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4710B1 - 운전교습차량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운전교습차량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4710B1
KR100394710B1 KR10-2000-0068173A KR20000068173A KR100394710B1 KR 100394710 B1 KR100394710 B1 KR 100394710B1 KR 20000068173 A KR20000068173 A KR 20000068173A KR 100394710 B1 KR100394710 B1 KR 100394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brake
brake
auxiliary
driv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8120A (ko
Inventor
김영광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8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4710B1/ko
Publication of KR20020038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7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6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19/167Control of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3Brake assist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교습차량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전교습용 차량의 운행을 조수석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조수석의 하측에서 회전축(11)을 중심으로 작동되는 보조 브레이크(10)와;
상기 보조 브레이크(10)의 회전축(11)에 설치되어 보조 브레이크(10)의 작동각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화시키는 센서부(20)와;
상기 센서부(20)의 하측과 보조 브레이크(10)의 몸체에 고정되어, 보조 브레이크(10)의 작동시 동일한 각도만큼 센서부(20)를 회전시키는 센서암(30)과;
상기 운전석의 하측에 형성되어 차량의 운행을 운전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주 브레이크(40)와;
상기 보조 브레이크(10)의 작동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 브레이크(40)로 이동시키는 와이어 하네스(50)와;
상기 주 브레이크(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와이어 하네스(50)를 통해 전달된 보조 브레이크(10)의 답력으로 주 브레이크(40)를 작동시키는 액츄에이터부(60)로 구성되므로, 운전교습차량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는 보조 브레이크(10)의 답력을 검지하여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액츄에이터부(60)를 통하여 주 브레이크(40)를 작동시켜 차량의 운행을 제어할 수 있어, 조수석 탑승자의 답력 편의성 및 차체 설계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것이다.

Description

운전교습차량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AUXILIARY BRAKE DEVICE IN DRIVING LEARNING VEHICLE}
본 발명은 운전교습차량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운전교습차량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가 주 브레이크 장치와 전기적 신호에 의해 연동제어 될 수 있도록 하여 보조 브레이크의 레이아웃 설정 및 보조 페달 답력을 개선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교습 차량은 운전을 처음 배우는 사람들이 차량 운행시 운전 미숙에 따른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조수석에 별도로 차량의 운행을 제어할 수 있는 보조 브레이크 장치가 구비된다.
그리고, 통상적인 운전교습 차량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는 조수석에 형성되는 보조 브레이크(1)와 주 브레이크(2)를 케이블(3)로 연결시켜, 보조 브레이크(1)의 작동시 주 브레이크(2)의 페달암(4)을 작동시켜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보조 브레이크(1)의 작동암(5) 조작시 주 브레이크(2)와 케이블(3)로 연결된 주 브레이크(2)의 페달암(4)을 보조 브레이크(1)의 조작력에 의해 케이블(3)이 연동되면서 주 브레이크(2)의 페달암(4)을 작동시켜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운전교습용 차량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는 보조 브레이크에서 주 브레이크를 케이블로 연결시켜 보조 브레이크의 조작력에 의해 주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므로, 상기 케이블이 조수석에서 운전석의 브레이크 장치까지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엔진룸 또는 실내측을 통해 연결시켜야 하므로, 차체설계에 많은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조 브레이크의 답력을 케이블을 이용하여 주 브레이크로 연결시키기 때문에 주 브레이크를 연동 제어하기 위해서는 보조 브레이크의 답력이 증대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교습차량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가 