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123B1 - 열안정성, 내열성, 내후성 및 착색성이 우수한 ul 94v-2급 난연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열안정성, 내열성, 내후성 및 착색성이 우수한 ul 94v-2급 난연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123B1
KR100506123B1 KR10-2001-0086198A KR20010086198A KR100506123B1 KR 100506123 B1 KR100506123 B1 KR 100506123B1 KR 20010086198 A KR20010086198 A KR 20010086198A KR 100506123 B1 KR100506123 B1 KR 100506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onitrile
weight
styrene
butadiene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6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6040A (ko
Inventor
정민영
김동진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6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123B1/ko
Publication of KR20030056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6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1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UL 94 V-2급 난연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 수지 조성물은 (A) 스티렌 모노머 및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에 부타디엔형 고무류, 이소프렌형 고무류, 부타디엔과 스티렌의 공중합체류 또는 알킬아크릴레이트 고무류 등에서 선택된 고무를 넣어 그라프트 중합하여 얻은 그라프트 공중합체(A1) 및 스티렌 모노머와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를 공중합하여 제조한 공중합체(A2)로 이루어지고, 수지중 고무함량이 10 내지 20 중량%이고,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함량이 80 내지 90 중량%이고,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A2) 내의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20 내지 25 중량%의 범위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내지 140,000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 수지 100 중량부; (B) 말단봉지형 브롬화 에폭시 수지 5 내지 15 중량부; (C) 틴말레이트계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부; 및 (D) 하이드로탈사이트 0.05 내지 0.5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열안정성, 내열성, 내후성 및 착색성이 우수한 UL 94 V-2급 난연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 수지 조성물{UL 94 V-2 Rating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Flame Retardant Resin Composition with Good Thermal Stability, Heat Resistance, UV Resistance and Easy Colorability}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열안정성, 내열성, 내후성 및 착색성이 우수한 UL 94 V-2급 난연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말단봉지형 브롬화 에폭시 난연제 및 틴말레이트계 화합물과 하이드로탈사이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열안정제를 사용함으로써, UL 94 V-2급 난연성을 보유함과 동시에 우수한 기계적 물성, 내열성, 내후성 및 색상발현성을 보유하여 각종 전기·전자제품 및 사무자동화기기 등의 내외장 부품의 제조에 매우 유용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일반적으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 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이하 ABS 수지)는 가공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외관도 수려하여 주로 전기·전자제품 및 사무자동화기기 등의 내외장 부품의 제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ABS 수지는 그 자체로는 연소에 대한 저항성이 없고, 외부의 점화인자에 의해 불꽃이 점화되면 수지 자체가 연소를 도와주는 에너지로 작용하여 지속적으로 불을 확산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미국, 일본 등의 국가에서는 전기·전자제품 등의 화재에 대한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난연성을 갖는 수지를 전기·전자제품 내외장 부품의 성형품 제조에 사용하도록 법제화하고 있다.
최근 UL 94 V-2급 이상의 난연성을 보유한 난연성 수지로써 고채색 계통의 가전제품의 외장재를 제조하려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이들 제품이 고기능화, 경량화 되어 감에 따라 전자제품의 발열이 많아지게 되어 이에 견딜 수 있도록 우수한 내열성과 내후성을 보유한 난연성 수지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ABS 수지에 UL 94 V-2급 난연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할로겐을 함유한 유기화합물을 난연제로, 삼산화안티몬을 난연보조제를 첨가하는 첨가형 난연화법이 주로 사용되는 상품화된 방법이다.
