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0160B1 - 단열 코너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단열 코너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0160B1
KR100400160B1 KR10-2001-0006413A KR20010006413A KR100400160B1 KR 100400160 B1 KR100400160 B1 KR 100400160B1 KR 20010006413 A KR20010006413 A KR 20010006413A KR 100400160 B1 KR100400160 B1 KR 100400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corner
wall
panel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6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8801A (ko
Inventor
오쓰지레이키치
Original Assignee
닛테쓰 고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테쓰 고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테쓰 고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8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8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1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7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 E04F13/073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for cor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건조물의 코너부룰 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건조물 내부를 외부로부터 단열하는 기능이 우수한 단열 코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외부 금속 플레이트와 내부 금속 플레이트 사이에 단열 재료를 충전하여 제작한 평탄한 단열 적층재를 L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제조하는 단열 코너 패널이며, L자 형상을 가지는 금속 외벽과, 금속 외벽 코너부의 내측 표면 상에 형성되는 제1 단열층과, 제1 단열층의 외측에서 금속 외벽의 내측 표면 상에 형성되는 제2 단열층과, 제2 단열층의 표면에 접합되는 금속 내벽과, 양단이 금속 내벽에 접속되어 제1 단열층을 지지하는 L자 형상의 보강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단열 코너 패널 및 그 제조 방법{HEAT-INSULATING CORNER PANE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조물의 코너부를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며, 건조물 내부를 외부로부터 단열하는 기능을 가지는 단열 코너 패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외벽 및 내벽을 구성하는 금속 평판 사이에 단열재를 충전하여 제작하는 단열 패널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종류의 단열 패널을 사용하여 건조물의 코너부를 시공하는데는 단열 기능이 거의 없는 커플링(coupling)을 사용하여 시공한다든지, 또는 단열재를 얇게 라이닝(lining)한 평탄한 패널을 절곡(切曲)하여 제작한 절곡 패널을 사용하여 시공해 왔다.
그러나 코너 커플링이나 상기와 같은 절곡 패널을 사용하여 단열 패널을 접속하는 경우는 건조물 내부를 외부로부터 단열하는 기능, 즉 단열성이 충분하지 못하며, 또한 단열 패널 사이의 연결 강도나 외부와 건조물 내부 사이의 수밀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건조물의 코너부 시공이 용이하며, 코너부의 단열 성능이 우수한 단열 코너 패널 및 그 제조 방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단열 코너 패널(panel)의 사시도이며, 도 1B는 단열 코너 패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인접하는 단열 코너 패널의 연결부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3은 인접하는 단열 코너 패널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A ~ 4F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코너 패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단열 코너 패널 상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단열 코너 패널 하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7A ~ 7C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코너 패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8A는 단열 코너 패널의 코너 상단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 8B는 도 8A의 