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3209B1 - Dc-dc 컨버터 - Google Patents

Dc-dc 컨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3209B1
KR100403209B1 KR10-2001-0030335A KR20010030335A KR100403209B1 KR 100403209 B1 KR100403209 B1 KR 100403209B1 KR 20010030335 A KR20010030335 A KR 20010030335A KR 100403209 B1 KR100403209 B1 KR 100403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voltage
winding
diode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0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9197A (ko
Inventor
코우이치 모리다
토시유끼 야마기시
Original Assignee
산켄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켄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켄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9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2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1Resonant DC/D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Abstract

DC-DC 컨버터의 주 스위치(Q1)의 턴 오프(turn-off)시와 턴 온(turn-on)시 쌍방에 있어 ZVS를 달성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직류전원(Ei)에 대해 1차 권선(N1)과 주 스위치(Q1)와의 직렬회로를 접속한다. 주 스위치(Q1)에 대해 병렬로 부분 공진용 콘덴서(C1)를 접속한다. 2차 권선(N2)에 정류 평활 회로(3)를 접속한다. 3차 권선(N3)과 4차 권선(N4)과 그리고공진용 인덕터(L1)와 제 1 보조 다이오드(Da)와 보조 스위치(Q2)의 직렬회로를, 1차 권선(N1)과 주 스위치(Q1)와의 직렬회로에 대해 병렬로 접속한다. 제 2 보조 다이오드(Db)를 4차 권선(N4)과 공진용 인덕터(L1)와 그리고 제 1 보조 다이오드(Da)와 보조 스위치(Q2)와의 직렬회로에 대해 병렬로 접속한다.

Description

DC-DC 컨버터 {DC-DC CONVERTER}
본 발명은, 직류전압을 단속하기 위한 스위치의 ZVS(제로 볼트 스위칭)를 행할 수 있는 직류-직류 변환기 즉 DC-DC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직류전원의 일단(一端)과 타단(他端) 사이에 트랜스의 1차 권선과 스위치와의 직렬회로를 접속하고, 트랜스의 2차 권선에 정류 평활 회로를 접속하고, 또한 스위치에 병렬로 부분 공진용 콘덴서를 접속한 플라이백(flyback)형 DC-DC 컨버터는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플라이백형 DC-DC 컨버터에서, 스위치 온 기간에 트랜스로 에너지가 축적되고, 스위치 오프 기간에 트랜스의 에너지가 부하측으로 방출된다. 스위치 턴 온 시에는, 부분 공진용 콘덴서의 전압이 서서히 상승하기 때문에, ZVS가 달성된다. 이에 대해, 스위치 턴 오프 시 부분 공진용 콘덴서에 전하가 남아 있는 경우, 이 전하가 스위치를 통해 방전하기 때문에 전력 손실이 발생한다. 이 전력 손실을 저하시키기 위해 스위치 턴 온 전에 부분 공진용 콘덴서의 축적 에너지의 방출을 행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스위치 턴 온 시의 전형적인 ZVS 방법으로는, 스위치 오프(OFF) 기간에 있어, 스위치 온(ON)시에 트랜스에 축적된 에너지의 방출이 종료한 후에 1차 권선의 인덕턴스와 공진용 콘덴서와의 공진에 의해 공진용 콘덴서의 전하를 방전시켜, 공진용 콘덴서의 전압 즉 스위치의 전압이 실질적으로 영(零)으로 된 때에 스위치를 온 상태로 제어한다. 이 결과, 스위치 턴 온 시의 영(零) 전압 스위칭 즉 ZVS가 달성된다.
하지만, DC-DC 컨버터의 입력 전압이 100V ~ 230V와 같이 큰 폭으로 변화하는 경우, 입력전압이 높을 때 스위치 온 시간 폭이 좁아지고, 트랜스의 축적 에너지가 작아지며, 방출 시간도 짧아진다. 따라서, 축적 에너지의 방출 종료 후 공진용 콘덴서와 1차 권선으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에 진동 전류가 반복하여 흘러, 스위치 턴 온 시 공진용 콘덴서의 전하가 영으로 된다고 할 수 없다. 이 결과, 스위치 턴 온이 ZVS로 되지 못하고 스위칭 손실이 커지며, DC-DC 컨버터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는 부하가 큰 폭으로 변화하는 DC-DC 컨버터에 있어, 경(輕)부하로 된 때에도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치 온 시간 폭의 변화에 구애받지 않고 스위치 턴 온 시와 턴 오프 시 쌍방에서 ZVS를 행할 수 있는 DC-DC 컨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 형태의 DC-DC 컨버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회로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DC-DC 컨버터 각 부의 전압 및 전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4는, 도 2 각 부의 전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5는, 제 2 실시 형태의 DC-DC 컨버터의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5 각 부의 전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 도면의 부호에 대한 설명*
N1, N2, N3, N4 1차, 2차, 3차, 및 4차 권선
Q1 주 스위치
Q2 보조 스위치
C1 공진용 콘덴서
