열안정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난연성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열안정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난연성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7702B1
KR100407702B1 KR10-2000-0082553A KR20000082553A KR100407702B1 KR 100407702 B1 KR100407702 B1 KR 100407702B1 KR 20000082553 A KR20000082553 A KR 20000082553A KR 100407702 B1 KR100407702 B1 KR 100407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lame retardant
parts
resin compositio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2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3197A (ko
Inventor
정민영
이규철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2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7702B1/ko
Publication of KR20020053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3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7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3/2279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ntimon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08K5/523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with hydroxyary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28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3/2279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ntimony
    • C08K2003/2282Antim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열가소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수지 100 중량부, (B) 브롬화 에폭시 난연제 5 내지 30 중량부, (C) 삼산화안티몬 또는 오산화안티몬 1 내지 10 중량부, (D)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무기 화합물 0.05 내지 5 중량부, (E) 염소함량이 28 내지 40 중량%인 염소화 폴리에틸렌 1 내지 15 중량부, 및 (F) 금속활제인 바륨스테아레이트 0.2 내지 0.8 중량부로 이루어진 열안정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난연성 ABS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수지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무기 첨가제, 산화방지제, 기타 광안정제, 왁스, 안료 및 염료를 필요한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안정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난연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Flame Retardant Resin Compositions Having Excellent Heat Stability and Whetherability}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열안정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난연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열안정성이 우수하여 가공시 겔화반응 및 수지탄화물 발생 억제력이 우수하며 또한 내후성도 우수한 난연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일반적으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이하 'ABS'라 한다) 수지는 가공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외관도 수려하여 주로 전기·전자제품 및사무자동화기기 등의 내외장 부품 제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ABS 수지는 그 자체로는 연소에 대한 저항성이 없고 외부의 점화인자에 의해 불꽃이 점화되면 수지 자체가 연소를 도와주는 에너지로 작용하여 지속적으로 불을 확산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미국, 일본 등의 국가에서는 전기·전자제품 등의 화재에 대한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난연성을 갖는 수지를 전기·전자제품 내외장 부품의 성형품 제조에 사용하도록 법제화하고 있다.
최근 개인용 컴퓨터와 모니터 등이 고기능화, 경량화 되어 감에 따라 전자제품의 발열이 많아지게 되어 이에 견딜 수 있도록 내열성과 난연성이 우수하고 자외선 등에 의한 광변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내후안정성이 우수한 난연성 ABS 수지의 사용이 필요하게 되었다. ABS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이 중에서 할로겐을 함유한 유기화합물을 난연제로, 산화안티몬 함유 무기화합물을 난연보조제를 첨가하는 첨가형 난연화법이 상용화된 방법이다.
할로겐 함유 유기화합물은 주로 브롬계 화합물로서 ABS 수지에 첨가시 난연성은 매우 향상시키는 반면에, 수지의 열안정성 및 내충격강도, 내후안정성, 내열성, 가공성 등의 전반적인 물성을 심각하게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난연성 수지를 제조하는데 있어서는 우수한 난연성을 유지하면서 열안정성 및 물성과 가공성 저하, 내후안정성 저하 등의 부수적인 영향을 최소화시키는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일본 특개소 50-20843호 등에는 ABS 등의 열가소성 수지에 하기 일반식 (I)과 같은 브롬화 비스페놀 A형 에폭시계 난연제와 삼산화안티몬 등의 난연보조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내후성이 우수한 난연성 ABS 수지의 제조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화학식 I
(상기식에서, X는 브롬이며, a, b, c, d는 1 내지 4인 자연수이며, 그리고 n은 0 또는 자연수이다.)
