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015B1 - 도자성 교정기를 결합한 편향요크 - Google Patents

도자성 교정기를 결합한 편향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015B1
KR880001015B1 KR1019810004781A KR810004781A KR880001015B1 KR 880001015 B1 KR880001015 B1 KR 880001015B1 KR 1019810004781 A KR1019810004781 A KR 1019810004781A KR 810004781 A KR810004781 A KR 810004781A KR 880001015 B1 KR880001015 B1 KR 880001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vertical
field
deflection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4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8385A (ko
Inventor
리처드 아춰 존
Original Assignee
알.씨.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글렌 에이취.브르스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씨.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글렌 에이취.브르스틀 filed Critical 알.씨.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30008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8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01J29/76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using a combination of saddle coils and toroidal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자성 교정기를 결합한 편향요크
제1도는 편향요크 외부장과 키네스코우프 전자총 조립체 사이의 공간적 관계를 도시하는 칼라텔레비젼 영상시스템의 상부 단면도.
제2도는 수직코일 외부장을 도시하는 제1도의 영상 시스템에 대한 후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장치를 도시한 칼라 텔레비젼 영상시스템의 상부평면도.
제4도는 교정장치의 특징을 도시하는 제3도의 영상 시스템에 대한 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네스코우프 17 : 절연체
11 : 네크부 18 : 장착판
12 : 깔때기부 20 : 자장선
13 : 전자총 조립체 24 : 교정기
14 : 편향요크 25, 26 : 링세그먼트
15 : 수직편향코일 27, 28 : 홈
16 : 도자성 코어
본 발명은 칼라텔레비젼 편향요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러한 요크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도자성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칼라텔레비젼 영상관 또는 키네스코우프는 영상 스크린상의 특정한 칼라-방출 형광체를 주사하는 세개의 전자빔을 발생한다. 키네스코우프위에 장착된 평향요크는 전자빔 부근에서 시변화자계를 발생시켜, 이들 자기장이 라스터(raster)를 공급하기 위해, 영상스크린 양단에서 수평 및 수직으로 주사되도록 한다. 각각의 빔이 특정 칼라 방사목적지의 하나의 형광물질만을 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이 일어나는 정도가 라스터의 순도를 결정한다. 또한 영상 스크린상의 모든 점에서 전자빔이 서로에 근접한 영상스크린을 때린다는 것이 중요하다. 즉, 빔이 스크린상에 집속된다는 것은 중요하다.
대부분의 칼라 키네스코우프는 두가지 형태중 하나를 갖는 전자빔을 공급한다. 한 형태는 삼각형으로 배열된 전자빔을 공급하는 반면 다른 형태는 수평 인-라인(in-line) 방식으로 빔을 공급한다. 삼각형관은 편향동안 빔을 접속하기 위한 동적(dynamic)집속회로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인-라인 형관은 동적 집속회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키네스코우프 영상스크린상의 모든점에서 실질적으로 전자빔을 집속하는 편향요크의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인-라인 형관에 대한 이러한 자동-집속요크는 특정구성의 편향코일로 공급된 편향장의 불균일성을 통해 전자빔 집속을 제공한다. 빔 집속의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전체 알 핀쿠션(pincushion)형 장은 수평편향코일에 위해 공급되고, 전체 알 배럴형 장은 수직 편향코일에 의해 공급되어야 한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그리고, 소정의 불균일장을 공급하기 위해 편향요크 코일을 감는 기술도 공지되어 있다.
편향요크는 도자성 코어주위에 환상으로 감긴 코일, 안장형으로 감긴 코일 또는 이들 두가지의 조합으로 감긴 코일을 가질 수 있다. 널리 통용되는 형태의 요크는 안장형으로 감긴 수평코일 및 환상으로 감긴 수직코일을 포함한다. 안장형으로 감긴 코일과 환상으로 감긴 코일은 요크의 내부영역내에 공급된 주편향장에 덧붙여 요크의 측면과 후면에 외부장을 공급한다. 그러나, 환상형으로 감긴 코일에 의해 공급된 요크후면의 외부장은 안장형 코일에 의해 형성된 외부장보다 5배나 크다. 요크의 후면에 이러한 외부장이 존재함으로 인해 키네스코우프 전자총 조립체의 촛점 영역내의 전자빔에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빔의 편향이 너무 빨리 발생할 수 있어서, 어떤 영상스크린 위치에 있는 빔을 명백하게 촛점 이탈시킬 수 있다. 환상형 수직코일과 안장형 수평코일을 갖는 요크에 대해, 외부장은 가장 바람직하지 못한 효과를 나타나게 한다.