L1 공진용 인덕터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하로 직류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DC-DC 컨버터로서, 유(流)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직류전원 단자와, 서로 전자(電磁) 결합된 1차 권선과 2차 권선 그리고 3차 권선과 4차 권선을 포함하는 트랜스와, 2차 권선에 접속되어진 정류 평활 회로와, 제 1 및 제 2의 스위치와, 제 1 스위치에 병렬로 접속된 콘덴서 또는 기생(寄生)용량으로 이루어지는 공진용 커패시턴스 수단과, 공진용 인덕터 또는 트랜스의 누설 인덕턴스로 이루어지는 공진용 인덕턴스 수단과, 제 1 및 제 2 다이오드와, 스위치 제어회로를 포함하고, 1차 권선의 일단은 제 1 직류 전원 단자에 접속되고, 제 1 스위치는 1차 권선의 타단과 제 2 직류 전원 단자 사이에 접속되고, 3차 권선과 4차 권선과 그리고 공진용 인덕턴스 수단과 제 1 다이오드와 제 2 스위치는 서로 직렬로 접속되고 또한 1차 권선과 제 1 스위치와의 직렬회로에 대해 병렬로 접속되고, 제 1 다이오드는 제 1 및 제 2 직류전원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에 의해 순 방향 바이어스되는 방향성을 갖고, 제 2 다이오드는 제 1 및 제 2 직류전원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에 의해 역 바이어스되는 방향성을 갖고 또한 4차 권선과 공진용 인덕터 수단과 제 1 다이오드와 제 2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직렬 회로에 대해 병렬로 접속되고, 스위치 제어회로는 제 1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하는 제 1 제어신호를 발생함과 함께, 제 2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하는 제 2 제어신호를 발생하며, 제 2 제어신호는, 제 1 스위치의 온 개시 시점(t1)보다도 앞선 시점(t0)에서 제 2 스위치의 온 제어를 개시하고, 제 1 스위치의 온 종료 시점(t5) 또는 이 온 종료 시점(t5)보다도 앞선 시점(t4)에서 제 2 스위치의 온 제어를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한편, 청구항 제 2 항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스위치에 병렬로 다이오드를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청구항 제 3 항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류 평활 회로를, 정류용 다이오드와 평활용 콘덴서로 구성하고, 제 1 스위치의 온 기간에 2차 권선에 얻을 수 있는 전압으로 정류용 다이오드가 도통(導通)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제 4 항에 나타낸 바와 같이 3차 권선 및 4차 권선의 극성을, 1차 권선과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제어회로를 청구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1 ~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플라이백형 DC-DC 컨버터는, 예컨대 정류 평활 회로로 이루어지는 직류전원(Ei)에 접속된 제 1 및 제 2의 직류전원 단자(1a, 1b)와 서로 전자 결합된 1차 권선(N1)과 2차 권선(N2)과 3차 권선(N3)과 4차 권선(N4)를 포함하는 트랜스(T)와, FET로 이루어지는 제 1 스위치로서의 주 스위치(Q1)와, 주 콘덴서라고 할 수 있는 공진용 콘덴서(C1)와, 제 1 주 다이오드(D1)와, 2차 권선(N2)과 출력 단자(2a, 2b) 사이에 접속된 정류 평활 회로(3)와, 스위치 제어회로(4)와, FET로 이루어지는 제 2 스위치로서의 보조 스위치(Q2)와, 제 2 주 다이오드(D2)와, 공진용 인덕턴스 수단으로서의 공진용 인덕턴스(L1)와 제 1 및 제 2 보조 다이오드(Da, Db)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출원의 특허청구범위에서는, 제 1 및 제 2의 보조 다이오드(Da, Db)를 제 1 및 제 2 다이오드라고 하고, 제 1 주 다이오드(D1)를 제 3 다이오드라고 하고 있다.
트랜스(T)의 1차 권선(N1), 2차 권선(N2), 3차 권선(N3) 및 4차 권선(N4)은 자기 코어(F)에 둘려 감싸여지고, 이들의 극성은 도 1에서 검은 점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되어져 있다. 다시 말하면, 2차 권선(N2)의 극성은 1차 권선(N1)의 극성과 반대이다. 또한, 3차 권선(N3) 및 4차 권선(N4)의 극성은 전원(Ei)의 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1차 권선(N1)의 극성과 동일하다. 또한, 도 1의 실시 형태에서 1차 권선(N1)과 3차 권선(N3)의 권수는 동일하며, 4차 권선(N4)의 권수는 1차 권선(N1)과 3차 권선(N3)의 권수(卷數)에 비해 적게 설정되어 있다. 이 이유는 스위치(Q2)의 내압의 문제로서, 4차 권선(N4)을 권선(N1, N3)과 권수를 동일하게 하면,
Vq2 = Vq1 + ( N4 / N3 ) Ei 의 관계로부터 스위치(Q2)에는 스위치(Q1)에 인가된 전압 약 2배 가까운 전압이 걸린다. 따라서 스위치 소자의 내압이 허용되는 범위로 권수를 조정한다. AC 100V계에서 권선(N4)은 권선(N1, N3)과 동일하여도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지만, 월드 와이드용의 AC 200계는, 권선(N4)의 권수를 권선(N3)의 권수 20 ~ 50% 정도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 권선(N1)의 일단은 제 1 직류전원 단자(1a)에 접속되어져 있다. 제 1 스위치(Q1)는 1차 권선(N1)의 타단과 그라운드측의 제 2 직류전원 단자(1b) 사이에 접속되어져 있다. 주 콘덴서 또는 부분 공진용 콘덴서 또는 스너버(snubber)용 콘덴서라고도 말할 수 있는 공진용 콘덴서(C1) 및 제 1 주 다이오드(D1)는 주 스위치(Q1)에 병렬로 접속되어져 있다. 또한 제 1 주 다이오드(D1)는 전원(Ei) 전압으로 역 바이어스되는 방향성을 갖고 있다. 또한, 공진용 콘덴서(C1)를 주 스위치(Q1)의 주 단자간 즉 드레인·소스(drain·source)간의 기생용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역 방향 전류를 흘리기 위한 제 1 주 다이오드(D1)는 주 스위치(Q1)의 내장 또는 기생 다이오드로 할 수 있다. 정류 평활 회로(3)는, 정류용 다이오드(D0)와 평활용 콘덴서(C0)로 이루어져 있다. 평활용 콘덴서(C0)는 정류용 다이오드(D0)를 통하여 2차 권선(N2)에 병렬로 접속되어져 있다. 2차 권선(N2)의 극성은 1차 권선(N1)의 극성과 반대이기 때문에, 1차 권선(N1)에 전원(Ei) 전압이 인가되고 있는 때에, 정류용 다이오드(D0)가 비도통(非導通) 상태로 유지되고, 주 스위치(Q1) 오프 기간에 트랜스(T1)의 축적 에너지 방출로 발생하는 2차 권선(N2)의 전압으로 정류용 다이오드(D0)가 도통하고, 평활용 콘덴서(C0)를 충전하여, 출력 단자(2a, 2b) 사이의 부하(R0)로 전력을 공급한다.
