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5137B1 - 내세탁성이 우수한 방향성 도포직물의 제조방법 및 이방법으로 제조된 방향성 도포직물 - Google Patents

내세탁성이 우수한 방향성 도포직물의 제조방법 및 이방법으로 제조된 방향성 도포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5137B1
KR100405137B1 KR10-2000-0087339A KR20000087339A KR100405137B1 KR 100405137 B1 KR100405137 B1 KR 100405137B1 KR 20000087339 A KR20000087339 A KR 20000087339A KR 100405137 B1 KR100405137 B1 KR 100405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abric
coated fabric
frag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7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9048A (ko
Inventor
박명수
Original Assignee
득금물산(주)
박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득금물산(주), 박명수 filed Critical 득금물산(주)
Priority to KR10-2000-0087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5137B1/ko
Publication of KR20020059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9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1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4Floor or wall coverings; Carpets

Landscapes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 상에 기능성 조성물을 도포한 도포직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직물 상에 방향성 조성물을 도포한 도포직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포직물은 기포지 상에 향료가 내입된 마이크로캡슐이 함유된 수지조성물을 도포하여 다공층 또는 화학발포체층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다공층 내의 공극에 향료가 내입된 마이크로캡슐이 부착되고, 상기 화학발포체층 내에 상기 마이크로캡슐이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도포직물은 방향 효과의 뛰어난 내구성뿐만 아니라, 할피가죽의 외관 및 터치 등의 감성도 겸비하고 있다. 나이프온에어 코터, 콤마온롤 코터 등의 통상의 도포장치 및 통상의 도포방법을 이용하여 장척, 광폭의 기포를 연속적으로 가공할 수 있어 생산성이 매우 높아 생산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할피가죽의 효과를 발현하는 방향성 원단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세탁성이 우수한 방향성 도포직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방향성 도포직물{Producing method of coated fabric giving off fragrance and having excellent washing resistance, and the coated fabric produc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직물 상에 기능성 조성물을 도포한 도포직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직물 상에 방향성 조성물을 도포한 도포직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염색가공 부문에서 발달한 고도의 기술을 사 또는 직물에 가공 응용한 소위 고기능성 섬유소재가 개발되어 의류용 섬유소재로서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용, 각종산업용 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들 기능성 섬유는 각종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물질을 섬유 또는 직물 상에 처리하여 제조되나, 이들 기능성 물질이 불안정하거나 섬유에 대한 친화력이 전혀 없어 이들 기능의 내구성이 없었다.
그러나 이들 기능성 물질을 마이크로캡슐화하여 섬유에 응용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는데, 종래의 방법으로는 섬유와의 부착성능면, 또는 섬유내 장기간 보지력면에서 미흡하여 기능성의 지속이 문제가 되어 왔다.
마이크로캡슐화란 수 내지 수백μ의 매우 작은 고분자 물질로 된 캡슐 내에 어떤 물질을 넣어주는 것을 말하며, 캡슐의 벽에 의하여 내부물질이 보호될 뿐만 아니라, 내부물질이 외부로 방출되는 시기, 장소, 속도 등은 벽을 이루는 물질의 재질 및 두께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자유로이 조절 가능하다.
섬유제품을 사용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향기를 발하는 섬유를 방향성 섬유라 한다. 방향성 섬유는 섬유에 향기성분 즉 향료를 처리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대부분의 향료는 탄소수 10 전후의 유기화합물로서 휘발성이 클 뿐 아니라 섬유에 대한 친화력이 전혀 없어 지속적으로 향기를 발할 수 없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향료를 함유하는 마이크로캡슐을 먼저 만들고 이를 섬유에 적당한 방법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이 마이크로캡슐이 섬유 올 사이에 부착되어 있다가 그 중 일부가 깨어져 향기를 발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 중 기존의 것은 마이크로캡슐의 부착력이 약해 내구성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고,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강한 바인더를 사용할 경우 불통기성 피막에 의해 내부에 존재하는 향료 성분이 바깥으로 휘발되기 어려워 그 효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방향성 섬유를 위한 향료가 내입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마이크로캡슐의 크기와 캡슐막의 강도이다. 캡슐막의 강도가 너무 약하면 섬유에 처리하는 동안 모두 파괴되어 일시에 향기가 모두 날아가 버리게 되며, 반대로 캡슐막이 너무 강하면 그것이 깨어지지 않아 직물 사용 중에 향기가 발산되지 않게 된다.
