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4559B1 - 부품리테이너와이것의제조방법및이부품리테이너를사용하는부품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부품리테이너와이것의제조방법및이부품리테이너를사용하는부품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4559B1
KR100404559B1 KR1019970703365A KR19970703365A KR100404559B1 KR 100404559 B1 KR100404559 B1 KR 100404559B1 KR 1019970703365 A KR1019970703365 A KR 1019970703365A KR 19970703365 A KR19970703365 A KR 19970703365A KR 100404559 B1 KR100404559 B1 KR 100404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retainer
retaining unit
piece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3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7713A (ko
Inventor
요시오 마루야마
요시노리 와다
신지 카도리쿠
오사무 야마자키
오사무 히키타
다이수케 나가노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44452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44786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12555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557763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707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7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84Containers and magazines for components, e.g. tube-like magaz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전자 및 기계부품(27)을 수납 및 지지하는 부품리테이너이다. 여기서 리테이닝유닛(2)은, 부품수납공간(5)의 개구부를 향하여 돌출 및 함몰한 양 부분에서, 안정하게 정지하는 결합피스(7)를 포함하고, 이것은 지정된 또는 더 많은 양의 압력 하에서 이 두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그리고, 개구부를 향하여 돌출될 때, 결합피스(7)는 수납공간(5)에 수납된 부품(27)이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부품리테이너와 이것의 제조방법 및 부품리테이너를 사용하는 부품공급장치
부품공급장치에 다수의 부품집합체를 지지 및 탑재하는 종래의 부품리테이너는,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수납리세스가 있는 리테이닝테이프를 포함한다. 수납리세스에 부품을 수납한 후, 상기 부품리테이너는, 부품이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테이프로 그 상면을 덮는다.
그러나, 이러한 부품리테이너는, 수납 중에 부품을 커버테이프로 덮고 부품 공급 중에 그 테이프를 벗겨내어 감아 떼어낼 필요가 있어서, 복잡한 구성의 부품공급장치를 필요로 한다. 또한, 벗겨낸 테이프는 못 쓰게 되어 경비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장치로서, 본 출원자는 일본특허공개 평 6-156562에서, 도 13에서 나타내듯이, 부품을 수납하는 수납리세스(33)를 각각 보유하는 연속한 리테이닝유닛(32) 및 부품이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부에 설치된 결합피스(34)로 구성되는 부품리테이너(31)를 제안했다. 결합피스(34)는 그것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36)가 있고, 리테이닝유닛(32)의 측벽으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된 지지피스(35)의 단부에 설치되며, 수납리세스(33)의 개구부로 돌출되어 있다. 이 결합피스(34) 상면의 돌출부(36)는, 부품리테이너(31)가 이동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도시하지 않음)과 결합하기 때문에, 결합피스(34)는 부품리테이너(31)의 이동에 따라, 철수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가이드홈에 의해 가이드되며, 부품을 수납리세스(33)에 수납하고 수납리세스(33)에서 취출할 수 있다. 참조부호 37은 리테이닝유닛(32)의 양측에 형성된 수송구멍을 나타내고, 38은 리테이닝유닛(32)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피스이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개시된 부품리테이너에 있어서, 결합피스(34)를 장기간 철수위치에 방치하면, 크리프현상에 의해 지지피스(35)가 변형된 채로 있어 탄성복귀를 방해한다. 따라서, 결합피스(34)가 확실히 부품을 지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결합피스(34)가 수납리세스(33)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결합피스(34)와 대향하는 노치는 리테이닝유닛(32)의 성형 시에 형성되어야 하고, 부품은 그것의 전체둘레로 결합되거나 또는 지지될 수 없다. 따라서, 몇몇 부품은 안정하게 지지될 수 없다.
또한, 부품을 전자부품설치기계에 부품을 공급하는 종래의 부품공급장치는, 도 25에서 나타내듯이, 부품리테이너의 이동표면이 부품취출위치 근처까지 완전히 덮은 구조를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특히, 생산물 형태의 전환에 의해, 수납된 모든 부품을 다 쓰기 전에 부품리테이너를 부품공급기구로부터 제거하려면, 테이프를 부품 이동단면 전 또는 후로 잘라야 하고, 이송 또는 감기릴에 감아야 한다. 부품을 다시 사용하려면, 테이프를 다시 연결해야하므로, 테이프를 교체하는데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전자부품 및 기계부품을 수납 및 지지하는 부품리테이너와 이 리테이너를 제조방법 및 이 부품리테이너에 수납된 부품을 자동조립기계에 공급하는 부품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부품리테이너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예에 의한 리테이닝유닛에 대한 연결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제1 실시예에 의한 리테이닝유닛의 결합돌출부의 확대사시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 의한 리테이닝유닛에 대한 연결동작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5는 제1 실시예에 의한 리테이닝유닛의 연결 중 연결구멍에 결합돌출부를 끼워 맞추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제1 실시예에 의한 연결구멍에 끼워 맞춘 결합돌출부와 리테이닝유닛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부품리테이너의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부품리테이너에 있어서 부품수납과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제1 실시예에 의한 부품리테이너로부터 부품을 수납 및 취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좌측 절반은 부품의 수납 또는 취출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우측 절반은 부품의 지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부품리테이너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부품리테이너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부품리테이너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종래 부품리테이너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부품공급장치의 정면도.
도 15는 도 14의 W-W선에 있어서 부품공급장치의 단면도.
도 16은 부품취출위치에 근접한 부품공급장치의 전체평면도.
