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1279B1 - 지하 구조물 시공법 - Google Patents

지하 구조물 시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1279B1
KR100401279B1 KR10-2000-0021999A KR20000021999A KR100401279B1 KR 100401279 B1 KR100401279 B1 KR 100401279B1 KR 20000021999 A KR20000021999 A KR 20000021999A KR 100401279 B1 KR100401279 B1 KR 100401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anel
pillar
column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1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4667A (ko
Inventor
다카하루사이토
Original Assignee
엔.아이.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아이.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아이.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64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4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2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E02D27/14Pile framings, i.e. piles assembled to form the sub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0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out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e.g. with helically-arranged fixed ramps, with movable r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 시공법에 관한 것으로 각 패널의 양측 둘레와 각 기둥과의 결합부를 볼트 또는 용접수단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지하 구조물을 구축하는 것은 상기 볼트가 필요로 하므로 용접수단에 의한 연결처리를 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지하구조물 시공법은 구축하려는 지하구조물의 각 콘크리트부 및 각 콘크리트부 사이의 소정 중간위치에 콘크리트제의 기둥(50),(60)을 곧바로 매설하고 서로 이웃하는 기둥사이에 콘크리트제의 패널(80)을 그 패널의 하방의 흙을 굴삭제거함에 의하여 소정의 깊이까지 강하시켜서 지하실의 사방을 둘러싸는 지하구조물 시공법에 있어서 상기 기둥(50),(60)사이에 패널(80)을 걸치면서 패널(80)의 하부를 굴삭하고, 패널(80)을 떨어뜨리는 패널 세움ㆍ본체 굴삭공정, 벽이 토압에 의하여 내측으로 흘러나옴을 막기 위하여 보강 연결다리(95)를 각 기둥(50),(60)과 사방의 벽의 상부에 설치하는 연결다리 타설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하 구조물 시공법{METHOD OF BUILDING UNDERGROUND STRUCTURE}
본 발명은 지하 구조물 시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축하려는 지하 구조물의 각 코너부 및 각 코너부 사이의 소정 중간 위치에 곧바로 매설한 서로 이웃하는 기둥 사이에 콘크리트제 패널을 그 패널의 하부의 흙을 굴삭 제거함에 의하여 강하시켜 사방을 패널로 들러싸는 지하 구조물 시공법에 관한 것이다.
지하 구조물 시공법으로서는 구축하려는 지하 구조물의 각 코너부 및 각 코너부 사이의 소정 중간위치에 콘크리트제의 기둥을 곧바로 매설하고 서로 이웃하는 기둥사이에 콘크리트제의 패널을 이 패널의 하부의 흙을 제거하는 것에 의하여 소정의 깊이까지 강하시켜서 각 패널의 양측 모서리와 각 기둥과를 서로의 결합부로서 연결함과 동시에 상판을 콘크리트로 타설하는 지하 구조물 시공법에 있어서 각 패널의 양측 모서리와 각 기둥과의 결합부를 볼트등의 연결수단으로 결합하는 지하 구조물 시공법은 알려져 있다(일본특허 제2828954호 참조)
일본특허 제2828954호의 지하구조물 시공법에 의하면 각 패널의 양측 모서리와 기둥과의 결합부를 볼트 또는 용접수단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지하 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 연결처리를 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1은 본 발명의 지하 구조물시공법의 공정도이다.
도2는 도1의 도랑굴착 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3은 도1의 기둥세움ㆍ삭공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4는 도1의 가이드 설치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5는 도1의 기둥세움 기초고정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6은 도1의 가이드 외측틀 철거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7은 도1의 패널세움 본체 굴삭공정을 설정하는 설명도이다.
도8은 도1의 바닥판 타설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9는 도1의 연결다리 타설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10은 도1의 가이드 내측틀 철거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 시공법에 채용된 가이드의 평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 시공법에 채용된 가이드의 측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 시공법에 채용된 가이드의 부분확대 평면도이다.
도14는 도13의 A-A선 부분단면 측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 시공법에 채용된 가이드의 콘크리트부 사시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 시공법에 채용된 가이드의 중간부 사시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 시공법에 채용된 중간기둥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 시공법에 채용된 중간기둥의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 시공법에 채용된 중간기둥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0은 도19의 D-D선 단면도이다.
도21은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 시공법에 채용된 콘크리트용 기둥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22는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 시공법에 채용된 콘크리트용 기둥의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23은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 시공법에 채용된 콘크리트용 기둥의 일례를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24는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 시공법에 채용된 콘크리트용 기둥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25는 도24의 H-H선 단면도이다.
도26은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 시공법에 채용된 패널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27은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 시공법에 채용된 패널의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28은 도27의 E-E선 단면도이다.
도29는 코너용 기둥에 있어서 패널이 결합부재에 의해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30은 도29의 F-F선 종단 정면도이다.
도31은 중간기둥에 있어서 패널이 결합부재에 의해 세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32는 중간기둥에 있어서 패널이 결합부재에 의해 세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33은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 시공법에 있어 구축된 지하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34는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 시공법에 있어 구축된 지하구조물의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35는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 시공법에 있어 구축된 지하구조물의 중앙 횡단면도이다.
