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5376B1 - 차량용 컵 홀더 - Google Patents

차량용 컵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5376B1
KR100405376B1 KR10-2000-0079874A KR20000079874A KR100405376B1 KR 100405376 B1 KR100405376 B1 KR 100405376B1 KR 20000079874 A KR20000079874 A KR 20000079874A KR 100405376 B1 KR100405376 B1 KR 100405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upper holder
state
cas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9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6278A (ko
Inventor
다나카츠토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10086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6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3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과제) 사용자의 손가락등이 끼일 우려가 없도록 안전성을 확실하게 한 차량용 컵 홀더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케이스(1,2)에 대하여 압입되는 수납상태와 인출되는 사용상태로 전환가능함과 아울러 삽입되는 컵류(k)의 주위를 구속하는 유지구멍(32)을 가지는 상부홀더(3)와, 상부홀더(3)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상부홀더(3)와 함께 케이스(1,2)내에 수납되고, 사용상태에서 상부홀더(3)에서 하측으로 수하되어 상기 유지구멍(32)에 삽입되는 컵류(k)의 하면을 받치는 하부홀더(4)를 구비한 구조에 있어서, 하부홀더(4)가 상부홀더(3)에 대하여 상부홀더(3)의 슬릿(7)과 지지부(41)의 축부(6)와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또한 회동가능하게 조립됨과 아울러, 상부홀더(3)를 사용상태에서 수납상태로 전환하는 초기과정에서, 축부(6)를 슬릿(7)을 따라서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는 축위치변경수단{암부(8) 등}을 가지며, 이 축위치변경수단에 의해서, 축부(6)를 지지점으로 하는 하부홀더(4)의 회전궤적(S2)을 상부홀더(3)를 수납상태로 전환하는 초기과정에서 상기 사용상태일 때보다도 상대적으로 후방측으로 치우치게 하여 재치부(42)의 선단과 유지구멍(32)의 전방측 내주면간의 간격을 확대가능하게 하였다.

Description

차량용 컵 홀더{Cup holder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음료수가 담긴 캔, 컵, 종이 팩 등의 음료용기(이하, 이것을 총칭하여 "컵류"라 한다)가 쓰러지지 않도록 유지하기 위한 차량용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차량용 컵 홀더로서는 각종의 구조의 것이 제안되어 있으며, 고급차량등에는 외관이나 스페이스 등을 중시한 절첩식이나 인출식의 것이 채용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절첩식과 인출식 중, 일본국 공개특허 평9-48273호, 공개특허 평8-192669호 등에 예시되어 있는 인출식의 것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도 10의 (a),(b)는 상기 공개특허 평8-192669호에 예시된 컵 홀더를 수납상태와 사용상태로 나타낸 것이다. 이 컵 홀더는, 전면에 개구부(50a)를 형성한 케이스(50)와, 케이스(50)내에 압입된 수납상태{도 10의 (a)}와 케이스(50)내에서 인출된 사용상태{도 10의 (b)}로 전환되는 상부홀더(51)와, 컵류(k)의 하면을 받치는 하부홀더(52)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50)는 상기 개구부(50a)를 통해서 상부홀더 (51)가 내부로 압입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차실내의 인스트러먼트 패널측에 일체적으로 부착된다. 상부홀더(51)에는 그 전면에 조작부(51a)가 형성되고, 그 상면에 삽입되는 컵류(k)의 주위를 구속하는 유지구멍(51b)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홀더 (52)는 그 후단측이 상부홀더(51)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상부홀더(51)와 함께 케이스(50)내에 수납됨과 아울러, 사용상태에서 후단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부홀더(51)에서 하측으로 수하(垂下)되어 유지구멍(51b)에 삽입된 컵류(k)의 하면을 받치는 것이다. 즉, 이 구조에서는, 대소의 컵류(k2,k1)가 상부홀더(51)의 유지구멍 (51b)에 상측에서 삽입되면, 상부홀더(51)의 하측으로 수하된 하부홀더(52)의 재치부(載置部)(52a)에 의해서 컵류(k)의 하면이 받쳐짐과 동시에 그 상부가 유지구멍 (51b)의 내주면에 의해서 구속된다. 따라서, 컵류(k)로서는 유지구멍(51b)의 내경치수 이하의 것, 또한 하부홀더(52)의 재치부(52a)에 받쳐지는 크기의 것이라면 일단 유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컵 홀더는 컵류(k)를 하부홀더(52)의 재치부(52a)로 받치기 위해서 하부홀더(52)를 판재로 구성하고, 지지부(52b)에 절결부(52c)를 재치부(52a)와 근접하게 형성하여 재치부(52a) 위에 놓여지는 컵(k)류에 대한 랩(wrap)대를 확보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이것은, 재치부(51a)의 판폭치수를 단순히 크게 하면, 케이스(50)의 개구부(50a)의 높이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컵 홀더 전체가 두껍게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피부착부로서의 인스트러먼트 패널에 조립되는 것은 오디오등과 같은 다른 기기류와 함께 설치되어야 하는 설치공간의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특히 두께적으로 얇게 하여야 한다는 사정이 있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컵 홀더는 사용의 편리함이 개선되고 두께적으로 소형화되어 왔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아직도 가지고 있다.
