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933B1 - 화상표시 장치 및 편향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표시 장치 및 편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933B1
KR900005933B1 KR1019840000930A KR840000930A KR900005933B1 KR 900005933 B1 KR900005933 B1 KR 900005933B1 KR 1019840000930 A KR1019840000930 A KR 1019840000930A KR 840000930 A KR840000930 A KR 840000930A KR 900005933 B1 KR900005933 B1 KR 900005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magnetic field
coil
deflection coi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0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8082A (ko
Inventor
에밀리우스 시노 슬러이터만 알버터스
제리트 빈크 니콜라스
Original Assignee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아이. 엠. 레르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아이. 엠. 레르너 filed Critical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Publication of KR840008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8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표시 장치 및 편향장치
제1도는 편향장치가 장착되는 칼라 텔레비젼 표시관에 대한 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편향장치의 라인 코일에 대한 정면도.
제3a도는 제1도에 도시된 편향장치의 라인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쌍극자 자계.
제3b도는 제1도에 편향장치의 자계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쌍극자 자계.
제3c도는 6극자 자계.
제4도는 쌍극자 라인 편향자계와 정의 6극자 라인 편향자계를 갖춘 관 네크(neck)에 대한 횡단면도.
제5도는 정의 6극자 자계를 갖춘 정의 프레임(frame)쌍극자 자계의 조합효과.
제6도는 부의 6극자 자계를 갖춘 정의 프레임 쌍극자 자계의 조합효과.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표시관 2 : 네크부분
3 : 전자총 시스템 4 : 표시화면
5 : 봉입부 6 : 편향장치
7,8 : 라인 편향 코일 장치 9,10 : 프레임 편향 코일 장치
11 : 환상코어 12,12a : 길이방향 세그먼트
13,13a,15 : 횡방향 세그먼트
본 발명의 하나이상의 전자빔을 표시스크린 방향으로 방사하기 위한 전자총이 실재하는 네크부분의 표시관을 이용하여 텔레비젼 화상을 표시하고, 표시관의 일부분 주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프레임 편향자계에 에너지 공급할때 라인 편향자계를 발생시키는 제1편향코일과 에너지 공급되었을때 라인편향자계를 발생시키는 제2편향코일을 갖춘 전자기 편향장치를 구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제2편향코일은 제1편향코일내에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편향 코일은 서로 반대로 배치된 두 코일장치를 구비하는데 제1편향 코일(프레임 편향코일)은 에너지 공급되자마자 전자총 시스템의 측면상에 정의 6극자 자계와 함께 쌍극자 자계를 발생시키고 중앙영역에 부의 6극자 자계와 함께 쌍극자 자계를 발생시키며 표시 화면을 마주대하는 측면상에 정의 6극자 자계와 함께 쌍극자 자계를 발생시키기 위해 권선이 배선되어 있다.
단일 색도 표시관에서 전자총 시스템은 한 전자빔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색 표시관과 전자총 시스템은 세 전자빔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얼마동안 서로 특수하게 세 전자빔이 한 평면에 배치되어 있는 새로운 색 표시관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표시관은 인라인(in-line) 색 표시관으로 알려져 있다. 인라인 색 표시관에서 전자총의 전자빔이 편향될때 이 빔이 전체 화면면에 걸쳐 일치하는 이러한 비균등 자계를 발생시키는 편향코일을 갖춘 편향장치를 이용하기 위해 연구되어 왔다. 이와같은 목적으로 특히, 편향요크의 전자총 측면상의 라인 편향 자계(제2편향코일에 의해 발생됨)는 배럴(barrel)형이어야 하고 화면측면을 향하여 핀쿠션(pincushion)형이어야하며 역으로 프레임 편향 자계(제1편향 코일에 의해 발생됨)는 전자총 측면상에서 핀쿠션형이어야 하고 화면 측면 방향으로 배러형이어야 한다.
핀쿠션 형태나 배럴형태는 편향 상태에서 만족할만한 집속 특성을 갖춘 화상이 표시관이 화면상에 발생됨으로써 전자총에 의해 방사된 전자빔의 집속에러가 정정되도록 하는 정도이다. 이러한 형태의 표시관 편향요크조합을 자기집속이라고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집속되었다 하더라도(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특히 편향 코일은 편향 자계의 핀쿠션 형태나 배럴형태를 세게하기 위한 보조수단과 조합되어야 하는데 이 보조수단은 편향 가령 편향자계내에 있는 연자기 금속물질로 구성된 플레이트이다) 어떠한 라스터(raster)왜곡(동서간의 라스터 왜곡)이 정정되어야 할 표시화면의 수직 측면상에 종종 발생한다.