도36은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 시공법에 채용된 지주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 외측틀 11B: 내측틀 50: 중간기둥 60: 코너용 기둥
80: 패널 95: 연결다리 R: 가이드
청구항 1의 발명은 구축하려는 지하 구조물의 각 코너 일부 및 각 코너 일부사이의 소정 중간 위치에 콘크리트제의 기둥을 곧바로 매설하고 서로 이웃하는 기둥사이에 콘크리트제의 패널을 그 패널의 아래쪽의 흙을 굴삭 제거하는 것에 의하여 소정의 깊이까지 강하시켜서 지하실의 사방을 둘러싸는 지하 구조물 시공법에 있어서 상기 기둥을 설치하는 위치 및 상기 기둥을 매설하기 위한 가이드를 설치하기 위한 도랑의 위치를 정하고 상기 도랑을 파는 굴착공정, 상기 도랑에 기둥을 세우는 위치에 상기 기둥을 상기 패널이 강하하는 소정의 깊이보다 깊게 삭공하는 기둥세움ㆍ삭공 공정, 상기 기둥을 매설하는 안내부를 갖고 외측틀과 내측틀로 구성된 가이드를 조립하고 설치하는 가이드 설치공정, 상기 가이드에 따라 상기 도랑에 기둥을 세우고 상기 깊은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둥을 고정하는 기둥세움 기초 고정 공정, 가이드의 외측틀을 철거하는 가이드 외측틀 철거공정, 상기 기둥사이에 패널을 걸치면서 패널의 하부를 굴삭하고 패널을 떨어뜨리는 패널 세움 본체 굴삭공정, 상기 벽이 토압에 의하여 내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연결다리를 각 기둥과 사방의 벽의 상부에 설치하는 연결다리 타설공정, 연결다리의 콘크리트가 고화된 후에 가이드의 내측틀을 철거하는 가이드 내측틀 철거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구축하려는 지하 구조물의 각 코너 일부 및 각 코너 일부사이의 소정 중간 위치에 콘크리트제의 기둥을 곧바로 매설하고, 서로 이웃하는 기둥사이에 콘크리트제의 패널을 그 패널의 아래쪽의 흙을 굴삭제거하는 것에 의하여 소정의 깊이까지 강하시켜서 지하실의 사방을 둘러싸는 지하 구조물 시공법에 있어서, 상기 기둥을 설치하는 위치 및 상기 기둥을 매설하기 위한 가이드를 설치하기 위한 도랑의 위치를 정하고 상기 도랑을 파는 굴착공정, 상기 도랑에 기둥을 세우는 위치에 상기 기둥을 상기 패널이 강하하는 소정의 깊이보다 깊게 삭공하는 기둥 세움ㆍ삭공공정, 상기 기둥을 매설하는 안내부를 갖고 외측틀과 내측틀로 구성된 가이드를 조립하고 설치하는 가이드 설치공정, 상기 가이드에 따라 상기 도랑에 기둥을 세우고 상기 깊은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둥을 고정하는 기둥 세움 기초고정공정 가이드의 외측틀을 철거하는 가이드 외측틀 철거 공정, 상기 기둥 사이에 패널을 걸치면서 패널의 하부를 굴삭하고 패널을 떨어뜨리는 패널 세움ㆍ본체 굴삭공정, 떨어뜨려진 벽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하부에 밑판을 설치하는 밑판 타설공정, 상기 벽이 토압에 의해 내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연결다리를 각 기둥과 사방의 벽의 상부에 설치하는 연결다리 타설공정, 연결다리의 콘크리트가 고화된 후에 가이드의 내측틀을 철거하는 가이드 내측틀 철거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구축하려는 지하 구조물의 각 코너부 및 각 코너부 사이의 소정 중간 위치에 콘크리트제의 기둥을 곧바로 매설하고 서로 이웃하는 기둥사이에 콘크리트제의 패널을 그 패널의 아래쪽의 흙을 굴삭제거하는 것에 의하여 소정의 깊이까지 강하시켜서 지하실의 사방을 둘러싸는 지하구조물 시공법에 있어서, 상기 기둥을 설치하는 위치 및 상기 기둥을 매설하기 위한 가이드를 설치하기 위한 도랑의 위치를 정하고 상기 도랑을 파는 굴착공정, 상기 도랑에 기둥을 세우는 위치에 상기 기둥을 상기 패널이 강하하는 소정의 깊이보다 깊게 삭공하는 기둥 세움ㆍ삭공 공정, 상기 기둥을 매설하는 안내부를 갖고 외측틀과 내측틀로 구성된 가이드를 조립하고 설치하는 가이드 설치공정, 상기 가이드에 따라 상기 도랑에 기둥을 세우고 상기 깊은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둥을 고정하는 기둥 세움 기초고정공정, 가이드의 외측틀을 철거하는 가이드 외측틀 철거공정, 상기 기둥사이에 패널을 걸치면서 패널의 하부를 굴삭하고 패널을 떨어뜨리는 패널 세움ㆍ체 굴삭 공정, 패널과 기둥과의 간격부에 지수제를 충진하고 서로 인접하여 맞는 양 패널의 측단면 사이의 공간 내측에 형틀을 설치하고 이 공간내에 몰탈을 층진하는 패널 지수와 몰탈 층진공정, 상기 벽이 토압에 의하여 내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연결다리를 각 기둥과 사방의 벽의 상부에 설치하는 연결다리 타설공정, 연결다리의 콘크리트가 고화된 후에 가이드의 내측틀을 철거하는 가이드 내측틀 철거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 기재의 지하구조물 시공법이 2단 승강식 지하 기계식 주차장을 설치하기 위한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지하 구조물 시공법의 각 공정을 나타낸다.