첫째로, 종래의 구조에서는,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재치부(52a)와 조작부(51a)와의 사이, 즉 재치부(52a)의 선단과 유지구멍(51b)의 전방측 내주면과의 사이로 손가락(F)을 잘못 끼워넣은 상태에서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홀더(51)를 부주의하게 눌러서 약간 슬라이드시켰을 때에도 손가락 (F)이 끼이게 된다는 안전성에 대한 배려가 결여되어 있다.
이것은, 컵류(k)를 안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재치부(52a)를 유지구멍(51a)의 후방측 하측보다도 중앙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여야 하고, 또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홀더(52)가 축부(53)를 지지점으로 하여 하측으로 수하되었을 때에 재치부(52a)와 유지구멍(51a)과의 사이에 소정의 수직거리(MO)를 확보해야만 하는 점, 하부홀더(52)가 상부홀더(51)내에 수납어야 한다는 길이적인 제약을 받는 점 등에 의해서 회전궤적(SO)이 유지구멍(51b)의 전방측 내주면에 근접하게위치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도 11의 (a)에 있어서의 축부(53)를 단순히 후방측으로 설정하여 회전궤적(SO)을 조작부(51a)에서 떨어지도록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때에는 재치부(52a)도 유지구멍(51a)내의 후방측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컵류(k)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또, 도 11의 (a)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과 같이 하부홀더(52A)의 전체 길이 및 축부(53a)의 위치를 변경하여 재치부(52a)의 위치를 확보하면서 회전궤적(S1)을 얻도록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때에는 상부홀더(51)에 대한 하부홀더(52A)의 수납성이 손상되게 된다.
둘째로, 종래의 구조에서는, 도 10의 (a)에 나타낸 수납상태와 같이 케이스 (50)의 전후 길이를 상부홀더(52)의 전후 길이보다도 길게 하여야 하기 때문에, 차량의 사양에 따라서는{예를 들면, 피부착부로서의 인스트러먼트 패널측에 형성되는 설치공간의 깊이가 작은 경우 등} 이것을 설치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 상부홀더(50)를 짧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때에는 유지구멍(51b)의 내경치수를 확보할 수 없게 된다.
셋째로, 종래의 구조에서는, 하부홀더(52)가 항시 상부홀더(51)에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케이스(50)내에서 인출되는 과정에서 축부(53)를 지지점으로 하여 하측으로 수하되게 된다. 이 하부홀더(52)가 하측으로 수하되는 작동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탄지력 및 자체중량에 비례한 속도로 행해지는데, 조작부 (51a)에 근접한 회전궤도(SO)을 따라서 하측으로 수하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위화감이나 위압감을 주기 쉽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사용자의 손가락등이 끼일 우려가 없도록 안전성을 확실하게 하고, 피부착부측의 설치공간에 대한 자유도를 확대하고, 하부홀더가 하측으로 수하되는 작동도 개선가능한 차량용 컵 홀더를 얻는 것에 있다. 또다른 목적은 이하의 설명중에서 명확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의 요부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상기 컵 홀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도면
도 3은 상기 컵 홀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은 상기 컵 홀더의 수납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7은 상기 컵 홀더의 수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상기 컵 홀더의 개략 외관도
도 9는 케이스측과 축위치변경수단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10은 종래의 컵 홀더의 수납상태와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
도 11은 종래의 컵 홀더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외측 케이스 2 - 내측 케이스
24 - 오목부 3 - 상부홀더
31 - 조작부 32 - 유지구멍
34 - 관통구멍 4 - 하부홀더
41 - 지지부 42 - 재치부
45 - 오목부(제 1 오목부) 5 - 스프링(제 1 스프링)
6 - 축부 7 - 슬릿
8 - 암부 47 - 축부
48 - 돌기부 49 - 오목부(제 2 오목부)
9 - 스프링(제 2 스프링) k,k1,k2 - 컵류
S0∼S3 - 하부홀더의 회전궤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에 개구부를 형성한 케이스(1,2)와; 상기 케이스(1,2)내에 압입되는 수납상태와 케이스(1,2)내에서 인출되는 사용상태로 전환가능함과 아울러 삽입되는 컵류(k)의 주위를 구속하는 유지구멍(32)을 가지는 상부홀더(3)와; 재치부(42) 및 지지부(41)를 가지며, 상기 상부홀더(3)에 지지부(41)를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상부홀더(3)와 함께 케이스(1,2)내에 수납되고, 또한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부홀더(3)에서 하측으로 수하되어 상기 유지구멍(32)에 삽입되는 컵류(k)의 하면을 받치는 하부홀더(4);를 구비하고 있는 차량용 컵 홀더에 있어서, 상기 하부홀더(4)가 상기 상부홀더(3)에 대하여, 상기 상부홀더(3)측의 슬릿(7)과 상기 지지부(41)측의 축부(6)와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슬라이드가능하게 또한 회동가능하게 조립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홀더(3)가 사용상태에서 수납상태로 전환되는 초기과정에서 상기 축부(6)를 슬릿(7)을 