기능성 마이크로캡슐을 섬유에 부착시키는 방법은 종래에는 오토(auto), 로타리, 핸드스크린 등의 프린트법, 분무법, 침지법 등에 한정되었다. 또는 면섬유를 4급 암모늄 화합물, 피리디움(pyridium) 화합물, 디아마이드(diamide) 화합물로 양이온화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실시되고 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면섬유 표면을 양이온성으로 표면 개질한 다음 마이크로캡슐 표면을 음이온성으로 대전시켜, 섬유와 마이크로캡슐간에 이온결합이 일어나도록 해서 흡착 고착시킨 다음 합성수지 바인더를 처리하여 부착시켰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섬유에 직접 마이크로캡슐을 부착시키기 때문에 마찰견뢰도나 세탁성이 취약하여 내구지속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의 가네보사에서 1987년 개발한 삼림욕 섬유는 섬유제품에 향료가 내입된 마이크로캡슐을 특수 실리콘계 접착제로 부착시켜 개발하였다. 국내에서는 효성, 코오롱 등에서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한 방식으로 원단에 코팅하여 생산하였으나, 마이크로캡슐 코팅 방식에 의한 방향섬유의 경우 세탁견뢰도에 문제가 있거나, 향료의 다양한 조합이 어렵고, 코팅제에 의한 촉감의 저하 때문에 용도전개에 한계가 있었다.
종래에는 섬유류에 향료가 내입된 마이크로캡슐로 방향 가공처리를 할 경우, 속옷, 양말, 손수건 등에 마이크로캡슐을 바인더와 함께 침지, 스프레이, 프린팅하는 방법 등을 사용해 왔다.
그러나, 바인더의 영향으로 본래 섬유가 가지고 있는 자연 그대로의 촉감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았고, 외의용 코팅물에는 불통기성 코팅피막 형성으로 코팅층 내부에 존재하는 향료가 내입된 마이크로캡슐은 향기의 발산경로가 막혀 그 역할을 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최외층에 존재하는 향기가 모두 발산되어 소진될 경우 그 향기지속성이 짧아 경제적으로나 품질면에서 상품가치가 떨어져 상업화되는데 어려움이 있어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래의 직물의 감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향료가 내입된 마이크로캡슐을 오래도록 섬유에 보전하면서 지속적으로 캡슐 내부 물질이 발산될 수 있고, 내세탁성이 우수한 방향성 도포직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기계적 발포방식에 의한 본 발명의 도포직물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2는 화학적 발포방식에 의한 본 발명의 도포직물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3 및 도4는 각각 도2의 도포직물의 위사 및 경사 방향의 단면을 촬영한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기포지 20: 다공층
22,32: 향료가 내입된 마이크로캡슐 30: 화학발포체층
34: 화학발포체 36: 수지조성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포직물은 향료가 내입된 마이크로캡슐에멀젼과 발포용 조성물의 혼합액을 기포지에 도포하여 제조되며, 기계적 또는 화학적으로 발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포직물은 기포지(10) 상에 향료가 내입된 마이크로캡슐(22,32)이 함유된 수지조성물을 도포하여 다공층(발포층, 20) 또는 화학발포체층(30)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다공층(20) 내의 공극에 향료가 내입된 마이크로캡슐(22)이 부착되고, 상기 화학발포체층(30) 내에 상기 마이크로캡슐(32)이 존재하게 된다.
상기 다공층(20)과 화학발포체층(30)은 각각 기계적 발포방식과 화학적 발포방식으로 형성된다.
