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686B1 -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686B1
KR101884686B1 KR1020160141715A KR20160141715A KR101884686B1 KR 101884686 B1 KR101884686 B1 KR 101884686B1 KR 1020160141715 A KR1020160141715 A KR 1020160141715A KR 20160141715 A KR20160141715 A KR 20160141715A KR 101884686 B1 KR101884686 B1 KR 101884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ircuit
active clamp
capacitor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2070A (ko
Inventor
최우진
다이 드엉 트란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6/071,807 priority Critical patent/US10277138B2/en
Priority to PCT/KR2016/013510 priority patent/WO2017204426A1/ko
Publication of KR20170132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1Resonant DC/D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02M3/33573Full-bridge at prim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reducing losses
    • H02M1/0054Transistor switching losses
    • H02M1/0058Transistor switching losses by employing soft switching techniques, i.e. commutation of transistors when applied voltage is zero or when current flow is zer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02M1/34Snubber circuits
    • H02M1/342Active non-dissipative snub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Y02B70/1433

Abstract

1차측 권선과 2차측 권선을 포함하여 전압 변환을 수행하는 변압기, 입력 전원을 공급하는 입력 커패시터와 연결되며, 제1 스위치 내지 제4 스위치가 마련된 풀브릿지 회로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스위치 내지 상기 제4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입력 전원을 상기 1차측 권선으로 전달하는 1차측 회로 및 상기 2차측 권선과 연결되며, 제1 다이오드 내지 제4 다이오드가 마련된 정류 브릿지 회로, 상기 정류 브릿지 회로와 연결되며 직렬 연결된 능동 클램프 스위치 및 클램프 커패시터로 구성되는 능동 클램프 회로 및 상기 능동 클램프 회로와 연결되는 출력 인덕터를 포함하여 상기 1차측 회로로부터 상기 변압기를 통해 전달 받은 에너지를 상기 출력 인덕터 및 상기 능동 클램프 회로와 연결되는 출력 커패시터로 전달하는 2차측 회로를 포함하는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ACTIVE CLAMP FULL-BRIDGE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압기를 기준으로 2차측 회로에 클램프 회로를 부가한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EVs: Electric Vehicles)의 탑재형 충전기들은 일반적으로 AC-DC 컨버터 및 DC-DC 컨버터로 구성된다. AC-DC 컨버터는 상용의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고, DC-DC 컨버터는 정전류/정전압 충전 방식에 따라 배터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료의 효율은 전기차의 성능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므로, 효율이 높고 소형화할 수 있는 충전기를 구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탑재형 충전기를 구성하는 DC-DC 컨버터로 위상 천이 방식의 풀브릿지 컨버터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1차측 스위치 소자들의 영전압 턴오프 조건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위상 천이 방식의 풀브릿지 컨버터는 순환 전류 관련의 전도 손실, 듀티 사이클 손실, 래깅 레그(lagging-leg)의 스위치 소자들의 좁은 영전압 스위칭 범위, 고 전압 진동(high voltage oscillation) 및 정류 다이오드들의 역회복(reverse recovery) 등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이러한 위상 천이 방식의 풀브릿지 컨버터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었다.
예를 들면, 스위치 소자들의 영전압 스위칭 범위를 확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보조 회로를 1차측 회로에 부가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큰 외부 인덕터를 부가함에 따라 듀티 사이클 손실을 증가시키고, 추가 비용이 발생하며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는, 정류 다이오드들의 전압 링잉(voltage ringing)을 완화하고, 순환 전류 문제로부터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수동 무손실 클램프 회로(passive lossless clamp circuit)를 2차측 회로에 부가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클램프 회로의 대표적인 예로 클램프 커패시터가 변압기의 누설 인덕터와의 공진 또는 비공진에 포함되는 CDD(Capacitor-Diode-Diode) 회로가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프리 휠링(freewheeling) 구간 동안 변압기 1차측 전류는 클램프 커패시터의 전압에 의해 리셋될 수 있다. 그러나, 1차측의 리딩 레그(leading-lag)에 마련된 스위치 소자들은 하드 스위칭 조건 하에서 턴온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는, 1차측 스위치 소자들의 영전압/영전류 스위칭 조건을 달성할 수 있도록, 2차측 회로에 능동 클램프 회로(active clamp circuit)를 부가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클램프 스위치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리딩 레그에 마련된 스위치 소자들의 영전압 스위칭 턴온을 달성하고, 래깅 레그에 마련된 스위치 소자들의 영전류 스위칭 턴오프를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클램프 스위치의 소프트 스위칭이 불가하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는, 2차측 회로에 능동 에너지 회복 클램프(active energy recovery clamp) 및 순환 전류를 진압하기 위한 보조 회로를 부가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다수의 추가 소자들의 요구되어 구현이 복잡하고, 따라서, 컨버터의 안정성 및 효율을 저감시킨다.
