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7446B1 - 복원 운동의 전기기계적 토크 제어 및 가속 방법 - Google Patents

복원 운동의 전기기계적 토크 제어 및 가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7446B1
KR100407446B1 KR10-2001-0084627A KR20010084627A KR100407446B1 KR 100407446 B1 KR100407446 B1 KR 100407446B1 KR 20010084627 A KR20010084627 A KR 20010084627A KR 100407446 B1 KR100407446 B1 KR 100407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motor
voltage
setting device
axial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4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3731A (ko
Inventor
네스틀러프랑크
Original Assignee
지케이엔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케이엔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지케이엔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20053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3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4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20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differential action, e.g. lock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20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differential action, e.g. locking devices
    • F16H48/22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differential action, e.g. locking devices using friction clutches or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ifferent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 F16D27/108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 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27/112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 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friction surfaces, e.g. discs
    • F16D27/115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 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friction surfaces, e.g. discs with more than two discs, e.g. multip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8/00Electrically-actuated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20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differential action, e.g. locking devices
    • F16H48/295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differential action, e.g. locking devices using multiple means for force boo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20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differential action, e.g. locking devices
    • F16H48/30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differential action, e.g. locking devices using externally-actuatabl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20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differential action, e.g. locking devices
    • F16H48/30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differential action, e.g. locking devices using externally-actuatable means
    • F16H48/34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differential action, e.g. locking devices using externally-actuatable mean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the final output mechanisms comprising elements moved by electrical or magnetic force
    • F16H63/3043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the final output mechanisms comprising elements moved by electrical or magnetic force comprising friction clutches or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004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permanent magnets combined with electro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20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differential action, e.g. locking devices
    • F16H48/30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differential action, e.g. locking devices using externally-actuatable means
    • F16H48/34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differential action, e.g. locking devices using externally-actuatable mean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actuators
    • F16H2048/343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differential action, e.g. locking devices using externally-actuatable mean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actuators using a rotary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84Meshing assisters
    • Y10T74/19288Double clutch and interposed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tarde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One-Way And Automatic Clutches, And Combinations Of Different Clutch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 Friction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마찰 커플링용 전기기계적 축방향 세팅 장치의 복원 방법에 관한 것이고, 축방향 세팅 장치는 그 중 하나가 축방향으로 유지되어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우징 내에서 회전식으로 고정 유지되고 다른 하나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식으로 구동되고 공통 축 상에 중심을 두는 두 개의 세팅 링을 포함한다. 서로 대면하는 그 각각의 단부면 상에서 두 개의 세팅 링은 다수의 동일한 원주상 연장 홈을 각각 포함한다. 단부면의 평면도에서 각각의 홈들은 원주 방향으로 높아진 안길이를 갖는 부분을 포함한다. 세팅 링 내의 홈의 쌍들은 각각 볼을 수용한다. 회전 구동 세팅 링은 구동과 관련하여 전기 모터에 연결된다. 축방향 이동 가능한 세팅 링은 압력 스프링에 의해 축방향 유지 세팅 링을 향해 로딩된다. 전기 모터에 양의 전압을 인가(양의 전류를 인가)할 때, 축방향 세팅 장치는 전진 위치로 이동하고, 전기 모터로부터의 전압 인가를 끊을(전압을 인가하지 않을) 때 축방향 세팅 장치는 시작 위치로 복원된다.