먼저, 기계적 발포방식에 의해서 본 발명의 도포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1에 이 방식에 의하여 제조된 도포직물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고형분 30 내지 95중량%를 갖는 폴리우레탄,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물,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물, 폴리염화비닐, 스타이렌-부타디엔 고무, 니트릴 고무, 천연 고무, 및 MBR 각각의 에멀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성분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 100중량부, 에틸렌이민계, 이소시아네이트계, 및 멜라민계 가교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가교제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 1 내지 5중량부, 착색제 0 내지 10중량부, 경질 탄산칼슘 0 내지 20중량부, 탈크 0 내지 5중량부, 실리카 분말 0 내지 5중량부, 올레인산 석검, 피마자유 석검, 수지산 석검, 및 암모늄 석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기포제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 5 내지 20중량부, 디메틸실록산 에멀젼 및 불소계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정포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0 내지 2중량부,유동 특성 조절제 0 내지 3중량부, 유기아민염계 촉매 0 내지 0.3중량부, 및 향료가 내입된 마이크로캡슐 에멀젼 1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한다.
여기서 상기 가교제는 도포직물의 내세탁성을 발휘하기 위해서 첨가되는 것이다.
이후에, 이 혼합물의 온도를 20 내지 30℃ 범위로 조절할 수 있는 교반기로 1,500 내지 2,000rpm 범위에서 10 내지 20분간 균질 혼합한 다음, 100 내지 130메쉬의 필터를 통과시켜 예비혼합수지조성물을 형성하고, 이것을 다공질 수지조성물 제조용 터빈식 믹싱챔버에 넣고 연속적으로 1.0 내지 4.0kg/㎠의 압축 공기를 투입, 혼합함으로써, 단위부피당 상기 예비혼합수지조성물 1,000중량부가 200 내지 900중량부가 되도록 부피 팽창시켜 다공질 수지조성물을 제조한다.
천연섬유, 합성섬유, 또는 화학섬유 재질의 직물, 또는 상기 섬유들 중 2 이상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혼교직한 직물로 된 기포지(10)상에 상기 다공질 수지조성물을 나이프온에어, 나이프온롤, 콤마블레이드온롤, 싱크로롤, 리버스롤 등의 도포방식을 사용하여 50 내지 400μ의 두께로 도포한다.
이 도포직물을 80 내지 100℃에서 예비건조시킨 후, 3단계 구조의 건조기에 도입시켜 상기 건조기 전부의 풍량을 최소로 하고, 중부, 후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풍량을 크게 하며, 최종적으로 150 내지 170℃에서 열처리를 행한 다음 냉각시킨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단계별 온도편차를 부여하는 것은 제품의 외관품질, 셀의 균일한 형성을 위해서이다.
상기 열처리에 의해서 견고한 다공층(20)이 형성되는데, 이것은 향료가 내입된 마이크로캡슐(22)이 외력에 의해 캡슐(22)의 탄성수지막이 터지면서 외부에 용이하게 향기를 발산할 수 있는 도포층(20) 내의 경로를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마이크로캡슐(22)의 외벽이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요소수지, 우레탄수지 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만일 용제계의 도포액을 사용한다면, 마이크로캡슐(22)의 외벽에 존재하는 미세기공을 통하여 용제가 침투, 마이크로캡슐(22) 내 물질의 성질을 변화시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될 것이다.
