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7392B1 - 회전전기용스테이터코일의단말선처리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전기용스테이터코일의단말선처리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7392B1
KR100397392B1 KR1019960001072A KR19960001072A KR100397392B1 KR 100397392 B1 KR100397392 B1 KR 100397392B1 KR 1019960001072 A KR1019960001072 A KR 1019960001072A KR 19960001072 A KR19960001072 A KR 19960001072A KR 100397392 B1 KR100397392 B1 KR 100397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il
terminal line
members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1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끼 다나까
고우 오노데라
다께히꼬 와따나베
요시노리 후까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7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73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56Manufacturing wind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56Manufacturing winding connections
    • H02K15/0068Connecting winding sections; Forming leads; Connecting leads to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이터 코일 단말 처리의 코일길이의 단축화, 처리시간의 단축화, 자동화가 가능한 회전전기용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처리방법 및 장치를 실현한다.
단말선(2)은 2평면을 가지는 평면부재(37)상에 놓여져 평면부재(37)와 단말선(2)을 끼우는 평면부재(34a1), (34a2)는, 힌지(34b1), (34b2)를 회동중심축으로 하여 액츄에이터(35)에 의하여 회동된다. 평면부재(34a1), (34a2)는 노치(42a), (42b), (42c)가 형성되고, 집합대상의 단말선이 아닌 단말선을 수용한다. 블레이드(32a)는 힌지(32b)를 회동중심으로하여 실린더(33)로 각각 회동구동된다. 블레이드(32a)는 평면부재(37)와 평면부재(34a1), (34a2)와의 사이를 이동하여 단말선(2)을 압압한다. 가이드핀(15)은 상승블록(14)과 일체로 형성되어 스테이터 (1)의 중심축 방향으로 실린더에 의하여 구동된다. 상승블록(14)은 실린더(36)에 의하여 지면의 상하방향으로 구동된다.

Description

회전 전기용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선 처리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회전전기의 스테이터 코일의 말단을 집합시켜,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테이퍼 코일 말단의 집합에 관한 기술은, 예를들면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소)47-29502호 공보나 실용신안 공고 (소)44-8171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즉,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소)47-29501호 공보에 기재된 것은, 교류발전기의 고정자에 있어서의 각 상(相) 권선의 중성점 결선 인출도선을 정류기 결선용 인출도선에 감고나서, 꼬아 틀어 중성점 결선된다.
또,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 (소)44-8171호 공보에 기재된 것은, 회로판에 형성된 도체에, 각 상 권선의 중성점 인출도선을 납땜 등에 의하여 접속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인출도선의 단락화 등을 도모하고 있다.
또,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 (평)2-5647호 공보에는, 전동기 코일의 출구선과 전원측 리드선을 접속하기 위한 반원호형상의 단자판이 기재되어 있다. 이 단자판에는, 각 출구선을 접속하는 훅과, 각 훅에 일단부가 접속된 도체가 형성된다. 그리고, 각 훅에 접속된 도체의 다단부에 전원단자가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하여 단말처리의 작업공정수의 감소화를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 공고 (소)44-8171호 공보 및 특허공고 (평)2-5647호 공보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는, 코일의 단말접속을 위한 전용부품을 필요로하기 때문에, 교류기의 사이즈 및 중량이 커져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일본국 실개소47-29501호 공보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는, 작업자에 의한 중성점 단말선의 감기작업을 필요로한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단말선의 감기작업을 행하기 위해서는, 소정 길이 이상의 여분의 권선이 필요하였다.
또한, 종래 교류회전전기의 스테이터 제조에 있어서, 코일 단말처리만은 사람손에 의하지 않으면 안되어, 저가격화 및 제조시간의 단축화를 방해하는 하나의 요인이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처리를 위한 코일 길이의 단축화, 단말처리시간의 단축화 및 자동화가 가능한, 회전전기용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처리 방법 및 장치를 실현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회전전기용 스테이터의 반경방향 또는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서로 대향하는 2개의 평면형상 부재 사이 또는 2개의 원통면형상 부재사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하고, 이 2개의 평면형상 부재 사이 또는 원통면형상 부재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단말선 압압부재에 의하여, 복수의 코일 단말을 소정의 집합방향으로 압압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하여 집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전기용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선 처리방법에 있어서,2개의 평면형상 부재 사이 또는 원통면형상 부재 사이에 고정된 고정부재를 배치하고, 이 고정부재와 압압부재와의 사이에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배치하여 압압부재를 고정부재를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전기용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선 처리방법에 있어서, 집합후의 단말선을 블록형상 부재로 스테이터의 중심축방향에 따라 압압하여 변형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전기용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선 처리방법에 있어서, 변형하는 복수의 단말선의 각각에 대하여 변형벤딩 반경에 차이를 둠으로써 변형부에서 각 단말선의 겹침 두께를 작게 한다.