코너 상단부를 얻기 위한 금속 플레이트의 절제(切除) 영역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9A ~ 9C는 단열 코너 패널의 코너 상단부 및 하단부에 내측으로부터 부착된 보강재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A 및 10B는 단열 코너 패널의 코너부에 설치된 패킹 시트부 및 그것에 의해 지지된 패킹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 10C는 패킹 시트부 상에 배치된 패킹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횡방향으로 인접한 단열 코너 패널과 플랫 단열 패널의 연결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단열 코너 패널은 L자 형상을 가지는 금속 외벽과, 금속 외벽의 코너부를 내측 표면 상에 형성하는 제1 단열층과, 제1 단열층의 양측에서 금속 외벽의 내측 표면 상에 형성되는 제2 단열층과, 제2 단열층의 표면에 접합되는 금속 내벽과, 금속 내벽에 접속되어 제1 단열층을 지지하는 보강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단열 코너 패널에 의하면, 건조물의 코너부에 있어서 평탄부와는 달리 개별적으로 단열재의 재료를 선택할 수 있어, 코너부 단열 성능의 또다른 개선을 달성하는데 지금까지 보다도 단열 코너 패널의 설계 자유도를 크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따른 단열 코너 패널은, 청구항 1의 구성에 있어서, 제1 단열층은 다른 단열 재료로 형성된 2층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따른 단열 코너 패널은, 청구항 2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2층 구조가 금속 외벽의 내측 코너부 상에 직접 형성되는 우레탄(urethane) 발포체의 내층과, 내층 상에 형성되는 락울(rock wool; 岩綿)의 외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코너 패널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의한 단열 코너 패널은, 청구항 1의 구성에 있어서,복수의 단열 코너 패널을 높이 방향으로 겹쳐 쌓아 접합할 수 있기 때문에, 단열 코너 패널이 그 상단 및 하단에 끼워 맞춤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인접하는 단열 코너 패널의 연결에 사용되는 연결 수단의 수를 줄일 수 있어, 건조물 코너부의 시공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따른 단열 코너 패널은 청구항 4의 구성에 있어서, 단열 코너 패널이 금속 외벽의 상단 및 하단의 일방에 끼워 맞춤 수단에 인접하여 돌출하는 덮개편(覆片)을 가지며, 금속 외벽 코너부의 덮개편에는 내측으로부터 보강편이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높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단열 코너 패널들을 서로 연결할 때, 끼위 맞춤 수단이 덮개편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단됨으로써 단열 코너 패널의 미관을 손상하지 않고, 연결부의 수밀성을 개선할 수가 있다. 또한, 금속 외벽 코너부의 덮개편에 내측으로부터 보강편이 부설되어 있어, 코너부 덮개편의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따른 단열 코너 패널은, 인접하는 단열 코너 패널의 연결부에 수밀성을 제공하는 패킹을 지지하기 위한 패킹 지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특징을 구비하는 단열 코너 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따른 단열 코너 패널의 제조 방법은,
외벽 금속 플레이트와 내벽 금속 플레이트 사이에 단열 재료를 충전하여 평탄한 단열 적층체를 제작하는 공정과,
내벽 금속 플레이트의 일부를 제거하여 개구(開口)를 만듬과 동시에, 이 개구에 의해 노출된 단열 재료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단열 적층체의 내벽 금속 플레이트 표면에 홈을 만드는 공정과,
단열 적층체를 L자 형상으로 절곡하고, 그 내측 표면의 코너부를 따라 홈이 연장되는 L자 형상의 단열 패널체를 제작하는 공정과,
홈 내에 단열 재료를 충전하여 홈을 메우는 공정과,
홈에 충전한 단열 재료를 지지하기 위한 보강재를 단열 패널체의 코너부에 내측으로부터 장착하는 공정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금속 내벽과 단열재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한 홈이 절곡 가공시에 단열 적층체의 코너부 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절곡 가공에 의한 단열 적층체의 손상이 코너부에서 발생하지않아 안정된 품질과 우수한 단열 성능을 가지는 단열 코너 패널을 양산할 수 있다. 