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4500B1 - 연결블록의 제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연결블록의 제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94500B1 KR100394500B1 KR10-2000-0044620A KR20000044620A KR100394500B1 KR 100394500 B1 KR100394500 B1 KR 100394500B1 KR 20000044620 A KR20000044620 A KR 20000044620A KR 100394500 B1 KR100394500 B1 KR 1003945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mwork
- block
- connecting member
- connecting members
- raw materia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012—Producing brick nett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2—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 B28B13/0215—Feeding the moulding material in measured quantities from a container or silo
- B28B13/022—Feeding several successive layers, optionally of different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2—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 B28B13/0215—Feeding the moulding material in measured quantities from a container or silo
- B28B13/023—Feeding the moulding material in measured quantities from a container or silo by using a feed box transferring the moulding material from a hopper to the moulding cavi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블록을 가압성형법에 의해 용이하고 신속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연결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개의 소(小)블록을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하여서 된 연결블록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그 방법은 연결부재를 거푸집내로 배치하는 공정과, 복수의 소블록 성형공간을 가지는 거푸집내로 블록 원료를 공급하는 공정으로서, 연결부재의 일부는 각 소블록 성형공간 내의 원료에 매입되어지는 것과, 거푸집의 원료를 가압하여 성형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의 소블록을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하여서 된 연결블록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그 장치는 복수의 소블록 성형 공간을 가지는 거푸집과, 연결부재를 거푸집에 배치하고, 상기 연결부재를 거푸집에 대하여 공급하는 연결부재공급수단과, 거푸집내로 블록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수단과, 거푸집 내의 원료를 가압하여 성형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보도(步道)등에 깔리는 연결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보도 및 공원등에 깔리는 블록으로는 미리 복수개의 블록을 가요성을 가지는 연결부재로서 연결하여서된 연결블록이 사용된다. 이 때문에 한번에 복수의 블록을 까는 것이 가능하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결블록은 거푸집내로 연결부재를 배치한 상태에서 동형 거푸집에 유동성이 높은 원료(예를 들면, 시멘트 밀크)를 공급한 후, 그대로 방치하여 건조 경화시키는, 말하자면, 유입법에 의해 제조된다.
그렇지만, 유입법에서는 원료의 유동성이 높기 때문에 완성한 블록의 내부조직은 치밀하지만, 거푸집으로 유입된 원료가 건조 경화하기까지 시간이 걸린다. 이 때문에, 다수의 연결블록을 하루에 제조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거푸집을 필요로하고, 제조 비용이 높아지는 한편, 제조 효율이 매우 나빠지게 된다.
한편, 블록을 제조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종래로부터 가압성형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가압성형법에서는, 유입법에 이용되는 원료보다도 비교적 유동성이 낮은 원료(예를 들면, 제로슬럼프의 모르타르 등)가 거푸집내로 공급된다. 그 후, 원료가 가압성형되어 즉시 고화된다. 가압성형법의 경우에는, 원료의 유동성이 낮기 때문에 가압성형후에 즉시 거푸집을 벗겨도 블록의 붕괴가 없다. 이 때문에 하나의 거푸집을 사용하여 다수의 블록을 연속 성형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연결블록에 있어서는 가압성형법에 의한 제조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고, 또한 그 제조장치도 존재하고 있지 않다. 즉, 연결블록은 가압성형법으로는 전혀 제조되지 않고, 유입법으로만 제조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블록을 가압성형법에 의해 용이하고 신속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연결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는 본발명에 따른 블록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연결블록을 나타낸 평면도
도 1(b)는 도 1(a)의 연결블록 정면도
도 2는 제1실시형태에 따른 연결블록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3(a)는 제1실시형태의 거푸집을 나타낸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거푸집 정면도
도 3(c)는 도 3(a)의 거푸집 측면도
도 4는 도 3(a)의 거푸집, 공급장치 및 클램프 장치의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팰릿이 승강 테이블상으로 재치된 상태를 나타낸 제조장치의 정면도
도 6은 거푸집으로 팰릿이 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제조장치의 정면도
도 7은 압형에 의해 거푸집 내의 원료가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 제조장치의 정면도
도 8은 팰릿 및 연결블록이 거푸집으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나타낸 제조장치의 정면도
도 9는 팰릿 및 연결블록이 반출장치상으로 반출된 상태를 나타낸 제조장치의 정면도
도 10은 연결부재가 절단된 상태를 나타낸 제조장치의 정면도
도 11(a)는 제2실시형태에 따른 거푸집을 나타낸 평면도
도 11(b)는 도 11(a)의 거푸집 정면도
도 11(c)는 도 11(a)의 거푸집 측면도
도 12는 도 11(a)의 거푸집, 공급장치 및 클램프 장치의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13(a)는 제3실시형태의 거푸집을 나타낸 평면도
도 13(b)는 도 13(a)의 거푸집 정면도
도 13(c)는 도 13(a)의 거푸집 측면도
도 14는 도 13(a)의 거푸집, 제조장치의 정면도의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연결블록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28:거푸집 20,56,57,95-106:연결부재
11-19,93:소블록 11s-19s:소블록 성형공간
42,59,60,78:연결부재 공급수단
24,25,26,27:원료공급수단 54:가압수단
45,63,66:저류부 53,73,88:절단장치
47,61,62,79:고정수단 36:진동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개의 소(小)블록을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하여서 된 연결블록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그 방법은 연결부재를 거푸집내로 배치하는 공정과, 복수의 소블록 성형공간을 가지는 거푸집내로 블록 원료를 공급하는 공정으로서, 연결부재의 일부는 각 소블록 성형공간 내의 원료에 매입되고, 거푸집의 원료를 가압하여 성형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의 소블록을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하여서 된 연결블록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그 장치는 복수의 소블록 성형 공간을 가지는 거푸집과, 연결부재를 거푸집에 배치하고, 상기 연결부재를 거푸집에 대하여 공급하는 연결부재공급수단과, 거푸집내로 블록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수단과, 거푸집 내의 원료를 가압하여 성형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연결블록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대하여, 제1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10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연결블록」은 복수의 블록을 연결부재로 연결하여서 된 블록집합체를 의미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되는 연결블록(10)을 나타낸다. 연결블록(10)은 직방체 형상을 한 9개의 소블록(11-19)을 종횡3열로 배치하여서 이루어진다. 도 1(a)의 11a - 19a는 소블록의 표면을 나타낸다. 도 1(b)의 13b,16b,19b는, 소블록(13,16,19)의 표면을 나타낸다. 와이어등으로 된 가요성을 가지는 연결부재(20)가, 블록(11-19)의 하부에 매설된다. 연결부재(20)는, 인접하는 소블록(11-19)의 하부에 매설된다. 연결부재(20)는 인접하는 소블록(11-19)을 소정의 간격L1 및 L2만큼 이격시킨 상태에서, 9개의 소블록(11-19)을 연결한다. 연결블록(10)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 장방형을 이룬다.