주 브레이크 장치와 전기적 신호에 의해 연동제어 될 수 있도록 하여 보조 브레이크의 레이아웃 설정 및 보조 페달 답력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운전교습차량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조 브레이크 장치의 조립성 개선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운전교습차량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운전교습차량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운전교습차량의 보조 브레이크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운전교습차량의 보고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주페달 작동 액츄에이터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조 브레이크 11 - 회전축
20 - 센서부 30 - 센서암
40 - 주 브레이크 50 - 와이어 하네스
60 - 액츄에이터부 61 - 제어유니트
62 - 모터 63 - 베벨기어
64 - 작동로드 65 - 취부홀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교습용 차량의 운행을 조수석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조수석의 하측에서 회전축(11)을 중심으로 작동되는 보조 브레이크(10)와;
상기 보조 브레이크(10)의 회전축(11)에 설치되어 보조 브레이크(10)의 작동각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화시키는 센서부(20)와;
상기 센서부(20)의 하측과 보조 브레이크(10)의 몸체에 고정되어, 보조 브레이크(10)의 작동시 동일한 각도만큼 센서부(20)를 회전시키는 센서암(30)과;
상기 운전석의 하측에 형성되어 차량의 운행을 운전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주 브레이크(40)와;
상기 보조 브레이크(10)의 작동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 브레이크(40)로 이동시키는 와이어 하네스(50)와;
상기 주 브레이크(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와이어 하네스(50)를 통해 전달된 보조 브레이크(10)의 답력으로 주 브레이크(40)를 작동시키는 액츄에이터부(6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운전교습차량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는 보조 브레이크(10)의 답력을 검지하여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액츄에이터부(60)를 통하여 주 브레이크(40)를 작동시켜 차량의 운행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조수석 탑승자의 답력 편의성 및 차체 설계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운전교습차량의 보조 브레이크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운전교습차량의 보고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주페달 작동 액츄에이터의 구성을 요부 확대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운전교습차량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는 운전교습용 차량의 운행을 조수석에서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보조 브레이크(10)의 회전축(11)에는 보조 브레이크(10)의 작동각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화시키는 센서부(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20)의 하측으로는 보조 브레이크(10)의 몸체와 고정되어, 보조 브레이크(10)의 작동시 동일한 각도만큼 센서부(20)를 회전시키는 센서암(30)이 설치된다.
즉, 상기 센서부(2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브레이크(10)의 회전축(11)에 설치되고, 센서암(30)은 센서부(20)의 하측부와 보조 브레이크(10)의 몸체에 설치되므로, 보조 브레이크(10)의 조작시 센서암(30)이 연동되면서, 센서부(20)를 회전시켜, 보조 브레이크(10)의 작동각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회로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센서부(20)와 센서암(30)에 의해 보조 브레이크(10)의 작동각을감지한 전기적인 신호는 와이어 하네스(50)를 통해 액츄에이터부(60)로 이동되어 주 브레이크(40)를 작동시켜 차량의 운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브레이크(10)의 답력으로 주 브레이크(40)를 제어하는 액츄에이터부(6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브레이크(10)의 회전축(11)에 형성된 센서부(20)를 통해 이동된 신호를 받아 구동신호를 송출시키는 제어유니트(61)와, 상기 제어유니트(61)의 구동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모터(62)와, 상기 모터(62)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베벨기어(63)와, 상기 베벨기어(63)의 몸체에 설치되어, 주 브레이크(40)를 작동시키는 작동로드(6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부(60)의 몸체 외측 상부에는 주 브레이크(40) 몸체에 액츄에이터부(60)를 설치할 수 있는 취부홀(65)이 구비된다.
