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3876B1 - 컬러 수상관 장치 - Google Patents

컬러 수상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3876B1
KR100393876B1 KR10-2000-0080383A KR20000080383A KR100393876B1 KR 100393876 B1 KR100393876 B1 KR 100393876B1 KR 20000080383 A KR20000080383 A KR 20000080383A KR 100393876 B1 KR100393876 B1 KR 100393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deflection
deflection coil
generating
phosphor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0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2634A (ko
Inventor
미야자키순이치
다가미에츠지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62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8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01J29/703Static converg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8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 H01J2229/5681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magnetic
    • H01J2229/5682Permanently magnetised materials, e.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향 코일의 형광체 스크린면측에 있어서, 수평축보다 상측에, 상측 편향시에 수직 편향 코일(13)이 발생하는 자계와 동 극성의 자계를 발생하는 자석(31)을 구비하고, 수평축보다 하측에, 하측 편향시에 수직 편향 코일(13)이 발생하는 자계와 동 극성의 자계를 발생하는 자석(32)을 구비하며, 자석(31, 32)보다 형광체 스크린면측에 있어서, 수평축보다 상측에, 상측 편향시에 수직 편향 코일(13)이 발생하는 자계와 역극성의 자계를 발생하는 자석(33)을 구비하고, 수평축보다 하측에, 하측 편향시에 수직 편향 코일(13)이 발생하는 자계와 역극성의 자계를 발생하는 자석(34)을 구비한다. 이상에서 상하 핀쿠션 변형과 상하 인너 핀쿠션 변형을 간편하고 또한 저코스트로 보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컬러 수상관 장치{COLOR CRT APPARATUS}
본 발명은 모니터나 텔레비전 수상기 등에 이용되는 컬러 수상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컬러 수상관의 중요한 화상 품질 요소의 하나에 래스터 변형이 있는데, 종래부터 주변부의 상하 핀쿠션 변형 및 좌우 핀쿠션 변형은 편향 요크의 자계 및 컬러 수상관 장치의 보정회로에 의해 보정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상하 좌우 주변부의 변형을 최적화해도, 세로선의 중간부 또는 가로선의 중간부에 핀쿠션 변형이 잔류하는 일이 있다. 이들은 각각「좌우 인너 핀쿠션 변형」(도6), 「상하 인너 핀쿠션 변형」(도7)이라고 불린다. 「좌우 인너 핀쿠션 변형」은 「세로선 인너 핀쿠션 변형」으로, 「상하 인너 핀쿠션 변형」은 「가로선 인너 핀쿠션 변형」이라고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평면 스크린상의 휘점 위치의 변위량 X(t)는 θ을 편향각이라 하면 tanθ에 비례한다. 이 때문에 형광체 스크린면의 수평방향 주변부에 가까이 감에 따라 수평방향의 변위량이 증가한다. 소위「S자 변형」이라고 불리는 비직선성 변형이 생긴다. 이 S자 변형은 S자 변형 보정회로를 부가함으로써 보정된다. S자 변형의 필요 보정량은 편향중심에서 형광체 스크린면상의 각 점까지의 수직방향 거리에 역비례한다.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컬러 수상관의 래스터 상부 및 하부, 즉 형광체 스크린면의 수직방향 주변부(18)에서는 중간부(17)(사선으로 표시하는 범위)보다 편향 중심에서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S자 변형의 필요 보정량이 중간부보다 적어도 된다.
그러나, 종래의 컬러 수상관 장치의 S자 변형 보정회로는 형광체 스크린면의 수직방향 중간부에서의 S자 변형 보정을 최적화하지만, 형광체 스크린면의 수직방향 중간부와 주변부와의 필요 보정량의 상이가 고려되어 있지 않으므로, 주변부에서 S자 변형이 과보정되어 버리고, 이 때문에 좌우 인너 핀쿠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컬러 수상관의 전면 패널의 평면화 및 편향각의 증대에 따라 이 좌우 인너 핀쿠션 변형이 현저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일본국 특개평 9-149283호 공보에 기재된 발명은 가포화 리액터에 수평 편향 전류를 흐르게 해, 이를 수직 편향 전류로 변조시키고, 래스터 상부 및 하부, 즉 수직방향 주변부에의 편향시에 수평 편향부의 총합 인덕턴스가 수평방향의 주변부에의 편향시(즉, 대각방향의 각부(角部)에의 편향시)에 작아지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좌우 인너 핀쿠션 변형을 제거했었다.