또, 그밖의 문제가 자동-집속요크의 경우에 일어날 수 있다. 배럴형 수직장이 전자빔의 집속을 위해 필요할지라도, 배럴형 장은 중간빔보다 외부빔이 더크게 편향되도록 하며, 결과적으로 외부빔 라스터에 대하여 중간빔 라스터외 높이가 감소되는 수직코마의 상태가 된다. 수직코마 에러는 요크의 빔입구 말단부 또는 후면에서 장의 불균일성에 가장 민감하다는 사실은 공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직편향코일로 부터 생긴 배럴형 외부장은 수직 코마 에러에 크게 기여한다.
외부장으로 인한 빔촛점 이탈문제에 대한 한가지 해결방법은 외부장을 전자총의 촛점영역으로 부터 분로시키도록 전자총 조립체의 일부분을 도자성 물질로서 제조하는 것이다. 실제로 이러한 기술은 빔집속이 저하되는 지점으로 외부장의 형태를 왜곡시킬수 있다. 가버씨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430,169호에 외부장을 "단락회로"로 만들기 위해 전자총 촛점 영역내의 관네크 주위에 도자성 링을 사용하는 법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단락회로화"는 편향장이 바람직하지 못할 정도로 약화되는 원인이 되어 빔주사의 감소를 초래하며, 따라서 편향전력의 증가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있어서, 세개의 수평 인-라인 전자빔을 공급하는 키네스코우프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자동-접속 편향요크는 빔을 편향시키기 위해 불균일장을 공급하는 수평 및 수직코일에 결합한다.
세개의 빔이 편향을 제어하기 위한 불균일장을 수정하도록 외부장으로 부터의 자속선을 링으로 분로시킬 목적으로, 교정장치는 요크의 외부장내의 요크 후면에 자리잡은 도자성 링을 포함한다. 링을 통한 자속선의 흐름을 저지할 목적으로, 링은 그 내부에 형성되며 링의 직경의 미소부분을 차지하는 홈을 갖는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자면, 네크(neck)부 11, 깔대기부 12 및 네크부 11로 부터 키네스코우프의 반대쪽 끝부분에 있는 형광영상스크린(도시되지 않음)을 갖는 키네스코우프 10을 포함하는 칼라 텔레비젼 영상 시스템에 되시되어 있다. 전자총 조립체 13은 네크부 11내에 위치하며 세개의 전자빔을 발생, 가속 및 집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도의 영상시스템에서, 세개의 전자빔은 수평 인-라인 구성으로 배열된다. 편향요크 14는 네크부 11과 깔대기부 12가 이어지는 영역에서 키네스코우프상에 장착된다. 편향요크는 안장(saddle)형 구성으로 감긴 한쌍의 수편 편향 코일(도시되지 않음)과 도자성 코어 16주위에 환상으로 감긴 한쌍의 수직편향 코일 (제2도에 도시됨)을 포함한다. 플라스틱 절연체 17은 수평 및 수직코일을 분리한다. 장착판 18은 요크 14의 후면에서 절연체 17에 장착된다. 장착판 18은 요크의 우치를 적당히 조정한 후 키네스코우프 10에 안정요크 14를 용이하게 하는 클램크(clamp)를 결합할 수 있다.
제1도에는 자장선 20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요크 14의 수직 편향코일 15에 의해 공급된 외부장이 도시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장은 전자총 조립체 13의 영역내의 일부분에 존재한다. 이러한 장은 전자총 조립체내에 있는 빔의 미소한 편향을 초래하며, 결과적으로 빔의 촛점을 흐리게 한다. 상당히 짧은 키네스코우프에서, 이러한 문제는 편향요크의 후면 가까이에 즉, 요크 외부장 내에 전자총 조립체를 설치하므로써 악화된다.