이러한 브롬화 비스페놀 A형 에폭시계 난연제를 사용하는 수지의 경우 내열성, 내후성, 난연성은 매우 우수하나 가공시 겔화 반응에 의해 수지 탄화물이 발생하는 등 열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일본 특개평 1-101350호는 양 말단에 에폭시기가 있는 브롬화 에폭시 난연제를 사용하되 하이드로탈사이트 등의 염기성 무기화합물을 첨가하여 열안정성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겔화를 억제하기 위해서 무기물을 다량 사용하여 수지 성형시 가스실버 등의 성형불량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브롬화 에폭시 난연제를 사용한 수지의 열안정성을 개선하여, 궁극적으로는 가공시 수지탄화물의 발생이 개선된 난연성 ABS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안정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난연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안정성이 우수하여 가공시 겔화반응 및 수지탄화물 발생 억제력이 우수하며 또한 내후성도 우수한 난연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브롬화 에폭시 난연제를 사용하여 수지의 열안정성을 개선하고, 궁극적으로는 가공시 수지탄화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난연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해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A) 열가소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ABS) 수지 100 중량부, (B) 브롬화 에폭시 난연제 5 내지 30 중량부, (C) 난연보조제인 삼산화안티몬 또는 오산화안티몬 1 내지 10 중량부, (D) 열안정제인 알루미늄(Al)과 규소(Si) 그리고 나트륨(Na) 또는 칼슘(Ca)으로 구성되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무기 화합물인 제올라이트계 화합물 0.05 내지 5 중량부, (E) 충격보강재 및 적하 방지제인 염소함량이 28 내지 40 %인 염소화 폴리에틸렌 1 내지 15 중량부, 및 (F) 금속활제인 바륨스테아레이트 0.2 내지 0.8 중량부로 이루어진 열안정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난연성 ABS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양호한 난연성과 기계적 물성을 보유함과 동시에 우수한 열안정성을 갖는 난연성 ABS 수지의 제조 및 사출성형가공이 가능하여 난연성이 요구되는 각종 전기·전자제품 및 사무자동화기기 등의 내외장 부품의 제조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의 용도 및 필요에 따라 무기 첨가제, 왁스, 산화방지제, 기타 광안정제, 안료 및 염료를 필요한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의 구성성분인 (A) ABS 수지, (B) 브롬화 에폭시 난연제, (C) 삼산화안티몬 또는 오산화안티몬, (D) 알루미늄(Al)과 규소(Si) 그리고 나트륨(Na) 또는 칼슘(Ca)으로 구성되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무기 화합물(제올라이트), (E) 염소화 폴리에틸렌, 및 (F) 바륨스테아레이트 각각에 대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A) ABS 수지
본 발명에 사용된 ABS 수지는 스티렌 단량체와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에 부타디엔형 고무류, 이소프렌형 고무류, 부타디엔과 스티렌의 공중합체류, 또는 알킬아크릴레이트 고무류 등에서 선택된 고무를 넣어 그라프트 중합하여 얻은 그라프트 공중합체(A1)와 스티렌 단량체와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제조한 공중합체(A2)로 이루어진 수지이다. 이러한 ABS 수지 중 고무함량은 5 내지 25 중량%,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함량은 75 내지 95 중량%,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공중합체 내의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은 20 내지 40 중량%의 범위이다.
(B) 브롬화 에폭시 난연제
본 발명에서 난연제로 사용되는 화합물은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의 중합체인 브롬화 에폭시 수지이다. 이러한 브롬화 에폭시 수지는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물질이다.
화학식 I
상기식에서, X는 Br이며 a, b, c 및 d는 1∼4인 자연수이며, 그리고 n은 0 또는 1 이상의 자연수이다.
상기 브롬화 에폭시 수지의 분자량은 500∼3000, 바람직하게는 700∼2000 범위가 적당하다. 분자량이 500 미만일 때는 충분한 내열성을 얻을 수 없으며, 30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충격성과 유동성 저하가 발생한다.
상기 난연제는 ABS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부를 사용한다. 5 중량부 이하로 첨가될 경우에는 수지의 난연 효과가 부족하며, 30 중량부 이상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가공성 및 기계적 강도의 저하가 발생하여 물성의 균형을잃게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C) 삼산화안티몬 또는 오산화안티몬
본 발명에서 난연제로 사용되는 브롬화 에폭시 난연제와 상승작용을 일으켜 ABS 수지에 적정한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난연보조제로 삼산화안티몬 또는 오산화안티몬을 첨가한다. 상기 난연보조제는 기초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를 사용한다. 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충분한 난연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과량 사용되었을 경우에는 수지 조성물의 물성의 균형을 잃게된다.