에너지 공급된 상태에서 전자총 시스템과 마주 대하는 측면상에 정의 6극자 자계와 함께 쌍극자 자계를 발생시키고(결국 핀쿠션형 편향자계가 됨)중앙 영역에 부의 6극자 자계와 함께 쌍극자 자계를 발생시키며(결극 배럴형 자계가 됨)표시화면과 마주대하는 측면상에 정의 6극자 자계와 함께 쌍극자 자계를 발생시키는(결국 핀쿠션형 편향자계가 됨) 이러한 구조의 제1편향 코일(즉, 전자빔을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키고 코일이나 프레임 편향 코일)로 인하여 텔레비젼 표시장치는 자기집속과 라스터 왜곡에 대해 부과된 필요조건을 만족시킨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권선 방법으로는 상기 편향 자계 구조를 구성할 필요가 있을때 이러한 변하는 권선분포를 갖춘 프레임 편향 코일의 제조가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매우 어렵다. 이러한 구조는 화면 측면상의 권선 분포를 기준으로 하여 특수하게 적용된다. 최소한의 동서 라스터 왜극을 만드는데 필요한 것으로 알려진 핀쿠션형 프레임 편향 자계를 화면의 측면상에 형성시키기 위하여 충분히 정의값을 갖는 6극자 성분을 형성해야 한다. 6극자 성분은 새들(saddle)코일에서 두 축방향 연장 권선 세그먼트 사이의 각이 진 개구로 규정된 윈도우(window)개구가 더 커짐에 따라 점점 정의값이 된다. 그러나 6극자의 강도는 무제한으로 커질수는 없다. 각이 진 개구가 180°에서 최대 강도에 이른다. 각이 진 개구가 180°이상 되었을때 최대강도에 이르게 하기 위하여 새들 코일로 구성된 코일장치는 서로 겹쳐져야 하며 6극자 성분의 강도는 감소한다. 핀쿠션 형태가 화면의 측면상에 명백히 만들어질수록 비점수차 에러가 최소로 유지되도록 중앙영역에서 배럴형태가 더욱 명백해져야 하며 즉, 코마(coma) 에러가 최소로 유지되도록 전자총 측면상의 핀쿠션 형태가 비례적으로 더욱 명백해져야 한다.
즉, 프레임 편향 코일을 제조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진다. 특수한 이유로 화면의 측면상에 너무 뚜렷하지 않은 핀쿠션 형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위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처음에 기술된 종류의 장치는 에너지 공급된 상태에서 제1편향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자계가 위의 장치가 최소 동서 라스터 왜곡을 나타내는 제2편향 코일에 의한 자계보다 표시화면쪽으로 더 멀리 연장되는 방식으로 제1 및 제2편향 코일이 서로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특징이 있다.
프레임 편향 자계는 라인 편향 자계보다 화면쪽으로 더 멀리 연장되므로 화면의 영역에 편향자계의 핀쿠션 형태가 너무 뚜렷하지 않아도 충분하고 또한 동서 라스터 에러를 최소화 하는데 필요한 조건이 만족되며 최소 집속 에러(비점수차 에러 및 코마에러)에 대한 필요조건이 만족되는 방식으로 프레임 편향 감는 것이 더 쉽다.
새들형 라인 편향 코일 및 프레임 편향 코일을 갖춘 텔레비젼 표시장치용 편향장치는 라인 편향 코일에 의해 화면의 측면상에 발생되는 편향 자계가 프레임 편향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편향 자계보다 더 멀리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왔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프레임 편향 자계를 라인 편향자계보다 더 멀리 화면의 측면 방향으로 연장시킴으로써 동서 라스터 에러가 최소화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는 제2편향 코일로 구성된 각각의 코일장치가 표시관의 길이방향 축의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이 축에 대해 횡의 방향인 횡방향 세그먼트에 의해 단부에서 연결되는 두개의 간격진 길이방향 세그먼트를 구비하며, 상기 횡방향 세그먼트는 서로 맞물리도록 하기 위해 표시관 봉입구 방향으로 배치된 표시화면을 마주대하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라인 코일 장치의 화면 측면에 있는 횡방향 세그먼트가 표시관의 봉입부와 맞물리는 구조는 최소한의 동서 라이터 에러를 구할 필요가 있을때 제조하는 동안 자계 코일을 표시화면 방향으로 라인 코일을 통하여 이동시키도록 허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장치에 이용되는 편향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는 도면을 참고로 하여 좀더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제1도는 전자총 시스템(3)이 한 평면상에 위치하는 새 전자빔을 발생시키는 네크부분(2)과, 적색, 청색 및 녹색 인도트(dot)로 구성된 재생집단이 마스크(mask)의 정면에 제공되는 표시화면(4)를 갖춘 세 인라인 빔형 표시관(1)을 구비하는 칼라 텔레비젼 표시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편향 장치(6)는 표시관(1)의 봉입부(5) 주위에 제공된다. 편향 장치(6)는 두 프레임 편향 코일장치(9),(10)로 형성되는 프레임 편향 코일이 배치되는 두라인 편향 코일장치(7),(8)에 의해 형성되는 라인 편향 코일을 구비한다. 연자기 물질로 구성된 환성 코일(11)는 새들형 코일인 라인 편향 코일 및 프레임 편향 코일 주위에 동축으로 배치된다.
