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413B1 - 데이터통신료를절감할수있는정보제공방법및이방법을실행하는정보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통신료를절감할수있는정보제공방법및이방법을실행하는정보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413B1
KR100396413B1 KR10-1998-0007677A KR19980007677A KR100396413B1 KR 100396413 B1 KR100396413 B1 KR 100396413B1 KR 19980007677 A KR19980007677 A KR 19980007677A KR 100396413 B1 KR100396413 B1 KR 100396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formation
program
information providing
provid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7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0020A (ko
Inventor
유타카 도미오카
푸미유키 가토
노부아키 다나카
겐지 소마
유키오 시카타니
요시아키 구시키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80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4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5Arrangements for upd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6Arrangements for switching distribu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6Wire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7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recognising gen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2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programme guides [EP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93Wired transmission systems
    • H04H60/94Telephonic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04N7/087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 H04N7/08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04N7/087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 H04N7/08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 H04N7/0887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for the transmission of programme or channel identifying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 간격으로 갱신되는 원정보의 세트로부터의 정보를, 전송(轉送)될 데이터의 유형, 데이터의 제공에 관한 사용자의 특정 선호도,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의 현재 동작 상태 등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는 데이터 전송(傳送) 경로(18)를 통해 정보 제공 장치(1)로부터 각 이용자의 각 정보 수신 장치(2)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정(framework) 데이터의 세트는, 적당히 긴 기간에 걸쳐 제공될 원정보를 모니터함으로써 간헐적으로 갱신되는 데이터로서 선택되고, 정보 제공 장치 및 정보 수신 장치에 저장된다. 그 후에, 고정 데이터의 새로운 세트가 선택될 때까지, 새로이 갱신된 원정보 및 고정 데이터 간의 소정의 차분이 변동 데이터로서 얻어지고, 각 정보 수신 장치로 전송(傳送)되어 저장되며, 이 정보 수신 장치는 국부적으로 저장된 고정 데이터 및 변동 데이터의 적절한 일부분을 조합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에 대해 원하는 데이터를 재구성할 수 있어, 정보 수신 장치로 전송되어야 하는 데이터량을 최소화한다.

Description

데이터 통신료를 절감할 수 있는 정보 제공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발명의 배경
1.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정보 제공 방법 및 이 방법을 운용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이용자에게, 이를테면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스케쥴 등과 같이, 드물게 변경되는 데이터 및 자주 갱신되는 데이터로 이루어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2. 관련 기술의 설명
최근에, 각종 정보 제공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어서, 정보 제공 장치(즉, 서버)는 각각의 데이터 전송(傳送) 경로를 통해 각종 형태의 정보를 각각의 이용자(즉, 고객)의 정보 수신 장치에 배송(dispatch, 配送)한다. 예를 들어, 전송 경로가 인터넷이나 대기업의 인트라넷에서 구현되거나, 또는 방송 텔레비전 신호의 VBI(vertical blanking interval) 방법으로 전송(傳送)되는 문자 데이터의 형태로 데이터가 방송 텔레비전 신호로서 클라이언트에게 전송된다. 일반적으로, 정보 제공 기능은 대화식으로 행하여지며, 이에 의해서 이용자는 소정의 원하는 특정 정보를 위한 요청을 정보 제공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정보의 종류는 예를 들면 다중 채널 텔레비전 방송용 프로그램 스케쥴 정보, 판매용 물품에 관한 카달로그 정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텔레비전 방송 스케쥴의 경우에, 예를 들어, 이용자는 하루나 그 이상의 지정한 날에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텔레비전 채널을 위한 전체 프로그램 스케쥴의 요청, 또는 프로그램의 한 특정 방송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위한 요청을 정보 제공 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이다.
종래 유형의 정보 제공 장치를 이용하면, 이 정보 제공 장치는, 예를 들면 요청받은 모든 정보를 HTML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다음에 모든 그 최종 데이터를, 인터넷 통신 경로를 통해서, 또는 VBI 등의 기술을 통해 이용자의 텔레비전 수상기에 전송되는 방송 무선파에 의해서, 단말기로 배송함으로써, 단말기로부터 이용자에 의해 전송된 상기와 같은 요청에 응답한다.
실제에 있어서는, 이러한 정보 제공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는 기본적으로 매우 드물게 변경되는(또는, 결코 변하지 않는) 정보, 및 종종 변경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 방송 스케쥴의 경우에, 어떤 프로그램은 1년 내내 매주 특정 요일의 날의 같은 시간에 방송되고, 반면에 몇몇 혹은 모든 속성들(프로그램명, 출연자 등)은 동일 기간 내내 변화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그러나, 종래 유형의 정보 제공 장치를 이용하면, 이용자가 상기와 같은 정보를 미리 수신했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그와 동일한 정보가 그 이용자에게 여러 번 전송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가 인터넷 등의 데이터 통신 설비를 이용하는 전송 경로를 통해 배송되는 경우에, 이용자에 대한 동일 정보의 상기와 같은 반복적인 전송은 상당한 통신 시간의 낭비 및 이에 따른 통신료의 불필요한 증가를 나타낸다. 또한, 정보를 HTML 형식의 데이터로 전송되는 경우에, 이 결과로서 상기와 같은 데이터 형식화를 달성하기 위해 부가적인 데이터(즉, 이용자에게 전달되어야 하는 실제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 이외에)가 전송되어야 하기 때문에, 통신료가 한층 더 증가된다. 이것은 일반 가정용으로 상기와 같은 종류의 정보 제공 시스템을 광범위하게 채용하는데 문제점이 되었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정보 제공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에게 정보를 배송하는 것과 관련된 처리의 복잡성 및 통신료를 경감시킬 수 있고, 제공한 서비스에 부합되는 통신료로 정보를 이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소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따르는 정보 제공 방법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기본적 특징들을 갖는다. 정보 제공 장치는 데이터 베이스 역할을 하고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 간격으로 갱신되는 원정보를 처리하여, 이원정보를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로 분리하는데, 즉, 거의 고정되어 있는, 다시 말해, 갱신으로 인해 변화가 생기는 경우 단지 비교적 적은 변동량의 변화를 겪거나 비교적 매우 드물게 변동되도록 공지되어 있는 제 1 데이터, 및 갱신으로 인해 변화가 생기는 경우 비교적 큰 변동량의 변화를 겪거나 비교적 자주 변화하도록 공지되어 있는 데이터로 이루어진 제 2 데이터로, 상기 원정보를 분리한다. 먼저 이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가 각각 생성된 경우에,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데이터 들을 각각의 개별적인 데이터 카테고리로서 저장하고, 이들을 이용자의 정보 수신 장치에 저장되도록 각 이용자의 정보 수신 장치에 전송한다. 그 후(제 1 데이터의 갱신된 세트가 다시 생성될 때까지)에, 정보 제공 장치는, 원정보의 새로운 세트가 취득될 때마다 이 정보 제공 장치에 저장되는 제 2 데이터의 내용을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제공 장치는 저장된 제 1 데이터와 임의의 새롭게 취득한 원정보를 비교하여, 저장된 제 1 데이터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새로운 원정보에는 포함되어 있는 소정의 데이터를 갱신된 제 2 데이터로서 얻는다. 다음에 갱신된 제 2데이터는 정보 제공 장치에 저장된다. 이러한 갱신된 제 2 데이터의 전부(또는, 이용자에 의해 데이터에 대한 요청이 입력될 때에 필요하게 되는 갱신된 제 2 데이터의 일부) 역시 이용자의 정보 수신 장치에 전송된다.
따라서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는 제 1 데이터의 전송 및 제 2 데이터의 전송 간에 각각 다른 간격을 두고 각각의 이용자에게 전송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최초로 제 1 데이터를 이용자에게 전송한 후에, 갱신된 제 1 데이터의 이용자에게로의 잇따른 전송들 사이의 기간은 실질적으로 길어지게 될 것이다(또는 제 1 데이터의 단일 처음 전송만이 실행될 것이다). 그러나 이용자의 정보 수신 장치로의 갱신된 제 2 데이터의 전송은, 비교적 짧은 간격으로, 예를 들면 갱신된 원정보가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취득될 때마다 이루어질 것이다.
각각의 정보 수신 장치의 구성은,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 수신된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를 각각의 개별적인 데이터 카테고리로서 저장할 수 있고, 이용자가 요청할 때에는 원정보의 원하는 부분을 복구하도록 상기 저장된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의 재구성 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스템의 구성은, 각 정보 수신 장치에 이미 전송된 데이터(특히, 갱신된 제 2 데이터)의 기록이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유지되도록 하고, 갱신된 원정보를 정보 제공 장치가 취득할 때마다 그리고 이에 따라서 정보 제공 장치에 저장된 제 2 데이터가 갱신될 때마다, 각 정보 수신 장치에 보존된 제 2 데이터는 데이터 출력에 대한 요청이 정보 수신 장치에 인가될 때까지 변하지 않고남아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 요청 내용은 정보 제공 장치에 전송되고, 이어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요청에 대해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정보 수신 장치에 갱신된 제 2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전송해야 되는 경우, 갱신된 제 2 데이터가 전송되며, 상기 정보 수신 장치에 저장되고, 이어 원하는 정보가 재구성되어 이용자에게 출력된다.
또는, 상기 시스템의 구성은, 갱신된 원정보가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취득되고 따라서 정보 제공 장치에 저장된 제 2 데이터가 갱신될 때마다, 그 때 갱신 데이터 역시 각 정보 수신 장치로 전송되어 거기에 저장되어 있는 제 2 데이터를 갱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원정보는 데이터 아이템들의 세트로 구성되며, 그 데이터 아이템 각각은 식별자, 및 하나 이상의 속성과 관련된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원정보의 출처가 판매용 브로셔라면, 각각의 데이터 아이템은 판매용 물품을 정의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색상, 중량, 가격 등의 속성과 관련된 정보와 함께, 식별 정보로서의 코드 넘버 및 물품명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면, 정보 제공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정보 수신 장치와, 상기 정보 제공 장치 및 정보 수신 장치 간에 데이터를 전송(轉送)하는 수단을 구비한 정보 제공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장치측에서는, 제공되는 원정보를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를 각각 분리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그 후에, 상기 제 1 데이터의 연속 전송간 및 상기 제 2 데이터의 연속 전송 간에 각각 다른 값의 시간 간격을 갖고, 상기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정보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 수신 장치측에서는, 상기 전송된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를 각각 종별로 나누어 저장하는 단계와, 그 후에, 상기 저장된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의 일부를 각각 독출하여 조합함으로써 상기 원정보의 일부분에 대한 출력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원정보의 일부분을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데이터는, 연속하는 갱신 발생 간의 간격이 소정의 시간폭보다 길거나, 또는 상기 갱신으로 인한 변동량이 소정량보다 적은 선택 조건을 충족하는 상기 원정보의 일부로서 상기 원정보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이고, 상기 제 2 데이터는, 상기 선택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상기 원정보의 일부로서 상기 원정보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인 정보 제공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또다른 기본적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정보 제공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정보 수신 장치와, 상기 정보 제공 장치 및 정보 수신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傳送)에 사용하는 데이터 전송(轉送)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을 기술하고 있다. 정보 제공 장치는, 외부 소스로부터 공급되어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원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원정보 저장 수단과,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로 상기 원정보를 분리하도록 상기 저장된 원정보에 대해 동작하는 데이터 편집 수단과, 상기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수단과, 상기 데이터전송(轉送)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傳送)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데이터는, 연속하는 갱신 발생간 간격이 소정의 시간폭보다 더 길거나, 상기 갱신의 결과로서의 변동량이 소정 양보다 크지 않은 선택 조건을 충족하는 원정보의 일부로서 상기 원정보로부터 얻어지고, 상기 제 2 데이터는, 상기 선택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원정보의 일부로서 상기 원정보로부터 얻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시스템의 정보 수신 장치는, 상기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된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과, 상기 저장된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의 선택된 부분을 독출하여 조합함으로써 상기 원정보의 현재 유효한 부분의 출력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원정보의 일부분을 재구성하는 데이터 재구성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데이터 전송(轉送) 수단은, 전용 통신 라인이나 공중 전화 라인에 기초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는 데이터 통신 경로와, 지상 또는 위성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확립된 데이터 통신 경로와, 광학식 기록 디스크 상에 저장된 데이터의 물리적 트랜스포트와, 자기 기록 디스크 상에 저장된 데이터의 물리적 트랜스포트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데이터 전송(轉送) 수단중 하나 또는 복수의 데이터 전송(轉送) 수단들의 조합으로서 선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와 같이 데이터의 두 카테고리만을 이용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데이터는 복수 레벨의 제 2 데이터로서 원정보로부터 얻어질 수도 있으며, 상기 복수 레벨은 연속하는 갱신 발생들 간의 간격의 연속하는 더 작은 값, 또는 갱신으로 인한 연속적인 더 큰 변동량을 갖는다.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정보 수신 장치는, 정보 수신 장치에 관한 장치 속성 정보를 입력하는 수단과, 상기 데이터 전송(轉送) 수단을 통해 상기 장치 속성 정보를 정보 제공 장치에 전송(傳送)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정보 제공 장치는, 정보 수신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장치 속성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과, 이 장치 속성 정보에 따라서 정보 제공 장치의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부터 독출되어 정보 수신 장치로 전송되도록 데이터의 선택을 변경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속성 정보는, 데이터 저장 용량, 화상 표시 해상 능력, 데이터 처리 성능, 정보 수신 장치와 함께 이용하도록 접속될 수 있는 보조 데이터 저장 매체의 종류 등의 하나 이상의 장치 속성을 나타낸다.