최근의 컬러 수상관의 전면 패널의 더 한층의 평면화 및 편향각의 증대에 따라, 래스터의 상하방향에서의 경우와 같이 래스터의 수평방향 좌부 및 우부와 수평방향 중간부와의 사이에도 S자 변형 보정량의 차가 생기고, 그 결과로서, 좌우 인너 핀쿠션 변형에 추가하여 상하 인너 핀쿠션 변형의 문제가 현저하게 존재해 왔다. 상기의 일본국 특개평 9-149283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의 인너 핀쿠션 변형 보정회로는 좌우 인너 핀쿠션 변형의 보정에는 유효한 수단이지만, 상하 인너 핀쿠션 변형의 보정은 불가능했다. 따라서, 종래는 편향 요크의 중심축을 수직방향으로 기울이는 상하 틸트에 의해 변형의 상하 발란스를 취할 뿐이었다.
이 외에, 일본국 특개평 6-283115호 공보, 일본국 실개소 63-80756호 공보에서는 편향 요크의 4코너에 자석을 배치하고, 상하방향 중간부의 상하 배럴 변형을 보정하고 있는데, 이 방식에서는 래스터 변형을 보정할 시에 상하방향 중간부의 적색 빔과 청색 빔의 가로선 콘버전스가 악화되는 데다가 자석 부착시의 공수가 늘어, 작업성이 열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컬러 수상관 장치에 있어서, 상하 핀쿠션 변형을 보정하면서, 상하 인너 핀쿠션 변형도 보정하고, 또한 부착하는 자석의 수가 상측, 하측에 각각 2개면 되므로, 재료비의 삭감, 공정수의 저감,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편향장치를 상측에서 본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컬러 수상관 장치의 횡단면도,
도3은 마찬가지로 편향장치를 형광체 스크린면측에서 본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자계발생체(보정 자석)가 발생하는 자계의 방향과 수직 편향자계의 방향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자계발생체(보정 자석)에 의해 상하 인너 핀쿠션 변형이 보정되는 모양을 도시한 도면,
도6은 좌우 인너 핀쿠션 변형의 설명도,
도7은 상하 인너 핀쿠션 변형의 설명도,
도8은 형광체 스크린면의 수직방향 주변부와 중간부 영역의 설명도,
도9는 본 발명에 의해 상하 인너 핀쿠션 변형이 보정되는 모양을 도시한 도면,
도10은 본 발명에 의해 상하 핀쿠션 변형이 보정되는 모양을 도시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에 이용하는 자계 발생체(보정자석)의 자계강도의 수직축 방향의 분포를 도시한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편향장치를 횡측에서 본 도면,
도13은 각 자계발생체(보정 자석)를 관축방향의 동일위치에 부착한 본 발명의 편향장치를 횡측에서 본 도면,
도14는 래스터 상하 주변부가 물결 성분을 가지고 있는 모양을 도시한 도면,
도15는 길이가 다른 2종류의 자석을 자계 발생체로서 이용한 본 발명의 편향장치를 형광체 스크린면측에서 본 도면,
도16은 도14의 상하 인너 핀쿠션 변형이 보정되는 모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면 패널 2 : 형광체 스크린면
3 : 유리 벌브 4 : 새도우 마스크
5 : 네크부 6 : 전자 빔
7 : 전자총 8 : 펀넬부
9 : 편향장치 11 : 수평 편향 코일
12 : 수지틀 13 : 수직 편향 코일
14 : 페라이트 코어
31∼34, 31a∼34a : 자석(자계 발생체)