할로겐 함유 유기화합물은 주로 브롬계 화합물로서 ABS 수지에 첨가시 난연성은 매우 우수한 반면에, 수지의 열안정성 및 내충격강도, 내후안정성, 내열성, 가공성 등의 전반적인 물성에 심각한 저하를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난연성 수지를 제조하는데 있어서는 우수한 난연성을 유지하면서 열안정성 및 물성과 가공성 저하, 내후안정성 저하 등의 부수적인 영향을 최소화시키는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난연보조제로 사용되는 삼산화안티몬은 백색안료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수지의 고채색의 색상발현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난연성 수지의 고채색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삼산화안티몬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배제하는 난연화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ABS 수지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난연보조제인 삼산화안티몬과 충격보강재인 염소화 폴리에틸렌의 첨가 없이, 우수한 내열성과 내후특성을 보유한 말단봉지형 브롬화 에폭시를 난연제로 첨가하고, 틴말레이트계 화합물과 하이드로탈사이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열안정제를 사용함으로써, UL 94 V-2급 난연성을 보유함과 동시에 양호한 기계적 물성, 우수한 내열성, 내후성 및 색상발현성을 보유하여 각종 전기·전자제품 및 사무자동화기기 등의 내외장 부품의 제조에 매우 유용한 수지 조성물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안정성, 내열성, 내후성 및 착색성이 우수한 UL 94 V-2급 난연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색상과 난연성이 동시에 요구되는 각종 전기·전자제품 및 사무자동화기기 등의 내외장 부품의 제조에 매우 유용한 난연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모두 하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A) 열가소성 ABS 수지 100 중량부, (B) 말단봉지형 브롬화 에폭시 수지 5 내지 15 중량부, (C) 틴말레이트계 화합물 0.1 내지 1 중량부 및 (D) 하이드로탈사이트 0.05 내지 0.5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용도 및 필요에 따라 무기 첨가제, 왁스, 산화방지제, 힌더드아민계 및 벤조트리아졸계 광안정제를 단독 혹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안료 및 염료를 필요한 양으로 첨가할 수 있으나, 삼산화안티몬 및 염소화 폴리에틸렌은 사용하지 않는다.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각 성분인 (A) ABS 수지, (B) 말단봉지형 브롬화 에폭시 수지, (C) 틴말레이트계 화합물 및 (D) 하이드로탈사이트 각각에 대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A) ABS 수지
본 발명에 사용된 ABS 수지는 스티렌 모노머 및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에 부타디엔형 고무류, 이소프렌형 고무류, 부타디엔과 스티렌의 공중합체류 또는 알킬아크릴레이트 고무류 등에서 선택된 고무를 넣어 그라프트 중합하여 얻은 그라프트 공중합체(A1) 및 스티렌 모노머와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를 공중합하여 제조한 공중합체(A2)로 이루어진다.
상기 ABS 수지(A)는 고무 10 내지 20 중량%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80 내지 90 중량%로 구성되고,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A2) 내의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은 20 내지 25 중량%이다.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A2) 내의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20 중량% 미만일 경우 수지의 내열도 저하가 두드러지게 나타날 뿐만 아니라 수지의 내약품성도 크게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반면,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이 25 중량% 이상의 경우 가공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외부 화원에 의한 연소시 수지의 적하(Dripping) 발생을 더디게 하므로 UL 94 V-2급 난연성의 확보가 어려워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ABS 수지(A)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0 내지 140,000 이다. 분자량이 100,000 미만일 경우 적절한 내충격성의 확보가 어렵다. 반면, 140,000 이상의 경우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이 저하되며, 이에 따라 외부 화원에 의한 연소시 적하(Dripping) 발생을 더디게 하므로 UL 94 V-2급 난연성의 확보가 어려워 바람직하지 못하다.
(B) 말단봉지형 브롬화 에폭시 수지
본 발명에서 난연제로 사용되는 화합물은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의 중합체인 브롬화 에폭시를 트리브로모페놀로 말단봉지한 난연제이다. 이러한 말단봉지형 브롬화 에폭시 수지는 하기식(I)으로 표시된다:
상기식에서, n은 0 또는 자연수이다.
상기 말단봉지형 브롬화 에폭시 수지(B)의 분자량은 500 내지 3,000이고,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2,200 이다. 분자량이 500 미만일 때는 충분한 내열성을 얻을 수 없으며, 3,0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심각한 내충격성과 유동성의 저하가 발생한다.