3차 권선(N3)과 4차 권선(N4)과 그리고 공진용 인덕턴스(L1)과 제 1 보조 다이오드(Da)와 보조 스위치(Q2)는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져 있어 공진 보조회로를 형성하고 있다. 이 보조회로는, 1차 권선(N1)과 주 스위치(Q1)와의 직렬회로 및 전원(Ei)에 대하여 각각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보조 다이오드(Da)는 전원(Ei)의 전압으로 순 방향 바이어스되는 방향성을 갖는다. 보조 스위치(Q2)에 병렬로 제 2 주 다이오드(D2)가 접속되어져 있다. 또한 제 2 주 다이오드(D2)를 보조 스위치(Q1)의 내장 즉 기생 다이오드로 할 수 있다. 제 2 보조 다이오드(Db)는, N4 - L1 - Da - Q2로 이루어지는 보조회로에 대해 병렬로 접속되어져 있다. 제 2 보조 다이오드(Db)는 전원(Ei) 전압에 의해 역 방향 바이어스되는 방향성을 갖는다. 스위치 제어회로(4)는 출력 단자(2a, 2b)와 주 스위치(Q1)의 제어 단자 즉 게이트와 보조 스위치(Q2)의 제어 단자 즉 게이트에 접속되고, 주 스위치(Q1)에 도 3(A)에 나타내는 제 1 제어신호(Vg1)를 보내며, 보조 스위치(Q2)에 도 3(B)에 나타내는 제 2 제어신호(Vg2)를 보낸다.
도 1의 제어회로(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압 검출회로(11)와, 차동증폭기(12)와, 기준 전압원(13)과, 비교용 파형 발생기로서의 삼각파 발생기(14)와, 제 1 비교기(15)와, 레벨 설정회로(16)와, 제 2 비교기(17)와, 타이머로서의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MMV)(18)로 이루어져 있다. 전압 검출회로(11)는 출력 단자(2a, 2b)간의 전압을 검출하고, 이 검출 값을 차동증폭기(12)로 보낸다. 차동증폭기(12)는 상기 검출 값과 기준 전압원(13)의 기준 전압과의 차이에 상당하는 차전압 즉 제 1 전압(V1)을 제 1 비교기(15)로 보낸다. 따라서, 전압 검출회로(11)와 차동증폭기(12)와 기준 전압원(13)에서 제 1 전압(V1)을 얻기 위한 출력전압 검출수단이 구성되어져 있다. 제 1 비교기(15)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전압(V1)과 삼각파 발생기(14)의 20 ~ 150kHz 정도의 반복 주파수를 포함하는 삼각파 전압(Vt)을 비교하여 도 4(B)에 나타낸 PWM 펄스를 생성하고, 이를 제 1 제어신호(Vg1)로서 주 스위치(Q1)의 게이트로 보낸다. 또한, 삼각파 발생기(14) 대신에 비교용 파형으로서 톱니파 전압을 발생하는 톱니파 발생기를 사용할 수 있다. 레벨 설정회로(16)는 차동증폭기(12)의 출력전압(V1)을 저항(R1, R2)으로 분할하고, 차동증폭기(12)의 출력전압(V1)보다도 약간 낮은 레벨의 제 2 전압(V2)을 출력한다. 따라서, 레벨 설정회로(16)가 제 2 전압(V2)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제 2 비교기(17)는 삼각파 발생기(14)의 삼각파 전압(Vt)과 레벨 설정회로(16)의 출력전압(V2)을 비교하여 제 1 비교기(15)의 PWM 펄스보다도 약간 넓은 펄스를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성한다. 제 2 비교기(17)의 출력 펄스의 상승 시점(t0)은 제 1 비교기(15)의 출력 펄스의 상승 시점(t1)보다도 조금 앞선다. MMV(18)는 제 2 비교기(17)의 출력 펄스의 상승으로 트리거(trigger)되어 도 4(D)의 펄스를 형성한다. 도 4(D)의 t0 ~ t4 기간에 나타나는 펄스는, 도 3(B)의 t0 ~t4 기간의 펄스와 동일한 것임을 나타낸다. MMV(18)의 출력 펄스의 하강 시점 즉 보조 스위치(Q2)의 온 종료시점을, 주 스위치(Q1)의 온 종료시점(t5)까지 연장시킬 수 있다. 요약하면, 보조 스위치(Q2)는 늦어도 t5 시점에서 오프로 제어된다. 도 4(D)의 펄스는 보조 스위치(Q2)의 게이트로 보내어진다.
다음으로, 도 1의 컨버터의 동작을 도 3 및 도 4의 파형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류경로를 회로요소의 참조 부호만으로 나타내기로 한다.
(t0 이전 및 t6 ~ t7 기간)
도 3의 t0보다도 앞의 기간 및 t6 ~ t7 기간에 있어, 주 스위치(Q1)와 보조 스위치(Q2) 쌍방이 오프이다. 이 기간에서는 주 스위치(Q1)의 온 시에 트랜스(T1)에 축적되었던 에너지 방출에 근거하여 2차 권선(N2)에 다이오드(D0)를 순 방향 바이어스하는 방향의 전압이 발생하고, 도 3(G)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이오드(D0)가 도통 상태로 되고, 평활용 콘덴서(C0)의 충전 및 부하(R0)로의 전력 공급이 발생한다.