또, 회전전기용 스테이터의 반경방향 또는 중심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서로 대향하는 2개의 평면형상 부재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하고, 또 이 2개의 평면형상 부재 사이 또는 원통면형상 부재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2개의 단말선 압압부재의 사이에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배치하여 이들 2개의 압압부재에 의하여 복수의 코일단말을 2개의 압압부재 사이의 중심부를 향하여 압압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시켜 집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전기용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선 처리방법에 있어서, 2개의 압압부재의 중심부 부근에 2개의 고정부재를 배치하고, 각각의 고정부재와 압압부재와의 사이에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배치하여 압압부재를 고정부재를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시킨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전기용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선 처리방법에 있어서, 집합후의 단말선을 2개의 압압부재 중심부 부근에 배치되는 블록형상의 부재로, 스테이터의 중심축 방향에 따라 압압하여 변형시킨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전기용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선 처리방법에 있어서, 변형시킬 복수의 단말선의 각각에 대하여 변형의 벤딩 반경에 차이를 설정함으로써 변형부에서 각 단말선의 겹치는 두께를 작게 한다.
또, 회전전기용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선 처리장치에 있어서, 회전전기용 스테이터의 반경방향 또는 중심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코일단말선을, 그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평면상 부재 또는 2개의 원통면형상 부재와, 2개의 평면형상 부재 사이 또는 원통면형상 부재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단말선 압압부재를 구비하고, 단말선 압압부재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코일단말을 소정의 집합방향으로 압압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시켜 집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전기용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선 처리장치에 있어서, 2개의 평면형상 부재 사이 또는 원통면형상 부재 사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더욱 구비하고, 이 고정부재와 압압부재와의 사이에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배치하여 압압부재를 고정부재를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시킨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전기용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선 처리장치에 있어서, 집합후의 단말선을 스테이터의 중심축방향을 따라 압압하고, 변형하는 블록형상 부재를 더 구비한다.
또 회전전기용 스테이터코일의 단말선 처리장치에 있어서, 회전전기용 스테이터의 반경방향 또는 중심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코일단말선을 그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2개의 평면형상 부재와, 2개의 평면형상 부재 사이 또는 원통형면형상 부재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2개의 단말선 가압부재를 구비하고, 2개의 단말선 가압부재 사이에 복수의 코일단말선을 배치하여 이들 2개의 가압부재에 의해 복수의 코일단말을 2개의 가압부재 사이에 중심부를 향하여 가압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시켜 집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전기용 스테이터코일의 단말선 처리장치에 있어서, 2개의 가압부재의 중심부 부근에 배치되는 2개의 고정부재를 더 구비하고, 각각의 고정부재와 가압부재 사이에 복수의 코일단말선을 배치하여 가압부재를 고정부재를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복수의 코일단말선을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시킨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전기용 스테이터코일의 단말선 처리장치에 있어서, 2개의 가압부재의 중심부 부근에 배치되고, 집합후의 단말선을 스테이터의 중심축방향을 따라 가압하여 변형하는 블록형상 부재를 더 구비한다.
서로 대향하는 2개의 평면형상 부재 또는 2개의 원통면형상 부재로 코일 단말선을 끼움으로써 단말선의 변형방향의 규제가 가능한다. 또한, 2개의 평면형상 부재 사이 또는 2개의 원통면상 부재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단말선 압압부재를 사용하여 코일 단말선을 변형시키기 때문에 목적하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또, 2개의 평면형상 부재 사이 또는 2개의 원통면형상 부재 사이에 고정된고정부재를 설치하고, 이 고정부재를 향하여 코일 단말선이 압압됨으로써 코일 단말선 집합화의 확실화가 도모된다.
따라서, 회전전기용 스테이터와 같은 복수개의 코일 단말선을 가지는 스테이터에서도 단말선을 목적하는 형상으로 일괄 형성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교류회전전기의 스테이터(1)의 3개의 단말선(2)은, 제 1평면부재(3) 및 제 2평면부재(4)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그리고, 평면부재(3)에는 원호형상의 슬릿(4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슬릿(40)에 대향하는 형상의 홈 또는 슬릿(도시 생략)이 평면부재(4)에 형성되어 있다.
슬릿(40)에는, 이 슬릿(4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성형핀(5)(단말선 압압부재)이 삽입되어 있다. 또, 평면부재(3)에는 슬릿(40)의 종단 부근에 평면부재(4)에까지 도달하는 가이드핀(7)(고정부재)이 형성되어 있다.