Description

복원 운동의 전기기계적 토크 제어 및 가속 방법{ELECTRO-MECHANICAL TORQUE CONTROL - ACCELERATION OF RETURN MOTION}
본 발명은 특히 마찰 커플링용 전기기계적 축방향 세팅 장치의 복원 방법에 관한 것이고, 그 축방향 세팅 장치는 그 중 하나가 축방향으로 유지되어 하우징 내에서 회전식으로 고정 유지되고 다른 하나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식으로 구동되고 공통 축 상에 중심을 두며 서로 대면하는 그 각각의 단부면 상에서 다수의 동일한 원주상 연장 홈을 각각 포함하는 두 개의 세팅 링을 포함하고, 단부면의 평면도에서 그 홈들은 동일한 원주 방향으로 높아진 안길이를 갖는 부분을 포함하고, 두 개의 세팅 링 내의 홈의 쌍들은 각각 볼을 수용하고, 회전 구동 세팅 링은 구동부에 대해 전기 모터에 연결되고, 축방향 이동 가능한 세팅 링은 압력 스프링에 의해 축방향 유지 세팅 링을 향해 로딩되고, 전기 모터에 양의 전압을 인가할 때, 축방향 세팅 장치는 전진 위치로 이동하고, 전기 모터로부터의 전압 인가를 끊을 때 축방향 세팅 장치는 시작 위치로 복원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기기계적 축방향 세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류의 축방향 세팅 장치는 간단한 소형 설계를 갖고 일예로 로킹 차동 장치에서의 마찰 커플링에서 요구되는 것과 같은 짧은 반응 시간을 갖는다. 그러한 세팅 장치의 이용은 DE 39 20 861 C2, DE 39 15 959 C2, DE 39 09 112 C2, DE 38 15 225 C2 및 DE 100 33 482.2에 개시되어 있고, 그 공보에서 그러한 세팅 장치를 포함하는 로킹 차동 장치가 ABS 장치 및/또는 ESP 장치를 갖춘 차량과 양립하게 되도록 그러한 축방향 세팅 장치가 신속히 복원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여러번 언급되어 있다. 그러한 복원 운동은 그 어느 하나가 나선형 스프링의 형태로서 회전 세팅 링을 후방으로 직접 회전시켜 축방향으로 이동된 세팅 링을 복원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는 축방향 스프링의 형태로서 자체 방해 없이 홈 조립체를 갖추고 축방향으로 이동된 세팅 링을 후방으로 밀어내어 회전 세팅 링을 후방으로 회전시키는 복원 스프링에 의해 달성된다.
복원 운동의 가속을 위해, 복원을 위해 음의 전압을 전기 모터에 인가하는 것이 이미 시도되어 왔다. 이러한 복원 방법의 결과는 여전히 만족스럽지 못하며 가속된 제어 사이클을 달성하기 위해 더 개선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 즉 복원을 위해 우선 음의 전압이 전기 모터에 인가되고, 전기 모터가 그 아이들링 속도에 도달될 때는 전압 인가가 끊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제어 방법에 의해 특히 가속 단계 중에 스프링력이 전기 모터에 의해 영향을 받는 구동부에 의해 지지된다는 점에서 스프링력에 의해 시작된 단순한 수동 복원 운동과 비교하여 상당한 양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놀랍게도, 시간은 복원 운동 중에 영구적으로 인가된 음의 전압과 비교하여 또한 절약되고, 영구적으로 인가된 음의 전압의 영향은 아이들링 속도를 초과하게 되면 유도된 반대 전압에 의해 줄어들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축방향 세팅 장치의 제1 축방향 도면.
도2는 선 A-A를 따른 단면에서의 도1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도1에 따른 장치의 도1에 대해 축방향 반대 방향의 도면.
도4는 선 B-B를 따른 단면에서의 도1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도4에 따라 도시된 장치의 평면도.
도6은 홈의 축방향 도면에서의 상세도의 형태로 장치의 회전 구동 가능한 세팅 링을 도시한 도면.
도7은 선 A-A를 따른 단면에서의 도6에 따른 세팅 링을 도시한 도면.
도8은 홈을 관통한 원통형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9는 도7의 세부 X를 도시한 도면.
도10은 도7의 세부 Y를 도시한 도면.
도11은 도6에 따른 세팅 링의 사시도.
도12는 홈을 포함하는 단부면의 평면도로 도1에 따른 장치의 제2 세팅 링을 도시한 도면.
도13은 선 A-A를 따른 단면에서의 도12에 따른 세팅 링을 도시한 도면.
도14는 홈을 관통한 원통형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15는 도12의 단면 B-B를 도시한 도면.
도16은 도12에 따른 세팅 링의 경사 사시도.
도17은 차동 기어와 함께 이용되는 본 발명의 세팅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18은 도17에 따른 조립체의 축방향 도면.
도19는 최적화된 분리 방법의 상이한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20은 종래 기술의 방법과 관련된 본 발명의 분리 방법에 대한 토크 곡선을 도시한 도면.
도21은 종래 기술의 상태에 따른 방법과 비교하여 도20에 따른 본 발명의 분리 방법에 대한 시간의 함수로서의 모터 속도를 도시한 도면.
