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2683B1 - 틸트와텔레스코픽의스티어링칼럼구조 - Google Patents

틸트와텔레스코픽의스티어링칼럼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2683B1
KR100402683B1 KR1019970079347A KR19970079347A KR100402683B1 KR 100402683 B1 KR100402683 B1 KR 100402683B1 KR 1019970079347 A KR1019970079347 A KR 1019970079347A KR 19970079347 A KR19970079347 A KR 19970079347A KR 100402683 B1 KR100402683 B1 KR 100402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bracket
tilt
guide groove
steering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9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9150A (ko
Inventor
신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19970079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2683B1/ko
Publication of KR19990059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9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틸트와 텔레스코픽의 스티어링 칼럼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틸트와 텔레스코픽의 스티어링 칼럼튜브에 있어서, 제2 베어링(7)을 중심으로 일측의 로 튜브(6) 및 타측의 어퍼 튜브(5)와, 상기 로 튜브(6)의 외주면 하단 적소에 일체로 고정되며, 적소에 제1가이드홈(10a)이 구비된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1브라켓(10)의 양단에 구비되며, 적소에 차량의 소정 위치에 체결되게 구멍(21)이 구비된 제2브라켓(20)과, 상기 제2브라켓(20)의 적소에 구비되는 제3가이드홈(21) 및 상기 제1가이드홈(10a)과 같은 선상의 제2가이드홈(20a)과, 일측은 어퍼 튜브(5)에 일체로 축착되고, 타측은 상기 제3가이드홈(21)의 외측에 구비되는 피동기어(21)와, 상기 피동기어(21)의 외주면 적소에만 구비되는 기어 이(41)와, 상기 제2브라켓(20)의 적소에 구동기어(31)가 구비되고, 이 구동기어(31)의 적소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레버(30)와, 상기 레버(30)를 중심으로 구동기어(31)의 일측 외주면 적소에 구비되는 제1기어 이(32) 및 타측 외주면 적소에 구비되는 제2기어 이(33)와, 상기 제2브라켓(20)의 외측에 구비되며, 일측 적소에만 기어 이(51)가 구비된 작동기어(50)와, 상기 제1,2 브라켓(10,20)을 상호 연결하며, 일측은 상기 작동기어(50)와 축착되고, 타측은 고정부(62)에 연결되는 구동축(60)과, 상기 구동축(60)의 일측 외주면 적소에는 나사부(61)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틸트와 텔레스코픽의 스티어링 칼럼 구조{STEERING COLUMN CONTRUCTION OF TILT AND TELESCOPCIC}
본 발명은 틸트와 텔레스코픽의 스티어링 칼럼튜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레버 작동으로 틸트와 텔레스코픽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틸트는 스티어링 휠 각도가 운전자의 체격이나 운전자세에 맞도록 바꿔질 수 있도록 한 것이고, 텔레스코픽은 스티어링 샤프트를 2중으로 하여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시켜 길이를 신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이미 알려진 주지된 사실이다.
상기와 같이 틸트 기능과 텔레스코픽 기능을 수행하는 기술적 구성은 종래에도 자동과 수동이 있으나, 상기 자동기능은 틸트와 텔레스코픽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잇점이 있으나, 모터와 그 밖의 여러 부품으로 인해 제조가 복잡하고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수동기능은 틸트 기능은 되나 텔레스코픽 기능이 안되는 것과, 반대로 텔레스코픽 기능은 되나 틸트 기능이 안되는 즉, 틸트와 텔레스코픽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틸트와 텔레스코픽 기능이 동시에 이루어 지도록 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레버 작동으로 틸트와 텔레스코픽 기능이 가능하도록 함을 제1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제2목적은 자동기능 보다 정확한 정밀도를 요구하지 않아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인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틸트와 