따라서, 보조 브레이크(10)의 조작신호가 센서부(20)를 통해 주 브레이크(40)의 액츄에이터부(60)로 이동되면, 제어유니트(61)에서 신호를 받아 모터(62)를 구동시키고, 모터(62)의 회전력에 의해 베벨기어(63)가 회전되면서, 작동로드(64)는 캠의 연동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주 브레이크(40)가 작동되므로, 차량의 운행을 조수석 보조 브레이크(10)의 조작력에 의해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보조 브레이크(10)를 페달에서 뗄 경우에는 페달의 작동각이 감소하면서 이 각도 정보가 센서부(20)를 통해 주 브레이크(40)의 제어유니트(61)로 전달되어 모터(62)와 베벨기어(63)가 역회전되면서 작동로드(64)가 복귀되어 주 브레이크(40)가 후퇴되면서 차량의 운행 제어가 해제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인 운전교습차량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보조 브레이크(10)의 답력으로 주 브레이크(40)를 작동시켜 차량의 운행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보조 브레이크의 조작력을 센서부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 브레이크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차체 설계의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둘째,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주 브레이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어 보조 브레이크의 답력증대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셋째, 보조 브레이크 장치의 조립성을 향상시켜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운전교습용 차량의 운행을 조수석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조수석의 하측에서 회전축(11)을 중심으로 작동되는 보조 브레이크(10)와;
    상기 보조 브레이크(10)의 회전축(11)에 설치되어 보조 브레이크(10)의 작동각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화시키는 센서부(20)와;
    상기 센서부(20)의 하측과 보조 브레이크(10)의 몸체에 고정되어, 보조 브레이크(10)의 작동시 동일한 각도만큼 센서부(20)를 회전시키는 센서암(30)과;
    상기 운전석의 하측에 형성되어 차량의 운행을 운전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주 브레이크(40)와;
    상기 보조 브레이크(10)의 작동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 브레이크(40)로 이동시키는 와이어 하네스(50)와;
    상기 주 브레이크(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와이어 하네스(50)를 통해 전달된 보조 브레이크(10)의 답력으로 주 브레이크(40)를 작동시키는 액츄에이터부(6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교습차량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부(60)는 보조 브레이크(10)의 회전축(11)에 형성된 센서부(20)를 통해 이동된 신호를 받아 구동신호를 송출시키는 제어유니트(61)와, 상기 제어유니트(61)의 구동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모터(62)와,상기 모터(62)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베벨기어(63)와, 상기 베벨기어(63)의 몸체에 설치되어, 주 브레이크(40)를 작동시키는 작동로드(6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교습차량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
KR10-2000-0068173A 2000-11-16 2000-11-16 운전교습차량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 KR100394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173A KR100394710B1 (ko) 2000-11-16 2000-11-16 운전교습차량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173A KR100394710B1 (ko) 2000-11-16 2000-11-16 운전교습차량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120A KR20020038120A (ko) 2002-05-23
KR100394710B1 true KR100394710B1 (ko) 2003-08-14

Family

ID=19699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173A KR100394710B1 (ko) 2000-11-16 2000-11-16 운전교습차량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47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00523A (zh) * 2012-06-18 2012-10-03 黄国兵 多功能电动副刹车装置
KR101632157B1 (ko) * 2015-11-05 2016-06-20 강진수 다중 탈부착이 가능한 보조 브레이크장치
CN107600054A (zh) * 2017-09-04 2018-01-19 中国第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控等行程副制动踏板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4188A (ko) * 1994-10-22 1996-05-22 랑핑어, 슈타인호프 저-포깅 폴리우레탄 포움의 제조방법, 및 이것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특정 폴리옥시 알킬렌-폴리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4188A (ko) * 1994-10-22 1996-05-22 랑핑어, 슈타인호프 저-포깅 폴리우레탄 포움의 제조방법, 및 이것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특정 폴리옥시 알킬렌-폴리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120A (ko) 200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31017A1 (fr) Systeme de commande pour virage pivotant et procede associe et automobile comprenant le systeme
JP5187312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ユニット
US7249650B2 (en) Vehicle steering device
KR100394710B1 (ko) 운전교습차량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
JP2005170247A (ja) ギアシフト装置
KR100894351B1 (ko) 힘-복귀 메커니즘
MXPA00008025A (es) Tronillo y vastago paralelos de pedal regulable.
KR20110062630A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용 턴스토퍼
JP3669594B2 (ja) 模擬操作力発生装置
KR19980701602A (ko) 차량 조향용 모터 피동 장치(a motor-driven system for steering a vehicle)
JPH0532619B2 (ko)
KR20000068903A (ko) 액츄에이팅 링을 구비한 스티어링 장치
JP4826272B2 (ja) 船外機のハンドル構造
EP0313659B1 (en) Throttle valve controller
JP2004322808A (ja) ステア・バイ・ワイヤ式操舵装置
JP3595727B2 (ja) 変速機シフト操作装置
JP4186670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CN210101742U (zh) 电控角转向器总成
JP3446521B2 (ja) 車両用自動変速装置
JPH04310474A (ja) 電動式動力舵取装置
JP3783539B2 (ja) 変速機のシフト操作装置
KR20050109704A (ko) 전륜직진정렬스위치가 부착된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
JPH0432966B2 (ko)
JPS61235270A (ja) 電動式動力舵取装置
JPH057182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