도22는 본 발명의 제동 방법에 대한 시간의 함수로서의 토크 및 엔진 속도의 특성 곡선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모터
12 : (구멍 두 개의) 모터 플랜지
13 : 베어링 블록
14 : (구멍 네 개의) 베어링 플랜지
15 : 모터 샤프트
16 : 피니언
17 : 보조 샤프트
18 : 피니언
19 : 피니언
21 : 베어링 슬리브
22 : 플랜지판
23 : 제1 세팅 링
24 : 레이디얼 베어링
25 : 치형 세그먼트
26 : 제2 세팅 링
27 : 유지 러그
28 : 케이지
29 : 볼
31 : 축방향 베어링
32 : 디스크
33 : 고정 링
34 : 축방향 베어링
35 : 압력판
36 : 판 스프링
37 : 압력핀
38 : 케이블
39 : 케이블
41 : 볼 홈
42 : 정지부
43 : 정지부
44 : 볼 홈
45 : 정지부
46 : 정지부
47 : 안내 홈
51 : 차동 구동 하우징
52 : 차동 캐리어
53 : 롤링 접촉 베어링
54 : 롤링 접촉 베어링
55 : 차축 샤프트
56 : 차축 샤프트
57 : 베벨 기어
58 : 베벨 기어
59 : 차동 베벨 기어
60 : 차동 베벨 기어
61 : 마찰판 조립체
62 : 슬리브
63 : 마찰판
64 : 마찰판
65 : 압력판
66 : 지지 부재
67 : 핀
68 : 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전기 모터용 전압 역전 회로와, 그 장치가 복원되는 중에 전기 모터의 아이들링 속도에 도달하게 되면 전압 역전 회로와의 접속이 끊어지게 되는 방식으로 전기 모터의 아이들링 속도를 통해 서로 논리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모터용 모터 속도 기록 장치를 포함해야 한다.
전기 모터에서의 음의 전압이 중단되는 시점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직진 속도 모니터링 수단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축방향 세팅 장치의 동적 행위가 알려져 있다면, 시간 면에서 전기 모터에서의 음의 전압의 접속 시간을 제한하기 위한 간단한 시간 변경을 이용하는 것이 더 간단하다.
상기 형태의 축방향 세팅 장치, 특히 보강된 복원 스프링 또는 전압 역전 회로가 복원 운동의 완료시에 마찰 커플링의 신속한 분리의 달성을 위해 신속한 복원을 달성하는 것들은 세팅 링의 볼 홈의 홈 단부를 때리는 볼로 인해 마음대로 안되는 저크(jerk)를 경험하게 된다. 상기 저크는 너무나 두드러져 차량에서의 안락한 상태에서 용인할 수 없는 악영향으로서 간주된다. 또한, 운전자가 그러한 저크에대비하지 않게 되면, 운전자의 감정이 불안정해질 수 있고 저크를 차량의 손상으로서 간주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감쇠 정지 행위를 갖는 신속한 복원 운동을 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개량은 복원 운동 중에 시작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제동 모멘트의 발생을 위해 전기 모터가 단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의해, 또는 복원 운동 중에 시작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양의 전압이 전기 모터에 짧게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의해 제공된다. 복원 방법의 마지막에 있어서, 볼이 마지막 정지부에 도달하기 직전에 여기에 기재된 수단은 기본 기계적 형상이 불변인 상태로 유지하는 한편 매우 적은 추가 전환 수단으로 달성될 수 있는 전기 제동 방법을 제공한다. 적절한 장치는 회전부에, 일예로 제1 세팅 링에 배치되고, 볼이 볼 홈 내의 마지막 정지부에 도달하기 직전에 각각의 전환 작동을 착수하는, 즉 단락을 일으키거나 양의 전압을 인가하는 회전 위치 센서를 포함한다. 간단한 실시예에서, 우선 마지막 정지부에 도달하기 직전에 단락 또는 전압 인가를 수행하고, 볼이 볼 홈 내의 마지막 정지부에 도달할 때 전기 모터와의 연결을 끊는 간단한 전환 접촉에 의해 비접촉 센서 수단을 대치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정지 효과를 약화시키고 복원 전기 모터를 제동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기계적 브레이크 및/또는 감쇠 장치에 의해 요구되는 것 보다 훨씬 더 간단한 수단을 구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영구적으로 여기된 직류 모터가 이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5에 대해 주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플랜지판(12)에 의해, 전기 모터는 제2 플랜지판(14)을 형성하는 베어링 블록(13) 상에 볼트 결합된다. 