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1895B1 - 급액노즐 - Google Patents

급액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1895B1
KR100401895B1 KR10-2001-0049433A KR20010049433A KR100401895B1 KR 100401895 B1 KR100401895 B1 KR 100401895B1 KR 20010049433 A KR20010049433 A KR 20010049433A KR 100401895 B1 KR100401895 B1 KR 100401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main valve
liquid
liquid supply
supply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4874A (ko
Inventor
다쓰노히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메카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메카트로닉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메카트로닉스
Publication of KR20020094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4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8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42Fillin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42Filling nozzles
    • B67D7/44Filling nozzles automatically closing
    • B67D7/46Filling nozzles automatically closing when liquid in container to be filled reaches a predetermined level
    • B67D7/48Filling nozzles automatically closing when liquid in container to be filled reaches a predetermined level by making use of air suction through an opening closed by the rising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닫힘기구의 파손상황을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검출할 수가 있는 급액노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이아프램(8)에 의한 자동밸브닫힘 기구를 구비한 급액노즐에 있어서, 다이아프램(8)이 2매의 다이아프램판(8a)(8b)으로 구성되며, 공간(8c)에 외부로부터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유체를 봉입하여서 구성되며, 또 스프링(7)에 대항하는 방향에 급액 대상으로 되는 액을 흡수하여 팽창하는 재료로서 되는 팽창부재(21)를 사이에 넣어서 장착하고 있다.

Description

급액노즐{Nozzle}
본 발명은 피급액용기의 액량이 일정량에 도달한 시점에서 급액동작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는 기능을 갖춘 급액노즐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급유소등에서 연료유의 공급에 사용되는 급액노즐을 토출관과 송액수단을 접속하는 주밸브와, 노즐본체에 접속되어 있는 토출관의 선단에 트인(開口) 공기유로관과, 피급액용기의 액의 상승에 의해서 공기 유로관의 트인부분이 폐색되면, 주밸브를 밸브닫힘하게 하는 밸브닫힘기구를 수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밸브닫힘기구는 흡기유로관과, 토출관으로부터의 압력을 받는 다이아프램실을 갖추어 다이아프램에 작용하는 압력변동을 이용하여 주밸브를 밸브열림상태로 유지하는 클러치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다이아프램은 그의 주위를 노즐본체의 凹부에 고정되며, 또 중앙부에는 클러치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강성이 높은 센터플레이트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이아프램의 변위에 의해 각각의 고정영역의 근방에 응력이 집중하여 피로가 생겨서 송액노즐의 낙하등에 의한 강한 외력이 작용하면 다이아프램이 파손하여 밸브닫힘기구가 동작하지 않고 과잉급액을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일특개평2-172549호 공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밸브닫힘기구를 2조의 밸브닫힘기구로 하여 급액노즐에 마련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 방식은 구조가 복잡화 하는 것과 함께 원가상승을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룬것으로, 그의 제1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밸브닫힘기구의 파손상황을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검출할 수가 있는 급액노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다이아프램의 파손에 관계없이 과급액을 방지할 수가 있는 급액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토출관과 송액수단을 접속하는 주밸브와, 상기 토출관의 선단에 개구부가 위치하는 공기유로관과, 상기 공기유로관 및 주밸브의 하류측의 음압발생수단과를 연통하는 다이아프램실과, 그 다이아프램실을 봉하여 막아서 탄성수단의 힘에 대항하여 변위하는 다이아프램과, 상기 주밸브를 밸브열림상태로 간직하고, 그 다이아프램의 변위에 의해 상기 주밸브를 밸브닫힘하게 하는 기구와를 갖춘 급액노즐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이 외부로부터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유체를 밀봉한 2장의 다이어프램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토출관과 송액수단과를 접속하는 주밸브와, 상기 토출관의 선단에 개구부를 갖는 공기유로관과, 상기 공기유로관 및 주밸브의 하류측의 음압발생수단과를 연통하는 다이아프램실과, 그 다이아프램실을 봉하여 막아서 탄성수단의 힘에 대항하여 변위하는 다이아프램과, 상기 주밸브를 밸브열림상태로 간직하고 그 다이아프램의 변위에 의해 상기 주밸브를 밸브닫힘하게 하는 기구와를 갖춘 급액노즐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이 급액대상으로 되는 액을 흡수하여 팽창하는 재료로서 되는 팽창부재를 팽창시에 상기 탄성 수단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팽창하도록 달아붙여져 있다.