(D)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무기 화합물
본 발명에서 열안정제로 사용되는 알루미늄(Al)과 규소(Si) 그리고 나트륨(Na) 또는 칼슘(Ca)으로 구성되는 무기 화합물은 알루미노실리케이트(Aluminosilicate)로서, 흔히 제올라이트(Zeolite)로 불린다.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산화알루미늄(Al2O3)과 산화규소(SiO2)가 3차원적인 기본골격을 이루고 산화나트륨(Na2O) 또는 산화칼슘(CaO)이 전자적으로 중성을 이루기 위해 첨가된 형태이다.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Al2O3가 10 내지 60 중량%, SiO2가 10 내지 60 중량%, 그리고 Na2O 또는 CaO가 5 내지 30 중량%의 조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평균입도는 0.5 내지 5 ㎛이다.
브롬화 에폭시를 난연제로 사용하는 난연성 ABS 수지 중에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0.05 내지 5 중량부 사용하면, 가스실버의 발생을 현저히 줄여주며 또한 수지의 겔화 시간을 연장시키는 등 난연성 수지의 열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무기 화합물을 0.05 중량부 이하로 첨가하면 열안정성 향상 효과가 적고 5 중량부 이상 사용하면 수지의 물성 균형이 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E) 염소화 폴리에틸렌
본 발명에서 염소화 폴리에틸렌은 난연성 ABS 수지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고 연소시 시편의 적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또한 할로겐을 함유한 물질로서 일부 난연제의 역할도 수행한다. 염소화 폴리에틸렌은 염소 함량이 28 내지 40% 인 것이 적당하며 염소함량이 28 % 미만인 경우 ABS 수지와의 상용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난연제로의 작용도 감소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며 염소함량이 40 % 이상인 경우 난연성 ABS 수지의 열안정성을 저해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염소화 폴리에틸렌은 기초수지인 ABS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5 중량부 첨가된다. 염소화 폴리에틸렌이 1 중량부 미만 사용되면 충분한 충격보강 및 적하방지 효과를 얻을 수 없고, 1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는 수지 조성물의 열안정성이 심하게 저하된다.
(F) 바륨스테아레이트
본 발명에서 금속활제로 사용되는 바륨스테아레이트는 브롬화에폭시를 난연제로 사용하는 난연성 ABS 수지의 겔화 시간 자체를 크게 연장시켜 주지는 않으나, 금속이형성을 향상시켜 수지탄화물 발생의 주된 위치인 압출기와 사출기 등의 가공기계내의 스크류에 수지가 점착되는 시간을 줄여주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겔화에 의한 흑점발생을 줄여주는데 큰 효과가 있다. 기초수지인 ABS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중량부 내지 0.8 중량부 첨가된다. 이 때 0.2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면 충분한 금속이형성 효과를 얻기 어렵고, 0.8 중량부 이상 사용되면 수지 조성물의 황변을 유발하며 내후성도 저하시키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ABS 조성물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금속활제로는 칼슘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및 아연스테아레이트 등이 있으나 이들은 바륨스테아레이트와 달리 가공시 유리된 금속이온에 의해 브롬화에폭시를 난연제로 사용한 수지조성물의 겔화반응을 오히려 촉진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수지 조성물에는 용도에 따라 무기 첨가제, 산화방지제, 기타 광안정제, 왁스, 안료, 또는 염료를 필요한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연성 ABS 수지 조성물은 브롬화 에폭시를 난연제로 사용하고, 삼산화안티몬 또는 오산화안티몬을 난연보조제로 첨가하며, 알루미늄(Al)과 규소(Si) 그리고 나트륨(Na) 또는 칼슘(Ca)으로 구성되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무기 화합물을 열안정제로 첨가하고, 염소화 폴리에틸렌을 충격보강재 및 적하방지제로 첨가하며, 바륨스테아레이트를 금속활제로 사용하며 기타 산화방지제, 왁스 이산화티타늄, 벤조트리아졸 및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를 첨가한 후 통상의 혼합기에서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압출기를 통하여 펠렛 형태의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다.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 사용된 ABS 수지는 제일모직(주)의 제품으로 수지 내의 부타디엔 고무 15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28 중량%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85 중량%로 이루어진 것이며, 난연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300, 브롬 함량이 약 52 %인 브롬화 에폭시 난연제로서, 난연제 및 기타 첨가제는 시중에서 구입한 상태 그대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열가소성 ABS 수지, 브롬화 에폭시 난연제, 산화안티몬, 염소화 폴리에틸렌, 바륨스테아레이트를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함량으로 첨가하였고, 기타 산화방지제 0.5 중량부, 왁스 1 중량부 등을 첨가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는 모두 중량부이다.