제1 피니언(16)을 지탱하는 모터 샤프트(15)의 연장부가 베어링 블록(13) 내에서 지지된다. 피니언(16)과 결합하는 또 다른 피니언(18)을 지탱하고 감속 단계의 형성을 위해 또 다른 피니언(19)을 지탱하는 보조 샤프트(17)가 베어링 블록(13) 내에서 또한 지지된다. 베어링 블록(13)은 베어링 플랜지(14)를 통해 일예로 구동 하우징에 고정되어야 한다. 그 축이 모터축에 평행 연장하는 베어링 슬리브(21)는 구동 하우징 내에서 회전 지지되는 플랜지판(22)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 세팅 링(23)은 레이디얼 베어링(24)에 의해 베어링 슬리브(21) 상에 지지된다. 세팅 링(23)은 치형 세그먼트(25)를 포함한다. 보조 샤프트(17)의 피니언(19)은 제1 세팅 링(23)의 치형 세그먼트(25)와 결합한다. 유지 러그(2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신속한 방식으로 구동 하우징과 결합할 수 있는 또 다른 세팅 링(26)은 제1 세팅 링(23)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케이지(cage)(28) 내에 유지되는 다수의 볼(29)은 세팅 링(23, 26)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제2 세팅 링(26)은 볼에 의해 제1 세팅 링(23) 상에 중심을 두게 된다. 제1 세팅 링(23)은 고정 링(33)에 의해 베어링 슬리브(21) 상에 고정되는 디스크(32) 상의 축방향 베어링(31)을 통해 지지된다. 제2 세팅 링은 플랜지판(22) 내의 판스프링 패키지(36)에 의해 유지되는 압력판(35) 상의 축방향 베어링(34)을 통해 지지된다. 압력판(35)은 플랜지판(22)을 관통하는 압력핀(37) 상에서 동시에 작용한다. 볼(29)을 유지시키는 세팅 링(23, 26) 내의 볼 홈은 주연을 가로질러 양 방향으로 높아지는 램프 형태로 제공된다. 전기 모터는 케이블접속부(38, 39)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전기 모터(11)를 구동함으로써, 치형 세그먼트(25)와 제1 세팅 링(23)은 제2 세팅 링(26)에 대해 회전하게 되고 유지 러그(27)를 통해 구동 하우징과 결합하고 그 결과 판 스프링(36)의 복원력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압력핀(37)을 로딩한다. 세팅 링의 기능에 관한 추가 세부 내용은 이하의 도면의 설명으로부터 얻게 될 수 있다.
다시 도6 내지 도11에 대해 아래에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그 단부면에 치형 세그먼트(25)를 갖춘 제1 세팅 링(23)은 72°의 피치각으로 원주상으로 분포되고 각각 58°의 원주상 길이를 갖는 5 개의 볼 홈(41)을 도시한 것이다. 도8에 도시된 대로, 링 원주를 가로지르는 볼 홈은 1.5°의 헬리컬각을 갖게 되어 볼(29)의 두 개의 정지부(42, 43) 간에 가변 깊이를 갖게 된다. 볼 홈의 단면도에서, 볼은 그 두 개의 정지 위치들에서 대시-도트 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12 내지 도16에 대해 또한 아래에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그 단부면에 제2 세팅 링(26)은 72°의 피치각으로 원주상으로 분포되고 58°의 원주상 길이를 갖는 5 개의 볼 홈(44)을 포함한다. 안내 홈(47)을 갖춘 유지 러그(27)가 명확히 도시되어 있다. 도14에 도시된 대로, 볼 홈은 1.5°의 헬리컬각으로 인해 원주 간에 가변 길이를 갖고 볼(29)의 두 개의 정지부(45, 46)를 포함한다. 하나의 볼은 그 두 개의 정지 위치들에서 대시-도트 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2 세팅 링(26)에서의 볼 홈(44)의 상승 경사도는 제1 세팅 링(23)에서의 볼 홈(41)의 경사도와 동일 방향으로 상승한다. 볼 홈(41, 44)을 포함하는 그 단부면들이 서로 대면하는 방식으로 세팅 링(23, 26)들이 장착될 때, 서로에 대한 두개의 세팅 링의 상대 회전은 볼 홈(41, 44) 모두에서 동시에 상승하도록 또는 동시에 하강하도록 볼(29)을 회전시킨다. 케이지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서 볼 홈 내의 볼을 유지시킨다. 서로에 대한 두 개의 세팅 링(23, 26)의 제1 방향으로의 상대 회전은 상기 두 개의 세팅 링(23, 26)을 멀리 밀어내는 반면에, 반대 방향으로의 상대 회전은 상기 두 개의 세팅 링(23, 26)을 서로 근접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방향으로의 상대 회전은 전적으로 전기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달성되고, 반대 방향으로의 상대 회전은 특히 판스프링(36)의 복원력에 의해 달성된다.