상기 열처리 및 냉각 이후에 열롤 칼렌더링을 행할 수 있다. 이것을 행함으로써 도포표면 외관이 개선되고 섬유와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상기 열처리 및 냉각 이후에 상기 도포와 열처리 및 냉각을 1회 이상 반복 시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롤 칼렌더링 이후에 상기 도포와 열처리 및 냉각, 그리고 열롤 칼렌더링을 1회 이상 반복 시행할 수 있다. 즉, 다공층(20)을 2층 이상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제, 화학적 발포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학적 발포방식에는 발포제 자신의 분해에 의해서 기체를 발생시키고 수지 중에 다량의 독립기포를 형성하는 방식이 있다. 또한, 미리 과산화수소와 효소를 라텍스 중에 배합해서 양자의 반응으로 산소를 발생시켜 기포를 만드는 방식이 있는데, 여기에는 과산화수소, 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민디아조아미노 벤젠 등이 살리실산과 요소계의 발포조제와 병용하여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질소나 탄화수소계 가스가 내입되고, 아크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물(EVA), 또는 에폭시로 된 박막을 가지는 마이크로캡슐로 된 화학발포체를 사용하는 방식이 있다. 상기 화학발포체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그것들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고, 단독 또는 2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2는 화학적 발포방식에 의하여 제조된 도포직물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3 및 도4는 상기 도포직물의 단면을 촬영한 것이다.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폴리우레탄수지 에멀젼 50 내지 100중량부, 폴리아크릴계 공중합물 에멀젼 20 내지 40중량부, 니트릴고무 라텍스 0 내지 10중량부, 질소나 탄화수소계 가스가 봉입된 아크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물(EVA), 또는 에폭시로 된 박막을 가지는 마이크로캡슐로 된 화학발포체 1 내지 10중량부, 실리카분말 1 내지 5중량부, 탈크 1 내지 5중량부, 착색제 0 내지 10중량부, 및 향료가 내입된 마이크로캡슐 에멀젼 1 내지 20중량부를 통상의 임펠러형 교반기에서 미리 500 내지 1000rpm의 속도로 균질 혼합한 후, 에틸렌이민계 가교제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1 내지 3중량부를 가하여 약 10분간 균일 혼합한 다음, 아크릴계 유동 특성 조절제 1 내지 3중량부를 첨가하고 15분 정도 교반을 지속함으로써 혼합물의 유동 특성을 조정하여 도포액 수지조성물을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화학발포체(34)는 열에 의해 팽창한 후 탄성회복력이 우수하다. 팽창하기 전 마이크로캡슐(34)의 진밀도(true density)가 1250 내지 1300kg/㎥이고, 완전팽창 후 그 진밀도는 20kg/㎥ 이하로 작아진다. 이것은 그 부피가 50배 이상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팽창하기 전 초기직경이 부피평균 기준 6 내지 18μ의 것이 바람직하다.
천연섬유, 합성섬유, 또는 화학섬유 재질의 직물, 또는 상기 섬유들 중 2 이상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혼교직한 직물로 된 기포지(10)상에 상기 도포액 수지조성물을 나이프온에어, 나이프온롤, 콤마블레이드온롤, 싱크로롤, 리버스롤 등의 도포방식으로 균일하게 도포한다.
이 도포직물을 100 내지 120℃에서 예비건조시키고 150 내지 170℃에서 열처리를 행한 다음 냉각시킨다.
여기서, 화학발포체(34)는 상기 열처리에 의해서 130℃부터 팽창을 시작하여 최종 열처리 단계에서 팽창이 완료되는데, 초기직경 6 내지 18μ에서 40 내지 120μ으로 부피팽창하여 화학발포체층(30)이 형성된다.
상기 화학발포체층(30)에서 부피팽창된 화학발포체(34)는 외력에 대한 쿠션역할을 하며, 감성 및 외관을 좋게 한다. 또한 향료가 내입된 마이크로캡슐(32)을 장기간에 걸쳐 서방시키는 역할도 한다(도2 참조).
도3 및 도4에서 아래부분이 기포지이고 큰 캡슐이 화학발포체, 작은 캡슐이 향료가 내입된 마이크로캡슐이다.
상기 열처리 및 냉각 이후에 상기 열처리 및 냉각된 도포직물에 열롤 칼렌더링을 행할 수 있다. 이것을 행함으로써 도포표면 외관이 개선되고 섬유와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상기 열처리 및 냉각 이후에 상기 도포와 열처리 및 냉각을 1회 이상 반복 시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롤 칼렌더링 이후에 상기 도포와 열처리 및 냉각, 그리고 열롤 칼렌더링을 1회 이상 반복 시행할 수 있다. 즉, 화학발포체층(30)을 2층 이상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술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고형분 40중량%를 갖는 폴리우레탄수지 에멀젼 100중량부, 올레인산석검 15중량부, 디메틸실록산 에멀젼 1.0중량부, 착색제 10중량부, 레몬향 마이크로캅셀 2.0중량부, 고형분 100중량%를 갖는 지방족 에폭시 가교제 2.0중량부, 및 유기 아민염계 촉매 2.0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한다.