따라서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는 축위치변경수단{암부(8) 등}을 가지며, 상기 축위치변경수단에 의해서 상기 축부(6)를 지지점으로 하는 상기 하부홀더(4)의 회전궤적(S2)을 상기 상부홀더(3)를 수납상태로 전환하는 초기과정에서 상기 사용상태일 때보다도 상대적으로 후방측으로 치우치게 하여 상기 재치부(42)의 선단과유지구멍(32)의 전방측 내주면간의 간격을 확대가능하게 한 것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하부홀더(4)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홀더(3)에 대하여 슬릿(7)과 축부(6)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슬라이드가능하게 또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부홀더(3)가 압입되어 사용상태에서 수납상태로 전환되는 초기과정에서 암부(8) 등으로 구성되는 축위치변경수단에 의해서 하부홀더(4)측의 축부(6)를 상기 슬릿(7)을 따라서 후방측으로, 즉 상부홀더(3)가 압입되는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축부(6)를 지지점으로 하는 하부홀더(4)의 회전궤적(S2)을 사용상태일 때보다도 상대적으로 후방측이 되는 회전궤적(S3)으로 변경하여 재치부(42)의 선단과 유지구멍(32)의 전방측 내주면간의 간격을 확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치부(42)의 선단과 조작부(31){유지구멍(32)의 전방측 내주면} 사이로 손가락(F)을 잘못 끼워넣은 상태에서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홀더(3)를 부주의하게 누른다 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손가락(F)이 끼인다고 하는 우려가 해소된다. 이러한 이점은, 사용상태에 있어서, 하부홀더(4)의 재치부(42)와 상부홀더(3)의 유지구멍(32)과의 사이에 소정의 수직거리를 확보하고 또한 재치부(42)가 유지구멍(32)의 중앙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더라도 기능하는 것이므로, 컵류(k)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회전궤적의 변경은 도 1의 (b)의 상태에서 도 1의 (a)의 사용상태로 할 때에도 작용하므로, 하부홀더(4)가 하측으로 수하되는 작동시에 위화감이나 위압감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체화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첫째로, 상기 케이스는 전후면에 개구부를 형성한 외측 케이스(1)와, 상기 외측 케이스(1)의 전면 개구부에서 돌출되는 사용상태 및 상기 외측 케이스(1)의 후면 개구부에서 돌출되는 수납상태로 슬라이드 전환 가능한 내측 케이스(2)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홀더(3)를 상기 내측 케이스(2)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조립한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부홀더(51)가 케이스 (50)에 대하여 직접 인출되고 수용되는 종래예에 비해, 상부홀더(3)의 전방측으로의 돌출량을 외측 케이스(1)에 대한 내측 케이스(2)의 슬라이드량 만큼 증가시켜 확보할 수 있으며, 또 내측 케이스(2)가 상부홀더(3)를 거의 수용한 상태에서 외측 케이스(1)에 수용되기 때문에, 수납상태에서의 컵 홀더의 전체 길이(도 7에 있어서의 L+L1)를 대폭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사양에 따라서 피부착부의 설치공간의 깊이가 작은 경우에도 채용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착부측의 설치공간의 깊이에 제약을 받지 않는 경우에는 내측 케이스(2)를 생략하고, 외측 케이스(1)와 상부홀더(3)와 하부홀더(4)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둘째로, 상기 축위치변경수단은, 상기 상부홀더(3)에 대응부를 회동가능하게 축지지함과 동시에 지지부(41)에 하측을 요동가능하게 연결한 암부(8)와, 상기 암부(8)의 상단부에 돌출형성된 돌기부(48)와, 상기 내측 케이스(2)에 형성되며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돌기부(48)와 걸어맞춰지고 또한 상기 수납상태로 전환되는 초기과정에서 이탈되는 오목부(24)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부홀더(3)가 하부홀더(4)와 함께 내측 케이스(2)에서 인출되어 사용상태로 되기 직전에 돌기부(48)가 오목부(24)에 걸어맞춰짐으로써 내측 케이스(2)에 대한 상부홀더(3)의 전방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반대로, 상부홀더(3)가 내측 케이스(2)내로 압입되는 초기과정에서 오목부(24)에 대한 돌기부(48)의 걸어맞춤이 해제됨과 동시에 암부(8)가 축부(47)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돔됨으로써, 하부홀더(4)의 축부 (6)를 슬릿(7)을 따라서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이동시킨다. 즉, 하부홀더(4)는 회동중심이 되는 축부(6)가 슬릿(7)을 따라서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도 1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상태시의 회전궤적(S2)에서 회전궤적 (S3)으로 변경된다. 또한, 이 축위치변경수단은 상기한 암부(8) 대신에, 예를 들면 기어기구등에 의해서 하부홀더(4)를 이동시켜 회전궤적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셋째로, 상기 하부홀더(4)는 상기 암부(8)와의 사이에 설치된 제 1 스프링 (5)을 가지며, 상기 제 1 스프링(5)에 의해서 상기 상부홀더(3)의 하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지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 1 스프링(5)은 사용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하부홀더(4)를 그 탄지력에 대응한 속도로 상부홀더(3)에서 하측으로 수하시키는 작용과 하부홀더(4)의 유동이나 덜걱거림을 흡수하는 작용을 겸한다.