도 17은 부품리테이너를 포함한 부품공급장치의 정면도.
도 18은 부품리테이너를 사용중인 부품공급장치의 부품출력위치근방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9는 부품공급장치에 있어서 결합피스클로징부재의 사시도.
도 20은 부품공급장치의 배면도.
도 21은 부품공급장치의 좌측 끝면도.
도 22는 부품공급장치의 우측 끝면도.
도 23은 부품공급장치의 평면도.
도 24는 부품공급장치의 저면도.
도 25는 종래의 부품공급장치의 사시도.
상기 종래의 문제점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의 전체둘레를 안정하고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는 부품리테이너와 이것의 제조방법 및 이 부품리테이너를 사용하는 부품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부품리테이너는 부품을 수납 및 지지하는 연결된 리테이닝유닛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리테이닝유닛은, 부품수납공간의 개구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위치와 철수되는 위치 양 위치에서 안정하게 정지하고, 소정량의 힘으로 이 두 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한 결합피스를 보유한다. 이 결합피스는 개구부를 향해 돌출하는 경우에는, 수납공간에 수납된 부품이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구성은, 개구부를 향해 돌출된 결합피스가 부품수납공간에 수납된 부품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결합피스를 철수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부품을 취출할 수 있다. 결합피스를 철수위치에 장시간 방치하여도, 부결합피스를 돌출위치로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확실하게 부품을 지지할 수 있다. 수납된 부품을 자동조립기계에 공급한 후, 리테이너는 그 안에 재차 부품을 수납함으로써 리테이너를 재사용할 수 있다.
결합피스가, 개구부를 향하여 돌출된 위치 및 철수위치에서 안정하게 정지하고, 이 두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리테이닝유닛의 대향하는 측벽 및 결합피스의 각 단부를 자체힌지를 개재하여 한 쌍의 링크피스로 함께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결합피스의 각 측부가 4절링크기구에 의해 지지되어, 결합피스가 두 위치에서 안정하고, 그 자세를 유지한 채로 두 위치 사이를 안정하게 이동할 수 있다.
리테이닝유닛의 각 측벽과 결합피스의 각 측부를 단일 링크피스를 개재하여 연결하여도, 결합피스는 두 위치에서 안정하고, 이들 위치 사이를 안정하게 이동할 수 있다. 힌지연결된 한 쌍의 링크피스의 양단부를 리테이닝유닛의 대향하는 또는 인접하는 양 측벽에 각각 연결하고, 링크피스 중 하나에 결합피스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만곡지지피스의 양단부를 자체힌지를 개재하여 리테이닝유닛의 대향하는 또는 인접하는 양 측벽에 각각 연결하고, 만곡지지피스의 양단부의 대략 중앙부에 결합피스를 설치해도 좋다. 상기보다 더 단순한 구조는 제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결합피스를 부품리테이너의 주행경로를 따라 설치된 가이드홈 또는 돌출부를 통하여 두 위치 사이에서 이동 및 부품수납 또는 취출위치로 인도되는 결합피스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한 돌출부를 설치함으로써, 결합피스는 부품리테이너의 이동에 따라 두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특히, 돌출부가 결합피스의 아래에 설치될 경우, 가이드홈을 부품리테이너의 이송기구와 같은 측에 설치하여, 가이드 홈과 이송기구 사이의 칫수오차를 줄일 수 있으므로, 결합피스의 이동에 있어서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결합피스는 리테이닝유닛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설치하여도 좋고, 또는 1개이상의 코너부에 설치하여도 좋다. 코너부에 결합피스를 설치하는 것은 무효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상기 부품의 코너부가 리드 등의 돌출부를 보유하면 결합피스의 이동량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또한, 리테이닝유닛의 연결방향의 한 측부에 연결구멍을 설치하고, 그것의 연결방향의 다른 측부에 연결구멍에 끼워 맞추어 결합시키는 결합돌출부를 설치하고, 또 연결구멍의 둘레와 결합하는 결합고정수단을 결합돌출부에 설치하여 상기 돌출부가 빠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연결구멍에 결합돌출부를 간단히 끼워 맞추는 것으로 리테이닝유닛이 쉽게 또는 부주의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부품리테이너의 제조방법은, 성형기를 성형기를 사용하여 리테이닝유닛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된 리테이닝유닛을 먼저 성형된 리테이닝유닛을 둔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한 리테이닝유닛의 연결방향의 한 측의 연결구멍에 다른 리테이닝유닛의 다른 측의 결합돌출부를 끼워 맞추어 리테이닝유닛을 연결하는 단계, 및 계속하여 상기 연결된 리테이닝유닛을 1개의 리테이닝유닛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방법에 의해, 리테이닝유닛을 성형하고 이어서 연결하여, 부품리테이너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리테이닝유닛은, 결합피스를 부품수납공간의 개구부로부터 철수시키고 성형하는 방법으로 성형되기 때문에, 부품의 전체둘레를 지지하는 리테이닝 프레임이 부품수납공간에 형성되어 부품을 안정하게 수납할 수 있는 부품리테이너를 제공한다. 서로 연결된 후, 리테이너유닛을 차례로 운반하는 동안, 각 결합피스는 부품수납공간의 개구부를 향하여 돌출하여 있는 돌출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연결에서의 수지힌지는 성형즉시 이동함으로써, 결합피스의 강도는 증가되고, 리테이너를 장기간에 걸쳐 신뢰성을 가지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부품공급장치는 자동조립기계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부품공급장치 본체, 부품공급장치 본체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테이프형상 부품리테이너가 감겨진 이송릴부, 부품공급장치 본체의 다른 단부에 형성되어 부품리테이너로부터 부품을 취출하는 부품취출위치, 부품공급장치 본체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부품취출위치에서 부품을 취출한 후 부품리테이너를 다시 감는 감기릴부, 상기 이송릴부로부터 연출된 부품리테이너를 소정의 부품취출위치로 이동시켜 이것을 상기 감기릴부에 의해 감겨지도록 하는 테이프이송수단 및 이 테이프이송수단과 부품리테이너를 결합시키는 테이프가이드로서, 이것의 압력을 제거함으로써 부품리테이너의 연결을 유지한 채로 부품리테이너를 상기 장치의 측부에서 제거할 수 있는 테이프가이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은, 이송릴로부터 감기릴로의 연결을 유지하면서, 부품리테이너를 부품공급장치의 측부에 설치 및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부품공급장치는, 테이프형상 부품리테이너를 사용도중에 절단없이 교체할 수 있으므로, 교체에 걸리는 시간을 대폭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감기릴부가 감기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게 하는 일방향 클러치를 포함하므로, 감기릴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테이프형상 부품리테이너가 안정하게 주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부품리테이너의 실시예를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2에 있어서, 참조부호 1은 다수의 리테이닝유닛(2)(2개만 도시함)으로 구성되는 부품리테이너이다. 각 리테이닝유닛은 부품을 수납 및 지지하여 테이프형상의 부품집합체를 구성한다.