또한, 정보 수신 장치는, 정보 수신 장치의 적어도 한 이용자에 관한 이용자 속성 정보를 입력하는 수단과, 상기 데이터 전송(轉送) 수단을 통해 상기 이용자 속성 정보를 정보 제공 장치에 전송(傳送)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정보 제공 장치는, 정보 수신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이용자 속성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과, 이 이용자 속성 정보에 따라서 정보 제공 장치의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부터 독출되어 정보 수신 장치로 전송되도록 데이터의 선택을 변경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이용자 속성은 예를 들어 이용자의 연령, 성별, 취미, 거주지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轉送) 수단은 복수의 각기 상이한 데이터 통신 경로들로 구성되며,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에 관한 속성 정보를 저장한 저장 수단과, 정보 수신 장치에 관한 저장된 속성 정보 및/또는 이용자에 관련된 저장된 속성 정보, 및 통신 경로에 대한 저장된 속성 정보에 따라서, 제 1 데이터가 전송(轉送)되는지 또는 제 2 데이터가 전송(轉送)되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정보 수신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傳送)하는데 이용될 데이터 통신 경로들중 적절한 하나를 상기 복수의 상이한 데이터 통신 경로들로부터 선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정보 제공 장치 자체가 갱신된 데이터를 정보 수신 장치에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원정보의 갱신된 세트가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취득될 때마다, 정보 제공 장치는 그 데이터와 저장된 제 1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갱신된 원정보 및 저장된 제 1 데이터 간의 차분을 갱신된 제 2 데이터로서 얻는다. 다음으로, 갱신된 제 2 데이터는, 정보 제공 장치의 데이터 저장 수단에 보존되어 있는 제 2 데이터를 갱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또한 정보 수신 장치로 전송되어 정보 수신 장치의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제 2 데이터를 갱신한다.
또는, 정보 수신 장치는, 원정보의 현재 유효 부분의 출력, 즉 표시를 위한 요청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그 요청이 데이터 전송(轉送) 수단을 통해 정보제공 장치에 전송(傳送)되는 수단을 포함한다. 그런 경우에, 정보 제공 장치는, 현재 정보 제공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와 관련하여, 현재 정보 수신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의 갱신 상태를 나타내는 배송 기록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배송 기록 수단을 더 포함한다. 그런 경우에 정보 제공 장치는 또한, 전송된 요청 내용 및 배송 기록 데이터에 기초하여서, 갱신된 데이터를 정보 수신 장치에 전송해야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정보 수신 장치가 원정보의 필요한 부분을 정확하게 재구성할 수 있게 하도록 기능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또한 이러한 갱신된 데이터가 필요하다고 판정되면, 갱신된 데이터가, 정보 제공 장치의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부터 독출되어 데이터 전송(轉送) 수단을 통해 정보 수신 장치에 전송(傳送)되어서 정보 수신 장치의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다음에, 원정보의 필요한 부분은 정보 수신 장치에 의해 정확하게 재구성되어 이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또다른 특징에 의하면, 이러한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정보 수신 장치는, 정보 수신 장치에 관한 장치 속성 정보를 입력하는 수단과, 상기 장치 속성 정보를 상기 요청에 첨부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轉送) 수단을 통해 정보 제공 장치에 전송(傳送)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정보 제공 장치는, 이 장치 속성 정보에 따라서, 정보 제공 장치의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부터 독출되어 정보 수신 장치로 전송되도록 데이터의 선택을 변경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정보 수신 장치의 장치 속성은, 예를 들면 데이터 저장 용량, 화상 표시 해상 능력, 데이터 처리 성능, 정보 수신 장치와 함께 이용하도록 접속될 수 있는 보조 데이터 저장매체의 종류 등을 포함한다.
그런 방식으로,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서 정보 수신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그 정보 수신 장치의 특정 구성 및 특성에 적합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또는 장치 속성 정보 이외에), 정보 수신 장치는, 적어도 한 이용자에 관한 이용자 속성 정보를 입력하는 수단과, 상기 요청에 상기 이용자 속성 정보를 첨부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轉送) 수단을 통해 정보 제공 장치에 그 최종 데이터를 전송(傳送)하여 그 안에 저장되도록 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그런 경우에, 정보 제공 장치는, 이 이용자 속성 정보(또는 장치 속성 정보와 관련한 이용자 속성 정보)에 따라서, 정보 제공 장치의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부터 독출되어 정보 수신 장치로 전송되도록 데이터를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용자 속성 정보는 예를 들어 이용자의 연령, 이용자의 성별, 이용자의 거주지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제공 시스템의 또다른 특징에 의하면, 데이터 전송(轉送) 수단은, 복수의 각기 상이한 데이터 통신 경로들, 즉 데이터를 정보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데 선택될 수 있는 경로로 구성되며,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에 대한 속성 정보의 각각의 세트를 저장한 저장 수단과, 정보 수신 장치에 관한 저장된 속성 정보 및 통신 경로에 관련된 저장된 속성 정보에 따라서, 제 1 데이터의 일부가 전송(轉送)되는지 또는 제 2 데이터의 일부가 전송(轉送)되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정보 수신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傳送)하는 적절한 경로를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들 중에서 선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통신경로에 관련된 속성 정보는 예를 들면, 통신 라인이나 전화 시스템의 일시적인 장애 상태 등과 같이 동적으로 변할 수 있는 속성들과 마찬가지로, 데이터 전송 속도 및 통신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런 식으로, 전송될 데이터의 유형, 및 데이터가 전송될 정보 수신 장치의 특정한 특성과 부합되는 적당한 데이터 통신 경로(즉, 데이터 전송 속도 및 통신료에 관해서)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를테면, 그러한 개별화된 이용자 속성 정보가 정보 제공과 관계 있는 각각의 사용자의 선호도를 나타내도록 정보 제공 장치에 공급된 경우에서와 같이, 데이터 통신 경로를 선택하는 그러한 수단을 연장하고, 정보 수신 장치의 이용자의 특성이나 선호도를 고려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러한 개별화된 속성 정보는, 사용자를 위해 데이터 통신료(예, 전화 요금)를 최소화하는 것에 우선도가 부여되거나, 스포츠 등의 특정 취미 영역에 관한 가장 완전하면서 최신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우선도가 부여되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다른 기본적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편집 수단은, 원정보의 갱신된 세트가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수신될 때, 정보 제공 장치의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제 1 데이터의 해당 부분과 갱신된 원정보를 비교하여서, 갱신된 원정보 및 저장된 제 1 데이터 간의 소정의 차분을 제 2 데이터의 갱신된 부분으로서 도출해내고, 이 제 2 데이터의 갱신된 부분을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하도록 작용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그런 경우에, 정보 제공 장치는, 갱신된 제 2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轉送) 수단을 통해 정보 수신 장치로 전송(傳送)하여 정보 수신 장치의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되고 이에 따라 그 안에 저장되어 있는 제 2 데이터의 내용을 갱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런 식으로, 정보 수신 장치가, 현재 정보 수신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원정보의 소정의 원하는 부분을 재구성하는 것이 항상 가능하며, 이 재구성된 데이터가 최신의 것이 되도록 하고, 또한 정보 수신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의 그러한 최신 상태를 유지하도록 데이터 전송(轉送) 수단을 통해 최소량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만이 필요하게 한다.
통상적으로, 원정보는 복수의 각각 식별된 데이터 아이템들로 구성되며, 이 각각의 아이템은 식별자 정보 및 적어도 한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그런 경우에,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갱신된 원정보는 부가적인 데이터 아이템 또는 하나 이상의 속성들이 변경된 이전 수신한 데이터 아이템들로 구성될 것이다.
데이터 편집 수단은, 처음 처리 기간 내내 변경되지 않거나, 또는 처음 처리 기간 동안에 소정의 양 이상으로는 변하지 않는 속성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하여, 원정보의 복수의 연속적인 갱신에 대해 연장되는 소정의 처음 처리 기간 동안에 원정보를 처리함으로써 원정보로부터 제 1 데이터를 얻는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데이터 편집 수단은, 갱신된 원정보의 세트가 처음 처리 기간에 이어서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수신될 때, 상기 세트의 각 데이터 아이템이, 정보 제공 장치의 데이터 저장 수단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제 1 데이터와 비교되어, 데이터 아이템의 소정 아이템의 적어도 한 속성에 대한 소정의 변경된 데이터를 검출하고, 데이터 저장 수단에 그 변경된 속성 데이터를 갱신된 제 2 데이터로서 저장하도록 작용한다.
만일 원정보가 프로그램 방송 스케쥴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면, 데이터 편집 수단은,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정보를 나타내는 프로그램 데이터 기록으로서, 정보 제공 장치의 데이터 저장 수단에 방송 스케쥴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그런 경우에, 제 1 데이터는 적어도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폭 및 시작 시각을 포함하는 프로그램명 및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프로그램 기록들중 각각의 기록으로서 처음 처리 기간에 도출된다.
또한, 데이터 편집 수단은, 상기 처음 처리 기간에 이어서, 갱신된 원정보의 세트가 상기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수신될 때, 상기 갱신된 원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각 프로그램들에 대한 시작 시각값을, 상기 제 1 데이터로서 저장되었던 대응하는 시작 시각값과 비교하고, 프로그램에 대한 갱신된 시작 시각 및 대응하는 이전에 저장된 시작 시각값 간의 소정의 차분을, 포지티브 또는 네거티브 시간 증분값으로서 나타내어, 상기 정보 제공 장치의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에 상기 제 2 데이터의 일부로서, 즉 프로그램 데이터 기록의 상기 프로그램명과 관련하여 속성 정보로서, 저장하도록 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그런 식으로, 처음 처리 기간의 끝에, 제 1 데이터의 일부로서 저장되었던 프로그램 시작 시각값은, 이후에 고정 데이터로서, 즉 매일 또는 매주의 기준 시각으로서 이용되고, 프로그램 방송의 시작 시각의 소정의 잇따른 변경은 대응하는 고정 데이터 시점과 관련하여 나타내어진다.
데이터 편집 수단은, 상기 처음 처리 기간에 이어서, 갱신된 원정보의 세트가 상기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수신될 때, 상기 갱신된 원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프로그램명을, 정보 제공 장치의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되었던 상기 제 1 데이터에 포함된 프로그램명과 비교하고, 소정의 새로운 프로그램명을 검출해서, 각각의 상기 새로운 프로그램명 및 모든 대응하는 속성 정보를, 상기 제 2 데이터의 일부인 새로운 프로그램 데이터 기록으로서,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하도록 작용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따르는 정보 제공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 시스템 블록도로서,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을 도시한 시스템 블록도로서, 정보 수신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상기 실시예에서 이용된 고정(framework) 데이터의 일부 세트예를 도시하는 테이블.
도 4는 상기 실시예에서 이용된 변동 데이터의 일부 세트예를 도시하는 테이블.
도 5는 도 4의 변동 데이터가 도 3의 고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출되는 것으로, 상기 실시예에서 이용된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의 일부 세트예를 도시하는 테이블.
도 6은 하나의 프로그램 데이터 유니트(하루의 한 텔레비전 채널의 프로그램 스케쥴 데이터)에 대한 고정 데이터, 새롭게 취득한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 최종 변동 데이터 간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주(week)들의 각 쌍들에서의 한 프로그램 데이터 유니트에 대한 후보고정 데이터의 연속 세트들을 도출해내는 알고리즘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8은 새롭게 취득한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를 고정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변동 데이터를 도출해내는 알고리즘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9는 고정 데이터와 변동 데이터를 조합함으로써 프로그램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알고리즘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보 제공 장치 2 : 정보 수신 장치
3 :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 취득부 5 : 데이터 편집부
6, 12 : 프로그램 데이터 저장부 7 : 데이터 배송부
8 : 수신부 9 : 제어부
11 : 수신부 12 : 프로그램 저장부
13 : 데이터 재구성부 14 : 표시부
15 : 조작부 17 : 관리 데이터 변환부
19, 20 : 속성 데이터 저장부 21 : 배송 경로 결정부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기술한다. 먼저, 정보 제공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정보 제공 시스템은 하나의 정보 제공 장치 및 복수의 정보 수신 장치로 구성된다고 가정한다. 상기 복수의 정보 수신 장치는 통신 네트워크나 데이터를 전송(轉送)하는 다른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제공 장치와 각기 통신할 수 있다. 단지 이 정보 수신 장치들중의 하나만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설명되어 있다. 하기의 실시예들에서, 전술한 제 1 데이터는 타이밍 기준 목적을 위한 기본적인 프레임워크로서 이용되는 각각의 시각값을 포함하며, 고정(framework) 데이터로서 언급될 것이고, 반면에 전술한 제 2 데이터는 변동 데이터로서 언급될 것이다.
도 1은 정보 제공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로서, 정보 제공 장치가 정보 제공 시스템을 형성하도록 접속되어 있고, 정보 제공 장치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도면 부호 1은 정보 제공 장치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2는 정보 수신 장치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18은 정보 제공 장치(1) 및 정보 수신 장치(2) 간에 데이터를 전송(轉送)하는 수단을 나타내고, 이 수단(18)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를테면 인터넷 등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또는 텔레비전 방송 네트워크를 통한 경로 등과 같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고, 하기의 설명에서는 전송 경로로서 간단히 나타낸다. 그러나, 정보 제공 장치(1)로부터 데이터를 정보 수신 장치(2)에 전송하거나, 다른 유형의 데이터를 각각 정보 제공 장치(1)로부터 정보 수신 장치(2)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전송 경로(18)를 실행하는 다른 방법들을 각각 이용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정보 제공 장치(1)에서는,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 취득부(3)가 외부 소스(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원정보를 취득하도록 한다. 본 정보 제공 시스템예의 기능은, 정보 수신 장치(2)로부터 정보 제공 장치(1)로 전송되는 요청에 응답하여, 텔레비전 방송 스케쥴 데이터로 이루어진 정보를 각 정보 수신 장치에 공급하는 것이라고 가정한다. 하기에서, 이러한 정보 제공 시스템을 위한 원정보를 구성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스케쥴 데이터는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로서 언급한다.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프로그램"이란 용어는, 다른 경우에서 언급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는 예를 들면 뉴스 프로그램이나 영화 등과 같은 방송 프로그램의 의미로만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한다. 다시 말해서,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는 데이터 아이템의 세트로 구성되고, 각각의 이 데이터 아이템은, 적어도 방송의 시간폭(또는 종료 시각) 및 시작 시각을 포함하여, 프로그램의 방송에 대한 복수의 속성과 관련한 정보 및 프로그램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는 예를 들어 매주 1회씩, 주기적으로 갱신된다. 도면 부호 4는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 취득부(3)에 의해 취득되는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보존하는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 레지스터를 나타낸다. 5는 데이터 편집부를 나타내며, 이 데이터 편집부의 기능은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 취득부(3)에 의해 얻은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를 편집하는 것으로,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를 전술한 고정 데이터 및 변동 데이터로 분리하고, 그 후에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의 갱신된 세트가 얻어질 때마다 저장된 변동 데이터를 갱신하고, 또한 그러한 데이터를 정보 수신 장치에 전송해야 하는 경우에 프로그램 데이터 저장부(6)로부터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독출한다. 데이터 저장부(6)는 데이터 편집부(5)에 의해 생성되는 고정 데이터 및 변동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 배송부(7)는 필요한 경우 데이터를 정보 수신 장치(2)에 배송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수신부(8)는 정보 수신 장치(2)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한다. 제어부(9)는 데이터 편집부(5) 및 데이터 배송부(7) 등에 의해 행해진 각각의 처리를 전체적으로 제어하고, 가급적이면 프로그램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이 실행된다.