상기 말단봉지형 브롬화 에폭시 난연제는 ABS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5 중량부 이하를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난연효과가 부족하며, 15 중량부 이상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가공성 및 기계적 강도의 저하가 발생하여 물성상의 균형을 잃게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식(I)으로 표시되는 말단봉지형 브롬화 에폭시계 난연제 외에 하기식(Ⅱ)으로 표시되는 브롬화 에폭시계 난연제도 유사한 내열성과 내후성을 제공하나, 동일한 n값을 갖는 말단봉지형 브롬화 에폭시계 난연제(일반식(I))에 비해 내충격강도가 많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식에서, n은 0 또는 자연수이다.
(C) 틴말레이트계 화합물
본 발명에서 틴말레이트계 화합물(C)은 하기 하이드로탈사이트(D)와 조합하여 열안정제로 사용된다. 틴말레이트계 화합물은 할로겐 포집제(Halogen Capture) 목적으로 첨가되며, 하이드로탈사이트는 산포집제(Acid Scavenger) 목적으로 첨가된다. 이들을 동시에 처방시 서로 상승 작용을 일으켜서 압출이나 사출같은 수지의 가공공정에서 발생하는 열과 마찰에 의한 할로겐 난연제의 분해 및 이에 기인한 수지의 변색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 틴말레이트계 화합물로는 디-부틸-틴말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열안정성, 내충격성 및 표면광택도면에서 유리하다. 상기 틴말레이트계 화합물(C)은 ABS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부로 사용된다. 하이드로탈사이트의 첨가 없이 틴말레이트계 열안정제 단독으로 많이 쓰이나, 하이드로탈사이트와 병용시 열안정성이 크게 증가되므로 병용하는 것이 우수한 열안정성을 보유한 수지의 제조에 매우 유리하다.
(D) 하이드로탈사이트
본 발명에서 하이드로탈사이트(D)는 상기 틴말레이트계 화합물(C)과 조합하여 열안정제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하이드로탈사이트의 화학식은 Mg4Al2(OH)12CO3·3H2O로 표시되고, MgO 와 Al2 O3의 몰비는 4 내지 5이다.
상기 하이드로탈사이트(D)는 ABS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0.5 중량부로 사용된다. 하이드로탈사이트는 할로겐계 난연제중 열안정성이 매우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상기식(II)으로 표시되는 난연제에는 열안정제로써 단독으로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기타 할로겐계 난연제에는 단독으로 사용시 그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열안정성 향상을 위하여 0.5 중량부 이상 첨가하면 오히려 사출가공시 은백색 줄(Silver Streak)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외에 사용 용도에 따라 무기 첨가제, 산화방지제, 힌더드아민계 및 벤조트리아졸계 광안정제를 단독 혹은 조합으로 첨가할 수 있으며, 안료 및 염료를 필요한 양으로 첨가할 수 있으나, 삼산화안티몬과 염소화 폴리에틸린은 첨가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UL 94 V-2급 난연성 ABS 수지 조성물은 말단봉지형 브롬화 에폭시 난연제, 틴말레이트계 화합물과 하이드로탈사이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열안정제 및 기타 산화방지제, 왁스, 이산화티타늄, 벤조트리아졸 및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를 첨가한 후, 통상의 혼합기에서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압출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사용된 (A) ABS 수지, (B) 말단봉지형 브롬화 에폭시 수지 및 (C) 틴말레이트계 화합물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기타 난연제 등의 첨가물은 시중에서 구입하여 추가 정제 등의 과정 없이 받은 그대로의 상태에서 사용하였다.
(A) ABS 수지
고무함량이 13 중량%이고,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25,000이고,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22 중량%인 제일모직(주)의 열가소성 ABS 수지를 사용하였다.
(B) 말단봉지형 브롬화 에폭시 수지
평균분자량이 1,400인 말단봉지형 브롬화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였다.