이하, 소블록(11,12,13)의 배열방향을 「종방향」으로 하고, 소블록(11,14,17)의 배열방향을 「횡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연결부재(20)는 3본(本)의 종와이어(20a-20c)와 3본의 횡와이어(20d-20f)에 의해 격자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종와이어(20a-20c)는, 횡방향으로 배열된 대응하는 3개의 블록의 중간부를 통과한다. 각 횡와이어(20d-20f)는 횡방향으로 배열된 대응하는 3개의 블록의 중간부를 통과한다. 연결부재(20)는 연결블록(10)의 운반시에(예를 들면, 2인의 작업원이 연결블록(10)의 양단을 잡고 운반할 때), 연결블록(10)의 자중에 의해 파단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고 있다.
각 소블록(11-19)은, 기층(21)과 표층(22)과의 2층 구조로 되어 있다. 기층(21)은 모르타르 등의 거친 원료, 표층(22)은 화장용 원료에 의해 형성된다. 각 소블록(11-19)의 표면(11a-19a)은, 표층(22)에 설치되어지고, 모양이 가해진 의장면이다. 표면(11a-19a)이 사람의 눈에 보이도록 연결블록(10)을 깔므로써 미관성이 향상된다.
도 2는 상기 연결블록(10)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장치를 나타낸다. 제조장치는 사각 상자 모양을 이룬 거푸집(28)을 지지하는 4본의 지주(29)(도 2에서는 2본만 도시)를 구비한다. 제조장치는 또한, 거푸집(28)의 양측에 있어서, 기층(21)의 원료를 공급하는 제1공급장치와, 표층(22)의 원료를 공급하는 제2공급장치를 구비한다. 제1공급장치는 고정공급상자(24) 및 가동공급상자(25)를 구비한다. 제2공급장치는 동일한 형태로, 고정공급상자(26) 및 가동공급상자(27)를 구비한다. 각 가동공급상자(25,27)는 도시하지 않은 이동장치에 의해, 대응하는 고정공급상자(24,26)의 하방위치와 거푸집(28)의 상방위치 사이를 수평 이동한다. 각 가동공급상자(25,27)가 대응하는 고정공급상자(24,26)의 하방 위치에 이동한 상태에서, 각 고정공급상자(24,26)로부터 대응하는 가동공급상자(25,27)로 원료가 공급된다. 가동공급상자(25,27)는 거푸집(28)의 상방위치에 이동한 상태에서 동형 거푸집(28)내로 원료를 공급한다.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28)은, 측벽(28a,28b,28c,28d)을 구비하고 있다. 각 지주(29)의 상단으로부터는 커버부재(30)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28)내에는 격자모양의 구획거푸집(110)이 배치된다. 구획 거푸집(110)은, 종구획벽(32) 및 횡구획벽(33)에 의해 이루어진다. 구획 거푸집(110)은 거푸집(28)내에 9개의 개구부(블록형성 공간)(11s-19s)를 구획 형성한다. 횡구획벽(33)의 폭L4는, 도 1(a)에 도시된 간격L2에 대응한다. 각 개구부(11s-19s)의 크기는 도 1의 연결블록(10)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11-19)의 크기에 대응한다.
도 3(a),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28)의 전후 양측벽(28a, 28b) 및 횡구획벽(33)의 하단에는, 연결부재(20)의 종와이어(20a-20c)가 삽입된 종홈(34)이 형성된다. 종홈(34)에 삽입된 종와이어(20a-20c)는, 각 개구부(11s-19s)의 횡방향 중앙을 통과한다. 종구획벽(32)의 하단에는 연결부재(20)의 횡와이어(20d-20f)가 삽입된 횡홈(35)이 형성된다. 횡홈(35)에 삽입된 횡와이어(20d-20f)는, 각 개구부(11s-19s)의 종방향 중앙을 통과한다. 동일 직선상에 배치된 4개의 종홈(34)은 1개의 종삽통홈(34A)을 형성하고, 동일 직선상에 배치된 2개의 횡홈(35)은 1개의 횡삽통홈(35A)을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29)에는, 진동수단으로서의 진동발생장치(36)가 설치된다. 진동발생장치(36)상에는, 승강테이블(37)이 승강가능하게 지지된다. 승강테이블(37)의 상면에는 3개의 지지대(38)가 형성되고, 팰릿(39)이 상기 지지대(38)상에 놓여진다. 승강테이블(37)의 양측에는, 팰릿(39)을 승강테이블(37)상으로 반입하기 위한 반입장치(40)와, 팰릿(39)을 승강테이블(37)로부터 반출하기 위한 반출장치(41)가 설치된다. 반입장치(40) 및 반출장치(41)는 동일 높이에 설치된다. 승강 테이블(37)은, 지지대(38)의 상면을 반입장치(40) 및 반출장치(41)의 상면과 대략 동일높이로 한 위치(도 5에 도시된 대기 위치)와, 팰릿(39)을 거푸집(28)의 하면에 밀착시킨 위치(도 2에 도시된 형성 위치)와의 사이에서 승강가능하다.
승강테이블(37)이 형성위치로 이동하면, 팰릿(39)은 거푸집(28)의 개구부(11s-19s)를 하측으로부터 폐쇄하고, 그 결과, 거푸집(28)내에는 9개의 블록형성공간이 생긴다. 팰릿(39)의 하면은, 지지대(38)의 존재에 의해 승강테이블(37)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그 때문에, 블록의 제조중에 거푸집(28)으로부터 누설된 물등이 승강테이블(37)의 상면에 떨어지더라도, 그 물의 표면장력에 의해 팰릿(39)이 승강테이블(37) 상면에 밀착되어 떨어지기 어렵게 되는 사태는 발생하지 않는다.
승강테이블(37)이 대기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거푸집(28)내로 가압 형성된 연결블록(10)이 팰릿(39)과 함께 승강테이블(37)상으로부터 반출장치(41)로 반출된다. 이어서, 반입장치(40)로부터 다음의 팰릿(39)이 승강테이블(37) 상으로 반입된다. 또한, 블록 성형시에는 진동발생장치(36)는 자신의 상하 움직임에 의해 승강테이블(37)에 진동을 부여하고, 거푸집(28)을 진동시킨다.
반입장치(40)로부터 승강테이블(37)로의 팰릿(39)의 반입, 및 승강테이블(37)로부터 반출장치(41)로의 팰릿(39)의 반출은, 도시되지 않은 푸셔가 팰릿(39)을 가압함에 의해 수행된다.