데이터 저장부(6)는 고정 데이터를 보존하는 고정 데이터 저장부(6A) 및 변동 데이터를 보존하는 변동 데이터 저장부(6B)로 구성된다. 프로그램 데이터(고정 데이터 및/또는 변동 데이터)를 정보 수신 장치(2)에 전송하도록 하는 처리가 행하여질 때마다 데이터 배송부(7)는 해당 배송 기록을 배송 기록 저장부(7A)에 저장한다. 즉, 데이터 배송부(7)는 정보 수신 장치(2)에서 보존중인 프로그램 데이터의 갱신에 대한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기록을 유지한다. 정보 제공 장치(1)는 속성 데이터 저장부(20) 및 배송 경로 결정부(21)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들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각기 기술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정보 수신 장치(2)를 상세히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면 부호 11은 정보 수신부를 나타낸다. 이 수신부(11)는 정보 제공 장치(1)로부터 상기 정보 수신 장치(2)로 배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작용하며, 데이터 저장부(12)가 이 수신된 데이터를 보존한다. 데이터 재 구성부(13)는 프로그램 데이터 저장부(12)에 보존되어 있는 고정 데이터 및 변동 데이터의 선택된 부분에 대해 필요한 경우에 전술한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의 원하는 부분을 재구성하도록 동작한다. 표시부(14)는 데이터 재구성부(13)에 의해 재구성되는 데이터를 표시한다. 표시부(14)의 기능에 대해 적용되는 "표시"란 용어는, 예를 들면, 가시적으로 표시된 문자나 그래픽, 및/또는 음성적 출력과 같이, 데이터를 이용자에게 출력시키는 일반적인 개념을 포괄적으로 포함시키고자 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조작부(15)는 정보 표시 명령 등의 데이터나 명령을 상기 시스템에 입력시키고자 주로 이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송부(16)는 전송 경로(18)를 통해 정보 제공 장치(1)에 그와 같은 명령을 전송하는 작용을 한다.
데이터 저장부(12)는, 정보 제공 장치에 역시 저장되어 있는 고정 데이터를 보존하는 고정 데이터 저장부(12A)와, 정보 제공 장치에 현재 저장되어 있는 변동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보존하는 변동 데이터 저장부(12B)와, 고정 데이터저장부(12A) 및 변동 데이터 저장부(12B)의 내용을 관리하는데 이용된 관리 데이터를 보존하는 관리 데이터 저장부(12C)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 저장부(12)는 관리 데이터 변환부(17)에 접속되어서, 고정 데이터나 변환부(17)가 정보 제공 장치(1)로부터 수신되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고정 데이터 저장부(12A) 및 변동 데이터 저장부(12B)에 대한 관리 데이터를 변경한다. 정보 제공 장치(1) 및 정보 수신 장치(2)는 전송 경로(18)를 통해 접속되고, 이 전송 경로(18)는 전체 정보 제공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는 경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송 경로(18)는, 전용 라인이나 공중 전화 시스템으로 형성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지상 무선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 위성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 등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송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데이터는 문자 데이터를 텔레비전 신호의 수직 회귀 시간(vertical blanking interval) 내로 삽입함으로써 이용자에게 배송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전송 경로(18)는 광학식 디스크, 자기 디스크 등등의 휴대용 데이터 저장 매체에 의해, 또는 앞서 논의한 방법들중 임의의 방법과 이런 방법과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정보 수신 장치(2)는 또한 속성 정보 저장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장치에 관련된 속성 정보 및 상기 장치의 이용자에 관련되는 속성 정보를 저장하게 한다. 즉, 속성 정보 저장부(19)는, 정보 수신 장치(2)의 자신의 속성(예, HTML 데이터 수신 능력, 전체 색표시 동작 능력, 각종 데이터 저장 영역의 크기, 연산 성능의 레벨, 접속되는 매체의 종류, 상기 장치용 전원이 ON 상태로 계속 유지되는지의 여부, 시계/날짜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 등), 이용자 속성(예, 연령, 성, 직업, 주소, 출생지, 가족 구성, 등, 취미, 구독 잡지, 기호 식품, 자주 액세스하는 데이터 디스플레이 페이지, 등), 동작 특성, 등을 저장하고, 또한 요청과 관련되는 정보(예, 요청이 상기 장치로부터 자주 전송되는지의 여부, 유사한 요청이 항상 전송되는지의 여부, 등)를 보존할 수도 있다. 조작부(15)를 통해 이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속성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이후에, 이러한 데이터가 조작부(15)로 부터 이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명령에 응답하여 전송부(16)에 의해 전송 경로(18)를 통해서 독출되어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이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프로그램 데이터에 대한 요청의 내용이 정보 제공 장치에 전송될 때에 속성 데이터가 독출되어 상기 요청 내용에 첨부되도록 정보 제공 장치가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속성 데이터가 정보 수신 장치(2)로부터 수신되는 경우에, 정보 제공 장치(1)는 상기 속성 데이터를 속성 정보 저장부(20)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특징은, 각기 상이한 종류의 데이터가, 즉 고정 데이터 및 변동 데이터가 각각 상이한 전송 경로를 통해 이용자에게 배송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고정 데이터는 인터넷을 통해 배송되고, 변동 데이터는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을 통해 배송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정보 제공 장치(1)로부터 정보 수신 장치(2)로 데이터를 배송하는데 이용되는 전송 경로(18)는 상기의 특정 정보 수신 장치(2)의 속성에 따라서 결정될 수도 있다. 이런 특징은 정보 제공 장치(1)의 배송 경로 결정부(21)에 의해 제어되며, 이 배송 경로 결정부(21)는 정보 수신 장치에 대한 장치 속성 정보 및/또는 전송되는 데이터의 종류(고정 데이터나변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데이터 저장부(6)에 보존되어 있는 상이한 종류의 데이터의 각각의 전송 경로(18)를 결정한다.
유의점은, 정보 제공 장치(1) 및 정보 수신 장치(2)의 데이터 저장부(6, 12) 내에 속성 정보 장부(19) 및 속성 정보 저장부(20)를 각각 형성하는 것이 똑같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정보 수신 장치(2)가, 고정 데이터 저장부(12A)와, 변동 데이터 저장부(12B)와, 관리 데이터 저장부(12C)를 포함하고, 데이터 재구성부(13) 및 조작부(15)가 각기 독립적으로 형성되므로, 표시 방법 및 조작 방법은 각기, 정보 수신 장치의 특정 구성이나 특정 이용자의 요구에 적합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표시 방법을 스위칭하는 예로서, 하나의 표시 페이지에 리스트되어 있는 방송 채널의 수, 또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한 문자들의 수, 또는 표시된 데이터의 배경 패턴이나 문자색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조작 방법을 스위칭하는 예로서, 데이터가 HTML 형식으로 표시되는 경우에, HTML 제어에 이용된 표시된 버튼의 수와 구성, 또는 이용자가 표시된 버튼을 작동시킬 때 행하여지는 동작, 또는 특정 버튼을 작동시킴으로써 선택 가능한 정보 소스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실제 예로서, 정보 수신 장치(2)의 이용자가 "가시화 모드"의 메뉴로부터 상기 이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가시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실시예를 구성할 수가 있다. 메뉴 내용들은 신문 텔레비전 프로그램 스케쥴과 유사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거나(이러한 구성은 상기 시스템을 이용하는데 아직 익숙하지 않은 이용자에게 적합함), 또는 메뉴 내용들은 선행 아이템으로부터 시작하여 아이템들의 리스트로서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이러한 구성은 고레벨의 기능을 갖지 않는 수신 장치의 유형인 경우에, 충분한 동작 속도를 얻는데 적합함).
본 실시예에서는, 이용할 수 있도록 정보 수신 장치(2)에 의해 현재 선택되는 표시 방법 및 조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정보 역시 장치 속성 정보의 일부로서 정보 제공 장치(1)에 전송되어 속성 데이터 저장부(20)에 저장되며, 이로써 정보 제공 장치(1)는 상기 정보 수신 장치(2)에 의해 이용을 위해 현재 선택되는 표시 방법 및 조작 방법과, 정보 수신 장치(2)로 전송될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드를 매칭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용자에 의해 현재 선택되는 표시 방법 및 조작 방법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속성 데이터 저장부(19)의 영역에 저장되고, 상기 정보중 임의의 것이 변경될 때마다 갱신된다. 이러한 변경이 이루어질 때마다, 갱신된 데이터는 전송부(16)에 의해 정보 제공 장치(1)로 전송되고 속성 데이터 저장부(20)의 영역에 저장되어, 속성 데이터 저장부(20)에 보존되어 있는 장치 속성 데이터의 다른 유형에 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정보 제공 장치(1)의 제어부(9)에 대해 유효하게 된다.
이제 이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전송 경로(18)를 구현하기 위해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텔레비전 프로그램 스케줄 정보(이하, 프로그램 정보로 간단하게 언급함)를 제공하고, 정보 제공 장치(1)는 프로그램 정보의 소스로부터 주기적으로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의 갱신된 세트를 취득한다고 가정한다. 통상적으로,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의 상기 세트는 연속하는 주의 기간 동안 복수의 텔레비전 채널의 각각에 대한전체 프로그램 스케쥴 데이터로 구성되겠지만, 실시예는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의 이러한 규칙적인 취득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갱신된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가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 취득부(3)에 의해 취득되면, 그 데이터가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 레지스터부(4)에 주기적으로 저장된다. 예를 들어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 취득부(3)는 프린트된 데이터를 주사하고 분석하여 현재의 프로그램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장치, 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 분배 장치로부터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를 얻을 수도 있다.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는, 텔레비전 채널 번호, 프로그램 방송의 시작 시간 및 방영 시간, 출연자명, 프로그램 내용의 간단한 설명, 및/또는 기타 다른 프로그램 속성(예, 프로그램이 특정 프로그램인지의 여부에 따라 스포츠 프로그램, 드라마 프로그램 등을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고정 데이터 저장부(6A)에 저장되는 고정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긴 처음 처리 기간에 걸쳐, 예를 들면 2개월이나 6개월의 기간 동안에,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 레지스터(4) 내에 기입되는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의 연속하는 세트에 대해 분리 처리의 처음 동작이 행해진다. 고정 데이터를 선택하는데 각종 형태의 선택 조건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는, 처음 처리 기간 내내, 변동이 없이 표시하거나 다만 소정량의 변동을 표시하는 현재 프로그램의 상기와 같은 부분들로서 고정 데이터가 선택된다고 이하에서 가정한다. 또한, 고정 데이터는, 처음 처리 기간 내내, 겨우 소정의 횟수로 변화되는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의 상기 부분들로서 선택될 수 있다(예를 들면 텔레비전 프로그램 스케쥴이 특별한 환경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변경될 수도 있기 때문).
일단 고정 데이터가 확립되어 저장되면, "고정 데이터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는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의 상기 부분들"이란 정의를 충족하는 데이터로서 변동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변동 데이터는 먼저, 상기 조건을 충족하는 모든 프로그램 데이터를 찾도록 가장 최근에 취득한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를 고정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얻어진다(그 후에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가 새롭게 취득될 때마다 매번 연속적으로 갱신됨).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가 방송 텔레비전 프로그램 스케쥴 데이터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고정 데이터는 처음 처리 기간 내내 매주의 정해진 날짜에 정해진 시간에 방송되는 각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로서 선택된다. 또다른 가정은, 이러한 프로그램이 계획대로 시작해야 하는 시각(매 방송 날짜에)은, 비록 상기한 바와 같이 임의의 프로그램의 실제 시작 시각 및/또는 방송 기간이 예를 들어 새로운 특별 취재를 방송해야할 필요로 인해 일시적으로 변경될 수도 있을 지라도, 기본적인 기준 시각으로서 이용된다고 가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정 데이터 기록이 있는 각각의 프로그램 방송은, 계획대로 정해진 시작 시각 및 방송 기간을 갖고, 고정적으로 지정된 프로그램명으로 식별되지만, 실제로는 임의의 속성(시작 시각, 프로그램 기간, 등을 포함)이 방송중에 변경될 수도 있다. 따라서 매주 특정한 날에 특정한 텔레비전 채널로 정해진 시간에(계획대로)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경우에, 그런 프로그램의 시작 시각은 프로그램명, 및 고정 데이터의 일부분으로서 확립된 상기 프로그램의 기타 다른 속성과 관련하여 고정 데이터 기록으로 고정 데이터 저장부(6A)에 저장된다. 이들 속성에 임의의 변동이 연속하여 발생하면, 이러한 변동을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프로그램에 대한 변동 데이터 기록으로서 변동 데이터 저장부(6B)에 저장된다.
일반적으로 변동 데이터는, 주중에 변경되는 프로그램 스케쥴 데이터, 이를테면, 단 1회 또는 소수 회로 방송되는 프로그램 등의 특별 프로그램 관련 정보, 또는 정규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방영 관련 정보(예, 정규 주간 영화 프로그램의 방영을 위한 영화 제목 및 출연자명) 등으로 이루어진다. 후자의 예에서,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 및 제목은 고정 데이터로서 고정 데이터 저장부(6A)에 저장될 것이고, 다른 속성들은 변동 데이터로서 변동 데이터 저장부(6B)에 저장되고 매주 변경될 것이다.