(C) 틴말레이트계 화합물
디-부틸-틴말레이트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열가소성 ABS 수지(A), 말단봉지형 브롬화 에폭시 수지(B), 틴말레이트(C) 및 하이드로탈사이트(D)를 표 1에 기재된 함량으로 첨가하고, 기타 산화방지제 0.5 중량부, 힌더드아민계 광안정제 0.4 중량부, 벤조트리아졸계 광안정제 0.4 중량부, 왁스 1 중량부, 및 착색성 평가를 위한 적색 무기안료 0.3 중량부 등을 첨가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 1
상기 ABS 수지(A) 대신에 고무함량이 13 중량%이고,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25,000이고,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28 중량%인 제일모직(주)의 열가소성 ABS 수지(A1)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실시예 2
상기 ABS 수지(A) 대신에 고무함량이 13 중량%이고,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00이고,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22 중량%인 제일모직(주)의 열가소성 ABS 수지(A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실시예 3
상기 말단봉지형 브롬화 에폭시 수지(B) 대신에 평균분자량이 1,300인 브롬화 에폭시 수지(B1)를 사용하고, 틴말레이트계 화합물(C)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실시예 4-5
상기 구성성분들을 이용하여 표 1에 나타낸 조성과 같은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 4에서는 하이드로탈사이트(D)를 사용하지 않았고, 비교실시예 5에서는 틴말레이트계 화합물(C)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성 분 (중량부) 실시예 비교실시예
1 1 2 3 4 5
ABS 수지 (A) 100 - - 100 100 100
(A1) - 100 - - - -
(A2) - - 100 - - -
말단봉지형 브롬화 에폭시(B) 10 10 10 - 10 10
브롬화 에폭시 수지(B1) - - - 10 - -
틴말레이트계 화합물(C) 0.4 0.4 0.4 - 0.6 -
하이드로탈사이트(D) 0.2 0.2 0.2 0.4 - 0.6
상기 표 1에 기재된 성분 및 기타 첨가제로 구성된 수지 조성물을 믹서로 균일하게 혼합한 후, 이축압출기로 압출하여 펠렛의 형태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펠렛으로부터 사출성형에 의해 물성 및 난연 시험용 시편 등을 제작하였으며, 각 물성항목에 대한 측정 방법은 하기의 시험 분석 기준에 의거하여 실험 평가하였다.
내충격성은 ASTM D256 시험방법에 의해 6.4 ㎜ 두께에 대해 평가하였으며, 단위는 ㎏㎝/㎝ 이다.
유동성은 STM D1238 시험방법에 의해 200 ℃, 5 ㎏ 하중의 조건에서 평가하였으며, 단위는 g/10min 이다.
난연성은 UL-94 VB 난연도 판정시험 방법에 따라 3.0 ㎜ 두께에 대해 시험하여 판정하였다.
열안정성은 사출기(사출기 실린더 온도 240 ℃) 내에 15 분간 체류시킨 후, 사출한 성형품의 표면에 나타나는 불량(개스실버, 흑줄)의 개수를 측정하여 외관평가의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사출기에 15 분간 체류시킨 뒤 사출한 제품과 체류시키지 않고 사출한 제품과의 색차(dE)를 색차계를 이용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표면불량 발생 정도와 색차계에 의한 변색을 종합하여 다음과 같이 4단계로 열안정성을 판정하였다(◎ : 매우 우수, ○ : 우수, △ : 보통, × : 불량).
내후성은 ASTM D4459 시험법에 의거 표준시편과 제논아크로 300 시간 조사한 시편과의 색차(dE)를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광택도는 사출물의 광택면을 광택도 측정기에서 입사각 60 도로 측정하였다.
착색성은 적색무기안료를 투입하고, 적색으로 착색된 사출시편의 착색성을 육안 평가하여 다음과 같이 3단계로 판정하였다(○ : 우수, △ : 보통, × : 열등).
상기 방법에 따라 측정된 시편의 물성평가는 표 2에 나타내었다.
