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9191B1 - 차량 주차브레이크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주차브레이크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9191B1
KR100399191B1 KR10-2001-0064270A KR20010064270A KR100399191B1 KR 100399191 B1 KR100399191 B1 KR 100399191B1 KR 20010064270 A KR20010064270 A KR 20010064270A KR 100399191 B1 KR100399191 B1 KR 100399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brake
sensor
cable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4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2471A (ko
Inventor
황경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4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9191B1/ko
Publication of KR20030032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2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1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1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n ultimate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2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vehicle inclination or change of direction, e.g. negotiating bends
    • B60T8/245Longitudinal vehicle incl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10Automatic or semi-automatic parking aid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108Braking
    • B60Y2300/18141Braking for p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주차브레이크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주차브레이크의 작동은 사용자의 수조작에만에 전적으로 의존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경사로주행중의 정차상태와 같이 운전자의 조작미숙이 발생될 우려가 많아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을 보조하여 제동이 필요할 경우와 도로여건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경사로에서 차량의 정지시 주차브레이크를 자동으로 작동시키고 출발시 주차브레이크의 작동을 해제시켜 주행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주차브레이크의 케이블(2)에 랙크(24)와 피니언(22) 및 이를 구동시켜 케이블(2)을 강제 작동시키는 구동모우터(22)로 이루어진 엑튜에이터(16)를 설치하고, 컨트롤유니트(18)가 경사로에서의 차량정차를 감지하면 이 엑튜에이터(16)를 구동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조건을 감시하기 위한 입력수단으로 경사감지센서(10)와 차속센서(12)와 스로틀포지션센서(14)가 상기 컨트롤유니트(18)에 연결되며, 경사감지센서(10)가 차량의 경사상태를 감지하고 차속센서(12)가 차량의 정차상태를 감시하며, 엑셀페달과 연동되는 스로틀포지션센서(14)가 차량의 출발상태를 감지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주차브레이크의 제어장치{Parking Brake Control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주차브레이크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로에서 차량의 정지시 주차브레이크를 자동으로 작동시키고, 출발시 주차브레이크의 작동을 해제시켜 경사로주행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킨 차량 주차브레이크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은 풋브레이크라 불리우는 메인브레이크와 주차브레이크와 불리우는 보조브레이크로 구분되며, 양자 모두 조작수단과 브레이크 본체를 포함하고 있다.
이 중 주차브레이크는 예시도면 도 1 에서와 같이, 조작수단인 레버(1)가 작동되면 조작력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증가되고, 이것이 케이블(2)에 장력을 가하여 주차브레이크본체(3)인 브레이크 슈를 압착시키도록 한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주차브레이크에는 래칫에 의한 잠금이 수행되도록 하여 조작수단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제동이 지속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별도의 래칫해제수단을 두어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주차시나 또는 정차시에 한번의 레버조작에 의해 제동이 지속되며, 출발시에는 래칫해제수단을 통해 제동력을 해제시키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브레이크 시스템은 제어시스템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그 작동이 전적으로 운전자의 조작에 의지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운전자의 조작미숙이 발생될 우려가 많아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을 보조하여 제동이 필요할 경우와 도로여건이 있다.
예를 들어, 수동변속차량인 경우 클러치의 조작과 엑셀페달의 조작이 동시에 일어나야 하고, 특히 경사로에서 클러치조작이 미숙한 경우 차가 뒤로 밀리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두다리는 클러치페달과 엑셀페달을 조작하고 있으므로, 경험이 부족한 운전자에게는 경사로에서의 차량 출발이 당황스러우며, 초보자가 수동변속차량을 회피하는 가장 큰 이유중의 하나가 이것이다.