또한, 변동 데이터를, 각각 상이한 데이터 카테고리로서 처리되어 저장되는 다수의 분리 레벨로, 즉 예를 들면 매일 또는 매주 정기적으로 방송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변동 데이터(이를테면 방영 제목, 출연자명 등)의 레벨 및 특별(임시) 프로그램의 변동 데이터의 레벨로 분할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 경우에, 변동 데이터 저장부(6B)는 분류 레벨에 따라 복수의 섹션들로서 구성될 것이고, 변동 데이터 저장부(6B)의 내부 저장 영역은 복수의 서브영역으로 분할된다.
처음 처리 기간 동안에, 고정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현재의 프로그램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편집부(5)에 대해 다양한 방법들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행하는 예를 들면, 한 주 동안에 프로그램에 대한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의 비트를 후속하는 주 동안에 상기 프로그램에 대한 해당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를 나타내는 비트와 비교함으로써 그 차이를 추출해내거나, 또는 프로그램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분석하여 그 차이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용자로부터 전송된 프로그램 데이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데이터 편집부(5)는, 상기 이용자 및/또는 이 이용자가 사용중인 정보 수신 장치의 특정 속성들에 따라서 실제로 배송되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결정하도록 동작한다. 이러한 편집 동작은, 속성 데이터 저장부(20)에 저장되는 정보, 즉 상기 장치의 속성 및 이용자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편집부(5)에 의해 실행된다. 그런 경우에, 적절한 속성 정보(상기 특정 이용자 및 이 이용자가 사용하는 정보 수신 장치에 대한 속성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속성 정보 저장부(20)로부터 독출되고, 이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편집부(5)는 이용자에게 배송될 적절한 프로그램 데이터의 선택 방법을 판정한다. 예를 들면, 특정 정보 수신 장치의 경우에, 이용자 특성(속성 데이터 저장부(20)의 내용에서 제시되는 바와 같이)이 "이용자는 남성, 연령은 45세"이라는 것을 알게 될 것이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이용자의 경우에 비즈니스 관련 정보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동작할 것이다. 또는, 요청하는 이용자가 젊은 여대생인 경우, 데이터 편집부(5)는 그러한 여대생들 사이에서 인기있는 프로그램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우선권을 부여할 것이다.
정보 수신 장치(2)에 의해 이용자에게 전송될 프로그램 데이터의 종류 및 등급을 이와 같이 상세하게 선택하는 것 이외에, 데이터 편집부(5)는 또한 프로그램 데이터와 더불어 표시 관련 정보를 배송하여서, 수신된 프로그램 데이터를 표시할때에 정보 수신 장치의 표시부(14)에 의해 생성될 표시 화상(즉, 표시 페이지)의 전체 구성을 변경하므로, 요청하는 이용자의 속성에 따라서 소정의 방식으로 표시 화상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편집부(5)는 이용자가 요청하는 특정 정보에 따라서 이용자에게 배송되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편집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출연자에 관한 부가적인 상세한 프로그램 정보는 프로그램 데이터 저장부(6)로부터 적절한 프로그램 속성 정보를 독출해냄으로써 이용자로부터의 그러한 요청에 응답하여 배송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수신 장치(2)의 장치 속성이 이 장치가 저레벨의 기능만을 가진 장치임을 나타내는 것을 속성 데이터 저장부(20)의 내용으로 결정하는 경우에, 데이터 편집부(5)가 소량의 표시 내용만을 가진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상기 정보 수신 장치에 전송될 프로그램 데이터를 편집하고, 마찬가지로 정보 수신 장치(2)가 고기능임을 장치 속성 정보가 나타내는 경우에는 표시 내용에 있어 가치가 있도록 편집된 프로그램 정보가 전송되도록, 데이터 편집부(5)를 구성할 수가 있다.
또 다른 방안으로서, 정보 수신 장치의 장치 속성이 이 장치가 시계/날짜 기능을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정보 수신 장치(2)의 시계/날짜 기능을 갱신하는데 이용하는 시간 데이터가, 정보 제공 장치(1)로부터 정보 수신 장치(2)로 주기적으로 배송되도록 데이터 편집부(5)를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시스템은 이용자 속성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이용자의 정보 수신 장치로 전송될 프로그램 데이터를선택할 때에 상기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런 경우에, 상기 시스템 자신은, 이용자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자의 예상 선호도에 관하여 가정을 한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의 변형예가 가능하므로, 정보는 상기 시스템에 의해 취득되어 저장될 수 있고, 이용자 자신에 의해 지정되는 바와 같이 각 이용자의 개별적인 선호도, 즉 개별화된 이용자 속성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것은 개별화된 데이터로서 이하에서 간단히 언급될 것이다. 이것은 또한 속성 데이터 저장부(20)에 저장된다. 그런 경우에, 제어부(9)는, 특정 이용자에 대한 개별화된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이용자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할 때, 프로그램 데이터 선택 및 전송 경로 선택의 처리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개별화된 데이터의 각기 상이한 세트를 확립할 수 있는 이용자는 다음과 같을 수 있을 것이다.
A형 이용자: (통신료 중시형)
이런 이용자에 대한 개별화된 데이터는 전송된 프로그램 데이터가 이용자의 전화 요금을 최소화하도록 선택되어야함을 나타낸다. 또한, 정보 제공 장치(1)로 부터 정보 수신 장치(2)로의 프로그램 데이터의 다운로딩은 정보 제공 장치(1) 자신에 의해 가능한 한 초기화될 것이므로, 이용자가 정보 제공 장치로 요청을 전송해야하는 필요성을 최소화한다. 또한, 이용자에게 비용을 한층 더 경감시켜주기 위해,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에 광고를 삽입할 수도 있다.
B형 이용자: (최신 정보 중시형)
중요성이 최신 데이터에 부여된다. 프로그램 데이터의 갱신을 이용자에게 배송하는 것은 정보 제공 장치(1) 자신의 초기화로 실행된다(갱신된 현재 프로그램데이터가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취득될 때마다).
C형 이용자: (특정 목적 지향형)
프로그램의 종류, 방송 날짜, 방송 시간 범위, 출연자 등과 관련하여, 다양한 특성이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정보를 제공하는데 우선도가 부여된다.
따라서, 상기 방식으로 상기와 같이 개별화된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시스템은, 이용자에 의해 전송될 상세한 프로그램 데이터의 적절한 종류 및/또는 등급, 또한 각 이용자에 프로그램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경로의 적절한 유형, 이용자의 정보 수신 장치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갱신하는 주파수 등을 선택 함으로써, 개별적인 이용자의 요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다.
특정 이용자에게 개별화된 데이터의 세트를 할당하기 위해서, 이용자는, 정보 제공 장치(1)로 전송되도록 정보 수신 장치(2)의 조작부(15)를 통해서 소정의 선호 정보를 미리 입력해야 하므로, 상기 이용자를 위한 해당 개별화된 데이터는 속성 데이터 저장부(20)에 저장된다. 상기 시스템이 그러한 정보에 대해 이용자를 고무시키도록 다양한 구성이 쉽게 실행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단 상기와 같은 개별화된 데이터 세트를 이용자를 위해 취득하면, 데이터 편집부는 그 이후에, 상기 개별화된 데이터의 내용에 따라서, 예를 들면 프로그램 정보 요청을 이용자가 입력할 때마다 특히 소정 종류의 프로그램에 관련되는 상세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이용자의 정보 수신 장치에 전송되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선택을 변경할 것이다.
전술한 처음 처리 기간이 종료되고 나서, 정보 제공 장치(1)의 데이터 저장부(6)에 각각 저장되어 있는 고정 데이터 및 변동 데이터로, 상기 정보 제공 장치(1)로부터 정보 수신 장치(2)로의 데이터의 배송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처음에, 이용자가 특정 프로그램 스케쥴 정보를 표시하라는 요청을 정보 수신 장치(2)에 입력하는 경우에, 이 정보가 현재 유효한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출될 수 있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먼저, 본 실시예에서는 갱신된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가 정보 제공 장치(1)에 의해 취득되고 이에 따라서 변동 데이터 저장부(6B)에 보존된 변동 데이터가 갱신되는 경우에, 변동 데이터 저장부(12B)에 보존된 변동 데이터를 갱신하도록, 갱신 데이터는 정보 수신 장치(2)에 자동적으로 전송되지 않음을 가정한다. 그런 이유로, 특정 프로그램 데이터의 표시를 위한 그러한 요청이 이용자에 의해 정보 수신 장치(2)로 입력되면, 그 요청의 내용은 전송 경로(18)를 통해 전송부(16)에 의해서 데이터 배송 요청으로서, 정보 제공 장치(1)의 수신부(8)로 전송된다.
그 때에, 전송부(16)는 그러한 데이터 배송 요청에 부가적으로, 정보 수신 장치(2) 자신에 관련된 전술한 속성 정보, 및/또는 이용자 속성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조작부(15)로부터 이용자가 입력한, 그러한 정보 전송(轉送)을 지정하는 명령에 응답하여, 속성 정보가 정보 수신 장치에 의해서 정보 제공 장치로 전송되도록 상기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데이터 배송 요청이 정보 제공 장치(1)의 수신부(8)에 도달되는 경우에, 제어부(9)는 요청받은 특정 프로그램 데이터를 지정하여, 데이터 배송부(7)에 통지해준다. 예를 들어, 요청의 내용은, "5월 21일의 텔레비전 채널 10의 전일 스케쥴" 또는 8월 22일의 주간 프로그램의 영화로서 상영될 영화의 제목"을 지정할 수 있을 것이다. 데이터 배송부(7)가 이러한 통지를 수신하면, 배송 기록 저장부(7A)가 먼저 탐색되어, 요청 정보 수신 장치로 이미 배송된 프로그램 정보를 시험한다. 이에 따라서 정보 제공 장치의 프로그램 데이터 저장부(6)에 현재 보존된 데이터와 관련하여, 정보 수신 장치의 프로그램 데이터 저장부(12)에 현재 보존된 데이터의 갱신 상태가 얻어진다. 결과적으로, 요청된 프로그램 데이터를 재구성하는데 필요한 임의의 데이터가 그 이용자에게 아직 전송되지 않았음(즉, 요청된 프로그램 데이터에 관한 최신 변동 데이터가 요청 정보 수신 장치에 저장되어 있지 않음)을 알게 되면, 그러한 잔존하는 변동 데이터는 고정 데이터 저장부(6)로부터 독출되고, 전송 경로(18)를 통해 정보 수신 장치(2)로 전송된다. 또한, 그에 따라서, 배송 기록 메모리부(7A)에 보존되어 있는, 그 정보 수신 장치(2)를 위한 배송 기록 데이터는 갱신된다.
다음으로, 정보 수신 장치(2)의 데이터 재구성부(13)는, 프로그램 데이터 저장부(12)로부터 적절한 고정 데이터 및 변동 데이터를 독출한 이후에, 요청된 프로그램 데이터를 재구성한다.
만일 다른 한편으로, 요청된 프로그램 데이터를 재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데이터가 이용자에 의해서 이미 상기 정보 수신 장치(2)로 전송된 것이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알려진다면, 데이터 배송부(7)는, 전송 경로(18)를 통해서 정보 수신 장치(2)로 배송되는 메시지만을 발생시키며, 요청된 프로그램 데이터를 재구성하기위해서는 프로그램 데이터 저장부(12)의 내용의 갱신이 불필요함을 통지해준다. 다음으로, 정보 수신 장치(2)는 프로그램 데이터 저장부(12)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고정 데이터 및 변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요청된 프로그램 데이터를 재구성한다.
프로그램 데이터가 정보 제공 장치(1)에 의해 전송될 때마다, 제어부(9)는, 요청 정보 수신 장치(2)에 관한 장치 속성 정보를 속성 정보 저장부(20)로부터 독출하고, 또한 전송될 프로그램 데이터의 종류, 즉 고정 데이터 또는 변동 데이터를 조사한다. 이로써 취득된 정보의 조합에 기초하여, 제어부(9)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배송하는 전송 경로(18)로서 이용될 특정 전송 경로(또는 경로)를 선택하도록 배송 경로 결정부(21)를 제어하는 적절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배송 경로 결정부(21)는 데이터가 전송될 상기 적절한 전송 경로(또는 경로)(18)를 확립한다. 전송 경로(18)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등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들중 어느 한 방식이나, 그러한 방식들을 조합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보 수신 장치(2)로부터의 프로그램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정보 제공 장치(1)가 상기 정보 수신 장치(2)에게 갱신된 변동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면, 배송된 변동 데이터가 정보 수신 장치(2)의 수신부(11)에 도달할 때 그 배송된 변동 데이터는 변동 데이터 저장부(12B)에 저장되어 일부 내용을 갱신한다.
그런 방식으로, 전송 경로(18)를 통해 전송되어야하는 데이터의 양을 최소화하면서, 이용자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에 대한 요청을 충족시킬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요청을 충족시키는데 요구되는 통신 시간을 단축시키고, 따라서 통신료를 절감시킨다.
게다가,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그러한 이용자의 요청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정보 제공 장치(1)로부터 정보 수신 장치(2)로 변동 데이터의 일부를 배송해야만 되므로(대개 고정 데이터는 긴 시간 주기 동안 일정하게 유지될 것이기 때문), 통상적으로는 정보 수신 장치(2)의 변동 데이터 저장부(12B)에 보존된 데이터가 변경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전체 데이터 처리 동작이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정보 수신 장치(2)는 고정 데이터 및 변동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저장부(12)에 저장하는 것뿐만 아니라, 정보 수신 장치(2)는, 프로그램 데이터 저장부(12)에 보존되어 있는 선택된 일부의 고정 데이터 및 변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데이터를 재구성하도록 데이터 재구성부(13)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동안에, 관리 데이터 저장부(12C)에 보존되어 예를 들어 동일 종류의 데이터(즉, 변동 데이터나 고정 데이터)를 함께 링크하는데 이용되는 관리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관리 데이터 저장부(12C)의 내용은 필요한 경우 관리 데이터 변환부(17)에 의해서 변경된다. 예를 들면, 변동 데이터 저장부(6B)로부터 독출된 변동 데이터만이 정보 수신 장치(2)에 배송되어 변동 데이터 저장부(12B)의 내용을 갱신하는데 이용되는 경우에, 관리 데이터 변환부(17)는 변동 데이터 저장부(12B)에 저장된 변동 데이터의 변화로 인해 관리 데이터 저장부(12C)에 보존된 데이터를 적절히 변환한다.