제 1도의 (a)에 있어서, 스테이터(1)의 3개의 단말선(2)은 스테이터(1)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단말선(2)을 평면부재(3 및 4)의 평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끼우고, 그 후 성형핀(5)을 성형핀의 이동방향(6)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 1도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선(2)은 가이드핀(7)에 접촉하여 3개가 집합되어 있다 다음에, 제 1도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성형핀(5)을 슬릿(40)의 종단까지 이동하면, 단말선(2)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L자 형상으로 성형되어, 집합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하면, 원호형상의 슬릿(40), 이 슬릿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성형핀(5) 및 가이드핀(7)이 형성된 제 1평면부재와, 상기 원호형상의 슬릿에 대향되는 위치의 슬릿 또는 홈이 형성된 제 2평면부재에 의하여 짧은 단말선이더라도 용이하게 이들 단말선을 집합시킬 수 있다. 또, 이에 의하여 코일 단말선 처리의 자동화도 가능해진다.
제 2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단말선(2)이 스테이터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 적용하는 예이다. 그리고, 원호형상으로 만곡되어 스테이터(1)의 반경과 거의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제 1원통면형상 부재(8)와 제 2원통면형상 부재(9)는, 단말선의 반경치수보다 큰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원통면형상 부재(8)의 일단부에는 원통면형상 부재(9)와 접촉하는 이동제한부재(12)(고정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또, 원호형상으로 만곡되어, 원통면형상 부재(8, 9)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고, 원통면형상 부재(8, 9)사이에 삽입가능한 성형부재(10)(단말선 압압부재)가, 화살표시 11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1도의 (a)에 있어서, 스테이터(1)의 3개의 단말선(2)은 스테이터(1)의 중심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단말선(2)은, 원통면형상 부재(8, 9)의 원통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그 후 성형부재(10)를 이동방향(11)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단말선(2)은 성형부재(10)에 의하여 압압되고, 이동제한부재(12)의 위치까지 이동된다. 제 2도의 (b)는 성형부재(10)의 이동 후의상태를 나타내고, 복수의 단말선(2)이 집합되어, 대략 L자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있어서도, 제 1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3도는 제 1도에서 나타낸 예에 의하여 집합되어 성형된 단말선(2)을 다시 스테이터(1)의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성형하기 위한 수단의 예를 나타낸다.
먼저, 제 3도의 (a)와 같이 상승블록(14)의 지지홈(13)에 성형이 끝난 단말선(2)을 수납하고, 다음에 이동방향(16), 즉 스테이터(1)의 중심축 방향으로 상승블록(14)을 이동하여 제 3도의 (b)의 상태로 한다. 또, 이동방향(17), 즉 스테이터 (1)의 반경방향으로 상승블록(14)을 이동함으로써, 제 3도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목적하는 형상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제 4도는 제 2도의 예와 마찬가지로, 단말선(2)의 집합과 성형이 동시에 행해지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예에 있어서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평면형상 부재와 이들 2개의 평면형상 부재를 결합하는 하나의 측면부재로 이루어지고, 2평면 간극을 가지는 2평면부재(18)와, 서로 대향하는 2개의 평면형상 부재와 이들 2개의 평면형상 부재를 결합하는 2개의 측면부재로 이루어지고, 2평면간극을 가지는 상승블록(19)과, 상기 2평면극간에 삽입가능한 판형상의 성형부재(20)를 구비한다. 상기 2평면사이의 간격은, 단말선(2)의 직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단말선(2)을 형성부재(20)에 의하여 압압하고, 부재(18) 및 상승블록(19)의 2평면 사이에 단말선(2)을 삽입하여 가면, 제 4도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선(2)은 집합되어, 거의 L자형상으로 성형된다. 이어서, 상승블록(19)을 회전방향(21)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 4도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의 중심축 방향으로 굴곡된 목적하는 형상으로 된다.
이 제 3실시예에 있어서도, 제 1 및 제 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5도는 제 1도의 예에 있어서, 평면부재(3, 4)의 간격을 한 개의 단말선 직경보다 약간 큰 치수로 함으로써, 각 단말선의 벤딩 반경에 차이를 둘 수 있는 원리를 나타내는 도이다.