물성 실시예 비교실시예
1 1 2 3 4 5
내충격성 15 13.7 16.9 13.4 15.1 14.8
유동성 6.5 5.8 5.4 6.3 6.3 6.4
내열성 91.5 92.6 91.8 91.7 91.5 91.5
난연성 V-2 NG NG V-2 V-2 V-2
열안정성
내후성 1.2 1.2 1.3 0.9 1.2 1.2
광택도 92 93 92 90 93 90
착색성
상기 표 2의 실시예 1과 비교예 1-2에 대한 물성 비교를 통하여 보는 바와 같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 수지중 동일한 고무함량하에서도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과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에 UL 94 V-2 난연도의 달성가능성이 크게 의존함을 알 수 있다. 즉,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게 처방되거나 혹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 수지중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처방되면 외부화원에 의한 연소시편의 적하(Dripping)가 크게 지연되어 UL 94 V-2 난연규격을 만족할 수 없다.
비교실시예 3은 난연제로 말단봉지형 브롬화 에폭시(B)가 아닌 일반적인 브롬화 에폭시(B1: 화학식 Ⅱ)를 난연제로 사용한 경우로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내충격성, 열안정성 등의 물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비교실시예 3과 같이 브롬화 에폭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열안정제로 틴말레이트계 화합물(C)을 사용할 수 없는데, 이는 틴말레이트계 화합물이 브롬화 에폭시 난연제의 가교(Crosslinking) 반응을 유발하여 수지내 겔을 생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하이드로탈사이트(D)를 열안정제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수지의 열변색을 방지하는 효과는 우수하나 사출시 은백색 줄(Silver Streak)을 유발하므로 불리하고, 또한 동일한 n값을 갖는 말단봉지형 브롬화 에폭시에 비해 기계적 강도가 많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열안정제로 틴말레이트계 화합물(C)을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실시예 4의 경우 실시예 1 대비 다소의 유동성 저하와 열안정성 저하가 관찰되었고, 하이드로탈사이트(D)를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실시예 5의 경우 사출시 은백색 줄(Silver Streak) 발생 빈도가 높고 다소의 광택도 저하도 수반됨을 알 수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삼산화안티몬과 염소화 폴리에틸렌의 첨가 없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수지(A)에 말단봉지형 브롬화 에폭시 난연제(B), 틴말레이트계 화합물(C)과 하이드로탈사이트(D)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열안정제를 첨가함으로써 우수한 내후성, 열안정성, 광택성 및 착색성을 갖는 UL 94 V-2급 난연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 수지조성물의 제조가 가능해짐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ABS 수지에 말단봉지형 브롬화 에폭시 난연제 및 틴말레이트계 화합물과 하이드로탈사이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열안정제를 첨가함으로써 열안정성, 내열성, 내후성 및 착색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색상과 난연성이 동시에 요구되는 각종 전기·전자제품 및 사무자동화기기 등의 내외장 부품의 제조에 매우 유용한 UL 94 V-2급 난연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A) 스티렌 모노머 및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에 부타디엔형 고무류, 이소프렌형 고무류, 부타디엔과 스티렌의 공중합체류 또는 알킬아크릴레이트 고무류에서 선택된 고무를 넣어 그라프트 중합하여 얻은 그라프트 공중합체(A1) 및 스티렌 모노머와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를 공중합하여 제조한 공중합체(A2)로 이루어지고, 수지중 고무함량이 10 내지 20 중량%이고,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함량이 80 내지 90 중량%이고,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A2) 내의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20 내지 25 중량%의 범위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내지 140,000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 수지 100 중량부;
    (B) 말단봉지형 브롬화 에폭시 수지 5 내지 15 중량부;
    (C) 틴말레이트계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부; 및
    (D) 하이드로탈사이트 0.05 내지 0.5 중량부;
    로 이루어지는 난연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봉지형 브롬화 에폭시 수지(B)는 분자량이 500 내지 3,000 이고, 하기식(I)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 수지 조성물:
    상기식에서, n은 0 또는 자연수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틴말레이트계 화합물(C)이 디-부틸-틴말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탈사이트(D)의 화학식은 Mg4Al2(OH)12CO 3·3H2O로 표시되고, MgO 와 Al2O3의 몰비는 4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 수지 조성물.