본 발명의 컬러 수상관 장치는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면을 가지는 유리 벌브와, 상기 유리 벌브내에 배치되고, 상기 형광체 스크린면에 전자 빔을 조사하는 인 라인 전자총과, 상기 유리 벌브 외부에 배치된 수평 편향 코일 및 수직 편향 코일을 가지는 편향장치를 구비한 컬러 수상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편향장치의 수평축보다 상측에, 상측 편향시에 상기 수직 편향 코일이 발생하는 자계와 동 극성의 자계를 발생하는 제1 자계 발생체를 구비하고, 상기 편향장치의 수평축보다 하측에, 하측 편향시에 상기 수직 편향 코일이 발생하는 자계와 동 극성의 자계를 발생하는 제2 자계 발생체를 구비하고, 상기 편향장치의 수평축보다 상측에, 상측 편향시에 상기 수직 편향 코일이 발생하는 자계와 역극성의 자계를 발생하는 제3 자계 발생체를 구비하고, 상기 편향장치의 수평축보다 하측에, 하측 편향시에 상기 수직 편향 코일이 발생하는 자계와 역극성의 자계를 발생하는 제4 자계 발생체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자계 발생체는 상기 수평 편향 코일 및 상기 수직 편향 코일의 관축방향에서의 편향 자계 강도의 피크 위치보다 상기 형광체 스크린면측에배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 자계 발생체는 상기 제1 및 제2 자계 발생체의 관축방향에서의 위치와 동일 또는 이보다 상기 형광체 스크린면측에 배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및 제2 자계발생체에 의한 수직 편향 코일의 자계와 동 극성의 자계에 의해, 형광체 스크린면의 수직방향 중간부의 상하 인너 핀쿠션 변형을 보정함과 동시에, 수직방향 주변부의 상하 핀쿠션 변형을 과보정하고, 더불어 제3 및 제4 자계발생체에 의한 수직 편향 코일의 자계와 역극성의 자계에 의해 과보정된 수직방향 주변부의 변형만을 재보정 함으로써, 주변부의 상하 핀쿠션 변형과 중간부의 상하 인너 핀쿠션 변형을 함께 보정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자계발생체의 자계강도가 상기 제1 및 제2 자계발생체의 자계강도보다 작고, 또한, 수직축방향에서 상기 제3 및 제4 자계발생체는 상기 제1 및 제2 자계발생체보다 상기 유리 벌브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람직한 구성에 의하면, 제1 및 제2 자계 발생체의 감쇠영역의 자계에 의해, 수직방향 주변부에 편향되는 전자 빔과 수직방향 중간부로 편향되는 전자 빔에 거의 동등한 보정방향의 힘을 작용시킬 수 있고, 또한, 제3 및 제4 자계발생체의 자계에 의해 수직방향 주변부에 편향되는 전자 빔에만 상기 보정방향과는 역방향의 힘을 작용시킬 수 있으므로, 매우 효과적으로 상하 인너 핀쿠션 변형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컬러 수상관 장치에서는 상기 제1∼제4 자계발생체가 자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구성에 의하면, 제1 및 제2 자계발생체를 구성하는 자석과 제3 및 제4 자계발생체를 구성하는 자석의 크기, 형상, 자기특성 등을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형광체 스크린면의 수직방향 주변부와 중간부에 편향되는 각각의 전자 빔에 작용하는 보정자계를 조절할 수 있어, 간편하고, 또한 저코스트의 방법으로 주변부의 상하 핀쿠션 변형과 중간부의 상하 인너 핀쿠션 변형을 함께 보정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컬러 수상관 장치는 컬러 수상관과 편향장치로 이루어진다.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컬러 수상관 장치는 전면 패널(l1)의 내면에 청색, 녹색, 적색으로 발광하는 형광체 스크린면(2)을 가지는 유리 벌브(3)와, 형광체 스크린면(2)에 대향 배치된 새도우 마스크(4)와, 유리 벌브(3)의 네크부(5) 내에 배치되어, 형광체 스크린면(2)에 전자 빔(6)을 조사하는 인라인 전자총(7)과, 유리 벌브(3)의 펀넬부(8) 및 네크부(5)의 외측에 장착된 편향장치(9)로 이루어지고, 통상은, 네크부(5)의 외측에 퓨리티와 스타틱 콘버전스를 조정하기 위한 이극 자석, 사극 자석 및 육극 자석을 가지는 콘버전스 유닛(10)이 부가된다.
이하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관축을 지나는 수평축을 X축, 관축을 지나는 수직축(상하방향)을 Y축, 관축을 Z축으로 하는 3차원 직교 좌표계를 설정한다.