또한, 건조물의 코너부를 평탄부와는 다른 단열 구조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건조물의 형상이나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는 단열 코너 패널을 제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따른 단열 코너 패널의 제조 방법은, 청구항 7의 구성에 있어서, 복수의 단열 코너 패널을 높이 방향으로 겹쳐 쌓아 접합할 수 있가 때문에, 단열 적층체의 외벽 금속 플레이트의 상단 및 하단에 끼워 맞춤 수단을 설치하는 공정과, 외벽 금속 플레이트의 상단 및 하단의 일방에 끼위 맞춤 수단에 인접하여 돌출하는 덮개편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절곡 가공에 의해 단열 패널체를 제작하기에 앞서 덮개편의 일부를 절제하는 공정과, 절곡 가공 후에 외벽 금속 플레이트의 코너부 덮개편을 내측으로부터 보강편으로 보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단열 코너 패널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절곡 가공에 의해 단열 패널체를 제작하기에 앞서 덮개편의 일부가 절제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편을 외벽 금속 플레이트의 단부(端部)에 설치한 경우에도 단열 적층체의 L자 형상 절곡 가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L자 형상 단열 패널체에서 외벽 금속 플레이트의 코너부 덮개편이 내측으로부터 보강편으로 보강되기 때문에, 상기 외벽 금속 플레이트 덮개편의 일부 제거로 인해 염려되는 덮개편의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따른 단열 코너 패널의 제조 방법은 청구항 8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홈 내의 외벽 금속 플레이트의 상단 및 하단에 단열 코너 패널 상호 간의 연결 개소에 배치되는 패킹을 지지하는 패킹 지지 수단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단열 코너 패널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단열 패널체의 코너부에 패킹 지지 수단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접하는 단열 코너 패널 상호 간의 연결이 패킹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패킹을 통해 행해지기 때문에, 건조물의 코너부에서 그 외부와 내부 간의 보다 확실한 수밀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따른 단열 코너 패널의 제조 방법은, 청구항 7에 기재된 상기 홈을 단열 재료로 메우는 공정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이며, 홈 내에 제1 단열재를 충전하여 내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내층 상에 제2 단열 재료를 충전하여 외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홈 내에 다른 단열 재료의 2층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코너 패널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단열 코너 패널(A)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 방향으로 복수 개의 단열 코너 패널을 연결하여 건조물의 코너부를 형성한다. 또한 횡방향으로는 건조물의 벽면을 구성하는 플랫 단열 패널(B)과 연결될 수 있다. 단열 코너 패널(A)의 각각은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L자 형상을 가지는 금속 외벽(1)과, 금속 외벽 코너부의 내측 표면 상에 형성되는 제1 단열층(30, 31)과, 제1 단열층의 양측에서 금속 외벽의 내측 표면 상에 형성되는 제2 단열층(35)과, 제 단열층의 표면에 접합되는 금속 내벽(2)과, 양단이 금속 내벽에 접속되어 제1 단열층을 지지하는 L자 형상의 코너 보강재(4)를 구비한다. 제1 단열층 및 제2 단열층을 구성하는 단열재로는, 예를 들면, 고밀도 락울이나 규산칼슘 등의 무기질 재료나 우레탄폼 발포체 등으로 이루어진 단열재를 사용할 수가 있다. 규산칼슘 및 고밀도 락울은 내화성 및 기계적 강도가 높다는 점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제1 단열층은 금속 외벽(1) 코너부의 내측 표면에 직접 형성되는 우레탄 발포체의 내층(30)과, 이 내층 상에 형성되는 락울의 외층(31)으로 이루어진 2층 구조를 가지며, 제2 단열층(35)은 단층 구조이다. 제1 및 제2 단열층을 구성하는 단열 재료는, 단열 코너 패널이 사용되는 건조물의 형상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단열 코너 패널(A)의 상단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先端)에 접속 오목부(凹部; 41)를 가지는 조인트(40)가 돌출해 있으며, 하단에는 접속 볼록부(凸部; 5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인접하는 단열 코너 패널을 연결하는 경우는,윗쪽의 단열 코너 패널의 접속 볼록부(51)가 아랫쪽의 단열 코너 패널의 접속 오목부(41)에 끼워 맞추어진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인트(40)의 측면(43)에 드릴 비스(drill vis)나 니들(needle)과 같은 고정구(80)를 박아 단열 코너 패널(A)의 상단부를 퍼링 스트립(furring strip, 胴緣; 81)에 고정한다. 도면에서 도면 번호(53)는 접속 볼록부(51)에 인접하여 돌출하는 덮개이다. 단열 코너 패널 상호 간에 연결될 때, 덮개편(53)은 단열 코너 패널의 조인트(40)의 금속 외벽측의 측면(43)을 덮도록 배치되며, 그것에 의해 고정구(80)를 가리워짐으로써 단열 코너 패널의 미관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인접하는 단열 코너 패널의 연결부를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수밀성을 높이는 기능도 가진다. 