제2도는 요크의 후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외부장의 장선 20은 배럴(barral)형 구성으로 도시되며 수직 편향코일의 외부장을 나타낸다. 배럴형의 장은 장의 집중말단부 사이에 있는 장성의 상호반발로 인한 장의 확장으로 부터 생겨난 결과이다. 외부환상형 수직장은 외부 안장형 수평장보다 5배 더 크기 때문에 외부수직장은 외부 수평장보다 전자빔에 대해 훨씬 큰 영향을 줄 것이다. 수평안장 코일의 외부장은 전체적으로는 무시할 수 없지만 빔에 대해 감지할 수 있을 정도의 영향을 주진 않는다. 그러므로, 단지 외부 수직장만이 제2도에 도시된다.
전자빔의 촛점에 대한 상기 효과이외에도, 제2도에 도시된 외부수직장은 자장형태의 불균일 특성으로 부터 생기는 문제에 대한 원인이 될 수 있다. 자장선 20이 최소한 키네스코우프 네크부를 통해 수직축을 따라 집중되기 때문에, 중간 전자빔 23보다 외부전자빔 21 및 22에 대해 더 큰 편향력을 발휘한다. 중간빔 23에 대하여 외부빔 21 및 22의 이러한 증가된 수직 편향은 수직코마(coma)에러를 초래한다. 즉, 여기서 증간빔 라스터는 높이가 외부빔 라스터의 높이에 배해 감소된다.
제3도 및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키네스코우프 110과 편향요크 114를 포함하는 칼라 텔레비젼 영상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플라스틱 절연체 17외에 환상으로 감긴 수직편향 코일 115가 도시되어 있다. 교정기 24는 전자총 조립체의 촛점영역(focussing region)에 인접한 키네스코우프 네크부에 장착되어 도시된다.
교정기 24는 도자성 물질로서 만들어지고, 따라서 자속선에 대해 공기보다 더 낮은 리럭턴스(reluctance) 경로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외부편향장으로 부터의 자속선 120의 일부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정기 24로 분로된다. 교정기 24로 분로되고 있는 외부편향장으로 부터의 이러한 자속선의 작용에 의해 관 네크부 내부의 잔재 플럭스는 덜 집중된다. 자속선 집중의 감소는 외부장과 전자빔 사이의 상호작용이 덜 일어나게 하며, 결과적으로 코마에러가 덜 일어나게 된다. 코마에러는 특히 관 네크의 상부 및 하부에서 외부장의 경계를 한정하는 도자성 교정기 24의 작용에 의해서도 감소되며, 관 네크부내의 장선을 약간 평평하게 한다. 이와 같이 평평해지면 자장이 덜 배럴형이 되며, 결과적으로 코마에러도 감소하게 된다.
교정기 24는 한쌍의 반원형의 링 세그먼트 25 및 26을 포함하며, 링세그먼트는 교정기 24의 상부 및 하부에서 홈 27 및 28에 의해 분리된다. 분리거리 또는 슬로트 넓이는 키네스코우프 복부를 둘러싸는 링의 직경에 비해 미소한 크기이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때문에 중요하다. 즉, 세스먼트의 분리는 교정기 세그먼트 25 및 26의 저 리럭턴스 경로에 브레이크(brake)를 공급하므로써, 전체경로 리럭턴스를 약간 증가시킨다. 이러한 증가된 리럭턴스는 교정기가 완전히 링일 경우에 배해 교정기 24를 통해 자속선이 덜 분로되게 한다. 빔 촛점 영역으로 부터 외부장을 제거시키는 것이 바람직할지라도, 다른 위치에 있는 외부편향장이 빔의 편향에 도움이 되므로 편향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주요 편향장에 의해 필요한 전력을 감소시킨다. 만일 교정기 24가 완전한 링이라면 바람직한 외부장의 교정기 24로 분로될 것이며, 결과적으로 일종의 보상으로서 편향 전력의 감소가 필연적으로 수반될 빔 주사의 감소를 초래할 것이다.세그먼트 25 및 26 사이의 분리는 외부장으로 부터 교정기 24로 분로되는 충분한 자속선이 빔촛점을 개선하고 코마에러를 감소시키도록 하지만, 주사가 바람직하지 못할 정도로 감소되게 하는 분로된 불필요한 양의 자속선을 막는다.