제2도에서 코일장치(7),(8)를 갖춘 라인 편향 코일이 서로 분리되어 도시된다. 코일장치(7)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길이방향 세그먼트(12),(12a)로 형성되며 횡방향 세그먼트(13),(13a)와 함께 윈도우(4)를 한정한다(코일장치(8)도 이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코일장치(7),(8)의 (정면)횡방향 세그먼트(13),(15)는 표시관의 봉입부(5)의 표면을 맞물리게 하도록 구성되어 그 결과로 프레임 편향 코일(9),(10)이 라인 편향 코일(7),(8)보다 더 표시화면(4)에 가깝게 배치할 수 있게 된다.
편향장치(6)에 의해 Z축을 따라 발행된 라인 쌍극자 자계의 강도는 제3a도에서 H1으로 표시되어 있고, 프레임 쌍극자 자계의 강도는 제3b도에 V1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Z축에 대해 수직인 평면에 있는 프레임 6극 자계의 강도는 제3c도에서 V3로 표시되어 있다. 제3a도, 제3b도 및 제3c도에서 편향장치의 전자총 측면은 편향장치의 왼쪽에 있고 이 장치의 화면의 측면은 오른쪽에 있다. 프레임 편향코일(9),(10)은 에너지 공급된 상태에서 편향자계의 중앙 영역에서 강한 부의 값을 갖고(따라서 비점차수 에러가 최소가 됨) 전자총의 측면상에서 강한 정의값을 가지며(따라서 코마 에러가 최소가 됨) 동서 라스터 왜곡을 최소화 하도록 화면이 측면상에 충분히 정의 값을 갖는 6극자 성부늘 구비한 프레임 편향자계가 발생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3b도 및 제3c도를 제3a도와 비교해보면 프레임 편향자계는 라인 편향자계 보다 Z방향으로 화면쪽으로 더연장된다. 결국 라인 쌍극자 자계가 종단되는 축 위치의 핀쿠션형 편향자계는 화면의 축면상의 6극자 성분이 충분히 강하게 정의값을 띄지 않더라도 동서 라스터 에러를 최소화시킬 수 있을 만큼 강하다.
제3도에 도시된 특성을 갖춘 편향 자계는 높은 해상력을 갖춘 흑백 표시관을 이용하는 표시장치용으로도 중요하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라인 편향 코일 장치(7),(8)에 의해 발생될 라인 편향 자계는 표시화면(4)을 마주 대하는 측면상에서 핀쿠션형이어야 하고 전자총 시스템(3)을 마주 대하는 측면상에서 배럴형이어야 한다.
상기 형태의 자계는 제4도, 제5도 제6도를 참고하여 기술된다.
제4도는 화면의 측면에서 보았을때 Z축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평면을 따라 취해진 조합된 편향장치의 위치에서의 표시관에 대한 정단면도이다. 표시관에서 발생되는 전자빔은 R,G 및 B로 나타내진다. 제4a도에서의 화살표는 쌍극자 라인 편향 자계를 나타난다. 도시된 라인 편향 자계의 방위에 있어서, 전자빔은 오른쪽으로 편향된다. 따라서 세 전자빔은 편향이 일어나는 평면과 동일한 평면에 배치된다. 제4b도의 화살표는 6극자 자계를 나타낸다. 제4b도의 6극자 자계의 방향은 전자빔이 배치되는 평면에서 중앙빔에 대해 측면 빔 R,B이 가외로 편향되도록 향한다. 이 경우 6극자 자계는 정의 6극자(라인 편향) 자계로 규정된다.