덮개편(53)의 두께(T)는 덮개편(53)이 조인트(40)의 측면(43) 상의 공간(45)에 배치되었을 때, 연결된 단열 코너 패널(A)의 외표면이 균일, 평탄하게 연결되도록 결정된다. 도면 번호(8)는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단열 코너 패널의 연결부를 확실하게 밀봉하여 건조물의 외부와 내부 사이에 신뢰성이 높은 수밀성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단열 코너 패널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외벽(1)과 금속 내벽(2)를 구성하는 평탄한 금속 플레이트(10, 20) 사이에 단열재(35)를 충전하여 한 쌍의 금속 플레이트 및 단열재가 일체화된 단열 적층체(5)를 형성한다. 이이서, 단열 적층체(5)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접속 오목부(41) 및 접속 볼록부(51)를 형성하기 위한 굽힘 가공을 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외벽(1)의 하단에 덮개편(53)과 접속 볼록부(51)의 일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단 조인트(40)의 측면(43) 및 접속오목부(41)의 일부가 형성되도록 금속 플레이트(10)에 롤 성형이 실시된다. 마찬가지로, 금속 내벽(2)의 하단에 접속 볼록부(51)의 잔여 부분이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단에 접속 오목부(41)의 잔여 부분이 형성되도록 금속 플레이트(20)에 롤 성형이 행해진다. 또한 굽힘 가공을 한 단열 적층체(5)에 있어서, 금속 외벽(1)과 금속 내벽(2) 사이에는 간극(d; 도 3 참조)이 설정되어 있으며, 금속 외벽과 금속 내벽이 직접 접속하여 그 접속부를 통한 열전도(heat bridge)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 적층체(5)의 좌우 양단에도 굽힘 가공이 실시된다. 즉, 금속 외벽(1) 좌우 양측의 각 면에 있어서, 금속 내벽(2)측을 절곡하여 제1 측벽(12)이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단열 적층체 두께 방향의 중간 부근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제2 측벽이 형성된다. 도 5는 단열 코너 패널의 상측 단부의 형상을 도시하며, 도 6은 단열 코너 패널의 하측 단부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이어서, 단열 적층체(5)를 L자 형상으로 절곡하는 것은, 절곡 가공 후에 금속 외벽(1)의 상단부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간극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미리 금속 외벽(1)의 절곡선(L) 상단 부근을 소정의 패턴에 따라 절제(切除)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금속 외벽용 금속 플레이트(10)에 있어서 상단부의 절제부를 도시하며, 화살표로 표시된 단면(端面)끼리 접촉하도록 절곡 가공을 실시한다. 이것에 의해, 도면 번호(45)로 표시된 접합면을 코너 상단부에 가지는 금속 외벽(1)을 얻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금속 외벽(1)의 하단부에서도 마찬가지의 절제 작업을 해도 좋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간극으로 접합된 상단부에는 금속 외벽(1)의 뒷면으로부터 충분한 밀봉이 행해짐으로써 수밀성이 확보된다.
또한, 도 9A, 도 9B 및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의 기계적 강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단열 코너 패널 내측으로부터 금속 외벽(1)에 보강편(15)을 붙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는 금속끼리를 단단하게 접착하는 접착제(19)를 사용하여 코너부를 접속함과 동시에 코너 접속부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L자 형상의 두께 0.8mm 정도의 금속제 보강편(15)을 동일한 접착제로 코너에 접착한다. 또한 금속 외벽(1)의 코너 접합부 내측에 유연성을 가지는 접착 시트(도시 안됨)를 첨부한 후, 다시 접착제로 보강편(15)를 접착, 접합부의 강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보강편(15)은 접착 시트를 통해 금속 외벽(1)의 코너 접합부에 고정되기 때문에, L자 형상을 가지는 보강편(15)과 금속 외벽(1)의 코너부 절곡 각도의 미묘한 차이를 접착 시트가 완화함과 동시에, 시공 후 지진 등에 의해 금속 외벽(1)의 절곡 각도에 다소의 변화가 생겼을 경우에도 보강편의 박리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단열 코너 패널의 연결 강도 및 밀봉 성능의 저하를 방지하는 데도 유효하다. 또, 금속 외벽(1)의 하부 코너 접합부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보강판(15)을 접착하여, 코너 접합부의 접착 강도와 기계적 강도의 양쪽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도 9B 참조).