(1) 준비공정 1.
지하 구조물의 시공법에 앞서 지하 구조물로서의 주차장이나 가옥 등의 지하실을 구축해야 할 예정지에 시공용 중기 등의 기계공간 및 시공자재 하치장 등의확보를 행한다.
또 기둥 설치 예정위치의 확인을 하고 기둥을 매설하기 위한 가이드를 설치하기 위한 도랑을 파는 굴착공정의 굴삭 라인을 확정한다.
(2) 굴착공정 2.
상기 시공지의 상기 굴삭라인에 따라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깊이 1.0m, 폭은 후술하는 가이드(R)(도11 참조)을 설치할 수 있는 폭으로 백호(hoe)(B)를 사용하여 도랑(N)을 판다.
도랑(N)등은 지하 구조물을 구축하려는 예정지에 가이드(R)을 설치하기 위하여 지하 구조물을 구축하려는 예정지에 형성한 도랑을 말한다.
(3) 기둥 세움ㆍ삭공 공정 3.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랑(N)에 기둥을 세울 삭공 위치를 정확히 측량하여 이 삭공 위치에 오거삭공기(G)에 의하여 기둥을 세울 구멍(13)을 삭공한다.
이 구멍(13)의 크기는 기둥의 외형보다 1바퀴 크고, 깊이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패널(80)(도 27 참조)을 지하 구조물의 아래위치(도 7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남)에 의하여 세운 패널(80)의 세움 방향의 길이만큼 깊게 판다.
이 기둥 세움ㆍ삭공 공정 3에서 삭공시에 구멍벽이 붕괴하는 것 같은 토지에 삭공하는 경우는 삭공의 벽이 붕괴되지 않도록 케이싱을 사용하여 삭공한다.
(4) 가이드 설치공정 4.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R)을 설치함에 앞서 가이드(R)을 설치하는 부분의 기초면을 가이드(R)을 설치함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반듯이 정리하고 그 후 가이드(R)를 소정의 위치에 정확히 설치한다.
가이드(R)은 도 11내지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하 구조물을 구축하려는 토지의 크기보다 1바퀴 크게 4개의 H강(11a),(12a),(13a),(14a)를 서로 조합한 외측틀(11A)와 그 외측틀(11A)로부터 후술하는 중간기둥(50), 코너용 기둥(60)(도 19, 24참조)의 두께만큼 내측으로 떨어진 4개의 H강(11b),(12b),(13b),(14b)를 서로 조합한 내측틀(11B)로서 구성되어 있는 상부사이드(11G)와, 이 상부가이드(11G)와 같은 모양으로 강철재(11ag), (12ag), (13ag), (14ag), (11bg), (12bg), (13bg), (14bg)(12ag, 13ag, 11bg, 12bg, 13bg는 도시되지 않음)을 서로 조합한 하부 가이드 (11g)와를 양 가이드 사이를 일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단면 コ 형의 강철재(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으로 단단하게 상하 2중 구조의 것으로 되어 있다.
이 가이드 R에 있어서 연결 상태를 사방의 코너중 도 13, 15에 나타낸 코너부의 연결상태를 대표로 하여 설명하고 다른 코너부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 15에 있어서, 상부 가이드 (11G)의 코너부에 있어서는 외측틀 H강 (11a), (14a)와 단면 コ자형 철강재(21),(40)등은 각각 볼트(41a),(42a)와 너트(41b),(42b) 등으로 또 내측틀의 H강 (11b),(14b)와 단면 コ자 모양의 철강재(21),(40)등은 각각 다른 볼트(43a),(44a)와 너트(43b),(44b)로서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부 가이드 (11G)와 하부 가이드 (11g)와는 동일하게 조합되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 상태와 동일하게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가이드(R)에 있어 각 코너부 사이의 소정 중간부의 상부 가이드(11g)의 연결 상태를 도 11의 C부분의 중간부의 연결상태를 대표로 하여 도 13, 16에 의하여 설명하고 다른 중간부의 연결상태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 16에 있어서 외측틀 H강(11a)와 단면이 コ형인 철강재 (22),(23)과를 각각 볼트 (45a), (46a)와 너트 (45b), (46b)로서, 또 내측틀 H강 (11b)와 단면 コ형인 철강재 (22), (23)과를 각각 다른 볼트 (47a), (48a)와 너트 (47b), (48b)로서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부 가이드 (11G)와 하부 가이드 (11g)와는 동일하게 조합되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상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외측틀 (11A)와 내측틀 (11B)와를 연결하여 조합시키면 가이드 (R)의 사방의 코너부 (RA),(RB),(RC),(RD)에는 후술하는 코너용 기둥 (60)을 세워 넣는 안내구멍 (RW)(도13,15참조)가 및 각 코너부의 소정 중간 위치에 상당하는 부위 (RE), (RF), (RG), (RH), (RI), (RJ)에는 후술하는 중간용 기둥 (50)을 세워 넣는 안내구멍 (RY)(도13, 16참조)가 각각 설치되는 것이다.