리테이닝유닛(2)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의 사출성형으로 제조되고, 일반적으로 연결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긴 장방형 평면형상이고, 연결방향의 양측에 소정의 피치로 형성된 이송구멍(3)을 보유한다. 리테이닝유닛(2)은 그 주변부분을 제외하고 얕은 리세스(4)가 있고, 그 리세스(4)의 중앙부는 부품수납공간(5)으로 사용된다. 이 수납공간(5)은 부품의 4코너부를 지지하는 4각 리테이닝프레임(6)으로 수직으로 둘러싸여 있다.
수납공간(5)의 양측부에는 수납공간(5) 위의 개구부안으로 돌출하는 위치와 개구부로부터 철수하는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결합피스(7)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결합피스(7)가 수납공간(5)에 수납된 부품의 상면을 고정하여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반면 철수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수납공간(5)에 부품을 수납하거나 취출할 수 있다. 도 1에서, 리테이닝유닛(2)이 사선으로 상방을 향하여 위치할 경우에는, 결합피스(7)는 철수위치에 있고, 반면 리테이닝유닛(2)이 사선으로 하방을 향하여 위치할 경우에는, 결합피스(7)는 돌출위치에 있다. 이것은 도 10∼12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결합피스(7)는, 리테이닝유닛(2)의 연결방향으로 설치된 양 측벽(2a)에 한 쌍의 링크피스(8)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각 링크피스(8)는, 측벽(2a),(2a) 사이의 거리에서 결합피스(7)의 폭을 빼어 얻어진 길이의 반보다도 약간 더 길다. 링크피스(8)와 측벽(2a)의 연결 및 링크피스(8)와 결합피스(7)의 연결은 얇은 자체힌지(9)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하듯이, 이것은 결합피스(7)는 상기 두 위치,즉, 돌출위치 및 철수위치에서 안정하며, 소정의 힘으로 두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결합피스(7)의 하면에는, 두 위치 사이를 결합피스(7)가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돌출부(10)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연결피스(11)는 그것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결합돌출부(12)를 각각 보유하고, 리테이닝유닛(2)의 연결방향의 한 가장자리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결합돌출부(12)와 결합하는 연결구멍(14)을 각각 보유하는 한 쌍의 돌출부(13)는, 연결구멍(14)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연결방향의 다른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다. 결합돌출부(12)는, 도3에 상세히 나타내었듯이, 그 하단에 형성된 날카로운 돌출부(12a) 및 그 한 측면에서 돌출된 결합고정수단(15)을 보유하고 있다. 결합고정수단(15)은 그 내부에 갈고리보다 폭이 넓은 리세스(16)를 보유하고 있고, 결합고정수단(15)의 양 단부와 리세스(16)의 측벽이 얇은 연결벽(16a)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소정량의 힘으로 연결구멍(14)에 끼워 맞춘 경우에는, 결합고정수단(15)은 원상태로 확실하게 복귀할 수 있다. 피결합면(17)은 결합구멍(14) 둘레에 형성되고, 결합돌출부(12)가 연결구멍(14)에 완전히 끼워 맞추어 졌을 때, 결합고정수단(15)과 결합한다.
리테이닝유닛(2)을 함께 연결하기 위하여, 한 리테이닝유닛(2)을 하방으로 지지하면서 다른 것을 하방으로 흡착수단(18)으로 지지하여, 도4에 나타내듯이, 이것의 연결구멍(14)을 제1 리테이닝유닛(2)의 결합고정돌출부(12) 위쪽으로 위치시키고, 제2 리테이닝유닛을 도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으로 하강시킨다. 그러면, 도 5(a)∼(c)에 나타내듯이, 결합돌출부(12)가 연결구멍(14)에 끼워져 결합되고, 결합고정수단(15)은 리세스(16)쪽으로 당겨졌다 복원되고, 연결구멍(14)의 한 측에 형성된 결합면(17)과 결합한다. 유닛은 도 6에 나타낸 상태로 있어, 결합돌출부(12)가 연결구멍(14)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리테이닝유닛(2)이 함께 확실히 연결되게 한다.