텔레스코픽의 스티어링 칼럼튜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2베어링을 중심으로 일측의 로 튜브 및 타측의 어퍼 튜브와, 상기 로 튜브의 외주면 하단 적소에 일체로 고정되며, 적소에 제1가이드홈이 구비된 제1브라켓과, 상기 제1브라켓의 양단에 구비되며, 적소에 차량의 소정 위치에 체결되게 구멍이 구비된 제2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의 적소에 구비되는 제3가이드홈 및 상기 제1가이드홈과 같은 선상의 제2가이드홈과, 일측은 어퍼 튜브에 일체로 축착되고, 타측은 상기 제3가이드홈의 외측에 구비되는 피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의 외주면 적소에만 구비되는 기어 이와, 상기 제2브라켓의 적소에 구동기어가 구비되고, 이 구동기어의 적소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레버와, 상기 레버를 중심으로 구동기어의 일측 외주면 적소에 구비되는 제1기어 이 및 타측 외주면 적소에 구비되는 제2기어 이와, 상기 제2브라켓의 외측에 구비되며, 일측 적소에만 기어 이가 구비된 작동기어와, 상기 제1,2 브라켓을상호 연결하며, 일측은 상기 작동기어와 축착되고, 타측은 고정부에 연결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일측 외주면 적소에는 나사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와 텔레스코픽의 스티어링 칼럼튜브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된 틸트와 텔레스코픽의 스티어링 칼럼구조가 동작되기 전의 요부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틸트와 텔레스코픽의 스티어링 칼럼구조가 동작되기 전의 요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레버의 작동으로 틸트 기능이 가능한 상태의 요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레버의 작동으로 틸트 기능이 가능한 상태의 요부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레버의 작동으로 텔레스코픽 기능이 가능한 상태의 요부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레버의 작동으로 텔레스코픽 기능이 가능한 상태의 요부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된 구동기어, 피동기어, 작동기어의 요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된 작동간과 볼의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어퍼 튜브 6: 로 튜브
10: 제1브라켓 20: 제2브라켓
30: 레버 31: 구동기어
35: 작동간 40: 피동기어
50: 작동기어 60: 구동축
본 발명에 적용된 틸트와 텔레스코픽의 스티어링 칼럼튜브는 도 1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으로, 여기서 부호 3은 제1베어링이다. 이 제1베어링(30)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로 샤프트(2)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어퍼 샤프트(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로 샤프트(2)와 어퍼 샤프트(1)의 외주연에는 제2베어링(7)을 중심으로 일측에 로 튜브(6)와 타측에 어퍼 튜브(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로 튜브(6)의 외주면 적소에는 제1브라켓(10)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제1브라켓(10)의 적소에는 제1가이드홈(10a)이 형성된다.
부호 20은 제2브라켓으로, 상기 제1브라켓(10)의 외측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이 제2브라켓(20)의 적소 즉, 상기 제1가이드홈(10a)과 일치되는 위치에는 제2가이드홈(20a)이 형성되고, 중앙 적소에는 제3가이드홈(21)이 형성된다.
또한 부호 60은 구동축으로, 이 구동축(60)은 상기 제1,2브라켓(10,20)을 상호 연결하는 것이고, 상기 구동축(60)의 일측 외주면에는 나사부(6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60)의 일단은 고정부(62)로 축착되고, 타단은 작동기어(50)가구비된다.
상기 작동기어(50)는 상기 구동축(60)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일측 끝단 적소에는 일정간격 기어 이(51)가 형성되고, 나머지는 부분은 평면으로 구성된다. 또한 부호 40은 피동기어로, 이 피동기어(40)의 외주면 적소에는 일정간격 기어 이(41)가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평면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동기어(40)는 상기 제3가이드홈(21)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피동기어(40)의 일단은 상기 어퍼 튜브(5)의 적소에 축착 고정된다.