반입장치(40)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장치(42)가 배치되어 있다. 공급장치(42)는 받침대(43), 받침대(43)로 승강가능하게 지지된 승강축(44), 및 승강축(4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롤(45)을 구비한다. 승강축(44)은 받침대(43)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한쌍의 지주와, 양 지주의 선단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축을 구비하며, 지지축에 롤(45)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롤(45)에는 연결부재(20)가 감겨져 있다. 롤(45)에 감겨진 연결부재(20)는, 서로 평행한 길이가 긴 3본의 종와이어와, 그 종와이어와 직교하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횡와이어로 이루어진다. 롤(45)로부터 인출된 연결부재(20)가 절단됨에 의해, 도 1(a)에 나타낸 연결블록(10)의 크기에 대응하는 연결부재(20)가 얻어진다. 승강축(44)은 반입장치(40)의 양측부에 형성된 관통공(46)에 삽통된다. 승강축(44)의 승강이동에 의해, 롤(45)은 상기 커버부재(30)에 근접한 위치(도 2에 도시된 형성위치)와 반입장치(40)에 근접한 위치(도 5에 도시된 대기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된다.
반출장치(41)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장치(47)가 배치되어 있다. 클램프장치(47)는, 받침대(48), 받침대(48)에 승강가능하게 지지된 적어도 1개의 승강축(49), 및 승강축(49)의 선단에 취부된 가동대(50)를 구비한다. 승강축(49)의 승강이동에 의해, 가동대(50)는 커버부재(30)에 근접한 위치(도 2에 도시된 형성위치)와 반출장치(41)에 근접한 위치(도 5에 나타낸 대기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된다.
반출장치(41)는, 가동대(50)의 통과를 허용하는 관통공(51)을 가진다. 가동대(50)는 이 관통공(51)을 통과하여, 반출장치(41)의 상면보다도 하방의 위치(도 9에 나타낸 퇴피위치)까지 이동 가능하다. 가동대(50)가 퇴피(退避)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성형(成形) 완료된 연결블록(10)을 재치한 팰릿(39)이, 가동대(50)와 간섭함이 없이 승강테이블(37)상으로부터 반출장치로 반출된다.
가동대(50)상에는, 3개의 클램프부재(52)와, 그러한 클램프부재(52)에 각각대응하는 3개의 컷트부재(53)가 설치된다. 1개의 클램프부재(52) 및 1개의 커버부재(53)는 한조를 이룬다. 클램프부재(52)는 상기 롤(45)로부터 인출된 연결부재(20)를 클램프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 클램프부재(52)는 연결부재(20)의 종와이어 1개를 클램프한다. 컷트부재(53)는 대응하는 클램프부재(52)에 의해 클램프된 종와이어를 절단한다.
도 5는 승강테이블(37), 롤(45) 및 가동대(50)가 대기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즉, 승강테이블(37)상에는 팰릿(39)이 재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롤(45)로부터 인출된 연결부재(20)의 단부가 클램프부재(52)에 의해 클램프된다. 연결부재(20)는 팰릿(39)과 평행한 한편 팰릿(39)의 상면보다 소정 간격만큼 상방에 위치한다. 팰릿(39)의 상면과 연결부재(20)와의 간격은, 거푸집(28)의 종 및 횡삽통홈(34A, 35A)(도 3(b) 및 도 3(c) 참조)의 깊이에 상당한다.
도 2는 승강테이블(37), 롤(45) 및 가동대(50)가 성형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승강테이블(37)상의 팰릿(39)이 거푸집(28)의 하면에 밀착함과 더불어, 연결부재(20)가 종 및 횡삽통홈(34A,35A) 내로 배치된다. 즉, 롤(45)의 대기위치 및 성형위치의 높이는 롤(45)에 감겨진 연결부재(20)의 잔량에 대응하여 조정된다. 또한 승강테이블(37), 롤(45) 및 가동대(50)는, 퇴피위치와 성형위치와의 사이를 같은 주기(同期)로 이동한다.
승강테이블(37)의 상방에는, 압형(54)이 배치되어 있다. 압형(54)은 도시되지 않은 이동장치에 의해 승강한다. 압형(54)의 하면(55)에는, 거푸집(28)내의 구획거푸집(110)의 형상과 대응하는 격자모양의 홈이 형성된다. 압형(54)이 하강했을 때, 그 하면(55)의 격자모양 홈내로 구획거푸집(110)이 침입한다. 이 때문에, 압형(54)은 구획거푸집(110)에 의해 구획된 거푸집(28)내의 개구부(11s-19s)로 들어오고, 각 개구부(11s-19s)내의 원료를 가압할 수 있다. 하면(55)은 모양이 가해진 의장면을 형성한다. 거푸집(28)내로 충진된 원료를 압형(54)에 의해 가압형성하면, 의장면에 의해 각 소블록(11-19)의 표면(11a-19a)에 모양이 가해진다. 의장면은 도시되지 않은 온열수단에 의해 따뜻해져 있기 때문에, 거푸집(28)내에 충진된 원료를 가압할 때에, 원료가 하면(55)에 부착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제조장치(23)에 의한 도 1의 연결블록(10)의 제조공정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즉, 도 5와 도 6 및 도 10에 있어서는 압형(54)이 생략되어 있다.
최초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테이블(37), 공급장치(42) 및 클램프장치(47)가 대기위치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팰릿(39)이 반입장치(40)로부터 승강테이블(37)상으로 반입된다. 즉, 팰릿(39)의 반입후, 반입장치(40)상에는 다음 연결블록(10)을 제조하기 위한 새로운 팰릿(39)이 대기하고 있다. 이어서, 롤(45)로부터 인출된 연결부재(20)의 일단이, 클램프부재(52)에 의해 파지된다. 즉, 이 때 진동발생장치(36)는 작동하지 않는다.
또한, 양측 가동공급상자(25,27)는, 각각 대응하는 고정공급상자(24,26)의 하방에 대기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기층(21)을 성형하기 위한 원료가 고정공급상자(24)로부터 가동공급상자(25)에 공급됨과 더불어, 표층(22)을 성형하기 위한 원료가 고정공급상자(26)로부터 가동공급상자(27)로 공급된다.
다음으로, 승강테이블(37), 공급장치(42) 및 클램프장치(47)가, 대기위치로부터 도 6에 도시한 성형위치까지, 동기하여 상승된다. 그 결과, 승강테이블(37) 상의 팰릿(39)이 거푸집(28)의 하면에 밀착함과 더불어, 연결부재(20)가 종 및 횡삽통홈(34A,35A)에 배치된다.