넷째로, 상기 암부(8)는 상기 상부홀더(3)측과의 사이에 설치된 제 2 스프링 (9)을 가지며, 상기 돌기부(48)가 상기 제 2 스프링(9)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오목부(24)에서 이탈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 2 스프링(9)은 돌기부(48)와 오목부(24)의 걸어맞춤상태를 유지시키는 작용과, 돌기부(48)가 오목부(24)에서 이탈되는 걸어맞춤해제상태에 있어서의 암부(8)의 유동이나 덜걱거림을 흡수하는 작용을 겸한다.
다섯째로, 상기 제 1 스프링(5)이 상기 하부홀더(4)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 1 오목부(45)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스프링(9)이 상기 암부(8)의 상단부에 형성된제 2 오목부(49)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 구조는 상하방향의 스페이스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암부(8)의 회동과 양 스프링(5,9)의 배치부를 확보하는 것이다.
여섯째로, 상기 하부홀더(4)가, 상기 지지부(41)의 하측에 재치부(42)를 반원형상으로 돌출형성하고 또한 상기 재치부(42)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41)의 일부를 잘라낸 절결부(43)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재치부(42)가 상기 유지구멍(32)의 대략 중앙 하측에 배치되는 구성이다. 이 구조는 컵류(k)를 안정하게 또한 확실하게 유지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최적한 예로서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각종의 제한이 부가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컵 홀더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a),(b)는 도 2의 A-A선 요부 단면도로서, (a)는 컵 홀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고, (b)는 수납상태로 전환된 초기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컵 홀더의 사용상태를 위에서 본 도면이고, 도 3은 컵 홀더의 사용상태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컵 홀더의 수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6은 컵 홀더를 위에서 본 도면이고, 도 7은 도 2의 A-A선에 대응시킨 단면도이다. 도 8은 컵 홀더의 개략적인 외관도이고, 도 9는 케이스측과 축위치변경수단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컵 홀더는, 케이스를 구성하는 외측 케이스(1) 및 내측 케이스(2)와, 상부홀더(3)와, 하부홀더(4)와, 하부홀더(4)를 탄지하는 스프링 (5)과, 하부홀더(4)를 상부홀더(3)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또한 회동가능하게 축지지하는 축부(6) 및 슬릿(7)과, 축부(6)의 축위치변경수단을 구성하는 암부(8) 및 스프링(9)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부재는 스프링(5,9)을 제외하고 모두 수지성형품으로 되어 있으나, 재질적으로는 수지 이외이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컵 홀더는 피부착부로서 자동차의 센터콘솔이나 인스트러먼트 패널에 조립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개발되었으나, 예를 들면 차실내에 설치된 각종 콘솔이나 좌석 등에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재구성)
외측 케이스(1)와 내측 케이스(2) 및 상부홀더(3)는, 외측 케이스(1)가 피부착부측에 형성된 장착부에 장착되고, 내측 케이스(2)가 외측 케이스(1)에 대하여 도 1의 (a)의 인출된 사용상태와 도 7의 압입된 수납상태로 슬라이드전환 가능하게 조립되고, 또한 상부홀더(3)가 내측 케이스(2)에 대하여 인출된 사용상태와 압입된 수납상태로 슬라이드전환 가능하게 조립되는 관계로 되어 있으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상기 외측 케이스(1) 및 내측 케이스(2)는 그 전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부홀더(3)는 그 전면에 형성된 조작부(31)를 제외하고 상기 내측 케이스(2)에 수납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외측 케이스(1)는 도 2 내지 도 4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11), 하면(12), 양 측면(13)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으며, 그 전후면은 개방된 개구부로 되어 있다. 상면(11)에는 부착돌기(14)가 대략 중앙에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1싸의 단붙임 규제부(15)가 전방측에 형성되어 있다. 하면(12)은 그 후방측이 크게 결여되어 있으며, 전방측에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위치결정용 돌기부(16)를 가지고 있다. 양 측면(13)의 내측에는 안내편(17)이 서로 대향된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내편(17)과 상면(11) 사이에 가이드홈(18)이 형성된다. 또, 도 2의 파단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케이스(2)의 전방측으로의 이동범위를 규제하는 오목부(1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9)는 측면(13)에 있어서의 전측부분을 후측부분보다도 일단(一段) 두껍게 형성한 전측벽부의 경계선에 위치하고 있다.