도 4에 나타내듯이, 지지부재(19)의 바늘형상 단부를 결합돌출부(12)의 리세스(16)에 삽입하여 돌출부(12)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또 연결구멍(14)을 보유하는 돌출부(13)를 압압부재(20)로 상방으로부터 압압하기 때문에, 연결구멍(14)에 결합돌출부(12)를 확실하게 끼워 맞출 수 있다. 따라서, 결합돌출부(12)가 결합고정수단(15)을 보유하면, 연결구멍(14)에 결합돌출부(12)를 간단히 끼워 맞추는 것으로 리테이닝유닛(2)을 쉽게 또는 부주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부품리테이너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도 7에서, 21은 리테이닝유닛(2)을 사출성형하는 성형기이고, 22는 성형기(21)로부터 성형된 리테이닝유닛(2)을 얻어 이것을 연결부(23)로 이동시키는 탑재수단이고, 흡착수단(18)을 구비하고 있다. 연결단면(23)은 리테이닝유닛(2)을 받아서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리테이닝유닛(2)의 폭과 동일한 길이로 연속하여 이송하는 이송수단(24), 이송구멍(3)을 사용하여 연결된 리테이닝유닛(2)으로 구성되는 부품리테이너(1), 지지부재(19) 및 압압부재(20)를 보유한다.
성형기(21)는 리테이닝유닛(2)을 성형하고, 성형한 리테이닝유닛을 미리 성형한 리테이닝유닛이 놓인 연결부(23)로 이동시킨다. 상기하듯이, 첫번째 리테이닝유닛(2)의 연결구멍(14)에 두번째 리테이닝유닛의 대응하는 단부의 결합돌출부(12)가 끼워 맞춰져 서로 연결된다. 부품리테이너(1)를 단일 리테이닝유닛과 동일한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24)의 작동을 반복함으로써 부품리테이너(1)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이 제조과정에 있어서, 리테이닝유닛(2)의 성형시에, 결합피스(7)가 수납공간(5)의 개구부로부터 철수되기 때문에, 공간(5)을 간섭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도 1에 나타내듯이, 부품의 전체둘레를 지지하는 리테이닝프레임(6)을 수납공간(5)에 형성할 수 있어서, 부품을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는 부품리테이너(1)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도시하지 않음)은 연결단면(23)의 바닥에 형성되어서, 결합피스(7)를 앞뒤로 이동시키는 돌출부(10)가 그것에 결합되거나 그것을 따라 안내된다. 결합피스(7)를 수납공간(5)의 개구부를 향한 철수위치로 이동시키고 연결된 리테이닝유닛(2)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킬 경우, 성형직후에 자체힌지(9)를 움직일 수 있어서 결합피스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부품리테이너를 장기간에 걸쳐 신뢰하며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부품리테이너를 사용하는 부품의 수납, 지지 및 취출을 도 8 및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부품수납부 및 지지부 또는 취출부는, 도 9에 나타내듯이, 부품리테이너(1)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25)을 보유하고 있고, 그 부품 리테이너(1)는 가이드레일(25)을 따라 움직인다. 결합피스(7)를 앞뒤로 이동시키는 돌출부(10)와 결합하는 가이드홈(26)이 가이드레일(25)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돌출부(10)를 위한 가이드수단은 가이드홈(26)과 같이 구성될 필요는 없으나, 돌출부처럼 날카로워야 한다.
도 8(a)에 나타내듯이, 부품(27)이 부품리테이너(1)의 각 리테이닝유닛(2)에 수납 및 지지되면, 결합피스(7)는 철수위치로 이동하고 각 리테이닝유닛(2)은 수납위치를 향해 이동하고, 도8(b)에 나타내듯이, 수납위치에서, 부품(27)이 수납공간(5)에 수납된다. 도 8(c)에서 나타내듯이, 리테이닝유닛이 수납위치로부터 계속해서 더 이동하는 동안, 결합피스(7)는 돌출위치로 이동하여 부품(27)이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부품리테이너(2)로 부품을 지지한다. 이러한 동작의 반복은 부품리테이너(1)의 각 리테이닝유닛(2)에 부품(27)이 지지된 부품집합체가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부품의 집합체가 부품공급장치에 탑재하여 부품(27)을 취출하면, 리테이닝유닛(2)가 부품취출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동안, 부품(27)은, 도 8(c)의 상태로부터 이동하여, 도 8(b)에서 나타내듯이, 철수위치에서 결합지지되고, 도 8(a)에 나타내듯이, 취출위치에서 부품(27)이 취출된다.