단열 적층체(5)를 L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얻은 단열 코너 패널의 내측 코너부에는, 도 4C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 내벽(2)과 단열재(35)의 절제에 의해 형성된 홈(60)이 위치한다. 절곡 가공 후, 이 홈(60)에 단열재(30 및31)가 충전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홈(60) 내의 금속 외벽(1)의 뒷면 위에 단열재로서 우레탄 폼 발포체를 충전하여 제1 단열층의 내층(30)을 형성한 후, 도 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 적층체(5)를 제작할 때 사용한 것과 동일한 단열재, 예를 들면, 락울을 충전하여 제1 단열층의 외층(31)을 형성한다. 따라서, 합계 2층이 되는 제1 단열층을 홈(60) 내에 형성하게 된다. 물론, 목적에 따라 단일 단열재만을 상기 홈(60)에 충전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4F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 보강재(4)로 홈(60)에 충전된 단열재(31)를 단열 코너 패널의 내측으로부터 보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L자 형상의 코너 보강재(4)가 홈(60)에 충전된 단열재를 누르고 있다. 코너 보강재(4)를 금속 내벽(2)에 접합하는 경우의 구체적인 예로는, 예를 들면, 두께 0.5mm의 금속제 보강재(4)를 리벳에 의해 고정함과 동시에 보강재(4)와 금속 내벽(2) 사이에 코킹재를 충전하여 밀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 외벽(1) 코너부의 접속 오목부(41) 및 접속 볼록부(51) 부근에는 패킹 시트부(16)가 용접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패킹 시트부(16)에 패킹(8)을 배치하여 인접하는 단열 코너 패널을 연결함으로써 코너부에 있어서 단열 코너 패널간의 수밀성을 높일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외벽(1)의 상단 코너부에 설치된 패킹 시트부(16)에 패킹을 배치하는 경우는, 도 10B 및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에서 패킹(8)끼리 겹쳐지는 부분을 비스듬히 컷트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패킹(8)은 양면접착 테이프로 패킹 시트부(16)에 접착되어 밀봉성을 높임과 동시에, 패킹(8)과의 연결 강도를 높이고 있다. 또한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단열 코너 패널(A)과 플랫 단열 패널(B)의 연결예를 도 11에 도시한다. 도면 번호(90)로 표시된 것은 건조물의 철근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변경예로서, 평탄한 단열 적층재(5)의 금속 내벽(2)에서 절제한 부분의 단열재(35) 일부만을 단열 적층재로부터 제거하고, 이어서 단열 적층체의 절곡 가공에 의해 코너부 내측에 형성된 홈 내에 단열재를 충전하여 홈을 메워도 좋다. 즉, 단열 적층체의 절곡 가공 후에 홈 내에 남아있는 단열재(35) 위에 단열재를 충전하는 것이다. 기타의 구성은 상기와 같다.
