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1634B1 - 차량의 리어 크로스 멤버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리어 크로스 멤버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1634B1
KR100401634B1 KR10-2001-0019776A KR20010019776A KR100401634B1 KR 100401634 B1 KR100401634 B1 KR 100401634B1 KR 20010019776 A KR20010019776 A KR 20010019776A KR 100401634 B1 KR100401634 B1 KR 100401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member
rear cross
fastening
vehicle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9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9110A (ko
Inventor
이광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9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1634B1/ko
Publication of KR20020079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6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built up with interlaced cross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리어 크로스 멤버로 전달되는 외력을 감쇠시켜 실내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차량의 리어 크로스 멤버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리어 크로스 멤버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에 적어도 한 개이상 형성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 내에 장착되어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체결시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인너 파이프와; 상기 인너 파이프의 외주면에 인접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로 전달된 외부 충격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감쇠시키는 완충부와; 상기 체결부를 형성하는 리어 크로스 멤버에 장착되어 상기 완충부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리어 크로스 멤버 체결구조{REAR CROSS MEMBER FIXED STRUCTUR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리어 크로스 멤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리어 크로스 멤버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크로스 멤버는 차량의 차폭방향으로 전, 후 방향 차체에 설치되어 있는 부재로서,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프론트 크로스 멤버와 리어 크로스 멤버로 구분된다.
프론트 또는 리어 크로스 멤버는 그 상부가 차체와 결합되고 하부는 서스펜션과 결합되어 차량의 전, 후 또는 좌, 우 방향의 비틀림이나 휘어짐을 방지하는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프론트 또는 리어 크로스 멤버는 최근 들어 차량의 고속주행이 증가함에 따라 안전성에 대한 관심으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차체 및 서스펜션과 결합되는 크로스 멤버 체결구조에 관한 중요성 또한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리어 크로스 멤버(10)의 체결구조를 설명한다.
먼저, 종래의 리어 크로스 멤버(10)는 장착되는 차량의 종류 또는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그 형상이 상이하게 변경되지만, 그 기본적인 구조는 어퍼 플레이트(Upper Plate)(12)와 로워 플레이트(Lower Plate)(14)로 이루어지며, 리어 크로스 멤버(10)가 차체(30)에 결합되는 각각의 체결부(A)에는 리어 크로스 멤버(1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제2 인너 파이프(16, 24)가 설치된다.
리어 크로스 멤버(10)의 체결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 우측이 서로 상이함을 알 수 있다. 즉, 좌측은 차체(30)에 결합된 인서트 너트(32)에 리어 크로스 멤버(10)측 방향에서 차체(30)측 방향으로 볼트(18)가 체결되는 구조이고, 우측은 차체(30)에 고정 결합된 고정 볼트(20)의 나사부가 리어 크로스 멤버(10)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너트(22)가 체결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체결구조를 갖는 종래의 리어 크로스 멤버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리어 크로스 멤버와 차체간의 충격 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즉, 차체와 리어 크로스 멤버를 일반적인 볼트 및 너트에 의한 체결방법을 이용함에 따라타이어(Tire) 및 각종 암(Arm)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부 충격이 별도의 감쇠 없이 리어 크로스 멤버를 통해 차체로 전달됨에 따라 실내소음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리어 크로스 멤버와 차체간의 체결력이 약화되어 볼트 또는 너트의 풀림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리어 크로스 멤버로 전달되는 외력을 감쇠시켜 실내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차량의 리어 크로스 멤버 체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리어 크로스 멤버와 차체간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리어 크로스 멤버 체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리어 크로스 멤버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에 적어도 한 개이상 형성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 내에 장착되어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체결시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인너 파이프와; 상기 인너 파이프의 외주면에 인접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로 전달된 외부 충격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감쇠시키는 완충부와; 상기 체결부를 형성하는 리어 크로스 멤버에 장착되어 상기 완충부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리어 크로스 멤버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리어 크로스 멤버 체결상태를 도시한 도 1의 선 D-D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어 크로스 멤버 체결상태를 도시한 도 1의 선 D-D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어 크로스 멤버(40) 체결구조를 설명한다.