도 8은, 부품(27)으로서 그 외부둘레를 둘러싼 다수의 납을 가진 전자부품(QFP라고 한다)을 도시한다. 지지프레임(6)상에 지지된 QFP(27)의 납기판의 바닥면과, 납기판의 상면 및 주본체(27a)의 측면은 결합피스(7)로 고정되어 있다. 모든 납은 지지프레임(6)으로 완전히 지지되어 QFP(27)가 고정지지되기 때문에, 납이 손상되거나 굽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하듯이, 이 실시예의 부품리테이너(1)에 의해 결합피스(27)는 돌출위치및 철수위치에서 안정하고, 또 이 두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어서, 수납공간(5)에 수납된 부품(27)을 개구부로 돌출한 결합피스(7)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부품(27)은 결합피스(7)의 철수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취출될 수 있고, 또 결합피스(7)를 그 위치에서 장시간 방치하여도 돌출위치로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신뢰할 수 있게 부품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결합피스(7) 및 리테이닝유닛(2)은 자체힌지를 개재하여 한 쌍의 링크피스(8)에 의해 서로 연결되므로, 각 결합피스(7)는 4절링크기구에 의해 지지되어, 두 위치에서 안정하고 또 그 자세를 츄지한체로 그 위치 사이를 안정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안정한 작동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결합피스(7)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부품을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결합피스(7)의 양측에 한 쌍의 링크피스(8)를 연결하였지만, 리테이닝유닛(2)의 대향하는 양 측벽(2a)은 자체힌지(9)를 개재하여 1개의 링크피스(8)로 결합피스(7)의 양측을 연결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은 각 결합피스(7)에 돌출부(10)가 제공되고, 이 돌출부(10)를 가이드홈(26)을 따라 안내하여 결합편(7)을 확실하게 돌출위치 또는 철수위치로 이동시켜 계합편(7)이 그 위치에서 안정하기 때문에, 한 쌍의 링크피스(8)를 보유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낸다.
본 발명에 의한 부품리테이너의 제2 실시예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자체힌지(9)에 의해 서로 연결된 한 쌍의 링크피스(28a,28b)의 양 단부를 자체힌지(9)로 리테이닝유닛(2)의 대향하는 양 측벽에 각각(2a) 연결하고, 링크피스(28a) 중 1개에 결합피스(7)를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위치 및 철수위치 사이에서 자세변화에도 불구하고, 돌출위치에서 부품이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철수위치에서 부품을 수납공간(5)로부터 취출할 수 있는 상기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낸다.
본 발명에 의한 부품리테이너의 제3 실시예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만곡지지피스(29)의 양 단부를 자체힌지로 대향하는 리테이닝유닛(2)의 양 측벽(2a)에 각각 연결하고, 그 굽은 지지피스(29)의 대략 중앙부에 결합피스(7)를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여, 굽은 지지피스(29)가 수납공간(5)을 향해 굽은 자세와 수납공간(5)의 반대방향을 향해 굽은 자세 사이에서 변화하기 때문에, 결합피스(7)는 돌출위치와 철수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이 두 위치에서 안정하다. 따라서, 결합피스(7)는 돌출위치에서 부품이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철수위치에서 수납공간(5)으로부터 부품이 취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부품리테이너의 제4 실시예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결합피스(7)가 리테이닝유닛(2)의 양 단부에 각각 설치된 것을 나타내었지만, 제4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한 형상의 결합피스(7)를 양 단부의 각 코너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 나타내었듯이, 링크퍼스(3Oa),(3Ob)의 단부는 리티테이닝유닛(2)의 한 측벽(2a) 및 리테이닝 유닛의 한 측벽(2b)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그 링크피스 중 1개(30a)에 결합피스(7)가 설치되어 있다.
물론, 도 11에서 나타낸 것 등의 다른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수납공간(5)의 코너부에 결합피스(7)를 설치함으로써, 무효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결합피스(7)의 부수적인 이동도 필요하지 않다. 이러한 결과로, 결합피스(7)는, 그 코너부에 리드 등의 돌출부를 보유하는 부품을 간섭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가, 수납공간(5)의 각 코너부 또는 양 단부에 설치된 결합피스(7)를 나타내었지만, 결합피스(7)는 수납공간(5)의 일단부에만 혹은 1개 또는 2개의 코너부에만 설치되어 부품을 고정, 지지하는데 사용된다.
다음으로, 상기 부품리테이너를 사용하는 본 발명에 의한 부품공급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부품공급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배면도, 도 21은 좌측면도, 도 22는 우측면도, 도 23은 평면도, 도 24는 저면도이다.
도 14에서, 참조부호 40은, 부품이 수납된 부품리테이너(1)를 감은 릴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릴지지부이고, 41은, 도 7에서 나타내었듯이, 릴외부둘레와 맞닿아 원하지 않는 릴(43)의 회전을 조절하기 위한 릴누름부이고, 42는 릴(43)로부터 이동된 테이프형상 부품리테이너의 주행방향을 변화시키는 롤러이다. 이들 구성요소들로 이송릴부를 구성한다. 참조부호 44는, 본 부품장치를 전자부품설치기계(도시하지 않음)의 부품공급부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45) 동작용 클램프레버를 나타낸다. 클램프레버(44)를 파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회전하여 고정된 클램프(45)를 파선으로 표시한 위치로 이동시켜, 전자부품설치기계로부터 부품공급장치의 고정을 해제한다. 참조부호 46은, 부품공급장치를 전자부품설치기계에 고정시킬 때, 전자부품설치기계의 부품공급부에 설치된 위치결정구멍에 맞추어 보아 부품공급장치의 설치위치를 조절하는 위치결정핀을 나타낸다. 참조부호 47은 이송레버이다. 이 이송레버(47)에 대해 소정량의 외력을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에서 가하는 경우, 레버에 연결된 테이프이송수단(48)은 화살표 B로 나타낸 방향으로 소정량 회전한다. 테이프형상 부품리테이너(1)의 이송구멍(3)과 테이프이송수단(48)의 기어가 결합하기 때문에, 테이프이송수단(48)의 회전에 의해 부품리테이너(1)가 소정량 이동한다. 이 점에서, 지지점(49)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테이프가이드(50)는, 부품리테이너(1)의 이송구멍(3)에 테이프이송수단(48)의 기어를 끼워 맞춰지도록 위쪽에서 압력을 가한다. 지지점(49)의 위치는 도 14, 17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테이프가이드(50)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면 다른 위치를 이용하여도 좋다.