KR10-2001-0086198A 2001-12-27 2001-12-27 열안정성, 내열성, 내후성 및 착색성이 우수한 ul 94v-2급 난연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수지 조성물 KR100506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198A KR100506123B1 (ko) 2001-12-27 2001-12-27 열안정성, 내열성, 내후성 및 착색성이 우수한 ul 94v-2급 난연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198A KR100506123B1 (ko) 2001-12-27 2001-12-27 열안정성, 내열성, 내후성 및 착색성이 우수한 ul 94v-2급 난연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040A KR20030056040A (ko) 2003-07-04
KR100506123B1 true KR100506123B1 (ko) 2005-08-03

Family

ID=32214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6198A KR100506123B1 (ko) 2001-12-27 2001-12-27 열안정성, 내열성, 내후성 및 착색성이 우수한 ul 94v-2급 난연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1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8269A (ko) * 2005-02-01 2006-08-04 주식회사 엘지화학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6192143B1 (ja) * 2016-10-03 2017-09-06 東洋スチレン株式会社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難燃性樹脂成形体
JP6262384B1 (ja) * 2016-10-03 2018-01-17 東洋スチレン株式会社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難燃性樹脂成形体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1350A (ja) * 1987-10-14 1989-04-19 Dainippon Ink & Chem Inc 難燃性樹脂組成物
JPH07133397A (ja) * 1993-11-12 1995-05-23 Asahi Chem Ind Co Ltd ハロゲン化エポキシ系難燃剤を含有する耐光性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KR950023676A (ko) * 1994-01-13 1995-08-18 이준범 난연성 폴리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00379882B1 (ko) * 2000-12-28 2003-04-11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조성물
KR100384473B1 (ko) * 1997-12-22 2003-11-17 제일모직주식회사 열안정성이우수한난연성수지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1350A (ja) * 1987-10-14 1989-04-19 Dainippon Ink & Chem Inc 難燃性樹脂組成物
JPH07133397A (ja) * 1993-11-12 1995-05-23 Asahi Chem Ind Co Ltd ハロゲン化エポキシ系難燃剤を含有する耐光性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KR950023676A (ko) * 1994-01-13 1995-08-18 이준범 난연성 폴리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00384473B1 (ko) * 1997-12-22 2003-11-17 제일모직주식회사 열안정성이우수한난연성수지조성물
KR100379882B1 (ko) * 2000-12-28 2003-04-11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040A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4131B1 (ko) 내충격성과 유동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6737456B2 (en) Fire-retardant polyolefin compositions
US8663509B2 (en) Fire retardant formulations
EP1239005B2 (en) Fire-retardant polyolefin compositions
KR100506123B1 (ko) 열안정성, 내열성, 내후성 및 착색성이 우수한 ul 94v-2급 난연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수지 조성물
KR100379882B1 (ko) 난연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조성물
KR100221923B1 (ko) 내후성과 충격강도가 우수한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01101578B1 (ko) 난연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583170B1 (ko) 내후안정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난연성 수지조성물
KR100407702B1 (ko) 열안정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난연성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KR100475932B1 (ko)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546787B1 (ko) 열안정성이 우수한 난연성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조성물
KR100384473B1 (ko) 열안정성이우수한난연성수지조성물
KR100602849B1 (ko)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0181386B1 (ko) 열안정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00592062B1 (ko) 내충격성 및 색상발현성이 우수한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난연성 수지조성물
KR100478438B1 (ko) 유동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H0798891B2 (ja) 高耐光性難燃樹脂組成物
KR20100068829A (ko) 난연성 및 착색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550261B1 (ko)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CN117887202A (zh) 一种丙烯腈-苯乙烯-丁二烯共聚物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30025690A (ko) 투명성과 난연성을 동시에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9990052379A (ko)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IL141726A (en) Polyolefin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KR20040042354A (ko)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