도17 및 도18에 대해 아래에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된 형태의 세팅 장치는 차동 장치(51)에 장착된다. 이 경우에, 베어링 슬리브(21')는 롤링 접촉 베어링(53, 54)을 통해 차동 구동 장치에 회전 지지된 차동 캐리어(52)와 일체형이다. 차동 베벨 기어(59, 60)와 결합하는 베벨 기어(57, 58)를 지탱하는 두 개의 차축 샤프트(55, 56)는 차동 캐리어(52) 내에 지지된다. 마찰 커플링(61)은 신속 회전 방식으로 차동 캐리어(52)에 연결되는 제2 마찰판(64) 뿐만 아니라 신속 회전 방식으로 차축 샤프트(55)에 고정된 슬리브(62)에 연결되는 제1 마찰판(63)을 포함한다. 마찰 커플링(61)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압력판(65)과 차동 캐리어(52)에 고정된 지지 부재(66) 사이에 배치된다. 압력판(65)은 제1 세팅 링(23')이 제2 세팅 링(26')에 대해 회전할 때 배치된 압력핀(37')에 의해 직접 로딩될 수 있다. 제2 세팅 링(26')은 유지 러그(27)와 결합하고 차동 구동 하우징(51) 내에 고정된 핀(67, 68)에 의해 신속 회전 방식으로 유지된다. 세팅 링(23)을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마찰 커플링(61)이 폐쇄되어 차동 구동 장치가 로킹 효과를 발전시키는 반면에, 세팅 링(23)을 복원시킴으로써 마찰 커플링(61)은 분리되어 차동 구동 장치는 다시 개방 차동 상태로 된다.
도19는 시간 축 상의 다양한 특성을 참고로 하여 마찰 커플링의 전술된 분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특성들은 마찰 커플링에 의해 전달된 토크(전달 토크), 전기 모터의 전류(전류) 및 로터의 회전수(로터 회전수)이다. 세팅 장치는 마이너스 시간 구역에서 가장 바깥쪽의 전진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시간 0.0으로부터 시작하여 세팅 장치는 임의의 정지 저크를 피하면서 시작 위치로 가능한 신속하게 복원된다. 마이너스 시간 구역에서 전류는 0과 약 25A 사이에서 직사각형 형태로 도약한 펄스폭 변조를 특징으로 한다. 마찰 커플링에 의해 전달 가능한 토크는 약 2000Nm로 일정하다. 전기 모터의 회전수는 거의 0의 펄스폭 변조의 주파수로 변동한다.
시간 0.0에서, 전기 모터는 음의 전류(능동 분리)의 영향을 받게 되고, 그 결과 엔진 속도는 복원 마이너스 값으로 증가하게 되고, 전달 토크는 마찰 커플링이 개방됨으로 인해 줄어들게 된다. 약 0.01초 후에, 전류의 스위치를 끊게 되어, 0.015초의 시간에 전기 모터에서의 전류는 0으로 된다. 전류의 분리(수동 분리)는 약 상기 시간 후에 모터가 약 200 ㎭/초의 공칭 속도에 도달하도록 선택되어, 그후에 판스프링의 영향으로 인해 속도는 복원시에 지속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전달 토크는 0.095초의 시간 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한다. 그 시점에 전기 모터는 단락되어 가능한 최단 시간 내에 단락 전류는 약 45A의 값에 도달한다. 그 결과, 0.14초의 시간 까지 모터의 속도는 다시 0으로 제동되고, 그 결과 단지 약간의오버슈팅(overshooting)이 발생한다. 전달 토크는 이미 0에 도달하게 된다. 전기 모터에 의해 개시된 제동 방법의 결과로, 볼은 완전히 충격이 없는 방식으로 홈 정지부에 대해 멈추게 된다.
도20은 음의 전류의 영구 인가(능동 "표준") 및 스프링력(수동)의 결과로서 전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복원 운동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라 중단되는 음의 전류의 인가(능동 "최적")의 결과로서 시간 함수로서의 마찰 커플링의 토크 곡선(전달 토크)를 도시한 것이다. 스프링력하의 복원 운동을 "수동"이라 부르게 되고 그러한 스프링력은 전달 토크의 가장 느린 감소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전기 모터로의 음의 전류의 영구 인가를 "능동 표준"이라 부르고 그것은 야기되는 내부 전압으로 인해 전방으로의 약 0.04초로부터 전달 토크의 뚜렷한 감소를 가져오는 반면에, "능동 최적"은 아이들링 속도에 도달한 후에 약 0.04초 후에 중단되고 전달 토크의 가능한 가장 신속한 감소를 가져오게 되는 음의 전류의 인가를 나타낸다.