도 15, 16에 있어서 볼트와 너트를 가상선으로 표시한다.
도 13,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이드 (R)의 코너부 (11A)의 안내구멍 (RW)의 내부에는 코너용 기둥 (60)과의 간격을 메우고 안내하기 위한 단면 L자형 철강 (RK), (RL), (RM), (RN)가 설치되어 있다.
단면 L자형 철강 (RK), (RL), (RM), (RN)은 가이드 (R)에 용접 부착되어 있다.
또 중간부 (C)의 안내구멍 (RY)의 내부에는 중간기둥 (50)과의 간격을 매몰하여 안내하기 위한 이 단면 コ자형 철강재 (RQ)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단면 コ자형 철강재 (RQ)는 가이드 (R)에 볼트로서 고정되어 있다.
(5) 기둥 세움ㆍ기초고정 공정 5.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의 안내 구멍 (RW) 및 안내구멍 (RY)(도 13 참조)에 부착하고 삭공 구멍 (13)내에 렉카차 (K)의 크레인에 의하여 코너용 기둥 (60)(도 14 참조) 및 중간기둥 (50)을 각각 세워 넣고 각 기둥의 간격을 정확히 측량하여 삭공구멍 (13)내에서 도 5의 파선으로 표시한 위치보다 구멍의 안쪽으로 콘크리트를 흘려 넣고 중간 기둥 (50), 코너용 기둥 (60)을 삭공구멍 (13)내에 고정한다.
이 흘려 넣은 콘크리트는 골재가 분리되지 않도록 슈트호스로 타설한다
가이드 (R)은 코너용 기둥 (60) 및 중간 기둥 (50)을 각각 세울때에 그 세움 위치를 바꾸는 정밀도를 정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중간 기둥 (50)은 도 17내지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이 거의 장방형 기둥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내측 중앙부에는 기둥의 길이 방향으로 판형상으로 돌출되고 그 윗부분은 평면을 한 결합부재 취부면 (51)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기둥 (50)은 내부에 긴 사각형상과, 산형 형상과를 조합하여서 짜여진 철근 (58)이 골재로서 배치된 콘크리트재의 기둥으로 있고, 윗부분에는 크레인 걸이용의 아이볼트 (IB)를 착탈이 자유롭게 나사결합할 수 있다.
하부는 양다리상을 한 인서트부재 (IS)가 복수개 매입되어 있으며, 인서트 부재 (IS)에는 아이볼트 (IB)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결합부재 취부면 (51)에는 양측에 계합부 (54a)가 형성된 가로가 긴 사변형을 한 판형상의 결합부재 (54)가 복수매 볼트 (56)으로 고정되어 있다.
볼트 (56)은 기둥의 내부에 매입되어 있는 인서트부재 (IS)에 착탈이 자유롭게 나사 결합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하 볼트가 기둥 내부에 매입된 인서트 부재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볼트인 경우에는 간단히 인서트부재 부착 볼트라고 부른다.
결합부재 취부면 (51)의 양측면에는 기둥의 길이 방향으로 실링재를 충진하는 홈 (M)가 설치되어 있다.
코너용 기둥 (60)은 도 21내지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방형 기둥의 서로 이웃에 붙어 있는 コ면부를 기둥의 종방향으로 절제한 단면 L자형의 기둥을 한 형상을 하였으며 그 직각으로 교차하는 2개의 면에 단부를 낸 결합 부재 취부면 (62), (62)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재 취부면 (62)에는 단면 X자형 기둥형상을 한 결합부재 (70)이 기둥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X자형상의 양 다리부 (71), (72)를 인서트부재 결합 볼트 (65)로 고정하고 있다.
결합부재 (70)은 그 X자형상의 양다리부 (71), (72)와 결합부 (73), (74)와의 중앙부에서 용접되어 있다.
코너용 기둥 (60)은 내부에 L자상으로 짜여진 철근 (67)에, 기재로서 배치된 콘크리트제의 기둥으로 있고 꼭대기에는 크레인 걸이용의 앵커볼트 (IB)를 착탈이 자유롭게 매입될 수 있는 하부가 그 갈래상의 인서트 부재 (IS)가 복수개 매입되어 있고 인서트부재 (IS)에는 앵커볼트 (IB)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6) 가이드 외측틀 철거공정 6.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초고정 공정에서 흘러 들어온 콘크리트가 고화되어 기둥 (50)이 삭공 구멍의 가운데에서 고정되는 중에 각 기둥사이에 패널 (80)(도 7 참조)을 세움에 장애가 되는 가이드의 외측틀 (11A)와 단면 コ자형의 철강재(21∼40) 등을 볼트 (43a), (44a), (47a), (48a)를 떼어냄에 의하여 (도11 참조) 도랑 (N)으로부터 철거한다.