제 5도의 (a)는 성형전의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제 5도의 (b)는 가이드핀(7)과 성형핀(5)에 의하여 단말선(2)을 목적하는 벤딩 반경(R1, R2, R3)으로 성형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 5(c)도는 가이드핀(7)을 빼내고, 성형핀(5)을 다시 이동방향(6)의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 5도의 (b)상태에 있어서는, 3개의 단말선(2)은 스테이터(1)의 중심축 방향으로 서로 겹침이 생긴다. 따라서 3개의 단말선(2)의 벤딩 반경은, 서로 다른 반경(R1, R2, R3)이 된다. 이와 같이 벤딩 반경에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단말선(2)은 일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에서는 집합되지 않으므로, 후술하는 금속밴드등에 의하여 용이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
제 6도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의 개략 구성도이고, 집합해야 할 단말선이 6개이고, 또한 상대하는 2방향으로부터 집합시키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제 6도의 (a)는 평면도이고, 제 6도의 (b)는 측면도이다.
제 1평면부재(28a)는, 원호형상의 슬릿(40a)이 형성되고, 성형핀(5)이 이 슬릿(40a)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제 1평면부재(28a)보다 두께가 얇은 제 2평면부재(28b)에도 원호형상의 슬릿(40b)이 형성되고, 이 슬릿(40b)을 따라 성형핀이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평면부재(22)는 제 1평면부재(28a) 및 제 2평면부재(28b)와 대향하는 면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 1평면부재(28a)와 평면부재(22)와의 간격은, 제 2평면부재(28b)와 평면부재(22)와의 간격과 거의 같고, 단말선(2)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그리고, 단말선(2)은 집합방향에 따라다른 평면(24), (25)에 배치되어 있다.
즉, 평면(24), (25)은 한 개의 단말선 직경보다 큰 고저차(26)를 가지고 있고, 성형핀(5)을 평면부재(28)에 형성된 홈에 따라 이동방향(6)의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좌우의 단말선(2)이 간섭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핀(15)(고정부재)을 가지는 상승블록(14)은, 성형핀(5)을 이동시켜 단말선(2)을 성형할 때는, 가이드핀(15)이 제 5도에 나타낸 가이드핀(7)과 같은 기능을 발휘하는 위치(즉, 단말선(2)을 정지시키는 위치)까지 상승하고, 그 후 단말선(2)과 간섭하지 않는 높이까지 하강한다.
제 6도는 상승블록(14)이 하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 7도는 단말선이 제 6도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성형핀(5)이 이동방향(6)으로 이동되어 집합된 후의 단면을 나타낸다.
이 제 7도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상승블록(14)이 상승하고, 그 후 제 3도에 나타낸 동작과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있어서도, 제 1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제 8도는 제 6도에 나타낸 예의 변형예이다. 이 제 8도에 있어서, 상승블록(14)에는 가이드핀(15)은 설치하지 않고, 이 가이드핀(15)대신에 평면부재(22)에 관통구멍(41a) 및 (41b)을 마련하고, 이 관통구멍(41a), (41b)으로부터 가이드핀(23)(고정부재)을 돌출시키는 실시예이다. 즉, 단말선(2)의 집합시에 가이드핀(23)을 관통구멍(41a), (41b)으로부터 돌출시키고, 그 후 핀(23)을 내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승블록(14)은, 집합된 단말선(2)의 스테이터(1)중심축 방향으로의 굽힘 동작시에 이동시키면 된다.
제 9도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의 개략 구성도이고, 스테이터(1)의 반경과 거의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원통면형상 부재(29)와, 이 원통면형상 부재(29)의 내주면과 거의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고, 상기 내주면에 대향하는 외주면을 가지는 반원주부재(3)와의 사이에 스테이터(1)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말선(23)이 끼워 넣어진다.
원통면형상 부재(29)에는 원호형상의 슬릿(31b)이 2개 형성되어 있고, 이들 2개의 슬릿(31b)에 대향하는 위치에, 슬릿 또는 홈(도시 생략)이 반원주부재(30)에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31b)은 단말선(2)을 집합시키는 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스테이터(1)에 가까워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슬릿(31b), (31b)의 각각, 및 반원주부재(30)에 형성된 슬릿또는 홈의 각각에 지지되고, 슬릿(31b), (31b)을 따라 이동가능한 성평핀(31a)(단말선 압압부재)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성형핀(31a)을 단말선의 집합방향를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복수의 단말선(2)을 소정의 위치에 집합시켜 성형시킬 수 있다.
또, 제 9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면형상 부재(29)의 내주면 및 반원주 부재(30)의 외주면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단말선(2)을 집합시켰을 때에, 모든 단말선이 일방향으로 정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단차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말선(2)을 집합시켰을 때에, 복수의 단말선(2)은 제 10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들면 6개의 단말선(2)은 스테이터(1)의 원주방향을 따라 3개씩 2열로 배열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있어서도 제 1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11도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의 개략 구성도이다.