도20과 관련하여 기재된 3가지 형태의 분리를 위해, 도21은 시간 함수로서의 전기 모터의 복원 속도(로터 회전수)의 곡선을 도시한 것이다. 시간면에서 회전수의 증가 폭은 전술된 토크 감소를 초래하고, 볼이 볼 홈 내의 단부 정지부에 도달할 때의 속도는 0이다. 음의 전류의 영구 인가(능동 표준)의 경우에, 이는 가장 최근의 시점 및 자유로운 (수동) 복원 운동의 경우에서 보다 특히 훨씬 더 늦게 발생하게 되는 반면에,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음의 전류의 짧은 인가(능동 최적)로 인해 볼은 가장 신속한 방식으로 정지부에 도달하게 되고, 관련 오버슈트에 의해동반된 속도 곡선의 제로 크로싱(crossing)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버슈트는 볼 홈 내의 단부 정지부에서 저크형 스프링-백의 결과로서의 모터의 복원 운동을 나타낸다.
도22는 도20과 도2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2가지 방법, 즉 볼이 볼 홈 내의 단부 정지부에 도달하기 직전에 발생하는 또 다른 유익한 제어 방법을 언급한 복원 운동의 경우의 모터 속도(로터의 회전수)와 전달 가능한 토크(전달 토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능동" 표시의 곡선은 도20과 도21에 따른 "능동 최적"의 방법 형태에 따른 음의 전류의 짧은 인가로부터 기인한 토크 및 속도 곡선을 언급한 것이다. "능동" 곡선은 0으로의 복원 마이너스 모터 속도의 가파른 감소와, 볼이 볼 홈 내의 단부 정지부와 강력하게 부딪힐 때의 뚜렷한 양의 속도로의 오버슈트를 도시한 것이다. "단락 상태의 능동" 곡선은 볼이 정지부와 부딪치기 직전에 전기 모터의 단락의 영향 하에서의 토크 및 속도 곡선을 언급한 것이고, 상기 단락은 모터의 조기 제동을 보증하여, 속도는 실제 충격이 없는 방식으로 0으로 복원된다. 따라서 볼 홈의 단부에 대한 바람직하지 않은 볼의 강력한 충격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어 방법에 의해 특히 가속 단계 중에 스프링력이 전기 모터에 의해 영향을 받는 구동부에 의해 지지된다는 점에서 스프링력에 의해 시작된 단순한 수동 복원 운동과 비교하여 상당한 양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축방향 세팅 장치는 그 중 하나가 축방향으로 유지되어 하우징 내에서 회전식으로 고정 유지되고 다른 하나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식으로 구동되고 공통 축 상에 중심을 두며 서로 대면하는 그 각각의 단부면 상에서 다수의 동일한 원주상 연장 홈(41, 44)들을 각각 포함하는 두 개의 세팅 링(23, 26)을 포함하고, 단부면의 평면도에서 그 홈(41, 44)들은 동일한 원주 방향으로 높아진 안길이를 갖는 부분을 포함하고, 두 개의 세팅 링(23, 26) 내의 홈(41, 44)의 쌍들은 각각 볼(29)을 수용하고, 회전 구동 세팅 링(23)은 구동과 관련하여 전기 모터(11)에 연결되고, 축방향 이동 가능한 세팅 링(26)은 압력 스프링(37)에 의해 축방향 유지 세팅 링(23)을 향해 로딩되고, 전기 모터(11)에 양의 전압을 인가(양의 전류를 인가)할 때, 축방향 세팅 장치는 전진 위치로 이동하고, 전기 모터(11)로부터의 전압 인가를 끊을(전압을 가하지 않을) 때 축방향 세팅 장치는 시작 위치로 복원되는, 특히 마찰 커플링용 전기기계적 축방향 세팅 장치의 복원 방법에 있어서,
    복원을 위해 우선 음의 전압이 전기 모터(11)에 인가되고(음의 전류가 인가되고), 전기 모터(11)가 그 아이들링 속도에 도달될 때는 전압 인가가 끊기는(전압을 인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복원 운동 중에 시작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제동 모멘트의 발생을 위해 전기 모터가 단락(단락 전류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복원 운동 중에 시작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제동 모멘트의 발생을 위해 양의 전압이 전기 모터에 짧게 인가(양의 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복원 운동 중에 늦어도 축방향 세팅 장치가 시작 위치에 도달할 때에는, 전기 모터(11)에서의 단락/양의 전압 접속이 제거/전압 인가가 끊기는(전압을 인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축방향 세팅 장치는 그 중 하나가 축방향으로 유지되어 하우징 내에서 회전식으로 고정 유지되고 다른 하나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식으로 구동되고 공통 축 상에 중심을 두며 서로 대면하는 그 각각의 단부면 상에서 다수의 동일한 원주상 연장 홈(41, 44)을 각각 포함하는 두 개의 세팅 링(23, 26)을 포함하고, 단부면의 평면도에서 그 홈(41, 44)들은 동일한 원주 방향으로 높아진 안길이를 갖는 부분을 포함하고, 두 개의 세팅 링(23, 26) 내의 홈(41, 44)의 쌍들은 각각 볼(29)을 수용하고, 회전 구동 세팅 링(23)은 구동과 관련하여 전기 모터(11)에 연결되고, 축방향 이동 가능한 세팅 링(26)은 압력 스프링(37)에 의해 축방향 유지 세팅 링(23)을 향해 로딩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제공되는, 특히 마찰 커플링용 전기기계적 축방향 세팅 장치에있어서,