(t0 ~ t1 기간)
보조 스위치(Q2)가 온 상태로 되는 t0 시점에서 주 스위치(Q1)가 온 상태로 되는 t1 시점 까지의 t0 ~ t1 기간에서, 공진 동작에 의해 공진용 콘덴서(C1)의 전하가 방출되고, 이 전압 즉 주 스위치(Q1)의 전압(V Q1)이 영(零)을 향해 서서히 저하된다. 즉, t0 ~ t1 기간에서, 보조 스위치(Q2)가 온으로 되기 때문에, 전원(Ei) - 3차 권선(N3) - 4차 권선(N4) - 공진용 인덕터(L1) - 제 1 보조 다이오드(Da) - 보조 스위치(Q2)로 이루어져 있는 제 1 경로 전류와, 공진용 콘덴서(C1) - 1차 권선(N1) - 3차 권선(N3) - 4차 권선(N4) - 공진용 인덕터(L1) - 제 1 보조 다이오드(Da) - 보조 스위치(Q2)로 이루어지는 제 2 경로 전류가 흐른다. 3차 권선(N3) 및 4차 권선(N4)에 제 1 경로 전류가 흐르면, 2차 권선(N2)에 정류용 다이오드(D0)를 역 바이어스하는 방향의 전압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 다이오드(D0)는 비도통으로 전환하고, 도 3 (G)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이오드(D0)의 전류(Id0)는 영으로 된다. 이로써, 공진용 콘덴서(C1)의 방전이 가능하게 되고, 공진용 콘덴서(C1)의 방전 전류가 흐르고, 주 스위치(Q1)의 드레인·소스간 전압(Vq1)이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서히 저하되고, t1 시점에서 실질적으로 영으로 된다. 또한, 보조 스위치(Q2)에 직렬로 인덕턴스(L1)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보조 스위치(Q2)의 전류(Iq2)는 도 3(F)에 나타낸 바와 같이, t0에서부터 서서히 증대된다. 이 결과 보조 스위치(Q2)의 영 전류 스위칭이 달성된다.
( t1 ~ t2 기간 )
t1 ~ t2 기간의 개시 시점(t1)에서 주 스위치(Q1)를 온 제어하면, t1 시점에서는 주 스위치(Q1)의 전압(Vq1)이 실질적으로 영이기 때문에, ZVS가 달성되고, 주 스위치(Q1)의 스위칭 손실이 적어진다. 이 t1 ~ t2 기간에서는, 전의 t0 ~ t1 기간에서 공진용 인덕터(L1)에 축적된 에너지 방출에 근거하여 공진용 인덕터(L1) - 제 1 보조 다이오드(Da) - 보조 스위치(Q2) - 제 1 주 다이오드(D1) 또는 주 스위치(Q1) - 1차 권선(N1) - 3차 권선(N3) - 4차 권선(N4)의 경로로 전류가 흐른다. 또한 이 t1 ~ t2 기간에는, 공진용 인덕터(L1) - 제 1 보조 다이오드(Da) - 보조 스위치(Q2) - 전원(Ei) - 3차 권선(N3) - 4차 권선(N4)의 경로에도 전류가 흐르고, 게다가 L1 - Da - Q2 - Db - N4의 경로에도 전류가 흐른다. 또한, 도 3(D)의 전류(Iq1)는, 주 스위치(Q1)의 전류와 제 1 주 다이오드(D1)의 전류와의 합계를 나타낸다. 따라서 제 1 주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는 때에 전류(Iq1)이 마이너스가 된다.
t1 ~ t2 기간에 3차 권선(N3) 및 4차 권선(N4)에 전류가 흘렀을 때, 2차 권선(N2)에 정류용 다이오드(D0)를 역 바이어스 하는 방향의 전압이 유기(誘起)된다. 따라서, 트랜스(T)에서 부하(R0)로의 전력 공급이 저지되고, 트랜스(T)에 에너지가 축적된다. 즉, 인덕터(L1)에서 방출된 에너지는 트랜스(T)로 축적된다.
(t2 ~ t3 기간)
t2 시점에서 제 1 주 다이오드(D1) 및 제 2 보조 다이오드(Db)의 순 바이어스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면, L1 - Da - Q2 - D1 - N1 - N3 - N4 경로의 전류가 영으로 되고, 또한 L1 - Da - Q2 - Db - N4 경로의 전류 Idb도 영으로 된다. 따라서, 공진용 인덕터(L1)의 잔여 에너지는 t2 ~ t3 기간에 L1 - Da - Q2 - Ei - N3 - N4 경로에서 방출된다.
주 스위치(Q1)는 t1 시점에서 이미 온으로 제어되어 있기 때문에, t2 ~ t3 기간에 Ei - N1 - Q1의 경로로 주 스위치(Q1) 정 방향의 전류(Iq1)가 흐른다. 이 때, 정류 다이오드(D0)는 비도통이기 때문에, 인덕턴스를 포함하는 트랜스(T)에 대한 에너지의 축적이 발생한다.
(t3 ~ t4 기간)
t3 ~ t4 기간은, 도 3(F)에 나타낸 보조 스위치(Q2)의 전류(Iq2)가 영으로 된 시점(t3)에서 보조 스위치(Q2)가 턴 오프로 제어되는 시점(t4)까지의 기간에 해당한다. t3 ~ t4 기간에서는 보조 스위치(Q2)의 온 제어가 유지되고 있지만, 제 1 보조 다이오드(Da)가 역 바이어스 상태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보조 스위치(Q2)를 통하는 전류(Iq2)는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t3 ~ t4 기간에는 Ei - N1 - Q1 경로의 전류(Iq1)만이 흐르고, 트랜스(T)에 대한 에너지의 축적 동작이 발생한다.
보조 스위치(Q2)의 온 종료 시점은, 주 스위치(Q1)의 온 개시 시점(t1)과 종료 시점(t5) 사이에 설정된다. 또한, 보조 스위치(Q2)의 바람직한 온 종료 시점은, 도 3의 t3 ~ t5 기간내이다. 또한 보조 스위치(Q2)의 온 개시 시점(t0)은, 공진 동작에 의해 주 스위치(Q1)의 전압(Vq1)을 주 스위치(Q1)의 온 개시 시점(t1)에 있어 실질적으로 영으로 할 수 있도록 결정한다. 즉, t0 ~ t1 기간은, 공진용 콘덴서(C1)의 실질적으로 전 전하를 방출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으로 결정한다. 주 스위치(Q1)의 전압(Vq1)이 t0 시점의 값으로부터 t1 시점의 값으로 변화하는 시간의 길이는 공진회로의 회로정수에 의해 결정된다. 도 2의 레벨 설정회로(16)는 도 3의 t0 ~ t1 기간을 얻을 수 있도록 제 2 비교기(17)의 입력 레벨을 설정하는 것이다.