이어서, 가동공급상자(25)가 거푸집(28)의 상방으로 이동하고, 기층(21)을 성형하기 위한 원료가 가동공급상자(25)로부터 거푸집(28)내로 공급된다. 원료의 공급 개시와 동시에 진동발생장치(36)가 작동하고, 승강테이블(37)을 매개로 하여 거푸집(28)에 진동이 부여된다. 이 진동에 의해, 거푸집(28)내의 원료가 치밀해진다. 거푸집(28)내에 기층(21)용의 원료가 소정량만큼 공급되면, 가동공급상자(25)는 원료의 공급을 종료하고, 고정공급상자(24)의 하방위치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가동공급상자(27)가 거푸집(28)의 상방으로 이동하고, 표층(22)을 성형하기 위한 원료가 가동공급상자(27)로부터 거푸집(28)내로 공급된다. 거푸집(28)내에 표층(22)용의 원료가 소정량만 공급도면, 가동공급상자(27)는 원료의 공급을 종료하고, 고정공급상자(26)의 하방위치로 되돌아간다.
이어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형(54)은, 거푸집(28)의 상방의 소정위치에 위치 결정되어진 후에, 거푸집(28)을 향하여 하강되어, 거푸집(28)내의 원료를 소정의 힘으로 가압성형한다. 압형(54)에 의한 가압의 종료 후에, 진동발생장치(36)가 정지된다. 즉, 압형(54)은 거푸집(28)내의 원료를 10-20㎜ 정도 밀어 넣는다. 가압성형시, 압형(54)의 의장면에 의해, 각 소블록(11-19)의 표면(11a-19a)에는 모양이 가해진다.
다음으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테이블(37), 공급장치(42) 및 클램프장치(47)가, 성형위치로부터 대기위치까지 동기하여 하강하고, 팰릿(39)이 거푸집(28)으로부터 이탈된다. 이 때, 성형완료된 연결블록(10)은, 팰릿(39)상에 재치된 상태로 상기 팰릿(39)과 함께 하강하기 때문에 거푸집(28)으로부터 이탈한다. 그 때문에, 팰릿(39) 및 연결블록(10)은 거푸집(28)으로부터 용이하고 확실하게 이탈할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반경화상태의 연결블록(10)이 무너지는 일은 방지된다. 또한, 승강테이블(37), 공급장치(42) 및 클램프장치(47)가 같은 주기로 이동하기 때문에, 연결부재(20)가 반경화상태의 연결블록에 대해서 움직이는 일이 없어진다. 따라서, 연결블록(10)에 대한 연결부재(20)의 위치 틀어짐과 그와 같은 위치 틀어짐에 수반한 연결블록(10)의 붕괴가 방지된다.
팰릿(39) 및 연결블록(10)이 거푸집(28)으로부터 완전하게 이탈한 후에, 압형(54)은 소정위치까지 상승한다. 또한, 클램프장치(47)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재(20)의 파지상태를 해제하고, 대피위치까지 하강한다. 그 후, 팰릿(39)은 연결블록(10)을 재치한 상태 그대로, 도 9에 실선으로 표시한 승강테이블(37)상의 위치로부터 도 9에 이점쇄선으로 표시한 반출장치(41)상의 위치로 반출된다. 이 반출시, 연결블록(10)내에 매설되어있는 연결부재(20)는 롤(45)에 감겨져 있는 연결부재(20)과 끊어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팰릿(39)의 반출과 더불어, 연결부재(20)가 롤(45)로부터 인출되어, 롤(45)이 회전한다. 따라서, 연결블록(10)이 이점쇄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이동하면, 승강테이블(37)상에는 다음의 연결블록(10)의 제조를 위한 연결부재(20)가 배치된다.
이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장치(47)가 대피위치로부터 대기위치까지 다시 상승하고, 클램프부재(52)가 연결부재(20)를 파지한다. 이 상태에서, 컷트부재(53)가 연결부재(20)를 절단한다. 따라서, 연결블록(10)에 매입되어진 연결부재(20)가, 롤(45)에 감겨져 있는 연결부재(20)로부터 끊어진다. 연결블록(10)은 팰릿(39)과 함께, 반출장치(41)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저장부까지 반송된다. 연결블록(10)은 저장부에서 완전하게 건조경화된 후, 팰릿(39)으로부터 떼어진다. 그 결과, 사용가능한 연결블록(10)이 완성된다.
또한, 연결블록(10)을 재치한 팰릿(39)이 승강테이블(37)상으로부터 반출장치(41)상으로 반출된 후, 새로운 팰릿(39)이 반입장치(40)상으로부터 승강테이블(37)상으로 반입되어, 다음의 연결블록(10)의 제조가 개시된다.
본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가압성형법에 의해 1개의 거푸집(28)을 사용하여, 연결블록(10)을 연속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연결블록(10)의 제조효율이 현저히 향상된다.
거푸집(28)으로부터 팰릿(39)이 이탈될 때에, 승강 테이블(37)의 하강에 동기하여, 공급장치(42) 및 클램프장치(47)가 하강한다. 그 때문에, 연결블록(10)의 탈형시에 있어 연결블록(10)에 매입되어진 연결부재(20)가 반경화상태의 연결블록을 파손하는 일이 없다.
거푸집(28)에 진동을 부여하면서, 거푸집(28)내로의 원료의 공급 및 거푸집(28)내의 원료의 가압이 행해진다. 그로 인해, 거푸집(28) 내의 원료를 치밀하게 할 수 있고, 공동이 없는 양질의 연결블록을 얻을 수 있다.
성형후의 연결블록(10)을 재치한 팰릿(39)이 승강테이블(37)상으로부터 반출장치(41)상으로 반출된 후에, 연결부재(20)가 절단된다. 이 때문에 팰릿(39)의 반출과 동시에, 다음의 연결블록(10)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어지는 연결부재(20)가 승강테이블(37)상에 자동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연결부재(20)을 승강테이블(37) 상으로 배치하기 위한 공정이 별도로 필요치 않아, 제조공정이 간략화된다.
다음으로, 본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1(a) 내지 도 1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즉, 제1실시형태의 부재에 상당하는 부재에는 동일의 부호를 붙이고,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실시 형태에 따라서 제조되는 연결블록은, 제1실시형태와 동일하고, 도 1(a)에 도시한 연결블록(10)이다. 단, 본실시 형태에서는, 미리 격자모양으로 형성된 도 1(a)의 연결부재(20)을 대신하여, 가용성을 갖는 복수매의 끈모양 연결부재가 사용되고, 이 끈모양 연결부재가 격자모양을 이루도록 연결블록(10)에 매입되어진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본실시형태에 의한 거푸집(28)을 나타내고 있다. 동일 직선상에 배치된 4개의 종홈(34)에 의해 된 각 종삽통홈(34A)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연장한 끈모양의 연결부재(종연결부재)(56)가 삽입된다. 횡홈(58)은, 도 3(a)의 거푸집(28)과 달리, 종구획벽(32)뿐만 아니라, 거푸집(28)의 좌우 양측벽(28c, 28d)에도 형성된다. 동일 직선상에 배치된 4개의 횡홈(58)은 한 개의 횡삽통홈(58A)를 형성한다. 각 횡삽통홈(58A)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연장된 끈모향의 연결부재(횡연결부재)(57)이 삽입된다.