상기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통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열 코너 패널은 건조물의 코너부에 양호한 단열 성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건조물에서 시공을 신속,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보여준다. 또, 본 발명의 단열 코너 패널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평탄한 단열 적층을 L자형으로 절곡하여 단열 코너 패널을 만들 때에 코너부의 내부 구조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안정한 품질의 단열 코너 패널을 양산할 수가 있다. 또한 코너부에서의 단열재 배치 및 재료 선택을 평탄부의 경우와는 다르게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플렛 단열 패널끼리 연결 수단을 이용, L자 형상으로 연결하여 건조물의 코너부를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우수한 단열 성능을 제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고객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코너 패널 및 그 제조 방법은, 건조물 코너부의 시공이 그 용이성 및 신속성 면에서 개선되어, 다양한 형상의 건조물 코너부에 원하는 단열 성능을 부여할 수가 있고, 인접하는 단열 패널과의 위치 겹침/연결이 비교적 용이하여, 건조물의 외부와 내부 사이에 높은 신뢰성의 수밀성을 제공하는 등의 많은 효과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우수한 것이며, 산업상의 이용 가치가 높다.

Claims (10)

  1. L자 형상을 가지는 금속 외벽과, 상기 금속 외벽 코너부의 내측 표면에 형성되는 제1 단열층과, 상기 제1 단열층의 양측에서 상기 금속 외벽의 내측 표면 상에 형성되는 제2 단열층과, 상기 제2 단열층의 표면에 접합되는 금속 내벽과, 상기 금속 내벽에 접속되어 상기 제1 단열층을 지지하는 보강재를 구비하는
    단열 코너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열층은 상이한 단열 재료로 이루어지는 2층 구조를 가지는
    단열 코너 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층 구조는 금속 외벽의 내측 코너부 상에 직접 형성되는 우레탄 발포체의 내층과, 상기 내층 상에 형성되는 락울(rock wool)의 외층으로 구성되는
    단열 코너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단열 코너 패널을 높이 방향으로 겹쳐 쌓아 접합 가능하도록 위해, 상기 단열 코너 패널은 그 상단 및 하단에 끼워 맞춤 수단을 가지는
    단열 코너 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코너 패널은 상기 금속 외벽의 상단 및 하단의 일방에 상기 끼워 맞춤 수단에 인접하여 돌출하는 덮개편을 가지며, 상기 금속 외벽 코너부의 덮개편에는 내측으로부터 보강편이 부설되는
    단열 코너 패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코너 패널의 상단 및 하단의 적어도 일방은, 인접하는 단열 코너 패널의 연결부에 수밀성을 제공하는 패킹을 지지하기 위한 패킹 지지 수단을 구비하는
    단열 코너 패널.
  7. 외벽 금속 플레이트와 내벽 금속 플레이트 사이에 단열 재료를 충전하여 평탄한 단열 적층체를 제작하는 공정과,
    상기 내벽 금속 플레이트의 일부를 제거하여 개구를 만듬과 동시에, 상기 개구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단열 재료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단열 적층체의 내벽 금속 플레이트 표면에 홈을 만드는 공정과,
    상기 단열 적층체를 L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그 내측 표면의 코너부에 따라상기 홈이 연장되는 L자 형상의 단열 패널체를 제작하는 공정과,
    상기 홈 내에 단열 재료를 충전하여 상기 홈을 메우는 공정과,
    상기 홈에 충전한 단열 재료를 지지하기 위한 보강재를 상기 단열 패널체의 코너부에 내측으로부터 장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단열 코너 패널.
  8. 제7항에 있어서,
    복수의 단열 코너 패널을 높이 방향으로 겹쳐 쌓아 접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단열 적층체의 외벽 금속 플레이트의 상단 및 하단에 끼워 맞춤 수단을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외벽 금속 플레이트의 상단 및 하단의 일방에 상기 끼워 맞춤 수단에 인접하여 돌출하는 덮개편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절곡 가공에 의해 단열 패널체를 제작하기에 앞서 상기 덮개편의 일부를 절제하는 공정과, 절곡 가공 후에 외벽 금속 플레이트의 코너부에서 덮개편을 내측으로부터 보강편으로 보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단열 코너 패널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홈 내의 외벽 금속 플레이트의 상단 및 하단에, 단열 코너 패널끼리의 연결 개소에 배치되는 패킹을 지지하는 패킹 지지 수단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단열 코너 패널의 제조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홈을 단열 재료로 메우는 공정은, 상기 홈 내에 제1 단열재를 충전하여 내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내층 상에 제2 단열 재료를 충전하여 외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홈 내에 상이한 단열 재료로 이루어지는 2층 구조를 형성하는
    단열 코너 패널의 제조 방법.