도1은 편향장치(9)를 상측(N측)에서 본 도면, 도12는 동일하게 편향장치(9)를 횡측(E 또는 W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3은 편향장치(9)를 형광체 스크린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편향장치(9)는 전체로서 핀쿠션 변형을 가지는 자계를 발생시키는한쌍의 수평 편향 코일(11)과, 절연 및 지지를 위한 수지틀(12)을 통하여 한쌍의 수직 편향 코일(13)이 조합되고, 그 외주에는 페라이트 코어(14)가 조합되어 있다. 또한, 페라이트 코어(14)의 형광체 스크린면측 개구부의 외주부에는 제1 자계발생체인 자석(31)과 제2 자계발생체인 자석(32)이 거의 상하 대칭의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직편향 코일(13)의 형광체 스크린면측 개구부의 외주부에는 제3 자계발생체인 자석(33)과 제4 자계발생체인 자석(34)이 거의 상하 대칭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자석(31∼34)은 모두 페라이트 코어(14)보다도 형광체 스크린면측에서, 관축방향에서의 편향자계강도의 피크 위치보다 형광체 스크린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편향자계강도의 피크 위치는 편향 코일을 구성하는 3개의 부위(전자총측 아크부, 콘부, 스크린측 아크부)에서의 자계의 중합에 의해 정해지고, 편향 코일의 콘부 중의 원통부(관축과 거의 평행인 부분)부터 곡면부(깔대기에 맞추어 확장되는 부분)에의 변곡점 부근에 나타나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도4는 전자 빔을 형광체 스크린면의 상측에 편향할 시의 자계를 관축에 평행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제1 자석(31)이 발생하는 자계의 극성은 수직편향 코일(도시하지 않음)이 발생하는 자계(파선으로 표시한다)와 동 극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제3 자석(33)이 발생하는 자계의 극성은 이와는 역극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자석(32)은 제1 자석(31)과는 역방향 자계를 발생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제4 자석(34)은 제3 자석(33)과는 역방향의 자계를 발생하도록 배치된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해 상하 인너 핀쿠션 변형이 보정되는 모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인 라인 전자총(7)으로부터 사출된 전자 빔은 편향장치(9)가 만들어내는자계에 의해 형광체 스크린면(2)의 전역에 걸쳐 편향되지만, 형광체 스크린면의 상측 주변부에 편향될 때에는 기호 A로 표시하는 궤도를 통과하고, 상측 중간부에 편향될 때에는 기호 B로 표시하는 궤도를 통과한다. 도4에 도시하는 극성의 자계가 자석(31, 33)으로부터 각각 발생하였을 때, 전자총측의 영역 I에서는 A, B의 2개의 궤도 차가 작기 때문에, 제1 자석(31)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계는 주변부에 편향되는 전자 빔 A뿐만아니라 중간부에 편향되는 전자 빔 B에도 작용하고, 어느쪽 전자 빔이든 편향방향과 동 방향의 굵은 화살표로 표시하는 힘(51)을 받는다. 이에 대해 형광체 스크린면측의 영역 II에서는 A, B의 궤도 차가 크고, 제3 자석(33)이 발생하는 자계가 B의 궤도를 통과하는 전자 빔에 미치는 작용은 매우 작으므로, A의 궤도를 통과하는 전자 빔만이 편향방향과 역방향의 굵은 화살표로 표시하는 힘(52)을 받는다.
도9, 도10은 상하 인너 핀쿠션 변형과 상하 핀쿠션 변형이 본 발명에 의해 단계적으로 보정되는 모양을 도시한다. 도9에서, 파선으로 표시하는 보정전의 상하 인너 핀쿠션 변형을 힘(51)의 작용에 의해 실선과 같이 최적화 보정하면, 주변부에서는 상하 핀쿠션 변형이 과보정된 상태로 되지만, 힘(52)의 작용에 의해 주변부는 다시 역보정되므로, 결과적으로 래스터 변형은 도10과 같이 적절한 상태로 된다. 이렇게 하여, 상하 핀쿠션 변형의 최적화를 도모하면서, 상하 인너 핀쿠션 변형을 보정할 수 있다.
이상, 형광체 스크린면의 상측에 전자 빔을 편향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는데, 하측으로 편향하는 경우에는 도4에 도시한 수직편향자계(파선)의 방향이 역방향으로 되고, 자계발생체인 제2 자석(32)과 제4 자석(34)이 상기 제1 및 제3 자석(31, 33)과 각각 동일한 작용을 한다.