부호 31은 구동기어로, 이 구동기어(31)는 상기 작동기어(50)와 피동기어(40)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일측 하단 적소에는 레버(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30)를 중심으로 구동기어(31)의 일측 외주면 적소에는 일정간격 제1기어 이(32)가 구비되고, 타측 외주면 적소에는 일정간격 제2기어 이(3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브라켓(20)의 외측 적소에는 작동홈(22)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 작동 홈(22)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요홈(2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31)의 적소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작동간(35)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 작동간(35)의 일단에는 일측은 폐쇄되고 타측은 개방된 볼 삽입공(36)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볼 삽입공(36)에는 스프링(37)이 구비되고, 이 스프링(37)의 일단은 볼(38)이 구비된다.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작동간(35)의 일단은 상기 작동홈(22)을 따라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틸트와 텔레스코픽의 스티어링 칼럼튜브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2 는 본 고안에 적용된 틸트와 텔레스코픽의 스티어링 칼럼튜브가 작동되기 전의 상태도이며, 제2브라켓(20)의 구멍(미도시)에는 도면상 미 도시된 체결볼트가 체결되어 차량의 적소에 고정 장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같은 상태에서는 구동기어(31)와 피동기어(40) 그리고 작동기어(50)에 형성된 기어 이가 상호 맞물리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제2브라켓(20)은 화살표 방향으로 제1브라켓(10)을 밀착 고정시키므로 결과적으로 제1브라켓(10)과 일체로 고정된 로 튜브(6)와 어퍼 튜브(5)는 텔레스코픽 기능을 할 수 없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자신의 체격이나 운전자세에 맞도록 어퍼 튜브(5)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30)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이때 상기 맞물리지 않은 구동기어(31)의 제2기어 이(33)와 피동기어(40)의 기어 이(41)가 상호 맞물려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는 반면 상기 구동기어(31)가 회전될 때 반대편의 작동기어(50)는 구동기어(31)와 상호 면접촉에 의해 회전되지 않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피동기어(40)가 회전됨으로 인해 일측에 축착된 어퍼 튜브(5)는 제2베어링(7)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틸트 기능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피동기어(40)가 회전될 때 일측에 형성된 작동간(35)은 작동홈(22)을 따라 아래로 이동되는 것으로, 이때 작동간(35)의 끝단에 구비된볼(38)이 작동홈(22)에 형성된 요홈(23)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어퍼 튜브(5)가 일정한 각도로 유지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볼(38)이 요홈(23)에서 이탈될 때에는 볼 삽입공(36)에 삽입된 스프링(37)의 압축에 의해 이탈되었다가 다시 스프링(37)의 탄발력에 의해 요홈(23)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계속 화살표 방향으로 레버(30)를 회전시키면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해 어퍼 튜브(5)는 각도가 더 벌어지게 되는 것이고, 화살표 방향의 반대로 레버(30)를 회전시키면 어퍼 튜브(5)는 최초의 상태인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틸트 기능 뿐만 아니라 텔레스코픽 기능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5,6 에 도시된 바와같이 레버(30)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구동기어(31)에 형성된 제1기어 이(32)와 작동기어(50)에 형성된 기어 이(51)가 상호 맞물려 회전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피동기어(40)는 구동기어(31)와 상호 맞물리지 않음 즉 면접촉에 의해 회전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동기어(50)가 회전됨으로 이와 함께 축설된 구동축(60)이 회전되고, 구동축(60)의 회전에 의해 구동축(61)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부(61)가 제1브라켓(10)과 제2브라켓(20)을 상호 이격되게 하여 제1브라켓(10)과 로 튜브(6) 그리고 어퍼 튜브(5)는 화살표 방향으로 텔레스코픽 기능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브라켓(10)과 로 튜브(6) 그리고 어퍼 튜브(5)가 좌우로 이동될 때에는 제1가이드홈(10a)과 제2가이드홈(20a) 그리고 제3가이드홈(21)의 거리만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기어(35)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작동간(35)은 상기와 같이 작동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틸트와 텔레스코픽 기능이 동시에 이루어 지도록 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레버 작동으로 틸트와 텔레스코픽 기능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고, 또한 자동기능 보다 정확한 정밀도를 요구하지 않아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인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틸트와 텔레스코픽의 스티어링 칼럼튜브에 있어서,
    제2베어링(7)을 중심으로 일측의 로 튜브(6) 및 타측의 어퍼 튜브(5)와,
    상기 로 튜브(6)의 외주면 하단 적소에 일체로 고정되며, 적소에 제1가이드홈(10a)이 구비된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1브라켓(10)의 양단에 구비되며, 차량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제2브라켓(20)과,
    상기 제2브라켓(20)의 적소에 구비되는 제3가이드홈(21) 및 상기 제1가이드홈(10a)과 같은 선상의 제2가이드홈(20a)과,
    일측은 어퍼 튜브(5)에 일체로 축착되고, 타측은 상기 제3가이드홈(21)의 외측에 구비되는 피동기어(40)와,
    상기 피동기어(40)의 외주면 적소에만 구비되는 기어 이(41)와,
    상기 제2브라켓(20)의 적소에 구동기어(31)가 구비되고, 이 구동기어(31)의 적소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레버(30)와,
    상기 레버(30)를 중심으로 구동기어(31)의 일측 외주면 적소에 구비되는 제1기어 이(32) 및 타측 외주면 적소에 구비되는 제2기어 이(33)와,
    상기 제2브라켓(20)의 외측에 구비되며, 일측 적소에만 기어 이(51)가 구비된 작동 기어(50)와,
    상기 제1,2 브라켓(10,20)을 상호 연결하며, 일측은 상기 작동기어(50)와 축착되고, 타측은 고정부(62)에 연결되는 구동축(60)과,
    상기 구동축(60)의 일측 외주면 적소에는 나사부(61)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와 텔레스코픽의 스티어링 칼럼튜브.