비교실시예 1-4
사용되는 성분 함량을 상기 실시예와 다르게 하여,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 성분의 함량은 표 1에 나타내었다. 단위는 모두 중량부이다.
성 분 실시예 비교실시예
1 1 2 3 4
A 열가소성 ABS 수지 100 100 100 100 100
B 브롬화 에폭시 난연제 21 21 21 21 21
C 삼산화 안티몬 6 6 6 6 6
D D1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무기 화합물 1.0 - 1.0 1.0 -
D2 하이드로탈사이트계무기 화합물 - 1.0 - - 1.0
E 염소함량 36%인 염소화폴리에틸렌 6 6 6 6 6
F F1 바륨스테아레이트 0.4 - - - 0.4
F2 칼슘스테아레이트 - - - 0.4 -
상기 표 1에 나타난 함량에 따라 구성성분을 첨가하고, 믹서로 균일하게 혼합한 후 이축압출기로 압출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펠렛으로부터 사출성형에 의해 물성 및 난연 시험용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각 물성은 하기의 시험 분석 기준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수지의 내충격성은 ASTM D-256 시험 방법에 의해 1/4 인치 두께에 대해 평가하였으며 단위는 kg·cm/cm 이다.
유동성은 ASTM D-1238 시험 방법에 의해 200 ℃, 5 kg 하중에서 평가하였으며 단위는 g/10min 이다.
난연성은 UL-94 VB 난연도 판정시험 방법에 따라 1/12 인치 두께에 대해서 시험하여 판정하였다.
열안정성은 시편을 사출기 내에 15 분간(사출기 실린더 온도 230℃) 체류시킨 후 사출된 성형품의 표면에 나타나는 개스실버, 또는 흑줄 등의 불량 발생 수치를 측정하여 외관평가의 기준으로 사용하였으며, 사출기에 15분간 체류시킨 뒤 사출된 제품과 체류시키지 않고 사출된 제품과의 색차(dE)를 색차계를 이용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표면불량 발생 정도와 색차계에 의한 변색을 종합하여 다음과 같이 4단계로 열안정성을 판정하였다 (◎ : 매우 우수, ○ : 우수, △ : 보통, × : 불량)
겔화 시간은 하케믹서를 이용하여 250 ℃, 50 rpm의 조건하에서 교반시키면서 토오크가 증가하여 기울기가 변화되기 시작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수지탄화물 발생량은 이축압출기 운전조건을 실린더 온도 220℃, 스크류 회전수 250 rpm, 시간당 토출량을 50 kg으로 하여 매 30분당 총 10회에 걸쳐 각각 10 g의 펠렛을 취하여 200 ℃로 유지된 프레스로 판형으로 만들어 판면의 전후 표면에 나타난 수지탄화물의 수를 육안으로 측정하여 10회에 대한 평균치를 구하였다.