다음에, 대각 사이즈가 46cm(19 인치)인 디스플레이용 컬러 수상관장치에 대해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한 실험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험에 있어서는, 자석(3l, 32)으로서 크기가 5〔mm〕×5〔mm〕×15〔mm〕이고 자계강도가 0.05〔T〕인 자석을 이용하고, 자석(33, 34)에는 크기가 2〔mm〕×5〔mm〕×10〔mm〕이고 자계강도가 0.02 〔T〕인 자석을 이용했다. 자석(31, 32)은 수직편향 자계강도의 피크 위치로부터 형광체 스크린면측에 28〔mm〕의 위치에 설치하고, 자석(33, 34)은 마찬가지로 48〔mm〕의 위치에 설치했다. 어느쪽 자석이든 그 길이방향을 X축방향과 평행하게 설치했다.
단지 편향자계만에 의해 래스터 변형의 최적화를 도모한 경우(비교예)에는 상하 핀쿠션 변형이 O.1〔mm〕, 상하 인너 핀쿠션 변형이 O.9〔mm〕로, 상하 인너 핀쿠션 변형이 두드러졌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자석(31∼34)을 이용하여 변형을 최적화한 경우에는, 상하 핀쿠션 변형이 0.1〔mm〕, 상하 인너 핀쿠션 변형이 0.4〔mm〕로, 상하 핀쿠션 변형을 상기 비교예와 동 레벨로 유지하면서, 상하 인너 핀쿠션 변형을 개선할 수 있었다.
사용하는 자석의 자계강도, 사이즈, 부착 위치는 전체적인 래스터 변형의 발란스를 고려하면서 이하와 같이 결정된다.
자계강도에 관해서는, 기본적으로는 상하 인너 핀쿠션 변형을 거의 제로에까지 보정할 수 있는 정도의 자계강도를 제1 및 제2 자석(31, 32)에 부여하고, 과보정된 주변부의 상하 핀쿠션 변형을 0.5〔mm〕이하 정도로까지 재보정할 수 있는 자계강도를 자석(33, 34)에 부여하면 된다.
사이즈에 대해서는, 자석 길이방향의 길이가 너무 짧으면 래스터 변형에 불필요한 물결 성분을 발생시키고, 너무 길어도 원하는 부분만 보정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상하 래스터 변형을 보면서 사이즈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또한, 관축 방향의 부착 위치에 대해서는 페라이트 코어의 외측에 자석을 배치해도 실질적인 보정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자석(31, 32)은 페라이트 코어보다 형광체 스크린면측의 영역에서, 또한 가능한 한 전자총 근처에 배치되고, 자석(33, 34)은 편향장치의 형광체 스크린면측의 단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이들은 전술과 같이, 래스터 변형 전체의 발란스를 보면서, 그 때마다 최적 조합이 되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
도11은 본 발명에 이용하는 자석의 자계강도의 수직축 방향의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곡선 a는 자계 강도가 큰 자석을, 곡선 b는 자계강도가 작은 자석을 각각 나타낸다. 어느쪽 자석도 자석 근방의 영역에서는 자계강도가 급격히 저하하고, 자석에서 멀어짐에 따라 자계강도의 변화는 서서히 완만해져 간다. 제1 및 제2 자석(31, 32)에는 자계강도가 큰 것을 깔때기로부터 분리해 사용하고, 제3 및 제4 자석(33, 34)에는 자계강도가 작은 것을 깔때기에 가깝게 하여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왜냐하면, 영역 I(도5 참조)에서는 A, B 양방의 궤도를 지나는 전자 빔을 가능한 한 동일한 강도의 힘으로 주변 방향으로 끌어올리고자 하기 때문에, 도11에도시하는 자석의 수직축 방향의 자계강도분포의 변화가 어느 정도 감쇠한 영역(1)을 사용하는 쪽이 유효하기 때문이다. 이와는 반대로 영역 II(도5 참조)에서는 A의 궤도를 지나는 전자 빔에만 재보정의 힘을 작용시키고자 하므로, 이 경우에는 자석의 수직축 방향의 자계강도분포의 변화가 급준하게 변화하는 영역(2)을 이용한 쪽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도13과 같이, 제1 및 제2 자석(31a, 32a)의 관축방향의 부착위치와, 제3 및 제4 자석(33a, 34a)의 상기 방향의 설치위치가 동일한 경우라도, 자석(33a, 34a)의 자계강도를 자석(31a, 32a)보다 작게 하고, 또한 수직축 방향에서 자석(33a, 34a)을 자석(31a, 32a)보다 깔대기에 가깝게 부착하면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도14와 같이 보정 전의 상하 래스터 변형이 물결 성분을 가지고 있을 때는 