제1의 발명에 의하면 2매의 다이아프램 구성중 어느것인가의 일방의 다아이프램이 파손되면 다이아프램에 봉하여 막혀있던 식별 가능한 유체가 외부로 유출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파손을 검출할 수 있다.
또 제2의 발명에 의하면 다이아프램이 급액중에 파손하면 다이아프램실에 흘려들어간 액에 의해 팽창부재가 액을 흡수하면서 팽창하여 다이어프램을 밀어내므로써 주밸브를 강제적으로 밸브 닫힘 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급액노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의 (가)(나)는 각각의 상기 급액노즐의 다이아프램실 근방을 확대하여 팽창부재의 팽창 전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다이아프램실 근방을 확대하여 팽창부재가 팽창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토출관 2 : 급액구
3 : 노즐본체 4 : 스프링
5 : 주밸브 6 : 다이아프램실
7 : 스프링 8 : 다이아프램
8a,8b : 다이아프램판 8c : 공간
10 : 체크밸브 13 : 공기유로관
16 : 걸림부재 20 : 캡
21,23 : 팽창부재 22 : 센터플레이트
이하에 본 발명의 상세함을 도시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급액노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선단에 토출관(1)을 타단에 송액장치의 호오스를 통해서 접속되는 급액구(2)를 갖춘 노즐본체(3)는 항상 스프링(4)에 의해 밸브닫힘상태를 유지하는 주밸브(5)와, 다이아프램실(6)에 팽팽하게 설치되어서 스프링(7)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힘을 받는 다이아프램(8)이 마련되며, 또 주밸브(5)의 하류측에는 토출관(1)에 접속하는 유로(9)가 형성되어 있어 여기서 유동하는 유체에 의해 부압을 발생하는 체크밸브(10)가 배치되어 있다.
또 다이아프램(8)에는 작동간(11)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어서, 이것의 타단에 작동간(12)을 통해서 주밸브(5)를 밸브열림하게 하는 레버(17)가 핀축을 중심점으로 회동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한편, 토출관(1)의 선단에 액에 의해 밀봉 되어 막히게 되는 트인곳(14)(開口剖)이 형성되어 있어서, 공기유로관(13) 및 노즐본체(3)에 형성된 유로(15)를 통해서 다이아프램실(6)에 연통해져 있다. 이 다이아프램실(6)은 노즐본체(3)에 형성된 유로(18)에 의해 체크밸브(10)의 부압 발생 영역에도 접속되어 있다. 또 도면중 부호(16)은 레버(17)를 당겨올린상태를 유지하는 걸림부재를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 레버(17)를 당겨올려서 걸림부재(16)에 걸리게하면 스프링(7)에 의해 하방으로 힘을 더하게 된 작동간(11)의 타단을 회전운동점으로 하여 러버(17)가 회전운동하므로 작동간(12)이 밀어올려져서 주밸브(5)가 밸브열림으로 된다. 급액구(2)로부터 공급된 액은 주밸브(5)를 통과한 후 체크밸브(10)를 통과해서 토출관(1)으로부터 흘러나온다. 이상태에서는 체크밸브(10)에서 부압이 발생하고 트인곳(14)이 대기에 연통하여 있으므로 다이아프램(8)은 스프링(7)에 의해 일방의 측, 도 1에서는 하방으로 강하한 상태를 유지한다.
피급액용기가 만탱크로 되어 토출관(1)의 트인곳이 액으로 봉하여 막히면 다이아프램실(6)이 체크밸브(10)의 부압을 받아 다이아프램(8)이 스프링(7)에 대항하여 변위한다(도 1에서는 상방으로 이동).
이것에 의해 레버(17)가 작동간(11)에 의해 잡아당겨져서 걸림부재(16)로부터 벗어나서 원위치로 복귀하며, 주밸브(5)가 스프링(4)의 탄발력에 의해 밸브닫힘위치로 이동하여 급액동작이 정지한다.
도 2(가)는 상술한 급액노즐의 다이아프램실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다이아프램(8)은 제1의 다이아프램판(8a)과, 제2의 다이아프램판(8b)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다이아프램판(8a)(8b)으로 봉하여 막힌 공간(8c)에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고, 또 다이아프램판(8a)(8b)을 변질시키지 않는 유체를 봉하여 막히게 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다이아프램판(8a)(8b)은 내유성을 갖춘 재료, 예를 들면 니트릴부틸고무의 판으로 구성하면 가솔린등의 탄화수소계의 액체에도 부식되지 아니하고 대응할 수가 있다.