제 11도에 있어서 스테이터(1)의 단말선(2)은 고저차가 있는 2평면을 가지는 평면부재(37), (37)위에 놓여지고, 평면부재(37), (37)와 함께 단말선(2)을 끼우는 공간을 형성하는 평면부재(34a1) 및 (34a2)는, 힌지(34b1), (34b2)를 회동중심축으로 하여, 로터리액츄에이터(35), (35)에 의하여 회동된다. 이들 평면부재(34a1) 및 (34a2)는, 각각 노치(42a), (42b), (42c)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노치(42a), (42b), (42c)는, 집합대상의 단말선이 아닌 단말선(이들 단말선은, 스테이터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또, 제 5도 예의 성평핀(5)에 상당하는 블레이드(32a), (32a)(단말선 압압부재)는, 힌지(32b), (32b)를 회동중심축으로하여 실린더(33), (33)로 각각 회동구동된다. 이들 블레이드(32a), (32a)는 평면부재(37), (37)와 평면부재(34a1), (34a2)와의 사이를 이동하여, 단말선(2)을 압압한다.
제 5도 예의 가이드핀(7)에 상당하는 가이드핀(15), (15)은, 상승블록(14)과 일체로 형성되어 제 12도의 지면 안과 바깥쪽 방향, 즉 스테이터(1)의 중심축 방향으로 도시하지 않은 실린더에 의하여 구동된다. 또, 상승블록(14)은, 실린더(36)에 의하여 제 11도의 지면 상하방향으로 구동된다. 또, 제 11도는 스테이터(1)의 단말선(2)을 집합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 12도는 제 11도의 예에 있어서 단말선(2) 집합처리의 동작설명도이고, 일부 부품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 제 13도는 제 11도의 예를 이용하여 집합처리하는 경우 단말선(2)의 집합상태 설명도이다. 또한 제 14도는 제 11도의 예를 이용하여 집합처리하는 경우의 설명도로서, 스테이터(1)와 단말선(2)의 상태에 대하여 나타낸 도이다.
이하, 제 12도, 제 13도, 제 14도에 의하여 제 11도에 나타내는 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 13도의 (a)는 제 11도의 예에 있어서 단말선(2)의 상태를 나타낸다 제 14도의 (a)는 제 11도 예의 스테이터(1), 및 단말선(2)의 상태를 나타낸다. 단말선(2)의 집합처리는, 제 11도의 상태로부터 제 12도의 (a)상태로 된다. 즉, 평면부재(34a1) 및 (34a2)를 회동시켜 단말선(2)을 평면부재(34a1) 및 (34a2)와, (37), (37)로 끼우고, 단말선(2)의 자유도를 규제한다. 제 13도의 (b)는 그때의 일단면도를 나타낸다.
다음에 블레이드(32a), (32a)가 회동되어 제 12도의 (b)상태로 이행하고, 블레이드(32a), (32a)에 의하여 단말선(2)은 도면의 좌우로부터 집합성형 처리가 행해진다. 이 때, 가이드핀(15)은 블록(14)으로부터 돌출시켜 놓고, 가이드핀(15)과 블레이드(32a)에 의하여, 단말선(2)을 목적하는 형상으로 성형한다. 또한, 제 13도의 (a)에 나타내는 왼쪽으로부터 3번째의 단말선(2a)은 집합위치의 중심에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성형처리는 실시하지 않는다.
제 13도의 (c), 제 14도의 (b)는, 제 12도의 (b)상태에 있어서 스테이터(1), 단말선(2), (2a)의 상태를 나타낸다.
다음에 블레이드(32a), (32a)를 다시 회동시켜 제 12도의 (c)에 나타내는 상태로 한다. 제 13도의 (d), 제 14도의 (c)는, 제 12도의 (c)에 나타낸 상태의 스테이터(1) 및 단말선(2), (2a)을 나타내고, 제 13도의 (e)는 제 12도의 (c)의 일단면을 나타낸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6개의 단말선(2), (2a)은 먼저 3개씩 한쌍으로하여 집합되고, 거의 L자형상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그 후 3개씩 2쌍으로 된 단말선(2), (2a)은, 한쌍의 단말선과 다른 쌍의 단말선이 스테이터(1)의 중심축방향으로 겹쳐진 상태로 집합된다.
이상으로 집합처리를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시 단말선(2)의 일부분을 상승블록(14) 등에 의하여, 집합방향과 직각방향, 즉 스테이터(1)의 중심축 방향으로 끌어올린다. 제 14도의 (d)는 그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승은, 제 3도에 나타낸 예와 마찬가지로하여 상승블록(14)에 의하여 행해진다.