도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자석(31a, 32a)의 길이를 제3 및 제4 자석(33a, 34a)의 길이보다 길게 하면 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자석(31a, 32a)에 의해 상하의 래스터 변형 전체가 도16과 같이 보정되고, 중앙의 요철부 a가 제3 및 제4 자석(33a, 34a)에 의해 역보정되므로,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결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제4 자계 발생체로서 자석(31∼34)(31a∼34a)을 이용했지만, 코일을 사용한 전자석 등을 이용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 핀쿠션 변형의 최적화를 도모하면서, 상하 인너 핀쿠션 변형을 보정할 수 있어 간편하고 또한 저 코스트의 수단으로 고품위의 컬러 수상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면을 가지는 유리 벌브와, 상기 유리 벌브내에 배치되고, 상기 형광체 스크린면에 전자 빔을 조사하는 인 라인 전자총과, 상기 유리 벌브 외부에 배치된 수평 편향 코일 및 수직 편향 코일을 가지는 편향장치를 구비한 컬러 수상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편향장치의 수평축보다 상측에, 상측 편향시에 상기 수직 편향 코일이 발생하는 자계와 동 극성의 자계를 발생하는 제1 자계 발생체를 구비하고, 상기 편향장치의 수평축보다 하측에, 하측 편향시에 상기 수직 편향 코일이 발생하는 자계와 동 극성의 자계를 발생하는 제2 자계 발생체를 구비하며,
    상기 편향장치의 수평축보다 상측에, 상측 편향시에 상기 수직 편향 코일이 발생하는 자계와 역극성의 자계를 발생하는 제3 자계 발생체를 구비하고, 상기 편향장치의 수평축보다 하측에, 하측 편향시에 상기 수직 편향 코일이 발생하는 자계와 역극성의 자계를 발생하는 제4 자계 발생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자계 발생체는 상기 수평 편향 코일 및 상기 수직 편향 코일의 관축방향에서의 편향 자계 강도의 피크 위치보다 상기 형광체 스크린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 자계 발생체는 상기 제1 및 제2 자계 발생체의 관축방향에서의 위치보다 상기 형광체 스크린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수상관 장치.
  2.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면을 가지는 유리 벌브와, 상기 유리 벌브내에 배치되고, 상기 형광체 스크린면에 전자 빔을 조사하는 인 라인 전자총과, 상기 유리 벌브 외부에 배치된 수평 편향 코일 및 수직 편향 코일을 가지는 편향장치를 구비한 컬러 수상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편향장치의 수평축보다 상측에, 상측 편향시에 상기 수직 편향 코일이 발생하는 자계와 동 극성의 자계를 발생하는 제1 자계 발생체를 구비하고, 상기 편향장치의 수평축보다 하측에, 하측 편향시에 상기 수직 편향 코일이 발생하는 자계와 동 극성의 자계를 발생하는 제2 자계 발생체를 구비하며,
    상기 편향장치의 수평축보다 상측에, 상측 편향시에 상기 수직 편향 코일이 발생하는 자계와 역극성의 자계를 발생하는 제3 자계 발생체를 구비하고, 상기 편향장치의 수평축보다 하측에, 하측 편향시에 상기 수직 편향 코일이 발생하는 자계와 역극성의 자계를 발생하는 제4 자계 발생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자계 발생체는 상기 수평 편향 코일 및 상기 수직 편향 코일의 관축방향에서의 편향 자계 강도의 피크 위치보다 상기 형광체 스크린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 자계 발생체는 상기 제1 및 제2 자계 발생체의 관축방향에서의 위치와 동일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3 및 제4 자계 발생체의 자계강도가 상기 제1 및 제2 자계발생체의 자계 강도보다 작고, 또한, 수직축 방향에서 상기 제3 및 제4 자계 발생체는 상기 제1 및 제2 자계 발생체보다 상기 유리 벌브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수상관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4 자계 발생체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수상관 장치.