다이아프램(8)은 그의 외주를 노즐본체(3)에 형성된 凹부(3a)에 이면을 접하게 되고 그의 표면측을 다이아프램(8)에 봉하여 막혀진 액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재료, 예를 들면 고분자 재료로서 되는 캡(20)에 의해 고정되어서 다이아프램실(6)을 형성하고 있다. 다이아프램(8)의 이면과 노즐본체(3)와의 사이에는 급액 대상으로 되는 액에 의해 팽창(膨潤)하는 재료, 예를 들면 탄화수소계의 액에 대해서는 에틸렌푸로필렌고무, 또는 클로로푸렌고무를 링상으로 형성한 팽창부재(21)가 개재 되어 있다.
이 팽창부재(21)의 두께는 팽창시에 다이아프램(8)을 스프링(4)에 대항하여 스프링(4)을 압축하면서 밀어올려, 다시말해 작동간(12)을 주밸브(5)를 밸브닫힘시키는 위치까지 끌어올릴 수 있을 정도로 선택되어 있다. 또 도면중 부호(22)는 작동간(12)등을 고정하는 센터플레이트를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 2매 구성(8a, 8b)의 어느것인가 일방의 다이아프램(8)이 파손하면 다이아프램(8)에 봉하여 막여 있던 유체가 외부로 유출하기 때문에 투명한 캡(20)을 통해 외부로부터 이를 확인 할 수가 있다.
한편, 급액중에 다이아프램(8)이 파손되면 체크밸브(10)의 부압에 의해 토출관(1)의 트인곳으로부터 다이아프램실(6)에 액이 흘러들어가나 이액은 다이아프램(8)의 파손개소로부터 팽창부재(21)에 흘러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팽창부재(21)가 도 2(나)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팽윤(도 2(나)의 부호 21'로 팽창 상태를 표시)하여 다이아프램(8)을 스프링(4)에 대항하여 밀어올린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간(11)이 끌어올려져서 레버(17)의 걸림이 벗겨지므로 주밸브(5)가 스프링(4)에 의해 밸브닫음을 하여 트인곳(14)을 넘는 과잉한 급액은 저지된다.
또한 상술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팽창부재(21)가 다이아프램(8)에 맞붙여 있으나,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터플레이트(22)에 대향하는 위치에 팽창부재(23)를 사이에 넣어 만들어도 역시 센터플레이트(22)가 팽윤한 팽창부재(23)에 의해 변위되어지기 때문에 같은 모양으로 작용하는 것은 분명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2매 구성의 어느것인가 일방의 다이아프램이 파손하면, 다이아프램에 봉해 막혀 있던 유체가 외부로 유출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다이어프램의 파손을 검출할 수 있다. 또 다이아프램이 급액중에 파손되어도 다이아프램실에 흘러들어간 액에 의해 팽창부재가 팽창을 일으켜 주밸브를 강제적으로 밸브닫힘 하게 하여서 과잉급액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토출관과 송액수단을 접속하는 주밸브와, 상기 토출관의 선단에 트인곳을 갖는 공기유로관과, 상기 공기유로관 및 주밸브의 하류측의 음압발생수단에 연통하는 다이아프램실과, 그 다이아프램실을 봉해 막아서 탄성수단의 힘에 대항하여 변위하는 다이아프램과, 상기 주밸브를 밸브열림상태로 간직하고, 그 다이아프램의 변위에 의해 상기 주밸브를 밸브닫힘하게 하는 기구와를 갖추는 급액노즐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이 외부로부터 육안에 의해 확인 가능한 유체를 봉해 막히게 한 2매 의 다이어프램판으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액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에 대향하는 영역이, 외부로부터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액노즐.
  3. 토출관과 송액수단을 접속하는 주밸브와, 상기 토출관의 선단에 트인곳을 갖는 공기유로관과, 상기 공기유로관 및 주밸브의 하류측의 음압발생수단에 연통하는 다이어프램실과, 그 다이아프램실을 봉해 막아서 탄성수단의 힘에 대항하여 변위하는 다이아프램과, 상기 주밸브를 밸브 닫힘상태로 간직하고 그 다이아프램의 변위에 의해 상기 주밸브를 밸브닫힘하게 하는 기구와를 갖추는 급액노즐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에 대향되는 위치인 상기 다이어프램과 노즐본체 사이에 급액 대상으로되는 액을 흡수시 팽창하게 되는 재료로서 만들어진 팽창부재를 구비하므로써 그 팽창부재가 액을 흡수하여 팽창시 상기 탄성수단을 압축하면서 다이아프램을 밀어올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액노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이 내유성재료로서 되는 막에 의해 구성되며, 또 상기 팽창부재가 탄화수소계액에 의해 팽창하는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액노즐.