제 15도는 제 11도의 예에 의하여 단말선(2)을 집합성형 처리한 후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용 스테이터(38)의 외관을 나타낸다. 또한, 본 예에서는 단말선(2)의 집합성형부를 금속 등의 도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밴드(39)에 의하여 체결하여 고정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있어서도, 제 1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회전전기용 스테이터의 반경방향 또는 중심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서로 대향하는 2개의 평면형상 부재 사이 또는 2개의 원통면형상 부재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하고, 이 2개의 평면형상 부재 사이 또는 원통면형상 부재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단말선 압압부재에 의하여, 복수의 코일 단말을 소정의 집합방향으로 압압하고,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하여 집합한다.
따라서,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처리를 위한 코일 길이의 단축화 및 단말처리 시간의 단축화 및 자동화가 가능한, 회전전기용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처리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회전전기용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선 처리방법에 있어서, 2개의 평면상 부재 사이 또는 원통면상 부재 사이에 고정된 고정부재를 배치하여 이 고정부재와 압압부재와의 사이에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배치하고, 압압부재를 고정부재를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하면 코일 단말선의 집합화의 확실화가 도모된다.
또한, 회전전기용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선 처리장치에 있어서, 회전전기용 스테이터의 반경방향 또는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그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평면형상 부재 또는 2개의 원통면상 부재와, 2개의 평면형상 부재 사이 또는 원통면형상 부재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단말선 압압부재를 구비하고, 단말선 압압부재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코일 단말을 소정의 집합방향으로 압압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하여 집합한다.
따라서,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처리를 위한 코일 길이의 단축화, 단말처리시간의 단축화 및 자동화가 가능한, 회전전기용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 처리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 회전전기용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선 처리장치에 있어서, 2개의 평면형상 부재 사이 또는 원통면형상 부재 사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더욱 구비하고, 이 고정부재와 압압부재와의 사이에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배치하여 압압부재를 고정부재를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하도록 구성하면, 코일 단말선의 집합화의 확실화가 도모된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개략 구성도,
제 2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개략 구성도,
제 3도는 제 1도의 예에 의하여 집합된 단말선을 스테이터의 중심축 방향으로 형성하는 동작의 설명도,
제 4도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의 개략 구성도,
제 5도는 제 1실시예에 의한 단말선의 집합처리에 있어서 단말선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제 6도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의 개략 구성도,
제 7도는 제 6도의 예에 있어서 단말선이 집합된 상태의 일부 단면도,
제 8도는 제 4실시예에 있어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제 9도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의 개략 구성도,
제 10도는 제 5실시예에 의하여 집합된 단말선의 외관도,
제 11도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의 개략 구성도,
제 12도는 제 6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선 집합처리의 동작 설명도,
제 13도는 제 6실시예의 단말선 집합처리에 있어서의 단말선의 상태 설명도,
제 14도는 제 6실시예의 단말선 집합처리에 있어서의 단말선과 스테이터를간략화한 외관을 나타내는 도,
제 15도는 제 6실시예에 의하여 처리된 차량용 교류발전기용 스테이터의 외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스테이터 2, 2a 단말선
3, 4 평면부재 5 성형핀
7 가이드핀 8, 9 원통면형상 부재
10 성형부재 12 이동제한부재
13 지지홈 14, 19 상승블록
15 가이드핀 18 2평면부재
20 성형부재 22 평면부재
23 가이드핀 24, 25 평면
26 고저차 28a, 28b 평면부재
29 원통면형상 부재 30 반원주상부재
31a 성형핀 31b 슬릿
32a 블레이드 32b 힌지
33 실린더 34a1, 34a2 평면부재
34b1, 34b2 힌지 35 로터리액츄에이터
36 실린더 37 평면부재
38 차량용 교류발전기용 스테이터 39 밴드
40 슬릿 40a, 40b 슬릿
41a, 41b 관통구멍 42a, 42b, 42c 노치

Claims (11)

  1. 회전전기용 스테이터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서로 대향하는 2개의 평면형상 부재 사이로서, 상기 2개의 평면형상 부재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단말선 압압부재와, 상기 2개의 평면형상 부재 사이에 배치된 고정부재와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상기 단말선 압압부재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코일 단말을 소정의 집합방향으로 압압하여, 압압된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상기 평면형상 부재 사이에서 상기 고정부재에 접촉시킴으로서,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하여 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용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선 처리방법.
  2. 회전전기용 스테이터의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원통면형상 부재 사이로서, 상기 2개의 원통면형상 부재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단말선 압압부재와, 상기 2개의 원통면형상 부재 사이에 배치된 고정부재와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상기 단말선 압압부재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코일 단말을 소정의 집합방향으로 압압하여, 압압된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상기 원통면형상 부재 사이에서 상기 고정부재에 접촉시킴으로서,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하여 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용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선 처리방법.