가이드 내측틀 (11B)는 지지대로 사용하기 위하여 조립된 위치에 놓아둔다.
(7) 패널 세움ㆍ본체 굴삭 공정 7.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랙카차 (K)의 크레인에 의하여 후술하는 패널 (80)을 걸어 각 기둥의 결합부재 (54), (70)에 패널의 결합부재 (81), (82)를 결합시켜(도 29, 31 참조) 패널을 세운다.
세워진 패널로 둘러싸인 본체부는 백호(hoe) (B)에 의하여 굴삭을 행하고, 패널 (80)의 하부는 인력에 의해 패널 (80)을 걸어 넣으면서 굴삭을 행하여 떨어뜨리는 것이다.
중간기둥 (50)과 코너용 기둥 (60)과의 사이에 설치된 패널 (80)은 도 26 내지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기둥 (50)측의 측단면 (80a)에는 단면 L자형의 결합부재 (81)이 인서트부재 결합 볼트 (85)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결합부재 (81)의 자유스러운 단부 (81a)은 패널 (80)의 외측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자유스러운 단부 (81a)는 중간 기둥 (50)의 결합부재 (54)와 중간기둥 (50)의 내측표면 (53)과의 사이에 끼워지는 길이를 갖고 있다.(도 31 참조)
코너용 기둥 (60)측의 측단면 (80b)에도 단면 L자형의 결합부재 (82)가 인서트부재 결합 볼트 (85)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이 단면 L자형의 결합부재 (82)는 그 자유단부 (82a)는 패널 (80)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자유단부 (82a)는 코너용 기둥의 결합부재 (70)의 결합부 (71), (72)와 코너용 기둥 (60)의 표면 (63)과의 사이에 끼워지는 길이를 갖고 있다.(도 29 참조)
패널 (80)의 상부에는 크레인 걸이용 앵커볼트 (IB)를 착탈이 자유롭게 매입할 수 있다.
하부가 두다리상을 한 인서트부재 (IS)가 복수개 매입되어 있으며 인서트부재 (IS)에는 인서트 (IB)가 나사결합 되어 있다.
패널 (80)은 내부에 격자눈 모양의 철근 (86)을 골재로 하여 배치한 콘크리트제의 판부재이다.
이 패널 (80)은 중간기둥 (50)과 콘크리트용 기둥 (60)과의 사이에 설치된 패널 (80)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 패널 (80) 외에는 각 중간기둥 (50), (50)사이에 패널을 설치한 경우가 있으나 그 패널은 상기 패널 (80)의 양 결합부재가 어느 것이나 외측으로 향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만이 다르기 때문에 상기 패널의 설명을 원용하며 그 구성의 설명을 생략한다.
코너용 기둥 (60)에 있어서는 도 29,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부재 (70)의 결합부 (73), (74)와 기둥의 표면 (63), (63)과의 사이에 패널 (80)의 측단부 (80b)를 결합부재 (82)와 결합부재 (72), (73)등이 미끄럼 운동하도록 패널을 세워 넣는다.
중간기둥 (50)에 있어서는 도 31, 32에 나타낸바와 같이 결합부재 (84)의 결합부 (84a)와 기둥의 표면 (53)의 사이에 패널 (80)의 측단부 (80a)를 결합부재 (84a)와 결합부재 (82a)등이 미끄럼 운동하도록 패널 (80)을 세워 넣는다.
서로 이웃하는 코너기둥 (60)과 중간기둥 (50)과의 사이 및 서로 이웃하는 중간기둥 사이에 패널 (80)을 떨어뜨리고 도 33내지 3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사방을 패널을 둘러싼 지하구조물을 구축한다.
이 지하구조물로서는 3연의 2단 승강식 지하 주차장이 되는 것이다.
(8) 바닥판 타설공정 8.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의 아래 기초면을 바르게 하고 기초재 (KS)를 균일하게 부어 란마, 단바로 견고하게 하며 세워넣은 패널 (80)에 취부한 인서트 부재에 앵커 철근을 취부하고 바닥판부의 철근 배치를 행한다.
이 바닥판부의 철근 배치부분에 바닥판 콘크리트를 슈트 (S)를 사용하여 타설을 행하고 바닥판 (W)(도 9 참조)를 타설한 표면을 금속제 미장이 손으로 마감처리한다.
(9) 패널 지수ㆍ몰탈 충진공정 9.
세워진 각 패널 (80)과 각기둥 (60), (50)과의 간격부 특히 고랑 (M)에 발포 고무제등의 지수제를 층진하여 지수한다.