이용자가 조작부(15)를 통해 특정 프로그램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요청을입력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 데이터 저장부(12)의 내용을 갱신하도록 정보 제공 장치(1)로부터 임의의 필요한 데이터가 전송(轉送)된 이후에, 데이터 재구성부(13)는, 데이터 저장부(12)로부터, 저장되어 있는 고정 데이터와 변동 데이터와 관리 데이터의 필요한 부분들을 독출하고, 관리 데이터에 따라 고정 데이터 및 변동 데이터에 대해 동작하여 이용자에게 표시하기에 적합한 형식으로 요구된 프로그램 데이터를 재구성한다. 예를 들면, 최종적으로 재구성된 프로그램 데이터는 HTML 데이터 페이지의 형식으로 되어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생성된 프로그램 데이터는 표시부(14)에 전송되어 이용자에게 표시된다.
따라서, 정보 제공 장치가, 표시하기 위해 특정 구조로 배열된 임의의 데이터를, 이를테면 하이퍼링크에 의해 접속되는 다수의 HTML 페이지 등의 데이터를 정보 수신 장치에 전송은 것이 불필요하게 된 것은 본 발명의 또다른 기본적인 장점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처리는 데이터 저장부(12)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데이터에 대해 동작하여 정보 수신 장치에서 행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각각의 정보 수신 장치에 전송되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적당히 긴 시간의 주기 동안에, 이를테면 여러 주 동안에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 내에 프로그램 데이터가 규칙적으로 생기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예를 들면 그러한 긴 시간 주기 동안 내내 주의 같은 날 같은 시각에 방송되도록 동일한 프로그램(예, 동일한 제목의 프로그램)이 스케쥴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정보 제공 장치(1)에서 고정 데이터 및 변동 데이터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고 상술한 바와 같이 가정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 사용하기 위해 고정 데이터 및 변동 데이터를 분리하는 또다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처음 처리 기간 동안에, 취득된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는 하나의 저장부에 보존된다. 프로그램 데이터의 표시를 위한 요청이 정보 수신 장치에 입력되면, 그 요청은 정보 제공 장치에 전송되고, 이어 이 정보 제공 장치는 하나의 저장부로부터 상기 요청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프로그램 데이터를 정보 수신 장치로 전송한다. 처음 처리 기간 동안에는, 데이터 편집부(5)는, 프로그램에 관한 데이터가 정보 수신 장치로 전송되는 횟수를 각 프로그램에 대해 기록하도록 프로그램 데이터의 전송을 모니터하여, 이러한 전송이 처음 처리 기간 동안에 생기는 평균 주파수를 얻는다. 다음에 전송 주파수가 소정의 값을 초과하는지에 대한 데이터(즉, 특정 프로그램의 특정 방송 속성에 대한 정보)로서 고정 데이터가 선택되고,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의 남아 있는 부분들은 변동 데이터가 된다. 따라서, 그 다음으로 고정 데이터가 고정 데이터 저장부(6A)에 저장되고, 처음의 변동 데이터는 변동 데이터 저장부(6B)에 저장되며, 또한 각각의 정보 수신 장치에 전송되어, 고정 데이터 저장부(12A) 및 변동 데이터 저장부(12B)에 각각 저장된다.
그 후에, 이런 실시예의 동작은 앞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다. 이러한 실시예는, 이용자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도록 정보 수신 장치에 전송되어야 하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양을 최소화함으로써 앞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유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이 분명하다.
일반적으로, 고정 데이터는 적어도 다음과 같은 종류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1) 예를 들면 매주 같은 날 같은 시각에 방송되는 프로그램 등의 매 정규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시각 및 방송 시간폭(또는 시작 시각 및 종료 시각)을 적어도 포함하는 명칭 및 속성 데이터.
이와 유사하게, 일반적으로 변동 데이터는 적어도 다음을 포함할 것이다:
(1) 고정 데이터 기록 및 변동 데이터 기록을 갖고 있는 각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명 및 속성 데이터. 이 속성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정규 프로그램의 시작 시각 및 시간폭을 변경하는, 다시 말해서 고정 데이터에 지정되어 있는 값들에 관한 양을 대체함으로써 변경하는 데이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변동 데이터는, 고정 데이터가 먼저 생성되어 저장된 이후에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에 의해 전달되는 것으로서, 프로그램 스케쥴에 변동이 생길 때마다 생성된다. 속성 데이터는 또한 예를 들어, 정규 프로그램의 한 특정 방영에 출연하는 출연자들의 이름, 방영 제목(이를테면 영화 제목),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2) 각각의 신 프로그램(즉, 고정 데이터로 기록이 존재하지 않는 프로그램)에 대해, 상기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명 및 모든 속성 정보.
고정 데이터 및 변동 데이터는 각각의 테이블 형태로 저장될 수도 있고,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데이터 기록은 이러한 테이블의 한 행으로 구성된다. 고정 데이터의 경우에, 이러한 테이블에 대한 일부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그 예 및 다음의 설명에서, 하나의 가정은, 일단 고정 데이터가 상술한 바와 같이 생성되어 고정 데이터 저장부(6A)에 저장되면, 고정 데이터로 리스트에 있는 시작 시각은 고정 기준 시각으로서 이용한다(다음 번에 고정 데이터가 새롭게 생성되어 저장될 때까지)고 가정한다. 즉, 임의의 프로그램의 시작 시각 및 종료 시각은, 정규 프로그램의 실제 시작 시각 및/또는 방송 시간폭이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히 변경된 그 정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인지의 여부와는 상관없이, 고정 데이터로 리스트에 기입되어 있는 각각의 시작 시각과 관련하여 각각 정의된다.
도 3에서 도시되어 있는 고정 데이터 기록 세트의 일부예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변동 데이터 기록 세트의 그 해당예에 관해 언급함으로써 상술한 바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 3의 테이블에서, 4개의 정규 프로그램의 방송이 매주 월요일 각각의 시각, 04:30, 20:00, 22:00, 22:30에 시작되고, 그 시간폭은 60분, 120분, 30분, 60분이며, 테이블에 도시되어 있는 각각의 프로그램명으로 구별한다고 가정한다. 도 4의 테이블에 있어서, 정보 제공 장치(1)의 변동 데이터 저장부(6B)에 보존되어 있는 변동 데이터의 현재 상태에서, 한 프로그램(프로그램 명 : "Monday Night Movie")의 방송 시간폭이 15분 늘어났고, 그 결과, 후속 프로그램("News Summary")의 시작 시각이 그에 따라 15분 지연되어 22:15로 되었고, 그 시간폭이 15분 단축되었다고 가정한다. 또한, 프로그램("Monday Night Movie")의 방영에 할당되어 있는 제목이 "Lost Horizon"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에 대한 변동 데이터 기록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간단한 예로서, 데이터 재구성부(13)는, 변동 데이터에 부여되는 우선도에 따라, 프로그램 데이터 저장부(12)에 보존된 변동 데이터 및 고정 데이터의 관련 부분들을 조합함으로써 11월 12일 월요일에 정확하게 갱신된 프로그램 정보를 정확하게 재구성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특별 방송을 위해 프로그램 데이터를 재구성할 때에, 해당 변동 데이터가 존재하고 있으면, 변동 데이터 기록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속성을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에 대한 변동 데이터 기록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해당 고정 데이터 기록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데이터 아이템과 더불어, 최종의 재 구성된 데이터 기록을 발생시킨다.
고정 데이터 및 변동 데이터가, 프로그램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에, 각각 생성되어 이용되는 방식이 도 3 내지 도 5의 테이블 예를 또다시 이용하여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는, 고정 데이터 및 변동 데이터가, 하나의 텔레비전 채널에 대해, 그 주(week)의 하루 온종일의 텔레비전 방송 스케쥴에 적합한 각각의 데이터 세트로서 처리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매일매일의 데이터 세트는 프로그램 데이터 유니트로서 하기에서 언급된다. 도 3(테이블)의 최좌측열은 고정 데이터 시점의 리스트이고, 이 고정 데이터 시점중 첫 번째는 그 날의 첫 프로그램의 시작 시점을 나타내고, 테이블의 각 행(기록)은 시작 시각으로서 해당 고정 데이터 시점으로 할당하는 프로그램의 속성을 나타낸다. 프로그램 종료 시각보다는 오히려 각 프로그램의 시간폭이 고정 데이터로 지정된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프로그램 종료 시각이나 시간폭중 어느 것이든지 고정 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프로그램 시간폭" 및 "프로그램명" 속성만을 나타냈지만 각종 다른 속성들이 임의의 프로그램에 기입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같은 프로그램 데이터 유니트를 위한 해당 변동 데이터가 도 4의 테이블에 도시되어 있다.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기록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이러한 변동데이터 테이블로 나타난다:
(a) 고정 데이터에 상기 프로그램에 대한 기록이 있고, 상기 프로그램에 대한 임의의 속성의 변경이나 부가가 있게된 경우, 또는
(b) 프로그램이 새롭게 부가되어서 고정 데이터에 해당 기록이 없는 경우이다. 이런 예에서, 고정 데이터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변경이 생겼다고 가정한다:
(1) 한 프로그램(프로그램명 : "Monday Night Movie")의 시간폭이 변경(늘어남)되었고, 속성이 부가됨(즉, 방영 제목).
(2) 후속 프로그램의 시작 시각이 변경(지연됨)되었고, 그 프로그램의 시간 폭이 변경됨(단축됨).
(3) 새로운 프로그램("Evening Talk Show")이 삽입됨. 이런 경우에, 변동 데이터 기록은 시작 시각을 포함한 그 프로그램의 모든 속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는 갱신된 변동 데이터를 구성하며, 이 갱신된 변동 데이터는, 프로그램 데이터 유니트에 대한 새로이 취득된 현재의 프로그램 데이터에 기초하여 데이터 편집부(5)에 의해 갱신이 행해질 때 정보 제공 장치(1)의 변동 데이터 저장부(6B)에 저장된다. 도 5는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예의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는 도 3의 고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 4의 변동 데이터로 된다. 도 5에 도시된 정보는, 변동 데이터의 각 데이터 요소에 우선도를 할당함으로써 도 4의 변동 데이터와 도 3의 고정 데이터를 조합하여 재구성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Evening Talk Show" 등의 새로운 프로그램이 고정 데이터 시점이 아닌 시작시각, 예를 들어 22:45를 갖게 됨을 유의한다. 그런 경우에는, 시작 시각은, "시작 시각" 엔트리를 다시 이용함으로써, 하지만 그 프로그램에 대한 "시작 시각 변동량" 엔트리에 "+15"의 값을 삽입함으로써 고정 데이터에 관련하여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모든 변동 데이터 시간 정보가 고정 데이터 시점과 관련하여 지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고정 데이터의 시각이 변동 데이터를 갱신하는데 이용되는 방식은 도 6에 도시된 타이밍예에 대해 언급함으로써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 부호 (A)는 처음 시각(t1)(그 날의 첫 번째 프로그램의 시작 시각)으로부터 (tn)(그 날의 최종 프로그램의 종료 시각)까지 연장되는 프로그램 데이터 유니트에 대한 고정 데이터 시점의 시퀀스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원래의 고정 데이터에서, 세개의 프로그램(Pab, Pbc, Pcd)은 각각 시각(tA-tB, tB-tC, tC-tD)으로부터 연장된다. 이어서, 변동 데이터의 제 1 세트가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 유니트를 위해 생성될 때에,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 및 고정 데이터 간의 유일한 차(시각에 관련하여)는, 프로그램(P1)이 (tA)로부터 (tB)에 이어 15분 뒤의 시각, 즉 (tA+15)까지 연장되고, 프로그램(P2)이 (tA+15)로부터 (tC)에 앞서 45분 이전의 시각, 즉 (tC-45)까지 연장되며, 프로그램(P3)이 (tC-45)로부터 (tC) 이후에 5분 뒤의 시각, 즉 (tC+5)까지 연장되고, 시각(tD)에서 종료되는 것이라고 가정한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프로그램(P2)의 시작 시각은 고정 데이터 시점(tB)으로 맞춰지고, 프로그램(P3)의 시작 시각은 고정 데이터 시점(tC)으로 맞춰진다. 또한, 두 프로그램(P3, P4)의 변동 데이터 시작 시각은 이제 같은 고정 데이터 시점(tC)으로 맞춰진다.
결과적으로, 고정 데이터는 프로그램 시작 시각(tA, tB, tC, tD)의 시퀀스를 포함하고, 변동 데이터는 시작 시각(tB+15, tC-45, tC+5)의 시퀀스를 포함한다.
프로그램(P1, P2, P3, P4)중 어떤 프로그램이 새로운 프로그램인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시작 시각 및 전체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기록은 각각의 상기와 같은 프로그램의 변동 데이터의 일부가 될 것이다. 그러나, 만일 예를 들어 프로그램(P3)이 시작 시각이 앞당겨지고 프로그램 시간폭이 늘어남에 따라, 실제로 프로그램(Pcd)이 되는 경우, 시작 시각의 그러한 변동(-45분) 및 시간폭의 변동을 지정하는 해당 기록이 변동 데이터에 나타날 것이다.
도 6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로그램 데이터 유니트(즉, 하루 동안에)에 대한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의 전체 세트, 또는 하루의 일부분만을 커버하는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를 토대로 한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에 대한 변동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가 도 6의 프로그램(P1, P2, P3, P4)에 관한 정보만으로 구성되는 경우, 필수 변동 데이터 기록만을 생성하거나 갱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시작 시간이나 시간폭의 변경이 적용되었거나 새로운 프로그램이 삽입된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의 시퀀스에 의해 점유된 총시간 간격이 고정 데이터 시점에 의해 형성되는 간격(이를테면 도 6의 tA로부터 tD까지의 간격)과 일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그와 같은 경우에는 반드시 요구된다.