횡홈(58)은, 후술하는 핑거부재(59)의 통과를 허용해야하고, 종홈(34)보다 넓은 폭을 가진다. 횡홈(58)은 또 종홈(34) 보다 깊다. 그 때문에, 종 및 횡홈(34,58)에 각각 연결부재(56,57)가 삽입된 때, 양연결부재(56,57)는 서로 간섭하는 일이 없이 교차된다.
도 12에서와 같이, 제조장치는 연결부재(56)를 위한 제1공급장치(59) 및 제1클램프장치(61)와, 횡연결부재(57)를 위한 제2공급장치(60) 및 제2클램프장치(62)를 구비한다. 제1공급장치(59) 및 제1클램프장치(61)는 거푸집(28)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2공급장치(60) 및 제2클램프장치(62)도 마찬가지로, 거푸집(28)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1공급장치(59) 및 제1클램프장치(61)는, 기본적으로, 도 4의 공급장치(42) 및 클램프장치(47)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제1공급장치(59)는 반입장치(40)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단지, 승강축(44)에 3개의 롤(63)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점이 도 4의 공급장치(42)와 다르다. 각 롤(63)에는, 종연결부재(56)가 감겨져 있다. 제1공급장치(59)는, 도 4의 공급장치(42)와 동일하게, 성형위치와 대기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다. 물론 제1공급장치(59)의 대기위치 및 성형위치의 높이는, 롤(63)에 감겨진 종연결부재(56)의 잔량에 따라 조정된다.
제1클램프장치(61)는, 도4에 도시한 클램프장치(47)와 동일 구성이고, 반입장치(41)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3개의 클램프부재(52)의 각각은, 대응하는 롤(63)로부터 인출된 종연결부재(56)의 일단을 클램프한다. 3개의 컷트부재(53)의각각은, 대응하는 클램프부재(52)에 의해 클램프된 연결부재(56)를 절단한다. 제1클램프장치(61)는 도 4의 클램프장치(47)와 동일하게, 성형위치, 대기위치 및 퇴피위치의 사이를 이동가능하다.
제2공급장치(60)는, 공급부(67)와 인출부(68)를 구비한다. 공급부(67)는 받침대(64)와, 받침대(64)상으로 승강가능하게 지지된 3개의 승강축(65)과, 승강축(65)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3개의 롤(66)을 구비한다. 각 롤(66)에는 횡연결부재(57)이 감겨져 있다.
인출부(68)는, 횡연결부재(57)를 거푸집(28)의 횡삽통홈(58A)내로 삽입해야만하고,횡연결부재(57)를 롤(66)로부터 제2클램프장치(62)로 향하여 인출한다. 인출부(68)는, 롤(66)에 각각 대응하는 3개의 원통모양 핑거부재(69)와, 핑거부재(69)를 구동하는 구동장치(도시안됨)를 갖춘다. 롤(66)로부터 이출된 횡연결부재(57)는 대응하는 핑거부재(69)내로 삽통된다. 각 핑거부재(69)는, 그 선단에, 클램프기구(70)를 구비한다. 클램프기구(70)는 핑거부재(69)에 삽통된 횡연결부재(57)를 클램프한다. 핑거부재(69)는, 구동장치에 의해 도 12에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초기위치)와 도 12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인출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된다. 핑거부재(69)는, 초기위치와 인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할 때, 대응하는 횡삽통홈(58A)내를 통과한다.
제2클램프장치(62)는, 승강가능한 가동대(71)을 구비한다. 가동대(71)은, 엘르들면, 도시하지 않은 승강축을 매개로하여, 도시하지 않은 받침대상에 지지된다. 가동대(71)상에는 횡연결부재(57)에 각각 대응하는 3개의 클램프부재(72)가 설치된다. 핑거부재(69)가 횡연결부재(57)를 클램프한 상태에서 초기위치로부터 인출위치까지 이동되었을 때, 클램프부재(72)는 대응하는 횡연결부재(57)를 클램프한다. 그 결과, 거푸집(28)의 횡삽통홈(58A)내에 횡연결부재(57)가 설치된다.
제2공급장치(60) 및 제2클램프장치(62)는, 거푸집(28)과 대응하는 높이위치, 다시 말해, 제1공급장치(59) 및 제1클램프장치(61)의 성형위치에 상당하는 높이에 배치된다. 단지 제2공급장치(60) 및 제2클램프장치(62)의 높이 위치는 롤(66)에 감겨진 횡연결부재(57)의 잔량에 따라 조정된다.
제2공급장치(60)과 거푸집(28)과의 사이에는, 절단장치(73)가 설치된다. 절단장치(73)는, 승강가능한 가동대(74)를 구비한다. 가동대(74)는 도시하지 않은 받침대상에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승강축을 매개로 하여 지지된다. 가동대(74)상에는 횡연결부재(57)에 각각 대응하는 3개의 컷트부재(75)가 설치된다. 컷트부재(75)는, 대응하는 횡연결부재(57)를 절단한다. 핑거부재(69)가 초기위치와 인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할 때, 가동대(74)는 횡연결부재(57)를 절단하기 위한 위치(절단위치)로부터 핑거부재(69)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대피위치)까지 하강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블록(10)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제1실시예와 동일한 공정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승강테이블(37), 제1공급공급장치(59) 및 제1클램프장치(61)가 대기위치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팰릿(39)이 반입장치(40)상으로부터 승강테이블(37)상으로 반입된다. 다음으로, 제1공급장치(59)로부터 인출된 3본의 종연결부재(56)의 단부가 제1클램프장치(61)의 클램프부재(52)에 의해 클램프된다.
다음으로, 제2공급장치(60) 및 제2클램프장치(62)의 높이위치가 조정됨과 더불어, 절단장치(73)이 퇴피위치로 하강된다. 그리고, 횡연결부재(57)를 클램프한 3개의 핑거부재(69)가 초기위치로부터 인출위치까지 이동된다. 이어, 제2클램프장치(62)의 클램프부재(72)가 각각 대응하는 횡연결부재(57)를 클램프한다. 그 결과, 횡연결부재(57)가 거푸집(28)의 횡삽통홈(58A)내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핑거부재(69)는 횡연결부재(57)의 클램프를 해제함과 더불어, 인출위치로부터 초기위치를 향해 횡삽통홈(58A)내를 이동한다. 핑거부재(69)가 초기위치로 돌아오면, 핑거부재(69)는 다시 횡연결부재(57)를 클램프한다.