이 혼합물의 온도가 25 내지 27℃ 범위로 조절되도록 고안된 교반기로 1,500 내지 2,000rpm의 범위에서 20분간 균질 교반한 후, 120메쉬의 망사천으로 필터링을 실시하여 예비혼합수지조성물을 형성한다.
이것을 다공질 수지조성물 제조용 터빈식 믹싱챔버에 넣고 연속적으로 3.0kg/㎠의 압축공기를 투입, 혼합함으로써, 단위부피당 상기 예비혼합수지조성물 1,000중량부가 터빈식 믹싱챔버 통과 후에 500중량부가 되도록 부피 팽창시켜 다공질 수지조성물을 수득한다.
N/C 20S' 평직물 상에 상기 다공질 수지조성물을 250μ의 두께로 클리어런스 도포한다. 이 도포직물을 120℃에서 5분간 예비건조시킨 후, 3단계 구조의 건조기에 도입시켜 상기 건조기 전부의 풍량을 최소로 하고 중부, 후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풍량을 크게 하며, 최종적으로 168℃에서 5분간 열처리를 행한 다음 냉각하여 본발명의 도포직물을 수득한다.
이 도포직물은 기포지(10)와의 밀착성이 뛰어나고, 통기성이 우수하며, 적당한 탄성을 가지고, 일체감이 뛰어나며, 다공성 및 넌슬립성의 특징을 발현한다. 또한 다층화나 엠보스 등 의장성이 풍부한 가공이 가능한 장점도 가진다.
종래의 일반 불통기성 도포직물의 경우, 수지 내부에 존재하는 방향물질이 바깥으로 발산되기 어려워 소기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며, 의류용 소재로서의 감성기능도 본 발명에 비해 훨씬 열악한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1
실시예1에서 올레인산석검 및 디메틸실록산 에멀젼을 첨가하지 않고, 예비믹싱만 하여 수지조성물을 수득한 다음 도포직물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도포직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1에서 상기 혼합물을 10℃에서 예비믹싱한 다음 터빈믹싱하여 폼(foam)을 형성시키는 것과, 에틸렌이민계 가교제를 첨가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같은 방법으로 도포직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폴리우레탄수지 에멀젼 100중량부, 아크릴계 공중합물 에멀젼 20중량부, 고형분 60중량%를 갖는 니트릴고무(NBR) 라텍스 10중량부, 마이크로캡슐로 되고 탄화수소계 가스가 봉입된 아크릴계 박막 조성의 화학발포체 5.0중량부, 실리카 분말 5.0중량부, 탈크 3.0중량부, 착색제 10중량부, 및 라벤다향 마이크로캅셀 에멀젼 3.0중량부를 통상의 임펠러형 교반기에서 미리 500 내지 1,000rpm의 속도로 균질 혼합한 후, 에틸렌이민계 가교제 3.0중량부를 가하여 10분간 혼합한 다음, 아크릴계 유동 특성 조절제 2.0 중량부를 첨가하여 15분간 교반을 지속하고, 15,000cps로 유동 특성을 조절하여 도포액 수지조성물을 수득하였다.