주 스위치(Q1) 턴 온 시점은, 이 전압(Vq1)이 영으로 되는 시점 t1에서 t2 시점까지의 기간내 임의의 시점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t2 시점은 제 1 주 다이오드(D1)의 도통 상태가 종료하는 시점이다. 공진용 콘덴서(C1)의 전압이 영으로 되고 또한 제 1 주 다이오드(D1)가 도통되고 있는 기간 t1 ~ t2는 주스위치(Q1)의 전압(Vq1)이 실질적으로 영이기 때문에, 이 기간 t1 ~ t2에 주 스위치(Q1)로 게이트 신호(Vg1)를 인가하면, ZVS가 달성된다.
도 3에서 주 스위치(Q1)의 게이트 신호(Vg1)를 t1 시점에서 인가하고 있지만, 게이트 신호(Vg1)의 발생 시점의 편차를 고려하여, t1 시점과 t2 시점과의 거의 중간 시점에서 게이트 신호(Vg1)를 저 레벨에서 고 레벨로 전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주 스위치(Q1)의 온 제어 개시 시점이 이 전압(Vq1)이 영으로 되는 t1보다도 전에 있어도, 이 전압(Vq1)이 t0 시점에서 하강를 개시한 후라면, 이 전압(Vq1)이 하강하고 있는 양만큼 스위칭 손실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주 스위치(Q1)의 온 제어 개시 시점이, t2보다도 조금 뒤에 있어도 스위칭 손실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만약 t2에서 주 스위치(Q1)가 온으로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공진용 콘덴서(C1)의 충전이 개시되었다고 하더라도, 이 전압이 t0 시점의 주 스위치(Q1)의 전압(Vq1)보다도 낮은 범위라면, 이 낮은 양만큼 스위칭 손실이 절감된다. 따라서, 주 스위치(Q1)의 온 제어 개시 가능한 시점은, 보조 스위치(Q2)를 온 제어한 시점 t0보다도 후이고 또한 주 스위치(Q1)의 전압(Vq1)이 t0 시점의 주 스위치(Q1)의 전압(Vq1)보다도 낮아 지고 있는 기간내의 임의의 시점이다. 도 3에 있어, 보조 스위치(Q2)의 오프 제어 종료 시점은, 도 3(F)에 나타낸 보조 스위치(Q2)의 전류(Iq2)가 영으로 되는 시점 t3보다도 후인 t4이기 때문에, 보조 스위치(Q2) 턴 오프 시의 영 전류 스위칭이 달성되고, 보조 스위치(Q2)의 전력 손실이 작아지게 된다.
(t4 ~ t5 기간)
t4 ~ t5 기간에 있어서, 전의 t3 ~ t4 기간과 동일하게 전원(Ei) - 1차 권선(N1) - 주 스위치(Q1) 경로에서 전류(Iq1)가 흐르고, 트랜스(T1)에 에너지가 축적된다. 또한, 1차 권선(N1)은 인덕턴스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1차 권선(N1)의 전류는 시간과 함께 증대한다. 이 t4 ~ t5 기간에서 정류 다이오드(D0)가 비도통이고, 부하(R0)에 평활용 콘덴서(C0)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t5 ~ t6 기간)
t5 ~ t6 기간은 주 스위치(Q1)의 턴 오프 과도기간이다. t5 시점에서 주 스위치(Q1)를 턴 오프 제어하고, 이것이 오프 상태로 되면, 공진용 콘덴서(C1)가 서서히 충전되어, 이 전압 및 스위치(Q1)의 전압(Vq1)이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서히 상승한다. 이 결과, 주 스위치(Q1) 턴 오프 시의 ZVS가 달성되고, 스위칭 손실이 절감된다. 또한, 턴 오프 시의 노이즈가 억제된다. 게다가, t5 ~ t6 기간에 있어 트랜스(T)의 축적 에너지의 방출이 서서히 개시되고, 정류용 다이오드(D0)의 전류(Id0)가 도 3(G)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흐르기 시작한다.
t6 ~ t7 기간은 t1의 직전 기간과 동일한 기간이다. 따라서, t7 시점 후부터 는 t0 ~ t7 기간과 동일한 동작이 반복되어 진다.
출력 단자(2a, 2b) 사이의 전압이, 예컨대 목표 값보다도 높아 지면, 도 4(A)에 나타낸 차동증폭기(12)의 출력전압(V1) 및 레벨 설정회로(16)의 출력 전압(V2)이 높아 지고, 비교기(15, 17)의 출력 펄스의 폭이 좁아 진다. 제 1 비교기(15)의 출력 폭이 좁아지면, 주 스위치(Q1)의 듀티 비(duty ratio)가 작아 지고, 트랜스(T)를 통하여 부하(R0)로 공급되는 전력이 적어지게 된다. 출력 전압이 목표값보다도 낮아지게 된 때, 상기의 높아지게 된 때와 반대로 동작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의 DC-DC 컨버터에 따르면,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비교적 간단한 회로에 의해 주 스위치(Q1) 턴 오프 시와 턴 온 시의 쌍방의 ZVS가 달성되고, 또한 보조 스위치(Q2) 턴 오프 시의 ZVS와 턴 온 시의 영 전류 스위치(ZCS)가 달성된다. 이 결과, DC-DC 컨버터의 전력 손실이 작아지게 되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주 스위치(Q1) 및 보조 스위치(Q2)의 방열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2) 주 스위치(Q1)의 온 시간 폭이 좁아져도 ZVS를 안정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즉, 보조 스위치(Q2)를 주 스위치(Q1)의 온에 앞서서 온으로 하여 공진용 콘덴서(C1)의 전하를 강제적으로 방출시키고, 그 후에 주 스위치(Q1)를 온으로 함으로써, 공진용 콘덴서(C1)의 전하의 크고 작음 및 트랜스(T)의 축적 에너지의 방출 종료 시점의 변화에 구애받지 않고 주 스위치 턴 온 시 ZVS가 가능하게 된다.