또한, 자동변속차량이라 하더라도 급경사인 경우에는 크립(Creep)성능 부족으로 차량이 밀리게 되며 이 경우 브레이크 조작 해제와 거의 동시에 가속이 수행되지 않으면 사고의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경사로에서 주차브레이크를 사용하게 되는데, 주차브레이크의 조작이 레버를 당기는 수조작에 전적으로 의존되어 있어, 그 사용이 불편하였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경사로에서 차량의 정지시 주차브레이크를 자동으로 작동시키고, 출발시 주차브레이크의 작동을 해제시켜 주행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킨 차량 주차브레이크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주차브레이크의 케이블에 랙크와 피니언 및 이를 구동시켜 케이블을 강제 작동시키는 구동모우터로 이루어진 엑튜에이터를 설치하고, 컨트롤유니트가 경사로에서의 차량정차를 감지하면 이 엑튜에이터를 구동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조건을 감시하기 위한 입력수단으로 경사감지센서와 차속센서와 스로틀포지션센서가 상기 컨트롤유니트에 연결되며, 경사감지센서가 차량의 경사상태를 감지하고 차속센서가 차량의 정차상태를 감시하며, 엑셀페달과 연동되는 스로틀포지션센서가 차량의 출발상태를 감지하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차량 주차브레이크의 설명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브레이크 제어장치의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레버, 2 - 케이블,
3 - 주차브레이크본체, 10 - 경사감지센서,
12 - 차속센서, 14 - 스로틀포지션센서,
16 - 엑튜에이터, 18 - 컨트롤유니트,
20 - 구동모우터, 22 - 피니언,
24 - 래크.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예시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브레이크 제어장치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본 발명은 제어장치의 입력수단으로 차량의 경사상태를 감지하는 경사감지센서(10)와 차량의 정차상태를 감지하는 차속센서(12)와 차량의 출발상태를 감지하는 스로틀포지션센서(14), 제어시스템의 출력수단으로 주차브레이크의 케이블(2)에 설치되어 케이블(2)을 강제작동시켜 주차브레이크본체(3)를 작동시키는 엑튜에이터(16), 상기 입력수단과 출력수단에 매개된 제어수단으로 상기 경사감지센서(10)와 차속센서(12)로부터 경사로에서의 차량 정차상태가 감지되면 주차브레이크본체(16)를 작동시키는 출력신호를 송출하는 한편, 상기 스로틀포지션센서(14)로부터 차량 출발이 감지되면 출력신호를 차단하는 컨트롤유니트(18)로 이루어진차량 주차브레이크 제어장치이다.
여기서, 엑튜에이터(16)는 상기 컨트롤유니트(18)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모우터(20)의 구동축에 피니언(22)이 설치되고 이 피니언(22)과 연동되는 래크(24)가 주차브레이크의 케이블(2)에 설치되어 주차브레이크본체(3)의 작동이 컨트롤유니트에 의해 제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경사로에서의 정차상황에서 차량의 출발전까지 주차브레이크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경사로에서의 출발시까지 제동상태를 보조해주는 주차브레이크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주차브레이크의 케이블(2)에 랙크(24)와 피니언(22) 및 이를 구동시켜 케이블(2)을 강제 작동시키는 구동모우터(20)로 이루어진 엑튜에이터(16)를 설치하고, 컨트롤유니트(18)가 경사로에서의 차량정차를 감지하면 이 엑튜에이터(16)를 구동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조건을 감시하기 위한 입력수단으로 각 센서가 응용되거나 장착되며, 입력수단으로는 경사감지센서(10)와 차속센서(12)와 스로틀포지션센서(14)가 상기 컨트롤유니트에 연결된다.
상기 경사감지센서(10)는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 진행방향인 종방향에서의 차체 경사상태를 감지한다.
차속센서(12)는 차량의 속도변화를 감지하여 일정시간내에 차속이 0이 되면 이를 정차상태라 감지한다.
이와 더불어, 스로틀포지션센서(14)는 제동을 해제하기 위한 조건으로 엑셀페달의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입력수단이다.
엑셀페달의 조작은 운전자의 주행의지의 최종적인 표현이며, 엑셀페달의 조작은 곧 운전자가 제동을 해제하겠다는 의지가 전제되어 있는 것이므로, 엑셀페달의 조작이 제동해제조건으로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엑셀페달의 조작은 스로틀포지션센서(14)로부터 감지가 가능하며 스로틀포지션센서(14)는 엑셀페달과 연동되는 스로틀밸브의 개도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엑셀페달의 조작은 곧 스로틀 밸브의 개도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행중 경사로에서의 정차가 발생됨이 차속센서(12)와 경사감지센서(10)로부터 감지되면 컨트롤유니트(18)는 구동모우터(20)에 출력신호를 송출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구동모우터(20)가 작동되어 피니언(22)이 구동된다.