이외에도, 에너지 전달을 위해 누설 인덕터 및 2차측 정류 커패시터간의 정류를 이용한 방법으로, 배전압 타입의 정류기(voltage-doubler-type rectifier)를 포함하는 위상 천이 방식의 풀브릿지 컨버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 또한 정류 다이오드들의 전류 스트레스가 크고, 순환 전류가 불완전하게 제거되며, 1차측 스위치 소자들의 영전류 스위칭 달성 조건이 부하 전류에 의존적이라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법은 고 전압 및 저 전류 장치에 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변압기를 기준으로 2차측 회로에 능동 클램프 스위치 및 클램프 커패시터로 이루어지는 클램프 회로가 부가된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1차측 권선과 2차측 권선을 포함하여 전압 변환을 수행하는 변압기, 입력 전원을 공급하는 입력 커패시터와 연결되며, 제1 스위치 내지 제4 스위치가 마련된 풀브릿지 회로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스위치 내지 상기 제4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입력 전원을 상기 1차측 권선으로 전달하는 1차측 회로 및 상기 2차측 권선과 연결되며, 제1 다이오드 내지 제4 다이오드가 마련된 정류 브릿지 회로, 상기 정류 브릿지 회로와 연결되며 직렬 연결된 능동 클램프 스위치 및 클램프 커패시터로 구성되는 능동 클램프 회로 및 상기 능동 클램프 회로와 연결되는 출력 인덕터를 포함하여 상기 1차측 회로로부터 상기 변압기를 통해 전달 받은 에너지를 상기 출력 인덕터 및 상기 능동 클램프 회로와 연결되는 출력 커패시터로 전달하는 2차측 회로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2차측 회로는, 상기 능동 클램프 스위치 및 상기 변압기의 누설 인덕턴스와 공진을 수행하는 클램프 커패시터로 구성되는 능동 클램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측 회로는, 병렬 연결된 한 쌍의 레그 상에 상기 제1 다이오드 내지 상기 제4 다이오드가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레그의 상측 접점에 상기 능동 클램프 스위치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능동 클램프 스위치의 타단에 상기 클램프 커패시터의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레그의 하측 접점에 상기 클램프 커패시터의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측 회로는, 상기 클램프 커패시터와 상기 변압기의 누설 인덕턴스 간의 공진을 일정 기간 미룰 수 있도록 턴온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능동 클램프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측 회로는, 프리휠링 구간에서의 상기 1차측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1차측 전류가 리셋될 수 있도록 턴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측 회로는, 유사 정현 곡선 파형을 갖는 1차측 회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측 회로는, 병렬로 연결된 제1 레그 및 제2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그 및 상기 제2 레그 상에 상기 제1 스위치 내지 상기 제4 스위치가 마련되며, 상기 제1 레그 및 상기 제2 레그를 연결하는 입력 전압선 상에 누설 인덕터 및 자화 인덕터가 마련되고, 상기 자화 인덕터가 상기 1차측 권선과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측 회로는, 상기 능동 클램프 스위치가 턴온 되면, 상기 능동 클램프 스위치를 통해 상기 클램프 커패시터에 저장되어 있던 에너지가 상기 출력 커패시터로 방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입력 전원을 공급하는 입력 커패시터와 출력 부하 저항과 병렬 연결되는 출력 커패시터 사이에서 전압 변환을 수행하며, 상기 입력 커패시터와 연결되는 1차측 회로는 제1 스위치 내지 제4 스위치가 마련된 풀브릿지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커패시터와 연결되는 2차측 회로는 정류 브릿지 회로, 상기 정류 브릿지 회로와 연결되며 직렬 연결된 능동 클램프 스위치 및 클램프 커패시터로 구성되는 능동 클램프 회로 및 상기 능동 클램프 회로와 연결되는 출력 인덕터를 포함하며, 상기 1차측 회로와 상기 2차측 회로 사이에 전압 변환을 수행하는 변압기가 마련된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1차측 회로에서는 풀브릿지 회로의 동일한 레그에 마련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는 서로 반대로 턴온 또는 턴오프 제어되고, 제3 스위치 및 제4 스위치는 서로 반대로 턴온 또는 턴오프 제어되어 상기 입력 전원을 상기 변압기로 전달하고, 상기 2차측 회로에서는 상기 풀브릿지 회로의 대각선 상에 마련된 스위치가 모두 턴온 된 상태에서 영전류 스위칭 턴온 조건을 달성한 경우, 상기 능동 클램프 스위치가 턴온 제어되어, 상기 클램프 커패시터에 저장되어 있던 에너지가 상기 출력 커패시터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제1 스위치 내지 상기 제4 스위치 및 상기 능동 클램프 스위치의 스위칭 주기가 시작되기 이전에 상기 2차측 회로에서는, 상기 제1 다이오드 내지 상기 제4 다이오드가 모두 동작하여 상기 출력 인덕터의 반사 전류를 위한 전도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 주기에는 상기 제1 스위치 내지 상기 제4 스위치의 소프트 스위칭 조건을 달성하기 위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데드 타임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위치 내지 상기 제4 스위치는 영전압 스위칭 조건 하에서 턴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위치 내지 상기 제4 스위치는 영전류 스위칭 조건 하에서 턴오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다이오드 및 상기 제4 다이오드가 순방향 바이어스 되면, 상기 변압기의 누설 인덕턴스 및 상기 클램프 커패시터 간의 공진이 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 커패시터가 최대 값으로 충전되면, 상기 정류 브릿지 회로의 정류 전압이 상기 클램프 커패시터의 최대 전압에 의해 클램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준공진 반파 컨버터의 특징을 가져, 1차측 풀브릿지 회로에 마련되는 스위치 소자들의 소프트 스위칭 조건을 달성할 수 있으며, 프리휠링 구간에서의 순환 전류를 제거하여 그에 따른 손실을 제거하고, 정류 다이오드들의 역회복 문제를 해결하고, 전압 링잉을 제거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높은 효율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의 주요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k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의 각 동작 모드에서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3a 내지 도 3k에 도시된 각 동작 모드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를 간단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의 전압이득을 산출한 일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의 각 소자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의 3kW의 출력 전류 조건 하에서의 출력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의 250V 출력 전압 조건 하에서의 출력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의 서로 다른 출력 전압 조건 하에서의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의 주요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100)는 DC-DC 컨버터로, 변압기(110)를 중심으로 입력단과 연결되는 1차측 회로(120)와 출력단과 연결되는 2차측 회로(130) 사이에서 전압 변환을 수행하며, 특히, 2차측 회로에 능동 클램프 스위치(131) 및 변압기(110)의 누설 인덕턴스와 공진을 수행하는 클램프 커패시터(132)로 구성되는 능동 클램프 회로를 포함하여, 1차측 회로에 마련되는 스위치 소자들의 영전압 스위칭 턴온을 달성하고, 거의 영전류 스위칭 조건 하에서의 턴오프를 달성할 수 있으며, 프리휠링 구간에서의 1차측 전류를 리셋할 수 있다. 또한, 2차측 회로에 마련되는 정류 다이오드들의 영전류 스위칭 턴오프를 달성할 수 있어 정류 다이오드들의 역 회복 문제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때, 능동 클램프 스위치(131) 또한 영전류 스위칭 턴온을 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100)의 1차측 전류(Ipri)는 유사 정현 곡선(quasi-sinusoidal) 파형을 가지므로, 유사 공진(quasi-resonant) 반파(half-wave) 컨버터라 할 수 있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변압기(110)는 1차측 회로(120)의 전압을 미리 정해진 1:n의 턴비에 따라 변환하여 2차측 회로(13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변압기(110)는 1:n의 턴비로 자화 결합되는 1차측 권선 및 2차측 권선으로 구성되며, 1차측 권선은 1차측 회로(120)와 연결되고, 2차측 권선은 2차측 회로(130)와 연결될 수 있다.