    전기 모터용 전압 역전 회로와, 전압 방해를 위해 전기 모터의 아이들링 속도를 통해 서로 논리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모터용 모터 속도 기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세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전기 모터의 단락 전환 회로를 제어하기 위해 축방향 세팅 장치의 회전부에 배치된 회전 위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세팅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전기 모터의 전압 연결 회로를 제어하기 위해 축방향 세팅 장치의 회전부에 배치된 회전 위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세팅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시작 위치에서의 축방향 세팅 장치의 회전 정지부에 도달할 때 전기 모터의 전압 연결 회로와 단락 전환 회로를 방해하기 위한 회전 위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세팅 장치.
KR10-2001-0084627A 2000-12-27 2001-12-26 복원 운동의 전기기계적 토크 제어 및 가속 방법 KR1004074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65356A DE10065356C1 (de) 2000-12-27 2000-12-27 Elektromechanische Drehmomentregelung - Beschleunigung des Rücklaufs
DE10065356.1 2000-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731A KR20020053731A (ko) 2002-07-05
KR100407446B1 true KR100407446B1 (ko) 2003-11-28

Family

ID=7669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4627A KR100407446B1 (ko) 2000-12-27 2001-12-26 복원 운동의 전기기계적 토크 제어 및 가속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15375B2 (ko)
EP (1) EP1219846B1 (ko)
JP (1) JP3655585B2 (ko)
KR (1) KR100407446B1 (ko)
AT (1) ATE266159T1 (ko)
DE (1) DE10065356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66679B2 (en) 2002-03-12 2005-03-15 Ev3 Inc. Everting stent and stent delivery system
KR100591672B1 (ko) * 2002-03-27 2006-06-19 도치기 후지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액츄에이터
DE10261516B4 (de) * 2002-12-23 2005-09-29 Gkn Driveline International Gmbh Axialverstellvorrichtung mit Abfederung im Rücklauf
US7083033B2 (en) * 2003-03-27 2006-08-01 Tochigi Fuji Sangyo Kabushiki Kaisha Torque transmission apparatus
DE20314141U1 (de) * 2003-09-10 2005-01-27 Gkn Automotive Gmbh Axialverstellvorrichtung
US7278945B2 (en) * 2005-10-14 2007-10-09 Team Industries, Inc. Differential
DE102005053555B3 (de) * 2005-11-08 2007-08-02 Gkn Driveline International Gmbh Kugelrampenanordnung mit variabler Steigung der Kugelrillen
DE102006025071A1 (de) * 2006-05-30 2007-12-06 Zf Friedrichshafen Ag Getriebeeinheit zur Führung eines Antriebsmomentes von einer Antriebswelle auf zwei Abtriebswellen
RU2471689C2 (ru) * 2008-04-23 2013-01-10 Оргапак Гмбх Мобильное обвя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WO2009129633A1 (de) * 2008-04-23 2009-10-29 Orgapack Gmbh Umreifungsvorrichtung mit einer getriebeeinrichtung
CN201411059Y (zh) * 2008-04-23 2010-02-24 奥格派克有限公司 带有储能器的捆扎设备
RU2471687C2 (ru) * 2008-04-23 2013-01-10 Оргапак Гмбх Обвя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натяжным приспособлением
US10518914B2 (en) 2008-04-23 2019-12-31 Signode Industrial Group Llc Strapping device
CN201411057Y (zh) * 2008-04-23 2010-02-24 奥格派克有限公司 带有电子传动装置的捆扎设备
CH705743A2 (de) 2011-11-14 2013-05-15 Illinois Tool Works Umreifungsvorrichtung.