내측 케이스(2)는 그 전후면이 개방되고 저면이 결여된 대략 'ㄷ'자형상을 이루며, 상면(21)과 양 측면(22)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다. 길이적인 면에 있어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케이스(1)의 최대 칫수(L)보다도 약간 길게 되어있다. 상면(21)은 도 2, 도 4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단부측이 외측으로 약간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18)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걸림단부(23)와, 전방측 중간부에 관통된 상태로 형성된 대략 장방형상의 오목부(24)와, 오목부(24)와 대향하는 전단부를 원호형상으로 형성한 원호부(25)를 가지고 있다. 양 측면(22)의 내측에는 안내편(26)이 서로 대향된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내편(26)과 상면(21) 사이에 가이드홈(27)이 형성된다. 양 측면(22)의 외측에는 도 2의 파단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후단부측에 부착부(2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부착부(28)에 탄성걸림부재(29)가 끼워맞춰져 있다. 이 탄성걸림부재(29)는 그 중간부가 볼록형상으로 형성된 수지제의 판스프링으로서, 이 볼록형상부가 측면(2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도시하지 않은 부착부(28)의 슬릿에 끼워맞춰진다.
상기한 내측 케이스(2)는 외측 케이스(1)에 대하여 걸림단부(23)를 가이드홈 (18)에 끼워맞춘 상태에서 압입하면, 도 7에 나타낸 수납상태와 같이 외측 케이스 (1)내에 수납됨과 동시에 그 후단부측이 외측 케이스(1)의 후면 개구부에서 칫수 L1 만큼 약간 돌출된다. 상기 탄성걸림부재(29)는 상기한 수납상태에서 부착부(28)에 끼워맞춰진다. 이와 같이 하면, 내측 케이스(2)는 탄성걸림부재(29)의 볼록형상부에 의해서 진동등에 의한 영향을 받더라도 외측 케이스(1)에서 불필요하게 인출되는 것이 규제되며, 동시에 상기 탄성걸림부재(29)의 볼록형상부를 탄성적으로 퇴피시키면서 걸림단부(23)와 가이드홈(18)의 안내작용에 따라서 외측 케이스(1)내에서 인출될 때에는 상기 볼록형상부가 상기 오목부(19)에 걸어맞춰지는 최전방위치에서 규제된다. 이 탄성걸림부재(29)는 외측 케이스(1)에 대한 내측 케이스(2)의 유동도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탄성걸림부재(29)는 내측 케이스(2)를 수납상태 및 인출상태의 두 위치에서 규제가능한 것이라면 다른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상부홀더(3)는 그 전면에 조작부(31)를, 그 상면에 도시하지 않은 컵류(k)가 상측에서 삽입되는 유지구멍(32)을 가지고 있으며, 내측 케이스(2)에 수납된 상태에서 조작부(31)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가 횡단면 대략 'ㄷ'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31)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 케이스(1) 및 내측 케이스(2)의 각 전면 개구부를 외측에서 덮는 크기로 되어 있다. 유지구멍(32)은 본체의 상면(33)에 직경 R로 된 관통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면(33)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구멍(34)이 오목부(24)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27)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걸림단부(33a)를 일체로 가지고 있다. 관통구멍(34)은 유지구멍(32)의 후측 근방에 관통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면(33)의 하측에는 도 4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돌편부(36)가 관통구멍(34)의 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다. 양 돌편부(36)는 후술하는 지지부 (41)의 판폭에 대응한 간격을 두고서 형성되며, 그 후단부에는 축구멍(37)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본체의 측면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7)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7)은 측면의 후방측에 위치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부홀더(4)의 축부(6)를 소정량만큼 이동시킬 수 있는 길이(H)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면부호 35는 유지구멍(32)의 내측에 형성된 출몰가능한 서브 홀더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서브홀더(35)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있으나, 이것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출원 평11-233847호나 특허출원 평11-297871호 등에 기재된 것과 유사하며, 유지구멍(32)내로 삽입되는 컵류(k1)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이라 하더라도 서브 홀더(35)의 돌출량에 의해서 이 작은 컵류(k1)의 주위를 규제함으로써 흔들림등의 요동을 억제한다.