서로 이웃하여 결합된 패널의 측단면 (80a), (80b) 사이의 공간에 합판 등의 형틀 (90)을 설치하여 이 공간내에 몰탈을 층진한다(도29, 31 참조)
(10) 연결다리 타설공정 10.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기둥과 사방의 벽의 상부에 연결다리부의 기초재를 균일하게 만들고 각 기둥 및 각 패널의 상부의 연결용 아이 볼트를 철근 아이볼트로 대체하여 철근을 배치하고, 연결다리용 형틀을 연결다리의 설치부위에 설치하고, 그 내부에 철근을 배치하고 형틀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연결다리 (95)를 설치한다(도10 참조)
지하 구조물이 3연 이상의 2단 승강식 지하 주차장인 경우에는 기둥이 토압으로 내측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중간 기둥의 상부 사이를 단단하게 지주 (96)를 설치한다(도33 참조)
지주 (96)는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사각으로 짜여진 철근 (96a)를 골재로 한 콘크리트재의 부재이다.
연결다리 (95)는 도 33내지 35에 있어서, 세워진 각 패널 (80) 및 각 기둥 (50), (60)의 상부를 4각 링모양으로 일정의 폭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하고 벽이 토압에 의하여 흘러나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부호 AN은 앵커볼트를 나타낸다.
(11) 가이드 내측틀 철거공정 11.
도 10에 있어서, 연결다리 (95)의 콘크리트가 고화된 후에 가이드 내측틀 (11B)를 각 패널 (80) 및 각 기둥 (50), (60)으로부터 철거하고 3연의 2단 승강식 지하 기계식 주차장 등 지하구조물이 완성되고 지하 구조물 시공법은 완료된다.
도 6, 7 및 9에 있어서, 부호 Z은 가설부재를 나타낸다.
3연의 2단 승강식 지하 기계식 주차장은 도 33 내지 35에 나타낸바와 같이 각 코너용 기둥과 각 중간 기둥과 각 패널 등에 의하여 벽이 구성되고 그 바닥에는 바닥판 (W)를 타설하고 벽의 상부에는 연결다리 (95)가 설치되어 있다.
도 33, 35에 있어서, 부호 100은 배수로를 나타낸다.
이상 실시예는 지하 구조물로서 3연의 2단 승강식 지하 기계식 주차장을 설치하기 위한 시공례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3연의 2단 승강식 지하 기계식 주차장이 아니고 2연으로부터 14연의 2단 승강식 지하기계식 주차장을 설치하는 시공례에도 적용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축하려는 지하 구조물의 각 코너부 및 각 코너부 사이의 소정 중간 위치에 콘크리트제의 기둥을 곧바로 매설하고 서로 이웃하는 기둥 사이에 콘크리트제의 패널을 그 패널의 하방의 흙을 굴삭 제거하는 것에 의하여 소정의 깊이까지 강하시켜서 지하실의 사방을 둘러싸는 지하 구조물 시공법에 있어서, 떨어뜨려진 벽의 상부 사방에 형틀의 보강 연결다리를 설치하기 때문에 각 패널과 각 기둥과를 볼트 등의 연결 수단으로 결합하지 않고 토압에 의하여 벽이 내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구축하려는 지하 구조물의 각 코너 일부 및 각 코너 일부사이의 소정 중간위치에 콘크리트제의 기둥을 곧바로 매설하고 서로 이웃하는 기둥사이에 콘크리트제의 패널을 그 패널의 아래쪽의 흙을 굴삭 제거하는 것에 의하여 소정의 깊이까지 강하시켜서 지하실의 사방을 둘러싸는 지하구조물 시공법에 있어서,
    상기 기둥을 설치하는 위치 및 상기 기둥을 매설하기 위한 가이드를 설치하기 위한 도랑의 위치를 정하고, 상기 도랑을 파는 굴착공정, 상기 도랑에 기둥을 세우는 위치에 상기 기둥을 상기 패널이 강하하는 소정의 깊이보다 깊게 삭공하는 기둥세움ㆍ삭공 공정,
    상기 기둥을 매설하는 안내부를 갖고 외측틀과 내측틀로 구성된 가이드를 조립하고 설치하는 가이드 설치공정,
    상기 가이드에 따라 상기 도랑에 기둥을 세우고 상기 깊은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둥을 고정하는 기둥세움ㆍ기초 고정 공정,
    가이드의 외측틀을 철거하는 가이드 외측틀 철거공정,
    상기 기둥사이에 패널을 걸치면서 패널의 하부를 굴삭하고, 패널을 떨어뜨리는 패널 세움ㆍ본체 굴삭공정,
    상기 벽이 토압에 의하여 내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연결다리를 각 기둥과 사방의 벽의 상부에 설치하는 연결다리 타설공정,
    연결다리의 콘크리트가 고화된 후에 가이드의 내측틀을 철거하는 가이드 내측틀 철거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 시공법.