테이프이송수단(48)의 회전력은 링크(51)를 개재하여 레버(52)에 전달된다. 레버(52)가 지지점(53) 주위를 회전함으로써, 스프링(54)의 미는 힘이 레버(55)를 동작시킨다. 레버(55)를 받치고 있는 링크(56)가 감기수단(57)을 화살표 C로 나타낸 방향으로 소정량 회전시킨다.
참조부호 58은, 테이프형상 부품리테이너(1)의 주행표면이 되는 테이프주행부를 나타내고, 59는 전자부품설치기계에 설치되는 저부면인 기판부이다. 도 15에서 나타내듯이, 테이프주행부(58) 및 기판부(59)는 각각 그 측부부터 부품공급장치본체(60)에 설치된다. 그러나, 이들 구성요소 58, 59 및 60은 분리부재일 필요는없고, 일부부재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성은, 기구의 측방으로부터 테이프를 교체할 수 있게 하는 홈형상 주행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도 16은, 부품취출위치(62) 근방의 일체부품의 평면도이다. 도 19에 나타내었듯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소정의 한 쌍의 가이드돌출부(63)를 보유한 결합피스클로징부재(64)는, 부품취출위치를 포함하는 테이프주행면(58)의 소정의 영역내에 설치된다. 결합피스클로징부재(64)는, 테이프주행면(65)을 테이프주행부(58)의 테이프주행면(66)의 높이와 동일하게 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또한, 테이프가이드(50)는, 상기 도에서 나타내었듯이, 테이프이송수단(48)의 기어와 접촉하는 것을 피하게 하기 위한 슬릿(67)을 보유한다.
부품리테이너의 탑재시 조작은 도 17 및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송릴(43)로부터 연출된 테이프형상 부품리테일러(1)는, 테이프주행부(58)와 거의 평행하게 되도록 롤러(42)에 의해 그 방향이 바뀌고, 테이프가이드에 의해 부품취출위치(62) 근방의 테이프주행면(65)에 대해 눌린다. 테이프이송수단(48)의 기어는 부품리테이너(1)에 형성된 이송구멍(3)과 결합된다. 전자부품설치기계는 수송레버(47)를 A방향으로 소정량 눌러서, 연동테이프 이송수단(48)을 B방향으로 소 정량 회전시켜서, 부품리테이너(1)를 D방향으로 소정량 이송시킨다. 이 점에서, 부품취출위치(62)에서, 부품리테이너(1)의 배면상의 돌출부(10)가 가이드돌출부(63)의 경사측을 따라 이동하고 또 테이프이송방향에 대하여 바깥방향으로 이동하여 결합피스(7)가 개방되어, 지지부품(27)을 위에서부터 취출되게 한다. 부품(27)이 부품취출위치(62)에서 취출된 후, 부품리테이너(1)는 테이프주행부(58)의 아래에 형성된 홈형상 테이프주행공간(61)을 관통하여, 릴(69)에 다시 감긴다. 감기수단(57)의 감기동작은 테이프이송수단(48)의 테이프수송동작과 동시에 일어난다. 또한, 감기수단(57)이 일방향 클러치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테이프형상 리테이너(1)는 감기 중에 느슨해지지 않고, 안정하게 감길 수 있다. 이송릴(43)에서도 마찬가지로, 감기측은 릴누름부를 보유한다.
부품리테이너(1)를 교체하기 위해서, 테이프가이드(50)는, 지지점(49) 바깥둘레로 회전하여 부품리테이너(1)와 테이프이송수단(48)의 기어 사이의 결합을 해제시킨다. 부품리테이너(1)는 D화살표 방향으로 좀 더 이동하여 느슨해 지게 한다. 그때, 테이프형상 부품리테이너(1)는 이송릴(43)과 감기릴(69) 사이의 연결을 유지한 채로 상기 장치의 측쪽(도 17에 있어서 독자를 향한 쪽)에서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교체는 용이하다.
본 실시예는, 부품리테이너(1)를 기구의 측쪽에서 교체할 수 있게 하는 홈형상 테이프주행공간(61)의 형성에 관해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홈형상 공간(61)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부품리테이너(1)가 통과하여 주행할 수 있는 공간이 테이프주행면상에 설치되고, 테이프가이드(50)가 지지점(49)둘레 위쪽으로 회전하고, 또 부품리테이너(1)가 그 위치에서 떼어내도록 하는 갭이 테이프가이드(50)와 테이프주행면 사이에 형성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테이프가이드(50)의 선단곡면부(70)와 테이프이송수단(48) 사이의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어, 부품리테이너의 교체 중에 감기수단(57)으로부터 부품리테이너를 떼어낼 때 취출동작이 용이하다.
이러한 부품공급장치는, 결합피스 클로징부재(64)의 교체에 의해 다른 수납 피치와 더불어 부품리테이너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6)

  1. 부품(27)을 수납 및 지지하는, 연결된 리테이닝유닛(2)으로 구성되는 부품리테이너(1)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유닛은, 부품수납공간(5)의 개구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위치와 철수하는 위치의 양 위치에서 안정하게 정지하고, 이 두 위치 사이를 소정량이상의 힘에 의해 이동가능한 결합피스(7)를 보유하여, 이 결합피스(7)가 개구부를 향해 돌출하여 있을 때, 수납공간(5)에 수납된 부품(27)이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리테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리테이닝유닛(2)의 대향하는 양 측벽(2a,2a)과 결합피스(7)의 양 단부가 각각 자체힌지(9)를 개재하여 한 쌍의 링크피스(28a,28b)에 의해 함께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리테이너.