  3. 회전전기용 스테이터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서로 대향하는 2개의 평면형상 부재 사이로서, 상기 2개의 평면형상 부재 사이에 배치된 고정부재와, 상기 2개의 평면형상 부재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 1 단말선 압압부재와의 사이,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2개의 평면형상 부재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 2 단말선 압압부재와의 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단말선 압압부재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코일 단말을 소정의 집합방향으로 압압하여, 압압된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상기 평면형상 부재 사이에서 상기 고정부재에 접촉시킴으로서,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시켜 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용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선 처리방법.
  4. 회전전기용 스테이터의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원통면형상 부재 사이로서, 상기 2개의 원통면형상 부재 사이에 배치된 고정부재와, 상기 2개의 원통면형상 부재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1 단말선 압압부재와의 사이,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2개의 원통면형상 부재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 2 단말선 압압부재와의 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단말선 압압부재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코일 단말을 소정의 집합방향으로 압압하여, 압압된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상기 원통면형상 부재 사이에서 상기 고정부재에 접촉시킴으로서,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시켜 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용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선 처리방법.
  5. 회전전기용 스테이터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그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평면형상 부재와, 상기 2개의 평면형상 부재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단말선 압압부재와, 상기 2개의 평면형상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단말선 압압부재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코일 단말을 소정의 집합방향으로 압압하여, 압압된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상기 평면형상 부재 사이에서 상기 고정부재에 접촉시킴으로서,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하여 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용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선 처리장치.
  6. 회전전기용 스테이터의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그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원통면형상 부재와, 상기 2개의 원통면형상 부재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단말선 압압부재와, 상기 2개의 원통면형상 부재 사이에 배치된 고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단말선 압압부재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코일 단말을 소정의 집합방향으로 압압하여, 압압된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상기 원통면형상 부재 사이에서 상기 고정부재에 접촉시킴으로서,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하여 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용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선 처리장치.
  7. 회전전기용 스테이터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그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2개의 평면형상 부재와, 상기 2개의 평면형상 부재사이에 배치된 고정부재와, 상기 2개의 평면형상 부재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 1 단말선 압압부재와, 상기 2개의 평면형상 부재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 2 단말선 압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제 1 단말선 압압부재 사이,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제 2 단말선 압압부재 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단말선 압압부재에 의하여, 소정의 집합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압압하여, 압압된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상기 평면형상 부재 사이에서 상기 고정부재에 접촉시킴으로서,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시켜 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용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선 처리장치.
  8. 회전전기용 스테이터의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그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2개의 원통면형상 부재와, 상기 2개의 원통면형상 부재 사이에 배치된 고정부재와, 상기 2개의 원통면형상 부재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 1 단말선 압압부재와, 상기 2개의 원통면형상 부재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 2 단말선 압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제 1 단말선 압압부재 사이,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제 2 단말선 압압부재 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단말선 압압부재에 의하여, 소정의 집합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압압하여, 압압된 복수의 코일 단말선을, 상기 원통면형상 부재 사이에서 상기 고정부재에 접촉시킴으로서,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시켜 집합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용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선 처리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집합후의 단말선을 블록형 부재로 스테이터의 축선방향을 따라 압압하여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용 스테이터의 고일의 단말선 처리방법.
  10.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형시킬 복수의 단말선의 각각에 대하여, 변형의 벤딩 반경에 차이를 마련함으로써, 변형부에서 각 단말선의 겹침 두께를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용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선 처리방법.
  11.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집합후의 단말선을 블록형상 부재로 스테이터의 축선방향을 따라 압압하여 변형시키는 블록형상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용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선 처리장치.
KR1019960001072A 1995-01-20 1996-01-19 회전전기용스테이터코일의단말선처리방법및장치 KR1003973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0705495A JP3327716B2 (ja) 1995-01-20 1995-01-20 回転電機用ステータコイルの端末線処理方法及び装置
JP95-7054 1995-0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7392B1 true KR100397392B1 (ko) 2003-11-13

Family

ID=11655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1072A KR100397392B1 (ko) 1995-01-20 1996-01-19 회전전기용스테이터코일의단말선처리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13529A (ko)
JP (1) JP3327716B2 (ko)
KR (1) KR100397392B1 (ko)
CN (1) CN108002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746U1 (de) * 2002-01-18 2002-04-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 Anschlussblock und Verteilereinrichtung mit einem Anschlussblock
JP4265242B2 (ja) * 2003-03-11 2009-05-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3相交流電動機の製造方法
JP4460499B2 (ja) * 2005-07-28 2010-05-12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固定子の製造方法
DK2100361T3 (da) 2006-11-06 2013-02-04 Atop Spa Fremgangsmåde og anordning til terminering af ledninger af flere tråde i dynamoelektriske maskinerne
ITPI20060120A1 (it) * 2006-11-06 2008-05-07 Atop Spa Metodo ed apparecchiatura per la terminazione dei capi di fasci di filo in nuclei di macchine dinamo-elettriche
IT1394272B1 (it) * 2009-05-25 2012-06-06 Spal Automotive Srl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una macchina elettrica.