프로그램 데이터 유니트에 대한 고정 데이터는, 2개월이나 6개월 등의 충분히 긴 비교 기간 동안에, 프로그램 데이터 유니트의 순서쌍에 대한 현재 프로그램데이터에 따라, 즉 연속하는 주의 순서쌍에서 같은 요일에 같은 텔레비전 채널에 대한 데이터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다음과 같이 생성될 수 있다. 먼저, 첫주에 생기는 각 프로그램의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가 둘째주에서 생기는 프로그램의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와 비교되어서, 같은 프로그램(예, 동일명, 동일 시작 시각 및 종료 시각)이 매번 반복되는 것을 검출한다. 이런 프로그램은 후보 고정 데이터 프로그램으로서 언급한다. 또한, 각각의 그러한 후보 고정 데이터 프로그램에 대해, 같은 속성의 반복 역시 검출된다. 다음에 각각의 후보 고정 데이터 프로그램에 대한 최종 정보가 저장되고, 이어 둘째주 및 셋째주의 프로그램 데이터에 대해 상기 처리를 반복하여서, 후보 고정 데이터 프로그램의 제 2 세트를 얻고, 그 후에 이러한 처리가 주의 연속 쌍들에 대해 반복된다.
비교 기간이 끝날 때면, 각종 후보 프로그램의 속성 데이터는 비교되어서, 비교 기간 내내 변동이 없이 반복하거나, 소정의 최소 횟수 이상까지는 변경되지 않고 반복하는 프로그램( 및 이 프로그램들이 임의의 속성)들을 찾아낸다. 프로그램 데이터 유니트에 대한 고정 데이터가 데이터 대조의 간단한 처리에 의해 상기 방식으로 용이하게 얻어질 수 있음이 분명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첫주(W1로 표시)의 프로그램 데이터 유니트의 각각의 프로그램을 둘째주(W2로 표시)의 해당 프로그램 데이터의 프로그램과 비교함으로써 이러한 후보 프로그램 데이터를 도출하는 간단한 알고리즘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새로운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가 정보 제공 장치(1)의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 취득부(3)에 의해 수신될 때마다, 프로그램 데이터 유니트에 대한 하나 이상의 갱신된 변동 데이터 기록을 발생시키도록 실행될 수 있는 처리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에서 설명된 "프로그램 시작 시각 변동" 리스트는 도 4의 변동 데이터 테이블에서의 열 "시작 시각 변동량"에 대응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프로그램이 프로그램 데이터 유니트에 삽입되었음을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로부터 알게 되면, 마커 비트는 "새로운 프로그램" 마커로서, 상기 프로그램을 위해 발생되는 변동 데이터 기록에 부가된다.
도 9는 변동 데이터 기록을 갖는 특정 프로그램 데이터 유니트의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변동 데이터 및 고정 데이터를 조합하여 최종 프로그램 스케쥴 정보를 얻도록, 도 2의 데이터 재구성부(13)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처리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프로그램에 대한 전체 데이터 출력"으로서 표시되어 있는 각 단계에서 행해진 처리의 결과는 관련 프로그램의 시작 및 종료 시각, 프로그램명, 다른 모든 속성을 출력하는 것이다.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변동 데이터 기록을 갖는 각 프로그램에 대해 행하여진 처리만을 도시하고 있다(그 이유는 기타 다른 프로그램에 대한 전체 데이터는 고정 데이터로부터 직접 얻을 수 있기 때문).
물론, 이러한 처리는, 이용자가 요청하는 경우에, 프로그램 데이터 유니트의 하나 이상의 특정 프로그램만을 위한 데이터를 도출해내도록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이용자가 가장 최신의 프로그램 정보를 항상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정보 수신 장치(2)는 항상 정보 제공 장치(1)를 액세스할 수 있어서 프로그램 데이터 저장부(12)의 내용을 갱신하는데 필요한 소정의 데이터를 얻을 수있다고 가정했었다. 그러나 정보 수신 장치(2)가 정보 제공 장치(1)로부터 프로그램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 일시적으로 불가능(예를 들면, 정보 수신 장치(2)내의 통신 라인 결함, 불충분한 저장 용량 등의 이유로 인함)할지라도, 이용자가 프로그램 데이터 저장부(12)의 현재 내용을 토대로 프로그램 정보를 얻는 것이 가능하며, 대부분의 경우에서 거의 완전하고 정확할 것이다. 이용자가 프로그램 정보에 대한 요청을 내보내는 경우, 그 때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가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이용자의 정보 제공 장치로 배송되어야 하는 시스템과 비교해볼 때, 상기는 상술한 시스템의 또다른 기본 장점이 된다.
본 실시예의 데이터 재구성부(13)는 또한 이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특정 종류의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용자는 특정 종류의 프로그램을 검색하라는 요청을 조작부(15)로부터의 명령으로서 입력하고, 이에 따라 데이터 저장부(12)의 내용을 검색하여 그 명령의 내용에 따르는 프로그램 리스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이용자가 스포츠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원해서, 스포츠 프로그램을 검색하라는 명령을 입력하면, 데이터 재구성부(13)는 데이터 저장부(12)를 검색하여 스포츠 프로그램에 관련되는 데이터만을 추출하고, 표시하기 위하여 적당한 형태로 데이터를 재구성하고, 최종 프로그램 데이터를 표시부(14)에 공급한다.
도 1 및 도 2의 시스템예에 대한 상기 설명에 있어서, 데이터 편집부(5)가 프로그램 데이터를 단지 두 카테고리의 데이터(고정 데이터 및 변동 데이터)로 분리하고, 데이터 저장부(6A, 6B)의 대응하는 쌍이 이를 위해 각각 이용된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 정보를 셋 이상의 데이터 레벨로 분류하는 것이그와 똑같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서 셋 이상의 데이터 저장부(6A, 6B, 6C, ...)의 대응하는 쌍이 이용된다. 그런 경우에, 정보 제공 장치(1)의 데이터 편집부(5)는 예를 들면 각각의 데이터 변동의 크기 정도에 따라서 프로그램 정보를 고정 데이터 및 복수 종류의 변동 데이터로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경우에, 변동 데이터가 총 n레벨로 분할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변동 데이터의 단계가 제 1 레벨로부터 제 n 레벨로 연속하여 증가한다고 하면, 임의로 결정된 어떤 세트의 레벨(예를 들면, m번째로부터 n번째까지의 레벨)이 프로그램 데이터 저장부(6)로부터 독출되어 필요한 경우 정보 수신 장치로 배송될 수 있게 동작하도록 데이터 편집부(5)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전송 경로를 선택하도록 실행되는 처리와, 상기 방식으로 프로그램 데이터를 다중 레벨로 분할하는 처리 동작을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정한 실시예가 하기에서 설명되는데, 저장된 프로그램 데이터의 다중 레벨로부터 이용자에게 전송될 프로그램 데이터를 선택하는데 실행되는 처리는, 이용자에게 프로그램 데이터의 각각의 카테고리를 배송하는데 이용될 데이터 전송 경로를 선택하는 처리와 조합된다. 변동 데이터 저장부(12B)의 내용을 갱신하기 위해 변동 데이터는, 갱신된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를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취득할 때마다(즉, 이용자로부터 전송된 프로그램 데이터에 대한 특정 요청에 응답하기보다는),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각각의 정보 수신 장치로 자동적으로 전송되는 경우를 고려한다. 프로그램 데이터 저장부(6)에 보존된 프로그램 데이터가 4개의 카테고리, 즉 고정 데이터(한 레벨) 및 세 레벨의 변동 데이터로 분리되고, 전송 경로(18)가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및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을 통해 경로들을 각각 조합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각 레벨의 프로그램 데이터는 다음의 방식으로 갱신된다고 가정한다. 즉, 고정 데이터는 매 6개월에 단 1회 이용자에게 전송되고, 제 1 레벨 변동 데이터는 주 1회 이용자에게 전송(예를 들면, 주 1회 방영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방송의 스케쥴로부터 얻어진 데이터에 기초함)되고, 제 2 레벨 변동 데이터는 데이터가 관련이 있는 방송에 앞서 하루 동안 또는 그 방송을 하는 날 동안 이용자에게 전송되고, 제 3 레벨 변동 데이터는 필요한 경우이외에도 이용자에게 직접 전송된다.
즉, 데이터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a)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프로그램 편집이 행해질 때 생성되고, 6개월에 1회 이용자에게 배송되는 고정 데이터,
(b) 주 1회 전송되고, 예를 들어 출연자 및 그 주 동안의 부제와 관련되는 정보들로 구성되는 주간 데이터(즉, 제 1 레벨 변동 데이터),
(c) 해당 방송 이전의 날 또는 그 방송의 날에 하루 1회 전송되고 예를 들어 뉴스 프로그램이나 현재 사건 프로그램의 내용과 관련되는 정보들로 구성되는 일간 데이터(즉, 제 2 레벨 변동 데이터),
(d) 단지 필요할 때 이용자에게 배송되고, 예를 들어 야구 방송의 시간폭의 연장 또는 특별 뉴스 취재의 방송으로 인해 프로그램들의 방송 시간의 변경과 관련되는 정보로 구성되는 임시 데이터(즉, 제 3 레벨 변동 데이터).
고정 데이터는 고정 데이터 저장부(6A)에 저장되고, 반면에 주간 데이터, 일간 데이터, 임시 데이터는 변동 데이터 저장부(6B)의 각 영역에 저장된다.
상기의 방식으로 다중 레벨들로 분리되어 있는 프로그램 데이터는 다음의 각각의 형태의 전송 경로들을 통해 이용자에게 전송된다고 가정한다. 고정 데이터 및 제 1 단 변동 데이터(즉, 주간 데이터)는 전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다. 제 2 레벨 변동 데이터(즉, 일간 데이터) 및 제 3 레벨 변동 데이터(즉, 임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전송된 영상 신호에 텍스트를 삽입하는 VBI 등의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을 통해 전송된다.
그런 방식으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으므로, 통신료는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각각의 이용자에 의해서 계속하여 정확한 프로그램 스케쥴 정보가 표시할 수 있게 하며, 그 이유는 각각의 정보 수신 장치에 보존된 변동 데이터가 항상 최신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상기 예에 의하면, 전송 경로(18)를 구현하는 각각의 방식들이 각각의 데이터 카테고리에 대해 통계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즉, 고정 데이터 및 주간 데이터가 전화 라인을 통해 전송되고, 일간 데이터 및 임시 데이터는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을 통해(VBI에 의해) 전송되는 것이 고정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제, 프로그램 데이터의 유형별로 이용되는 전송 경로(18)가 동적으로 선택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그런 경우에, 배송 경로 결정부(21) 내에, 전송 경로 선택 기준 레지스터 및 전송 경로 선택부(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마련해두는 것이 필요하다. 전송 경로 선택 기준 레지스터는 예를 들면, 공중 전화 시스템을 통해 전송하는 경우 및 VBI를 이용한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을 통해 전송하는 경우에 대한 속성 정보의 다음과 같은 세트들을 각각 보존할 것이다:
(a) 통신료(전화 시스템 : 3분당 10센트, VBI : 무료),
(b) 통신 속도(전화 시스템 : 초당 2K 바이트, VBI : 초당 여러개의 문자),
(c) 현재 시점에서의 데이터 전송 상태(전화 시스템에 대해 : 실효 전송율, VBI에 대해 :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의 동작 상태).
상기 속성 정보는 필요한 경우, 전화 시스템 고장 등의 어떤 변동에 따라서, 갱신될 수 있다.
이용자에게 데이터를 배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전송 선택 수단은 소정의 식으로 상기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전송 경로(18)로서 이용될 적절한 경로를 선택하거나, 데이터의 각 카테고리에 대한 경로들의 적절한 조합을 선택한다. 그런 식으로, 전송 경로는 현재 상태에 따라서 동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실제로, 데이터 전송을 위해 방송 시스템(예, VBI)을 이용하는 경우, 정보 소실에 대한 가능성이 크므로, 가급적이면 소정 형태의 에러 정정 기술을 응용한다. 예를 들면, 동일한 데이터의 3중 연속 전송을 에러 정정에 이용할 수 있어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프로그램 데이터의 최상위 레벨, 즉 고정 데이터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轉送)을 달성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그 이유는 그런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에러가 최종적으로 재구성된 프로그램 데이터 상에 장기간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통신료를 고려해 볼 때, 특정 에러 정정 측정이 최하위 레벨 변동 데이터에는 불필요하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그 목적을 위해, 다양한 데이터 카테고리들의 각각의 중요도를 규정하고 있는 테이블의 형태로 신뢰성 정보 레지스터가 정보 제공 장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더불어, 각각의 그 중요도에 따라서 상이한 프로그램 데이터 카테고리들(즉, 고정 데이터, 변동 데이터의 각종 레벨)에 적용될 각각의 에러 정정 대응책을 지정하는 테이블의 형태로 전송 방법 선택부가 더 구비된다. 신뢰성 정보 레지스터 및 전송 방법 선택부는 데이터 배송부(7) 내에 구성될 수 있다.
유의할 점은,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려는 유사한 측정이 전송될 데이터의 중요도 레벨에 따라서 결정되고, 이는 전송중의 정보 소실의 가능성이 있을 때, 방송 시스템을 통하는 그 이외의 전송 경로, 즉 예를 들면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경우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장치(1)의 데이터 배송부(7)(제어부(9)의 제어 하에 동작함)는, 갱신 데이터가 실제로 필요할 때에만, 즉 이용자가 정보 수신 장치(2)로 프로그램 정보에 대한 요청을 입력할 때에만, 그 갱신 데이터가 각각의 정보 수신 장치(2)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배송부(7)는, 그러한 갱신 데이터의 정보 수신 장치로의 배송을, 규칙적으로 또한 프로그램 데이터에 예기치 않은 변동이 생길 때, 즉 어느 임의의 시점에서 취득되는 갱신된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에 응답하여 갱신 데이터를 전송할 때,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의 규칙적인 배송은, 예를 들면 매 6개월에 1회로 고정 데이터 및 변동 데이터의 전체 세트를 각각의 정보 수신 장치에 전송하고, 주 1회로 갱신된 변동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본 스케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제어부(9)는 데이터 배송부(7)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고정 데이터의 한 세트 및 변동 데이터의 처음 세트가 각 정보 수신 장치로 전송되고, 갱신된 변동 데이터만이 그 후에 전송된다.