다음으로, 승강테이블(37), 제1공급장치(59) 및 제1클램프장치(61)가 대기위치로부터 성형위치로 동기하여 상승된다. 그 결과 종연결부재(56)가 거푸집(28)의 종삽통홈(34A)내에 배치된다.
그 후,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거푸집(28)내로 기층용 원료 및 표층용 원료가 공급됨과 더불어, 거푸집(28)내로 충진된 원료가 압형(54)에 의해 가압성형된다. 다음에 절단장치(73)가 절단위치로 상승하여, 횡연결부재(57)을 절단한다. 또한, 제2클램프장치(62)가 횡연결부재(57)의 클램프를 해제한다.
이어, 승강테이블(37), 제1공급장치(59) 및 제1클램프장치(61)가 성형위치로부터 대기위치로 동기하여 하강된다. 이 때, 압형(54)도 동기하여 하강된다. 그 결과, 팰릿(39) 및 팰릿(39)상의 연결블록(10)이 거푸집(28)으로부터 이탈된다.
그 후, 압형(54)이 소정위치까지 상승함과 더불어, 제1클램프장치(61)가 종연결부재(56)의 파지상태를 해제하고, 대피위치까지 하강한다. 이어,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연결블록(10)을 재치한 팰릿(39)이 승강테이블(37)상으로부터 반출장치(41)상으로 반출된다. 이 반출시, 연결블록(10)내에 매설되어 있는 종연결부재(56)는 롤(63)에 감겨져있는 종연결부재(63)로부터 끊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팰릿(39)의 반출에 수반하여, 종연결부재(56)가 롤(63)로부터 인출된다. 이에 따라,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연결블록(10)이 팰릿(39)과 함께 반출장치(41)상으로 반출되면, 승강테이블(37)상에는 다음의 연결블록(10)의 제조를 위한 종연결부재(56)가 배치된다.
그 후, 제1클램프장치(61)가 퇴피위치로부터 대기위치까지 상승하고, 클램프부재(52)가 종연결부재(56)를 파지함과 더불어, 컷트부재(53)가 종연결부재(56)를 절단한다. 또한, 연결블록(10)을 재치한 팰릿(39)이 반입장치(40)상으로부터 승강테이블(37)상으로 반입되어, 다음의 연결블록(10)의 제조가 개시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실시형태에서는, 복수본의 끈모양의 연결부재(56,57)가 격자모양을 이루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연결블록(10)에 매입된다. 따라서, 연결부재를 미리 격자모양으로 성형할 필요가 없어,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대하여, 상기 제2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13(a) 내지 도 1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2실시형태와 같이, 끈 모양의 복수본의 종 및 횡연결부재(56,57)가 격자모양을 이루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연결블록으로 매입된다. 단, 연결부재(56,57)는 연결블록(10)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11-19)의 높이 방향의 대략 중간부에 매입된다.
도 13(a), 도 13(b) 및 도 13(c)는, 본 실시형태의 거푸집(28)을 나타낸다. 거푸집(28)의 전후측벽(28a,28b)와 구획거푸집(110)의 횡구획벽(33)에는, 종연결부재(56)이 삽통되는 종삽통공(76)이 형성된다. 거푸집(28)의 좌우측벽(28c,28d)와 구획거푸집(110)의 종구획벽(32)에는 횡연결부재(57)이 삽통되는 횡삽통공(77)이 형성된다. 종 및 횡삽통공(76,77)은 거푸집(28) 및 구획거푸집(110)의 높이 방향 중앙보다 약간 아래에 치우쳐 설치된다. 그 때문에, 블록성형시에 거푸집(28)내의 원료가 압형(54)에 의해 10-20㎜ 정도 밀려들어갈 때, 삽통공(76,77)에 삽통된 연결부재(56,57)가, 소블록(11-19)의 높이방향 대략 중간부에 위치한다.
횡삽통공(77)은, 제2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핑거부재(69)의 삽통을 허용하는 정도의 직경을 가진다. 종삽통공(76)은, 핑거부재(69)와 동일한 핑거부재(82)(도 14 참조)의 삽통을 허용하는 정도의 직경을 가진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실시형태의 제조장치는, 도 12에 도시된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종연결부재(56)를 위한 제1공급장치(78) 및 제1클램프장치(79)와, 횡연결부재(57)를 위한 제2공급장치(60) 및 제2클램프장치(62)를 구비한다. 제2공급장치(60)과 거푸집(28)과의 사이에는 절단장치(73)가 설치된다.
제2공급장치(60), 제2클램프장치(62) 및 절단장치(73)는, 구성 및 동작에 있어서, 도 12의 실시형태와 완전히 동일하다. 도 12의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핑거부재(69)가 거푸집(28) 및 구획거푸집(110)의 횡삽통공(77)을 통과하는 점뿐이다.
상기 제1공급장치(78)는, 반입장치(40)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제1공급장체(78)는 구성 및 동작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장치(60)와 대략 같다. 즉, 제1공급장치(78)는, 공급부(80)과 인출부(81)를 구비한다. 공급부(80)는, 도 12의 제1공급장치(59)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인출부(81)는, 제2공급장치(60)의 인출부(68)와 같고, 클램프기구(83)를 갖춘 3개의 상기 핑거부재(82)와, 핑거부재(82)를 구동하는 구동장치(도시 안됨)를 구비한다. 핑거부재(82)는, 도 14에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초기위치)와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위치(인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다. 핑거부재(82)는 초기위치와 인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할 때, 대응하는 종삽통공(76) 내를 통과한다.
상기 제1클램프장치(79)는, 반출장치(41)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진다. 제1클램프장치(79)는, 구성 및 동작에 있어서, 상기 제2클램프장치(63)와 동일하다. 즉, 제1클램프장치(79)는, 승강축(85)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지지된 가동대(86)를 구비한다. 승강축(85)은 반출장치(41)의 양측부에 형성된 관통공84에 삽통되어 있다. 가동대(86)상에는 종연결부재(56)에 각각 대응하는 3개의 클램프부재(87)가 설치되어 있다.
제1공급장치(78) 및 제1클램프장치(79)는, 제2공급장치(60) 및 제2클램프장치(62)와 같이, 거푸집(28)과 대응하는 높이위치에 배치된다. 단지, 제1공급장치(78) 및 제1클램프장치(79)의 높이위치는 롤(63)에 감긴 종연결부재(56)의 잔량에 따라 조정된다.