(3) 보조 스위치(Q1)에 의해 공진용 콘덴서(C1)를 강제적으로 방출시키고, 주 스위치(Q1)의 전압(Vq1)을 영으로 하며, 이 상태에서 주 스위치(Q1)를 턴 온 제어하기 때문에, 전원(Ei)의 전압의 변화 또는 부하(R0) 변화에 의한 주 스위치(Q1)의 제어 펄스 폭 변화에 구애받지 않고, 주 스위치(Q1) 턴 온 시의 ZVS를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다.
(4)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각파 발생기(14)와 제 1 비교기(15)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PWM 펄스 형성회로에, 레벨 설정회로(16)와 제 2 비교기(17)와 MMV(18)를 부가한다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보조 스위치(Q2)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 2 실시 형태의 DC-DC 컨버터를 설명한다, 제 2 실시 형태의 DC-DC 컨버터는, 도 1의 제 1 실시 형태의 DC-DC 컨버터의 제어회로(4)를 변형한 제어회로(4a)를 설계하고, 그 밖은 도 1과 동일하게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제어회로(4a) 이외는, 도 1을 참조하고 또한 이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의 제어회로(4a)를 나타내는 도 5에 있어 도 2의 제어회로(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은 동일의 부호를 붙히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의 제 1 및 제 2 비교기(15, 17)의 입출력은 도 6(A)(B)(C)에 나타낸 바 그대로이고, 도 4(A)(B)(C)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제 1 상승 에지 검출회로(21)는 도 6(B)에 나타내는 제 1 비교기(15)의 출력 펄스의 상승 에지에 응답하여 도 6(D)의 t1 시점에 나타나는 제 1 트리거 펄스(P1)를 출력하는 것이다. 제 1 하강 에지 검출회로(22)는 도 6(B)에 나타내는 제 1 비교기(15)의 출력 펄스의 하강 에지에 응답하여 도 6(E)의 t4 시점에 나타내는 제 2 트리거 펄스(P2)를 출력하는 것이다. 제 2 상승 에지 검출회로(23)는 도 6(C)에 나타내는 제 2 비교기(17)의 출력 펄스의 상승 에지에 응답하여 도 6(F)의 t1 시점에 나타내는 제 3 트리거 펄스(P3)를 출력하는 것이다. 제 2 하강 에지 검출회로(24)는 도 6(C)에 나타내는 제 2 비교기(17)의 출력 펄스의 하강 에지에 응답하여 도 6(G)의 t5 시점에 나타내는 제 4 트리거 펄스(P4)를 출력하는 것이다. 제 1 RS 플립플롭은, 제 1 상승 에지 검출회로(21)에 접속된 세트 단자(S)와 제 2 하강 에지 검출회로(24)에 접속된 리세트 단자(R)를 포함하고, 제 1 트리거 펄스(P1)에 응답하여 세트 상태가 되고, 제 4 트리거 펄스(P4)에 응답하여 리세트 상태가 되고, 도 6(H)의 t1 ~ t5에 나타낸 펄스로이루어지는 제 1 제어신호(Vg1)를 형성하고, 도 1의 주 스위치(Q1)에 보내는 것이다. 제 2 RS 플립플롭(26)은, 제 2 상승 에지 검출회로(23)에 접속된 세트 단자(S)와 제 1 하강 에지 검출회로(22)에 접속된 세트 단자(R)를 포함하고, 제 3 트리거 펄스(P3)에 응답하여 세트 상태가 되며, 제 2 트리거 펄스에 응답하여 리세트 상태가 되며, 도 6(I)의 t0 ~ t4에 나타나는 펄스로 이루어진 제 2 제어신호(Vg2)를 보조 스위치(Q2)에 보내는 것이다.
도 1 주 스위치(Q1)는, 도 6(H)의 제 1 제어신호(Vg1)에 응답하여 온·오프되며, 보조 스위치(Q2)는 도 6(I)의 제 2 제어신호(Vg2)에 응답하여 온·오프된다.
도 6(H)(I)의 제 1 및 제 2 제어신호(Vg1, Vg2) 상호간의 시간 관계는 도 4(B)(D) 펄스의 상호간의 시간 관계와 동일하기 때문에, 도 5의 제어회로(4a)에 의해서 도 2의 제어회로(4)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주 스위치(Q1), 보조 스위치(Q2)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실시 형태에 의해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는 제 2 제어신호(Vg2)의 펄스 폭이 제 1 제어신호(Vg1)의 펄스 폭으로 연동하여 변화하기 때문에, 제 2 제어신호(Vg2)의 펄스 폭에 구애되지 않고 제 1 제어신호(Vg1)의 펄스 폭을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컨대 다음의 변형이 가능하다.
(1) 주 스위치(Q1) 및 보조 스위치(Q2) 중 어느 일방 또는 쌍방을 FET 이외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IGBT(절연 게이트형 바이폴라·트랜지스터) 등의 다른 반도체 스위치 소자로 할 수 있다.
(2) 인덕터(L1)를 생략하고, 그 대신에 3차 권선(N3) 및 4차 권선(N4)을 1차 권선(N1)에 대하여 소(疎)결합하여 누설 인덕턴스를 크게하고, 3차 권선(N3)과 4차 권선(N4) 중 어느 일방의 인덕턴스를 공진용 인덕턴스로 할 수 있다.
(3) 도 1에서, 1차 권선(N1)과 3차 권선(N3) 그리고 4차 권선(N4)을 동일한 권수로 하였지만, 이들 상호간의 권수 비를 바꿀 수 있다. 예컨대, 1차 권선(N1)과 3차 권선(N3)과의 권수를 동일하게 유지하고, 4차 권선(N4)의 권수를 3차 권선(N3)과 다른 값으로 할 수 있다.