물론, 상기 제어 형태들의 각종 가능한 조합중 어느 것이나 이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보 수신 장치(2)는, 정보 수신 장치(2) 자신에 관한 속성 정보는 물론 이용자 속성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속성 정보 저장부(19)를 포함하고 있고,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개별화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정보 수신 장치의 적어도 한 이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개별화된 데이터의 대응하는 세트에 링크되어 있다. 이용자는 조작부(15)를 통해 속성 데이터 전송 요청을 입력할 수 있어서, 장치 속성 정보 및/또는 이용자 속성 정보를 정보 제공 장치(1)에 전송하고, 또는 이러한 속성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 수신 장치에 의해서, 정보 제공 장치에 전송되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요청 내용에 첨부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속성 데이터는 속성 정보 저장부(19)로부터 독출되고, 전송되며, 정보 제공 장치(1)의 속성 정보 저장부(20)에 저장된다.
그런 방식으로, 각각의 정보 수신 장치 및 이 정보 수신 장치들의 이용자에 관련되는 각종 속성 정보는 정보 제공 장치(1)에 저장된다. 따라서, 정보 배송에 대한 요청이 이용자로부터 정보 제공 장치(1)에 의해 수신되는 경우에, 그 특정 이용자의 속성 및 이용자의 정보 수신 장치의 속성에 따라서, 변경(예를 들면, 정보 내용의 상세한 정도에 관하여)되는 프로그램 정보가 배송될 수 있다. 즉, 배송되는 프로그램 정보는, 수신하는 이용자의 요구 및/또는 그 이용자의 정보 수신 장치의구성에 적절히 부합되도록 하는 등, 정보 제공 장치(1)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로써 종래 기술로 가능했던 것보다 더 포괄적이고 개별화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이용자에 대한 개별화된 정보 역시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제공될 정보가 방송 프로그램 정보로 구성된다고 가정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러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행해지는 쇼핑이나 우편 주문 쇼핑에 이용하기 위한 카탈로그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경우에, 1년 전체 기간 동안에 판매되는 아이템에 관련한 마케팅 정보는 고정 데이터로서 확립될 수 있을 것이고, 판매량이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아이템에 관련된 정보는 변동 데이터로서 확립될 수 있을 것이다. 만일 그와 같이 된다면, 현재 프로그램 데이터의 각각의 데이터 아이템, 및 고정 데이터 및 변동 데이터로서 저장되는 각각의 데이터 기록은, 판매 아이템(이를테면 가격, 색상 등)의 하나 이상의 속성을 지정하는 정보와 관련하여, 그 판매 아이템의 이름 및 코드 번호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동 데이터 내에, 예를 들면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데이터, 월별로 변화하는 데이터, 매일 변화하는 데이터 등, 다수의 상이한 레벨의 변동 데이터가 생성되어 필요에 따라 각각 갱신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쇼핑 데이터의 경우에 있어서, 변동 데이터 및 고정 데이터 내용은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될 것이다.
고정 데이터 : 판매 아이템 코드, 판매 아이템의 사진, 아이템의 개괄적인 설명, 가격 정보.
변동 데이터 : 판매 아이템을 위해 지정될 수 있는 색상, 아이템 속성(예, 크기 등), 바겐세일 관련 정보, 세일중인 어떤 아이템에 대한 특별 가격 관련 정보, 바겐세일 개최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
유의점은, 사진 정보를 전송하는데는 대량의 데이터가 요구되므로, 이러한 정보는 고정 데이터의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 특히 이점이 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교통 정보를 차량에 제공하는 분야에서 더 유익할 것이다. 그런 경우에, 변동 데이터 및 고정 데이터 내용은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될 것이다:
고정 데이터 : 맵 정보, 지역 코드, 장소명.
변동 데이터 : 각각의 도로 교통 혼잡 발생에 관련된 데이터의 세트. 예를 들어 각 세트는 {지역 코드, 혼잡 유형을 나타내는 정보(예, 경미함, 느린 속도, 이동 정지), 혼잡 지역으로부터의 현재 거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분야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경우에, 변동 데이터 및 고정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될 것이다:
고정 데이터 : 영역 맵, {날씨 좋음}이나 {고기압 영역} 등의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 지역 코드, 지역명.
변동 데이터 : 예를 들어 각기 {지역명 코드, 아이콘 코드, 속성값(예, 온도 등)}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세트, 기상 맵에 이용하는, 등압선에 대한 위치 좌표 정보, 고기압 영역에 대한 위치 좌표 정보, 등. 본 발명이 응용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정보에는, 여행사 정보, 항공기 티켓 예약 정보, 각종 이벤트 및 영화 관련 정보, 연극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또한 기타 다른 유형의 정보를 제공하는데에 이점이 되게 응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종류의 정보와 함께, 본 발명을 따르는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종래 유형의 시스템과 비교해볼 때, 정보가 배송될 때 전송되어야 하는 데이터량이 경감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정보 전송(轉送)에 필요한 통신 시간 및 비용이 현저히 경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반적인 정보 제공 분야에서 상당한 이점을 제공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Claims (36)

  1. 정보 제공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정보 수신 장치와, 상기 정보 제공 장치 및 정보 수신 장치 간에 데이터를 전송(轉送)하는 수단을 구비한 정보 제공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장치측에서는,
    상기 정보 수신 장치에 제공되는 원정보를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로 분류하는 단계로서, 상기 원정보는 갱신된 원정보의 연속하여 취득되는 세트들 중의 하나인, 상기 분류 단계와,
    상기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를 각각 분류 데이터 카테고리들로서 저장하는 단계와,
    이후, 상기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제 1 데이터의 연속 전송들 간 및 상기 제 2 데이터의 연속 전송들 간에 각각 다른 값들의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정보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 수신 장치측에서는,
    상기 전송된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를 각각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이후, 원정보의 일부분의 출력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된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의 일부를 각각 독출 및 조합하여 상기 원정보의 일부분을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데이터는 연속하는 갱신 발생들 간의 간격이 소정의 시간폭보다 더 길거나, 상기 원정보의 일부분의 갱신으로 인한 변동량이 소정량보다 더 적은 선택 조건을 충족하는 상기 원정보의 일부로서 상기 원정보로부터 얻어지고,
    상기 제 2 데이터는 상기 선택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상기 원정보의 일부로서 상기 원정보로부터 얻어지는, 정보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는 갱신된 원정보의 상기 연속하여 취득된 세트들의 복수 쌍들 각각의 내용들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선택 조건을 충족하고 상기 세트들의 쌍들 모두에게 공통인 정보를 추출하도록 얻어지는 정보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가 상기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얻어져 저장된 이후에, 갱신된 원정보의 상기 세트들중 각각의 연속하는 한 세트는 상기 제 1 정보 제공 장치에는 포함되지 않고 상기 갱신된 원정보에는 포함되는 데이터로서 갱신 데이터를 얻도록 상기 저장된 제 1 데이터와 비교되고, 상기 갱신 데이터는 상기 제 2 데이터의 갱신된 부분으로서 상기 정보 제공 장치에 저장되는 정보 제공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데이터는 취득시에 상기 정보 수신 장치로 전송되고 상기 제 2 데이터의 갱신된 부분으로서 상기 정보 수신 장치에 저장되는 정보 제공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정보 수신 장치에 전송된 데이터의 기록을 유지시키고,
    데이터의 출력에 대한 요청이 상기 정보 수신 장치에 입력되는 경우, 상기 요청은 상기 정보 수신 장치에 의해 상기 정보 제공 장치로 전송되고,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정보 수신 장치로의 갱신 데이터의 전송(轉送)이 상기 정보 수신 장치가 상기 요청된 데이터를 재구성하도록 하는데 필요한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요청과 관련하여 상기 전송된 데이터 기록들을 판정 함으로써, 그리고 필요하게된 경우에는 상기 정보 수신 장치로 상기와 같은 갱신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응답하는 정보 제공 방법.
  6. 정보 제공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정보 수신 장치와, 상기 정보 제공 장치 및 정보 수신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에 이용하는 데이터 전송(轉送)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원정보를 저장하는 원정보 저장 수단과,
    상기 저장된 원정보에 대해 동작하여 상기 원정보를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로 분류하는 데이터 편집 수단과,
    상기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수단과,
    상기 데이터 전송(轉送)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수신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원정보는 외부 소스로부터 상기 정보 제공 장치에 공급되고 주기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갱신되며, 상기 제 1 데이터는 연속하는 갱신 발생들 간의 간격이 소정의 시간폭보다 더 길거나, 갱신으로 인한 변동량이 소정량보다 더 적은 선택 조건을 충족하는 상기 원정보의 일부분으로서 상기 원정보로부터 얻어지고,
    상기 제 2 데이터는 상기 선택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상기 원정보의 일부분으로서 얻어지며,
    상기 정보 수신 장치는,
    상기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된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과,
    상기 원정보의 일부분의 출력에 대해 외부적으로 공급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된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의 일부분들 각각을 독출하여 조합함으로써 상기 원정보의 상기 일부분을 재구성하는 데이터 재구성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정보는 갱신된 원정보의 연속 세트들로서 상기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주기적으로 취득되고,
    상기 데이터 편집 수단은 상기 세트들중 연속하는 세트들의 복수 쌍들 각각의 내용들을 비교하여, 상기 복수 쌍들 모두에 공통이면서 상기 선택 조건을 충족하는 정보를 추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편집 수단은, 상기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가 얻어져 저장된 이후에 작용하여서, 상기 원정보의 세트들중 각각 연속하는 세트를 상기 저장된 제 1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갱신된 원정보에는 포함되고 상기 저장된 제 1 데이터에는 포함되지 않은 데이터로서 갱신 데이터를 얻고, 상기 정보 제공 장치의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에 상기 갱신 데이터를 상기 제 2 데이터의 갱신된 부분으로서 저장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갱신 데이터가 도출될 때마다 상기 갱신 데이터를 상기 정보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수신 장치는 상기 제 2 데이터의 갱신된 부분으로서 상기 정보 수신 장치의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에 상기 갱신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 장치는 상기 데이터 전송(轉送)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제공 장치로 상기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상기 요청에 응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정보 제공 장치에 현재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와 관련하여, 상기 정보 수신 장치에 현재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의 갱신 상태를 나타내는 배송 기록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배송 기록 수단과,
    상기 정보 수신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요청의 내용들 및 상기 배송 기록 데이터에 응답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정보 수신 장치가 상기 원정보의 일부분을 정확하게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갱신된 데이터를 상기 정보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것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갱신된 데이터가 필요하다고 판정되는 경우에, 상기 정보 수신 장치의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갱신된 데이터를 독출하며 상기 데이터 전송(轉送)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수신 장치에 상기 갱신된 데이터를 전송해서 상기 정보 수신 장치의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되도록 하는, 상기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는 상기 원정보로부터 제 2 데이터의 복수의 레벨들로서 얻어지고, 제 2 데이터의 상기 레벨들은, 연속하는 갱신 발생들 간의 상기 간격의 연속하여 증가하는 보다 작은 값들을 갖거나, 갱신의 결과로서 상기 변동량의 연속하여 보다 더 큰 값들을 나타내는 정보 제공 시스템.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轉送) 수단은 복수의 각기 상이한 데이터 통신 경로들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제 1 데이터 또는 제 2 데이터가 전송될 것인 지의 여부에 따라서, 상기 정보 수신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들중 하나를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 장치는,
    상기 정보 수신 장치에 관련하는 장치 속성 정보를 입력하는 수단과,
    상기 장치 속성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장치에 전송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정보 수신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장치 속성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 장치는, 상기 원정보의 일부분의 출력에 대한 요청에 상기 장치 속성 정보를 첨부하여서, 상기 데이터 전송(轉送) 수단을 통해 상기 요청과 더불어 상기 장치 속성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장치에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속성 정보는, 데이터 저장 용량, 화상 표시 해상도, 데이터 처리 성능, 상기 정보 수신 장치와 함께 이용하도록 접속될 수 있는 보조 데이터 저장 매체의 유형들을 포함하는 장치 속성들의 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장치 속성들에 관련되어 있는 정보 제공 시스템.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轉送) 수단은 복수의 각기 상이한 데이터 통신 경로들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장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수신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통신 경로들 중 하나 또는 그 조합을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1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 장치는, 상기 정보 수신 장치에 관련하는 이용자 속성 정보를 입력하는 수단과, 상기 이용자 속성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장치에 전송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정보 수신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이용자 속성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 장치는, 상기 원정보 일부분의 출력에 대한 상기 요청에 상기 이용자 속성 정보를 첨부하여서, 상기 데이터 전송(轉送) 수단을 통해 상기 요청과 더불어 상기 이용자 속성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장치에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속성 정보는 상기 이용자의 연령, 상기 이용자의 성별, 상기 이용자의 거주 지역을 포함하는 세트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이용자 속성들에 관련하고 있는 정보 제공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속성 정보는 개별화된 이용자 속성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 시스템에 의한 데이터 제공에 관하여 각 이용자들의 개별적인 선호도를 나타내는 정보 제공 시스템.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이용자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제공 장치의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부터 독출되어 상기 정보 수신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선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정보 수신 장치의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의 내용들을 갱신하도록 상기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정보 수신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파수를 상기 이용자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轉送) 수단은 복수의 각기 상이한 데이터 통신 경로들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이용자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수신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데이터 통신 경로들중 하나 또는 그 조합을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들에 관련하는 속성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데이터 통신 경로들 중의 상기 하나 또는 조합은 상기 이용자 속성 정보 및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 속성 정보에 기초해서 조합하여 선택되는 정보 제공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들에 관련하는 상기 속성 정보는 데이터 전송(轉送) 속도 및 통신료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의 세트로부터 선택되는 정보 제공 시스템.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들 중의 상기 하나 또는 조합은 적어도 상기 이용자 속성 정보 및 데이터 통신 경로 속성 정보에 따라서 조합하여 고정적으로 선택되는 정보 제공 시스템.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 속성 정보는 각각의 데이터 통신 경로들의 현재 상태 들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고,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들 중의 상기 하나 또는 조합은 적어도 상기 이용자 속성 정보 및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 속성 정보의 현재 상태에 따라서 조합하여 동적으로 선택되는 정보 제공 시스템.