제1공급장치(78)과 거푸집(28)과의 사이에는, 절단장치(88)이 설치되어진다.절단장치(88)는, 구성 및 동작에 있어서 상기 절단장치(73)와 동일하다. 즉, 절단장치(88)은, 승강축(90)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지지된 가동대(91)를 구비한다. 승강축(90)은 반입장치(40)의 양측부에 형성된 관통공(89)에 삽통된다. 가동대(91)상에는 3개의 컷트부재(92)가 설치된다. 핑거부재(82)가 초기위치와 인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할 때, 가동대(91)는 종연결부재(56)을 절단하기 위한 위치(절단위치)로부터 핑거부재(82)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대피위치)까지 하강한다.
다음으로, 본실시형태에 의한 연결블(10)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이 때, 제2실시형태와 동일 공정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승강테이블(37)이 대피위치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팰릿(39)이 반입장치(40)상으로터 승강테이블(37)상으로 반입된다.
다음으로, 제1공급장치(78) 및 제1클램프장치(79)의 높이위치가 조정됨과 더불어, 절단장치88가 대피위치로 하강된다. 그리고 나서, 종연결부재(56)를 클램프한 3개의 핑거부재(82)가 초기위치로부터 종삽통공(76)내를 통하여 인출위치까지 이동된다. 이어, 제1클램프장치(79)의 클램프부재(87)가, 각각 대응하는 종연결부재(56)를 클램프한다. 그 결과, 종연결부재(56)이 종삽통공(76)내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핑거부재(82)는, 종연결부재(56)의 클램프를 해제함과 더불어, 인출위치로부터 초기위치를 향해 종삽통공(76)내를 이동한다. 핑거부재(82)가 초기위치로 돌아오면, 핑거부재(82)는 다시 종연결부재(56)를 클램프한다.
다음으로, 제2공급장치(60) 및 제2클램프장치(62)의 높이위치가 조정됨과 더불어, 절단장치74가 대피위치로 하강된다. 그리고 나서, 횡연결부재(57)를 클램프한 3개의 핑거부재(69)가 초기위치로부터 횡연결공(77)을 통하여 인출위치까지 이동된다. 이어, 제2클램프장치(62)의 클램프부재(72)가 각각 대응하는 횡연결부재(57)을 클램프한다. 그 결과, 횡연결부재(57)가 횡삽통공(77)내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핑거부재(69)는, 횡연결부재(57)의 클램프를 해제함과 더불어, 인출위치로부터 초기위치를 향해 횡삽통공(76)내를 이동한다. 핑거부재(69)가 초기위치로 돌아가면, 핑거부재(69)는 다시 횡연결부재(57)를 클램프한다.
이어, 승강테이블(37)이 성형위치로 상승되고,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거푸집(28)로의 원료 공급 및 압형(54)에 의한 원료의 가압 성형이 이루어진다. 그 결과, 양 연결부재(56,57)는, 가압성형된 연결블록(10)의 높이 방향 중간부에 매설된다.
다음으로, 양 절단장치(88,73)이 절단위치로 상승하여, 연결부재(56, 57)을 절단한다. 또한, 양 클램프장치(79,62)는 연결부재(56,57)의 클램프를 해제한다.
이어, 승강테이블(37)이 성형위치로부터 대기위치로 하강된다. 이 때, 압형(54)도 동기하여 하강된다. 그 결과, 팰릿(39) 및 팰릿(39)상의 연결블록(10)이 거푸집(28)으로부터 이탈된다. 그 후, 압형(54)이 소정위치까지 상승함과 더불어, 연결블록(10)을 재치한 팰릿(39)이 승강테이블(37)상으로부터 반출장치(41)상으로 반출된다. 그리고 나서, 새로운 팰릿(39)이 반입장치(40)상으로부터 승강테이블(37)상으로 반입되어, 다음 연결블록(10)의 제조가 개시된다.
이상과 같이, 본실시형태에서는 높이 방향의 중간부에 종 및횡연결부재(56,57)를 매설하여 된 연결블록(10)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연결블록을 구성하는 소블록의 수 및 배열은, 임의로 변경되어도 좋다.
연결블록의 평면형상은 장방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원형, 부채꼴, 원호형, 웨이브형등으로 변경되어도 좋다.
연결블록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평면형상은, 거푸집(28)내로 배치되는 구획거푸집(110)의 형상을 변경함에 따라, 원형, 삼각형, 타원형 혹은 마름모꼴(臺形)등, 임의의 형상으로 변경가능하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소블록(93)에 의해 된 연결블록(94)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미리 격자모양으로 형성된 연결부재가 사용되어도 좋고, 복수본의 끈모양의 연결부재가 사용되어도 좋다. 도 15에서는, 6본의 끈 모양의 종연결부재(95-100)와, 6본의 끈 모양의 횡연결부재(101-106)가 사용되어져 있다. 이 때, 각 소블록은 반드시 종연결부재와 횡연결부재와의 교차부에 배치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예를들면, 도 15의 좌우 하단에 나타낸 소블록(107)은 종연결부재(100)과 횡연결부재(106)과의 교차부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져 있다.
연결블록에 대해 연결부재가 매설되는 높이 위치는, 상술한 각 실시예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하게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제3실시형태에 따른 종 및 횡삽통공(76,77)은 홈이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연결블록(10)이 거푸집(28)으로부터 떨어질 때, 종 및 횡연결부재(56,57)가 연결블록(10)과 거푸집(28) 내로 간섭하는 일없이 거푸집(28)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된다.
클램프장치(47,61,79)를 거푸집(28)의 측벽(28a,287b,28c,28d)에 직접 설치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조장치의 간소화가 가능하다. 게다가, 1회분의 연결블록의 제조에 사용되는 연결부재(20,56,57)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진동발생장치(36)에 의해 승강테이블(37)을 통하여 거푸집(28)으로 진동을 부여하는 대신, 거푸집(28)에 직접진동을 부여하여도 좋다.
연결블록(10)의 제조시에, 작업원이 거푸집(28)에 연결부재(20,56,57)를 수작업으로 배치하도록 하여 무방하다.
도 1 내지 도 10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거푸집(28) 내로 연결부재(20)를 배치할 때에, 공급장치(42)를 미리 성형위치에 고정하고, 승강테이블(37) 및 클램프장치(47)만을 대기 위치로부터 성형위치로 상승시켜도 좋다. 승강테이블(37) 및 클램프장치(47)의 상승에 따라, 연결부재(20)는 경사상태로부터 수평상태로 이동한다. 연결부재(20)가 수평하게 된 때에, 연결부재(20)가 거푸집(28)내로 배치된다.
도 1 내지 도 10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팰릿(39)을 거푸집(28)으로부터 이탈시킬 때, 공급장치(42)를 대기위치로 하강시킴없이 성형위치로 보지시켜도 좋다. 이 경우, 팰릿(39)이 하강함에 따라, 연결부재(20)가 롤(45)로부터 인출되도록 롤(45)이 회전된다. 이와 같은 동작은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적용된다.