세그먼트 분리는 키네스코우프 수직축을 따라 형성하므로 수직 장 자속선의 경로에 있어서 브레이크를 나타낸다. 이러한 방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 및 수직 외부장 사이의 상대적인 차이의 결과이다. 세크먼트는 브레이크가 나타나지 않는 다면 교정기 24를 통해 순환될 수평 자속선의 흐름을 약간 저지한다.

Claims (7)

  1. 3개의 수평 인-라인 전자 빔을 발생하는 칼라 키네스코프와 더불어 사용되며, 요크가 상기 빔을 편향집속 시키기 위해 불균일한 필드를 발생하는 수평 및 수직 편향 코일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빔의 불균일한 편향을 발생하는 상기 불균일 필드는 이를 위한 보정이 되지 않는 경우 상기 빔에 의해 주사되는 라스터 사이에서 수직 코마 에러를 발생시키는 자기 집속 편향 요크의 수직 코마 보정 장치에 있어서, 자기 투자성링(24)이 상기 외부 필드(20)내의 상기 요크(14)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 필드로 부터의 자속을 상기 링내로 분로시키고, 이에 의해 상기 3개의 빔중에서 최소한 한 빔의 편향을 또 다른 빔에 대해 제어할 수 있도록 불균일 필드를 수정하여 상기 코마 에러를 보정하고, 상기 링은 링 자체에 형성된 홈(27, 28)을 가지며, 상기 홈은 상기 링을 통과하는 자속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링의 직경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코마 보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27)은 상기 요크(14)의 수직축을 따라 상기 링(24)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링은 상기 요크 수직축을 따라 상기 링의 하부에 위치된 제2홈 (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코마 보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편향코일은 안장형으로 감기고, 상기 수직 편향 코일이 환상으로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코마 보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27, 28)의 폭이 상기 링(24)을 통과하는 자속선 경로의 릴럭턴스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코마 보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필드(20)가 배럴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링(24)가 상기 전자 빔 사이의 수직 코마 에러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 배럴형 필드이 세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코마 보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24)은 상기 전자빔으로 부터 상기 외부 필드(20)의 일부를 분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코마 보정 장치.
  7. 3개의 수평 인-라인 전자 빔을 발생하는 칼라 키네스코프와 더불어 사용되며, 요크가 안장형 수평 편향 코일과 환상으로 감긴 수직 편향 코일을 포함하여 상기 빔을 편향 집속시키는 불균일 필드를 발생하고 ; 상기 코일은 각각 주 편향 필드와 외부 누설 필드를 발생하며 ; 상기 수직 편향 코일은 상기 수평 코일 보다 큰 누설 필드를 발생하고 ; 상기 빔의 불균일 편향을 발생하는 상기 불균일 필드는 이에 대한 보정이 없는 경우 상기 빔에 의해 주사된 라스터 사이의 수직 코마 에러를 발생하는 자기 집속 편향 요크의 수직 코마 보정 장치에 있어서, 자기 투자성 링(24)이 상기 외부 필드(20)내의 상기 요크(1)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수직 편향 코일에 의해 발생된 상기 외부 누설 필드로 부터의 자속을 상기 링(24)내로 분로시키고, 이에 의해 상기 3개의 빔중에서 최소한 한 빔의 편향을 또다른 빔에 대해 제어할 수 있도록 불균일 필드를 수정하여 상기 수직 코마 에러를 보정하고, 상기 링은 링 자체에 형성된 홈(27, 28)을 가지며, 상기 홈은 상기 링을 통과하는 자속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링(24)의 직경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코마 보정 장치.