하부홀더(4)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판형상의 지지부(41)와, 지지부(41)의 하측에 대략 반원형상으로 돌출형성된 재치부(42)를 일체로 가지고 있으며, 이 재치부(42)에 대응하여 지지부(41)의 일부를 잘라낸 절결부(4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조에서는 상기 사용상태에서 재치부(42)가 지지부 (41)를 통해서 유지구멍(32)의 대략 중앙 하측에 배치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지지부(41)는 양 측면에 돌출형성된 축부(6)와, 상단부 중간에 형성된 제 1 오목부(45) 및 이 제 1 오목부(45)의 양측에 형성된 받이홈(44)을 가지고 있다. 양 축부(6)는 상기 상부홀더(3)의 측면에 형성된 슬릿(7)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또한 회동가능하게 걸어맞춰진다. 하부홀더(4)는 상기한 걸어맞춤에 의해서 상부홀더(4)에 대하여 슬릿(7)의 길이만큼 이동가능하게 된다. 제 1 오목부(45)는 그 대향면에 부착축(45a)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 1 스프링(5)은 이 부착축(45a)에 의해서 위치가 규제된 상태로 제 1 오목부(45)내에 수용되며, 그 일단측을 지지부(41)측에 걸고 타단측을 후술하는 암부(8)에 걸음으로써 상부홀더(3)에 슬릿(7)과 축부(6)를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는 하부홀더(4)가 하측(도 1 및 도 4의 상태에서의 시계방향)으로 탄지되게 된다. 또한, 받이홈(44)은 이 홈의 횡방향으로 형성된 요동축 (44a)을 가지고 있다.
암부(8)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단부측에 형성된 걸림부(46)와, 각 걸림부(46)의 상측 외면에서 돌출된 축부(47)와, 상단부의 중간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돌기부(48)와, 돌기부(48)의 편측에 형성된 제 2 오목부(49)를 일체로 가지고 있다. 각 걸림부(46)는 하측으로 돌출되며, 그 하단측에 대략 V자형상의 걸어맞춤부(46a)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오목부(49)에는 상기한 제 1 오목부(45)의 부착축(45a)과 마찬가지로 부착축을 가지고 있으며, 제 2 스프링(9)이 이 부착축에 의해서 위치가 규제된 상태로 수용된다. 그리고, 이 암부(8)는 상부홀더(3)에 대하여 양 축부(47)를 각 돌편부(36)의 축구멍(37)에 끼워맞춤으로써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된다. 이 때, 제 2 스프링(9)은 이미 제 2 오목부(49)에 수용되어 있다. 이 제 2 스프링(9)은 그 일단측을 암부(8)측에 걸고 타단측을 상부홀더(3)의 돌편부(36)측에 걸음으로써, 상부홀더(3)에 축부(47)와 축구멍(37)을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는 암부(8)가 상측방향(도 1 및 도 4의 상태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탄지되게 된다.
상기한 암부(8)와 하부홀더(4)를 상부홀더(3)에 대하여 각각 상기한 요령에 따라서 조립함에 의해서 암부(8)가 하부홀더(4)의 상단부에 밀접하게 배치되면, 끼워맞춤부(46a)의 내측에 요동축(44a)이 끼워맞춰지도록 양 걸림부(46)를 대응하는 받이홈(44)에 유동가능하게 끼운다. 제 1 스프링(5)은 상기한 요령에 따라서 일단측을 지지부(41)에 걸고 타단측을 암부(8)의 대응부에 건다. 이와 같이 하면, 하부홀더(4)는 도 1의 (a)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홀더(3)에 대하여 슬릿(7)과 축부(6)를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된 상태에서 수하되는 시계방향으로 탄지되고, 동시에 암부(8)는 제 2 스프링(9)의 탄지력에 의해서 축부(47)를 지지점으로 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탄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 2 스프링(9)의 탄지력이 제 1 스프링(5)보다도 약하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암부(8)의 돌기부(48)가 관통구멍 (34)을 통해서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부홀더(3)는 하부홀더 (4) 및 암부(8)를 조립한 상태에서 내측 케이스(2)에 조립된다. 이 경우는, 하부홀더(4)를 제 1 스프링(5)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상부홀더(3)의 내측으로 회전조작하면, 암부(8)가 제 2 스프링(9)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48)가 관통구멍(34)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부홀더(3)를 내측 케이스(2)에 대하여 걸림단부(33a)를 가이드홈(27)에 끼워맞추면서 압입하면, 도 1의 (a)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48)가 오목부(24)에 도달하였을 때, 관통구멍(34)에서 오목부(24)내로 돌출됨으로써 사용상태로 조립된다.