CN105324310B (zh) 2012-09-24 2018-03-27 信诺国际Ip控股有限责任公司 捆扎装置
DE102012022636B4 (de) * 2012-11-16 2021-02-11 Magna Pt B.V. & Co. Kg Querdifferential mit elektromechanischer Reibkupplung zur Sperrung
CH708294A2 (de) 2013-05-05 2014-12-15 Orgapack Gmbh Umreifungsvorrichtung.
PL3105128T3 (pl) 2014-02-10 2021-11-22 Signode International Ip Holdings Llc Urządzenie do taśmowania z urządzeniem do przesuwu taśmy w przód
USD864688S1 (en) 2017-03-28 2019-10-29 Signode Industrial Group Llc Strapp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2587A (ja) * 1983-07-15 1985-02-19 Fuji Electric Co Ltd 電動機の制御装置
DE3335237A1 (de) * 1983-09-29 1985-04-11 Kress-elektrik GmbH & Co, Elektromotorenfabrik, 7457 Bising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gelung eines elektromotors, bei welchem die drehzahl im lastfreien leerlaufbetrieb automatisch abgesenkt wird
US4805486A (en) * 1986-06-04 1989-02-21 Tochigifujisangyo Kabushiki Kaisha Locking differential gear assembly
DE3815225A1 (de) * 1988-05-05 1989-11-16 Uni Cardan Ag Sperrbares ausgleichsgetriebe
DE3915959A1 (de) * 1989-05-18 1990-11-22 Gkn Automotive Ag Ausgleichsgetriebe
DE3920861A1 (de) * 1989-06-07 1990-12-13 Gkn Automotive Ag Ausgleichsgetriebe
US5141084A (en) * 1990-09-28 1992-08-25 Sundstrand Corporation Brake sto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731A (ko) 2002-07-05
EP1219846A3 (de) 2003-02-12
DE10065356C1 (de) 2002-09-12
JP3655585B2 (ja) 2005-06-02
JP2002235830A (ja) 2002-08-23
US6715375B2 (en) 2004-04-06
EP1219846B1 (de) 2004-05-06
ATE266159T1 (de) 2004-05-15
US20020108459A1 (en) 2002-08-15
EP1219846A2 (de) 200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7446B1 (ko) 복원 운동의 전기기계적 토크 제어 및 가속 방법
US6659250B2 (en) Electro-mechanical torque control-elimination of stopping noise
KR930000569B1 (ko) 외부 가변 제어식 체결 커플링을 갖는 차동 구동체
RU2408810C2 (ru) Механизм блокировки механического блокирующегося дифференциала
JPS63219953A (ja) デイスク式無段変速装置
JPH034055A (ja) 差動装置
US6182808B1 (en) Viscous actuated ball ramp clutch having through shaft capability
US5156247A (en) Connectable or disconnectable viscous coupling
FR2648203A1 (fr) Differentiel destine en particulier a un essieu moteur de vehicule automobile et comportant un blocage constitue notamment d'un coupleur a fluide visqueux
JP2000104767A (ja) 2重ボ―ルランプ機構を利用した摩擦ブレ―キ
JP2804144B2 (ja) 円筒コロ型二方向クラッチ
US5516332A (en) Driven pulley with flyweights effective at low speeds
US7000492B2 (en) Axial adjusting device with spring support during the return motion
KR100369415B1 (ko) 제어 가능한 점성 커플링
JP4001533B2 (ja) 軸方向設定装置
JP2005114176A (ja) 遠心クラッチ
US6886679B2 (en) Axial setting device with spring-supported return
NL8302693A (nl) Elektromotor met een reminrichting.
KR100204643B1 (ko) 전자식 동력조향장치
JP3668082B2 (ja) カップリング
EP0485661B1 (en) A wrench
KR100309345B1 (ko) 차동제한장치
JP4211421B2 (ja) クラッチ装置
JP2007505274A (ja) 軸方向調節装置
KR100214958B1 (ko) 원심력을 이용한 자동차의 자동차동제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