KR10-2000-0080383A 1999-12-22 2000-12-22 컬러 수상관 장치 KR1003938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64673 1999-12-22
JP36467399 1999-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634A KR20010062634A (ko) 2001-07-07
KR100393876B1 true KR100393876B1 (ko) 2003-08-06

Family

ID=18482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0383A KR100393876B1 (ko) 1999-12-22 2000-12-22 컬러 수상관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380699B2 (ko)
KR (1) KR100393876B1 (ko)
CN (1) CN1216399C (ko)
TW (1) TW4805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376B1 (ko) * 1999-06-01 2001-12-22 김순택 음극선관
JP2001101983A (ja) * 1999-10-01 2001-04-13 Matsushita Electronics Industry Corp カラー受像管装置
JP2005190840A (ja) * 2003-12-25 2005-07-14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カラー受像管装置
JP2007258092A (ja) * 2006-03-24 2007-10-04 Mt Picture Display Co Ltd カラー陰極線管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53853A1 (en) * 1980-12-05 1982-06-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fecletion unit for a monochrome cathode-ray display tube and monochrome cathode-ray tube having such a deflection unit mounted on it
KR0118033Y1 (ko) * 1995-11-30 1998-05-15 정몽원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hydraulic brake system)
JPH11250831A (ja) * 1998-03-03 1999-09-17 Totoku Electric Co Ltd 偏向ヨーク
KR20010018033A (ko) * 1999-08-17 2001-03-05 구자홍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JP2001160364A (ja) * 1999-12-06 2001-06-12 Mitsubishi Electric Corp 偏向ヨ−ク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0756A (ja) 1986-09-22 1988-04-11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平板状リニアパルスモ−タ
DE69311298T2 (de) * 1993-02-18 1997-10-09 Thomson Tubes & Displays Ablenkjoch mit einem Magnetenpaar in der Nähe seiner Nebenachse
DE69511840T2 (de) * 1994-07-04 2000-03-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blenkeinheit mit klemmvorrichtung
JP3137574B2 (ja) 1995-11-21 2001-02-26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画像歪補正装置
FR2757678B1 (fr) * 1996-12-20 1999-01-29 Thomson Tubes & Displays Unite de deviation pour tube a rayons cathodiques autoconvergents comportant des bobines de deviation en forme de selle
KR100284483B1 (ko) * 1997-12-17 2001-03-15 이형도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칙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53853A1 (en) * 1980-12-05 1982-06-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fecletion unit for a monochrome cathode-ray display tube and monochrome cathode-ray tube having such a deflection unit mounted on it
KR0118033Y1 (ko) * 1995-11-30 1998-05-15 정몽원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hydraulic brake system)
JPH11250831A (ja) * 1998-03-03 1999-09-17 Totoku Electric Co Ltd 偏向ヨーク
KR20010018033A (ko) * 1999-08-17 2001-03-05 구자홍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JP2001160364A (ja) * 1999-12-06 2001-06-12 Mitsubishi Electric Corp 偏向ヨ−ク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80525B (en) 2002-03-21
US6380699B2 (en) 2002-04-30
CN1216399C (zh) 2005-08-24
KR20010062634A (ko) 2001-07-07
US20020011810A1 (en) 2002-01-31
CN1306295A (zh) 2001-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24308A (en) Deflection yoke with permanent magnet raster correction
CA1124304A (en) Deflection yoke with a magnet for reducing sensitivity of convergence to yoke position
US5378961A (en) Deflection yoke apparatus
KR100393876B1 (ko) 컬러 수상관 장치
EP0701267B1 (en) Deflection yoke and color cathode ray tube with the deflection yoke
KR100301323B1 (ko) 칼라수상관
JP2001357794A (ja) カラー受像管
JP3861595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KR100463718B1 (ko) 컬러음극선관 장치
KR100541588B1 (ko) 기하학적 형상과 컨버전스 모두가 개선된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KR100703506B1 (ko) 컨버전스 보정 장치를 가진 컬러 음극선관
US6518697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eflection unit, and a deflection unit for a display device
US4369418A (en) Deflection yoke incorporating a permeable corrector
US6984929B1 (en) Color picture tube apparatus with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FI58232C (fi) Sjaelvkonvergerande system foer faergtelevisionsaotergivning
JP3381615B2 (ja) カラー陰極線管
US20070182305A1 (en) Cathode-ray tube apparatus
KR100361836B1 (ko) 편향요크
KR900005933B1 (ko) 화상표시 장치 및 편향장치
KR810001808B1 (ko) 칼러텔레비젼 수신기용 편향 요크장치
KR100403773B1 (ko) 보정용 마그네트를 갖는 컬러 음극선관
KR20010084389A (ko) 편향요크
KR19990035258A (ko)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20020092027A (ko)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JPH04262346A (ja) インライン型カラー受像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