1차측 회로는 제1 스위치(121) 내지 제4 스위치(124)가 마련된 풀브릿지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풀브릿지 회로는 입력 커패시터(10)와 연결되고, 풀브릿지 회로를 구성하는 한 쌍의 레그를 연결하는 입력 전압선(120-1) 상에는 변압기(110)의 누설 인덕터(125) 및 자화 인덕터(126)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자화 인덕터(126)는 변압기(110)의 1차측 권선과 병렬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차측 회로(120)에 포함되는 풀브릿지 회로는 병렬로 연결된 제1 레그 및 제2 레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레그 상에 제1 스위치(121) 및 제2 스위치(122)가 마련되고, 제2 레그 상에 제3 스위치(123) 및 제4 스위치(124)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스위치(121) 내지 제4 스위치(124)는 일예로, MOSFET 스위치일 수 있으며, 각각 바디 다이오드 및 기생 커패시터가 병렬로 연결되어 부가될 수 있다.
또한, 제1 레그 및 제2 레그의 상측 접점 및 하측 접점은 각각 입력 커패시터(10)의 양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레그에서 제1 스위치(121) 및 제2 스위치(122) 사이의 제1 접점(a)과 제2 레그에서 제3 스위치(123) 및 제4 스위치(124) 사이의 제2 접점(b)을 연결하는 입력 전압선(120-1) 상에는 변압기(110)의 누설 인덕터(125) 및 자화 인덕터(126)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1차측 회로(120)는 제1 스위치(121) 내지 제4 스위치(124)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입력 커패시터(10)의 전압을 변압기(1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1 스위치(121) 내지 제4 스위치(124)는 위상 천이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스위치(121) 내지 제4 스위치(124)의 제어를 통해 출력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2차측 회로(130)는 제1 다이오드(D1) 내지 제4 다이오드(D4)가 마련된 풀브릿지 회로, 즉, 정류 브릿지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류 브릿지 회로와 출력 커패시터(20) 사이에 연결되는 능동 클램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출력 커패시터(20)는 출력 부하 저항(Ro)과 병렬 연결될 수 있고, 정류 브릿지 회로를 구성하는 한 쌍의 레그를 연결하는 출력 전압선(130-1) 상에는 변압기(110)의 2차측 권선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2차측 회로(130)에 포함되는 정류 브릿지 회로는 병렬로 연결된 제3 레그 및 제4 레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3 레그 상에 제1 다이오드(D1) 및 제2 다이오드(D2)가 마련되고, 제4 레그 상에 제3 다이오드(D3) 및 제4 다이오드(D4)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3 레그 및 제4 레그를 연결하는 출력 전압선(130-1) 상에는 변압기(110)의 2차측 권선이 마련되어, 정류 브릿지 회로는 변압기(110)의 1차측 권선으로부터 2차측 권선으로 전달되는 에너지의 정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2차측 회로(130)에 포함되는 능동 클램프 회로는 직렬로 연결된 능동 클램프 스위치(131) 및 클램프 커패시터(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능동 클램프 회로는 정류 브릿지 회로를 구성하는 제3 레그 및 제4 레그의 상측 접점 및 하측 접점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능동 클램프 스위치(131)의 일단은 제3 레그 및 제4 레그의 상측 접점에 접속되고, 능동 클램프 스위치(131)의 타단은 클램프 커패시터(132)의 일단에 연결되며, 클램프 커패시터(132)의 타단은 제3 레그 및 제4 레그의 하측 접점에 접속될 수 있다. 이때, 능동 클램프 스위치(131)는 일예로, MOSFET 스위치일 수 있으며, 바디 다이오드 및 기생 커패시터가 병렬로 연결되어 부가될 수 있다.
여기에서, 능동 클램프 회로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 특성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클램프 커패시터(132)는 변압기(110)의 누설 인덕턴스(Llk)와의 공진을 수행함으로써, 1차측 전류(Ipri)는 유사 정현 곡선(quasi-sinusoidal)의 파형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능동 클램프 스위치(131)는 클램프 커패시터(132)와 변압기(110)의 누설 인덕턴스(Llk) 간의 공진을 일정 기간 미룰 수 있고, 프리휠링 구간에서의 1차측 전류가 리셋될 수 있도록 턴온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 결과 1차측 회로(120)에 마련된 스위치 소자들의 영전류 스위칭 턴오프 조건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2차측 회로(130)는 능동 클램프 회로와 연결되는 출력 인덕터(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인덕터(133)의 일단은 능동 클램프 스위치(131)의 일단, 즉, 제3 레그 및 제4 레그의 상측 접점에 접속될 수 있으며, 출력 인덕터(133)의 타단은 출력 커패시터(20)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출력 커패시터(20)의 타단은 클램프 커패시터(132)의 타단, 즉, 제3 레그 및 제4 레그의 하측 접점에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2차측 회로(130)는 제1 다이오드(D1) 내지 제4 다이오드(D4)에 의한 출력 에너지의 정류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클램프 커패시터(132) 및 능동 클램프 스위치(131)를 더 포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100)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100)는 2차측 회로(130)에 부가된 능동 클램프 회로에 의해 전 부하 범위에서 1차측 회로(120)에 마련된 스위치 소자들의 영전압 스위칭 턴온 및 거의 영전류 스위칭 조건 하에서의 턴오프를 보장할 수 있다. 또한, 프리휠링 구간에서의 순환 전류를 제거하여 그와 관련된 손실을 없앨 수 있다. 또한, 2차측 회로(130)에 마련된 정류 다이오드들의 역 회복이 없으며, 전압 링잉을 없앨 수 있다. 아울러, 작은 듀티 사이클 손실을 가져 전 부하 범위에서의 높은 효율을 보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100)가 위와 같은 특성을 갖기 위한 구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출력 필터 인덕턴스는 큰 값으로 가정하고, 이상적인 전류 소스를 Io라 할 수 있으며, 아래와 같이 회로의 파라미터들을 정의할 수 있다.
특성 임피던스(characteristic impedance)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6105145906-pat00001
수학식 1에서 n은 변압기(110) 턴비, Llk는 변압기(110)의 누설 인덕턴스, Cr은 클램프 커패시터(132)의 커패시턴스를 나타낸다.
또한, 공진 각 주파수(Resonant angular frequency)는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6105145906-pat00002
수학식 2에서 n은 변압기(110) 턴비, Llk는 변압기(110)의 누설 인덕턴스, Cr은 클램프 커패시터(132)의 커패시턴스를 나타낸다.
또한, 공진 주파수(Resonant frequency)는 아래의 수학식 3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6105145906-pat00003
수학식 3에서 ωr은 공진 각 주파수를 나타낸다.
또한, 스위칭 주기는 Ts로 정의하고, 스위칭 주파수는 fs로 정의할 수 있다.