피니언(22)의 구동은 래크(24)를 작동시키고, 래크(24)와 일체로 연결된 주차브레이크의 케이블(2)이 작동된다.
이에 의해 주차브레이크본체(3)가 작동되어 제동이 수행되고, 운전자가 차량출발을 위해 엑셀페달을 조작하게 되면 스로틀포지션센서(14)가 이를 감지하고 컨트롤유니트(18)는 출력신호를 차단하여 제동을 해제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경사로에서의 정차상태에서 주차브레이크가 차량 출발전까지 작동되어 경사로에서의 안정된 차량출발을 보조하여 경사로주행에서 차량의 편의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제어장치의 입력수단으로 차량의 경사상태를 감지하는 경사감지센서(10)와 차량의 정차상태를 감지하는 차속센서(12)와 차량의 출발상태를 감지하는 스로틀포지션센서(14), 제어시스템의 출력수단으로 주차브레이크의 케이블(2)에 설치되어 케이블(2)을 강제작동시켜 주차브레이크본체(3)를 작동시키는 엑튜에이터(16), 상기 입력수단과 출력수단에 매개된 제어수단으로 상기 경사감지센서(10)와 차속센서(12)로부터 경사로에서의 차량 정차상태가 감지되면 주차브레이크본체(16)를 작동시키는 출력신호를 송출하는 한편, 상기 스로틀포지션센서(14)로부터 차량 출발이 감지되면 출력신호를 차단하는 컨트롤유니트(18)로 이루어진 차량 주차브레이크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엑튜에이터(16)는 상기 컨트롤유니트(18)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모우터(20)의 구동축에 피니언(22)이 설치되고 이 피니언(22)과 연동되는 래크(24)가 주차브레이크의 케이블(2)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차브레이크 제어장치.
KR10-2001-0064270A 2001-10-18 2001-10-18 차량 주차브레이크의 제어장치 KR100399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270A KR100399191B1 (ko) 2001-10-18 2001-10-18 차량 주차브레이크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270A KR100399191B1 (ko) 2001-10-18 2001-10-18 차량 주차브레이크의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471A KR20030032471A (ko) 2003-04-26
KR100399191B1 true KR100399191B1 (ko) 2003-09-22

Family

ID=29565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4270A KR100399191B1 (ko) 2001-10-18 2001-10-18 차량 주차브레이크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91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93775B (zh) * 2019-12-23 2024-03-29 巨驰自行车配件(常熟)有限公司 车辆平衡控制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471A (ko) 200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2654B1 (en) Grade-holding brake system
US20190217862A1 (en) Automatic brake hold release directly to vehicle creep
KR100399191B1 (ko) 차량 주차브레이크의 제어장치
KR20070083303A (ko) 전동식 주차브레이크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48208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JP2003054392A (ja) 坂道発進補助装置
KR100356854B1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KR100427987B1 (ko) 차량 브레이크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405500B1 (ko) 차량의 밀림 방지 장치
JP2679300B2 (ja) 制動力保持装置
KR200429582Y1 (ko) 차량 브레이크 자동 잠금 및 해제 장치
KR100189460B1 (ko) 차량의 스타트보조장치
KR100229932B1 (ko) 수동 변속용 차량의 오르막 주행시 미끄럼 방지 구조
KR100270053B1 (ko) 자동차의구배로출발장치및그제어방법
KR0150617B1 (ko) 차량의 파킹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148199Y1 (ko) 파킹브레이크작동시클러치연동장치
JPH0920230A (ja) ブレーキ制御装置
KR100341910B1 (ko) 파킹 브레크 자동 작동장치
KR100199724B1 (ko) 자동차의 수동식 클러치 장치
KR19980034910U (ko) 경사길에서의 브레이크 제어장치
JPH0618851Y2 (ja) 制動力保持装置
KR100369165B1 (ko) 에이비에스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제어장치 및 방법
KR0184842B1 (ko) 자동차의 주차보조장치
KR100514827B1 (ko) 자동차의 언덕길 뒤로밀림 방지 제어로직
KR0116175Y1 (ko)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자동 동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