  2. 구축하려는 지하 구조물의 각 코너 일부 및 각 코너 일부사이의 소정 중간 위치에 콘크리트제의 기둥을 곧바로 매설하고, 서로 이웃하는 기둥사이에 콘크리트제의 패널을 그 패널의 아래쪽의 흙을 굴삭제거하는 것에 의하여, 소정의 깊이까지 강하시켜서 지하실의 사방을 둘러싸는 지하 구조물 시공법에 있어서,
    상기 기둥을 설치하는 위치 및 상기 기둥을 매설하기 위한 가이드를 설치하기 위한 도랑의 위치를 정하고 상기 도랑을 파는 굴착공정,
    상기 도랑에 기둥을 세우는 위치에 상기 기둥을 상기 패널이 강하하는 소정의 깊이보다 깊게 삭공하는 기둥 세움ㆍ삭공공정,
    상기 기둥을 매설하는 안내부를 갖고 외측틀과 내측틀로 구성된 가이드를 조립하고 설치하는 가이드 설치공정,
    상기 가이드에 따라 상기 도랑에 기둥을 세우고 상기 깊은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둥을 고정하는 기둥 세움ㆍ기초고정공정,
    가이드의 외측틀을 철거하는 가이드 외측틀 철거 공정,
    상기 기둥사이에 패널을 걸치면서 패널의 하부를 굴삭하고 패널을 떨어뜨리는 패널 세움ㆍ본체 굴삭공정,
    떨어뜨려진 벽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하부에 밑판을 설치하는 밑판 타설공정,
    상기 벽이 토압에 의해 내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연결다리를 각 기둥과 사방의 벽의 상부에 설치하는 연결다리 타설공정,
    연결다리의 콘크리트가 고화된 후에 가이드의 내측틀을 철거하는 가이드 내측틀 철거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 시공법.
  3. 구축하려는 지하 구조물의 각 코너부 및 각 코너부 사이의 소정 중간 위치에 콘크리트제의 기둥을 곧바로 매설하고 서로 이웃하는 기둥 사이에 콘크리트제의 패널을 그 패널의 아래쪽 흙을 굴삭제거하는 것에 의하여 소정의 깊이까지 강하시켜서 지하실의 사방을 둘러싸는 지하구조물 시공법에 있어서,
    상기 기둥을 설치하는 위치 및 상기 기둥을 매설하기 위한 가이드를 설치하기 위한 도랑의 위치를 정하고 상기 도랑을 파는 굴착공정,
    상기 도랑에 기둥을 세우는 위치에 상기 기둥을 상기 패널이 강하하는 소정의 깊이보다 깊게 삭공하는 기둥 세움ㆍ삭공 공정,
    상기 기둥을 매설하는 안내부를 갖고 외측틀과 내측틀로 구성된 가이드를 조립하고 설치하는 가이드 설치공정,
    상기 가이드에 따라 상기 도랑에 기둥을 세우고 상기 깊은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둥을 고정하는 기둥 세움ㆍ기초고정공정,
    가이드의 외측틀을 철거하는 가이드 외측틀 철거공정.
    상기 기둥사이에 패널을 걸치면서 패널의 하부를 굴삭하고 패널을 떨어뜨리는 패널 세움ㆍ본체 굴삭 공정,
    패널과 기둥과의 간격부에 지수제를 충진하고 서로 인접하여 맞는 양 패널의 측단면 사이의 공간 내측에 형틀을 설치하고 이 공간내에 몰탈을 층진하는 패널 지수와 몰탈 층진공정,
    상기 벽이 토압에 의하여 내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연결다리를 각 기둥과 사방의 벽의 상부에 설치하는 연결다리 타설공정,
    연결다리의 콘크리트가 고화된 후에 가이드의 내측틀을 철거하는 가이드 내측틀 철거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 시공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도장을 파는 굴착공정과, 기둥세움, 삭공공정과, 가이드설치공정과, 기둥세움ㆍ기초고정공정과, 가이드 외측틀 철거공정과, 패널세움ㆍ본체 굴삭공정과, 연결다리타설공정과, 가이드 내측 철거공정을 포함하는 지하구조물 시공법이 각 코너용 기둥과, 각 중간기둥과, 각 패널등에 의하여 벽이 구성되고 그 바닥면에는 바닥재(W)를 타설하고, 벽의 상부에는 연결다리(95)가 설치된 2단 승강식 지하기계식 주차장을 설치하기 위한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 시공법.