내후성은 ASTM D-4459 시험법에 의거 안료나 염료 등이 첨가되지 않은 자연색상의 표준시편과 제논아크로 300시간 조사한 시편과의 색차(dE)를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방법에 따라 측정된 시편의 물성평가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물성 실시예 비교실시예
1 1 2 3 4
내충격성 19 17.5 18 19 18.5
유동성 3.5 3.4 3.4 3.5 3.5
난연성 V-0 V-0 V-0 V-0 V-0
열안정성 X
겔화시간 85 60 80 45 65
평균탄화물수 8 20 17 35 13
내후성 12.3 11.8 11.9 12.5 12.4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이드로탈사이트계 무기 화합물(D2) 등의 기존 열안정제를 사용한 비교실시예 1의 경우보다 알루미늄(Al)과 규소(Si) 그리고 나트륨(Na) 또는 칼슘(Ca)으로 구성되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무기 화합물인 제올라이트(D1)를 사용한 비교실시예 2가 가스실버, 열변색과 같은 열안정성 면에서는 물론 겔화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지탄화물 발생량도 다소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열안정제로 동일한 하이드로탈사이트(D2)를 사용한 비교실시예 1과 비교실시예 4의 경우 금속활제로 바륨스테아레이트(F1)를 첨가한 비교실시예 4의 경우가 금속활제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실시예 1 대비 수지탄화물 발생면에서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금속활제로 칼슘스테아레이트(F2)를 사용한 비교실시예 3의 경우는 바륨스테아레이트를 금속활제로써 사용한 비교실시예 4의 경우와는 달리 열안정성 및 수지탄화물 발생면에서 오히려 악화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과 대비하여, 열안정제로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첨가한 비교실시예 1 및 4의 경우 사출기내 체류시 가스실버가 다소 발생하는 등 열안정성 면에서 다소바람직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열안정제로서 알루미늄(Al)과 규소(Si) 그리고 나트륨(Na) 또는 칼슘(Ca)으로 구성되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무기 화합물인 제올라이트(D1)를 첨가하고 금속활제로서 바륨스테아레이트(F1)가 사용된 실시예 1의 수지 조성물이 가스실버 및 열변색이 적어 열안정성이 가장 우수하며 겔화시간을 연장시켜주는 동시에 수지탄화물 발생량 감소 효과 또한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자연색상인 시편의 내후성은 금속활제를 첨가함으로써 다소 저하되지만, 상업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회색 계통으로 수지 조성물을 착색할 경우 내후성은 유의차가 없으므로 금속활제를 첨가하더라도 브롬화에폭시를 난연제로 사용한 수지 조성물의 고유한 내후 특성이 유지됨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열안정제로는 알루미늄(Al)과 규소(Si) 그리고 나트륨(Na) 또는 칼슘(Ca)으로 구성되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무기 화합물인 제올라이트를 사용하고, 금속활제로는 바륨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함으로써 내후성이 유지되면서 수지탄화물 발생을 최소화한 우수한 열안정성과 물성을 갖는 난연성 ABS 수지 조성물의 제조가 가능해짐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열안정제로 알루미늄(Al)과 규소(Si) 그리고 나트륨(Na) 또는 칼슘(Ca)으로 구성되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무기 화합물인 제올라이트를 사용하고,금속활제로 바륨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함으로써 고유의 내후성을 유지하면서도 수지탄화물 발생을 최소화한 우수한 열안정성과 물성을 갖는 난연성 ABS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4)

  1. (A) 고무 5 내지 25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20 내지 40 중량%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75 내지 95 중량%로 이루어진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 100 중량부;
    (B) 브롬화 에폭시 난연제 5 내지 30 중량부;
    (C) 삼산화안티몬 또는 오산화안티몬 1 내지 10 중량부;
    (D)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무기 화합물 0.05 내지 5 중량부;
    (E) 염소 함량이 28 내지 40 중량%인 염소화 폴리에틸렌 1 내지 15 중량부; 및
    (F) 바륨스테아레이트 0.2 내지 0.8 중량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스티렌(ABS)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롬화 에폭시 난연제(B)는 분자량이 500 내지 3000이며,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ABS 수지 조성물:
    상기식에서, X는 Br이며 a, b, c 및 d는 1∼4인 자연수이며, 그리고 n은 0 또는 1 이상의 자연수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무기 화합물(D)은 평균입도가 0.5 내지 5 ㎛이며, Al2O310 내지 60 중량%, SiO210 내지 60 중량%, 및 Na2O 또는 CaO 5 내지 30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ABS 수지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에 무기 첨가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왁스, 안료, 또는 염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ABS 수지 조성물.