전자빔이 배치되는 평면에서 바깥쪽 빔이 중앙 보다 빔보다 조금 편향되게 하는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6극자 자계는 부위 6극자(라인 편향) 자계로 규정된다. 6극자 프레임 편향자계의 부호를 규정할때 라인 편향 자계에 대한 상태를 참조해야 한다.
제5도는 화면의 측면에서 보았을때 Z축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평면을 따라 취해진 조합된 편향장치의 위치에서의 표시관에 대한 정단면도이다. 도시된 쌍극자 편향자계의 방향에 있어서, 전자빔 R,G 및 B은 상향으로 편향된다. 이 경우 세 전자빔은 편향이 일어나는 평면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평면에 위치한다. 제5b도의 화살표는 6극자 자계를 나타낸다. 제5b도의 6극자 자계의 방향은 라인 편향 자계에 대한 비교할 수 있는 상태에서 유추해 보면(이러한 목적으로 제5a도 및 제5b도는 오른쪽으로 90°돌려짐) 6극자 자계는 정의 자계가 되도록 향한다. 제5c도는 핀쿠션 형의 최종 프레임 편향자계를 도시한 것이다.
제6도는 화면의 측면에서 보았을때 Z축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평면을 따라 취해진 조합된 편향장치의 위치에서의 표시관에 대한 정단면도이다. 제6a도에서의 화살표는 쌍극자는 쌍극자 프레임 편향자계를 나타낸다. 도시된 쌍극자 편향 자계의 방향의 경우에 있어서, 전자빔 R,G 및 B는 상향으로 편향된다. 세 전자빔은 편향이 일어나는 평면에 대해 직각인 평면에 위치한다. 제6b도의 화살표는 6극자 자계를 나타낸다. 제6b도의 6극자 자계의 방향은 라인 편향 자계에 대한 비교할 수 있는 상태에서 유치해 보면 상기 6극자 자계는 부의자계이다. 제6c도는 최종의 배럴형 편향 자계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3)

  1. 하나이상의 전자빔을 표시 화면 방향으로 방사시키기 위한 전자총 시스템이 있는 표시관의 네크부분에 표시관을 이용하여 텔레비젼 화상을 표시하고, 표시관의 한 부분 주위에 배치되고 에너지가 공급되었을때 프레임 편향 자계를 발생시키는 제1편향 코일과 에너지가 공급되었을때 라인 편향 자계를 발생시키는 제2편향 코일을 갖춘 전자기 편향 장치를 갖춘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2편향 코일은 제1편향 코일내에 동축으로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편향 코일은 서로 대향하고 있는 두개의 코일 장치를 구비하며, 제1편향 코일은 에너지가 공급된 상태에서 전자총의 시스템 측면상에 정극성 6극 편향자계와 함께 쌍극자 편향자계를 발생시키고 중앙 영역에 부극성 6극 자계와 함께 쌍극 자계를 발생시키며 표시 화면과 마주 대향하는 측면상에 정극성 6극 자계와 함께 쌍극 자계를 발생시키기 위한 권선 분포를 구비하는 텔레비젼 화상 표지 장치에 있어서, 제1 및 제2편향 코일은 서로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에너지가 공급된 상태에서 제1편향 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계는 화상 표시 장치가 최소 동서 라스터 왜곡을 나타내는 제2편향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자계보다 화면쪽으로 더 멀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2편향 코일은 두개의 새들형 코일 장치를 구비하고, 제2편향 코일로 구성된 각각의 코일 장치는 표시관의 세로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세로축에 대해 횡방향인 횡방향 세그먼트에 의해 세그먼트의 단부에서 연결되는 두개의 서로 간격진 길이방향 세그먼트를 구비하며, 상기 횡방향 세그먼트는 서로 맞물리도록 표시관 봉입부 방향으로 배치된 표시화면과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3. 제1항에 청구된 바와같은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하는 편향 장치.