  2. 제1항에 있어서 ,
    상기 구동기어(31)의 일측 적소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된 작동간(35)과,
    상기 작동간(35)의 일측 끝단에 구비되며, 일측은 폐쇄되고 타측은 개방된 볼 삽입 공(36)과,
    상기 볼 삽입공(36)에 구비되며, 일측이 볼 삽입공(36)의 벽면에 맞닿아 텐션작용하는 스프링(37)과,
    상기 스프링(37)의 일단에 구비되는 볼(38)과,
    상기 제2브라켓(20)의 적소에 구비되며, 상기 작동간(35)이 따라서 이동되도록 하는 작동홈(22)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와 텔레스코픽의 스티어링 칼럼 튜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홈(22)에는 일정간격으로 요홈(23)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와 텔레스코픽의 스티어링 칼럼튜브.
KR1019970079347A 1997-12-30 1997-12-30 틸트와텔레스코픽의스티어링칼럼구조 KR100402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347A KR100402683B1 (ko) 1997-12-30 1997-12-30 틸트와텔레스코픽의스티어링칼럼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347A KR100402683B1 (ko) 1997-12-30 1997-12-30 틸트와텔레스코픽의스티어링칼럼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9150A KR19990059150A (ko) 1999-07-26
KR100402683B1 true KR100402683B1 (ko) 2004-03-31

Family

ID=37422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9347A KR100402683B1 (ko) 1997-12-30 1997-12-30 틸트와텔레스코픽의스티어링칼럼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26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387B1 (ko) 2007-10-30 2009-10-14 남양공업주식회사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396B1 (ko) * 2001-07-06 2008-03-25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텔레스코픽장치
KR101282683B1 (ko) * 2011-12-09 2013-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틸트장치
CN113323415B (zh) * 2021-06-03 2022-08-09 上海建工四建集团有限公司 一种钢结构施工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1934A (ja) * 1991-11-11 1993-05-28 Toyota Motor Corp チルト・テレスコピツクステアリングコラム
KR970040900A (ko) * 1995-12-22 1997-07-24 김태구 틸트와 텔레스코트 기능을 갖는 스티어링 컬럼 구조
KR19990050303A (ko) * 1997-12-16 1999-07-05 양재신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 틸트 및 텔리스코프 장치
KR19990024912U (ko) * 1997-12-16 1999-07-05 양재신 자동차의 조향축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1934A (ja) * 1991-11-11 1993-05-28 Toyota Motor Corp チルト・テレスコピツクステアリングコラム
KR970040900A (ko) * 1995-12-22 1997-07-24 김태구 틸트와 텔레스코트 기능을 갖는 스티어링 컬럼 구조
KR19990050303A (ko) * 1997-12-16 1999-07-05 양재신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 틸트 및 텔리스코프 장치
KR19990024912U (ko) * 1997-12-16 1999-07-05 양재신 자동차의 조향축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387B1 (ko) 2007-10-30 2009-10-14 남양공업주식회사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9150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02232B1 (en) Electric telescopic steering apparatus
JP4325403B2 (ja) 電動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US20040221668A1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U3917899A (en) Electrically controlled clamping device for a system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one member relative to another member
EP3581465A2 (en) Steer-by-wire type power steering apparatus
KR20210030575A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KR900007678A (ko) 축방향으로 조절가능한 자동차 핸들축
EP0520383A1 (en) Bicycle headset
KR100402683B1 (ko) 틸트와텔레스코픽의스티어링칼럼구조
JP2006027577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5265906A (en) Steering column for motor vehicles
KR100408774B1 (ko) 틸트와 텔레스코픽의 스티어링 칼럼구조
JPH0214939A (ja) 自動車用の前照灯
KR20060069873A (ko) 모터 구동형 변속기 조작 장치
US6012730A (en) Cable-type steering device
JP5264214B2 (ja) 操舵装置
JP3507595B2 (ja) 水平ゼロインジケータ装置
JP2006224895A (ja) 可変舵角機構の回転ガタ調節構造
JPH1134888A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9980079410A (ko) 파워스티어링 장치
JP3761709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05318241A (ja) 多軸ナットランナ装置のピッチチェンジ機構
KR100217583B1 (ko) 축방향의 길이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 핸들의 컬럼구조
JPH07237551A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085092Y2 (ja)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