N/C20S' 평직물 상에 상기 도포액 수지조성물을 나이프온에어 방식으로 균일하게 도포한 다음, 120℃에서 2분간 예비건조시키고, 170℃에서 3분간 열처리하여 30gr/㎡의 건조중량으로 본 발명의 도포직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2에서 화학발포체를 첨가하지 않고, 에틸렌이민계 가교제 대신 멜라민계 가교제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3과 같은 방법으로 도포직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에 대한 각종 시험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시험 항목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실시예2 비교예3
세탁성(ksk 0465,30℃,flat dry) 5회 세탁 후 향기 지속성능 향기가 사라지지않았음 향기가 미약해졌음 향기가 미약함 향기가 사라지지않았음 향기가 미약함
5회 세탁 후 코팅층 내구성
코팅면 손상이 거의 없음 코팅면 손상이 거의 없음 현저하게 코팅면이 손상됨 코팅면 손상이 거의 없음 현저하게 코팅면이 손상됨
도포직물의 질감(감성) 초유연, 반발탄성, 촉촉한 표면터치, 경량 스티키한 표면터치, 광택표면 효과, 고급스럽지 못한 외관 스티키한 표면터치, 광택표면 효과, 고급스럽지 못한 외관 할피가죽의표면터치와 탄성 스티키한 표면터치, 광택표면 효과, 고급스럽지 못한 외관
상기 실시예들을 종합한 결과 실시예1과 실시예2의 도포직물들은 세탁 5회 후에도 코팅면 손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비교예들에 비해 내구성이 극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코팅층을 발포층 구조로 함으로써 충분히 높은 감성기능을 가지며, 의복 착용시 움직임에 따라 향료가 내입된 마이크로캡슐 벽이 깨지면서 원하는 향을 서서히 지속적으로 방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도포직물은 외의용 또는 인테리어용 고중량 도포직물로서 적합하다.
본 발명의 도포직물은 방향 효과와 뛰어난 내구성뿐만 아니라, 할피(割皮) 가죽의 외관 외관 및 터치 등의 감성도 겸비하고 있다. 나이프온에어 코터, 콤마온롤 코터 등 의 통상의 도포장치 및 통상의 도포방법을 이용하여 장척, 광폭의 기포를 연속적으로 가공할 수 있어 생산성이 매우 높아 생산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할피 가죽의 효과를 발현하는 방향성 원단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생산된 방향성 원단은 도포의복에서 요구되는 감성기능과 내세탁성 등이 극히 우수하여 이지캐어용 스포츠웨어, 캐쥬얼웨어 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일광 및 세탁견뢰도 등을 요구하는, 도포표면을 사용할 수 있는 물품의 제조에 특히 적절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7)

  1. 향료가 내입된 마이크로캡슐 에멀젼과 발포용 조성물의 혼합액을 기포지에 도포하여 제조되며, 기계적 또는 화학적으로 발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세탁성이 우수한 방향성 도포직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발포에 의한 제조방법은
    고형분 30 내지 95중량%를 갖는 폴리우레탄,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물,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물, 폴리염화비닐, 스타이렌-부타디엔 고무, 니트릴 고무, 천연 고무, 및 MBR 각각의 에멀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성분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 100중량부, 올레인산 석검, 피마자유 석검, 수지산 석검, 및 암모늄 석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기포제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 5 내지 20중량부, 디메틸실록산 에멀젼 및 불소계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정포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0 내지 3중량부, 착색제 0 내지 10중량부, 상기 향료가 내입된 마이크로캡슐 에멀젼 1 내지 15중량부, 에틸렌이민계, 이소시아네이트계, 멜라민계, 및 에폭시계 가교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가교제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 