이하, 도 1, 도 3a 내지 도 3k를 참조하여 스위칭 주기(Ts)의 반 주기 동안의 복수의 동작 모드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100)의 구동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k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의 각 동작 모드에서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스위칭 주기(Ts)가 시작되는 t0 이전의 제0 동작 모드에서, 1차측 회로(120)에서는, 프리휠링 구간 동안 제1 스위치(121) 및 제3 스위치(123)가 턴온 상태이고, 자화 전류(magnetizing current)(ILm)가 흐를 수 있다. 또한, 2차측 회로(130)에서는 제1 다이오드(D1) 내지 제4 다이오드(D4)가 모두 동작하여, 출력 인덕터(133)의 반사 전류(ILf)를 위한 전도 경로(conduction path)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래의 수학식 4 및 5가 도출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112016105145906-pat00004
수학식 4에서, iD1 및 iD3은 각각 제1 다이오드(D1) 및 제3 다이오드(D3)에 흐르는 전류를 나타내고, iLf는 출력 인덕터(133)의 반사 전류를 나타낸다.
[수학식 5]
Figure 112016105145906-pat00005
수학식 5에서 ISec는 변압기(110)의 2차측 권선에 흐르는 전류를 나타낸다.
이후, 도 3b를 참조하면, 제1 동작 모드(t0~t1)에서는, 1차측 회로(120)에서는 제3 스위치(123)가 t0에서 턴오프되고, 자화 전류(ILm)가 제3 스위치(123)에 부가된 기생 커패시터(Coss3)를 충전시키고, 제4 스위치(124)에 부가된 기생 커패시터(Coss4)를 방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4 스위치(124)에 부가된 기생 커패시터(Coss4)가 완전히 방전되면, 제4 스위치(124)에 걸리는 전압(VDS4)는 0이 되고, 제4 스위치(124)에 부가된 바디 다이오드는 순방향 바이어스될 수 있다. 이처럼, 제4 스위치(124)에 걸리는 전압(VDS4)이 0이 됨에 따라 제4 스위치(124)는 영전압 스위칭 턴온 조건을 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풀브릿지 회로의 제2 레그, 즉, 래깅 레그에 마련된 제4 스위치(124)의 영전압 스위칭 조건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자화 인덕터(126)에 저장된 에너지(ELm _t0)가 아래의 수학식 6을 만족할 수 있어야 한다.
[수학식 6]
Figure 112016105145906-pat00006
수학식 6에서, Lm은 자화 인덕터(126)의 인덕턴스, ILm은 t0에서의 자화 전류, Coss는 스위치 소자에 부가된 기생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Vs는 입력 전압을 나타낸다.
또한, 래깅 레그에 마련된 스위치 소자들의 영전압 스위칭 조건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수학식 7 및 8에 따른 최소 데드 타임이 요구된다.
[수학식 7]
Figure 112016105145906-pat00007
[수학식 8]
Figure 112016105145906-pat00008
수학식 7 및 8에서, Coss는 스위치 소자에 부가된 기생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Vs는 입력 전압을 나타낸다.
이후, 도 3c를 참조하면, 제2 동작 모드(t1~t2)에서는, 1차측 회로(120)에서는 제4 스위치(124)가 t1에서 영전압 스위칭 조건 하에서 턴온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전압(Vs)이 변압기(110)의 누설 인덕턴스(Llk)에 적용될 수 있다. 이때, 1차측 전류(Ipri)는 여전히 출력 인덕터(133)의 반사 전류(ILf)보다 낮으며, 아래의 수학식 9와 같은 기울기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수학식 9]
Figure 112016105145906-pat00009
수학식 9에서 Vs는 입력 전압, Llk는 변압기(110)의 누설 인덕턴스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자화 전류(ILm)은 아래의 수학식 10에 따라 증가 및 감소할 수 있다.
[수학식 10]
Figure 112016105145906-pat00010
수학식 10에서 Vs는 입력 전압, Lm은 자화 인덕터(126)의 인덕턴스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제2 동작 모드는 1차측 전류(Ipri)가 반사 출력 전류(reflected output current)(Io)에 도달하는 경우 종료될 수 있다. 이에 제2 동작 모드의 시간 간격은 아래의 수학식 1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1]
Figure 112016105145906-pat00011
수학식 11에서, Llk는 변압기(110)의 누설 인덕턴스, n은 변압기(110) 턴비, Io는 반사 출력 전류, Vs는 입력 전압을 나타낸다.
이후, 도 3d를 참조하면, 제3 동작 모드(t2~t3)에서는, 2차측 회로(130)에서는, 1차측 전류(IPri)가 반사 출력 전류(ILf)에 도달하는 t2에서, 제1 다이오드(D1) 및 제4 다이오드(D4)가 순방향 바이어스될 수 있다. 그리고, 변압기(110)의 누설 인덕턴스(Llk)와 클램프 커패시터(132)의 커패시턴스(Cr)간의 공진이 시작될 수 있다. 이때, 1차측 전류(Ipri)는 공진 전류 및 1차측 회로로 반사되는 PWM 전류(ILf)의 합이며, 아래의 수학식 1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2]
Figure 112016105145906-pat00012
수학식 12에서 n은 변압기 턴비, Vs는 입력 전압, VCr은 클램프 커패시터(132)에 걸리는 전압, Zr은 특성 임피던스, ILm은 자화 전류, ωr은 공진 각주파수, Io는 반사 출력 전류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제3 동작 모드는 클램프 커패시터(132)의 전류(ICr)가 0으로 감소하는 t3에서 종료될 수 있는데, 이때,
Figure 112016105145906-pat00013
인 경우, 클램프 커패시터(132)에 걸리는 전압(VCr)은 피크 전압일 수 있다.
[수학식 13]
Figure 112016105145906-pat00014
수학식 13에 따르면,
Figure 112016105145906-pat00015
인 경우, 클램프 커패시터(132)걸리는 최대 전압은 2nVs에 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동작 모드의 시간 간격은 아래의 수학식 1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4]
Figure 112016105145906-pat00016
수학식 14에서 ωr은 공진 각 주파수를 나타낸다.
이후, 도 3e를 참조하면, 제4 동작 모드(t3~t4)에서는, t3에서 공진의 절반이 완료되므로, 1차측 전류는 출력 인덕터(133)의 반사 전류와 같아질 수 있다. 이때, 클램프 커패시터(132)는 최대 값으로 충전될 수 있으며, 제4 동작 모드 동안 그 값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정류 전압(Vrect)은 아래의 수학식 15와 같이 클램프(clamp)될 수 있다.
[수학식 15]
Figure 112016105145906-pat00017
이와 같은 제4 동작 모드는 능동 클램프 스위치(131)가 턴온 될 때 종료될 수 있다.