KR10-2000-0021999A 2000-02-28 2000-04-25 지하 구조물 시공법 KR1004012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50822 2000-02-28
JP2000050822A JP3556559B2 (ja) 2000-02-28 2000-02-28 地下構造物施工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667A KR20010064667A (ko) 2001-07-11
KR100401279B1 true KR100401279B1 (ko) 2003-10-11

Family

ID=18572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1999A KR100401279B1 (ko) 2000-02-28 2000-04-25 지하 구조물 시공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332303B1 (ko)
JP (1) JP3556559B2 (ko)
KR (1) KR100401279B1 (ko)
TW (1) TW47357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880B1 (ko) 2009-03-09 2010-06-16 정광옥 강재 케이싱 토류벽을 이용한 지하광장 굴착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0230800A1 (en) * 1999-01-13 2000-08-01 Won Kee Hong Composite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structure
US6672015B2 (en) * 1999-02-25 2004-01-06 Menard Soltraitement Concrete pile made of such a concrete and method for drilling a hole adapted for receiving the improved concrete pile in a weak ground
US20030167727A1 (en) * 2002-03-07 2003-09-11 Ta-Hsiung Peng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6923599B2 (en) * 2002-06-24 2005-08-02 Kenneth J. Kelso In-ground lifting system and method
AU2002351613A1 (en) * 2002-12-18 2004-07-09 Charles M. Gryba Multi-level undercut excavation method using superimposed posts
US20040123553A1 (en) * 2002-12-18 2004-07-01 Vertical Solutions, Inc. Method of reinforcing a tower
US8234827B1 (en) * 2005-09-01 2012-08-07 Schroeder Sr Robert Express framing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US8974150B2 (en) * 2009-08-18 2015-03-10 Crux Subsurface, Inc. Micropile foundation matrix
US8484929B1 (en) * 2009-08-20 2013-07-16 Hamza Begdouri Construction of modular underground storage facilities
EP2541059A2 (en) * 2011-06-28 2013-01-02 Gamesa Innovation & Technology, S.L. Footing for wind turbine towers
US8511003B2 (en) * 2011-11-01 2013-08-20 Jesse B. Trebil Wall anchoring device and method of installation requiring no soil excavation
CN104481147B (zh) * 2014-10-30 2016-06-22 中交四航局第三工程有限公司 一种离岸钢筋混凝土框架结构快速施工方法
CN104929152A (zh) * 2015-04-03 2015-09-23 刘卡丁 地下工程逆筑叠合结构的建造方法
US9828739B2 (en) 2015-11-04 2017-11-28 Crux Subsurface, Inc. In-line battered composite foundations
US10138616B2 (en) * 2016-08-12 2018-11-27 Wuhan Zhihe Geotechnical Engineering Co., Ltd. Inverse construction method for deep, large and long pit assembling structure of suspension-type envelope enclosure
JP6999483B2 (ja) * 2018-04-19 2022-01-18 鹿島建設株式会社 ガイドウォールおよびガイドウォールの構築方法
CN109750880B (zh) * 2018-12-03 2020-11-03 内蒙古科技大学 一种梳齿型地下智能立体停车库及其存取车方法
CN111287455B (zh) * 2020-02-17 2021-06-22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人防楼梯口盖板施工方法
CN112900686B (zh) * 2021-01-25 2022-04-19 江苏万年达建设集团有限公司 装配式环筋扣合混凝土剪力墙体系结构及其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8954B2 (ja) * 1996-06-19 1998-11-25 エヌ・アイ・シー・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地下構造物施工法
JPH10282954A (ja) 1997-04-09 1998-10-23 Casio Comput Co Ltd 鍵盤駆動装置
CA2202851C (en) * 1997-04-16 2004-01-20 98492 Ontario Inc. Undercut excavation with protection against seismic events or excessive ground move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880B1 (ko) 2009-03-09 2010-06-16 정광옥 강재 케이싱 토류벽을 이용한 지하광장 굴착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32303B1 (en) 2001-12-25
JP2001241053A (ja) 2001-09-04
JP3556559B2 (ja) 2004-08-18
KR20010064667A (ko) 2001-07-11
TW473577B (en) 2002-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1279B1 (ko) 지하 구조물 시공법
KR101274974B1 (ko) 흙막이 겸용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34726B1 (ko)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테두리보가 생략된 슬래브 및 지하옹벽 시공방법
KR101687495B1 (ko) 지하 구조물 구축을 위한 부분 탑다운 공법
KR100794609B1 (ko) 충전강관 루프와 콘크리트 벽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축조방법
KR100531385B1 (ko) 매립형 철골띠장과 슬래브 강막작용을 이용하여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지하 구조물 시공방법
JP4881555B2 (ja)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KR20070076553A (ko) 충전강관 루프와 콘크리트 벽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축조방법
KR20070052109A (ko) 슬림형 합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슬라브와 외벽의 동시 타설 및 지하 역타설 동시구축방법
KR100673475B1 (ko) 지하층 골조부의 골조용 피씨거더부재, 이를 이용한 지하층골조부의 조립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20007521A (ko) 건물의 영구 구조부재를 흙막이용 버팀대로 사용하는지하구조물 구축방법
JP2014231736A (ja)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地下構造物
JP4083334B2 (ja) アーチ屋根を有する地下構造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275468B1 (ko) 비개착식 터널형성용 구조물 조립체 및 이의 축조방법
KR102021496B1 (ko) 하향식 계단형 흙막이 시공방법 및 이를 통해 시공된 흙막이 구조체
KR101219451B1 (ko) 콘크리트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흙막이벽체 겸용 지중구조벽의 시공방법
KR20110034831A (ko) 강관과 유공관을 이용한 비개착 굴착공법
KR101524302B1 (ko) 무가시설의 지중 구조물 시공방법
KR101516746B1 (ko) 거더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가시설의 지중 구조물 시공방법
JP4267175B2 (ja)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CN111779487B (zh) 自动步道的端头井施工方法
KR102571246B1 (ko) Pc 흙막이 파일을 이용한 지하 영구 벽체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415867B1 (ko) 건축물의 지하구조물 역공사 pc공법
JP2001164559A (ja) L型プレキャスト部材を用いた連続地中壁ガイドウオールの施工方法
KR101516745B1 (ko) 기둥부재 및 이를 이용한 무가시설의 지중 구조물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