1 내지 5중량부, 유기 아민염계 촉매 0 내지 0.3중량부, 경질 탄산칼슘 0 내지 20중량부, 탈크 0 내지 5중량부, 실리카 분말 0 내지 5중량부, 및 유동 특성 조절제 0 내지 3중량부를 혼합한 후, 이것의 온도를 20 내지 30℃ 범위로 조절할 수 있는 교반기로 1,500 내지 2,000rpm범위에서 10 내지 20분간 균질 혼합한 다음, 100 내지 130메쉬의 필터를 통과시켜 예비혼합수지조성물을 형성하고, 이것을 다공질 수지조성물 제조용 터빈식 믹싱챔버에 넣고 연속적으로 1.0 내지 4.0kg/㎠의 압축 공기를 투입, 혼합함으로써, 단위부피당 상기 예비혼합수지조성물 1,000중량부가 200 내지 900중량부가 되도록 부피 팽창시켜 다공질 수지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천연섬유, 합성섬유, 또는 화학섬유 재질의 직물, 또는 상기 섬유들 중 2 이상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혼교직한 직물로 된 기포지상에 상기 다공질 수지조성물을 나이프온에어, 나이프온롤, 콤마블레이드온롤, 싱크로롤, 리버스롤 등의 도포방식을 사용하여 50 내지 500μ의 두께로 도포하는 단계; 및
    이 도포직물을 100 내지 120℃에서 예비건조시킨 후, 3단계 구조의 건조기에 도입시켜 상기 건조기 전부의 풍량을 최소로 하고 중부, 후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풍량을 크게 하며, 최종적으로 150 내지 170℃에서 열처리를 행한 다음 냉각시키는 열처리 및 냉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내세탁성이 우수한 방향성 도포직물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적 발포에 의한 제조방법은
    폴리우레탄수지 에멀젼 50 내지 100중량부, 폴리아크릴계 공중합물 에멀젼 20 내지 40중량부, 니트릴고무 라텍스 0 내지 10중량부, 질소나 탄화수소계 가스가 봉입된 아크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물(EVA), 또는 에폭시로 된 박막을 가지는 마이크로캡슐로 된 화학발포체 1 내지 10중량부, 실리카분말 1 내지 5중량부, 탈크 1 내지 5중량부, 착색제 0 내지 10중량부, 및 향료가 내입된 마이크로캡슐 에멀젼 1 내지 20중량부를 통상의 임펠러형 교반기에서 미리 500 내지 1000rpm의 속도로 균질 혼합한 후, 에틸렌이민계 가교제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1 내지 3중량부를 가하여 약 10분간 균일 혼합한 다음, 아크릴계 유동 특성 조절제 1 내지 3중량부를 첨가하고 15분 정도 교반을 지속함으로써 혼합물의 유동 특성을 조정하여 도포액 수지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천연섬유, 합성섬유, 또는 화학섬유 재질의 직물, 또는 상기 섬유들 중 2 이상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혼교직한 직물로 된 기포지상에 상기 도포액 수지조성물을 나이프온에어, 나이프온롤, 콤마블레이드온롤, 싱크로롤, 리버스롤 등의 도포방식으로 균일하게 도포하는 단계; 및
    이 도포직물을 100 내지 120℃에서 예비건조시키고 150 내지 170℃에서 열처리를 행한 다음 냉각시키는 열처리 및 냉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내세탁성이 우수한 방향성 도포직물의 제조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및 냉각 단계 다음에, 상기 도포 단계와 상기 열처리 및 냉각 단계를 1회 이상 반복 시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내세탁성이 우수한 방향성 도포직물의 제조방법.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및 냉각된 도포직물에 표면온도 110 내지 130℃의 열롤 칼렌더링을 행하여 도포표면 외관의 개선 및 섬유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열롤 칼렌더링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내세탁성이 우수한 방향성 도포직물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롤 칼렌더링 단계 다음에, 상기 도포 단계, 상기 열처리 및 냉각 단계, 및 상기 열롤 칼렌더링 단계를 1회 이상 반복 시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내세탁성이 우수한 방향성 도포직물의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내세탁성이 우수한 방향성 도포직물.
