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6692B1 - 자동차용 컵홀더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6692B1
KR100336692B1 KR1019990066303A KR19990066303A KR100336692B1 KR 100336692 B1 KR100336692 B1 KR 100336692B1 KR 1019990066303 A KR1019990066303 A KR 1019990066303A KR 19990066303 A KR19990066303 A KR 19990066303A KR 100336692 B1 KR100336692 B1 KR 100336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lower tray
cup holder
tray
rotar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6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8927A (ko
Inventor
오경익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66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6692B1/ko
Publication of KR20010058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8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6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4/00Package and article carriers
    • Y10S224/926Vehicle attached carrier for beverage container or bott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컵의 길이 컵의 직경, 컵의 단면 형상에 상관없이 어떠한 종류의 컵과 음료용기들을 모두 수납시킬 수 있도록 컵의 직경에 따라 탄지되는 서포트플레이트와, 컵의 길이를 지지하는 상부트레이와, 컵의 단면형상을 모두 포함하는 하부트레이로 나누어진 구조의 자동차용 컵홀더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컵홀더{Cup holde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컵의 길이와 컵의 직경에 상관없이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용 컵홀더는 오디오, 재떨이등이 설치되는 센터페시아 패널(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전면을 이루어 패널)에 장착되는 바, 종래에는 컵의 형상이 사각형이거나 길거나 직경이 크거나 하는 제한적인 요소에 따라 컵을 용이하게 수납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컵의 길이 컵의 직경, 컵의 단면 형상에 상관없이 어떠한 종류의 컵과 음료용기들을 모두 수납시킬 수 있도록 컵의 직경에 따라 탄지되는 서포트플레이트와, 컵의 길이를 지지하는 상부트레이와, 컵의 단면형상을 모두 포함하는 하부트레이로 나누어진 구조의 자동차용 컵홀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의 개방전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의 개방후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컵홀더 12 : 베젤
14 : 상부트레이 16 : 하부트레이
18 : 커버 20 : 래치
22 : 연결회동단 26 : 서포트 플레이트
28 : 리턴스프링 30 : 압축스프링
32 : 승하강 중공단 34 : 승하강단
36 : 회전축 38 : 댐바
40 : 기어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차체패널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회전축(36)과, 이 회전축(36)에 동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하부트레이(16)와, 이 하부트레이(16)의 후부 상면 후부에 일체형성된 승하강 중공단(32)에 압축스프링(30)과 함께 삽입된 승하강단(32)이 일체로 형성된 상부트레이(14)와, 이 상부트레이(14)의 승하강단(32)의 상단에 리턴스프링(28)에 의하여 고정된 서포트플레이트(26)와, 상기 하부트레이(16)와 상부트레이(14)와 서포트플레이트(26)가 저장되도록 차체패널상에 설치되는 베젤(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하부트레이(16)의 후면에는 상기 회전축(36)에 삽입되는 연결회동단(22)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이 연장회동단(22)은 베젤 하부의 차체패널에설치된 원터치식 래치(20)에 해제 가능하게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트레이(16)의 외부면에는 미관을 위한 커버(18)가 부착되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축(36)에는 코일스프링이 삽입되고 양끝단에는 기어(40)가 장착되며, 이 기어(40)에는 댐퍼(38)가 맞물림 가능하게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트레이(16)의 컵수납 공간은 수납될 컵의 단면 형상에 상관없이 수납시킬 수 있도록 안쪽은 사각형으로 바깥쪽으로 갈수록 원형의 만곡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예로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도면부호 12는 본 발명의 컵홀더(10)가 설치되고 미사용시 저장되는 베젤이다.
상기 베젤(12)의 저면에는 차체패널(10)에 회전가능하게 회전축(22)이 장착되는 바, 첨부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2)의 끝단에는 별도의 부재판과 기어(40)가 부착되어 있고, 이 기어(40)는 상기 부재판에 부착되는 댐퍼(Damper)와 맞물려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36)에는 코일스프링이 삽입되어 있고, 하부트레이(16)의 후면에서 곡선으로 연장된 연결회동단(22)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젤(12)의 저면에는 상기 연결회동단(22)이 원터치식으로 걸리거나 걸림해제되도록 한 통상의 래치(18)가 차체패널에 장착되어진다.
이때, 상기 하부트레이(16)의 상면에 형성된 컵수납 공간은 수납될 컵의 단면 형상에 상관없이 수납시킬 수 있도록 안쪽은 사각형으로 바깥쪽으로 갈수록 원형의 만곡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하부트레이(16)의 상면 안쪽에는 압축스프링(30)이 삽입된 승하강 중공단(32)이 일체로 성형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하부트레이(16)의 승하강 중공단(32)에는 상부트레이(14)의 저면에 일체 성형된 승하강단(34)이 압축스프링(30)의 탄성을 받으며 삽입되어진다.