KR10-2001-0049433A 2001-06-13 2001-08-17 급액노즐 KR1004018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78668 2001-06-13
JP2001178668A JP3702949B2 (ja) 2001-06-13 2001-06-13 給液ノズ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874A KR20020094874A (ko) 2002-12-18
KR100401895B1 true KR100401895B1 (ko) 2003-10-17

Family

ID=19019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433A KR100401895B1 (ko) 2001-06-13 2001-08-17 급액노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684921B2 (ko)
JP (1) JP3702949B2 (ko)
KR (1) KR100401895B1 (ko)
CN (1) CN128147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24122A1 (en) * 2009-03-09 2010-09-09 Illinois Tool Works Inc. Low pressure regulation for web moistening systems
US9186881B2 (en) * 2009-03-09 2015-11-17 Illinois Tool Works Inc. Thermally isolated liquid supply for web moistening
US20100224703A1 (en) * 2009-03-09 2010-09-09 Illinois Tool Works Inc. Pneumatic Atomization Nozzle for Web Moistening
US20100224123A1 (en) * 2009-03-09 2010-09-09 Illinois Tool Works Inc. Modular nozzle unit for web moistening
JP2012017793A (ja) * 2010-07-07 2012-01-26 Fujita Giken Kogyo Kk 流体作動式調節弁装置及びそれを使用した自動機器の制御機構
KR200463591Y1 (ko) 2010-10-13 2012-11-13 (주)케이디엔지니어링 에어벤트용 누수방지캡
US8786455B2 (en) * 2011-06-23 2014-07-22 Ford Motor Company Tool lubrication deliver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107620860B (zh) * 2017-10-31 2023-09-08 厚普清洁能源(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手持式燃料电池汽车加氢枪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3752A (en) * 1972-12-26 1974-07-16 Dover Corp Liquid dispensing nozzle of the automatic shut-off type
US4497350A (en) * 1983-06-22 1985-02-05 Dover Corporation Vapor recovery system having automatic shut-off mechanism
JPH02172549A (ja) 1988-12-23 1990-07-04 Tokyo Tatsuno Co Ltd 安全装置付き給液ノズル
US5577538A (en) * 1994-12-05 1996-11-26 Dover Corporation Liquid dispensing nozzles having improved view glass/flow indicators
US6024140A (en) * 1997-09-26 2000-02-15 Dover Corporation Dispensing nozzles for petroleum produ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90773A (zh) 2003-01-15
JP2002370800A (ja) 2002-12-24
US6684921B2 (en) 2004-02-03
JP3702949B2 (ja) 2005-10-05
CN1281478C (zh) 2006-10-25
US20020189708A1 (en) 2002-12-19
KR20020094874A (ko) 200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6363B2 (en) Filler tube assembly for a fuel vapor recirculation system
RU2006118152A (ru) Обратный клапан для подачи химического реагента, встроенный в извлекаемый скважинный клапан-отсекатель
KR100401895B1 (ko) 급액노즐
ATE534543T1 (de) Überrollventil mit unterdrucksicherheitsfunktion
SK278962B6 (sk) Spätný ventil
RU2008152123A (ru) Антисиф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мывочного клапана
JP4822675B2 (ja) 統合圧力逃し弁を備えるマニホルド
JP2022547283A (ja) インレット/アウトレットバルブをテストする方法及びテストユニット
CN101523098B (zh) 液体料箱通气系统
CA1198650A (en) Conduit-break valves for a pressure conduit or hose with a surrounding protective conduit or hose
CN1062624C (zh) 止水栓
JP3563139B2 (ja) ガス放出防止器
CN215763444U (zh) 一种具有止回功能的三通球阀
JPH08187037A (ja) 潅漑用水道栓自動供給停止装置
KR20060097030A (ko) 과류 방지 장치
CN219588205U (zh) 一种燃气管道自闭阀
JP3138402B2 (ja) 液体燃料注入装置
JP2000016097A (ja) 燃料タンクのフィラーパイプ用チェックバルブ
KR100647013B1 (ko) 안전밸브의 기밀 유지 증대 장치
RU2213284C2 (ru) За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арийного перекрытия трубопровода
KR200154029Y1 (ko) 자동차의 파워 스티어링 오일 주입건의 누유방지구조
CN114423979A (zh) 具有低压密封的空气释放阀
JPH08183355A (ja) 燃料タンク給油口シール装置
RU25500U1 (ru) Установка заправки сжиженным газом
JP2020037992A (ja) 開閉弁、及びそれを用いたパンク修理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