CN101886906B (zh) * 2010-05-07 2011-10-05 许晓华 一种串激电机定子引出线长度检测装置
CN102825182A (zh) * 2012-09-19 2012-12-19 吴江市物华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减速机热丝的加工模具
JP6102755B2 (ja) * 2013-01-18 2017-03-29 株式会社デンソー 巻線端末成形装置および端末線の成形方法
JP6234791B2 (ja) 2013-11-20 2017-11-22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導線成形装置および方法
WO2018011900A1 (ja) * 2016-07-12 2018-01-18 三菱電機株式会社 巻線装置、及びコイルの巻線方法
CN109746345B (zh) * 2018-12-30 2024-03-22 苏州阿福机器人有限公司 一种用于扁线电机绕组中扁线折弯的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48171B1 (ko) * 1967-08-18 1969-04-17
JPS4729501U (ko) * 1971-05-04 1972-12-04
JPS5233002A (en) * 1975-09-10 1977-03-12 Hitachi Ltd Rotary machine with a stator
JPS58193749U (ja) * 1982-06-11 1983-12-23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機
JPS60226743A (ja) * 1984-04-25 1985-11-12 Hitachi Ltd 回転電機のコイル端末線整線装置
JPH0238140U (ko) * 1988-08-31 1990-03-14
JPH0370839U (ko) * 1989-11-09 1991-07-17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6102A (en) * 1962-10-04 1965-01-19 Willie D Strickland Armature winding machine
JP2603907B2 (ja) * 1986-05-21 1997-04-23 日本電気精器 株式会社 電動機の外部への引出しリード線と磁極巻線の結線方法
US4811337A (en) * 1988-01-15 1989-03-07 Vitalink Communications Corporation Distributed load sharing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48171B1 (ko) * 1967-08-18 1969-04-17
JPS4729501U (ko) * 1971-05-04 1972-12-04
JPS5233002A (en) * 1975-09-10 1977-03-12 Hitachi Ltd Rotary machine with a stator
JPS58193749U (ja) * 1982-06-11 1983-12-23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機
JPS60226743A (ja) * 1984-04-25 1985-11-12 Hitachi Ltd 回転電機のコイル端末線整線装置
JPH0238140U (ko) * 1988-08-31 1990-03-14
JPH0370839U (ko) * 1989-11-09 1991-07-1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0020C (zh) 2002-02-27
JPH08205487A (ja) 1996-08-09
JP3327716B2 (ja) 2002-09-24
US5613529A (en) 1997-03-25
CN1135676A (zh) 1996-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7392B1 (ko) 회전전기용스테이터코일의단말선처리방법및장치
CN109599996B (zh) 马达以及马达的制造方法
US764768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tator of rotating electric machine
US4131988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dynamoelectric field member
JP5472057B2 (ja) 固定子巻線の巻回方法,固定子巻線の巻回装置及び固定子巻線の製造装置
US4446393A (en) Dynamoelectric field assembly and winding therefor
JP3894004B2 (ja) 回転電機のコイル用のセグメントの成形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成形型構造
EP2782224A1 (en) Coil manufacturing method
JP6180552B2 (ja) 固定子巻線用コイルの製造方法
US8193676B2 (en) Coil manufacturing method and coil manufacturing apparatus
JPS637153A (ja) 電動機のコイルの製造方法
JP6444929B2 (ja) 巻線を圧接結線して構成される配線基板を備える電動機
CN104756377A (zh) 电力机械用电枢绕组的制造方法
JP6444930B2 (ja) 巻線を圧着結線して構成される配線基板を備える電動機
JP5621263B2 (ja) 固定子巻線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2020110025A (ja) セグメントコイル成形方法
JP5278553B2 (ja) モータ製造方法
JPH06284651A (ja) 電動機のコイルの製造方法
US4312387A (en) Apparatus for making dynamoelectric field member
CN103795200A (zh) 分段式线圈的制造方法
CN109983656A (zh) 内燃机用旋转电机及其定子
EP2690752A1 (en) Stator core manufacturing method
CN108011477A (zh) 定子的制造方法和马达
US109510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rotating electric machine stator
CN110048563B (zh) 波绕线圈的保持装置、保持方法以及插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