도 3은 리어 크로스 멤버(40)의 형상 가운데 대칭되는 한 부분만을 도시한 것이며 나머지 부분은 도 1에 도시된 부분과 동일함에 유의해야 한다. 한편, 도 3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좌측과 우측의 구성이 기본적으로 동일한 관계에 있으므로 좌측의 체결구조에 한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크로스 멤버(40)의 기본적인 구조는 어퍼 플레이트(Upper Plate)(42)와 로워 플레이트(Lower Plate)(44)로 이루어지며, 리어 크로스 멤버(40)가 차체(30)에 결합되는 각각의 체결부에는 볼트 체결시 리어 크로스 멤버(4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인너 파이프(Inner Pipe)(46)가 설치된다. 참조번호 (56)은 인서트 너트(Insert Nut)이다.
체결부(A)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리어 크로스 멤버(40)에 적어도 한 개이상 형성되며, 리어 크로스 멤버(40)의 차체(30) 결합상태를 지지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체결수단이 결합되는 부분이다.
인너 파이프(46)는 각각의 체결부(A) 내에 장착되어 체결수단의 한 쌍 가운데 한 부분인 볼트(54)가 관통되는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상기 리어 크로스멤버(40)의 체결시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참고적으로 체결수단은 도 3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30) 표면으로부터 내부로 삽입되는 인서트 너트(56)와; 인너 파이프(46)를 통해 인서트 너트(56)에 체결되며, 인서트 너트(56)에 체결되어 체결부(A)에 접하는 면에 인너 파이프(46)의 외경보다 큰 직경의 와셔(55)를 일체형으로 갖는 볼트(54)로 구성한다.
또한, 체결수단은 도 3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차체(30)에 고정 결합되어 타단이 인너 파이프(64)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고정 볼트(60)와; 고정 볼트(60)에 체결되며, 고정 볼트(60)에 체결되어 체결부(A)에 접하는 면에 인너 파이프(64)의 외경보다 큰 직경의 와셔(63)를 일체형으로 갖는 너트(62)로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완충부(48)와, 가이드 커버(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완충부(48)는 인너 파이프(46)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리어 크로스 멤버(40)로 전달되는 외부 충격이 차체(30)로 전달되는 것을 감쇠시키는 기능을 하며,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고무 재질을 사용한다. 완충부(48)의 형상은 완충부(48)에 인접되는 부품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설계변경을 통해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커버(50)는 리어 크로스 멤버(40)에 장착되어 완충부(48)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리어 크로스 멤버(40)로부터 완충부(48)를 보호하기 위한 기능을 하는 박판형의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되어 가이드커버(50)의 일단부와 차체(30) 사이에 장착되는 보조 완충부(5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보조 완충부(52)는 가이드 커버(50)와 차체(30)간의 접촉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보조 완충부(52)는 금속 또는 고무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완충부(48)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설계변경을 통해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리어 크로스 멤버(40)가 차량의 전, 후 방향으로 외부 충격을 받을 경우 리어 크로스 멤버(40)로 전달되는 외부 충격은 완충부(48)에서 1차 흡수되고, 리어 크로스 멤버(40) 상단부와 접촉되는 보조 완충부(52)에서 2차 흡수된다.
또한, 리어 크로스 멤버(40)가 차량의 횡방향으로 외부 충격을 받을 경우에도 완충부(48)와 가이드 커버(50)의 장착구조에 의해 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체결부(A)의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크로스 멤버(4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리어 크로스 멤버(40)와 차체(30)간의 충격 전달이 종래 기술에 비해 감쇠하게 된다.
즉, 차체(30)와 리어 크로스 멤버(40)간의 체결부(A)에 완충부(48)와 보조 완충부(52)를 장착하는 체결구조를 이용함에 따라 타이어(Tire) 및 각종 암(Arm)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부 충격이 감쇠되어 실내소음이 개선된다.