이후, 도 3f를 참조하면, 제5 동작 모드(t4~t5)에서는, 능동 클램프 스위치(131)가 영전류 스위칭 턴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능동 클램프 스위치(131)를 통해 클램프 커패시터(132)의 에너지가 출력단으로 방전될 수 있다. 이때, 1차측 전류(Ipri)는 급속히 감소하여 t5에서 그 크기가 변압기(110) 자화 전류와 같아질 수 있는데, 이는 2차측 전류(Isec) 또한 0으로 감소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2차측 전류(Isec)는 아래의 수학식 1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6]
Figure 112016105145906-pat00018
이때, t=t5인 경우, Isec가 0이 되므로, 수학식 16은 아래의 수학식 1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7]
Figure 112016105145906-pat00019
이에 따라, 제5 동작 모드의 시간 간격은 아래의 수학식 1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8]
Figure 112016105145906-pat00020
수학식 18에서 ωr은 공진 각 주파수, Io는 반사 출력 전류, Zr은 특성 임피던스, Vcr은 클램프 커패시터(132)에 걸리는 전압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수학식 17로부터 영전류 스위칭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부하 전류, 즉, 반사 출력 전류는 아래의 수학식 19를 만족하여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수학식 19]
Figure 112016105145906-pat00021
이후, 도 3g를 참조하면, 제6 동작 모드(t5~t6)에서는, 1차측 회로(120)에서는 제1 스위치(121) 및 제4 스위치(124)가 여전히 턴온 상태이나, 적은 자화 전류만이 흐르게 되는데, 이는 2차측 회로(130)의 정류 다이오드들이 클램프 커패시터(132)에 의해 역방향 바이어스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 스위치(121)는 t6에서 거의 영전류 스위칭 조건 하에서 턴오프될 수 있다.
또한, 2차측 회로(130)에서는, 클램프 커패시터(132) 및 출력 인덕터(133)에 저장되어 있던 에너지가 출력 부하(Ro)로 전달될 수 있다.
이후, 도 3h를 참조하면, 제7 동작 모드(t6~t7)에서는, 1차측 회로(120)에서는 t6에서 제1 스위치(121)가 턴오프 되기 때문에, 1차측 자화 전류는 제1 스위치(121) 및 제2 스위치(122)의 출력 커패시터를 각각 충전 및 방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스위치(122)의 바디 다이오드가 동작하며, 제2 스위치(122)는 영전압 스위칭 조건 하에서 턴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7 동작 모드의 시간 간격은 제1 동작 모드의 시간 간격과 같으며, 결과적으로는 아래의 수학식 20과 같이 데드 타임과 같다.
[수학식 20]
Figure 112016105145906-pat00022
이후, 도 3i를 참조하면, 제8 동작 모드(t7~t8)에서는, 2차측 회로(130)에서 능동 클램프 스위치(131)가 여전히 턴온 상태이기 때문에, 클램프 커패시터(132)의 방전 전류는 반사 출력 전류(Io), 즉, 부하 전류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8 동작 모드는 t8에서 능동 클램프 스위치(131)가 턴오프 되는 경우 종료될 수 있으며, 이에 그 시간 간격은 아래의 수학식 21과 같다.
[수학식 21]
Figure 112016105145906-pat00023
수학식 21에서 Cr은 클램프 커패시터(132)의 커패시턴스, Io는 반사 출력 전류, n은 변압기 턴비, Vs는 입력 전압, VCr은 클램프 커패시터(132)에 걸리는 전압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도 3k를 참조하면, 제9 동작 모드(t8~t9)에서는, 2차측 회로(130)에서 t8에 능동 클램프 스위치(131)가 턴오프 되면, 출력 인덕터(133)의 전류(ILf)는 제1 다이오드(D1) 내지 제4 다이오드(D4)를 통해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제1 다이오드(D1) 내지 제4 다이오드(D4)에 걸리는 전압은 0이 될 수 있다. 즉, 2차측 회로(130)에서는 제0 동작 모드와 유사하게 동작할 수 있다.
여기에서, 1차측 회로(120)에서는 적은 자화 전류(ILm) 만이 흐르며, 순환 전류는 흐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100)가 이와 같은 동작 모드에 따라 구동되는 경우 가질 수 있는 동작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a 내지 도 3k에 도시된 각 동작 모드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의 등가 회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를 간단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의 전압이득을 산출한 일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의 각 소자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 및 도 5에서 nVs는 변압기(110)의 2차측 전압을 나타내고, Dm은 도 2에 도시된 정류 다이오드 쌍, 즉, 제1 다이오드(D1) 및 제4 다이오드(D4) 또는 제2 다이오드(D2) 및 제3 다이오드(D3)와 같은 특성을 가져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또한, Sm은 1차측 회로(120)에 마련된 제1 스위치(121) 내지 제4 스위치(124)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Lf는 일정 전류 싱크 Io로 처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간략화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100)의 모델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100)는 유사 공진(quasi-resonant) 반파(half-wave) 컨버터임을 확인할 수 있는데, 2차측 전류(Isec)가 순방향으로만 흐르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100)는 PWM 컨버터와 공진 컨버터 간의 하이브리드 컨버터라 할 수 있다. 따라서, DC 이득은 공진 컨버터 및 PWM 컨버터의 조합으로 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100)의 DC 이득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제0 동작 모드-제1 동작 모드 사이의 구간 및 제5 동작 모드-제7 동작 모드 사이의 구간은 무시되어도 무방한데, 스위칭 주기(Ts)에 대응하여 매우 짧은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제0 동작 모드 내지 제9 동작 모드는 크게 6개의 동작 모드로 간략화할 수 있으며, 각 동작 모드에서의 등가 회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입력 소스로부터 공급받는 에너지(Ws)를 하나의 스위칭 사이클에서 부하에 의해 흡수되는 에너지(Wo)와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100)의 DC이득은 아래의 수학식 2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22]
Figure 112016105145906-pat00024
Where
Figure 112016105145906-pat00025
,
Figure 112016105145906-pat00026
and
Figure 112016105145906-pat00027
.
수학식 22에서, Io는 반사 출력 전류, Zr은 특성 임피던스, VCr은 클램프 커패시터(132)에 걸리는 전압, Ts는 스위칭 주기를 나타낸다.