KR10-2000-0087339A 2000-12-30 2000-12-30 내세탁성이 우수한 방향성 도포직물의 제조방법 및 이방법으로 제조된 방향성 도포직물 KR100405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7339A KR100405137B1 (ko) 2000-12-30 2000-12-30 내세탁성이 우수한 방향성 도포직물의 제조방법 및 이방법으로 제조된 방향성 도포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7339A KR100405137B1 (ko) 2000-12-30 2000-12-30 내세탁성이 우수한 방향성 도포직물의 제조방법 및 이방법으로 제조된 방향성 도포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048A KR20020059048A (ko) 2002-07-12
KR100405137B1 true KR100405137B1 (ko) 2003-11-10

Family

ID=27690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7339A KR100405137B1 (ko) 2000-12-30 2000-12-30 내세탁성이 우수한 방향성 도포직물의 제조방법 및 이방법으로 제조된 방향성 도포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51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589B1 (ko) * 2014-08-08 2016-07-08 (주)와이에이치교역 방충성을 갖는 기능성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295709A (zh) * 2018-09-13 2019-02-01 北京麻世纪麻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花香纤维的制备方法及花香纤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2980A (ja) * 1989-01-10 1990-07-17 Kanebo Ltd 芳香性合成皮革
KR910015746A (ko) * 1990-02-26 1991-09-30 하기주 내구성이 우수한 방향(芳香) 섬유의 제조방법
KR960001668A (ko) * 1994-06-09 1996-01-25 이헌조 창문형 에어콘의 냉기 토출장치
JPH11107174A (ja) * 1997-09-25 1999-04-20 Tokusei Kagaku Kogyo Kk 通気性銀付人工皮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56835A (ko) * 1999-02-26 2000-09-15 박문규 향기나는 가죽 및 그 제조방법
KR100303381B1 (ko) * 1998-11-28 2002-04-24 송기태 기능성직물및이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2980A (ja) * 1989-01-10 1990-07-17 Kanebo Ltd 芳香性合成皮革
KR910015746A (ko) * 1990-02-26 1991-09-30 하기주 내구성이 우수한 방향(芳香) 섬유의 제조방법
KR960001668A (ko) * 1994-06-09 1996-01-25 이헌조 창문형 에어콘의 냉기 토출장치
JPH11107174A (ja) * 1997-09-25 1999-04-20 Tokusei Kagaku Kogyo Kk 通気性銀付人工皮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03381B1 (ko) * 1998-11-28 2002-04-24 송기태 기능성직물및이의제조방법
KR20000056835A (ko) * 1999-02-26 2000-09-15 박문규 향기나는 가죽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048A (ko) 200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29976B (zh) 片状物及其制造方法
US9932705B2 (en) Sheet-like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4866091B2 (ja) ポリウレタン微多孔膜を備えた高発泡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502040A (ja) トランスファーまたはフィルム−コーティングに好ましい編物ファブリック/エラストマー複合材料
JP4093857B2 (ja) トランスファー塗装またはフィルム塗装のために好ましい布−エラストマー複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131854B2 (ja) シート状物
JP6262660B2 (ja) 透湿性防水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05138B1 (ko) 내세탁성이 우수한 감온변색성 도포직물의 제조방법 및 이방법으로 제조된 감온변색성 도포직물
WO2016052189A1 (ja) シート状物の製造方法
KR100405137B1 (ko) 내세탁성이 우수한 방향성 도포직물의 제조방법 및 이방법으로 제조된 방향성 도포직물
KR100405139B1 (ko) 항균소취능 및 삼림욕 기능성을 갖는 도포직물의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방향성 도포직물
JP2013119688A (ja) 熱膨張性縫製糸及びその縫製方法
JP4919769B2 (ja) 高発泡層を備えた透湿防水性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112355A (ko)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CN110029504A (zh) 一种防钻绒面料
JP4255746B2 (ja) 銀付調人工皮革の製造方法
KR100375295B1 (ko) 다층구조를 갖는 축열보온성 도포직물의 제조방법
JP2007217841A (ja) ラミネート布帛の製造方法
JP2005213303A (ja) 多孔性構造体の製造方法、多孔性構造体及び皮革状構造物
KR100225600B1 (ko) 통기성을 가진 인공피혁 및 그 제조방법
KR100726929B1 (ko) 기능성 직물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듀얼나노층을 갖는 기능성 직물
JPH06108365A (ja) 透湿防水性コーテイング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80245282A1 (en) Nubuck-like artificial leather, and method for producing nubuck-like artificial leather
JPS60239572A (ja) 人工皮革
JP2002129479A (ja) ソフト風合いの透湿防水性コーティング布帛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