KR1019810004781A 1980-12-10 1981-12-08 도자성 교정기를 결합한 편향요크 KR8800010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1500280A 1980-12-10 1980-12-10
US215002 1980-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8385A KR830008385A (ko) 1983-11-18
KR880001015B1 true KR880001015B1 (ko) 1988-06-13

Family

ID=22801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4781A KR880001015B1 (ko) 1980-12-10 1981-12-08 도자성 교정기를 결합한 편향요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JP (1) JPS57123636A (ko)
KR (1) KR880001015B1 (ko)
AT (1) AT389780B (ko)
AU (1) AU551240B2 (ko)
CA (1) CA1168287A (ko)
DE (1) DE3148992A1 (ko)
ES (1) ES8302359A1 (ko)
FR (1) FR2495829B1 (ko)
GB (1) GB2089116B (ko)
IT (1) IT1139938B (ko)
PT (1) PT740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5151A (ja) * 1987-12-29 1989-07-11 Sony Corp 偏向ヨーク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76947A (en) * 1936-06-18 1937-12-20 Baird Television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agnetic deflecting means for electron discharge devices
US2494459A (en) * 1945-11-09 1950-01-10 Rca Corp Cathode-ray beam deflector
US2950407A (en) * 1956-12-21 1960-08-23 Rca Corp Electric beam controlling apparatus
NL153714B (nl) * 1965-10-23 1977-06-15 Sanders Associates Inc Kathodestraalbuis voorzien van een magnetisch afbuigstelsel.
NL7313905A (nl) * 1973-10-10 1975-04-14 Philips Nv Afbuiginrichting voor kleurenbeeldbuis.
JPS53118921A (en) * 1977-03-28 1978-10-17 Toshiba Corp Color receiving unit
NL188484C (nl) * 1978-02-06 1992-07-01 Philips Nv Afbuigjuk voor kleurentelevisiebeeldweergeefbuizen.
JPS5927012Y2 (ja) * 1979-03-31 1984-08-06 株式会社東芝 偏向ヨ−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507671A0 (es) 1982-12-16
AT389780B (de) 1990-01-25
ATA527181A (de) 1989-06-15
CA1168287A (en) 1984-05-29
JPH054777B2 (ko) 1993-01-20
GB2089116B (en) 1984-12-05
JPS57123636A (en) 1982-08-02
KR830008385A (ko) 1983-11-18
IT8125495A0 (it) 1981-12-09
DE3148992A1 (de) 1982-07-22
FR2495829A1 (fr) 1982-06-11
PT74073B (en) 1983-09-14
AU7823581A (en) 1982-06-17
AU551240B2 (en) 1986-04-24
FR2495829B1 (fr) 1985-11-22
GB2089116A (en) 1982-06-16
IT1139938B (it) 1986-09-24
DE3148992C2 (ko) 1992-07-09
ES8302359A1 (es) 1982-12-16
PT74073A (en) 1982-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0138B1 (ko) 칼라텔레비젼 수상기의 표시시스템
US4041428A (en) Deflection yoke for use with in-line cathode ray tubes
KR920001821B1 (ko) 텔레비젼 표시 시스템
JPH03141540A (ja) カラー受像管装置
KR910001513B1 (ko) 텔레비젼 화상 표시 장치
KR100235518B1 (ko) 빔 스폿을 조절하는 편향 시스템
GB2083689A (en) Self-convergent deflection yokes
KR880001015B1 (ko) 도자성 교정기를 결합한 편향요크
US4451807A (en) Television raste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device
JPH03205749A (ja) ビーム集中補償装置
US4369418A (en) Deflection yoke incorporating a permeable corrector
KR100291787B1 (ko) 포커스특성을개선한컨버전스요크
US4656390A (en) Color picture tube device
KR970003045B1 (ko) 칼라 디스플레이 시스템
EP0624895B1 (en) Display tube including a deflection unit
JP2859900B2 (ja) カラー受像管
KR840001000B1 (ko) 셀프 콘버징 칼라 이메지 디스플레이 시스템
KR970004316B1 (ko) 편향요크의 컨버젼스 보정 지그
KR100338033B1 (ko) 슬릿보빈형편향요크의상하왜곡보정장치
JP2656591B2 (ja) 偏向装置及びそれを構成する偏向ヨーク
KR100294487B1 (ko) 칼라음극선관의컨버젼스보정장치
KR900005933B1 (ko) 화상표시 장치 및 편향장치
KR0120935Y1 (ko) 컬러브라운관용 편향요크
KR960004554Y1 (ko) 편향요크의 보정장치
KR940004072Y1 (ko) 편향요크의 버티컬 센터 라스터(vcr)현상 보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12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