이러한 수학식 22는 부하(via
Figure 112016105145906-pat00028
), 스위칭 주파수(via F) 및 유효 듀티 사이클(via
Figure 112016105145906-pat00029
)의 음함수(implicit function)일 수 있다. 이때,
Figure 112016105145906-pat00030
가 일정한 경우, 수학식 22의 함수 M은 도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Figure 112016105145906-pat00031
>1 인 경우 영전류 스위칭 특성을 가질 수 없으므로,
Figure 112016105145906-pat00032
<1 인 것으로 설정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0.7<
Figure 112016105145906-pat00033
<1인 경우, 전압 이득은 부하에 덜 의존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전압 이득 M은 F에 따라 스케일될 수 있는데, 이는 주파수가 증가하는 경우 전압 이득 또한 증가함을 의미한다. 이때, 공진 주파수 fr 및 스위칭 주파수 fs가 고정된 경우, 전압 이득은 유효 듀티 사이클 D를 나타내는
Figure 112016105145906-pat00034
에 따라 변화함을 확인할 수 있다. 수학식 22에 따르면,
Figure 112016105145906-pat00035
=0으로 하여 최대 스위칭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리딩 레그, 즉, 제1 레그에 마련된 스위치인 제2 스위치(122) 또는 래깅 레그, 즉, 제2 레그에 마련된 스위치인 제4 스위치(124)가 턴온 되기 이전의 동작 모드인 제0 동작 모드 및 제6 동작 모드에서는, 1차측 전류(Ipri)가 자화 전류 (ILm)과 같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1차측 회로(120)의 스위치 소자들의 기생 커패시턴스(Coss) 및 변압기(110)의 기생 커패시턴스를 충분히 방전시킬 수 있는 에너지가 자화 인덕터(126)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부하 조건과 무관하게 1차측 회로(120)의 스위치 소자들의 영전압 스위칭 턴온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수학식 23]
Figure 112016105145906-pat00036
수학식 23에서,
Figure 112016105145906-pat00037
은 자화 전류(ILm)의 peak-to-peak 값, Coss는 1차측 스위치 소자들의 출력 커패시턴스를 나타내고, Lm은 자화 인덕터(126)의 인덕턴스로 아래의 수학식 24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24]
Figure 112016105145906-pat00038
수학식 24에서 Dmin은 최소 출력 전압에 따른 최소 유효 듀티값을 나타낸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1차측 스위치 소자들을 위한 적절한 영전류 스위칭 시간은 변압기 1차측 전류의 크기(Ipri)가 자화 전류(ILm)의 크기로 감소하는 구간의 시간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구간에서는 변압기 2차측 전류(ISec) 또한 0으로 리셋됨을 확인할 수 있다(t5). 이때, 제5 동작 모드에서의 변압기 2차측 전류(ISec)는 아래의 수학식 25 및 2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25]
Figure 112016105145906-pat00039
At
Figure 112016105145906-pat00040
,
Figure 112016105145906-pat00041
[수학식 26]
Figure 112016105145906-pat00042
수학식 25 및 26에서, Io는 반사 출력 전류, n은 변압기 턴비, Vs는 입력 전압, VCr은 클램프 커패시터(132)에 걸리는 전압, Zr은 특성 임피던스, ωr은 공진 각 주파수를 나타낸다.
수학식 26에 따르면, 반사 출력 전류(Io)는
Figure 112016105145906-pat00043
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반드시 충분히 큰 값을 가져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2차측 전류(ISec)가 0으로 리셋될 수 없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t6~t9에서 적은 자화 전류(ILm) 만이 변압기(110) 1차측을 프리휠링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리휠링 구간에서의 전도 손실(conduction loss)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경부하 조건 하에서의 높은 효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제5 동작 모드(t5~t6)에서, 2차측 전류(ISec)가 0으로 감소할 때, 제1 다이오드(D1) 및 제4 다이오드(D4)가 역 회복 문제 없이 오프될 수 있다. 따라서, 역회복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 또한 완벽히 제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류 다이오드들의 역회복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은 컨버터의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100)는 역회복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을 제거할 수 있어 높은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정류 브릿지의 전압은 클램프 커패시터(132)의 최대 전압으로 클램프되어, 전압 링잉 문제 또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커뮤테이션(commutation) 구간인 t0~t1에서, 1차측 전류(Ipri)가 거의 0으로부터 반사 출력 전류의 크기까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누설 인덕턴스의 값을 최소화함으로써, 듀티 사이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최대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a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100)의 유리한 효과를 검증하기로 한다.
도 9a 내지 도 9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의 3kW의 출력 전류 조건 하에서의 출력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의 250V 출력 전압 조건 하에서의 출력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의 서로 다른 출력 전압 조건 하에서의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100)의 동작 특성을 확인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아래 표 1 내지 표 3과 같은 사양 및 조건의 컨버터를 설계하였다.
Parameter Designator Value
Input Voltage Nominal
Figure 112016105145906-pat00044
380 [V]
Output Voltage Range
Figure 112016105145906-pat00045
250-420 [V]
Maximum Output Power
Figure 112016105145906-pat00046
3.5 [kW]
Switching frequency
Figure 112016105145906-pat00047
30 [kHz]
Resonant frequency
Figure 112016105145906-pat00048
100 [kHz]
Parameter (Designator) Measured Value
Turn ratio of the transformer (n1 : n2) 11: 13
Magnetizing inductance (
Figure 112016105145906-pat00049
)
828 [ μH]
Leakage inductance (
Figure 112016105145906-pat00050
)
20 [μH]
Clamping capacitor (
Figure 112016105145906-pat00051
)
112 [n
Figure 112016105145906-pat00052
Filter output inductor (
Figure 112016105145906-pat00053
)
360 [μH]
Component Manufacturer Part #
Primary side switch (
Figure 112016105145906-pat00054
Infineon IPW60R041C6
Active clamp switch (
Figure 112016105145906-pat00055
)
Fairchild FCH76N60N
Rectifier diodes (
Figure 112016105145906-pat00056
Vishay HFA50PA60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3kW의 출력 전력 조건 하에서, 1차측 회로(120)의 리딩 레그 및 래깅 레그에 마련된 제1 스위치(121) 내지 제4 스위치(124)가 모두 영전압 스위칭 조건 하에서 턴온 동작을 수행하고, 거의 영전류 스위칭 조건 하에서 턴오프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9c를 참조하면, 변압기(110)의 1차측 및 2차측 각각의 전압 및 전류를 확인할 수 있는데, 프리휠링 구간에서, 변압기(110)의 1차측에 적은 자화 전류만이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순환 전류에 의한 전도 손실이 거의 제로이다.