(4) 주 스위치(Q1)의 온 시에 정류용 다이오드(D0)가 온으로 되는 포워드형 DC-DC 컨버터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5) 전압 검출회로(11)의 출력을 제 1 비교기(15) 및 레벨 설정회로(16)로 차동증폭기(12)를 통하지 않고 접속할 수 있다.
각 청구항의 발명에 따르면, 제 2 스위치에 의해 공진용 콘덴서의 전하를 강제적으로 방출하여 제 1 스위치의 전압을 영 볼트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스위치 턴 온 시의 영 전압 스위칭 즉 ZVS를 안정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이 결과, 제 1 스위치 턴 온 시와 턴 오프 시의 양방의 ZVS를 행할 수 있고, DC-DC 컨버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스위치의 온 시간 폭이 변화하여도 공진용 콘덴서가 제 2 스위치에 의존하여 강제적으로 방전되기 때문에, 제 1 스위치 턴 온 시의 ZVS를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제 2 스위치 턴 온 시에는 영 전류 스위칭 즉 ZCS로 되고, 이 턴 오프 시에는 ZVS로 되기 때문에, 제 2 스위치를 설계하는 것에 의한 전력 손실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청구항 제 5항 및 제 6항의 발명에 따르면, 제어회로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Claims (6)

  1. 부하에 직류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DC-DC 컨버터로서,
    직류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직류전원 단자;
    서로 전자(電磁)결합된 1차 권선, 2차 권선, 3차 권선, 및 4차 권선을 포함하는 트랜스;
    상기 2차 권선에 접속되는 정류 평활 회로;
    제 1 및 제 2 스위치;
    상기 제 1 스위치에 병렬로 접속되는 콘덴서 또는 기생용량으로 이루어지는 공진용 커패시턴스 수단;
    공진용 인덕터 수단 또는 상기 트랜스의 누설 인덕턴스로 이루어지는 공진용 인덕턴스 수단;
    제 1 및 제 2 다이오드; 그리고
    스위치 제어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1차 권선의 일단은 상기 제 1 직류전원 단자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1차 권선의 타단과 상기 제 2 직류전원 단자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3차 권선과 상기 4차 권선과 상기 공진용 인덕턴스 수단과 상기 제 1 다이오드와 상기 제 2 스위치는 서로 직렬로 접속되고 또한 상기 1차 권선과 상기 제 1 스위치와의 직렬회로에 대해 병렬로 접속되며,
    상기 제 1 다이오드는 상기 제 1 및 제 2 직류전원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에 의해 순 방향 바이어스되는 방향성을 가지며,
    상기 제 2 다이오드는 상기 제 1 및 제 2 직류전원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에 의해 역 방향 바이어스되는 방향성을 갖고 또한 상기 4차 권선과 상기 공진용 인덕터 수단과 상기 제 1 다이오드와 상기 제 2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직렬회로에 대해 병렬로 접속되며,
    상기 스위치 제어회로는 상기 제 1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하는 제 1 제어신호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2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하는 제 2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 2 제어신호는, 상기 제 1 스위치의 온 개시 시점(t1)보다도 앞선 시점(t0)에서 상기 제 2 스위치의 온 제어를 개시하고, 상기 제 1 스위치의 온 종료 시점(t5)보다도 앞선 시점(t4)에서 상기 제 2 스위치의 온 제어를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에 병렬로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직류전원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에 의해 역 바이어스되는 방향성을 갖는 제 3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평활 회로는, 상기 2차 권선의 일단에 접속된 정류용 다이오드와,상기 2차 권선에 상기 정류용 다이오드를 통하여 병렬로 접속되는 평활용 콘덴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정류용 다이오드는 상기 제 1 스위치의 오프 기간에 상기 2차 권선에 발생하는 전압으로 도통상태가 되는 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3차 권선 및 상기 4차 권선은, 상기 제 1 및 제 2 직류전원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1차 권선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정류 평활 회로의 출력전압의 크기를 나타내는 제 1 전압을 얻기 위한 출력전압 검출수단;
    상기 제 1 전압보다도 낮은 제 2 전압을 얻기 위한 수단;
    삼각파 전압 또는 톱니파(鉅波) 전압으로 이루어지는 비교용 파형을 발생하는 비교용 파형 발생기;
    상기 제 1 전압과 상기 비교용 파형을 비교하여 상기 제 1 제어신호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스위치로 보내는 제 1 비교기;
    상기 제 2 전압과 상기 비교용 파형을 비교하는 제 2 비교기; 그리고
    상기 제 2 비교기의 출력 펄스의 상승 에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스위치를 온으로 하기 위한 펄스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 1 스위치의 온 종료 시점보다도 전에 상기 펄스의 발생을 종료시키는 펄스 발생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정류 평활 회로의 출력전압의 크기를 나타내는 제 1 전압을 얻기 위한 출력전압 검출수단;
    상기 제 1 전압보다도 낮은 제 2 전압을 얻기 위한 수단;
    삼각파 전압 또는 톱니파 전압으로 이루어지는 비교용 파형을 발생하는 비교용 파형 발생기;
    상기 제 1 전압과 상기 비교용 파형을 비교하여 제 1 펄스를 형성하는 제 1 비교기;
    상기 제 2 전압과 상기 비교용 파형을 비교하여 제 2 펄스를 형성하는 제 2 비교기;
    상기 제 1 펄스의 상승 에지를 검출하는 제 1 상승 에지 검출수단;
    상기 제 1 펄스의 하강 에지를 검출하는 제 1 하강 에지 검출수단;
    상기 제 2 펄스의 상승 에지를 검출하는 제 2 상승 에지 검출수단;
    상기 제 2 펄스의 하강 에지를 검출하는 제 2 하강 에지 검출수단;
    상기 제 1 상승 에지 검출수단의 출력에 응답하여 세트 상태가 되고, 상기 제 2 하강 검출수단의 출력에 응답하여 리세트 상태가 되어 상기 제 1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1 플립플롭; 그리고
    상기 제 2 상승 에지 검출수단의 출력에 응답하여 세트 상태가 되고, 상기 제 1 하강 에지 검출수단의 출력에 응답하여 리세트 상태가 되어 상기 제 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2 플립플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KR10-2001-0030335A 2000-05-31 2001-05-31 Dc-dc 컨버터 KR1004032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62455 2000-05-31
JP2000162455 2000-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197A KR20010109197A (ko) 2001-12-08
KR100403209B1 true KR100403209B1 (ko) 2003-10-23

Family

ID=18666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0335A KR100403209B1 (ko) 2000-05-31 2001-05-31 Dc-dc 컨버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396719B2 (ko)