상기 내용에 포함되어 있음.
Claims (10)
- 기층 및 표층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소블록(11-19,93)을 연결부재(20,56,57,95-106)에 의해 연결하여서 된 연결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연결부재(20,56,57,95-106)를 거푸집(28) 내에 배치하는 공정과,복수의 소블록 성형공간(11s-19s)을 가지는 거푸집(28)내에 기층용 및 표층용의 블록원료를 공급하는 공정으로서, 연결부재(20,56,57,95-106)의 일부는 각 소블록 성형공간(11s-19s)내의 기층에 대응하는 위치에 매입되어지는 것과,거푸집(28)내의 원료를 가압하여 성형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블록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연결부재(20,56,57,95-106)가 거푸집(28)내의 소정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연결부재(20,56,57,95-106)를 고정하는 공정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블록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연결부재(20,56,57,95-106)를 거푸집(28)내에 배치하는 공정은, 미리 격자모양으로 형성된 연결부재(20)를 거푸집(28)에 형성된 홈(34,35)에 삽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블록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연결부재(20,56,57,95-106)를 거푸집(28) 내에 배치하는 공정은, 복수본의 끈모양을 이룬 연결부재(56,57,95-106)가 격자모양을 이루게 배열되도록, 상기 끈모양 연결부재(56,57,95-106)를 거푸집(28)에 형성된 홈(34,58) 또는 구멍(76,77)에 삽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블록의 제조방법.
-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거푸집(28)내에 원료가 공급된 상태에서 거푸집(28)을 진동시키는 공정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블록의 제조방법.
- 기층 및 표층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소블록(11-19,93)을 연결부재(20,56,57,95-106)에 의해 연결하여서 된 연결블록의 제조장치에 있어서;복수의 소블록 성형공간(11s-19s)을 가지는 거푸집(28)과,연결부재(20,56,57,95-106)를 상기 연결부재가 각 블록의 기층에 대응하는 위치에 매입되도록 거푸집(28) 내에 배치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재(20,56,57,95-106)를 거푸집(28)에 대하여 공급하는 연결부재 공급수단(42,59,60,78)과,거푸집(28)내에 기층용 및 표층용의 블록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수단(24,25,26,27)과,거푸집(28) 내의 원료를 가압하여 성형하는 가압수단(54)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블록의 제조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공급수단(42,59,60,78)은, 거푸집(28)에 대하여 연결부재(20,56,57,95-106)를 연속하여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긴 연결부재(20,56,57,95-106)를 쌓아두는 저류부(45,63,66)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블록의 제조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성형후의 연결블록에 매입되어진 연결부재(20,56,57,95-106)를, 저류부(45,63,66)에 쌓인 연결부재(20,56,57,95-106)로부터 끊는 절단장치(53,73,88)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블록의 제조장치.
- 제 6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거푸집(28) 내에 배치된 연결부재(20,56,57,95-106)를 소정위치에 고정하는 고정수단(47,61,62,79)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블록의 제조장치.
- 제 6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원료가 충진된 거푸집(28)을 진동시키는 진동수단(36)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블록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2275599A JP3270431B2 (ja) | 1999-08-05 | 1999-08-05 | 連結ブロックの製造方法及び連結ブロックの製造装置 |
JP?11-222755 | 1999-08-0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49961A KR20010049961A (ko) | 2001-06-15 |
KR100394500B1 true KR100394500B1 (ko) | 2003-08-14 |
Family
ID=16787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44620A KR100394500B1 (ko) | 1999-08-05 | 2000-08-01 | 연결블록의 제조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3270431B2 (ko) |
KR (1) | KR10039450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833712B2 (en) * | 2019-02-28 | 2023-12-05 | Integrated Roadways, Llc | Tool for forming a cavity in a modular pavement slab and method of fabricating pavement slabs |
US11104033B2 (en) * | 2019-02-28 | 2021-08-31 | Integrated Roadways, Llc | Tool for forming a cavity in a modular pavement slab and method of fabricating pavement slab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502697A (ja) * | 1991-11-23 | 1996-03-26 | エスエフ−コーペラティオン ゲーエムベーハー ベトン−コンツェプテ | 舗道石セットおよびその製造法並びにその製造装置 |
-
1999
- 1999-08-05 JP JP22275599A patent/JP3270431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
- 2000-08-01 KR KR10-2000-0044620A patent/KR10039450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502697A (ja) * | 1991-11-23 | 1996-03-26 | エスエフ−コーペラティオン ゲーエムベーハー ベトン−コンツェプテ | 舗道石セットおよびその製造法並びにその製造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3270431B2 (ja) | 2002-04-02 |
JP2001047426A (ja) | 2001-02-20 |
KR20010049961A (ko) | 2001-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459247B (zh) | 一种砌块制造方法及砌块制造装置 | |
JPH05337914A (ja) | 穴あきブロック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 |
JP2016215375A (ja) | ブロック製造方法及びブロック製造装置 | |
KR100949622B1 (ko) |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방법, 그 장치 및 코어 배치방법 | |
KR100394500B1 (ko) | 연결블록의 제조방법 및 장치 | |
KR101611201B1 (ko) | 3중 구조 발포 보드의 성형 장치 및 그 성형 방법 | |
JP2001191314A (ja) |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 |
CN114633347A (zh) | 模具可翻转的水工制品成型机及异形混凝土制品制作工艺 | |
FI60818C (fi) |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vakuumformning av en plastfilm pao en modell | |
CN111688000A (zh) | 带孔砌块的成型切割方法和装置 | |
CN218527469U (zh) | 一种中式面点自动压模成型机 | |
US6725520B1 (en) |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single or multi-layer, fiber-reinforced flat products | |
CN201056019Y (zh) | 一种大型多孔路缘石模具 | |
KR100928809B1 (ko) | 주물기용 주형 성형장치 | |
KR102591094B1 (ko) | 골드바 표면 각인장치 | |
JPH06134740A (ja) | 大形コンクリート製品の即時脱型式自動成形機 およびその成形方法 | |
KR200175072Y1 (ko) | 전주용 근가 성형장치 | |
JP2023178149A (ja) | 積みブロックの製造方法及び積みブロック | |
JP4394257B2 (ja) | 粉末成形体の製造方法 | |
KR100278088B1 (ko) | 조립식 타일블럭의 제조방법 및 장치 | |
JP2002067023A (ja) |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成形型枠装置 | |
JPH04329101A (ja) | セラミックス鋳込成形機 | |
KR940010082B1 (ko) | 보도블럭 자동성형 장치 및 방법 | |
JPH0985723A (ja) | 建築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化粧方法 | |
JP3046411U (ja) | 化粧コンクリート平板の製造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