KR1019840000930A 1983-02-28 1984-02-25 화상표시 장치 및 편향장치 KR9000059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300729 1983-02-28
NL8300729A NL8300729A (nl) 1983-02-28 1983-02-28 Inrichting voor het weergeven van televisiebeelden en afbuigeenheid daarvo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8082A KR840008082A (ko) 1984-12-12
KR900005933B1 true KR900005933B1 (ko) 1990-08-16

Family

ID=19841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0930A KR900005933B1 (ko) 1983-02-28 1984-02-25 화상표시 장치 및 편향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492943A (ko)
JP (1) JPH0654635B2 (ko)
KR (1) KR900005933B1 (ko)
DE (1) DE3406177C2 (ko)
ES (1) ES8501167A1 (ko)
FR (1) FR2541839B1 (ko)
GB (1) GB2137016B (ko)
IT (1) IT1173753B (ko)
NL (1) NL8300729A (ko)
PT (1) PT78152B (ko)
SG (1) SG76586G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0113A (en) * 1975-09-02 1977-03-07 Sony Corp Deflecting device of in-line type color cathode-ray tube
JPS5942415B2 (ja) * 1976-01-26 1984-10-15 ソニー株式会社 インライン形カラ−陰極線管の偏向装置
JPS5337322A (en) * 1976-04-09 1978-04-06 Hitachi Ltd Deflection york
NL170573C (nl) * 1978-01-18 1982-11-16 Philips Nv Afbuiginrichting voor een kleurentelevisiebeeldbuis.
NL188373C (nl) * 1978-02-06 1992-06-01 Philips Nv Afbuigjuk voor kleurentelevisiebeeldweergeefbuizen.
JPS54156418A (en) * 1978-05-30 1979-12-10 Mitsubishi Electric Corp Deflection yoke
NL174198C (nl) * 1978-08-25 1984-05-01 Philips Nv Serie van ten minste twee beeldbuis/afbuigeenheid combinaties, afbuigeenheid bestemd voor een dergelijke combinatie, alsmede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dergelijke afbuigeenheid.
JPS5543701A (en) * 1978-09-20 1980-03-27 Toshiba Corp Color image receiving tube
NL7908000A (nl) * 1979-11-01 1981-06-01 Philips Nv Afbuigjuk.
NL8006628A (nl) * 1980-12-05 1982-07-01 Philips Nv Kathodestraalbuis - afbuigeenheid combinatie met hoog oplossend vermo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541839B1 (fr) 1988-10-14
PT78152B (fr) 1986-03-20
DE3406177A1 (de) 1984-08-30
JPH0654635B2 (ja) 1994-07-20
GB8404887D0 (en) 1984-03-28
PT78152A (fr) 1984-03-01
IT1173753B (it) 1987-06-24
GB2137016B (en) 1986-05-21
DE3406177C2 (de) 1995-01-26
IT8419792A0 (it) 1984-02-24
FR2541839A1 (fr) 1984-08-31
NL8300729A (nl) 1984-09-17
KR840008082A (ko) 1984-12-12
ES530004A0 (es) 1984-11-01
US4492943A (en) 1985-01-08
JPS59205137A (ja) 1984-11-20
SG76586G (en) 1987-02-27
ES8501167A1 (es) 1984-11-01
GB2137016A (en) 1984-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3345A (en) Deflection yoke with permanent magnet raster correction
US4231009A (en) Deflection yoke with a magnet for reducing sensitivity of convergence to yoke position
JPH05225929A (ja) カラー陰極線管用電子銃
KR910001417B1 (ko) 텔레비젼 화상표시장치 및 편향장치
US4242612A (en) Deflection unit for color television display tubes
US3325675A (en) Three in-line gun magnetic convergence system
US4689525A (en) Color cathode ray tube device
EP0053853B1 (en) Defecletion unit for a monochrome cathode-ray display tube and monochrome cathode-ray tube having such a deflection unit mounted on it
KR910001513B1 (ko) 텔레비젼 화상 표시 장치
EP0232948B1 (en) Device for displaying television pictures and deflection unit therefor
KR19990029566A (ko) 컬러음극선관
US2991381A (en) Shielded magnet-assembly for colorkinescopes, etc.
KR900005933B1 (ko) 화상표시 장치 및 편향장치
KR890004872B1 (ko) 칼라 수상관 장치
EP0310242B1 (en) Colour display system including a self-converging deflection yoke providing raster distortion correction
JP2656591B2 (ja) 偏向装置及びそれを構成する偏向ヨーク
US3588566A (en) Electromagnetic deflection yoke having bypassed winding turns
KR200150246Y1 (ko) 편향요크
KR20010062634A (ko) 컬러 수상관 장치
KR880001015B1 (ko) 도자성 교정기를 결합한 편향요크
JPH026188B2 (ko)
JP2685797B2 (ja) カラー映像管装置
FI58232C (fi) Sjaelvkonvergerande system foer faergtelevisionsaotergivning
KR100274881B1 (ko) 칼라 음극선관의 포커스 언밸런스 조정장치
JP3215132B2 (ja) インライン型カラー受像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7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