한편, 상기 하부트레이(16)의 승하강단(34)의 상단에는 좌우로 회동되는 서포트플레이트(26)가 리턴스프링(28)에 의하여 복원 가능하게 고정되어지고, 상기 하부트레이(16)의 외부면에는 미관을 위하여 커버(18)가 부착되어진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자동차용 컵홀더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컵홀더(10)가 베젤(12)에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18)를 누르면, 상기 원터치식의 래치(20)에서 연결회동단(22)의 걸림이 해제됨과 동시에 하부트레이(16)가 회전축(36)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을 하게 되고, 상부트레이(14)도 전방으로 회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36)의 끝단에 부착된 기어(40)가 댐퍼(38)에 맞물려 회전축(36)의 회전속도를 완만하게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수납위치로 회동된 하부트레이(16)의 승하강중공단(32)으로부터 승하강단(34)이 압축스프링(30)의 탄성복원으로 상방향으로 탄지되며 이동을 하게 되는 동시에 승하강단(340과 일체로 된 상부트레이(14)가 상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트레이(14)의 승하강단(34)에 리턴스프링(28)으로 고정된 서포트플레이트(26)도 승강된 상태가 된다.
이에따라, 첨부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컵이나 음료용기를 상기 하부트레이(16)의 수납공간에 올려놓는 동시에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6)가 컵의 일측면을 리턴스프링의 탄지력으로 감싸게 된다.
한편, 상기 컵의 직경이 큰 경우에도 서포트플레이트(26)는 바깥쪽으로 탄지되며 이동되어 용이하게 컵의 둘레면을 감싸게 되어 컵의 유동을 잡아주게 된다.
물론, 상기 컵홀더(10)를 사용하지 않을때는 커버(18)를 밀어 상기 연결회동단(22)이 래치(20)에 원터식으로 걸리게 함으로써, 베젤(12)에 다시 저장되어진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에 의하면, 컵의 길이 컵의 직경, 컵의 단면 형상에 상관없이 어떠한 종류의 컵과 음료용기들을 모두 수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차체패널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회전축(36)과, 이 회전축(36)에 동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하부트레이(16)와, 이 하부트레이(16)의 후부 상면 후부에 일체형성된 승하강 중공단(32)에 압축스프링(30)과 함께 삽입된 승하강단(32)이 일체로 형성된 상부트레이(14)와, 이 상부트레이(14)의 승하강단(32)의 상단에 리턴스프링(28)에 의하여 고정된 서포트플레이트(26)와, 상기 하부트레이(16)와 상부트레이(14)와 서포트플레이트(26)가 저장되도록 차체패널상에 설치되는 베젤(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트레이(16)의 후면에는 상기 회전축(36)에 삽입되는 연결회동단(22)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이 연장회동단(22)은 베젤 하부의 차체패널에설치된 원터치식 래치(20)에 해제 가능하게 걸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트레이(16)의 외부면에는 미관을 위한 커버(18)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6)에는 코일스프링이 삽입되고 양끝단에는 기어(40)가 장착되며, 이 기어(40)에는 댐퍼(38)가 맞물림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트레이(16)의 컵수납 공간은 수납될 컵의 단면 형상에 상관없이 수납시킬 수 있도록 안쪽은 사각형으로 바깥쪽으로 갈수록 원형의 만곡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KR1019990066303A 1999-12-30 1999-12-30 자동차용 컵홀더 KR100336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303A KR100336692B1 (ko) 1999-12-30 1999-12-30 자동차용 컵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303A KR100336692B1 (ko) 1999-12-30 1999-12-30 자동차용 컵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8927A KR20010058927A (ko) 2001-07-06
KR100336692B1 true KR100336692B1 (ko) 2002-05-13

Family

ID=19633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6303A KR100336692B1 (ko) 1999-12-30 1999-12-30 자동차용 컵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66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356B1 (ko) * 2006-07-28 200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컵홀더
KR100746967B1 (ko) * 2006-08-08 200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컵홀더용 핑거장치
KR100802396B1 (ko) * 2006-08-09 2008-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컵홀더용 핑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8927A (ko) 200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8018A (en) Beverage holder for vehicle
US20060037984A1 (en) Container holding structure for vehicle
MXPA03003013A (es) Ensamble portaenvases.
JPH06191340A (ja) 肘掛けの開閉式カップホルダー
US5533772A (en) Ashtray and container holder for motor vehicles
US20110315730A1 (en) Cup holder for vehicle
JP3676782B2 (ja) ドリンクホルダ
KR100336692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00405376B1 (ko) 차량용 컵 홀더
KR100643958B1 (ko) 차량용 컵홀더 가이드 구조
CN220220410U (zh) 仪表板和车辆
KR0153197B1 (ko) 자동차용 음료수 홀더 어셈블리
KR100259958B1 (ko) 컵홀더 어셈블리
CN212950315U (zh) 一种汽车用折叠式防倒杯架
JP3609494B2 (ja) ホルダー付き自動車用灰皿
JP3049378B2 (ja) 車両用収納装置
CN210554379U (zh) 汽车内饰中控台
KR0131035Y1 (ko) 자동차의 컵홀더
KR19990031908U (ko) 자동차용 컵 홀더
KR100259959B1 (ko) 컵홀더 어셈블리
KR200202514Y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KR100526895B1 (ko) 자동차용 센터 컵홀더
JPH0530988Y2 (ko)
KR200152927Y1 (ko) 자동차의 접이식 컵홀더구조
KR200197574Y1 (ko) 자동차용 컵홀더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