(작동)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컵 홀더의 사용방법등에 대해서는 종래와 같으므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유한 작동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이 차량용 컵 홀더의 사용상태에서는 각 부재가 다음과 같은 관계로 되어 있다. 내측 케이스(2)는 외측 케이스(1)에 대하여 상기 탄성걸림부재(29)와 오목부 (19)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최전방위치에서 규제된다. 상부홀더(3)는 내측 케이스 (2)에 대하여 암부(8)의 돌기부(48)와 오목부(24)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최전방위치에서 규제된다. 하부홀더(4)는 제 1 스프링(5)의 탄지력에 의해서 상부홀더(3)에서 하측으로 수하됨과 동시에, 암부(8){걸림부(46)의 끼워맞춤부(46a)와 요동축(44a)의 끼워맞춤}에 의해서 축부(6)가 슬릿(7)내의 전방측 내주연에 맞닿은 상태에서 소정의 경사각으로 유지된다. 그리고, 하부홀더(4)의 재치부(42)가 유지구멍(32)의 대략 중앙 하측{도 1의 (a)에 나타낸 부호 '0'의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유지구멍 (32)에 삽입된 컵류(k)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컵 홀더는 슬라이드조작에 의해서 상기한 사용상태에서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수납상태로 전환되는 점에 대해서는 종래와 같으나, 그 전환동작이 종래의 컵 홀더와는 크게 다르다. 상세하게는, 상부홀더(3)를 후방측으로 눌러서 수납상태로 전환하는 초기과정, 즉 도 1의 (a),(b)에 나타낸 슬라이드과정에서는 우선 암부(8)가 오목부(24)에 걸어맞춰져 있는 돌기부(48)로부터의 반력(反力)을 받아 제 2 스프링(9)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돌기부 (48)가 오목부(24)에서 빠져 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암부(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끼워맞춤부(46a)와 요동축(44a)이 끼워맞춰져 있기 때문에, 하부홀더(4)는 시계반대방향으로 제 1 스프링(5)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회전하려고 한다. 이 회전력은 하부홀더(4)의 축부(6)를 슬릿(7)을 따라서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이와 같은 축부(6)의 이동은, 내측 케이스(2)가 외측 케이스(1)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므로, 탄성걸림부재(29)와 오목부(19)의 걸어맞춤력이 상기한 회전력보다도 크게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 케이스(2)는 도 1의 (b)에 나타낸 상태에서 상부홀더(3)를 내부에 수납함과 동시에 외측 케이스(1)에 대하여 압입되어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수납상태로 된다. 또한, 하부홀더(4)는 도 1의 (b)에 나타낸 상태에서 상부홀더(3)와 함께 후방측으로 이동될 때에, 외측 케이스(1)의 하면(12)의 전단부에 맞닿아 슬라이드하면서 도 7에 나타낸 수납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하부홀더(4)는 상부홀더(3)를 후방측으로 눌러서 수납상태로 전환하는 초기과정에서 축부(6)가 슬릿(7)을 따라서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이동함에의해서 도 1의 (a)에 나타낸 사용상태의 회전궤적(S2)이 도 1의 (b)에 나타낸 회전궤적(S3)으로 변경됨으로써, 재치부(42)의 선단과 유지구멍(32)의 전방측 내주면{즉, 조작부(31)의 내측}간의 간격이 확대된다. 이 회전궤적의 변경은,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재치부(42)의 선단과 조작부(31) 사이로 손가락(F)을 잘못 끼워넣은 상태에서 상부홀더(3)를 부주의하게 누른다 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손가락(F)이 끼인다고 하는 우려를 구조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 구조는, 예를 들면 하부홀더(4)의 축부(6)를 단순히 후방에 설치하여 상기한 회전궤적(S3)을 얻도록 하는 경우에는 재치부(42)의 위치도 후측으로 되어 컵류(k)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없게 된다는 점, 도 1의 (a)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홀더(52B)의 전체 길이 및 지지부(53b)에 의해서 재치부의 위치를 확보함으로써 회전궤적(S3)을 얻도록 하는 경우에는 하부홀더(52B)가 길어지게 되어 수납성이 훼손된다는 점 등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이다. 또, 이와 같은 회전궤적의 변경은 도 1의 (b)의 상태에서 도 1의 (a)의 사용상태로 할 때에도 작용하므로, 하부홀더(4)가 하측으로 수하되는 작동시에 위화감이나 위압감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컵 홀더에 의하면, 하부홀더는 상부홀더를 후방측으로 눌러서 사용상태에서 수납상태로 전환하는 초기과정에서 축부가 축위치변경수단에 의해서 케이스측에 형성된 슬릿을 따라서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축부를 지지점으로 하는 회전궤적을 상대적으로 후방측으로 치우치게 하여 재치부의 선단과 유지구멍의 전방측 내주면간의 간격을 확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간격내로 손가락을 잘못 끼워넣은 상태에서 컵 홀더를 사용상태에서 수납상태로 부주의하게 전환하였다 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손가락이 끼인다고 하는 우려가 없으므로, 품질 및 신뢰성을 안전성도 포함하여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전면에 개구부를 형성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압입되는 수납상태와 케이스내에서 인출되는 사용상태로 전환가능함과 아울러 삽입되는 컵류의 주위를 구속하는 유지구멍을 가지는 상부홀더와; 재치부 및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상부홀더에 지지부를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상부홀더와 함께 케이스내에 수납되고 또한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부홀더에서 하측으로 수하되어 상기 유지구멍에 삽입되는 컵류의 하면을 받치는 하부홀더;를 구비하고 있는 차량용 컵 홀더에 있어서,
    상기 하부홀더가 상기 상부홀더에 대하여, 상기 상부홀더측의 슬릿과 상기 지지부측의 축부와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슬라이드가능하게 또한 회동가능하게 조립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홀더가 사용상태에서 수납상태로 전환되는 초기과정에서 상기 축부를 상기 슬릿을 따라서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는 축위치변경수단을 가지며,
    상기 축위치변경수단에 의해서 상기 축부를 지지점으로 하는 상기 하부홀더의 회전궤적을 상기 상부홀더를 수납상태로 전환하는 초기과정에서 상기 사용상태일 때보다도 상대적으로 후방측으로 치우치게 하여 상기 재치부의 선단과 유지구멍의 전방측 내주면간의 간격을 확대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전후면에 개구부를 형성한 외측 케이스와, 상기 외측 케이스의 전면 개구부에서 돌출되는 사용상태 및 상기 외측 케이스의 후면 개구부에서 돌출되는 수납상태로 슬라이드전환 가능한 내측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홀더를 상기 내측 케이스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홀더.