  3. 제1항에 있어서, 리테이닝유닛(2)의 대향하는 양 측벽(2a,2a)과 결합피스(7)의 양 단부가 각각 자체힌지(9)를 개재하여 단일 링크피스(8)에 의해 함께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리테이너.
  4. 제1항에 있어서, 힌지연결된 한 쌍의 링크피스(28a,28b)의 양 단부가 리테이닝유닛(2)의 대향하는 또는 인접하는 양 측벽(2a,2a)에 각각 함께 연결되고, 그 링크피스(28a,28b) 중 하나에 결합피스(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리테이너.
  5. 제1항에 있어서, 만곡지지피스(29)의 양 단부가 자체힌지(9)를 개재하여 리테이닝유닛(2)의 대향하는 또는 인접하는 양 측벽(2a,2a)에 각각 연결되고, 그 만곡지지피스(29)의 대략 중앙부에 결합피스(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리테이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리테이너(1)가 가이드레일(25)을 따라 주행하는 가이드레일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홈(26) 또는 돌출부를 통해 상기 두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결합피스(7)의 이동을 위해 결합피스(7)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돌출부(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리테이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피스(7)가 리테이닝유닛(2)의 일단부 또는 양 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리테이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피스(7)가 리테이닝유닛(2)의 1개이상의 코너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리테이너.
  9. 제1항에 있어서, 연결구멍(14)이 리테이닝유닛(2)의 연결방향의 한 측에 설치되고, 그 연결구멍(14)에 끼워 맞추어 결합하는 결합돌출부(12)가리테이닝유닛(2)의 연결방향의 다른 측에 설치되고, 또 상기 결합돌출부(1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구멍(14)의 둘레가장자리와 결합하는 결합고정수단(15)을 결합돌출부(12)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리테이너.
  10. 성형기(21)를 사용하여 리테이닝유닛(2)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된 리테이닝유닛을 먼저 성형된 리테이닝유닛을 둔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하나의 리테이닝유닛(2)의 연결방향의 한 측의 연결구멍(14)에 다른 리테이닝유닛의 다른 측의 결합돌출부(12)를 끼워 맞추어 리테이닝유닛을 연결하는 단계, 및 계속하여 상기 연결된 리테이닝유닛(2)을 1개의 리테이닝유닛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리테이너(1)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유닛(2)을, 결합피스(7)를 부품수납공간(5)의 개구부로부터 철수시키는 위치에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리테이너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리테이닝유닛(2)을 연결한 후, 상기 부품리테이너(1)을 차례로 이송하는 동안, 결합피스(7)가 부품수납공간(5)의 개구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리테이너의 제조방법.
  13. 부품공급장치가, 자동조립기계에 착탈가능한 부품공급장치본체(60), 부품공급장치본체(60)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테이프형상 부품리테이너가 감겨진 이송릴부(43), 부품공급장치본체(60)의 다른 단부에 설치되어 부품리테이너(1)로부터 부품을 취출하는 부품취출위치, 부품공급장치본체(60)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부품취출위치에서 부품을 취출한 후 부품리테이너를 다시 감는 감기릴부(69), 상기 이송릴부(43)로부터 연출된 부품리테이너를 소정의 부품취출위치(62)로 이동시켜 이것을 감기릴부(69)에 의해 감겨지도록 하는 테이프이송수단(48) 및 이 테이프이송수단(48)에 부품리테이너(1)를 결합시키는 테이프가이드(50)로서, 이 테이프가이드(50)의 압력을 제거함으로써 부품리테이너(1)의 연결을 유지한 채로 부품리테이너를 상기 장치의 측부에서 떼어낼 수 있는 테이프가이드(4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가이드(50)의 팁이 상기 부품공급장치본체(60)의 다른 단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를 상기 장치의 측쪽에서 교체할 수 있게 하는, 측면으로 개구된 홈형상 테이프주행공간(61)이 부품공급장치본체(60)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감기릴부(69)가 감기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게 하는 일방향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장치.