KR10-2001-0006413A 2000-02-09 2001-02-09 단열 코너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04001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1694 2000-02-09
JP2000031694A JP3676643B2 (ja) 2000-02-09 2000-02-09 断熱コーナー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801A KR20010078801A (ko) 2001-08-21
KR100400160B1 true KR100400160B1 (ko) 2003-10-01

Family

ID=18556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6413A KR100400160B1 (ko) 2000-02-09 2001-02-09 단열 코너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676643B2 (ko)
KR (1) KR100400160B1 (ko)
TW (1) TW49302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079B1 (ko) 2006-04-13 2013-08-12 에스 운트 티 컴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유리창 스페이서용 코너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42522B2 (ja) * 2010-12-07 2014-12-17 アイジー工業株式会社 建築用パネル
JP5642530B2 (ja) * 2010-12-22 2014-12-17 アイジー工業株式会社 建築用パネル
JP5642569B2 (ja) * 2011-01-21 2014-12-17 アイジー工業株式会社 建築用パネル
JP5642576B2 (ja) * 2011-01-28 2014-12-17 アイジー工業株式会社 建築用パネル
JP5606943B2 (ja) * 2011-01-31 2014-10-15 アイジー工業株式会社 建築用パネル
KR101870046B1 (ko) * 2016-11-29 2018-06-2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합성연결유닛을 이용한 구조 및 단열 기능 일체형 외벽패널 및 이의 제작 방법
CN110258874B (zh) * 2019-06-27 2021-11-12 安徽恒兴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用于干挂幕墙的岩棉外墙外保温结构
JP7072101B1 (ja) 2021-06-01 2022-05-19 株式会社淀川製鋼所 屈曲サンドイッチパネ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079B1 (ko) 2006-04-13 2013-08-12 에스 운트 티 컴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유리창 스페이서용 코너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93029B (en) 2002-07-01
JP3676643B2 (ja) 2005-07-27
KR20010078801A (ko) 2001-08-21
JP2001220880A (ja) 200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82492B2 (ja) 支持構造に作り付けられた改良防水かつ断熱タンク
JP5313800B2 (ja) 断熱パネル
KR100400160B1 (ko) 단열 코너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JP5783762B2 (ja) 外断熱壁の構築方法
CN100476083C (zh) 一种基础结构
JP6374671B2 (ja) 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接続構造
JP4229031B2 (ja) 断熱箱体
KR20120013246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
KR200234526Y1 (ko) 건축용 패널
JP2009270369A (ja) 屋根パネルの連結構造および連結方法
CN216587067U (zh) 一种模块化建筑二二对接底部缝防水结构
JP3657692B2 (ja) 建築用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9196458U (zh) 具有防水功能的建筑用板材及建筑防水体系
JP6128628B2 (ja) 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接続構造
JP7134774B2 (ja) 基礎パッキン
WO2020262611A1 (ja) 断熱パネル
JP4474272B2 (ja) 建物のコーナ部構造
KR200270186Y1 (ko) 건축용 패널의 조립구조
JP2023010118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パネルおよび補強構造
JPS6340601Y2 (ko)
JP2001041456A (ja) 掘りごたつの断熱構造
JPS5980004U (ja) 補強枠付レンガパネルの雨仕舞装置
JP2901045B2 (ja) 建造物内部の湧水排水工法および防水ユニット
JP5446151B2 (ja) 住宅および住宅に用いられる真空断熱材
JP4190443B2 (ja) 外断熱工法及び断熱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