또한, 도 9d를 참조하면, 2차측 회로(130)에 마련되어 정류 동작을 수행하는 제1 다이오드(D1)에 걸리는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을 확인할 수 있는데, 정류기의 전압 링잉이 580V로 완벽하게 클램프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다이오드(D1)가 역방향 바이어스 되기 전에 ID1의 기울기가 stiff 하지 않으므로, 역회복 전류가 제거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100)는 정류 다이오드들의 역회복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도 9e를 참조하면, 2차측 회로(130)에 마련된 능동 클램프 스위치(131)의 파형을 확인할 수 있다. 능동 클램프 스위치(131)는 변압기(110)의 누설 인덕턴스(Llk)와 클램프 커패시터(132) 간의 공진에 의해 영전류 스위칭 턴온 조건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9f를 참조하면, 2차측 회로(130)에 마련된 클램프 커패시터(132)의 파형을 확인할 수 있다. 클램프 커패시터(132)의 전압(VCr)은 충전 전류(ICr)이 0으로 떨어질 때 피크 값을 가지며, 이후, 그 값을 유지하다가 능동 클램프 스위치(131)가 턴온되는 경우, 방전될 수 있다.
또한, 도 10a를 참조하면, 10%의 부하 조건 하에서, 1차측 회로(120)의 리딩 레그 및 래깅 레그에 마련된 스위치 소자들의 영전압 스위칭 턴온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자화 인덕터(Lm)에 저장된 유도성 에너지가 스위치 소자들의 출력 커패시터를 방전시킬 수 있을 만큼 충분하기 때문이다. 즉, 영전압 스위칭 턴온 조건은 부하의 변화와 독립적이라는 것이 증명된다.
또한, 도 10b 및 도 10c를 참조하면, 입력 전압이 400V, 출력 전압이 250V 및 부하가 2kW의 조건 하에서 리딩 레그의 스위치 소자가 영전류 스위칭 턴오프 동작을 수행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출력 전류가 최소값(250V)일 때, 제4 동작 모드의 시간은 0으로 줄어드는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는 영전류 스위칭 유사 공진 컨버터로서 동작하게 된다. 이때, 리딩 레그의 스위치 소자가 턴오프 되기 전에 1차측 전류(Ipri)는 자화 전류(ILm)와 같아질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입력 전압이 380V이고, 250V, 400V, 420V의 서로 다른 출력 전압 조건 하에서의 효율을 확인할 수 있다. 출력 전압이 420V일 때, 2kW의 부하 조건 하에서 최대 효율 97.6%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경부하 조건 하에서도 비교적 높은 효율(>96%)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
110: 변압기
120: 1차측 회로
130: 2차측 회로

Claims (15)

1차측 권선과 2차측 권선을 포함하여 전압 변환을 수행하는 변압기;
입력 전원을 공급하는 입력 커패시터와 연결되며, 제1 스위치 내지 제4 스위치가 마련된 풀브릿지 회로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스위치 내지 상기 제4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입력 전원을 상기 1차측 권선으로 전달하는 1차측 회로; 및
상기 2차측 권선과 연결되며, 제1 다이오드 내지 제4 다이오드가 마련된 정류 브릿지 회로, 상기 정류 브릿지 회로와 연결되며 직렬 연결된 능동 클램프 스위치 및 클램프 커패시터로 구성되는 능동 클램프 회로 및 상기 능동 클램프 회로와 연결되는 출력 인덕터를 포함하여 상기 1차측 회로로부터 상기 변압기를 통해 전달 받은 에너지를 상기 출력 인덕터 및 상기 능동 클램프 회로와 연결되는 출력 커패시터로 전달하는 2차측 회로를 포함하고,
복수의 동작 모드를 기반으로 동작하며,
상기 복수의 동작 모드는 상기 제1 스위치 내지 상기 제4 스위치 중 상기 풀브릿지 회로의 대각선상에 마련되는 두 개의 스위치 및 상기 능동 클램프 스위치가 턴 온 상태로 동작하는 동작 모드를 포함하는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 회로는,
상기 능동 클램프 스위치 및 상기 변압기의 누설 인덕턴스와 공진을 수행하는 클램프 커패시터로 구성되는 능동 클램프 회로를 포함하는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 회로는,
병렬 연결된 한 쌍의 레그 상에 상기 제1 다이오드 내지 상기 제4 다이오드가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레그의 상측 접점에 상기 능동 클램프 스위치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능동 클램프 스위치의 타단에 상기 클램프 커패시터의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레그의 하측 접점에 상기 클램프 커패시터의 타단이 연결되는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 회로는,
상기 클램프 커패시터와 상기 변압기의 누설 인덕턴스 간의 공진을 일정 기간 미룰 수 있도록 턴온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능동 클램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 회로는,
프리휠링 구간에서의 상기 1차측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1차측 전류가 리셋될 수 있도록 턴온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능동 클램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회로는,
유사 정현 곡선 파형을 갖는 1차측 전류를 출력하는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회로는,
병렬로 연결된 제1 레그 및 제2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그 및 상기 제2 레그 상에 상기 제1 스위치 내지 상기 제4 스위치가 마련되며, 상기 제1 레그 및 상기 제2 레그를 연결하는 입력 전압선 상에 누설 인덕터 및 자화 인덕터가 마련되고, 상기 자화 인덕터가 상기 1차측 권선과 병렬 연결되는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 회로는,
상기 능동 클램프 스위치가 턴온 되면, 상기 능동 클램프 스위치를 통해 상기 클램프 커패시터에 저장되어 있던 에너지가 상기 출력 커패시터로 방전되는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
입력 전원을 공급하는 입력 커패시터와 출력 부하 저항과 병렬 연결되는 출력 커패시터 사이에서 전압 변환을 수행하며, 상기 입력 커패시터와 연결되는 1차측 회로는 제1 스위치 내지 제4 스위치가 마련된 풀브릿지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커패시터와 연결되는 2차측 회로는 정류 브릿지 회로, 상기 정류 브릿지 회로와 연결되며 직렬 연결된 능동 클램프 스위치 및 클램프 커패시터로 구성되는 능동 클램프 회로 및 상기 능동 클램프 회로와 연결되는 출력 인덕터를 포함하며, 상기 1차측 회로와 상기 2차측 회로 사이에 전압 변환을 수행하는 변압기가 마련된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기반으로 동작하며,
상기 복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1차측 회로에서는 풀브릿지 회로의 동일한 레그에 마련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는 서로 반대로 턴온 또는 턴오프 제어되고, 제3 스위치 및 제4 스위치는 서로 반대로 턴온 또는 턴오프 제어되어 상기 입력 전원을 상기 변압기로 전달하고,
상기 2차측 회로에서는 상기 풀브릿지 회로의 대각선 상에 마련된 스위치가 모두 턴온 된 상태에서 영전류 스위칭 턴온 조건을 달성한 경우, 상기 능동 클램프 스위치가 턴온 제어되어, 상기 클램프 커패시터에 저장되어 있던 에너지가 상기 출력 커패시터로 전달되며,
상기 복수의 동작 모드는 상기 제1 스위치 내지 상기 제4 스위치 중 상기 풀브릿지 회로의 대각선상에 마련되는 두 개의 스위치 및 상기 능동 클램프 스위치가 턴 온 상태로 동작하는 동작 모드를 포함하는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의 구동방법.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내지 상기 제4 스위치 및 상기 능동 클램프 스위치의 스위칭 주기가 시작되기 이전에 상기 2차측 회로에서는, 제1 다이오드 내지 제4 다이오드가 모두 동작하여 상기 출력 인덕터의 반사 전류를 위한 전도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의 구동방법.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주기에는 상기 제1 스위치 내지 상기 제4 스위치의 소프트 스위칭 조건을 달성하기 위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데드 타임이 포함되는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의 구동방법.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내지 상기 제4 스위치는 영전압 스위칭 조건 하에서 턴온 동작을 수행하는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의 구동방법.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내지 상기 제4 스위치는 영전류 스위칭 조건 하에서 턴오프 동작을 수행하는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의 구동방법.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이오드 및 상기 제4 다이오드가 순방향 바이어스 되면, 상기 변압기의 누설 인덕턴스 및 상기 클램프 커패시터 간의 공진이 시작되는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의 구동방법.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커패시터가 최대 값으로 충전되면, 상기 정류 브릿지 회로의 정류 전압이 상기 클램프 커패시터의 최대 전압에 의해 클램프되는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의 구동방법.