KR1019970703365A 1995-09-22 1996-09-20 부품리테이너와이것의제조방법및이부품리테이너를사용하는부품공급장치 KR1004045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44452 1995-09-22
JP24445295A JP3447862B2 (ja) 1995-09-22 1995-09-22 部品保持体
JP96-12555 1996-01-29
JP01255596A JP3557763B2 (ja) 1996-01-29 1996-01-29 部品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7713A KR970707713A (ko) 1997-12-01
KR100404559B1 true KR100404559B1 (ko) 2004-04-21

Family

ID=26348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3365A KR100404559B1 (ko) 1995-09-22 1996-09-20 부품리테이너와이것의제조방법및이부품리테이너를사용하는부품공급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6003675A (ko)
EP (1) EP0793904B1 (ko)
KR (1) KR100404559B1 (ko)
CN (1) CN1099828C (ko)
DE (1) DE69625996T2 (ko)
WO (1) WO19970115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776B1 (ko) * 2009-10-27 2013-01-22 동아산기 주식회사 통과식 복식형 테이블 산업용 세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8651B2 (ja) * 1996-10-17 2004-08-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部品収納体及びその部品収納体を用いた部品検査方法及び装置
US6152304A (en) * 1996-11-18 2000-11-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ponent holder
JP3749585B2 (ja) * 1997-01-17 2006-03-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部品のテーピング方法と装置
DE19856102C2 (de) * 1998-12-04 2003-11-20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Transportsystem für Kleinbauteile
ES2433741T3 (es) 2001-02-19 2013-12-12 Canon Kabushiki Kaisha Contenedor para suministro de tóner y sistema de suministro de tóner
DE10351960A1 (de) * 2003-11-07 2005-06-09 Siemens Ag Transportband eines Bestückautomaten
GB2437999B (en) * 2006-05-10 2009-07-29 Dek Int Gmbh Workpiece carrier and workpiece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GB2443659A (en) * 2006-11-13 2008-05-14 Dek Int Gmbh Workpiece carrier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workpieces
US20090114564A1 (en) * 2007-11-02 2009-05-07 Speed Tech Corp. Carrier tape structure
US8430245B2 (en) * 2010-03-24 2013-04-30 Bi-Link, Inc. Insert for tape and reel packaging
TWI598721B (zh) * 2015-07-13 2017-09-11 鴻騰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CN108190233A (zh) * 2018-01-31 2018-06-22 重庆百惠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拼接式载带
CN108789142B (zh) * 2018-06-07 2021-03-19 深圳市中朗达五金塑胶有限公司 提高效率的零件加工用夹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7794A (en) * 1984-10-17 1985-10-15 Amdahl Corporation Reusable fixture for holding a segment of a flexible strip
US4696526A (en) * 1985-07-26 1987-09-29 Intel Corporation Carrier for tape automated bonded semiconductor device
US4767984A (en) 1985-10-04 1988-08-30 Amp Incorporated Protective fixture for chip carrier
US4681221A (en) * 1986-10-30 1987-07-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older for plastic leaded chip carrier
JP2670517B2 (ja) * 1989-03-30 1997-10-29 山一電機株式会社 Icキャリア搭載形ソケットにおける接触機構
JP2594355B2 (ja) * 1989-04-28 1997-03-26 山一電機工業株式会社 Icキャリア
JPH046055A (ja) * 1990-04-13 1992-0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収納体
US5066245A (en) * 1990-11-09 1991-11-19 Amp Incorporated Retention device for flat pack sockets
US5080228A (en) * 1990-12-27 1992-01-14 R. H. Murphy Co., Inc. Integral carrier and system for electrical components
US5073116A (en) 1991-03-01 1991-12-17 Amp Incorporated Surface mount LCC socket
US5349236A (en) * 1992-07-21 1994-09-20 Mitsui Toatsu Chemicals, Incorporated Reusable fixture for carrier tape
EP0660655B1 (en) * 1993-12-27 1998-01-28 GOLD INDUSTRIES Co. Ltd. A tray assembly for transporting precision devices
JP3526625B2 (ja) * 1994-07-20 2004-05-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部品集合体とその供給装置
US5584717A (en) 1994-11-18 1996-12-17 Wells Electronics, Inc. Slide lock carrier
JPH09133121A (ja) 1995-11-10 1997-05-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保持体
US5971156A (en) 1997-09-05 1999-10-26 Kinetrix, Inc. Semiconductor chip tray with rolling contact retention mechanis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776B1 (ko) * 2009-10-27 2013-01-22 동아산기 주식회사 통과식 복식형 테이블 산업용 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32539B2 (en) 2001-12-25
DE69625996T2 (de) 2003-07-03
CN1099828C (zh) 2003-01-22
US6003675A (en) 1999-12-21
EP0793904B1 (en) 2003-01-29
CN1165610A (zh) 1997-11-19
EP0793904A1 (en) 1997-09-10
DE69625996D1 (de) 2003-03-06
KR970707713A (ko) 1997-12-01
US20010002005A1 (en) 2001-05-31
WO1997011593A1 (en)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4559B1 (ko) 부품리테이너와이것의제조방법및이부품리테이너를사용하는부품공급장치
EP0090149B1 (en) Leader block in a single reel magnetic tape catridge
EP2079294B1 (en) Component supply unit and surface mounter
KR100250417B1 (ko) 부품집합체와 그공급장치
US8220141B2 (en) Component supply apparatus and surface mounter
JP2970979B2 (ja) 自動組立て方法及び装置並びに写真フイルムパトローネの組立て方法
EP0773711A2 (en) Component holder body
JP2019012859A (ja) テープフィーダ
JPH058514B2 (ko)
US6152304A (en) Component holder
JP2894119B2 (ja) 部品収納体と部品集合体ならびに部品集合体の製造方法
JPH0669684A (ja) 電子部品供給装置の位置決機構
JPH075143B2 (ja) 電子部品収納容器
JP3447862B2 (ja) 部品保持体
JP2003051696A (ja) テープフィーダにおけるリール交換方法及びテープフィーダ
WO2021157014A1 (ja) テープガイド及び部品供給装置
US5021868A (en) IC carrier
JP7130013B2 (ja) フィーダ
KR0163317B1 (ko) 씨.디.피의 광 픽업 이송구조
JPH0142872Y2 (ko)
JP2024019123A (ja) 後退可能フィーダ
CA1206581A (en) Latching and withdrawing assembly for plug-in circuit packs
JP2021111790A (ja) 受動部材排出駆動部を備えた部材カセット
JPH1017016A (ja) キャリアテープ
KR930002302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