  3. 창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위치변경수단은, 상기 상부홀더에 대응부를 회동가능하게 축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에 하측을 요동가능하게 연결한 암부와, 상기 암부의 상단부에 돌출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내측 케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돌기부와 걸어맞춰지고 또한 상기 수납상태로 전환되는 초기과정에서 이탈되는 오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는 차량용 컵 홀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홀더는 상기 암부와의 사이에 설치된 제 1 스프링을 가지며, 상기 제 1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상부홀더의 하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홀더.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암부는 상기 상부홀더측과의 사이에 설치된 제 2 스프링을 가지며,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제 2 스프링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오목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홀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프링이 상기 하부홀더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 1 오목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스프링이 상기 암부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 2 오목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홀더.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홀더가,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 재치부를 반원형상으로 돌출형성하고 또한 상기 재치부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의 일부를 잘라낸 절결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재치부가 상기 유지구멍의 대략 중앙 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홀더.
KR10-2000-0079874A 2000-01-18 2000-12-21 차량용 컵 홀더 KR1004053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08588 2000-01-18
JP2000008588A JP2001199272A (ja) 2000-01-18 2000-01-18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278A KR20010086278A (ko) 2001-09-10
KR100405376B1 true KR100405376B1 (ko) 2003-11-12

Family

ID=18536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874A KR100405376B1 (ko) 2000-01-18 2000-12-21 차량용 컵 홀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1199272A (ko)
KR (1) KR100405376B1 (ko)
TW (1) TW5502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48358B4 (de) * 2002-10-17 2011-08-1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80809 Becherhalter
JP2004175168A (ja) * 2002-11-26 2004-06-24 Nifco Inc 引出装置
US20110240810A1 (en) * 2009-12-08 2011-10-06 James Dominic France Cup Holder
DE102010022442A1 (de) * 2010-06-01 2011-12-01 Volkswagen Ag Anbauvorrichtung für den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s
CN110182118B (zh) * 2019-04-25 2020-11-17 浙江零跑科技有限公司 push式杯托盒与汽车副仪表盘的连接结构
CN110356305A (zh) * 2019-05-05 2019-10-22 浙江零跑科技有限公司 Ao级电动汽车的杯托结构
KR20210058477A (ko) * 2019-11-14 2021-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컵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50200B (en) 2003-09-01
JP2001199272A (ja) 2001-07-24
KR20010086278A (ko) 2001-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87632B2 (ja) 飲料容器のためのホルダ
US6085953A (en) Container holder for vehicles
KR100405376B1 (ko) 차량용 컵 홀더
US7121517B2 (en) Cup holder assembly with sliding partial ring
JP5096724B2 (ja) 車室内収納ケース
JP4020424B2 (ja) 車両用収納装置
JP5016350B2 (ja) 車両用物入装置
JP2007099180A (ja) 車両用物入装置
KR100422718B1 (ko) 글러브 박스 댐핑장치
KR100600131B1 (ko) 자동차용 컵홀더
JP3272291B2 (ja) カップホルダ
KR100352186B1 (ko) 차량용 컵홀더장치
JPH10297338A (ja) カップホルダー付きアームレスト
KR100336692B1 (ko) 자동차용 컵홀더
JP2000272401A (ja) ホルダー
KR100402772B1 (ko) 차량용 회동식 컵호울더
CN111559297B (zh) 饮料容器保持装置
KR100756952B1 (ko) 차량용 컵 홀더
KR19990031908U (ko) 자동차용 컵 홀더
JP2554589Y2 (ja) カップホルダ
KR200265084Y1 (ko) 자동차의 플로워 콘솔 부설 드링크 홀더
KR200197211Y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 백의 접힘부 구조
KR20040048024A (ko) 차량의 컵홀더 구조물
JPH061179A (ja) 乗物用カップホルダ装置
JP3146986B2 (ja) カップ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