KR1020160141715A 2016-05-23 2016-10-28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 KR101884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071,807 US10277138B2 (en) 2016-05-23 2016-11-23 Active clamp full bridge convert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PCT/KR2016/013510 WO2017204426A1 (ko) 2016-05-23 2016-11-23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846 2016-05-23
KR20160062846 2016-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070A KR20170132070A (ko) 2017-12-01
KR101884686B1 true KR101884686B1 (ko) 2018-08-30

Family

ID=60921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715A KR101884686B1 (ko) 2016-05-23 2016-10-28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77138B2 (ko)
KR (1) KR1018846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3410B2 (en) * 2016-09-15 2019-06-25 Futurewei Technologies, Inc. Common-mode (CM)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reduction in resonant converters
JP6567197B2 (ja) * 2016-09-16 2019-08-2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CN108448903B (zh) * 2018-04-28 2019-12-20 清华大学 一种双有源箝位准谐振boost全桥拓扑及控制方法
EP3772180A1 (en) * 2019-07-30 2021-02-03 Infineon Technologies AG Semiconductor module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10719019B (zh) * 2019-09-29 2021-05-18 广州金升阳科技有限公司 一种副边有源箝位控制电路
CN111564976B (zh) * 2020-05-26 2021-03-23 中车青岛四方车辆研究所有限公司 基于zvs负载范围的移相全桥变换器的参数设计方法
CN112689948B (zh) * 2020-12-09 2022-04-08 华为技术有限公司 电源变换器及其驱动方法
KR102619173B1 (ko) * 2020-12-21 2024-01-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양방향 절연형 대용량 dc-dc 컨버터 및 그 제어방법
US11349401B1 (en) * 2021-01-25 2022-05-31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Method and system of a power converter with secondary side active clamp
US11804782B2 (en) * 2022-01-28 2023-10-31 Analog Devices, Inc. Active-clamp current-fed push-pull converter for bidirectional power transfer
KR102616665B1 (ko) * 2022-05-02 2023-12-2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상천이 풀브리지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
CN115021525B (zh) * 2022-08-10 2022-11-01 山东大学 考虑寄生参数的多有源桥变换器暂态振荡抑制方法及电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3296A (ja) 2013-08-06 2015-02-16 株式会社アドバンスド・パワー・テクノロジー 電力変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4781A (ja) 2005-09-05 2007-03-22 Sony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US7606051B1 (en) * 2005-11-03 2009-10-20 Wittenbreder Jr Ernest Henry Fully clamped coupled inductors in power conversion circuits
US8503201B2 (en) * 2009-12-03 2013-08-06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Transient clamping circuitry for voltage converter
JP5548569B2 (ja) 2010-09-28 2014-07-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直流電源装置
JP5987496B2 (ja) 2012-06-27 2016-09-07 株式会社日立情報通信エンジニアリング Dc−dcコンバータ
JP6018870B2 (ja) 2012-10-05 2016-11-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直流電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3296A (ja) 2013-08-06 2015-02-16 株式会社アドバンスド・パワー・テクノロジー 電力変換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 Miura et al. "Bidirectional Isolated Dual Full-bridge dc-dc Converter with Active Clamp for ELDC". IEEE. 20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28035A1 (en) 2019-01-24
KR20170132070A (ko) 2017-12-01
US10277138B2 (en) 201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4686B1 (ko)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
CN110224612B (zh) 不对称半桥变换器及控制方法
KR101923317B1 (ko) 양방향 풀브릿지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
Wang A novel ZCS-PWM flyback converter with a simple ZCS-PWM commutation cell
JP4910525B2 (ja) 共振型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2009200B1 (ko) 보조 lc 공진 회로를 갖는 양방향 컨버터 및 그 구동 방법
WO2007000830A1 (ja) Dc-dcコンバータ
US20080037290A1 (en) Ac-dc converter and method for driving for ac-dc converter
JP2004514398A (ja) フライバックコンバータに関する漏れエネルギー回復システム及び方法
CN103201939A (zh) 虚拟参数高压侧mosfet驱动器
JP2002101655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20030002991A (ko) 스위칭 전원장치
US20060139968A1 (en) DC conversion apparatus
Chen et al. Analysis and design considerations of an improved ZVS full-bridge DC-DC converter
KR20150044317A (ko) 컨버터 및 그 구동 방법
Chen et al. A novel ZVS full-bridge converter with auxiliary circuit
JPH04368464A (ja) 直流電源装置
KR100732612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고효율 강압형 직류-직류 컨버터
KR102122651B1 (ko) 센터탭과 연결된 클램프 회로를 이용한 새로운 위상천이 풀-브릿지 컨버터
Vu et al. A novel hybrid soft switching full-bridge PWM and full-bridge LLC converter for on-board battery charger applications
TWI482407B (zh) 電源轉換裝置
KR101910533B1 (ko) 소프트 스위칭 풀브릿지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
US20040179377A1 (en) Insulating switching DC/DC converter
Huang et al. Analysis and implementation of half-bridge resonant capacitance LLC converter
JP5831275B2 (ja) 電力変換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