또한, 리어 크로스 멤버(40)와 차체(30)간의 마찰 저항에 따른 체결력 약화가 방지되어 볼트 또는 너트의 풀림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리어 크로스 멤버 체결구조는 완충부와 보조 완충부를 구성하여 리어 크로스 멤버로 전달되는 외부 충격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감쇠시켜 실내 소음을 감소시키며, 리어 크로스 멤버와 차체간의 접촉저항에 따른 체결상태 변화를 최소화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삭제
  2. 차량의 리어 크로스 멤버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에 적어도 한 개이상 형성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 내에 장착되어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체결시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인너 파이프와;
    상기 인너 파이프의 외주면에 인접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로 전달된 외부 충격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감쇠시키는 완충부와;
    상기 체결부를 형성하는 리어 크로스 멤버에 장착되어 상기 완충부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커버와;
    상기 가이드 커버의 일단부와 차체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 커버와 차체간의 접촉을 방지하는 보조 완충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크로스 멤버 체결구조.
KR10-2001-0019776A 2001-04-13 2001-04-13 차량의 리어 크로스 멤버 체결구조 KR100401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776A KR100401634B1 (ko) 2001-04-13 2001-04-13 차량의 리어 크로스 멤버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776A KR100401634B1 (ko) 2001-04-13 2001-04-13 차량의 리어 크로스 멤버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110A KR20020079110A (ko) 2002-10-19
KR100401634B1 true KR100401634B1 (ko) 2003-10-17

Family

ID=27700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776A KR100401634B1 (ko) 2001-04-13 2001-04-13 차량의 리어 크로스 멤버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16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0719A (ko) * 1997-08-30 1999-03-25 박병재 자동차의 서브프레임 장착 구조
JPH1191619A (ja) * 1997-09-17 1999-04-06 Toyota Auto Body Co Ltd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のマウント部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0719A (ko) * 1997-08-30 1999-03-25 박병재 자동차의 서브프레임 장착 구조
JPH1191619A (ja) * 1997-09-17 1999-04-06 Toyota Auto Body Co Ltd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のマウント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110A (ko) 200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1634B1 (ko) 차량의 리어 크로스 멤버 체결구조
JP5613362B2 (ja) 建設装備部品の振動低減装置
JP2881920B2 (ja) エンジン支持装置
KR200234180Y1 (ko) 자동차의차체보강구조
KR100460929B1 (ko) 차량용 변속기의 마운팅 장치
KR20020054988A (ko) 프레임바디 차량의 프레임 장착구조
KR100448784B1 (ko)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KR20040032394A (ko) 자동차의 변속기 서포터 브라켓 어셈블리
KR100412870B1 (ko) 자동차용 로어암의 지오메트리 부시
KR100201494B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용 스페이서
KR100501436B1 (ko) 엔진 마운팅을 위한 인슐레이터
KR100457018B1 (ko) 엔진 지지구조
KR100976129B1 (ko) 진동 절연을 위한 러버 부쉬 구조
KR100325202B1 (ko) 차량용 엔진 마운팅
KR20010059094A (ko) 차량의 러버 마운팅 구조
KR0115885Y1 (ko) 리어범퍼용 충격흡수재
KR20050050509A (ko) 진동 절연체를 이용한 머플러의 진동 절연구조
KR0131263Y1 (ko) 세탁기의 모터 방진장치
KR19990025169U (ko) 자동차의 셀렉트 케이블 연결장치
KR19980062037U (ko) 차량용 엔진 마운팅 구조
KR19990031038U (ko) 엔진 장착 인슐레이터
KR20020044214A (ko) 차량의 측방향 안정장치
KR19980040174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암 부시
KR19990041130A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스테빌라이저 바아 부시
KR19980048200U (ko) 자동차용 프론트 사이드멤버의 단면취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