EP (1) EP1160963A3 (ko)
KR (1) KR100403209B1 (ko)
CN (1) CN116819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5943B2 (ja) * 2001-06-29 2003-12-10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4151014B2 (ja) * 2003-03-11 2008-09-17 株式会社デンソー 絶縁型スイッチングdc/dcコンバータ
US7057906B2 (en) * 2003-03-11 2006-06-06 Denso Corporation Insulating switching DC/DC converter
AT413910B (de) * 2003-08-06 2006-07-15 Siemens Ag Oesterreich Schaltnetzteil
JP3861871B2 (ja) * 2003-11-26 2006-12-27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3882809B2 (ja) * 2003-11-26 2007-02-21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DE102004013108B4 (de) * 2004-03-17 2011-03-10 Beckhoff Automation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Versorgungseinheit für eine Treiberschaltung sowie Versorgungseinheit für eine Treiberschaltung
US7174260B2 (en) * 2004-04-01 2007-02-06 Blue Line Innov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ading power meters
JP3829142B2 (ja) * 2004-10-29 2006-10-04 Tdk株式会社 放電灯駆動装置
JP4347249B2 (ja) * 2005-03-31 2009-10-21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dc−dcコンバータの制御回路、及びdc−dcコンバータの制御方法
US20060267561A1 (en) * 2005-05-27 2006-11-30 Cherokee International Corporation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for DC-DC converters with low resonance current
FR2887704B1 (fr) * 2005-06-27 2007-08-10 Agence Spatiale Europeenne Convertisseur regulateur de tension sans pertes de commutation
US8360904B2 (en) 2007-08-17 2013-01-29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ports electronic training system with sport ball, and applications thereof
CN101494419B (zh) * 2008-01-21 2011-05-18 许继集团有限公司 高效率的零电压、零电流全桥变换器
JP5854895B2 (ja) * 2011-05-02 2016-02-09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用半導体装置
US9407154B2 (en) * 2013-06-14 2016-08-02 Advanced Charging Technologies, LLC Electrical circuit for delivering power to consumer electronic devices
CN105119391B (zh) * 2015-09-27 2019-01-01 宁波微鹅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率的电能发射端和无线电能传输装置
CN110062957B (zh) * 2016-12-12 2023-09-01 三菱电机株式会社 半导体装置的驱动方法以及驱动电路
US10342084B1 (en) * 2018-10-02 2019-07-02 New Energies & Alternative Technologies, Inc. Oscillating driver circuits
CN114079385B (zh) * 2021-11-23 2023-07-28 吕真 基于同步驱动的llc谐振电路串并联转换的电源电路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9590A (en) * 1983-03-24 1985-12-17 Varian Associates, Inc. Regulated DC to DC converter
JPS62166777A (ja) * 1986-01-16 1987-07-23 Sanken Electric Co Ltd 直流−直流変換器
JP3450929B2 (ja) * 1995-03-23 2003-09-29 株式会社リコー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845188B2 (ja) * 1995-12-11 1999-01-13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Dc−dcコンバ−タ
DE19855615A1 (de) * 1997-12-03 1999-06-10 Fuji Electric Co Ltd Schaltnetzteil
JP2956681B2 (ja) * 1998-02-27 1999-10-04 富士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の切換運転回路
JP2991181B2 (ja) * 1998-02-27 1999-12-20 富士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197A (ko) 2001-12-08
CN1168194C (zh) 2004-09-22
EP1160963A2 (en) 2001-12-05
US20010050853A1 (en) 2001-12-13
US6396719B2 (en) 2002-05-28
CN1329389A (zh) 2002-01-02
EP1160963A3 (en) 2004-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3209B1 (ko) Dc-dc 컨버터
CN107979288B (zh) 强迫式零电压开关反激变换器
CN107979287B (zh) 用于主开关切换转换的零电压开关式逆变器
US7385833B2 (en) Snubber circuit for a power converter
JP4158054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Mao et al. Zero-voltage-switching half-bridge DC-DC converter with modified PWM control method
KR100512402B1 (ko) 스위칭 전원 장치
KR101884686B1 (ko)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
KR100427703B1 (ko) 스위칭 전원장치
US20140043863A1 (en) Novel control method to reduce switching loss on mosfet
US6434029B1 (en) Boost topology having an auxiliary winding on the snubber inductor
US90487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zero voltage switching in power conversion systems
JP3387456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9990045058A (ko) 비대칭 플라이백 컨버터
CN103580493A (zh) 新式高功率变换器架构
KR20090087048A (ko) 자기-발진 dc-dc 컨버터 및 방법
KR20010078798A (ko) 스위칭 전원 회로
KR100681689B1 (ko) 스위칭 전원장치
EP3509203B1 (en) Converter with zvs
KR20150044317A (ko) 컨버터 및 그 구동 방법
US5877951A (en) Circuit for and method of decreasing conducted and radiate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f a power converter and a full bridge power converter employing the same
EP0966091A2 (en) DC to DC power converter with integrated magnetic power transformer
WO1994023488A1 (en) Snubber
KR101910533B1 (ko) 소프트 스위칭 풀브릿지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
KR102077825B1 (ko) 부스트 컨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