  2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편집 수단은, 상기 원정보의 갱신된 세트가 상기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수신될 때, 상기 정보 제공 장치의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 1 데이터와 상기 갱신된 원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갱신된 원정보 및 저장되어 있는 제 1 데이터 간의 소정의 차분을 갱신 데이터로서 도출해내고,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에 상기 갱신 데이터를 저장시켜 상기 제 2 데이터를 갱신하도록 작용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2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갱신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전송(轉送)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수신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정보 수신 장치의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거기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제 2 데이터를 갱신하도록 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3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轉送) 수단은, 전용 통신 라인이나 공중 전화 라인에 기초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는 데이터 통신 경로와, 지상 또는 위성 무선 방송 시스템을 통해 확립된 데이터 통신 경로와, 광학식 기록 디스크 상에 저장된 데이터의 물리적 트랜스포트와, 자기 기록 디스크 상에 저장된 데이터의 물리적 트랜스포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데이터 전송(轉送) 수단들 중의 하나 또는 조합으로서 선택되는 정보 제공 시스템.
  3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정보는 식별자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각기 포함하는 복수의 각기 식별된 데이터 아이템들로서 형성되고,
    상기 데이터 편집 수단은, 상기 원정보의 복수의 연속적 갱신들에 대해 연장되는 소정의 최초 처리 기간 동안에 상기 원정보를 처리함으로써 상기 원정보로부터 상기 제 1 데이터를 추출하여, 적어도 하나의 속성이 상기 최초 처리 기간 동안 상기 선택 조건을 충족하는 각각의 데이터 아이템들을 선택하게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편집 수단은, 갱신된 원정보의 세트가 상기 최초 처리 기간에 이어 상기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수신될 때, 상기 정보 제공 장치의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 1 데이터에 관해 상기 세트의 각 데이터 아이템을 판정하여 상기 데이터 아이템들중 소정 아이템의 적어도 한 속성에 대해 소정의 변경된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변경된 속성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하여 상기 제 2 데이터를 갱신하도록 작용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원정보는 각각의 상기 데이터 아이템들이 특정 프로그램을 식별하고 상기 프로그램의 방송에 관련된 속성 정보를 전해주는 프로그램 방송 스케쥴 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 편집 수단은 각 프로그램들에 대한 방송 정보를 나타내는 프로그램 데이터 기록들로서 상기 데이터 아이템들을 상기 정보 제공 장치의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는, 적어도 상기 프로그램의 시작 시각 및 방송 시간폭을 포함하는 속성 정보 및 프로그램명을 각각 지정하는 상기 프로그램 기록들중 각각의 프로그램 기록으로서 상기 최초 처리 기간 동안에 도출되는 정보 제공 시스템.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편집 수단은, 상기 최초 처리 기간에 이어서, 갱신된 원정보의 세트가 상기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수신될 때, 상기 갱신된 원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각 프로그램들에 대한 시작 시각 값들을, 상기 제 1 데이터로서 저장되었던 대응하는 시작 시각 값들과 비교하고, 프로그램에 대한 갱신된 시작 시각 및 대응하는 이전에 저장된 시작 시각값 간의 소정의 차분을, 포지티브 또는 네거티브 시간 증분값으로서 나타내고 상기 정보 제공 장치의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에 상기 제 2 데이터의 일부분으로서, 프로그램 데이터 기록의 상기 프로그램명과 관련하여 속성 정보로서 저장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편집 수단은, 상기 최초 처리 기간에 이어서, 갱신된 원정보의 세트가 상기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수신될 때, 상기 갱신된 원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프로그램명들을, 상기 정보 제공 장치의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되었던 상기 제 1 데이터에 포함된 프로그램명들과 비교하고, 소정의 새로운 프로그램명을 검출하며, 상기 새로운 프로그램명 및 모든 대응하는 속성 정보를, 상기 제 2 데이터의 일부분인 새로운 프로그램 데이터 기록으로서,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에 각각 저장하도록 기능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998-0007677A 1997-03-09 1998-03-09 데이터통신료를절감할수있는정보제공방법및이방법을실행하는정보제공시스템 KR1003964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72738 1997-03-09
JP07273897A JP3662384B2 (ja) 1997-03-09 1997-03-09 情報提供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情報提供、受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020A KR19980080020A (ko) 1998-11-25
KR100396413B1 true KR100396413B1 (ko) 2003-12-18

Family

ID=13498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7677A KR100396413B1 (ko) 1997-03-09 1998-03-09 데이터통신료를절감할수있는정보제공방법및이방법을실행하는정보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06748B1 (ko)
EP (1) EP0874486B1 (ko)
JP (1) JP3662384B2 (ko)
KR (1) KR100396413B1 (ko)
CN (1) CN1121789C (ko)
DE (1) DE6983223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286A (ko) * 1998-05-15 1999-12-06 구자홍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정보변경 방법
TW456148B (en) 1998-06-16 2001-09-21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with simultaneous watch and record capabilities
US6222530B1 (en) * 1998-08-21 2001-04-24 Corporate Media Partners System and method for a master scheduler
US6317881B1 (en) * 1998-11-04 2001-11-13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providing viewer feedback to a broadcast
AU5140200A (en) * 1999-05-26 2000-12-18 Enounce,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ime-scale modification during multi-media broadcasts
GB2352914A (en) 1999-08-03 2001-02-07 Sony Uk Ltd Data broadcast method
US7088952B1 (en) * 1999-09-03 2006-08-08 Ntt Advanced Technology Corporation Apparatus for transmitting program information, communicating system, method of transmitting program information, method of instructing program recording operation, and method of instructing program purchasing operation
AU7564200A (en) * 1999-09-22 2001-04-24 Oleg Kharisovich Zommers Interactive personal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JP4207337B2 (ja) * 1999-11-11 2009-01-14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US6976268B2 (en) * 1999-12-10 2005-12-13 Sun Microsystem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accessing periodically broadcast data
KR100675080B1 (ko) * 1999-12-14 2007-01-29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JP3718402B2 (ja) * 2000-03-07 2005-11-24 株式会社東芝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情報蓄積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US7020196B2 (en) * 2000-03-13 2006-03-28 Sony Corporation Content supplying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7080396B2 (en) * 2000-04-14 2006-07-18 Lg Electronics Inc. Event overrun and downstream event shift technology
JP2002074569A (ja) * 2000-08-28 2002-03-15 Mitsui Bussan Plant Kk 計測データの生成方法
JP2002112224A (ja) * 2000-09-29 2002-04-12 Just Syst Corp 放送番組リンク情報提供システム、装置、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2135672A (ja) * 2000-10-27 2002-05-10 Canon Inc Tv放送連動型データ閲覧装置、tv放送連動型データ閲覧方法および記憶媒体
US7877768B2 (en) * 2002-04-26 2011-01-25 Tivo Inc. Smart broadcast program recording padding and scheduling system
US20020186867A1 (en) * 2001-06-11 2002-12-12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 Filtering of recommendations employing personal characteristics of users
JP3702843B2 (ja) * 2001-12-17 2005-10-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載情報再生装置
US20030220920A1 (en) * 2002-05-24 2003-11-27 Mentor Graphics Corporation Matching database fields in an electronic design automation environment
JP2004072543A (ja) * 2002-08-08 2004-03-04 Pioneer Electronic Corp 放送受信装置
FR2844661B1 (fr) * 2002-09-16 2005-10-14 France Telecom Procede d'acquisition de donnees de description de contenus audiovisuels, systeme, serveur de diffusion, serveur de description, et terminal de reception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GB2407242A (en) * 2003-06-30 2005-04-20 Nokia Corp Method of announcing sessions in an electronic service guide
GB2419072A (en) 2003-10-30 2006-04-12 Nokia Corp Personalisation of an information service provision
US7949726B2 (en) * 2004-03-12 2011-05-24 Ocean And Coastal Environmental Sens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information on demand
US7590059B2 (en) * 2004-05-21 2009-09-15 Broadcom Corp. Multistandard video decoder
US8112531B2 (en) 2004-07-14 2012-02-07 Nokia Corporation Grouping of session objects
US7526566B2 (en) * 2004-09-10 2009-04-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of operating radio communications devices including predefined streaming times and addresses and related devices
US20070101367A1 (en) * 2005-10-14 2007-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EPG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ing frequency channels
JP4592653B2 (ja) * 2006-07-13 2010-12-01 シャープ株式会社 録画再生装置及び方法
KR100952662B1 (ko) * 2007-10-10 2010-04-13 드리머 디지털 방송 애플리케이션 부가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JP5252952B2 (ja) * 2008-03-11 2013-07-31 キヤノン株式会社 受信装置
JP5334206B2 (ja) * 2010-05-18 2013-11-06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コンテンツ受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90594B1 (ko) * 2016-06-10 2017-10-27 주식회사 지어소프트 파일의 속성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컴퓨팅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705439A (ko) * 1994-07-26 1996-10-09 이데이 노부유키 정보 제공 시스템(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1578A (en) * 1985-05-28 1988-06-14 David P. Gordon System for electronically controllably viewing on a television updateable television programming information
US5321750A (en) * 1989-02-07 1994-06-14 Market Data Corporation Restricted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s
DE69133588D1 (de) * 1990-08-10 2008-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Übertragungssystem
US5790198A (en) * 1990-09-10 1998-08-04 Starsight Telecast, Inc. Television schedul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utilization system and process
US5404505A (en) * 1991-11-01 1995-04-04 Finisar Corporation System for scheduling transmission of indexed and requested database tiers on demand at varying repetition rates
US5592551A (en) * 1992-12-01 1997-01-07 Scientific-Atlant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active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CA2151462C (en) * 1992-12-09 2004-02-24 John S. Hendricks Television program delivery system
US6239794B1 (en) * 1994-08-31 2001-05-29 E Guide, Inc. Method and system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a television program and information about the program
US5579055A (en) * 1993-06-07 1996-11-26 Scientific-Atlanta, Inc. Electronic program guide and text channel data controller
US5594509A (en) * 1993-06-22 1997-01-14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visual interface for the display of multiple levels of information on a display
CA2138603C (en) * 1994-01-05 2004-07-06 John William Chaney Memory for processing a program guide as for a satellite tv service
GB9400101D0 (en) * 1994-01-05 1994-03-02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Consumer interface for a satellite television system
US5467722A (en) 1994-08-22 1995-11-21 Meratla; Zoher M.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pollutants from flue gas
JP3644455B2 (ja) * 1994-09-29 2005-04-27 ソニー株式会社 番組情報放送方式、番組情報表示方法および受信装置
US5699125A (en) * 1995-03-31 1997-12-16 Matsushita Electric Corporation Of America Electronic television program guide for a television system having two tuners
US5666645A (en) * 1995-04-26 1997-09-09 News America Publications, Inc. Data management and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for an electronic television program guide
US5760821A (en) * 1995-06-07 1998-06-02 News America Publications, Inc. Electronic program guide schedule localization system and method
US5652613A (en) * 1995-06-07 1997-07-29 Lazarus; David Beryl Intelligent electronic program guide memo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5801753A (en) * 1995-08-11 1998-09-0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Of Delawar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guide to events available on an information network
US5734781A (en) * 1995-10-02 1998-03-31 Lucent Technologies Inc. Videocassette device with digital storage and videotape loop for analog playback
US6216264B1 (en) * 1995-11-17 2001-04-10 Thomson Licensing S.A. Scheduler apparatus employing a gopher agent
US5657072A (en) * 1996-04-10 1997-08-12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ve entertainment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ogram listings during non-peak times
US6311329B1 (en) * 1996-10-14 2001-10-30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display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s well as transmission medium
JPH10126750A (ja) * 1996-10-23 1998-05-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番組情報放送システム、放送装置、及び受信端末装置
US6057890A (en) * 1996-12-12 2000-05-02 Echostar Engineering Corp. User interface for television schedule system in which the future events are paged in time
US6374237B1 (en) * 1996-12-24 2002-04-16 Intel Corporation Data set selection based upon user profile
JPH10276160A (ja) * 1997-03-31 1998-10-13 Sony Corp 番組制作送出装置
US5973685A (en) * 1997-07-07 1999-10-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cheme for the distribution of multimedia follow-up information
US6446082B1 (en) * 1998-09-21 2002-09-03 Impress Corporation Method of receiving time-specified program conten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705439A (ko) * 1994-07-26 1996-10-09 이데이 노부유키 정보 제공 시스템(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32232T2 (de) 2006-07-13
JP3662384B2 (ja) 2005-06-22
JPH10254790A (ja) 1998-09-25
CN1121789C (zh) 2003-09-17
EP0874486A3 (en) 2000-08-16
CN1201319A (zh) 1998-12-09
EP0874486B1 (en) 2005-11-09
KR19980080020A (ko) 1998-11-25
EP0874486A2 (en) 1998-10-28
DE69832232D1 (de) 2005-12-15
US6606748B1 (en) 2003-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6413B1 (ko) 데이터통신료를절감할수있는정보제공방법및이방법을실행하는정보제공시스템
AU2001253549B2 (en) Dynamically controlling video and data transmissions
US6438233B1 (en) Book data service system with data delivery by broadcasting
US91978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and broadcasting multimedia
JP4608098B2 (ja) ローカル広告を用いた双方向テレビ番組ガイドシステム
CN1640133B (zh) 创建个人广告频道的方法和设备
JP4201706B2 (ja) 幾つかのepgソースを1つの信頼性のあるepgに合成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ES2262337T3 (es) Guia electronica de programacion cliente-servidor.
CN101180875B (zh) 广播网络资产交付的定向印象模型
US6209129B1 (en) Passive television program guide system with local information
JP4212773B2 (ja) 加入者プロファイルベクトルを生成するためのデータ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7657267B2 (en)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filtering and stor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020026638A1 (en) Internet-based electronic program guide advertisement inser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010021994A1 (en) Television
WO2009055341A1 (en)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targeted advertising
WO2000079798A9 (en)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program guide data and targeted advertising to a user of multiple program guides
KR20010078033A (ko) 정보제공시스템, 정보단말장치, 정보서버장치 및정보제공방법
JP4209665B2 (ja)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4011858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MXPA99006362A (es) Sistema y metodo para distribuir y radiodifundir multimedi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0830

Effective date: 200304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