KR10-2000-0082553A 2000-12-27 2000-12-27 열안정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난연성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KR100407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2553A KR100407702B1 (ko) 2000-12-27 2000-12-27 열안정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난연성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2553A KR100407702B1 (ko) 2000-12-27 2000-12-27 열안정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난연성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197A KR20020053197A (ko) 2002-07-05
KR100407702B1 true KR100407702B1 (ko) 2003-12-01

Family

ID=27686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2553A KR100407702B1 (ko) 2000-12-27 2000-12-27 열안정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난연성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77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772B1 (ko) * 2003-10-07 2006-04-07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충격 및 고광택을 갖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제조방법
EP2354181A1 (en) * 2010-02-03 2011-08-10 Total Petrochemicals Research Feluy Flame resistant styrene based compositions comprising antimony pentoxid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3156A (ja) * 1992-09-11 1994-04-05 Asahi Chem Ind Co Ltd 耐光難燃樹脂組成物
JPH0693158A (ja) * 1992-09-11 1994-04-05 Asahi Chem Ind Co Ltd 難燃性樹脂組成物
JPH07133397A (ja) * 1993-11-12 1995-05-23 Asahi Chem Ind Co Ltd ハロゲン化エポキシ系難燃剤を含有する耐光性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KR950023676A (ko) * 1994-01-13 1995-08-18 이준범 난연성 폴리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980009359A (ko) * 1996-07-27 1998-04-30 이종면 내후성과 열안정성이 강화된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19980050091A (ko) * 1996-12-20 1998-09-15 유현식 열안정성 및 내열변색성이 우수한 난연 abs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3156A (ja) * 1992-09-11 1994-04-05 Asahi Chem Ind Co Ltd 耐光難燃樹脂組成物
JPH0693158A (ja) * 1992-09-11 1994-04-05 Asahi Chem Ind Co Ltd 難燃性樹脂組成物
JPH07133397A (ja) * 1993-11-12 1995-05-23 Asahi Chem Ind Co Ltd ハロゲン化エポキシ系難燃剤を含有する耐光性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KR950023676A (ko) * 1994-01-13 1995-08-18 이준범 난연성 폴리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980009359A (ko) * 1996-07-27 1998-04-30 이종면 내후성과 열안정성이 강화된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19980050091A (ko) * 1996-12-20 1998-09-15 유현식 열안정성 및 내열변색성이 우수한 난연 abs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197A (ko) 200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4131B1 (ko) 내충격성과 유동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4548972A (en) Flame retardant polyamide compositions
KR100407702B1 (ko) 열안정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난연성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KR100379882B1 (ko) 난연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조성물
KR100546787B1 (ko) 열안정성이 우수한 난연성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조성물
KR100506123B1 (ko) 열안정성, 내열성, 내후성 및 착색성이 우수한 ul 94v-2급 난연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수지 조성물
KR100221923B1 (ko) 내후성과 충격강도가 우수한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00475932B1 (ko)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384473B1 (ko) 열안정성이우수한난연성수지조성물
EP0156219B1 (en) 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KR100583170B1 (ko) 내후안정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난연성 수지조성물
KR0181386B1 (ko) 열안정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00478438B1 (ko) 유동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950008978B1 (ko)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00506858B1 (ko) 내후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EP0272114A1 (en) Mold products of an elastomeric composition containing styrenic resin
KR100602849B1 (ko)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US4581403A (en) ABS plastic made transparent and flame retardant with Br2 -Br8 diphenyl ethers
KR100592062B1 (ko) 내충격성 및 색상발현성이 우수한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난연성 수지조성물
KR20030056032A (ko)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난연성 수지조성물
KR100550261B1 (ko)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JPH0798891B2 (ja) 高耐光性難燃樹脂組成物
KR20020054946A (ko)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조성물
KR19990052379A (ko)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JPH04136053A (ja) 難燃性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